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580Y1 -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580Y1
KR200418580Y1 KR2020060007377U KR20060007377U KR200418580Y1 KR 200418580 Y1 KR200418580 Y1 KR 200418580Y1 KR 2020060007377 U KR2020060007377 U KR 2020060007377U KR 20060007377 U KR20060007377 U KR 20060007377U KR 200418580 Y1 KR200418580 Y1 KR 200418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expansion joint
elastic member
rail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수
Original Assignee
박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수 filed Critical 박종수
Priority to KR2020060007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580Y1/ko
Priority to PCT/KR2006/002886 priority patent/WO20070210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Abstract

본 고안은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축부재(34,66,94,112,138)와 고정받침대(6,48,76,104,130)의 결합부분을 통해 오물과 빗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므로서 방수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는 동시에 신축부재(34,66,94,112,138)를 고정받침대(6,48,76,104,13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데에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행어(36,50,78,106,132)에 심선(44,74,102,128,154)을 끼워 설치하므로서 신축부재(34,66,94,112,138)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슬래브(4)의 측면에 매립되는 고정받침대(6)와, 상기 고정받침대(6) 상부에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20) 또는 커버(46)와, 상기 고정받침대(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행어(36)와, 상기 행어(36)에 상단부를 결합하면서 상부슬래브(4)의 유간에 U자형으로 설치되는 신축부재(34)로 구성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4)와 상부슬래브(4) 사이에 탄성봉함재(32)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봉함재(32)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받침대(6)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신축부재(34,66,94,112,138)의 상부를 끼울 수 있도록 한 안내공(12,114,140)및 결합부분이 레일(8,52,80,108,134)상에서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34,66,94,112,138) 상단부에 설치된 행어 (36,50,78,106,132)를 결합하는 포켓(10,110,136) 및 홀더(82)가 레일(8,52,80,108,134)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신축부재(34,66,94,112,138)를 교체할 때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신축부재(34,66,94,112,138)와 고정받침대(6,48,76,104,130)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오물과 빗물이 교좌장치나 콘크리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방수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신축이음, 상부슬래브, 핑거플레이트, 탄성봉함재, 심선

Description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Exchangeable flexible joint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도로용 상부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도.
도 3a, 3b, 3c 는 본 고안에 따른 행어의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철도용 상부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도.
도 5, 6, 7, 8 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받침대와 행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신축이음장치 4:상부슬래브
6,48,76,104,130:고정받침대 8,52,80,108,134:레일
10,110,136:포켓 12,114,140:안내공
14,56,84,116,142:걸이홈 16,58,86,118,144:상측걸이부
18:보스 20:핑거플레이트
22,28,62,90,122,148:고정보울트 24,64,92,124,150:러그
26:철근 30,60,88,120,146:하측걸이부
32:탄성봉함재 34,66,94,112,138:신축부재
36,50,78,106,132:행어 38,68,96:패드
40:커버 41,42,72,100:리벳
44,74,102,128,154:심선 46:커버
54:지지편 70:돌출부
82:홀더 98:후크
126,152:튜브
본 고안은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부재와 고정받침대의 결합부분을 통해 오물과 빗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므로서 방수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는 동시에 신축부재를 고정받침대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며, 또한 행어에 심선을 끼워 설치하므로서 신축부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부슬래브의 유간은 온도변화에 따른 틈을 수용하면서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이 다른 상부슬래브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간에는 보통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누수를 방지하므로서 교좌장치나 콘크리트가 부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상부슬래브의 유간이라는 좁은 틈에 설치되는 관계로 교체의 용이성이 하나의 관건으로 작용하면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하는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인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2005-29421호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를 도 1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슬래브의 유간에 누수를 방지하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상부슬래브의 측면에 매립되면서 전면에 고정홈(11)을 형성한 고정받침대와, 상부슬래브의 유간에서 "U"자형으로 설치되는 신축부재(22)와, 상기 신축부재(22)의 상단부 양측에 볼트,너트(21)로 결합 되면서 고정홈(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대(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설치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받침대를 배근된 철근에 용접하여 고정한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립 설치하고, 상기 신축부재(22)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대(20)를 상기 고정받침대의 고정홈(11)에 끼워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신축부재(22)는 상부슬래브의 유간에서 "U"자형으로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빗물이나 오물이 낙하하면 신축부재(22)상에 쌓이게 되는데, 이때 빗물은 상부슬래브의 횡 방향으로 이동하여 교량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신축부재(22)의 상단부에 결합된 고정대(20)와 고정받침대의 고정홈(11)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빗물이 상부로부터 지나치게 많이 떨어지면 