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533A -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533A
KR20140005533A KR1020120073023A KR20120073023A KR20140005533A KR 20140005533 A KR20140005533 A KR 20140005533A KR 1020120073023 A KR1020120073023 A KR 1020120073023A KR 20120073023 A KR20120073023 A KR 20120073023A KR 20140005533 A KR20140005533 A KR 20140005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member
waterproof
bridge
pair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4606B1 (ko
Inventor
구자화
Original Assignee
진형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형건설(주) filed Critical 진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2007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6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2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상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상부 방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격공간의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 및 상기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방수부재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하부 방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방수부재 및 하부 방수부재를 통한 이중 방수구조를 구축하여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 등에 대한 방수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하부 안내레일에 대한 슬라이딩 방식의 용이한 교체를 통해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REFRACTION-TYPE EXPANSION AND CONSTRUCTION JOINT APPARATUS FOR A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유간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및 수직 플레이트에 누수 방지기능을 갖는 상·하부 방수부재를 설치하여 방수효과를 향상시키며, 하부 방수부재의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구조물은 온도변화 및 하중에 따라서 팽창하고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구조물은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에 적정한 연결 틈새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교량 상판 간의 연결 틈새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로 인하여 온도변화나 하중에 따라서 팽창 및 수축되는 교량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7688호에는 신축작용을 향상시키고 이격공간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8은 상기 실용실안등록 제 20-0187688호의 사시도이고, 도 9은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는 교량상판(12)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주판재(14), 상기 주판재(14)로부터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어 교량상판(14)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20), 주판재(14)의 대향측 내벽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고무부재(33), 그리고 각 주판재(14)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2 고무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무부재(33, 40)는 수평부재(16)와의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각 수직부재(17) 사이에 마련되며, 주판재(14)에 프레스가황 접착된다.
주판재(14)는 교량상판(12)의 판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부재(16)와, 수평부재(16)의 저판면으로부터 하향연장되는 수직부재(17)를 가지며 단면 “T”형상을 갖도록 철판부재로 형성된다. 수직부재(17)의 외측에는 수직부재(17)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교량상판(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교량상판(12)에 매입되는 복수의 앵커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앵커부(20)는 철판부재로 형성되며 상측연부에는 철근(23)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하향절취된 복수의 철근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앵커부(20)는 각 수직부재(17)의 판면으로부터 긴 봉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앵커부(20)의 일단부가 각 수직부재(17)의 판면에만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평부재(16) 및 제1 고무부재(33) 사이에는 이격공간으로 이물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50)가 압입된 채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밀봉부재(50)는 고무튜브를 압출성형 또는 프레스가황함으로써,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격공간에 밀착유지된 밀봉부재(50)는 이격공간 내로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10)의 신축작용을 원활하게 해 주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제1 고무부재(33)가 양 주판재(14)의 대향 측 내벽면에 각각 접착되는 세로부(참조부호 생략)와 세로부의 양단을 상하에서 각각 연결하는 상부 가로부(참조부호 생략) 및 하부 가로부(참조부호 생략)로 구성되고 상부 가로부에는 “W”단면형상의 주름부가 형성되고 하부 가로부에는 상측으로 완만하게 굴곡진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우며, 제1 고무부재(33)의 손상 시 교체하기 매우 불편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의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제1 고무부재(33)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및 사용상에 있어서 편의성 및 경제성이 없다.
