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383A - 차량 도어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383A
KR20140007383A KR1020137021815A KR20137021815A KR20140007383A KR 20140007383 A KR20140007383 A KR 20140007383A KR 1020137021815 A KR1020137021815 A KR 1020137021815A KR 20137021815 A KR20137021815 A KR 20137021815A KR 20140007383 A KR20140007383 A KR 20140007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ehicle door
catch lever
pawl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521B1 (ko
Inventor
톨스텐 벤델
클라우스 퇴프페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0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2Inertia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08Emergency op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1, 2, 3), 록킹 메커니즘(1, 2, 3)에 작용하는 작동 레버 유니트(6, 7) 그리고 캐치 레버(12)를 구비한 차량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캐치 레버(12)는 예를 들어, 사고(충돌)의 경우 정해진 크기의 가속력이 적어도 발생할 때에 록킹 메커니즘(1, 2, 3)을 차단하여 록킹 메커니즘을 비효과적으로 만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 작동 동안 그리고 충돌의 경우에 캐치 레버(12)는 록킹 메커니즘(1, 2, 3)의 폴(3) 상에서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따라서 정상 개방 작동 동안에만 폴(3)과 록킹 메커니즘(1, 2, 3)을 해제 위치에 있게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록킹 장치{Motor vehicle door lock}
본 발명은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릴리즈 레버를 갖는 작동 레버 유니트 및 적어도 예를 들어 사고(충돌)의 경우에 정해진 크기의 가속력이 발생할 때 록킹 메커니즘을 차단하는 캐치 레버를 갖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동 레버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레버를 포함한다. 정상적으로, 유니트는 적어도 내부 작동 레버, 외부 작동 레버 그리고 릴리즈 레버(release lever)를 포함한다. 또한, 작동 레버 유니트는 가끔 결합 레버를 포함한다. 작동 레버 유니트가 작동할 때, 록킹 메커니즘은 이러한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릴리즈 레버는 일반적으로 록킹 메커니즘의 폴과 맞물리며 관련된 로터리 래치에서 폴을 들어 올린다. 로터리 래치는 그 후 맞물린 록킹 볼트를 스프링의 도움으로 개방하고 풀어준다. 그 결과, 관련된 차량 도어는 개방될 수 있다.
사고의 경우 또는 충돌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높은 가속력이 발생하며, 이는 지구의 가속도보다 몇 배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각 차량 도어 록킹 장치는 상당한 관성력에 노출되며, 이 관성력은 의도하지 않은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을 야기하고 따라서 전체 관련 도어 록킹 장치의 개방을 야기할 수 있다.
설명된 이러한 시나리오는 차량 사용자에게 상당한 위험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의도하지 않게 개방된 차량 도어는 차량의 탑승자 보호를 위한 측면 에어백 또는 측면 충격 보호대와 같은, 차량 내에 포함된 어떠한 안전 장치를 더 이상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예를 들어 충돌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비정상적인 가속력이 발생하는 동안 작동 레버 유니트 또는 록킹 메커니즘을 차단하는 다양한 조치들이 과거에 이미 시행되었다. 이러한 경우에, 정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휴지 위치에 있으며 작동 레버 유니트 또는 록킹 메커니즘과 맞물리지 않은, 소위 관성 록킹 장치(inertia lock) 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작동 레버 유니트에 작용하는 캐치 레버가 197 19 999 A1에 개시되어 있다. 차량 사고의 경우에 위에서 설명된 가속력이 작용할 때 록킹 장치 또는 캐치 레버는 개방 레버를 차단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록킹 장치 또는 캐치 레버 그리고 개방 레버는 개방 레버의 회전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서로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다. 증가된 가속력에 의하여 야기된 상대적인 변위의 경우에, 개방 레버는 록킹 장치 내로 진입한다. 이는 디자인을 간단하게 유지하는 반면에 충돌 사고의 경우에 원하지 않는 개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방 레버의 영구적인 차단은 또한 일반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DE 19910 513 A1의 기술의 일반적인 상태는 도어 록킹 장치 상의 충돌 캐치를 설명한다. 이 캐치는 선회 가능한 캐치 레버를 포함하며, 이 선회 가능한 캐치 레버는 관성력에 의하여 자신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달 요소를 중지시키는 차단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 반대 차단 표면이 제공된다.