고정홈(11)과 고정대(20)의 결합부분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방수기능이 떨어지고, 또한 고정홈(11)에 결합 되는 고정대(20)의 접촉면적이 넓은 관계로 신축부재(22)를 교체할 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고정받침대에 결합 되는 고정대(20)에 별다른 보강 재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신축부재(22)는 작은 하중에도 쉽게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축부재와 고정받침대의 결합부분을 통해 오물과 빗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므로서 방수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게 하는 동시에 신축부재를 고정받침대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행어에 심선을 끼워 설치하므로서 신축부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부슬래브(4)의 측면에 매립되는 고정받침대(6)와, 상기 고정받침대(6) 상부에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20) 또는 커버(46)와, 상기 고정받침대(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행어(36) 와, 상기 행어(36)에 상단부를 결합하면서 상부슬래브(4)의 유간에 U자형으로 설치되는 신축부재(34)로 구성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4)와 상부슬래브(4) 사이에 탄성봉함재(32)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봉함재(32)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받침대(6)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신축이음장치(2)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용 교량을 구성하는 상부슬래브(4)(도2참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신축이음장치(2)는 상부슬래브(4)의 상부로부터 떨어지는 오물이나 빗물이 미 도시된 교좌장치나 콘크리트측으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이음장치(2)에 의해 교좌장치와 콘크리트는 부식이 방지되어 본래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2)에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된 상부슬래브(4)의 측면에 매립되는 고정받침대(6)가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받침대(6)에는 상부슬래브(4)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매립되는 레일(8)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8)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포켓(10)(pocket)이 형성되며, 상기 포켓(10) 하단부에는 절취된 안내공(12)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레일(8) 상단부에는 걸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8) 상단부 타측에는 상측걸이부(16)가 상부슬래브(4)의 측면을 따라 상단부의 일측에 이르는 거리까지 일체로 연장되면서 매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측걸이부(16)의 상단부 중간에는 보스(18)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슬래브(4)의 상단면에 매립된다.
상기 상측걸이부(16)의 상단면에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finger plate)(20) 가 상부슬래브(4)의 연결부 상단에 배치되면서 상호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핑거플레이트(20) 후미에는 고정보울트(22)가 결합 되면서 보스(18)에 체결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핑거플레이트(20)는 상부슬래브(4)에 고정 설치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핑거플레이트(20)는 상부슬래브(4)의 연결부 사이에서 차량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물질이나 빗물이 직접 아래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계속하여 상기 레일(8) 배면에는 러그(24)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러그(24)에는 상부슬래브(4)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26)에 용접되는 고정보울트(28)가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8) 하단부에는 상부슬래브(4)의 일측에 매립되는 하측걸이부(30)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받침대(6)는 각각의 상부슬래브(4) 양측 면에 매립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부슬래브(4) 사이에는 탄성봉함재(32)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봉함재(32)는 구조물의 모든 구조적 거동(압축, 인장, 전단, 휨, 진동, 뒤틀림 등)을 자체 흡수하며 어떠한 온도변화에서도 신축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방수기능을 발휘하여 구조체의 내구성능을 반영구적으로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봉함재(32)는 일반적으로 널리 판매되어 사용되는 고무나 에바조트(EVAZOTE)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탄성봉함재(32)는 중간 부분이 벌집형으로 형성되고, 양단부는 상기 레일(8) 상부에 형성된 걸이홈(14)에 끼워져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탄성봉함재(32)는 상부슬래브(4)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걸이홈(14)에 탄성봉함재(32)를 끼우지 않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서, 상기 고정받침대(6)의 상부가 상부슬래브(4)의 측면에 매설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슬래브(4)의 유간에는 오물과 빗물이 누수 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신축부재(34)가 "U"자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신축부재(34)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레일(8)의 포켓(10)에 끼워지는 행어(hanger)(36)가 설치되는데, 상기 행어(36)(도3a참조)에는 신축부재(34)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리벳(41)으로 결합 되는 패드(38)가 구성되고, 상기 패드(38)에는 커버(40)가 끼워져 결합 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40), 패드(38), 신축부재(34)에는 다수개의 리벳(42)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관통하여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40) 상부에는 신축부재(34)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여 주는 심선(44)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40)는 고무,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심선(44)은 금속재질의 강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달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받침대(6)는 중앙부분이 상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구배(R)를 가지며 형성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받침대(6)를 형성하는 레일(8), 포켓(10), 걸이홈(14), 상측걸이부(16), 러그(24), 하측 걸이부(30) 등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배(R)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받침대(6)의 포켓(10)에 결합 되는 행어(36)도 상기 고정받침대(6)와 같이 동일하게 상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구배(R)를 가지며 형성된다.
