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608B1 - 차량용 록 - Google Patents

차량용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608B1
KR102176608B1 KR1020157027106A KR20157027106A KR102176608B1 KR 102176608 B1 KR102176608 B1 KR 102176608B1 KR 1020157027106 A KR1020157027106 A KR 1020157027106A KR 20157027106 A KR20157027106 A KR 20157027106A KR 102176608 B1 KR102176608 B1 KR 10217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lease lever
inertia
paw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354A (ko
Inventor
로버트 제이. 헌트
로버트 엘. 브릭크너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13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08Emergency operating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록은 로터리 캐치, 로터리 캐치를 맞물리게 하는 포올(3), 포올이 그의 캐칭 위치에 위치된다면 포올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레버 및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한 또는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2)를 포함한다. 해제 레버(2)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해제 레버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에 노출되지 않는다면, 해제 레버(2)가 작동될 때, 포올(3) 그리고, 가능하다면 차단 레버가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된다.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하여 야기된 바와 같은 해제 레버(2)의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의 경우에, 구속 장치(5, 7)는 해제 레버(2)가 포올(3)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올의 차단 레버를 분리하는 방지한다. 초기 휴지 위치로의 해제 레버(2)의 복귀로 구속 장치(5, 7)는 더 해제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록{LOCK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록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록은 스트라이커로 알려진 록킹 볼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리 캐치를 갖는 록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더욱이, 록킹 메커니즘은 포올을 포함하며, 록킹 볼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터리 캐치는 이 포올과 맞물릴 수 있다.
차량 록의 로터리 캐치는 일반적으로 (유입 개구로 알려진) 포크형 유입 슬롯을 포함하며, 이 유입 슬롯은 로드 아암(load arm) 그리고 로터리 캐칭 아암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한 도어 또는 해치가 닫힐 때 차량 도어 또는 해치, 예를 들어 후드 또는 트렁크 리드의 스트라이커는 이 유입 슬롯 내로 들어간다. 록킹 볼트 또는 스트라이커는 그후 포올이 로터리 캐치에 맞물릴 때까지 로터리 캐치를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위치가 캐칭 위치로 언급되고, 또한 완전한 닫힘 멈춤부로서 알려져 있으며, 이 위치에서 록킹 볼트는 로터리 캐치의 유입 슬롯 내에 유지된다.
또한, 록은 캐칭 위치에서 포올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해 포올이 그의 캐칭 위치를 떠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단 레버는 선회되거나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록(미국특허공개 US2010/052336Al)이 있으며, 이 록에서 포올이 그의 캐칭 위치에 있다면 로터리 캐치는 포올 내로 열림 이동을 도입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을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러한 록은 차단 레버를 필요로 한다. 이 록은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가능하게 한다.
2개의 캐칭 위치, 즉 중간 닫힘 멈춤부로 알려진 예비 캐칭 위치 그리고 메인 캐칭 위치 또는 완전하게 닫힘 멈춤부를 갖는 차량 도어 록 또한 존재한다. 예비 캐칭 위치는 닫힘 절차 동안에 후자가 메인 캐칭 위치에 도달하지 않을 때 대응하는 도어 또는 해치의 제1 캐칭을 가능하게 한다. 예비 캐칭 위치에서 시작하여 로터리 캐치가 더 회전될 때, 메인 캐칭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록은 록킹 메커니즘을 개방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해제 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해제 레버는 전형적으로 도어 또는 해치의 핸들에 연결된다. 핸들이 작동되면, 록킹 메커니즘을 분리하기 위하여 그리고 따라서 록을 열기 위하여 해제 레버는 대응적으로 작동 또는 선회된다.
충돌 또는 충격의 경우에, 핸들은 의도되지 않은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이는 록킹 메커니즘의 의도되지 않은 열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이러한 록이 열리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충돌의 경우에 록의 의도되지 않은 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공지의 록(EP1518983A2)은 록킹 메커니즘의 해제 또는 열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버, 즉 해제 레버를 포함한다. 더욱이 록은 설정된 차량 가속도 동안에 작동 레버를 차단하는 차단 레버를 포함한다.
충돌의 경우에, 일반적인 열림 절차와 비교할 때 과도한 가속도가 발생할 수 있다. 충돌의 경우에 큰 차량 가속도가 일어남에 따라 작동 레버가 단지 큰 차량 가속도에서 차단한다면, 충돌의 경우에서 록킹 메커니즘의 의도되지 않은 열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어 핸들의 일반적인 작동의 경우에, 증가된 가속도의 결여로 인하여 작동 레버는 차단되지 않으며 따라서 록은 그후 열릴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충돌 또는 충격과 관련하여 의도되지 않은 열림을 방지하는 차량용 록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전체적으로, 정상적인 상황 하에서 록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보다 확실한 록이 필요하다.