따라서, 교량 상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의 수평 및 수직 플레이트의 유간에 대한 방수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방수부재의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7688호(2000.04.20. 등록, 고안의 명칭: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교량 상판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의 수평 및 수직 플레이트의 유간에 이중 방수구조의 상·하부 방수부재를 설치하여 빗물 등의 누수에 대한 방수기능을 향상시키며, 하부 방수부재의 손상 시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2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상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상부 방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격공간의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 및 상기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방수부재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하부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부 안내레일에는,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방수부재는, 상단 양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안내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2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상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상부 방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격공간의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 상기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방수부재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하부 방수부재; 및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방수부재를 상기 하부 안내레일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하부 안내레일에는,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내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상단 각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 및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양측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단 각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시 마찰 및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하부 안내레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격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외면에 용접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처짐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방수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상 시 교체를 위해 안내레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링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의 일단부 상·하면에는 상기 분리링에 의해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분리 시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부재는,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격자 형상을 갖는 망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플레이트의 제2 이격공간 내에 설치되는 상부 방수부재 및 하부 방수부재를 통한 이중 방수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수평 플레이트의 제1 이격공간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 등에 대한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안내레일에 하부 방수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하부 방수부재의 손상 시 슬라이드 방식을 통한 교체의 용이성으로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부 방수부재의 하면을 처짐방지부재로 지지함으로써, 이물질의 적체나 누수 등에 의한 하부 방수부재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결합상태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 방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 방수부재와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 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결합상태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 방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P1)과 상판(P2) 사이에 제1 이격공간(114)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110a, 110b)와, 수평 플레이트(110a, 110b)의 저면에 제2 이격공간(122)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와, 제2 이격공간(122)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130a, 130b)와, 상부 고정부(130a, 130b)에 설치되는 상부 방수부재(140)와, 제2 이격공간(122)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150a, 150b)과,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되는 하부 방수부재(160)와, 그리고 하부 방수부재(16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에 설치되는 처짐방지부재(17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110a, 11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0)의 상부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수평 플레이트(110a, 110b)의 일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물결모양을 갖는 파형면(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 플레이트(110a, 110b)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P1)과 상판(P2) 사이에서 파형면(112)이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즉, 수평 플레이트(110a, 110b)는 파형면(112) 사이에 제1 이격공간(114)을 형성하며, 제1 이격공간(114)은 교량의 수평 변위 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수평 플레이트(110a, 110b)를 일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120a, 12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100)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수직 플레이트(120a, 120b)는 수평 플레이트(110a, 110b)의 저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즉, 수직 플레이트(120a, 120b)는 그 사이에 제2 이격공간(122)을 형성하도록 수평 플레이트(110a, 110b)에 공지된 체결부재(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된다.
한 쌍의 상부 고정부(130a, 130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격공간(122)에 배치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상부 고정부(130a, 130b)는 제2 이격공간(122)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상부 고정부(130a, 130b)와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의 내면 사이에는 후술하는 상부 방수부재(140)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32)이 형성된다.
상부 방수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130a, 130b)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종방향을 기준으로 엠자(M)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부 방수부재(140)는 그 양단부가 삽입공간(13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와 상부 고정부(130a, 130b)를 관통하는 공지된 체결부재(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제2 이격공간(122)의 상부 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 방수부재(14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수평 플레이트(110a, 110b)의 제1 이격공간(112)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상부 방수부재(140)는 고무 재질 대신에 방수기능 및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상부 방수부재(140)는 수평 플레이트(110a, 110b) 사이의 제1 이격공간(112) 하부에 위치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 120b) 사이의 제2 이격공간(122) 상부 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 이격공간(112)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격공간(122)에 배치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은 상부 고정부(130a, 130b)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제2 이격공간(122)의 하부 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의 내면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의 일측면에는 제2 이격공간(122)의 중심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안내홈(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152)은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에 후술하는 하부 방수부재(160)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하부 방수부재(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종방향을 기준으로 유자(U) 또는 브이자(V)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부 방수부재(160)는 상부 방수부재(140)와 마찬가지로 누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하부 방수부재(160)는 고무 재질 대신에 방수기능 및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도 가능할 수 있다.
하부 방수부재(160)의 상단 양측에는 안내홈(152)에 삽입되어 안내되기 위한 안내돌기(162)가 형성된다. 즉, 안내돌기(162)는 하부 방수부재(160)의 상단 양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안내홈(15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하부 방수부재(160)의 일단부에는 환형 형상의 분리링(164)이 관통 설치된다. 이러한 분리링(164)은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에 설치된 하부 방수부재(160)의 교체 시 외부장치(하부 안내레일을 당기는 장치)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하부 방수부재(160)를 하부 안내레일(150a, 150b)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분리링(164)이 설치된 하부 방수부재(160)의 일단부 상·하면에는 보강 플레이트(166)가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166)는 분리링(164)이 설치된 영역을 보강함으로써, 하부 안내레일(150a, 150b)로부터 하부 방수부재(160)를 분리 시 분리링(164)에 의해 고무 재질의 하부 방수부재(160)가 찢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방수부재(160)는 안내돌기(162)에 의해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의 안내홈(15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하부 방수부재(160)의 손상 시 슬라이드 방식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하부 방수부재(160)는 상부 방수부재(140)의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제2 이격공간(122)에 설치됨으로써, 상부 방수부재(140)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 등의 방수기능을 높일 수 있다.