상기와 다르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어(36)에 구배(R)를 주지 않고, 상기 행어(36)를 여러개로 나누어 신축부재(34)의 상단부에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행어(36)가 구배(R)를 갖지 않더라도 행어(36)가 여러개로 나누어져 있는 관계로, 상기 행어(36)간의 이격 거리가 고정받침대(6)의 포켓(10)에 형성된 구배(R)를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행어(36)는 구배(R)를 갖는 포켓(10)에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달리 철도용으로서 신축이음장치(2)가 설치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슬래브(4)의 연결부 사이에서 이물질이나 빗물이 아래로 직접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커버(46)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46) 후미에는 고정보울트(22)가 결합되면서 상기 상측걸이부(16)의 보스(18)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46)는 상부슬래브(4) 상단 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받침대(48) 및 행어(50)의 제 2 실시 예를 도 5에서 살펴 보면, 상기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매립되는 고정받침대(48)(도5참조)에 일측 면 하부를 개방하고 있는 레일(52)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52)의 안쪽 측면 중간부에는 지지편(5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52) 상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걸이홈(56)과 상측걸이부(58)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52) 하단부에는 하측걸이부(60)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52) 배면에는 고정보울트(62)를 결합한 러그(6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행어(50)에는 신축부재(66)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패드(68)가 구성되고, 상기 패드(68) 외측에는 지지편(54)에 걸려지는 돌출부(7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패드(68)와 신축부재(66), 그리고 패드(68)를 포함한 돌출부(70)와 신축부재(66) 각각에는 다수개의 리벳(72)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관통하여 결합 되고, 상기 돌출부(70)에는 신축부재(66)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심선(74)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받침대(76) 및 행어(78)의 제 3 실시 예를 도 6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매립되는 고정받침대(76)(도6참조)에 일측면 하부를 개방한 레일(80)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80)의 중간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홀더(holder)(8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80) 상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걸이홈(84)과 상측걸이부(86)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80) 하단부에는 하측걸이부(88)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80) 배면에는 고정보울트(90)를 결합한 러그(9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행어(78)에는 신축부재(94)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패드(96) 및 후크(98)가 구성되고, 상기 패드(96), 신축부재(94), 후크(98)에는 다수개의 리벳(100)이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관통하여 결합 되며, 상기 후크 (98)에는 신축부재(94)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심선(102)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받침대(104) 및 행어(106)의 제 4 실시 예를 도 7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매립되는 고정받침대(104)(도7참조)에는 일측 면 하부를 개방한 레일(108)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108)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포켓(110)이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110) 하부에는 신축부재(112)를 끼울 수 있도록 된 안내공(114)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08) 상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걸이홈(116)과 상측걸이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108) 하단부에는 하측걸이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108) 배면에는 고정보울트(122)를 결합하는 러그(1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행어(106)에는 신축부재(112)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원형 모양의 튜브(126)가 구성되고, 상기 튜브(126) 내부에는 신축부재(112)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심선(128)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받침대(130) 및 행어(132)의 제 5 실시 예를 도 8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매립되는 고정받침대(130)에 통체형으로 된 레일(134)이 구성되고, 상기 레일(134)의 중간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포켓(136)이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136) 하부에는 신축부재(138)를 끼울 수 있도록 된 안내공(140)이 곡선으로 연결되면서 끝단부가 레일(134)의 측면을 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34) 상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걸이홈(142)과 상측걸이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134) 하단부에는 하측걸이부(146)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134) 배면에는 고정보울트(148)를 결합하는 러그(1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행어(132)에는 신축부재(138)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원형 모양의 튜브(152)가 구성되고, 상기 튜브(152) 내부에는 신축부재(138)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는 심선(154)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설치순서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슬래브(4)(도2참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26)을 배근한 다음, 상기 고정받침대(6)의 러그(24)에 결합된 고정보울트(28)를 철근(26)에 용접하고, 이후로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고정받침대(6)는 