KR20140009187A - 리코일 스타터 - Google Patents

리코일 스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187A
KR20140009187A KR1020137012537A KR20137012537A KR20140009187A KR 20140009187 A KR20140009187 A KR 20140009187A KR 1020137012537 A KR1020137012537 A KR 1020137012537A KR 20137012537 A KR20137012537 A KR 20137012537A KR 20140009187 A KR20140009187 A KR 2014000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member
rope reel
ratchet
drive pulley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749B1 (ko
Inventor
타케히코 니시무라
타로 키하라
세이이치 니에다
테츠야 야마다
켄타 쇼후다
Original Assignee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타팅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3/00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paw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3/00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 F02N3/02Other muscle-operated starting apparatus having pull-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원활하게 구동 풀리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래칫 부재를 구비한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축 구멍(14b)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원형 단면의 래칫 부재(16)를 구비한다. 상기 래칫 부재(16)는 상기 축 구멍(14b)에 삽입되는 회동축부(16a)와, 상기 회동축부(16a)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암부(16b)와, 상기 암부(16b)로부터 상기 회동축부(16a)와 평행하게 되도록 굴곡하여 연장되는 선단부(16c)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칫 부재(16)는 로프 릴(14)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회동하고, 회동함으로써 구동 풀리(15)과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로프 릴(14)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풀리(15)에 전달한다.

Description

리코일 스타터{RECOIL STARTER}
본 발명은 리코일 로프를 잡아당김으로써 로프 릴을 회전시키고, 이 로프 릴의 회전을, 래칫 기구를 통하여 엔진의 크랭크축에 연결된 구동 풀리 등의 회전 부재에 전달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리코일 스타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로프 릴에 권회된 리코일 로프를 견인함으로써 로프 릴을 회전시켜, 이 로프 릴의 회전을 구동 풀리 등에 전달하고, 이 구동 풀리에 결합된 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한 리코일 스타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리코일 스타터에서는, 로프 릴의 회전력을 구동 풀리에 전달하기 위한 래칫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래칫 기구는, 리코일 로프가 견인되어 로프 릴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져 구동 풀리측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편, 엔진이 시동한 뒤에는,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지지 않게 되어 있어, 엔진의 회전력을 로프 릴측에 전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동일 출원인에 의한 특허문헌 1에는, 암부와 이 암부의 일단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한 회동축부로 형성된 막대 형상의 래칫 부재를 사용한 래칫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래칫 기구에서는, 로프 릴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래칫 부재가 외경 방향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고, 돌출한 래칫 부재가 구동 풀리와 걸어 맞추어져 회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있다. 또한 엔진이 시동한 뒤에는, 돌출한 래칫 부재가 수용 위치로 되돌아와,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기재의 래칫 기구에서는, 구동 풀리의 내주면과 맞닿을 가능성이 있는 래칫 부재의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래칫 부재의 선단면이 구동 풀리의 개구의 끝가장자리와 걸어맞추어져 로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1 기재의 리코일 스타터는 구동 풀리에 개구창을 설치하고, 이 개구창에 대하여 래칫 부재를 걸어맞추어지게 하는 것이지만, 이 외에도,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풀리의 내주벽에 설치한 오목부에 래칫 부재를 걸어맞추어지게 하는 타입의 리코일 스타터도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3902528호 공보 일본 실개 소61-125671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한 특허문헌 1 기재의 래칫 기구에서는,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한 래칫 부재를 사용하기 위하여, 래칫 부재를 굴곡시키는 가공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공도 필요하게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각각 상이한 가공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그만큼 제조 비용이 커져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특허문헌 1 기재의 래칫 기구를 더욱 개량하고, 기능·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리코일 스타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이하를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리코일 스타터는 중앙에 래칫 부착부를 설치한 로프 릴과, 상기 래칫 부착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래칫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구동 풀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래칫 부재와, 상기 로프 릴과 동축으로 마찰 저항이 부여되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래칫 부재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컨트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래칫 