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824B1 -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 Google Patents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824B1
KR102068824B1 KR1020170117947A KR20170117947A KR102068824B1 KR 102068824 B1 KR102068824 B1 KR 102068824B1 KR 1020170117947 A KR1020170117947 A KR 1020170117947A KR 20170117947 A KR20170117947 A KR 20170117947A KR 102068824 B1 KR102068824 B1 KR 10206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fixed
control box
dustproof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467A (ko
Inventor
박대원
Original Assignee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8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 하부의 서포트빔(5)으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 등의 침투를 차단하여 서포트빔(5)에서 슬라이드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1)를 제공코자 하되, 상기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구조물(100)에 고정된 컨트롤박스(4)로 내입되는 서포트빔(5)의 외측에 접하여 감싸도록 양분되어 대향되게 컨트롤박스(4)에 고정수단(9)으로 고정 설치되어서 컨트롤박스(4)와 서포트빔(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방진패드(2)가 포함되며, 더불어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구조물(100)에 마주보게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6)와 간격유지구(7)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서포트빔(5)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설치된 수개의 레일(8)에 고정 설치되거나 레일(8) 사이로 걸림 결합되어서 레일(8)과 서포트빔(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방진커튼(3)이나 방진쿠션(3-1)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방진패드(2)와 방진커튼(3)에 의해서 컨트롤박스(4)와 서포트빔(5) 및 레일(8)과 서포트빔(5)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교량과 신축이음장치(10)의 내구성 향상 및 수명 연장의 효과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한 제조원가 및 설치비의 절감과 공사기간의 단축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Dust cover of support beam for bridge extension joint}
본 발명은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교각 상부의 교량 상판 사이를 신축성 있게 연결하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하부의 서포트빔으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 등의 침투를 차단하여 서포트빔에서 슬라이드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이나 수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높이 설치되는 각종 교량은 일정 간격을 두고 기립된 교각 상부에 소정 길이의 상판구조물을 연결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판구조물의 사이에는 외부 온도변화에 의해 상판구조물이 팽창 및 수축됨에 따라서 신축하여 이웃하는 상판구조물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적정한 간격(일명 "유간"이라고 함)을 갖도록 하여 차량 등의 통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bridge extension joint)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24755호(2003년 8월 27일자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371566호(2005년 1월 14일자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411537호(2006년 3월 15일자 공고)에 두루 기재된 바와 같이 양측 상판구조물에 마주보게 설치된 컨트롤박스에 각각 서포트빔(=서포터바)의 양단이 슬라이드베어링에 의해 설치되며, 이웃하는 양측 상판구조물의 단부에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서 간격유지구에 의해서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위치하는 레일이 서포트빔에 슬라이드 이송되게 설치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서포트빔에서 컨트롤박스와 레일이 각각 슬라이드베어링에 의한 슬라이딩작용으로 이웃하는 상판구조물의 팽창 및 수축 시 신축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상판구조물 사이의 유간을 적정하게 유지토록 할 수 있는바, 상기 서포트빔과 슬라이드베어링 사이에 바람 등에 의해서 외부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대기 중의 수분이 유입되어 서포트빔의 슬라이딩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신축이음장치의 전체 신축작동이 불안정하여 교량의 상부로 주행하는 차량의 승차감이 저하되거나 타이어 파손과 더불어 교량의 전체 팽창 및 수축에 대응되지 못하여 교량의 피로도를 높이고, 교량의 수명을 줄이게 되는 원인이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0324755 Y1 2003. 8. 27. KR 20-0371566 Y1 2005. 1. 14. KR 20-0411537 Y1 2006. 3. 15.