실시예에서,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록이 제공되며, 이 록킹 메커니즘은 로터리 캐치 그리고 로터리 캐치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포올을 포함한다. 록은 포올이 그의 캐칭 위치에 있다면 포올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록킹 메커니즘을 열기 위한 또는 해제하기 위한 해제 레버가 제공된다. 해제 레버가 작동될 때, 해제 레버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이동되고 그리고 해제 레버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에 노출되지 않는다면, 포올 그리고 가능하다면 차단 레버가 그의 차단 위치 밖으로 이동된다.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하여 야기된 바와 같은 해제 레버의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의 경우에 록의 구속 장치는 해제 레버가 포올 그리고 임의적으로 포올의 차단 레버를 분리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속 장치는 초기 휴지 위치로의 해제 레버의 복귀로 더 해제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 또는 충격 동안과 같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로 해제 레버가 이동될 때 록은 의도되지 않은 열림으로부터 차단된다.
실시예에서, 구속 장치는 관성 레버를 포함한다. 도어 핸들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에 의하여 작동될 때의 경우에서와 같이 해제 레버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가속될 때에만 관성 레버가 해제 레버에 의하여 이동되는 방식으로 관성 레버와 해제 레버는 서로 연결된다. 정상적인 작동 동안에, 관성 레버와 해제 레버의 실질적인 관절 이동은 구속 장치가 해제 레버에 의한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억제하지 못하게 한다. 해제 레버가 충돌 또는 충격과 관련하여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에 노출될 때, 요소들 간의 관성 효과로 인하여 해제 레버와 관성 레버는 개별적인 부재로서 이동한다. 따라서, 구속 장치는 특히 포올의 이동을 차단함에 의하여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억제한다.
실시예에서, 구속 장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은 해제 레버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가속된 경우에만 관성 레버가 해제 레버에 의하여 이동되는 방식으로 관성 레버와 해제 레버를 서로 연결한다. 이는 관성 레버와 해제 레버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된 연결부를 구축한다. 용어 "일반적인 방식으로 가속된"은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하여 야기된 것과 같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스프링의 하나의 레그는 관성 레버에 연결된다. 특히, 스프링의 레그가 관성 레버의 윤곽부에,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스된 방식으로 기대어질 때 이러한 연결이 제공된다. 관성 레버의 윤곽부는 관성 레버의 돌출부 또는 요부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의 다른 레그는 해제 레버에 연결된다. 특히, 스프링의 레그가 해제 레버의 윤곽부에,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스된 방식으로 기대어질 때 이러한 연결이 제공된다. 해제 레버의 윤곽부는 해제 레버의 에지부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정상 가속도의 경우에, 스프링 장치는 해제 레버와 관성 레버 사이의 견고한 연결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해제 레버의 작동은 관성 레버의 대응하는 이동으로 이어지며, 그로 인하여 록킹 메커니즘이 열릴 수 있다. 해제 레버의 작동은 대체적으로 대응하는 도어 또는 플랩의 핸들 또는 그립의 작동에 의하여 실현된다.
실시예에서, 관성 레버는 록킹 메커니즘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올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포올은 포올을 위한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관성 레버의 윤곽부에 의하여 차단된다. 이는 개별적인 차단 레버의 제공 없이 포올의 차단을 가능하게 하며, 그로 인하여 요소를 감소시키고 그리고 콤팩트하고 공간 최적화 방식으로 구속 장치를 실현한다.
실시예에서, 구속 장치는 관성 레버를 차단하기 위한 안전 레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레버는 예를 들어 프리로드된(preloaded) 스프링을 이용하여 차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해제 레버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로 이동될 때 안전 레버가 관성 레버의 더 이상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안전 레버는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안전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레버의 아암을 통하여 해제 레버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안전 레버는 안전 레버의 부분과 맞물려있는 해제 레버, 특히 레버 아암의 대응 이동에 의하여 차단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안전 레버는 해제 레버와의 맞물림을 위한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안전 레버와 해제 레버의 아암 사이에 경계면을 제공한다.