부착부에는, 상기 로프 릴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래칫 부재는 상기 축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원형 단면의 선상 부재이며,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는 회동축부와, 상기 회동축부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로부터 상기 회동축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굴곡하여 연장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래칫 부재는, 상기 로프 릴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암부가 상기 컨트롤 부재의 걸어맞춤부에 눌려짐으로써 상기 선단부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하고, 회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져, 상기 로프 릴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풀리에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특징점과 아울러,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구동 풀리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특징점과 아울러,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구동 풀리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발명의 특징점과 아울러,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로프 릴에 형성된 받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과 아울러,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단부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래칫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래칫 부재는 래칫 부착부에 형성된 축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원형의 단면의 선상 부재이며,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는 회동축부와, 상기 회동축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여 뻗는 암부와, 상기 암부로부터 상기 회동축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굴곡하여 연장되는 선단부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선단에 경사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굽힘 공정만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게다가, 래칫 부재의 선단부는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된 원형 단면의 선상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이 선단부의 축방향 측면의 곡면에서 구동 풀리의 내주면과 맞닿기 때문에, 구동 풀리 위를 슬라이딩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래칫 부재가 회동했을 때에, 선단부가 구동 풀리의 내주면을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래칫 부재와 구동 풀리가 로킹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구동 풀리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 릴이 엔진 시동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래칫 부재는 일단이 축 구멍에 지지되고, 타단이 받이부에 지지되어, 로프 릴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래칫 부재는 구동 풀리의 개구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를 통하여 로프 릴의 회전력이 구동 풀리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구동 풀리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 릴이 엔진 시동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래칫 부재의 선단부가 구동 풀리의 오목부와 걸어맞추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오목부를 통하여 로프 릴의 회전력이 구동 풀리에 전달되게 된다.
본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하를 받는 래칫 부재의 회전축부 및 선단부가 모두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부재를 기울이는 방향이나, 래칫 부재를 탈락시키는 방향으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기재의 래칫 부재 등과 비교해도, 래칫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로프 릴에 형성된 받이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래칫 부재가 구동 풀리에 걸어맞추어져 엔진을 시동시키려고 했을 때에 엔진측의 부하가 래칫 부재에 걸렸다고 해도, 래칫 부재의 회동축부측과 선단부측의 양단부가 로프 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래칫 부재의 기울어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이부에 지지되는 선단부가 회전축과 평행한 축으로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를 직경방향으로 크게 취하지 않아도, 넓은 범위에서 선단부와 받이부를 걸어맞추어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 시동시의 부하를 분산시켜 내력성을 높임과 아울러, 직경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상기 선단부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래칫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리코일 로프를 되돌렸을 때에 래칫이 수용 방향으로 가압되어, 래칫 부재를 확실하게 비걸어맞춤 위치로 퇴피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래칫 부재의 (a) 측면도, (b) 저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래칫 부재가 수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래칫 부재가 수용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밀어내지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래칫 부재가 걸어맞춤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래칫 부재가 수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래칫 부재가 수용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밀어내지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래칫 부재가 걸어맞춤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변형예에 따른 래칫 부재의 (a) 측면도, (b) 저면도이다.
