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608A -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608A
KR20080091608A KR1020070034646A KR20070034646A KR20080091608A KR 20080091608 A KR20080091608 A KR 20080091608A KR 1020070034646 A KR1020070034646 A KR 1020070034646A KR 20070034646 A KR20070034646 A KR 20070034646A KR 20080091608 A KR20080091608 A KR 20080091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expansion
plate
support memb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7003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1608A/ko
Publication of KR2008009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면서 차량 통행은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작과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는,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와, 상기 핑거부재를 받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 및,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와 신축부재 밀착부위에 개재되는 누수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와 신축부재간 밀봉처리로 물의 내침투성을 보강하는 것은 물론, 고정플레이트 부착과 리벳 시공 및 보강철근이 체결되는 앵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 견고성과 조립 시공성을 매우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교량, 교량의 신축 이음장치, 신축부재, 앵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작과 시공 방법{Expansion Joint for Brid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Construc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2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제작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 'A'의 요부 구조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신축부재 변형예를 도시한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본 발명 앵커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10.... 핑거부재(핑거플레이트)
20.... 지지부재(수직플레이트) 30.... 신축부재
32.... 지지부재 고정부 34.... 굴곡부
40.... 앵커수단 42.... 철근 지지턱부
44.... 바디 46.... 고정단
50.... 누수차단수단(접착제층) 60.... 고정플레이트
70.... 핑거플레이트 고정수단 100.... 교량 상판부
102.... 이음부측 상판부 단부 110.... 상판부간 이음부
A.... 상판부 단부의 장치 안착공간 C.... 타설 콘크리트
S,S'.... 철근
본 발명은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면서 차량 통행은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 이음장치의 콘크리트 구조물 지지부재와 신축부재간 밀봉처리로 물의 내침투성을 보강하는 것은 물론, 고정플레이트 부착과 리벳 시공 및 보강철근이 체결되는 앵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 견고성과 조립 시공성을 매우 향상시킨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작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교각을 가지는 비교적 길이가 긴 교량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분할된 상판부 사이에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 치(EXPANSION JOINT)를 설치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신축 이음장치는 온도 환경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교량의 특정에 대응하여 그 수축 또는 팽창을 보상하기 위한 분할된 교량 상판부 간의 틈새에 차량 통행을 원활하게 유지하면서 우수 침투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다.
예컨대, 신축 이음 장치는 교량의 불연속 부분에 설치되어 온도 변화시 교량 상판부(상부 구조물)의 수축과 팽창, 차량 통행시 활 하중에 의한 회전과 이동, 상판부 구조에 따른 크리프 및 건조 수축 등으로 인한 교량 상판부 유동을 수용하는 장치이며, 궁극적으로는 상판부 간 유격공간을 보상하여 차량의 주행성을 확보하게 하고, 빗물이 하부 구조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기능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같은 알려진 종래의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들은 대부분, 이격되되 서로 유격상태로 끼움되어 차량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핑거플레이트와 이를 받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측부에 부착되어 교량 상판부 단부측에서 철근과 콘크리트에 시공 체결되는 앵커 및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신축부재로 이루어 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종래 신축 이음장치는 지지부재와 신축부재사이로 빗물이 침투하여 하부 구조물의 부식을 초래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구조이고, 콘크리트 타설시 체결되는 앵커의 철근 시공이 불편하거나 철근 시공은 편하지만 구조 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출원인이 등록권리자인 등록실용신안 제0417259호 및 특 허출원 제2006-0023987호 등에서는 앵커의 철근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앵커의 구조 강도가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종래의 신축 이음장치는 주로 부재들간 용접이나 볼트 체결 구조이므로 실제 장치의 조립 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그 조립 시공 작업시 작업시간도 매우 지연되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의 조립 시공을 용이하게 하면서, 전체적인 구조 강도를 높이고, 빗물의 하부 구조물 누수도 보다 완벽하게 한 개선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전체적인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 견고성과 조립 시공성을 매우 향상시킨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작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
상기 핑거부재를 받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 및,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와 신축부재 밀착부위에 개재되는 누수차단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인 일측면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
상기 핑거부재를 받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 및,
상기 신축부재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 측부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철근 체결용 앵커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술적인 일측면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