상부슬래브(4)에 매설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상부슬래브(4)가 도로용 교각 상부에 설치되면, 상기 상부슬래브(4)의 유간에 오물 및 빗물이 교좌장치나 철근콘크리트측으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신축부재(34)를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34)의 양측 상단부에 설치된 행어(36)는 레일(8)의 포켓(10)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신축부재(34)의 상측 일부는 안내공(12)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신축부재(34)의 나머지 부분은 레일(8)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부슬래브(4) 사이에 "U"자형으로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6)와 행어(36)가 구배(R)를 갖더라도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고,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만 구배(R)를 갖고 행어(36)는 구배(R)를 갖지 않고 여러개로 나누어져 신축부재(34)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후로 상부슬래브(4)(도2참조) 사이에 탄성봉함재(32)를 배치하면서 양단부를 고정받침대(6)의 걸이홈(14)에 끼우고, 상기 탄성봉함재(32) 상부에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를 상호 맞물리게 하면서 배치한 다음, 상기 핑거플레이트(20)의 후미 각각에 고정보울트(22)를 결합하면서 상측걸이부(16)에 있는 보스(18)에 체결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핑거플레이트(20)는 상부슬래브(4)의 유간 상부에서 상호 맞물리며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빗물이나 오물이 핑거플레이트(20)의 틈 사이로 빠져 아래로 떨어지면, 상기 탄성봉함재(32)가 빗물이나 오물을 일차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이후로 상기 오물이나 빗물은 신축부재(34)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오물과 빗물은 콘크리트나 교좌장치측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고 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부슬래브(4)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좌장치와 콘크리트는 오물이나 빗물이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부식이 방지되어 본래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신축부재(34) 상부를 끼울 수 있도록 한 안내공(12)이 레일(8)상에서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34) 상단부에 설치된 행어(36)를 결합하는 포켓(10)이 레일(8) 내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34)와 고정받침대(6)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오물과 빗물이 교좌장치나 콘크리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신축이음장치(2)의 방수기능이 우수하게 되고, 동시에 신축부재(34)를 고정받침대(6)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서 설치할 때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로부터 오물이나 빗물이 떨어지면 신축부재(34)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행어(36)가 하중을 일차적으로 지탱하여 주게 되므로 신축부재(34)는 변형이 방지되고, 더욱이 상기 행어(36)에 설치된 심선(44)이 하중을 지탱하여 주므로 상기 신축부재(34)는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슬래브(4)를 차량이 통과하면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봉함재(32)는 상부슬래브(4) 사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구조체의 내구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신축이음장치(2)가 일정기간 사용되면 빗물이나 오물등에 의해 부식되므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고정보울트(22)를 풀어 핑거플레이트(20)를 분리하고, 이후로 탄성봉함재(32)를 걸이홈(14)으로부터 분리한다.
계속하여 상기 신축부재(34)를 상부슬래브(4)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행어(36)는 포켓(1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신축부재(34)의 상부는 안내공(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34)는 고정받침대(6)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이후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새로운 신축부재(34)와 탄성봉함재 (32)와 핑거플레이트(20) 등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상부슬래브(4)에 설치하여 교체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와는 달리 철도용으로서 신축이음장치(2)(도4참조)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부슬래브(4) 상단부에 커버(46)를 배치하고, 상기 커버(46) 후미에 고정보울트(22)를 결합하면서 상측걸이부(16)의 보스(18)에 체결하면, 상기 커버(46)는 상부슬래브(4)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46)를 설치한 이후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설치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를 구성하는 고정받침대(48)(도5참조)의 레일(52)에 상기 행어(50)를 끼우면, 상기 행어(50)의 돌출부(70)가 지지편(54)상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신축부재(66)의 상측 일부는 레일(52) 내부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상부로부터 오물이나 빗물이 떨어지면 신축부재(66)는 하중이 증가하는데, 이때 행어(50)(도5참조)가 신축부재(66)의 하중을 일차적으로 지탱하게 되고, 이차적으로 돌출부(70)에 끼워져 있는 심선(74)이 신축부재(66)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66)는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신축부재(66)를 분리하고자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행어(50)(도5참조)는 지지편(5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신축부재(66) 상부는 지지편(54) 사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 라서 상기 신축부재(66)는 고정받침대(48)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를 구성하는 고정받침대(76)(도6참조)의 레일(80)에 상기 행어(78)를 끼우면, 상기 행어(78)의 후크(98)가 홀더(82)에 끼워지고, 동시에 신축부재(94)의 상측 일부는 레일(80) 내부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상부로부터 오물이나 빗물이 떨어지면 신축부재(94)(도6참조)는 하중이 증가하는데, 이때 상기 행어(78)가 신축부재(94)의 하중을 일차적으로 지탱하게 되고, 이차적으로 후크(98)에 끼워져 있는 심선(102)이 