도 11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코일 스타터의 주요 구성을 수용함과 아울러 엔진의 측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스타터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엔진의 크랭크축과 대향하도록 릴 지지축(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릴 지지축(11)의 외주에는, 리코일 로프(12)를 권회한 로프 릴(14)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1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릴(14)의 외주에 형성된 릴부(14d)에 권회되는 것으로, 일단이 로프 릴(14)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스타터 케이스(10)에 형성된 개구(도시 생략)로부터 스타터 케이스(10)의 외방으로 끌어 내져 있다. 로프 릴(14)은, 이 끌어 내진 리코일 로프(12)를 견인함으로써, 릴 지지축(11)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구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프 릴(14)과 릴 지지축(11)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코일 로프(12)의 견인에 의해 회전된 로프 릴(1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끌어 내진 리코일 로프(12)를 로프 릴(14)에 되감기 위한 리코일 태엽(13)이 배치되어 있다. 리코일 태엽(13)은, 일단측이 로프 릴(14)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릴 지지축(11)에 고정되어 있고, 리코일 로프(12)를 잡아당김 조작하여 로프 릴(14)이 회전될 때에 리코일 태엽(13)에 회전력이 축적되고, 리코일 로프(12)를 떨어지게 함으로써 리코일 태엽(13)에 축적된 회전력으로 로프 릴(1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타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끌어내진 리코일 로프(12)를 로프 릴(14)에 되감도록 작동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릴(14)의 중앙에는, 스타터 케이스(1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원기둥 형상의 래칫 부착부(14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래칫 부착부(14a)를 덮도록 대략 바닥 있는 원통 형상의 구동 풀리(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풀리(15)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됨으로써, 로프 릴(14)의 회전력을 엔진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동 풀리(15)의 둘레벽에는, 도 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개구(15b)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래칫 부재(16)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로프 릴(14)의 래칫 부착부(14a)에는, 편심 위치에 상기한 릴 지지축(11)의 축선(로프 릴(14)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축 구멍(14b)이 2개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축 구멍(14b)에는 각각 래칫 부재(16)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래칫 부재(16)는 구동 풀리(15)의 내측에 배치되게 되어 있고, 이 래칫 부재(16)가 구동 풀리(15)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로프 릴(14)의 엔진 시동방향의 회전이 구동 풀리(15)에 전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칫 부재(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재 등을 원료로 하는 원형 단면의 선상 부재이며, 상기한 축 구멍(14b)에 삽입되는 회동축부(16a)와, 상기 회동축부(16a)의 개방 단부측을 대략 직각으로 굴곡한 암부(16b)와, 상기 암부(16b)의 선단을 상기 회동축부(16a)와 평행하게 되도록 굴곡한 선단부(16c)로 이루어지고, 회동축부(16a)보다도 선단부(16c)를 약간 짧게 형성한 대략 ㄷ자 형상의 부재이다.
이 래칫 부재(1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16a)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도 4(a)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로부터, 도 4(c)에 도시하는 걸어맞춤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에서는, 래칫 부재(16)는, 선단부(16c)가 래칫 부착부(14a)에 설치된 절결부(14e)의 내측과 맞닿음으로써, 그 회동이 제한되어 있다(도 3 참조). 한편, 도 4(c)에 도시하는 걸어맞춤 위치에서는, 래칫 부재(16)는 선단부(16c)가 로프 릴(14)의 래칫 부착부(14a)보다도 외경방향에 설치된 받이부(14c)와 맞닿음으로써, 그 회동이 제한되어 있다.
상기 축 구멍(14b)의 근방에는 스프링 받이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 받이에 유지된 복귀 코일스프링(20)이 상기 래칫 부재(16)에 작용하여, 선단부(16c)가 로프 릴(14)의 외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향으로 래칫 부재(16)를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래칫 부재(16)는 로프 릴(14)이 엔진 시동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한 수용 위치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릴 지지축(11)의 끝면에는 컨트롤 부재(18)가 세트 스크루(17)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 컨트롤 부재(18)에 의해 상기 로프 릴(14)이 릴 지지축(11)으로부터 빠짐방지되어 있다. 이 컨트롤 부재(18)에 있어서, 세트 스크루(17)를 관통시키기 위한 스크루 구멍(18b)은 컨트롤 부재(18) 중앙의 통부(18a)에 형성되어 있고, 이 통부(18a)의 주위에는 마찰 스프링(19)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마찰 스프링(19)은, 컨트롤 부재(18)의 통부(18a)를 외주방향에서 조이고 있어, 통부(18a)와 세트 스크루(17)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적어도, 복귀 코일스프링(20)의 가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컨트롤 부재(18)는 릴 지지축(11)에 대하여 마찰 저항이 부여되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게 되어 있다.