해제 레버의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의 경우에, 스프링은 변형되나, 관성에 의하여 관성 레버는 그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유지한다. 상대적으로 큰 가속도의 경우에 스프링은 또한 더 바이어스될 수 있다. 특히, 해제 레버의 이동으로 인하여 바이어스된 안전 레버는 차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관성 레버의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한다. 안전 레버의 차단 위치에서, 특히 관성 레버에 의한 록킹 메커니즘의 포올을 차단함에 의하여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관성 레버의 더 이상의 이동이 억제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충분한 관성 효과를 실현하기 위하여 관성 레버의 질량은 스프링의 질량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몇 배 크며, 따라서 해제 레버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에 노출될 때 관성 레버는 정지 상태에 그대로 있다. 실시예에서, 안전 레버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와 안전 레버 사이의 경계면이 갭을 갖도록 해제 레버와 안전 레버는 배치된다. 특히 안전 레버의 차단 위치에서 안전 레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해제 레버의 설정된 이동을 허용하도록 갭은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충돌의 경우에 이후의 충격으로 인하여 해제 레버가 튀어오름 이동에 노출된 때에도 관성 레버의 확실하고 그리고 믿을 수 있는 차단이 유지된다. 따라서, 갭의 제공은 안전 레버의 보다 믿을 수 있는 차단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관성 레버는 안전 레버와의 맞물림을 위하여 노치 또는 요부를 포함한다. 노치는 관성 레버의 한 종단 상에, 특히 포올을 위한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윤곽부의 연장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노치 또는 요부는 안전 레버에 의한 관성 레버의 확실한 차단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해제 레버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가속될 때, 특히 정상적인 가속도로 가속될 때 안전 레버가 차단 위치에 도달하지 않도록 구속 장치는 구성된다. 해제 레버가 정상적인 가속도로 이동될 때 안전 레버가 관성 레버의 차단 위치에 도달하지 않도록 해제 레버와 안전 레버 사이의 맞물림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이 허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레버는 예를 들어 프리로드된 스프링에 의하여 차단 위치의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해제 레버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에 노출될 때, 기본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관성 레버와 함께 안전 레버의 이동은 안전 레버가 관성 레버의 차단 위치에서 맞물리는 것을 야기하며, 그로 인하여 록킹 메커니즘의 열림을 방지한다.
실시예에서, 해제 레버와의, 특히 해제 레버의 초기 휴지 위치로 이동되는 해제 레버의 아암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안전 레버는 차단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록은 포올의 구속 위치에서 포올을 차단하기 위한 다른 차단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레버의 차단 위치로부터 차단 레버를 분리하기 위하여 해제 레버는 차단 레버의 핀 또는 캐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예비 캐칭 위치 또는 메인 캐칭 위치에서 로터리 캐치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해제 레버는 포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하여,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참고 번호가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하기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이하에서 참고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지 위치에 있는 록킹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정상 작동 동안의 록킹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해제 레버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에 노출되었을 때 차단 위치에 있는 록킹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록(1)을 도시한다. 록(1)의 록킹 메커니즘은 포올(3), 안전 레버(7), 관성 레버(5) 그리고 스프링(6)을 포함한다. 포올(3), 관성 레버(5) 그리고 안전 레버(7)는 금속 플레이트(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해제 레버(2)가 있다. 해제 레버(2)는 포올(3)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축(1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포올(3)은 또한 축(1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관성 레버(5)는 그의 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관성 레버(5)의 중량은 스프링(6)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포올(3)은 로터리 캐치(도시되지 않음)의 시계 방향으로의 열림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캐칭 위치에 있는 포올(3)이 도시된다. 록킹 메커니즘을 언록킹하기 위하여, 포올(3)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포올(3)이 그의 캐칭 위치 밖으로 이동될 때, 회전 캐치가 그의 열림 위치의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터리 캐치가 그의 열림 위치에 도달할 때, 차량 도어 또는 차량 플랩의 스트라이커는 록킹 메커니즘을 떠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대응하는 도어 또는 플랩의 열림을 허용한다.