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서포트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에 의해서 서포트빔과 컨트롤박스 및 레일 사이의 슬라이딩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온도변화에 따른 교량의 상판구조물이 팽창 및 수축할 시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이웃하는 상판구조물 사이에서 적정한 거리를 갖도록 해서 교량의 수명연장과 차량의 안전주행 등을 보장토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서포트빔으로의 이물질 및 수분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절감과 신속한 시공으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를 상세하게 기술한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 및 도면 등을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해결과제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를 구성하되, 상기 본 발명의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는 교량의 상판구조물에 고정된 컨트롤박스로 내입되는 서포트빔의 외측에 접하여 감싸도록 양분되어 대향되게 컨트롤박스에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어서 컨트롤박스와 서포트빔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방진패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불어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구조물에 마주보게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와 간격유지구에 의해서 소정을 간격이 유지되게 서포트빔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설치된 수개의 레일에 각각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어서 레일과 서포트빔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방진커튼이나 수개의 레일 사이로 서포트빔에 걸림 결합된 합성수지발포체의 방진쿠션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는 서포트빔의 양단에 슬라이드베어링으로 결합되는 컨트롤박스와 서포트빔 사이로 방진패드를 설치하고, 레일 사이에서 각 레일과 서포트빔 사이로 방진커튼을 설치하여 서포트빔에 슬라이딩되는 컨트롤박스의 슬라이드베어링과 레일의 슬라이드베어링과 서포트빔 사이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슬라이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전체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교량과 신축이음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와 함께 방진커버를 컨트롤박스와 서포트빔 사이 및 레일과 서포트빔 사이의 각 구조에 맞도록 방진패드 및 방진커튼으로 구성함에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신축이음장치에 조립 시 조립이 신속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져서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도 설치비가 저렴하게 드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 중 방진패드의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 중 방진패드의 다른 일례를 보인 예시도
도 3c는 본 발명 중 방진패드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 중 방진커튼의 세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 중 방진커튼의 다른 일례를 보인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 중 방진커튼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진패드와 방진커튼 결합 구조의 다른 일례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중 방진커튼 대신 방진쿠션을 설치한 일례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지면이나 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립되게 설치된 교각 상부의 교량 상판구조물 사이로 신축성 있게 연결되어 온도변화에 의해 상판구조물이 팽창 및 수축됨에 따라서 신축하여 이웃하는 상판구조물 사이가 벌어지지 않고 적정한 간격을 갖도록 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신축이음장치 하부의 서포트빔으로 각종 이물질이나 수분 등의 침투를 차단토록 한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하기에서 도면들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하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용어들 역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해당 용어에 국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방진커버(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교량의 상판구조물(100)에 각각 마주보게 앵커볼트(61)에 의해 고정부재(6)가 고정 설치되며, 마주보는 고정부재(6)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수개의 레일(8)이 설치되며, 이때 마주보는 고정부재(6)에 고정 설치되어 이웃하는 상판구조물(100)에 각각 마주보게 고정 설치된 컨트롤박스(4)의 내측으로 각각 서포트빔(5)이 내입되어 슬라이드베어링(51)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며, 이러한 서포트빔(5)에 서포트빔(5)에 지지되는 요크(81)가 하부에 고정되어 포함되는 레일(8) 역시 슬라이드베어링(51)에 의해서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되며, 고정부재(6)와 레일(8)의 상부 사이사이로는 빗물받이(82)가 연결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에서 서포트빔(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컨트롤박스(4)와 서포트빔(5) 사이 및 레일(8)과 서포트빔(5) 사이를 커버토록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교량신축이음장치(10)용 방진커버(1)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구조물(100)에 각각 마주보게 고정된 컨트롤박스(4)로 내입되는 서포트빔(5)의 외측에 접하여 감싸도록 양분되어 대향되게 컨트롤박스(4)에 고정수단(9)으로 고정 설치된 방진패드(2)에 의해서 컨트롤박스(4)와 서포트빔(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토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진커버(1)는 이러한 방진패드(2)와 더불어서 신축이음장치(10)에서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구조물(100)에 마주보게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6)와 