이 컨트롤 부재(18)의 래칫 부재(16)측의 면에는, 도 1이나 도 3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18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18c)는 래칫 부재(16)가, 로프 릴(14)의 회전을 따라 회전될 때에, 래칫 부재(16)와 걸어맞추어져, 래칫 부재(16)를 받이부(14c)와 맞닿는 방향(걸어맞춤 위치)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한 래칫 부재(16)는 구동 풀리(15)의 개구(15b)를 관통하여 개구(15b)의 끝가장자리와 걸어맞추어지고, 이것에 의해, 로프 릴(14)의 회전력을 구동 풀리(15)측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의 시동조작 전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는 복귀 코일스프링(20)의 작용으로 수용 위치에 가압되어 있고,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로부터 이반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리코일 로프(12)가 견인되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릴(14)이 회전하고, 로프 릴(14)과 일체로 래칫 부재(16)가 회전한다. 이 때, 컨트롤 부재(18)는 소정의 회전저항으로 릴 지지축(11)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의 암부(16b)가 컨트롤 부재(18)의 걸어맞춤부(18c)와 맞닿는다. 그리고, 또한 로프 릴(14)과 함께 래칫 부재(16)가 회전하기 때문에, 암부(16b)가 걸어맞춤부(18c)에 더욱 눌려지고, 선단부(16c)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다. 이 때, 래칫 부재(16)의 외주측에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이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 위를 슬라이딩하면서, 구동 풀리(15)의 개구(15b)에 이르기까지 회전된다.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개구(15b)에 이르기까지 회전하면,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개구(15b)를 관통하고, 이 선단부(16c)가 로프 릴(14)의 외경방향에 형성된 받이부(14c)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래칫 부재(16)의 회동이 정지하고, 도 5에 도시하는 걸어맞춤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 위치를 유지하면서, 로프 릴(14)과 일체가 되어 래칫 부재(16)도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구동 풀리(15)의 개구(15b)의 가장자리와 래칫 부재(16)의 암부(16b)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구동 풀리(15)도 로프 릴(14)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로프 릴(14)이 회전하면, 컨트롤 부재(18)는 걸어맞춤부(18c)를 통하여 래칫 부재(16)에 눌리게 되기 때문에, 마찰 스프링(19)에 의한 회전저항에 저항하여 로프 릴(14)과 일체로 엔진 시동방향으로 회전된다.
엔진이 시동한 후는, 크랭크축의 회전에 맞추어 구동 풀리(15)가 회전하고, 로프 릴(14)이 상대적으로 역회전하므로, 래칫 부재(16)가 구동 풀리(15)의 개구(15b) 가장자리로 밀려 되돌려져, 수용 위치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래칫 부재(16)가 구동 풀리(15)로부터 이반하므로, 엔진측의 회전이 로프 릴(14)에 전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이 시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리코일 로프(1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리코일 태엽(13)에 축적된 회전력으로 로프 릴(14)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리코일 로프(12)를 로프 릴(14)에 되감긴다. 이 때, 래칫 부재(16)도 로프 릴(14)과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컨트롤 부재(18)의 걸어맞춤부(18c)가 래칫 부재(16)의 암부(16b)를 밀어 되돌리고, 또한 복귀 코일스프링(20)의 작용에 의해, 래칫 부재(16)는 수용 위치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칫 부재(16)의 끝면 등에 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굽힘 공정만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낮은 비용으로 래칫 부재(16)를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는 로프 릴(14)의 회전축(릴 지지축(11))과 평행하게 설치된 원형 단면의 선상 부재이기 때문에, 이 선단부(16c)의 축방향 측면의 곡면에서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과 맞닿기 때문에,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 위를 슬라이딩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래칫 부재(16)가 회동했을 때에,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을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래칫 부재(16)와 구동 풀리(15)가 로킹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풀리(15)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관통 가능한 개구(1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15b)를 관통한 상기 선단부(16c)는 상기 로프 릴(14)에 형성된 받이부(14c)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 릴(14)이 엔진 시동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래칫 부재(16)는, 일단(회동축부(16a))이 축 구멍(14b)에 지지되고, 타단(선단부(16c))이 받이부(14c)에 지지되어, 로프 릴(14)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래칫 부재(16)는 구동 풀리(15)의 개구(15b)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15b)를 통하여 로프 릴(14)의 