선행 기술의 모든 측면은 만족스럽지 않다.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가속력이 발생하는 동안에만, 예를 들어 충돌하는 경우에만, 캐치 레버가 작동 레버 유니트 또는 록킹 메커니즘을 차단하도록 시스템은 가동한다. 실질적인 적용에서, 예를 들어 부식 또는 노화 등에 의하여 캐치 레버의 이동이 차단되거나 지연되는 경우에 이는 부정확한 기능을 야기한다. 캐치 레버가 이동되어야 함에 따라 예를 들어 실질적인 적용에서 가능하지 않은 유지 보수의 부분으로서 이러한 기능적인 결함은 또한 점검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자인을 간단하게 유지하는 반면에 기능적 신뢰성은 증가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차량 도어 록킹 장치를 더욱 발전시키는 기술적인 문제를 기초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반적인 차량 도어 록킹 장치는 변위 되지 않은 표준 작동 시 그리고 충돌의 경우에 캐치 레버는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폴에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록킹 메커니즘의 차단 위치에서) 작용하고 변위된 표준 작동 시 폴의 해제 위치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의 해제 위치를 단지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정상적인 작동은 정상적인 구동 역학 과정에 대응하는 가속력이 발생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의 기능적 상태를 언급한다.
반대로, 대부분의 경우 사고는 보다 큰 가속 및 지체와 관련이 있다. 이 경우, 비정상 가속 과정, 비정상 가속력 또는 충돌 또는 사고의 경우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러한 사고 또는 충돌이 발생하면, 캐치 레버가 비작동 상태에서 그리고 표준 작동 동안뿐만 아니라 충돌의 경우에도 차단 위치에 있음으로써 -종래 기술의 상태와 반대로- 캐치 레버는 활성 상태로, 즉 영구적인 활성 상태로 남아 있는다. 이 기능적인 위치에서, 캐치 레버는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폴에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정상 작동 동안 그리고 충돌의 경우에 캐치 레버, 폴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은 차단 위치를 취한다.
따라서 캐치 레버는 표준 작동 시의 개방 동안에만 폴과 록킹 메커니즘의 해제 위치를 허용하며, 따라서 캐치 레버, 폴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은 각각의 해제 위치에 있게 된다.
정상 작동시의 비작동 상태 동안, 작동 레버 유니트의 릴리즈 레버 또한 개방 방식에 있는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지는 않으나 이 점에 대해서 정지 상태에 있다. 따라서 릴리즈 레버는 개방 의미에 있는 로터리 래치와 폴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의 폴에 작용하지 않는다. 록킹 메커니즘과 비교해볼 때, 작동 레버 유니트는 정지한다. 반대로, 정상 작동에서의 개방의 부분은 블록킹 폴을 굴절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폴을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 올리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가 굴절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로터리 래치는 결과적으로 폴로부터 해제되고 스프링의 도움으로 그의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전에 유지된 록킹 볼트는 다시 해제된다. 록킹 볼트가 전형적으로 차량 도어에 연결됨에 따라 이러한 과정 동안에 차량 도어는 또한 해제된다.
기준 작동 동안 그리고 충돌의 경우, 캐치 레버는 전체적으로 그 차단 위치에서 영구적으로 활동적이다. 무엇보다도, 캐치 레버는 폴이 그 차단 위치에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한다. 이 차단 위치에서, 폴은 록킹 메커니즘을 유지 또는 고정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폴은 로터리 래치와 캐치 레버와 맞물릴 수 있으며 완전히 닫힌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서 로터리 래치를 고정한다. 충돌의 경우, 캐치 레버의 관성 모멘트는 충돌의 방향과 관계 없이 레버가 작동 레버 유니트의 어떠한 이동을 뒤따르지 않고 또한 뒤따를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정상 작동 동안에 작동 레버 유니트가 작동한다면, 캐치 레버는 굴절된다. 캐치 레버의 이 굴절은 차단 폴과 폴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폴의 해제 위치는 폴로부터 해제된 로터리 래치와 부합하며 따라서 록킹 메커니즘을 해제한다. 이러한 과정 동안에서 이전에 맞물려진 로터리 래치는 해제되며, 폴 또한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려 올려진다.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이는 각 록킹 메커니즘을 위한 각 개방 과정이 차단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캐치 레버의 작동에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이는 블록킹 폴은 물론 폴에도 적용된다. 그 결과, 각각의 정상적인 작동 및 트리거 과정은 캐치 레버가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와 같은 어떠한 부식, 들러붙음(sticking) 등이 발생할 수 없다. 결과는 보다 간단한 디자인과 조합된 보다 우수한 기능적 신뢰성이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캐치 레버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레버로서 설계된다. 전형적으로, 캐치 레버는 록킹 메커니즘과 함께 록킹 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캐치 레버가 블록킹 아암 그리고 보상 아암으로 이루어진 2-아암 레버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래치가 개방을 위하여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블록킹 아암은 로터리 래치와 맞물린다.