신축부재(94)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94)는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신축부재(94)를 분리하고자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행어(78)(도6참조)는 홀더(82)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신축부재(94)의 상부는 레일(80)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94)는 고정받침대(76)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를 구성하는 고정받침대(104)(도7참조)의 레일(108)에 행어(106)를 끼우면, 상기 행어(106)의 튜브(126)가 포켓(110)에 끼워져 결합 되고, 동시에 신축부재(112)의 상측 일부는 레일(108)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114)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상부로부터 오물이나 빗물이 떨어지면 신축부재(112)(도7참조)의 하중이 증가하는데, 이때 튜브(126)와 심선(128)이 신축부재(112)의 하중을 지탱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112)는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신축부재(112)를 분리하고자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행어(106)(도7참조)는 포켓(11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신축부재(112) 상부는 레일(108)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1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112)는 고정받침대(104)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5 실시 예를 구성하는 고정받침대(130)(도8참조)의 레일(134)에 상기 행어(132)를 끼우면, 상기 행어(132)의 튜브(152)가 포켓(136)에 끼워져 결합 되고, 동시에 신축부재(138)의 상측 일부는 레일(134)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140)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공(140)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138)의 상측 일부를 곡선 형태로 포함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상부로부터 오물이나 빗물이 떨어지면 신축부재(138)(도8참조)는 하중이 증가하는데, 이때 튜브(152)와 심선(154)이 하중을 지탱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138)는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신축부재(138)를 분리하고자 상부슬래브(4)(도2참조)의 측면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행어(132)(도8참조)는 포켓(136)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신축부재(138) 상부는 레일(134) 하부에 형성된 안내공(1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부재(138)는 고정받침대(130)로부터 분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축부재(34,66,94,112,138)의 상부를 끼울 수 있도록 한 안내공(12,114,140)및 결합부분이 레일(8,52,80,108,134)상에서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재(34,66,94,112,138) 상단부에 설치된 행어(36,50,78,106,132)를 결합하는 포켓(10,110,136) 및 홀더(82)가 레일(8,52,80,108,134)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신축부재(34,66,94,112,138)를 교체할 때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신축부재(34,66,94,112,138)와 고정받침대(6,48,76,104,130)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오물과 빗물이 교좌장치나 콘크리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방수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행어(36,50,78,106,132)에 심선(44,74,102,128,154)을 끼우고 있어서 신축부재(34,66,94,112,138)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신축부재(34,66,94,112,138)의 기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Claims (12)

  1. 상부슬래브(4)의 측면에 매립되는 고정받침대(6)와,
    상기 고정받침대(6) 상부에 설치되는 핑거플레이트(20) 또는 커버(46)와,
    상기 고정받침대(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행어(36)와,
    상기 행어(36)에 상단부를 결합하면서 상부슬래브(4)의 유간에 U자형으로 설치되는 신축부재(34)로 구성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4)와 상부슬래브(4) 사이에 탄성봉함재(32)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봉함재(32)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받침대(6)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봉함재(32)는 에바조트 또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6)는,
    상기 행어(36)가 끼워지는 포켓(10)이 형성된 레일(8)과,
    상기 레일(8) 상단부에 일체로 연장되면서 핑거플레이트(20) 또는 커버(46)가 위치하도록 된 상측걸이부(16)와,
    상기 상측걸이부(16)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핑거플레이트(20) 또는 커버(46)에 결합 되는 고정보울트(22)를 체결하도록 된 보스(18)와,
    상기 레일(8) 하부에 일체로 연장되는 하측걸이부(30)와,
    상기 레일(8) 배면에 고정보울트(28)를 끼울 수 있도록 된 러그(24)로 구성되는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10)에 끼워지는 행어(36)는,
    상기 신축부재(34)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리벳(41)으로 결합 되는 패드(38)와,
    상기 패드(38)를 끼워 결합하는 커버(40)와,
    상기 커버(40), 패드(38), 신축부재(34)에 관통하여 결합 되는 리벳(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에 심선(44)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는 고무, 플라스틱,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심선 (44)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48)는
    내부 양측에 지지편(54)을 각각 형성한 레일(52)로 구성되고,
    상기 행어(50)는
    상기 신축부재(66) 상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패드(68)와,
    상기 패드(68)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지지편(54)에 걸려지는 돌출부(70)와,
    상기 패드(68), 돌출부(70), 신축부재(66)에 관통하여 결합 되는 리벳(72)과,
    상기 돌출부(70)에 끼워지는 심선(7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76)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홀더(82)를 형성한 레일(80)로 구성되고,
    상기 행어(78)는
    상기 신축부재(94) 상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패드(96) 및 후크(98)와,