회전력이 구동 풀리(15)에 전달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받이부(14c)에 지지되는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로프 릴(14)의 회전축(릴 지지축(11))과 평행한 축으로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16c)를 직경방향으로 크게 잡지 않아도, 넓은 범위에서 선단부(16c)와 받이부(14c)를 걸어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 시동시의 부하를 분산시켜 내력성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직경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점은 구동 풀리(15)의 형상을 상이한 것으로 한 점에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의 구동 풀리(15)가 개구(15b)에 대하여 래칫 부재(16)를 걸어맞추어지게 하는 것이었던 것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구동 풀리(15)는 내주벽에 설치한 오목부(15c)에 래칫 부재(16)를 걸어맞추어지게 하는 점에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코일 스타터의 주요 구성을 수용함과 아울러 엔진의 측면부를 덮도록 형성된 스타터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엔진의 크랭크축과 대향하도록 릴 지지축(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릴 지지축(11)의 외주에는 리코일 로프(12)를 권회한 로프 릴(14)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리코일 로프(1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릴(14)의 외주에 형성된 릴부(14d)에 권회되는 것으로, 일단이 로프 릴(14)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스타터 케이스(10)에 형성된 개구(도시 생략)로부터 스타터 케이스(10)의 외방으로 끌어 내져 있다. 로프 릴(14)은 이 끌어 내진 리코일 로프(12)를 견인함으로써, 릴 지지축(11)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구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프 릴(14)과 릴 지지축(11) 사이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코일 로프(12)의 견인에 의해 회전된 로프 릴(1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끌어 내진 리코일 로프(12)를 로프 릴(14)에 되감기 위한 리코일 태엽(13)이 배치되어 있다. 리코일 태엽(13)은 일단측이 로프 릴(14)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릴 지지축(11)에 고정되어 있고, 리코일 로프(12)를 잡아당김 조작하여 로프 릴(14)이 회전될 때에 리코일 태엽(13)에 회전력이 축적되어, 리코일 로프(12)를 떨어지게 함으로써 리코일 태엽(13)에 축적된 회전력으로 로프 릴(1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타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끌어 내진 리코일 로프(12)를 로프 릴(14)에 되감도록 작동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릴(14)의 중앙에는, 스타터 케이스(10)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원주 형상의 래칫 부착부(14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래칫 부착부(14a)를 덮도록 대략 바닥 있는 원통 형상의 구동 풀리(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 풀리(15)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부착됨으로써, 로프 릴(14)의 회전력을 엔진측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동 풀리(15)의 둘레벽에는, 도 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오목부(15c)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래칫 부재(16)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했을 때에, 이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로프 릴(14)의 래칫 부착부(14a)에는, 편심 위치에 상기한 릴 지지축(11)의 축선(로프 릴(14)의 회전축)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축 구멍(14b)이 2개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축 구멍(14b)에는 각각 래칫 부재(16)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래칫 부재(16)는 구동 풀리(15)의 내측에 배치되게 되어 있고, 이 래칫 부재(16)가 구동 풀리(15)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로프 릴(14)의 엔진 시동 방향의 회전이 구동 풀리(15)에 전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래칫 부재(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재 등을 원료로 하는 원형 단면의 선상 부재로서, 상기한 축 구멍(14b)에 삽입되는 회동축부(16a)와, 상기 회동축부(16a)의 개방 단부측을 대략 직각으로 굴곡한 암부(16b)와, 상기 암부(16b)의 선단을 상기 회동축부(16a)와 평행하게 되도록 굴곡한 선단부(16c)로 이루어지고, 회동축부(16a)보다도 선단부(16c)를 약간 짧게 형성한 대략 ㄷ자 형상의 부재이다.
이 래칫 부재(16)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16a)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도 8(a)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로부터, 도 8(c)에 도시하는 걸어맞춤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하는 수용 위치에서는, 래칫 부재(16)는 선단부(16c)가 래칫 부착부(14a)에 설치된 절결부(14e)의 내측과 맞닿음으로써, 그 회동이 제한되어 있다(도 7 참조). 한편, 도 8(c)에 도시하는 걸어맞춤 위치에서는, 래칫 부재(16)는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그 회동이 제한되어 있다.