일반적으로, 캐치 레버는 작동 레버 유니트의 릴리즈 레버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서 탄성 결합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충돌의 경우, 캐치 레버는 정지 상태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반면에 작동 레버 유니트의 어떠한 이동은 허용된다. 그러나, 작동 레버 유니트의 이러한 이동은 캐치 레버로 또는 캐치 레버에 의하여 차단된 록킹 메커니즘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캐치 레버와 릴리즈 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스프링은 캐치 레버의 블록킹 아암과 맞물릴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을 개방하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가 블록킹 폴을 작동시키고 폴을 닫힌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릴리즈 레버는 작동한다. 이 과정 동안, 릴리즈 레버는 동시에 특히 스프링에 의하여 레버와 탄성적으로 결합된 캐치 레버에 작용한다. 이 과정 동안에 캐치 레버가 폴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캐치 레버는 폴과 상호 작용하는 차단 형상, 캠, 변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시에, 캐치 레버와 폴 사이의 동작(play)은 위에서 설명된 과정이 용이하게 발생될 수 있는 정도의 범위로 이루어진다.
이는 캐치 레버가 유리하게는 폴과 상호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폴 자체는 록킹 메커니즘의 로터리 래치와 맞물린다. 이 목적을 위하여, 폴은 작동 레버 유니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폴은 릴리즈 레버 아래에 장착된다.
록킹 메커니즘 또는 로터리 래치가 로터리 래치 내로 이동하는 록킹 볼트에 의하여 닫힘 상태로 이동하자마자, 폴은 본 발명의 장치 내에서 맞물릴 뿐만 아니라 블록킹 폴 또한 그 차단 위치로 이동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블록킹 폴은 로터리 래치의 에지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블록킹 폴이 폴로부터 들어 올려질 때까지 작동 레버 유니트의 어떠한 이동도 록킹 메커니즘의 개방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부분으로서, 폴은 캐치 레버와 상호 작용하며, 릴리즈 레버 상에 장착된다. 한다. 캐치 레버가 그 해제 위치를 취하고 있을 때에만, 폴은 록킹 메커니즘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로터리 래치는 해제되어 폴은 로터리 래치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캐치 레버의 축, 릴리즈 레버의 축, 블록킹 폴의 축 그리고 폴의 축이 록킹 케이스 내에 서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한 것임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경우에, 위에서 언급된 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는 또한 로터리 래치를 통과하는 또는 로터리 래치를 수용하는 축에도 적용된다.
충돌의 경우에도 그리고 이러한 경우 동안에 비정상적인 가속력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캐치 레버의 어떠한 상대적 이동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캐치 레버의 관성 모멘트는 설계된다. 따라서 로터리 래치와 캐치 레버는 이러한 경우에서도 정지 상태로 남아 있으며, 따라서 이는 전체로서 록킹 메커니즘에도 적용된다. 록킹 메커니즘의 의도적이지 않은 개방은 따라서 배제된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충돌 동안에 생성된 캐치 레버의 관성력이 작동 레버 유니트에 대한 결합력을 쉽게 다소 초과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캐치 레버는 유리하게는 스프링을 통하여 릴리즈 레버와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충돌 또는 사고의 경우, 캐치 레버에 작용하는 관성력은 결합 스프링에 의하여 생성된, 예를 들어 굴절된 릴리즈 레버에 의하여 캐치 레버 상으로 전달되는 어떠한 인장력보다 현저하게 크다.