간격유지구(7)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서포트빔(5)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설치된 수개의 레일(8)에 각각 고정수단(9)으로 고정 설치된 방진커튼(3)에 의해서 레일(8)과 서포트빔(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토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9)은 컨트롤박스(4)나 레일(8)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의 구조로서, 컨트롤박스(4)나 레일(8)에 미리 형성된 암나사홀에 체결볼트가 나사 결합될 시 체결볼트의 머리와 컨트롤박스(4)나 레일(8) 사이로 방진패드(2)나 방진커튼(3)이 개재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방진패드(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박스(4)의 선단에 외측 가장자리가 직교되게 접하면서 내측 가장자리가 컨트롤박스(4)로 내입되는 서포트빔(5)의 외측에 접하여 감싸지게 양분되어 컨트롤박스(4)에 마주보며 고정수단(9)으로 고정되며,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의 내면, 즉 컨트롤박스(4) 쪽으로 향해서 컨트롤박스(4)의 선단 테두리 내측에 접하게 돌출 형성되어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내측결합돌기(21)가 형성되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의 내면, 즉 컨트롤박스(4) 쪽으로 향해서 컨트롤박스(4)의 선단 테두리 외측에 접하게 돌출 형성되어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외측결합돌기(22)가 형성되어 컨트롤박스(4)와 방진패드(2)의 결합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진커튼(3)은 도 1 내지 도 2 및 도 4a에서와 같이 각 레일(8)에 접하여 고정수단(9)으로 고정되는 수개의 고정부(311)와, 이웃하는 레일(8) 사이에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되어 레일(8)의 슬라이딩작용 시 대응되게 신축토록 구성된 수개의 신축부(312)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방진커튼(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체형방진커트의 양단에는 컨트롤박스(4)와 이웃하는 레일(8) 사이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된 사이드신축부(315)로 연결되어 컨트롤박스(4)에 고정된 방진패드(2)에 고정 설치되는 패드고정부(314)로 구성된 사이드방진부(313)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방진커튼(3)은 도 4b와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일체형방진커튼(31)이 아니라, 이웃하는 레일(8)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양단이 이웃하는 레일(8)에 각각 고정수단(9)으로 고정된 한 쌍의 개별고정부(321)와, 상기 한 쌍의 개별고정부(32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레일(8) 사이에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레일(8)의 슬라이딩작용 시 대응되게 신축토록 구성된 개별신축부(322)가 일체로 형성된 수개의 개별방진커튼(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별방진커튼(32)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양단의 개별방진커튼(32)의 각 일측으로는 컨트롤박스(4)와 이웃하는 레일(8) 사이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된 개별사이드신축부(332)로 연결되는 컨트롤박스(4)에 고정된 방진패드(2)에 고정된 개별패드고정부(331)와, 컨트롤박스(4)에 이웃하는 레일(8)에 고정된 개별사이드고정부(333)로 구성된 사이드방진커튼(33)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개별방진커튼(32)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레일(8)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개별신축부(322)로 연결된 양측 개별고정부(321)가 각각 이웃하는 개별방진커튼(32)의 개별고정부(321)와 서로 겹치게 레일(8)에 고정수단(9)으로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방진커튼(3)을 방진패드(2)에 결합할 시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방진패드(2)의 외면에 일체형방진커튼(31)의 패드고정부(314) 또는 개별방진커튼(32)의 최 외곽에 위치하는 사이드방진커튼(33)의 개별패드고정부(331)가 바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패드(2)의 레일(8) 쪽으로 서포트빔(5)의 길이방향으로 커튼고정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패드고정부(314) 또는 개별패드고정부(331)가 방진패드(2)의 외면이 아니라, 상기 커튼고정돌기(23)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진커버(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진커튼(3)을 대신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과 편리한 조립성을 갖는 방진쿠션(3-1)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진쿠션(3-1)은 일측에 외측으로부터 서포트빔(5)이 관통되는 사각의 관통공(3-12) 내부로 절개부(3-11)가 형성된 것으로서, 수분에 강한 성질을 갖는 각종 합성수지재를 적정 비율로 발포해서 제작되도록 해서 자체적으로 외력에 의해서 신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량신축이음장치(10)용 서포트빔(5)의 방진커버(1)는 서포트빔(5)의 양단이 내입되는 컨트롤박스(4)의 선단에 서포트빔(5)과의 사이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양분되어 대향되게 컨트롤박스(4)에 고정된 방진패드(2)와, 고정부재(6) 사이에서 서포트빔(5)에서 슬라이딩되며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수개의 레일(8) 사이에 서포트빔(5)으로 개방된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연결 고정된 방진커튼(3) 또는 방진쿠션(3-1)으로 이루어져서 서포트빔(5)에 결합되는 컨트롤박스(4) 내부 및 레일(8) 하측의 슬라이드베어링(51)과 서포트빔(5) 사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한 것이다.