즉, 하부 방수부재(160)는 상부 방수부재(140)와 함께 제2 이격공간(122) 내에서 이중 방수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상부 방수부재(140)를 통해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 등에 의한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하부 방수부재(160)는 신축이음장치(100) 공사 시 여러 개의 신축이음장치(100)를 연결하여 설치한 뒤 상호 연결된 신축이음장치(100)의 길이에 맞도록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이음매가 없는 구조를 제공하여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하부 방수부재(160)는 설치 시 상호 연결된 여러 개의 신축이음장치(100) 길이에 맞도록 절단되어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에 삽입됨으로써 설치에 따른 이음매가 없는 구조를 제공하여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처짐방지부재(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격공간(122)의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처짐방지부재(170)는 하부 방수부재(16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종방향을 기준으로 유자(U)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격자 형상의 망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처짐방지부재(170)는 하부 방수부재(16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플레이트(120a,120b)에 용접 고정된다. 이에 따라 처짐방지부재(170)는 하부 방수부재(160)에 대한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하여 하부 방수부재(160)에 쌓이는 이물질 또는 누수 등의 외력으로부터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100)는, 수직 플레이트(120a, 120b)의 제2 이격공간(122) 내에 설치되는 상부 방수부재(140) 및 하부 방수부재(160)를 통한 이중 방수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수평 플레이트(110a, 110b)의 제1 이격공간(112)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 등에 대한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안내레일(150a, 150b)에 하부 방수부재(160)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하부 방수부재(160)의 손상 시 슬라이드 방식을 통해 교체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하부 방수부재(160)의 하면을 처짐방지부재(170)로 지지함으로써, 이물질의 적체나 누수 등에 의한 하부 방수부재(16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 방수부재와 연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P1)과 상판(P2) 사이에 제1 이격공간(214)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210a, 210b)와, 수평 플레이트(210a, 210b)의 저면에 제2 이격공간(222)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20a, 220b)와, 제2 이격공간(222)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230a, 230b)와, 상부 고정부(230a, 230b)에 설치되는 상부 방수부재(240)와, 제2 이격공간(222)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250a, 250b)과,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되는 하부 방수부재(260)와, 하부 방수부재(260)를 하부 안내레일(250a, 250b)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부(270a, 270b), 그리고 하부 방수부재(26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수직 플레이트(220a, 220b)에 설치되는 처짐방지부재(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 플레이트(210a, 210b), 수직 플레이트(220a, 220b), 상부 고정부(230a, 230b), 상부 방수부재(240), 하부 안내레일(250a, 250b) 및 처짐방지부재(2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 신축이음장치(100)의 수평 플레이트(110a, 110b), 수직 플레이트(120a, 120b), 상부 고정부(130a, 130b), 상부 방수부재(140), 하부 안내레일(150a, 150b) 및 처짐방지부재(17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하부 방수부재(260)와 연결부(270a, 270b)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방수부재(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종방향을 기준으로 브이자(V)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부 방수부재(260)는 상부 방수부재(240)와 마찬가지로 누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이외에도 하부 방수부재(260)는 고무 재질 대신에 방수기능 및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도 가능할 수 있다.
하부 방수부재(260)의 일단부에는 환형 형상의 분리링(262)이 관통 설치된다. 이러한 분리링(262)은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에 설치된 하부 방수부재(260)의 교체 시 외부장치(하부 안내레일을 당기는 장치)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하부 방수부재(260)를 하부 안내레일(250a, 250b)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분리링(262)이 설치된 하부 방수부재(260)의 일단부 상·하면에는 보강 플레이트(264)가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264)는 분리링(262)이 설치된 영역을 보강함으로써, 하부 안내레일(250a, 250b)로부터 하부 방수부재(260)를 분리 시 분리링(262)에 의해 고무 재질의 하부 방수부재(260)가 찢어지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방수부재(260)는 상부 방수부재(240)의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제2 이격공간(222)에 설치됨으로써, 상부 방수부재(240)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 등의 방수기능을 높일 수 있다.
즉, 하부 방수부재(260)는 상부 방수부재(240)와 함께 제2 이격공간(222) 내에서 이중 방수구조를 구축함으로써, 상부 방수부재(240)를 통해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 등에 의한 방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 쌍의 연결부(270a, 270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방수부재(260)를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270a, 270b)는 하부 방수부재(260)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연결부(270a, 270b)는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에 하부 방수부재(260)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연결부(270a, 270b)의 상단 각 일측에는 안내홈(25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내돌기(272)가 형성된다. 안내돌기(272)는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의 안내홈(25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안내된다.