캐치 레버를 차단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스프링에 의하여 캐치 레버는 복귀된다.
캐치 레버와 블록킹 폴이 모든 정상 개방 과정 중에 작동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간단한 설계에 의하여 특별하게 신뢰성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이들은 본 발명의 주요 이점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킹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로터리 래치(1), 블록킹 폴(2) 및 폴(3)로 이루어진 록킹 메커니즘(1, 2, 3)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를 도시한다. 록킹 메커니즘(1, 2, 3)은 록킹 케이스(18) 내에 배치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로터리 래치(1)는 대응하는 축(4)을 포함하며, 록킹 폴(2) 역시 그 자신의 축(5)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장치는 또한 릴리즈 레버(6)와 이 릴리즈 레버에 연결된 하나 또는 다수의 다른 레버(7)로 이루어진 작동 레버 유니트(6, 7)를 포함한다. 닫힘 상태로부터 록킹 메커니즘(1, 2, 3)을 개방하기 위하여, 릴리즈 레버(6)는 작동 레버 유니트(6, 7)에 의하여 축(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릴리즈 레버(6)의 이러한 회전은 블록킹 폴(2)의 저널(10) 내의 에지(9) 중 하나와 릴리즈 레버(6)가 맞물리도록 한다. 이 과정 동안의 릴리즈 레버(6)의 시계 방향 이동은 축(5)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 방향 이동을 수행하는 블록킹 폴(2)과 대응한다.
그 결과, 블록킹 폴(2)은 폴(3)을 해제하며, 이 폴은 이전에 맞물려져 있는 로터리 래치(1)를 해제한다. 스프링은 로터리 래치(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로터리 래치를 도면에 도시된 닫힘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며 동시에 이전에 맞물려져 있는 록킹 볼트(17)를 해제한다. 록킹 볼트(17)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동작 중에 해제되고 그리고 개방될 수 있는 차량 도어에 연결된다.
블록킹 폴(2)을 제외하고, 폴(3)은 록킹 메커니즘(1, 2, 3)이 닫힘 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폴(3)에 더하여 블록킹 폴(2)은 -말하자면- 로터리 래치(1)의 부가적인 안정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그리고 뒤)로의 폴(3)의 이동은 캐치 레버(12)가 그의 차단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릴리즈 레버(6)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캐치 레버(12)는 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레버(12)이다. 캐치 레버는 실질적으로 2-아암 레버로 설계되며, 블록킹 아암(12a)과 보상 아암(12b)을 포함한다. 블록킹 아암(12a)은 이미 작동하는 폴(3)과 상호 작용한다.
캐치 레버(12)와 그 축(13)은 록킹 메커니즘(1, 2, 3)과 함께 록킹 케이스(18) 내에 수용된다. 동일한 구조는 릴리즈 레버(6)와 그 축(8)에 적용된다. 동시에, 로터리 래치(1)와 블록킹 폴(2), 폴(3), 릴리즈 레버(6) 그리고 최후로 캐치 레버(12)의 각 축(4, 5, 8 그리고 13)은 항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모든 축(4, 5, 8 그리고 13)은 록킹 케이스(18)의 베이스 평면으로부터 주로 직교적으로 연장되며, 록킹 케이스(18) 내에 모두 고정된다.
캐치 레버(12)가 스프링(14) 형태의 탄성 결합 부재에 의하여 작동 레버 유니트(6, 7)에 결합되는 것이 명백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스프링(14)은 릴리즈 레버를 캐치 레버(12)에 연결시키며, 이 스프링(14)은 캐치 레버(12)의 블록킹 아암(12a)과 맞물린다.
캐치 레버(12)는 폴(3) 상에서 반대 요소(16; counter element)와 상호 작용하는 캠 또는 변형부(15)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캐치 레버(12)는 블록킹 아암(12a) 상의 요부(15)를 포함한다. 폴(3) 상에 배치된 캠(16)은 이 요부 내에서 맞물린다.
실제로 폴(3)은 릴리즈 레버(6) 아래에 배치된다.