안전 레버(7)는 축(1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안전 레버(7)는 해제 레버(2), 특히 해제 레버(2)의 아암(8)과의 맞물림을 위한 핀(10)을 포함할 수 있다. 핀(10)은 축(12)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어 안전 레버(7)와 해제 레버(2)의 아암(8) 사이의 경계면(interface)이 제공된다. 안전 레버(7)는 관성 레버(5)의 한 종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 레버(7)와 관성 레버(5)는 관성 레버(5)가 안전 레버(7)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한 차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관성 레버(5)는 관성 레버(5)의 한 종단 상에 노치(11) 또는 요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성 레버(5)의 차단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해제 레버(2)와 관성 레버(5)는 바이어스 스프링(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6)의 제1 레그(19)는 바이어스 방식으로 관성 레버(5)의 돌출부(13)에 기대어질 수 있다. 스프링(6)의 제2 레그(20)는 바이어스 방식으로 해제 레버(2)의 윤곽부(16)에 기대어질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에 연결된 차량의 대응 그립의 작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레버(2)의 시계 방향 회전을 야기한다. 해제 레버(2)가 작동될 때, 해제 레버(2)의 대응 아암은 스프링(6)의 제2 레그(20)를 윤곽부(16)를 통하여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해제 레버(2)의 가속이 정상적일 때, 즉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이 발생하지 않을 때, 스프링(6)은 관성 레버(5)와 해제 레버(2) 사이의 견고한 연결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의 해제 레버(2)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관성 레버(5)의 동시 이동, 이 경우에 그 축(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을 야기한다. 구속 장치(arresting device)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레버(2)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에 안전 레버(7)가 관성 레버(5)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안전 레버(7)는 스프링에 의하여 차단 방향, 이 경우에 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록킹 메커니즘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해제 레버(2)가 통상적인 방식으로 작동될 때, 즉 해제 레버(2)의 정상적인 가속으로 작동될 때 안전 레버(7)가 관성 레버(5)의 노치(11)와 맞물리지 않도록 안전 레버(7)의 이동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레버(7)는 관성 레버(5)의 윤곽부(18)와 접촉 상태가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 레버(5)의 완전한 이동이 허용된다.
차량 충돌 동안에, 도어 핸들 또는 다른 차량 요소의 부품은 큰 가속도에 노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해제 레버(2)의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를 야기하는 그립의 대응 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도 3은 해제 레버(2)의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가 발생할 때의 록 그리고 구속 장치를 도시한다. 이 경우, 관성 레버(5)의 질량 그리고 관련된 관성 효과로 인하여 스프링(6)은 관성 레버(5)와 해제 레버(2) 사이의 견고한 연결부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성 레버(5)는 기본적으로 정지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그리고 그 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정지된 상태의 관성 레버(5)는 바람직하게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윤곽부(18)를 통하여 포올(3)을 차단한다. 또한, 안전 레버(7)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11)를 통하여 관성 레버(5)와 맞물려 차단 위치에 도달한다.
안전 레버(7)에 의한 차단은 예를 들어 튀어오르는 해제 레버(2) 또는 스프링(6)의 장력에 의하여 야기된 관성 레버(5)의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한다. 한편, 관성 레버(5)의 윤곽부(18)는 포올(3)을 위한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포올(3)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록킹 메커니즘의 의도하지 않은 열림을 방지하는 캐칭 위치에 남아 있는다.
또한, 해제 레버(2)는 안전 레버(7) 그리고 특히 안전 레버(7)의 핀(10)과의 맞물림을 위한 아암(8)을 포함한다. 해제 레버(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지 위치로 복귀할 때, 아암(8)은 안전 레버(7)의 핀(10)을 옮길 수 있어 안전 레버(7)의 차단 위치를 해제한다. 이는 안전 레버(7)를 다시 맞추며 따라서 관성 레버(5)는 자유롭게 회전하고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식으로 열릴 수 있다.
구속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레버(7)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위치에 있을 때 해제 레버(2)와 안전 레버(7) 사이의 경계면에 갭(17)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갭(17)은 아암(8)과 안전 레버(7)의 핀(10) 사이에 배치된다. 안전 레버(7)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해제 레버(2)의 설정된 이동을 허용하도록 갭(17)은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차단 위치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충돌 그리고 후속 충격과 관련되어 해제 레버(2)의 튀어 오름 이동이 안전 레버(7)와 관성 레버(5)의 노치(11) 간의 맞물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음에 따라 이는 특히 편리하며, 그로 인하여 안전 레버(7)의 확실한 차단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록의 이점은 예를 들어 충돌 또는 충격에 의하여 야기된 록의 의도되지 않은 열림을 확실하게 방지한다는 것이다. 록의 다른 혜택은 감소된 개수의 요소를 갖는 그의 콤팩트한 장치이다. 더욱이, 구속 장치는 초기 휴지 위치로 복귀하는 해제 레버로만 해제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차단 위치를 대비한다. 특히, 해제 레버의 튀어오름 이동은 구속 장치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른 이점은 차단 위치에서의 관성 레버의 감소된 회전은 록킹 메커니즘의 로터리 캐치와의 개선된 포올 맞물림을 제공한다.