상기 핑거부재를 받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되 철근 시공을 용이토록 적어도 하나의 철근 지지턱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앵커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다음, 기술적인 다른 측면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플레이트들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신축부재 또는 수직플레이트,지지플레이트 및 신축부재 밀착부위에 누수를 차단토록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수직플레이트사이에 신축부재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기술적인 다른 측면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플레이트들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신축부재와 이에 밀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일체로 리벳으로 체결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기술적인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8항의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를 이음부측 교량 상판부의 단부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신축 이음장치의 수직플레이트에 설치된 앵커수단의 지지턱부에 철근을 일정하게 배치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 이음장치가 안착된 상판부 단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 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교량 관련 구성요소는 10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교량 이음부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는 1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의 시공상태, 제작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 상판부(100)의 이음부(110)에 제공되는 신축 이음장치(1)는, 기본적으로 상기 상판부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10)와, 상기 핑거부재(10)를 받치는 지지부재(20) 및 상기 지지부재(20)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핑거부재(10)는 도 3과 같이, 서로 맞물리는 철부(12)와 요부(14)가 교차하여 일체로 형성된 핑거플레이트이고,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각각의 핑거부재(10)인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일체로 용접되되 교량 상판부(100)의 단부(102) 즉, 신축 이음장치(1)의 설치공간(A)을 구현하도록 단차진 단부(102)에 안착 지지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핑거플레이트와 수직플레이트는 내부식성이 있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도금강판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철부(12)와 요부(14)가 서로 동일선상으로 대응 배치되어 다음에 도 1 및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교량 상판부(100)가 온도 변화로 수축 또는 팽창하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고, 이를 통하여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 이동시 상판부 이음부(110)의 틈새에 의한 통행 방해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재(30)는, 상기 수직플레이트인 지지부재(20)의 일 측부(22)에 고정되는 고정부(32)와 고정부에 일체로 되고 굴곡져 부재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굴곡부(34)로 이루어 져 있는데, 통상 'M'자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축부재(30)는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어 빗물이 하부 구조물로 흐르지 않게 하면서 양 옆으로 유도하기도 하는데, 통상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 예컨대 합성고무 예를 들어 'neoplane rubber'일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존에는 신축부재를 고무 조각등을 금형에 넣고 고온에서 성형하여 신축부재를 성형 제작하였으나, 본 발명의 신축부재(30)는, 금형다이에 제작하려는 신축부재와 동일한 압출구멍을 형성시키고 고무재료를 고온에서 일체로 압출하여 성형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출 성형된 신축부재(30)는 그 제작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물론, 일체로 압출 성형하기 때문에, 고무 조각들을 성형하는 기존 신축부재에 비하여 부재의 재료 균일성이 우수하고, 따라서 신축성은 물론 신축부재의 사용 수명도 연장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압출 성형되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신축부재(30)는 압출 성형시 가황(加黃)에 의해 물리적 성질이 향상된 가황고무(vulcanized rubber)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 같은 가황고무는 보통의 고무에 비하여 탄성이 증대되고, 따라서 노화가 더디고, 변형시에도 체적변화가 크지 않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20)인 수직플레이트와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사이에 개재되는 누수차단수단(50)를 포함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에 구비되는 상기 누수차단수단(50)은, 상기 지지부재(20)의 일 측부(22)에 고정되는 신축부재(30)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빗물이 지지부재와 이에 밀착 고정되는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사이로 침투하여 신축 이음장치의 구조체들이나 상판부 하부의 교좌장치(미도시)를 부식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와 같이 접착제층의 누수차단수단(50)은 지지부재인 수직플레이트의 일측부(22)와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간 고정 구조도 보다 견고하게 함은 물론이다.
이때, 도 5와 같이, 누수차단수단(50)인 접착제는 접착제 도포기(5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 제작시 지지부재인 수직플레이트의 일측부(22)와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사이에 도포하면 된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핑거 플레이트의 하부에 용접등으로 일체로 고정된 지지부재의 수직플레이트와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굴곡부(34)의 밀착되는 부위 모두에 접착제를 도포시키어 누수차단수단(50)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누수차단수단의 접착제는 예를 들어 동양화성 주식회사의 브랜드 명이 'ulpight super v' 인 접착제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누수차단수단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는 통산 금속판과 고무 예컨대, 지지부재의 수직플레이트, 핑커부재의 핑거플레이트의 금속판과 신축부재의 고무를 접착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접착제이다.
한편, 상기 접착제인 누수차단수단(50)은 지지부재(20)의 수직플레이트가 저면에 용접되는 핑거부재(10)의 핑거플레이트와 일체로 신축부재(30)사이에 도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이와 같이 지지부재(20)인 수직플레이트 일측부(22)와 이에 접착제로 긴밀하게 부착되는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에는 신축부재의 탄성강도를 높이면서 누수차단수단인 접착제 도포 두께(도포량)를 증대시키어 누수차단효과를 높이는 돌기(36)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돌기(36)는 신축부재의 평탄한 고정부(32)를 따라 수직하게 일정간격으로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신축부재의 압출 성형시 금형다이의 압출 구멍 형상을 변경하면 된다.