해제 위치로 폴(2)의 차단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캐치 레버(12)는 그 축(13)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수행해야만 한다. 그후 캐치 레버(12)는 점선으로 도시된 그 해제 위치를 취한다. 그 축(13)을 중심으로 하는 캐치 레버(12)의 이러한 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은 록킹 메커니즘(1, 2, 3)을 개방하기 위하여 정상 작동시 그 축(8)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6)에 의하여 야기된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작동 레버 유니트(6, 7)는 도어 핸들, 예를 들어 당겨지는 내부 도어 핸들 또는 외부 도어 핸들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는 도면에서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작동 레버 유니트(6, 7) 상에서의 작용은 작동 레버 유니트(6, 7)의 굴절 그리고 캐치 레버의 굴절된 정상 작동을 야기한다. 스프링(14)에 의한 릴리즈 레버(6)로의 캐치 레버(12)의 결합에 의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8)을 중심으로 하는 릴리즈 레버(6)의 시계 방향 회전 동안 캐치 레버(12)는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블록킹 레버(12)의 블록킹 아암(12a) 상의 요부(15)는 그 좌측 종단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캐치 레버(12)는 폴(3)을 해제한다.
설명된 과정 그리고 릴리즈 레버(6)의 시계 방향 회전은 멈춤 에지(9)의 도움으로 블록킹 폴(2)의 저널(10)에 동시에 작용하며, 블록킹 폴(2)은 동시에 작동하고 폴(3)은 자동적으로 또는 릴리즈 레버(6) 상의 다른 윤곽에 의하여 로터리 래치(1)로부터 들려 올려진다. 이 과정의 종료 시점에, 로터리 래치(1)는 해제되고 그 축(4)을 중심으로 도면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닫힘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고 이전에 맞물려진 록킹 볼트(17)를 해제할 수 있다.
만일 작동 레버 유니트(6, 7)가 굴절되지 않고 따라서 캐치 레버(12)가 굴절되지 않으면, 캐치 레버(12)는 차단 위치에 남아 있게 되며 또한 록킹 메커니즘(1, 2, 3)을 위한 폴(3)이 그의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캐치 레버(12)가 정지 상태에 남아 있고 또한 결과적으로 캐치 레버(12)와 상호 작용하는 폴(3) 역시 정지 상태에 남아 있는 것을 의미하며, 양 레버는 변하지 않은 그들의 차단 위치를 유지하고 따라서 로터리 래치(1)는 닫힘 상태에서 유지된다. 정상 작동의 이 위치는 또한 충돌의 경우에도 유지된다. 캐치 레버(12)의 관성 모멘트는 충돌의 경우 캐치 레버(12)의 상대적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며, 따라서 2개의 캐치 레버와 폴(3)은 서로에 대하여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가해진 가속력으로 인하여 작동 레버 유니트(6, 7)가 굴절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엄밀히 말해 굴절은 작동 레버 유니트(6, 7)와 캐치 레버(12) 사이의 탄성 결합에 의하여 명확하게 허용된다. 이는 릴리즈 레버(6)와 캐치 레버(12)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4)에 의하여 보장된다. 따라서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한 예의 설계는 스프링(14)에 의하여 생성되고 가해진 작동 레버 유니트(6, 7)와 캐치 레버(12) 사이의 어떠한 결합력은 캐치 레버(12) 에 작용하는 관성력보다 현저하게 약하다는 것이다. 즉, 릴리즈 레버(6)의 굴절의 경우에도 스프링(14)은 캐치 레버(12)를 굴절시킬 수 없으며, 캐치 레버는 그 관성 모멘트로 인하여 그 위치에 남아 있는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캐치 레버(12)는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블록킹 폴(2)을 포함하지 않은 록킹 메커니즘(1, 3)의 폴(3)에 작용하며, 릴리즈 레버는 폴(3)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Claims (14)

  1. 록킹 메커니즘(1, 2, 3), 록킹 메커니즘(1, 2, 3) 에 작용하는 작동 레버 유니트(6, 7) 그리고 예를 들어 사고(충돌)의 경우 정해진 크기의 가속력이 적어도 발생할 때에 록킹 메커니즘(1, 2, 3)을 차단하는 캐치 레버(12)를 포함하며, 정상 작동 동안 그리고 충돌의 경우에 캐치 레버(12)는 록킹 메커니즘(1, 2, 3)의 폴(3)에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따라서 정상 개방 작동 동안에만 폴(3)과 록킹 메커니즘(1, 2, 3)을 해제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는 축(13)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회전 레버(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는 록킹 메커니즘(1, 2, 3)과 함께 록킹 케이스(18)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4.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는 블록킹 아암(12a)과 보상 아암(12b)으로 이루어진 2개의 아암 레버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는 작동 레버 유니트(6, 7)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결합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와 작동 레버 유니트(6, 7)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스프링(14)은 캐치 레버(12)의 블록킹 아암(12a)과 맞물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는 작동 레버 유니트(6, 7)의 릴리즈 레버(6)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는 폴(3)과 상호 작용하는 록킹 윤곽, 캠, 변형부(15)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는 폴(3)과 상호 작용하며, 록킹 메커니즘(1, 2, 3)의 로터리 래치(1) 내에서 차례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3)은 작돌 레버 유니트(6, 7), 특히 릴리즈 레버(6) 아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치 레버(12)의 관성 모멘트는 충돌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돌 동안에 발생하는 캐치 레버(12)의 관성력은 작동 레버 유니트(6, 7)로의 어떠한 결합력을 명확하게 다소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킹 장치.