Claims (17)

  1. 록킹 볼트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리 캐치 및 록킹 볼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터리 캐치와 맞물릴 수 있는 포올을 갖는 록킹 메커니즘, 록킹 메커니즘을 분리하기 위한 해제 레버 및 해제 레버의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가 발생할 때 록킹 메커니즘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구속 장치를 포함하되, 구속 장치는 초기 휴지 위치로의 해제 레버의 복귀로 해제 가능하고,
    구속 장치는 관성 레버를 포함하며,
    해제 레버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정상 가속도로 가속될 때에만 관성 레버가 해제 레버에 의해서 이동되는 방식으로 관성 레버와 해제 레버가 상호 연결되며,
    관성 레버는 스프링으로서 토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토션 코일 스프링은 2개의 레그를 구비하되, 한 레그는 관성 레버에 부착되고 다른 한 레그는 해제 레버에 부착되어 관성 레버와 해제 레버 사이에서 탄성적인 상호 연결을 형성하는 차량용 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관성 레버는 록킹 메커니즘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올을 위한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관성 레버의 윤곽부를 통하여 포올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록.
  7. 제1항에 있어서, 구속 장치는 관성 레버를 차단하기 위한 안전 레버를 포함하며, 그리고 안전 레버는 차단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차량용 록.
  8. 제7항에 있어서, 안전 레버는 해제 레버가 증가된 또는 과도한 가속도로 이동될 때 관성 레버의 더 이상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한 차량용 록.
  9. 제7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가 일반적인 방식으로, 정상 가속도로 가속될 때 안전 레버가 차단 위치에 도달하지 않도록 구속 장치가 구성된 차량용 록.
  10. 제7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는 안전 레버와 해제 레버의 아암을 통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 차량용 록.
  11. 제7항에 있어서, 안전 레버는 해제 레버 및 해제 레버의 초기 휴지 위치로 이동되는 해제 레버의 아암과의 맞물림에 의하여 차단 위치로부터 해제 가능한 차량용 록.
  12. 제7항에 있어서, 관성 레버는 안전 레버와의 맞물림을 위한 노치 또는 요부를 갖는 차량용 록.
  13. 제7항에 있어서, 해제 레버와 안전 레버는 안전 레버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 안전 레버와 해제 레버 사이의 경계면이 갭을 갖도록 배치된 차량용 록.
  14. 제1항에 있어서, 관성 레버의 질량은 스프링의 질량보다 큰 차량용 록.
  15. 제1항에 있어서, 로터리 캐치는 포올이 그의 캐칭 위치에 있을 때 포올 내로 열림 이동을 도입할 수 있는 차량용 록.
  16. 제1항에 있어서, 로터리 캐치를 위한 2개의 캐칭 위치, 즉 예비 캐칭 위치와 메인 캐칭 위치를 갖는 차량용 록.
  17. 삭제
KR1020157027106A 2013-03-27 2014-03-18 차량용 록 KR102176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51,461 2013-03-27
US13/851,461 US9593511B2 (en) 2013-03-27 2013-03-27 Lock for a motor vehicle
PCT/IB2014/000385 WO2014155172A1 (en) 2013-03-27 2014-03-18 Lock for a mot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354A KR20150134354A (ko) 2015-12-01
KR102176608B1 true KR102176608B1 (ko) 2020-11-10

Family

ID=5054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106A KR102176608B1 (ko) 2013-03-27 2014-03-18 차량용 록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93511B2 (ko)
EP (1) EP2994587B1 (ko)
JP (1) JP2016520735A (ko)
KR (1) KR102176608B1 (ko)
CN (1) CN105051305B (ko)
BR (1) BR112015024161A2 (ko)
CA (1) CA2907993A1 (ko)
MX (1) MX2015013514A (ko)
RU (1) RU2015145212A (ko)
WO (1) WO2014155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6029A1 (de) * 2013-09-26 2015-03-26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DE102013220382A1 (de) * 2013-10-09 2015-04-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9631402B2 (en) * 2013-12-17 2017-04-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latch assembly
EP3032011A1 (fr) * 2014-12-12 2016-06-15 U-Shine France Serrure pour véhicule automobile
EP3034723B1 (fr) * 2014-12-18 2017-06-21 U-Shin France Serrure pour 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FR3038643A1 (ko) * 2015-07-06 2017-01-13 Inteva Products Llc
DE102016010467B4 (de) * 2016-08-31 2022-09-22 Magna BÖCO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und Verfahren
CN108193956B (zh) * 2016-12-08 2019-09-10 开开特股份公司 机动车门锁
US10465424B2 (en) * 2017-01-26 2019-11-05 Gecom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10738509B2 (en) * 2017-07-21 2020-08-11 Kiekert Ag Latch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with actu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5181A1 (en) * 2004-09-14 2006-03-16 Jorg Berghahn Locking device for a movable carbody part such as a rear hatch of a vehicle
US20060261602A1 (en) * 2005-05-20 2006-11-23 Jankowski Krystof P Inertia catch for door latches