    상기 패드(96), 신축부재(94), 후크(98)에 관통하여 결합 되는 리벳(100)과,
    상기 후크(98)에 끼워지는 심선(10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104)는 행어(106)가 끼워지는 포켓(110)이 형성된 레일(108)로 구성되고,
    상기 행어(106)는 상기 신축부재(112) 상단부 양측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튜브(126)와,
    상기 튜브(126)에 끼워지는 심선(1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34) 내부에는 신축부재(138)의 상부 중 일부를 수용하는 안내공(140)이 포켓(136)에 곡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6)와 행어(36)는 중앙부분이 상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구배(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6)는 중앙부분이 상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구배(R)를 갖고,
    상기 행어(36)는 여러개로 나누어져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신축부재(3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KR2020060007377U 2005-08-19 2006-03-20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KR200418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377U KR200418580Y1 (ko) 2006-03-20 2006-03-20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PCT/KR2006/002886 WO2007021078A1 (en) 2005-08-19 2006-07-21 Replaceable drainage device of expansion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377U KR200418580Y1 (ko) 2006-03-20 2006-03-20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580Y1 true KR200418580Y1 (ko) 2006-06-13

Family

ID=4176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377U KR200418580Y1 (ko) 2005-08-19 2006-03-20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580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043B1 (ko) * 2006-07-31 2007-07-26 주식회사 일원테크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KR100861479B1 (ko) * 2008-07-25 2008-10-02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배수시트 교체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이의 시공방법
KR100861480B1 (ko) * 2008-07-25 2008-10-02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탈착이 용이한 배수시트 교체장치 및 이의시공방법
KR100893777B1 (ko) * 2008-09-23 2009-04-20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924708B1 (ko) * 2009-03-24 2009-11-04 대경산업(주)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0951752B1 (ko) * 2009-08-31 2010-04-08 이종근 교량용 신축이음 조인트
KR200448679Y1 (ko) * 2009-08-28 2010-05-07 (주) 케이 이엔씨 철근 간섭 방지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374606B1 (ko) * 2012-07-04 2014-03-17 진형건설(주)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20210112038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043B1 (ko) * 2006-07-31 2007-07-26 주식회사 일원테크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KR100861479B1 (ko) * 2008-07-25 2008-10-02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배수시트 교체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이의 시공방법
KR100861480B1 (ko) * 2008-07-25 2008-10-02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탈착이 용이한 배수시트 교체장치 및 이의시공방법
KR100893777B1 (ko) * 2008-09-23 2009-04-20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924708B1 (ko) * 2009-03-24 2009-11-04 대경산업(주)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0448679Y1 (ko) * 2009-08-28 2010-05-07 (주) 케이 이엔씨 철근 간섭 방지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951752B1 (ko) * 2009-08-31 2010-04-08 이종근 교량용 신축이음 조인트
KR101374606B1 (ko) * 2012-07-04 2014-03-17 진형건설(주)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20210112038A (ko) * 2020-03-04 2021-09-1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KR102378610B1 (ko) * 2020-03-04 2022-03-24 주식회사 브리오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8580Y1 (ko)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KR100936969B1 (ko) 교체가 가능한 교량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0987062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5868B1 (ko) 걸이식 교량 배수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07484B1 (ko)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KR200411577Y1 (ko)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KR20080091608A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10074304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66118B1 (ko) 교량신축이음용 수밀형 배수장치
KR200436436Y1 (ko)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KR102054709B1 (ko) 보도확장로
KR101229001B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10256Y1 (ko)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KR100938114B1 (ko) 교량용 물받이 겸용 신축이음장치
KR101235246B1 (ko) 지지대, 이를 이용한 교각 슬래브의 유간용 배수장치 및 시공방법
KR101599823B1 (ko)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CN108867352B (zh) 一种市政桥梁用的伸缩缝覆盖装置
CN1776090B (zh) 安装或修复铁路轨道的方法
KR20010068280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70067307A (ko) 누수방지 교체형 신축 이음 장치
KR101945697B1 (ko) 슬래브용 트러스 데크
KR1012290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