상기 축 구멍(14b)의 근방에는 스프링 받이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 받이에 유지된 복귀 코일스프링(20)이 상기 래칫 부재(16)에 작용하여, 선단부(16c)가 로프 릴(14)의 외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향으로 래칫 부재(16)를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래칫 부재(16)는 로프 릴(14)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한 수용 위치로 가압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릴 지지축(11)의 끝면에는 컨트롤 부재(18)가 세트 스크루(17)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 컨트롤 부재(18)에 의해 상기 로프 릴(14)이 릴 지지축(11)으로부터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 컨트롤 부재(18)에서, 세트 스크루(17)를 관통하게 하기 위한 스크루 구멍(18b)은 컨트롤 부재(18) 중앙의 통부(18a)에 형성되어 있고, 이 통부(18a)의 주위에는 마찰 스프링(19)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마찰 스프링(19)은 컨트롤 부재(18)의 통부(18a)를 외주 방향에서 죄고 있으며, 통부(18a)와 세트 스크루(17)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적어도, 복귀 코일스프링(20)의 가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컨트롤 부재(18)는 릴 지지축(11)에 대하여 마찰 저항이 부여되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게 되어 있다.
이 컨트롤 부재(18)의 래칫 부재(16)측의 면에는, 도 6이나 도 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18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18c)는, 래칫 부재(16)가 로프 릴(1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때에, 래칫 부재(16)와 걸어맞추어져, 래칫 부재(16)를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와 맞닿는 방향(걸어맞춤 위치)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동한 래칫 부재(16)는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와 걸어맞추어지고, 이것에 의해, 로프 릴(14)의 회전력을 구동 풀리(15)측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코일 스타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의 시동 조작 전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는 복귀 코일스프링(20)의 작용으로 수용 위치로 가압되어 있고,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로부터 이반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리코일 로프(12)가 견인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 릴(14)이 회전하여, 로프 릴(14)과 일체로 래칫 부재(16)가 회전한다. 이 때, 컨트롤 부재(18)는 소정의 회전 저항으로 릴 지지축(11)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의 암부(16b)가 컨트롤 부재(18)의 걸어맞춤부(18c)와 맞닿는다. 그리고, 또한 로프 릴(14)과 함께 래칫 부재(16)가 회전하기 때문에, 암부(16b)가 걸어맞춤부(18c)에 더욱 눌려지고, 선단부(16c)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다. 이 때, 래칫 부재(16)의 외주측에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 이외의 내주면(15a)이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 위를 미끄러지면서,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에 이를 때까지 회전된다.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에 이를 때까지 회전하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에 걸어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래칫 부재(16)의 회동이 정지하고, 도 9에 도시하는 걸어맞춤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어맞춤 위치를 유지하면서, 로프 릴(14)과 일체가 되어 래칫 부재(16)와 구동 풀리(15)가 회전하기 때문에,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로프 릴(14)이 회전하면, 컨트롤 부재(18)는 걸어맞춤부(18c)를 통하여 래칫 부재(16)에 눌려지게 되기 때문에, 마찰 스프링(19)에 의한 회전저항에 저항하여 로프 릴(14)과 일체로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된다.
엔진이 시동한 후는, 크랭크축의 회전에 맞추어 구동 풀리(15)가 회전하고, 로프 릴(14)이 상대적으로 역회전하므로, 래칫 부재(16)가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 가장자리로 밀려 되돌려져, 수용 위치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래칫 부재(16)가 구동 풀리(15)로부터 이반하므로, 엔진측의 회전이 로프 릴(14)에 전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이 시동하지 않은 경우에도, 리코일 로프(1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리코일 태엽(13)에 축적된 회전력으로 로프 릴(14)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리코일 로프(12)를 로프 릴(14)에 되감는다. 이 때, 래칫 부재(16)도 로프 릴(14)과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컨트롤 부재(18)의 걸어맞춤부(18c)가 래칫 부재(16)의 암부(16b)를 밀어 되돌리고, 또한 복귀 코일스프링(20)의 작용에 의해, 래칫 부재(16)는 수용 위치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칫 부재(16)의 끝면 등에 가공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굽힘 공정만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낮은 비용으로 래칫 부재(16)를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는 로프 릴(14)의 회전축(릴 지지축(11))과 평행하게 설치된 원형 단면의 선상 부재이기 때문에, 이 선단부(16c)의 축방향 측면의 곡면에서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과 맞닿아,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 위를 슬라이딩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래칫 부재(16)가 회동했을 때에,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내주면(15a)을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래칫 부재(16)와 구동 풀리(15)가 오목부(15c)를 제외한 위치에서 로킹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풀리(15)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16)의 상기 선단부(16c)를 받기 위한 오목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 릴(14)이 엔진 시동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와 걸어맞추어져, 오목부(15c)를 통하여 로프 릴(14)의 회전력이 구동 풀리(15)에 전달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하를 받는 래칫 부재(16)의 회동축부(16a) 및 선단부(16c)가 함께 로프 릴(14)의 회전축(릴 지지축(11))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부재(16)를 기울게 하는 방향이나, 래칫 부재(16)를 탈락시키는 방향으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래칫 부재(16)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
상기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래칫 부재(16) 대신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암부(16b)를 둔각(예를 들면, 120도)으로 굴절시킨 래칫 부재(16)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래칫 부재(16)를 사용하면, 래칫 부재(16)를 작은 작동 각도로 수용 위치로부터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여유 회전각도가 작아지므로, 효율적으로 로프 릴(14)의 회전을 구동 풀리(15)에 전달시킬 수 있다.