KR1020137021815A 2011-02-09 2012-02-08 차량 도어 록킹 장치 KR101878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10815 DE102011010815A1 (de) 2011-02-09 2011-02-09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1010815.7 2011-02-09
PCT/DE2012/000117 WO2012107026A2 (de) 2011-02-09 2012-02-08 Kraftfahrzeugtürverschlu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383A true KR20140007383A (ko) 2014-01-17
KR101878521B1 KR101878521B1 (ko) 2018-07-13

Family

ID=4597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815A KR101878521B1 (ko) 2011-02-09 2012-02-08 차량 도어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528301B2 (ko)
EP (1) EP2673439B1 (ko)
JP (1) JP6025752B2 (ko)
KR (1) KR101878521B1 (ko)
CN (1) CN103348080B (ko)
BR (1) BR112013020107A2 (ko)
CA (1) CA2826422A1 (ko)
DE (1) DE102011010815A1 (ko)
MX (1) MX336629B (ko)
RU (1) RU2013136989A (ko)
WO (1) WO20121070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31680B1 (en) 2010-02-05 2018-10-24 Magna Closures SpA Vehicular latch with double pawl arrangement
DE102011010797A1 (de) *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2207442A1 (de) * 2012-05-04 2013-11-07 Kiekert Ag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US9115514B2 (en) 2012-10-04 2015-08-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cally initiated speed-based latch device
US9920555B2 (en) 2013-01-18 2018-03-20 Kiekert Ag Lock for a motor vehicle
DE102013203808A1 (de) * 2013-03-06 2014-09-11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211050A1 (de) 2013-03-06 2014-09-11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US9874046B2 (en) 2013-03-25 2018-01-23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US9732544B2 (en) 2013-03-25 2017-08-1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637952B2 (en) * 2013-03-25 2017-05-02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593511B2 (en) * 2013-03-27 2017-03-14 Kiekert Ag Lock for a motor vehicle
US10508475B2 (en) 2013-07-24 2019-12-17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DE102013108293A1 (de) * 2013-08-01 2015-02-0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3220382A1 (de) * 2013-10-09 2015-04-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6453356B2 (ja) * 2013-11-22 2019-01-16 ゲコム 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のボンネットラッチ
US9534425B2 (en) * 2013-12-05 2017-01-03 Kiekert Ag Lock for a motor vehicle
US9631402B2 (en) 2013-12-17 2017-04-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atch assembly
DE102014003106A1 (de) 2014-03-11 2015-09-1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20150308161A1 (en) * 2014-04-29 2015-10-29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9605450B2 (en) 2014-05-20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closure system including speed-based latch release
EP3032011A1 (fr) * 2014-12-12 2016-06-15 U-Shine France Serrure pour véhicule automobile
US10577837B2 (en) 2014-05-28 2020-03-03 U-Shin France Lock for a motor vehicle
US10072448B2 (en) 2014-05-29 2018-09-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handle
DE102014109110A1 (de) * 2014-06-30 2015-12-31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haube
DE102015112500A1 (de) * 2014-09-30 2016-03-3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US10024083B2 (en) 2014-12-05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latch with inertial lock
EP3034723B1 (fr) * 2014-12-18 2017-06-21 U-Shin France Serrure pour 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US10526818B2 (en) * 2015-03-06 2020-01-07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US20160258194A1 (en) * 2015-03-06 2016-09-08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10240370B2 (en) 2015-04-03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latch with release linkage bypass device
DE202015104502U1 (de) * 2015-08-25 2016-11-2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US10385592B2 (en) 2016-08-15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atch internal mechanism