이경우, 상기 돌기(36)는 다음에 설명하듯이 지지부재와 신축부재 및 고정플 레이트(60)의 고정시 지지부재와 신축부재 고정부간의 틈새를 유발하여 누수차단수단인 접착제 도포량을 증대시키게 하면서, 동시에 신축부재 고정부가 압착되어도 그 강도가 유지되게 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에서는 기존에 신축부재를 단지 지지부재인 수직플레이트에 부착 고정한 것에 비하여 별도의 신축부재(30)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60)를 이용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에서 신축부재(30)는, 지지부재(20)인 수직플레이트의 일 측부(22)에 고정되는 고정부(32)와 고정부에 일체로 되고 굴곡져 부재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굴곡부(34)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얇은 판 예를 들어, 부식되지 않은 아연도금강판으로 된 고정플레이트(60)가 상기 신축부재의 고정부(32)에 밀착 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수직플레이트,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 및 앞에서 설명한 고정플레이트(60)가 각각 서로 대응되는 구멍(h)들을 구비하여 일체로 리벳(R)이 삽입되고 리벳 체결기구(R')로서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에서는 수직 플레이트와 신축부재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더하여, 또는 단독적으로 별도의 고정플레이트(60)를 신축부재 고정부(32)에 대고 리벳(R)으로 일체로 체결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리벳(R)은 고정플레이트->신축부재->수직플레이트로 삽입되어 지지부 재인 수직플레이트의 외곽에서 체결기구로서 체결 작업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는 리벳(R)으로 지지부재, 신축부재 및 고정플레이트를 일체로 한번에 체결 제작하기 때문에, 장치 제작시 조업성을 매우 향상시키는데, 예를 들어 기존의 볼트와 너트 체결시 보다 그 제작 기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플레이트(60)의 상단을 절곡하여 신축부재(30) 특히, 'M'자형 신축부재의 고정부(32)와 굴곡부(34)의 연결부위를 받쳐 주도록 하면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 도 1,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는 다른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지지부재(20)인 수직플레이트의 신축부재 반대측으로 측부(24)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철근 체결용 앵커수단(4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이왕 같은 본 발명의 앵커수단(4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인 수직플레이트의 측부(24)에 고정되면서 앵커 강도를 높이도록 일정 폭으로 신장된 바디(44) 및, 적어도 상기 바디(44)의 상면을 따라 철근 시공을 용이토록 적어도 하나가 일체로 구비되는 철근 지지턱부(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44)의 지지부재 고정부위에는 지지부재를 따라 수직하게 신장된 고정단(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고정단(46)은 도 2와 같이, 지지부재인 수직거플레이트에 용접 등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7과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앵커수단(40)은 교량 상 판부(100)의 이음매(110)측으로 신축 이음장치 설치공간(A)을 형성하도록 단차진 상판부 단부(102)에서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C)로서 고정되는 철근(S)들이 매우 간편하게 배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근(S)을 앵커수단(40)의 바디 상면에 놓은 다음, 지지턱부(42)에 걸리도록 밀거나 당기면 철근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콘크리트 타설 시공시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 구조를 견고하게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앵커수단의 바디 상면 상에 놓인 철근(S)들은 도 1과 같이 'ㄷ'자 형태의 고정철근(S')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앵커수단(40)의 바디(44)는 기존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출원인인 등록권리자인 등록실용신안 제0417259호에서 제안된 앵커보다 그 상하 폭이 증대되어 앵커 강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철근 지지턱부(42)는 도 7과 같이, 바디 하면을 따라 일체로 상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앵커수단의 바디 강도를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에서 상기 앵커수단(40)의 바디(44)의 상면은 지지턱부(42)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44a)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경우 장치 시공시 철근(S)을 앵커수단 바디(44)의 상면에 올려 놓으면 경사면(44a)에 의하여 지지턱부(42)로 이동하여 철근이 항상 일정하게 위치 배열되게 하고, 이는 시공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도 3 및 도 5를 토대로 본 발명인 신축 이음장치(1)의 제작단계를 살펴보면, 교량 상판부(100)의 이음부(110)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핑거부재(10)인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지지부재(20)인 수직플레이트들을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다음,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신축부재 또는 수직플레이트,지지플레이트 및 신축부재 밀착부위에 접착제 도포기구(50')를 이용 접착제인 누수차단수단(50)을 두껍게 도포하여 수직플레이트사이에 신축부재를 연결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상기 신축부재(30)에 고정플레이트(60)를 대고, 지지부재인 수직플레이트, 신축부재의 고정부 및 고정플레이트에 서로 위치가 조정된 구멍(h)을 통하여 리벳(R)을 고정플레이트에서 수직플레이트 방향으로 끼우고, 체결기구(R')를 이용하여 일체로 체결 고정한다.