(제 2 변형예)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래칫 부재(16) 및 로프 릴(14) 대신에, 도 11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래칫 부재(16) 및 로프 릴(14)을 사용해도 된다.
이 제 2 변형예에 따른 로프 릴(14)은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를 받기 위한 받이부(14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 2 변형예에 따른 래칫 부재(16)는 받이부(14c)와 접촉할 수 있게 선단부(16c)가 다소 약간 길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하여 구동 풀리(15)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의 일부가 로프 릴(14)에 형성된 받이부(14c)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 릴(14)이 엔진 시동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래칫 부재(16)는 일단(회동축부(16a))이 축 구멍(14b)에 지지되고, 타단(선단부(16c))이 받이부(14c)에 지지되어, 로프 릴(14)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래칫 부재(16)의 선단부(16c)가 구동 풀리(15)의 오목부(15c)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오목부(15c)를 통하여 로프 릴(14)의 회전력이 구동 풀리(15)에 전달되게 된다.
이러한 래칫 부재(16) 및 로프 릴(14)을 사용하면, 래칫 부재(16)가 구동 풀리(15)에 걸어맞추어져 엔진을 시동시키려고 했을 때에 엔진측의 부하가 래칫 부재(16)에 가해졌다고 해도, 래칫 부재(16)의 양단부(회동축부(16a) 및 선단부(16c))가 로프 릴(14)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래칫 부재(16)의 경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2 변형예에 따른 래칫 부재(16)는 제 1 변형예의 래칫 부재(16)와 마찬가지로, 암부(16b)를 둔각으로 굴절시켜도 된다.
10 스타터 케이스
11 릴 지지축
12 리코일 로프
13 리코일 태엽
14 로프 릴
14a 래칫 부착부
14b 축 구멍
14c 받이부
14d 릴부
14e 절결부
15 구동 풀리
15a 내주면
15b 개구
15c 오목부
16 래칫 부재
16a 회동축부
16b 암부
16c 선단부
17 세트 스크루
18 컨트롤 부재
18a 통부
18b 스크루 구멍
18c 걸어맞춤부
19 마찰 스프링
20 복귀 코일스프링(가압 수단)

Claims (5)

  1. 중앙에 래칫 부착부를 설치한 로프 릴과,
    상기 래칫 부착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래칫 부착부에 부착되고, 상기 구동 풀리의 내측에 배치되는 래칫 부재와,
    상기 로프 릴과 동축으로 마찰 저항이 부여되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래칫 부재와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컨트롤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래칫 부착부에는 상기 로프 릴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래칫 부재는 상기 축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원형 단면의 선상 부재이며, 상기 축 구멍에 삽입되는 회동축부와, 상기 회동축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암부와, 상기 암부로부터 상기 회동축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굴곡하여 연장되는 선단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래칫 부재는, 상기 로프 릴이 엔진 시동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암부가 상기 컨트롤 부재의 걸어맞춤부에 눌려짐으로써 상기 선단부가 외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하고, 회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로프 릴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 풀리에 전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가 관통가능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한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부재의 상기 선단부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회동하여 상기 구동 풀리와 걸어맞추어졌을 때에, 상기 선단부가 상기 로프 릴에 형성된 받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가 외경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래칫 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일 스타터.