JP6762242B2 (ja) * 2017-01-30 2020-09-30 ジーコム コーポレイションGecom Corporation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DE102017113880A1 (de) 2017-06-22 2018-12-2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FR3070177B1 (fr) * 2017-08-21 2021-03-12 U Shin France Serrure avec mecanisme inertiel pour vehicule automobile
EP3816377B1 (en) * 2017-10-03 2024-04-17 Volvo Car Corporation Hood latch crash opening prevention
US10920461B2 (en) 2017-12-01 2021-02-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 door latch assemblies
US11306516B2 (en) * 2018-12-13 2022-04-19 Kiekert Ag Motor vehicle latch
DE102019112525A1 (de) * 2019-05-14 2020-11-19 Kiekert Aktiengesellschaft Tür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17667A1 (de) * 2019-07-01 2021-01-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21217A1 (de) * 2019-08-06 2021-02-1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21233A1 (de) * 2019-08-06 2021-02-1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9127445A1 (de) * 2019-10-11 2021-04-15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672B2 (ja) * 1979-05-10 1985-12-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DE4102049A1 (de) * 1991-01-24 1992-07-30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uerverschluss
DE19624640C1 (de) * 1996-06-20 1998-01-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Drehfalle, Sperrklinke und Blockiervorrichtung
DE19719999C2 (de) 1997-05-13 2000-08-24 Daimler Chrysler Ag Verschluß für Öffnungseinrichtung in Fahrzeugen
DE19902561C5 (de) * 1999-01-22 2009-02-19 Witte-Velbert Gmbh & Co. Kg Verschluß mit Sperrklinke und Drehfalle
DE19910513A1 (de) 1999-03-10 2000-09-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Crash-Sperre am einem Türgriff oder Türschloß eines Kraftfahrzeugs
FR2852993B1 (fr) * 2003-03-27 2005-05-06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a memorisation de decondamnation/condamnation
DE10336418B4 (de) * 2003-08-08 2012-03-01 BÖCO Böddecker & Co. GmbH & Co. KG Drehfallenschloss
DE202006012091U1 (de) * 2006-08-04 2007-12-2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
DE102007003948A1 (de) * 2006-11-22 2008-05-29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DE102008028256A1 (de) * 2008-06-13 2009-12-24 Kiekert Ag Schließvorrichtung mit zwei Sperrklinken und motorisch angetriebenen Stellantrieb
KR100957103B1 (ko) * 2008-06-30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DE102009026921A1 (de) * 2009-06-12 2010-12-16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mit Zuziehhil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25752B2 (ja) 2016-11-16
EP2673439A2 (de) 2013-12-18
WO2012107026A3 (de) 2012-10-11
MX336629B (es) 2016-01-26
CN103348080A (zh) 2013-10-09
WO2012107026A2 (de) 2012-08-16
BR112013020107A2 (pt) 2017-08-08
US20140132008A1 (en) 2014-05-15
EP2673439B1 (de) 2015-10-28
RU2013136989A (ru) 2015-03-20
US9528301B2 (en) 2016-12-27
DE102011010815A1 (de) 2012-08-09
MX2013009158A (es) 2013-08-29
CA2826422A1 (en) 2012-08-16
JP2014505188A (ja) 2014-02-27
KR101878521B1 (ko) 2018-07-13
CN103348080B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521B1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US9243429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9580938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0858868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0337214B2 (en) Activ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US9534424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US9611676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EP3444418B1 (en) Vehicle hood latches
US9062477B2 (en)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inertial secondary catch position
US9637953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801399B1 (ko) 자동차 문짝용 핸들
EP1371799A2 (en) A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door
US10829963B2 (en)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KR102176608B1 (ko) 차량용 록
KR20180132919A (ko)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KR20110135548A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20140052973A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US20240035316A1 (en)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bon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