DE202011106661U1 (de) * 2011-10-12 2013-01-16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Tür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4677A (en) 1994-09-01 1997-06-03 Kiekert Aktiengesellschaft Power-locking motor-vehicle door latch
US5921595A (en) 1995-05-24 1999-07-13 Kiekert Ag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single-handle inside actuation
US5961163A (en) 1995-09-08 1999-10-05 Kiekert Ag Motor-vehicle door latch with antitheft protection
DE19624640C1 (de) * 1996-06-20 1998-01-08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Drehfalle, Sperrklinke und Blockiervorrichtung
DE19942360C2 (de) 1999-09-04 2003-11-13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JP3310960B2 (ja) 1999-09-21 2002-08-0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ダブルアクション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インサイドロックボタンとロックレバーの連結装置
WO2001029539A1 (en) * 1999-10-20 2001-04-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mixtures using fluorescence
WO2001033017A1 (de) 1999-10-29 2001-05-1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GB0006931D0 (en) 2000-03-23 2000-05-1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mechanism
GB0110456D0 (en) 2001-04-28 2001-06-2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assembly
GB0213908D0 (en) * 2002-06-18 2002-07-31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Assembly
GB0214817D0 (en) * 2002-06-27 2002-08-07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Door latch mechanism
DE10345104A1 (de) * 2003-09-26 2005-04-21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4743202B2 (ja) 2005-03-04 2011-08-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ロック装置
JP4717662B2 (ja) * 2006-02-28 2011-07-06 株式会社アルファ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2007003948A1 (de) * 2006-11-22 2008-05-29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teiliger Sperrklinke
US20080224482A1 (en) 2007-02-15 2008-09-18 Cumbo Francesco Electrical Door Latch
KR100957103B1 (ko) * 2008-06-30 2010-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장치
DE102008057961A1 (de) * 2008-11-19 2010-05-20 Kiekert Ag Schlosseinheit mit Mehrklinken-Gesperre
DE102011010797A1 (de) *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1010815A1 (de) *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1010816A1 (de) * 2011-02-09 2012-08-09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1012656A1 (de) 2011-02-28 2012-08-30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US9920555B2 (en) * 2013-01-18 2018-03-20 Kiekert Ag Lock for a motor vehicle
DE102013203808A1 (de) * 2013-03-06 2014-09-11 Kiekert Ag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5181A1 (en) * 2004-09-14 2006-03-16 Jorg Berghahn Locking device for a movable carbody part such as a rear hatch of a vehicle
US20060261602A1 (en) * 2005-05-20 2006-11-23 Jankowski Krystof P Inertia catch for door latches
DE202011106661U1 (de) * 2011-10-12 2013-01-16 Kiekert Ag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Türsch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51305B (zh) 2017-06-30
KR20150134354A (ko) 2015-12-01
EP2994587A1 (en) 2016-03-16
BR112015024161A2 (pt) 2017-08-22
MX2015013514A (es) 2015-12-01
EP2994587B1 (en) 2017-09-27
US20140291997A1 (en) 2014-10-02
US9593511B2 (en) 2017-03-14
RU2015145212A (ru) 2017-04-25
WO2014155172A1 (en) 2014-10-02
CN105051305A (zh) 2015-11-11
JP2016520735A (ja) 2016-07-14
CA2907993A1 (en)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608B1 (ko) 차량용 록
KR102109090B1 (ko) 차량용 록
US9534425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US20160090758A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US9528301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9243429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6163673B2 (ja) フラップまたはドア用のロック
US10557289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EP3561204A1 (en) Closure latch with inertia member
US20160258194A1 (en) Motor vehicle lock
CN108603386B (zh) 机动车辆的门闩装置
KR20150122681A (ko) 자동차용 래치
CN114126906A (zh) 锁组件
US20180195315A1 (en) Freewheeling inertia mechanism for closure latch assembly
US9316027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