KR1020137012537A 2010-12-01 2011-11-18 리코일 스타터 KR101877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8157 2010-12-01
JPJP-P-2010-268157 2010-12-01
JP2011194790A JP5836713B2 (ja) 2010-12-01 2011-09-07 リコイルスタータ
JPJP-P-2011-194790 2011-09-07
PCT/JP2011/006431 WO2012073445A1 (ja) 2010-12-01 2011-11-18 リコイルスタ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187A true KR20140009187A (ko) 2014-01-22
KR101877749B1 KR101877749B1 (ko) 2018-07-13

Family

ID=4617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537A KR101877749B1 (ko) 2010-12-01 2011-11-18 리코일 스타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47860A1 (ko)
EP (1) EP2647829B1 (ko)
JP (1) JP5836713B2 (ko)
KR (1) KR101877749B1 (ko)
CN (1) CN103237983B (ko)
WO (1) WO20120734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204B1 (ko) 2015-05-06 2016-11-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이휠을 이용한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KR20160136873A (ko) 2015-05-21 2016-11-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9473B2 (ja) * 2013-01-07 2016-11-24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JP6509530B2 (ja) 2014-11-19 2019-05-08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CA2921848C (en) * 2016-02-26 2017-07-18 Cae Healthcare Canada Inc. Apparatus for simulating insertion of an elongated instrument into a structure and medical insertion simulator
JP7391357B2 (ja) * 2019-09-19 2023-12-05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11319915B2 (en) 2020-06-11 2022-05-03 Kohler Co. Engine system, and method of starting the engine
JP2022145137A (ja) * 2021-03-19 2022-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671U (ko) * 1985-01-24 1986-08-07
SE503356C2 (sv) * 1994-09-02 1996-05-28 Electrolux Ab Startapparat för förbränningsmotor
JP2002327666A (ja) * 2001-03-01 2002-11-15 Starting Ind Co Ltd スタータ装置
JP3892772B2 (ja) * 2002-07-24 2007-03-14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US6959680B2 (en) * 2002-07-24 2005-11-01 Starting Industrial Co., Ltd. Recoil starter
JP3680052B2 (ja) * 2002-09-26 2005-08-10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リコイルスタータ
JP3902528B2 (ja) * 2002-10-02 2007-04-11 スターテング工業株式会社 リコイルスタータ
DE102004036109B4 (de) * 2004-07-08 2006-08-03 BLüCHER GMBH Drehrohr für die Aktivkohle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JP4376193B2 (ja) * 2005-02-08 2009-12-02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とエンジンとの間の動力伝達機構
DE102007020680B4 (de) * 2007-05-03 2016-07-21 Andreas Stihl Ag & Co. Kg Verbrennungsmotor mit einer Starteinricht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204B1 (ko) 2015-05-06 2016-11-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이휠을 이용한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KR20160136873A (ko) 2015-05-21 2016-11-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엔진용 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7829A1 (en) 2013-10-09
EP2647829B1 (en) 2019-04-03
CN103237983B (zh) 2015-12-16
JP2012132430A (ja) 2012-07-12
JP5836713B2 (ja) 2015-12-24
KR101877749B1 (ko) 2018-07-13
US20130247860A1 (en) 2013-09-26
CN103237983A (zh) 2013-08-07
WO2012073445A1 (ja) 2012-06-07
EP2647829A4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187A (ko) 리코일 스타터
US11428498B2 (en) Crossbow cocking crank
EP1413746B1 (en) Recoil starter
US8166947B2 (en) Recoil starter
US7819105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between engine starting device and engine
CN110402903B (zh) 钓鱼用绕线轮的转矩限制装置及旋压式绕线轮
JP4792408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6132519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5428093B2 (ja) 小型エンジンの始動装置
JP5261797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US9797359B2 (en) Starting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023629B1 (en) Recoil starter
JP3902528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6291722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4133942B2 (ja) 内燃機関用の始動装置
JP2002138930A (ja) リコイルスタ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