다음, 상기 지지부재(20)인 수직플레이트의 타 측부(24)를 따라 미리 제작된 철근 배열용 지지턱부(42)를 갖는 앵커수단(40)들을 용접 설치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장공(74)과 구멍(72)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76)를 포함하는 핑거플레이트 간격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볼트(B)를 장공과 구멍을 통과시키고 핑거플레이트의 볼트구멍(10a)에 각각 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의 제작이 완료된다.
다음, 도 1 및 도 2와 같이,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1)를 교량 상판부(100)의 이음부(110)측 단부(102) 예컨대, 장치 설치공간(A)을 형성하도록 단차진 단부(102)에 상기 고정수단(70)으로 고정한 상에서 안착시킨다.
다음, 상기 신축 이음장치(1)의 지지부재인 수직플레이트에 설치된 앵커수단(40)의 지지턱부(42)에 철근(S)을 일정하게 배치 체결하고, 이들을 'ㄷ'자 철근(S')을 대고 철사 등으로 체결한 후, 상기 장치 설치공간(A)에 콘크리트(C)를 타설 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그 제작과 시공 방법에 의하면, 지지부재와 신축부재 또는 지지부재와 신축부재 및 핑거부재사이에 접착제의 누수차단수단이 도포되기 때문에, 빗물이 침투 누수되어 신축 이음장치 하부 구조물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그 고정 구조도 견고하게 한다.
특히, 리벳을 이용 지지부재, 신축부재 및 고정플레이트를 한번에 체결할 수 있어 시공을 매우 편리하게 하고 시간도 단축시킨다.
또한, 신축부재를 가황고무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보다 탄성력이 우수하고 수명도 연장되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신축 이음장치는 지지부재와 신축부재간 밀봉처리로 물의 내침투성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고정플레이트 부착과 리벳 시공 및 보강철근이 체결되는 앵커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신축 이음장치의 시공 견고성과 조립 시공성을 매우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 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0)

  1. 교량 상판부(100)의 이음부(110)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10);
    상기 핑거부재(10)를 받치는 지지부재(20);
    상기 지지부재(20)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30); 및,
    적어도 상기 지지부재와 신축부재 밀착부위에 개재되는 누수차단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차단수단(50)은 상기 지지부재(20)의 일 측부(22)에 연결되는 신축부재(30)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30)에는 신축부재의 탄성강도를 높이면서 누수차단수단인 접착제 도포량을 증대토록 제공된 돌기(3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4. 교량 상판부(100)의 이음부(110)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10);
    상기 핑거부재(10)를 받치는 지지부재(20);
    상기 지지부재(20)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30); 및,
    상기 신축부재(30)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6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일측부(22)에 고정되는 신축부재(30)의 고정부(32)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신축부재 및 고정플레이트는 일체로 리벳(R)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 측부(24)를 따라 구비되는 철근 체결용 앵커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수단(40)은,
    상기 지지부재 측부(24)에 고정되면서 앵커 강도를 높이도록 일정 폭으로 신장된 바디(44); 및,
    적어도 상기 바디(44)의 상면을 따라 철근 시공을 용이토록 일체로 구비되는 철근 지지턱부(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9. 교량 상판부(100)의 이음부(110)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핑거부재(10);
    상기 핑거부재(10)를 받치는 지지부재(20);
    상기 지지부재(20)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30); 및,
    상기 지지부재(20)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되 철근 시공을 용이토록 적어도 하나의 철근 지지턱부(42)를 일체로 포함하는 앵커수단(4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수단(40)의 철근 지지턱부(42)는 상기 지지부재 (20)의 타측부(24)에 고정되면서 앵커 강도를 높이도록 일정 폭으로 신장된 바디(44)의 상면을 따라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수단(40)의 바디(44)의 상면은 철근 배열을 용이토록 지지턱부(42)를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44a)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12. 제4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일 측부(22)에 연결되는 신축부재(30)사이에 도포되는 누수차단수단(50)의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13. 제1항, 제4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재(10)는 서로 맞물리는 철부(12)와 요부(14)가 교차하여 일체로 형성된 핑거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일체로 용접되되 상판부 단부(102)에 안착 지지되는 수직플레이트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14. 제1항, 제4항 및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30)는 고무 재질로 일체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15.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핑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플레이트들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신축부재 또는 수직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 및 신축부재 밀착부위에 누수를 차단토록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수직플레이트사이에 신축부재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제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의 수직플레이트 연결 단계에서, 상기 신축부재에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수직플레이트, 신축부재 및 고정플레이트를 일체로 리벳(R)으로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제작방법.