연결부(270a, 270b)의 하단 각 일측에는 하부 방수부재(260)의 양측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74)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270a, 270b)는 하부 안내레일(250a, 250b)과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 시 상호 마찰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연결부(270a, 270b)는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슬라이딩에 따른 마찰 및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부 안내레일(250a, 250b)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270a, 270b)는 하부 방수부재(260)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방수부재(260)를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에 설치 시 안내돌기(272)에 의해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의 안내홈(252)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하부 방수부재(260)의 손상 시 슬라이드 방식을 통한 교체가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200)는,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에 하부 방수부재(260)를 상호 연결하여 슬라이딩 안내하면서도 하부 안내레일(250a, 250b)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연결부(270a, 270b)에 의하여, 하부 방수부재(260)를 하부 안내레일(250a, 250b)에 설치 및 분리 시 슬라이딩 안내에 따른 마찰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신축이음장치 110a, 110b: 수평 플레이트
114: 제1 이격공간 120a, 120b: 수직 플레이트
122: 제2 이격공간 130a, 130b: 상부 고정부
140: 상부 방수부재 150a, 150b: 하부 안내레일
152: 안내홈 160: 하부 방수부재
162: 안내돌기 170: 처짐방지부재

Claims (9)

  1.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2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상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상부 방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격공간의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 및
    상기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방수부재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하부 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레일에는,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방수부재는,
    상단 양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3.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저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2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상부 측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상부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격공간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상부 방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격공간의 하부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안내레일;
    상기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방수부재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하부 방수부재; 및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방수부재를 상기 하부 안내레일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내레일에는,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내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상단 각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 및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양측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단 각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부는,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시 마찰 및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하부 안내레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이격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외면에 용접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처짐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방수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상 시 교체를 위해 안내레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링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의 일단부 상·하면에는 상기 분리링에 의해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분리 시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부재는, 상기 하부 방수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격자 형상을 갖는 망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20120073023A 2012-07-04 2012-07-04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37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23A KR101374606B1 (ko) 2012-07-04 2012-07-04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23A KR101374606B1 (ko) 2012-07-04 2012-07-04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33A true KR20140005533A (ko) 2014-01-15
KR101374606B1 KR101374606B1 (ko) 2014-03-17

Family

ID=5014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023A KR101374606B1 (ko) 2012-07-04 2012-07-04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60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84B1 (ko) * 2014-11-25 2015-07-06 나상빈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20160024369A (ko) 2016-02-11 2016-03-04 신금희 일체형 방수부재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10438894A (zh) * 2019-08-21 2019-11-12 四川轻化工大学 一种公路桥梁伸缩缝防水及降噪方法
CN110700088A (zh) * 2019-10-22 2020-01-17 西南科技大学城市学院 一种悬臂梁桥防水伸缩结构
KR102186237B1 (ko) * 2020-03-04 2020-12-03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CN112695628A (zh) * 2020-12-18 2021-04-23 江苏领跑梦毛勒智造科技集团有限公司 弧形环保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411349B1 (ko) * 2021-09-09 2022-06-23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도로 구조물의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248B1 (ko) * 2017-08-31 2018-09-10 이현준 슬라이드형 앵커를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97247B1 (ko) * 2017-08-31 2018-09-10 이현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69161B1 (ko) 2020-05-06 2020-10-23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누수 및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KR102111779B1 (ko) 2019-10-02 2020-05-1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US11987942B2 (en) 2019-10-02 2024-05-21 Daebong B.M.Technology Co., Ltd Finger-type expansion joint device without drainage sheet
KR102202700B1 (ko) 2020-07-31 2021-01-13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2462443B1 (ko) 2020-11-03 2022-11-03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소음 및 충격저감 구조를 갖는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035B1 (ko) * 2005-06-03 2006-12-27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200418580Y1 (ko) * 2006-03-20 2006-06-13 박종수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984B1 (ko) * 2014-11-25 2015-07-06 나상빈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20160024369A (ko) 2016-02-11 2016-03-04 신금희 일체형 방수부재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10438894A (zh) * 2019-08-21 2019-11-12 四川轻化工大学 一种公路桥梁伸缩缝防水及降噪方法
CN110700088A (zh) * 2019-10-22 2020-01-17 西南科技大学城市学院 一种悬臂梁桥防水伸缩结构
KR102186237B1 (ko) * 2020-03-04 2020-12-03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CN112695628A (zh) * 2020-12-18 2021-04-23 江苏领跑梦毛勒智造科技集团有限公司 弧形环保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411349B1 (ko) * 2021-09-09 2022-06-23 주식회사 케이앤에이치테크 도로 구조물의 무소음 신축 이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606B1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JP7323918B2 (ja) 止水構造
KR10153066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KR100930253B1 (ko) 교량의 교체 가능한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KR101811824B1 (ko) 누수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90037579A (ko) 데크 어셈블리
KR101800653B1 (ko) 누수방지구조를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062223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2068824B1 (ko)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1397527B1 (ko)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101389996B1 (ko)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JP2018071057A (ja) 止水部材、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材の施工方法
KR20180017816A (ko)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JP6660825B2 (ja) 導水構造および導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57188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50118884A (ko) 다방향성 주름부를 갖는 지수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암거 구조물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12290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633854B1 (ko) 철도 교량용 신축 이음 누수 보수장치
WO2019024613A1 (zh) 支护用波纹板组件
JP2019199731A (ja) 道路橋伸縮装置用止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