  17. 교량 상판부의 이음부에서 서로 유격상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핑 거플레이트의 하부에 수직플레이트들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신축부재와 이에 밀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일체로 리벳(R)으로 체결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제작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타 측부를 따라 철근 배열용 지지턱부를 갖는 앵커수단들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제작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신축부재는 일체로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제작방법.
  20. 제18항의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1)를 이음부측 교량 상판부의 단부에 안착하는 단계;
    상기 신축 이음장치(1)의 수직플레이트에 설치된 앵커수단의 지지턱부에 철근(S)을 일정하게 배치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 이음장치가 안착되는 상판부 단부 공간(A)에 콘크리트(C)를 타설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070034646A 2007-04-09 2007-04-09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20080091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46A KR20080091608A (ko) 2007-04-09 2007-04-09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46A KR20080091608A (ko) 2007-04-09 2007-04-09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015A Division KR20080091700A (ko) 2008-02-29 2008-02-29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608A true KR20080091608A (ko) 2008-10-14

Family

ID=4015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646A KR20080091608A (ko) 2007-04-09 2007-04-09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160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26B1 (ko) * 2011-08-26 2012-04-02 김영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368377B1 (ko) * 2013-09-10 2014-03-03 (주)디에스엘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530663B1 (ko) * 2014-10-01 2015-06-22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CN104762868A (zh) * 2015-02-12 2015-07-08 李长娟 利用水冷散热的桥梁缝隙残渣清除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60003040U (ko) * 2015-02-26 2016-09-0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 일체형 신축이음장치
KR102012793B1 (ko) 2018-09-20 2019-08-21 에코머스(주) 신축이음장치
KR102104673B1 (ko) * 2019-03-06 2020-04-24 김태호 신축이음장치
KR102186237B1 (ko) * 2020-03-04 2020-12-03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KR102401516B1 (ko) * 2021-06-28 2022-05-24 주식회사 삼우산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445882B1 (ko) * 2022-01-26 2022-09-20 이정국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508628B1 (ko) 2022-06-30 2023-03-14 케이플랜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826B1 (ko) * 2011-08-26 2012-04-02 김영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368377B1 (ko) * 2013-09-10 2014-03-03 (주)디에스엘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530663B1 (ko) * 2014-10-01 2015-06-22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CN104762868A (zh) * 2015-02-12 2015-07-08 李长娟 利用水冷散热的桥梁缝隙残渣清除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762868B (zh) * 2015-02-12 2017-02-08 杨东瑜 利用水冷散热的桥梁缝隙残渣清除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60003040U (ko) * 2015-02-26 2016-09-0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배수시트 일체형 신축이음장치
KR102012793B1 (ko) 2018-09-20 2019-08-21 에코머스(주) 신축이음장치
KR102104673B1 (ko) * 2019-03-06 2020-04-24 김태호 신축이음장치
KR102186237B1 (ko) * 2020-03-04 2020-12-03 김태호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KR102401516B1 (ko) * 2021-06-28 2022-05-24 주식회사 삼우산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445882B1 (ko) * 2022-01-26 2022-09-20 이정국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508628B1 (ko) 2022-06-30 2023-03-14 케이플랜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1608A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JP4787197B2 (ja) 橋梁用導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35868B1 (ko) 걸이식 교량 배수관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4304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KR20060126132A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100707484B1 (ko)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KR200411577Y1 (ko) 교체용 신축이음 누수방지 장치
KR101579046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80091700A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2826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WO2007021078A1 (en) Replaceable drainage device of expansion joint
JP6660825B2 (ja) 導水構造および導水構造の施工方法
JP3895107B2 (ja) 土木用止水コンクリートクラック誘発目地材とその使用方法
KR10083055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4537225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637645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745547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nstalling, and exchanging rubber seal for expansion joint
JP7138925B2 (ja) 外装材取付用の保持部材及び外装構造
KR100405654B1 (ko) 탄성부재를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20010068280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1283556B1 (ko)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0912438B1 (ko) 슬라이딩 앵커가 구비된 농수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6241860B1 (ja) 道路橋の荷重支持型伸縮装置と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