상기 방진커버(1)의 방진패드(2)는 컨트롤박스(4)에 고정수단(9)으로 고정되면서 서포트빔(5)의 외측에 접하여 이물질 및 수분이 컨트롤박스(4) 내부의 서포트빔(5)과 슬라이딩베어링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때 도 3a에서와 같이 방진패드(2)를 평평하게 형성하거나, 도 3b 및 도 3c와 같이 방진패드(2) 내측, 즉 방진패드(2)에서 컨트롤박스(4) 쪽으로 돌출되어 컨트롤박스(4) 선단 테두리의 내측 및 외측으로 강제 끼움 결합되는 내측결합돌기(21) 및 외측결합돌기(22)에 의해서 이물질과 수분의 유입을 보다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진커버(1)의 방진커튼(3)은 레일(8), 즉 레일(8) 하부에 결합되어 레일(8)과 함께 서포트빔(5)에서 슬라이딩되는 레일(8)에 포함되는 요크(81)의 외측으로 연결 고정되어 요크(81)를 포함하는 레일(8) 하측의 슬라이드베어링(51)과 서포트빔(5) 사이로 이물질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때 도 1 내지 2와 도 4a에서와 같이 방진커튼(3)을 양측의 방진패드(2) 사이에서 레일(8)의 요크(81)부분에 결합 고정된 일체형방진커튼(31)으로 형성하거나, 도 4b 및 도 4c에서와 같이 레일(8) 사이사이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 고정되게 개별방진커튼(32)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개별방진커튼(32)은 도 4b와 같이 레일(8)(=레일(8) 하부에 고정된 요크(81) 포함)에서 이웃하는 개별방진커튼(32)의 개별고정부(321)가 반반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도 4c와 같이 레일(8)에서 이웃하는 개별방진커튼(32)의 개별고정부(321)가 서로 겹치도록 해서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방진커버(1)의 방진커트(3)을 대신하는 방진쿠션(3-1)은 레일(8) 사이사이로 노출된 서포트빔(5)가 가려지도록 절개부(3-11)로 서포트빔(5)을 통과시켜서 서포트빔(5)에 걸어주는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서 온도가 높아져서 이웃하는 교량의 상판구조물(100)이 팽창하게 되면 마주보는 고정부재(6)가 가까워지면서 고정부재(6) 사이 수개의 레일(8)이 서로 가까워져서 방진커튼(3)의 주름진 신축부(312)가 좁아지게 줄어들거나 방진쿠션(3-1)이 압축되어 폭이 줄어들며, 온도가 낮아져서 이웃하는 교량의 상판구조물(100)이 수축하게 되면 마주보는 고정부재(6)가 멀어지면서 간격유지구(7)의 작용에 의해서 고정부재(6) 사이 수개의 레일(8)도 서로 멀어져서 방진커튼(3)의 주름진 신축부(312)가 넓어지게 늘어나거나 압축되어 있던 방진쿠션(3-1) 원상태로 복구되면서 폭이 늘어나며, 이때 방진커튼(3)이 일체형방진커튼(31)일 경우 일체형방진커튼(31)의 양단에 위치하는 사이드방진부(313)의 사이드신축부(315)도 신축작용이 일어나며, 방진커튼(3)이 개별방진커튼(32)일 경우 최 외곽에 위치하는 사이드방진커튼(33)의 개별사이드신축부(332)도 동일하게 신축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진패드(2)와 방진커튼(3) 또는 방진패드(2)와 방진쿠션(3-1)으로 이루어진 방진커버(1)에 의해서 외부의 각종 이물질과 수분이 교량신축이음장치(10)의 서포트빔(5)에서의 컨트롤박스(4)와 레일(8)의 슬라이딩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신축이음장치(10)의 전체 신축작용이 원활하여 교량과 신축이음장치(10)의 내구성 및 수명 향상에 일조하게 되는 것이며,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 및 설치비의 절감과 교량건설의 시공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방진커버
2:방진패드 21:내측결합돌기 22:외측결합돌기 23:커튼고정돌기
3:방진커튼 31:일체형방진커튼 311:고정부 312:신축부 313:사이드방진부 314:패드고정부 315:사이드신축부 32:개별방진커튼 321:개별고정부 322:개별신축부 33:사이드방진커튼 331:개별패드고정부 332:개별사이드신축부 333::개별사이드고정부
3-1:방진쿠션 3-11:절개부 3-12:관통공
4:컨트롤박스
5:서포트빔 51:슬라이드베어링
6:고정부재 61:앵커볼트
7:간격유지구
8:레일 81:요크 82:빗물받이
9:고정수단
10:신축이음장치 100:상판구조물

Claims (9)

  1. 교량의 상판구조물(100)에 고정된 컨트롤박스(4);
    컨트롤박스(4)로 내입되는 서포트빔(5);
    서포트빔(5)의 외측에 접하여 감싸도록 양분되어 대향되게 컨트롤박스(4)에 고정수단(9)으로 고정 설치된 방진패드(2);
    가 포함되어 방진패드(2)에 의해서 컨트롤박스(4)와 서포트빔(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구조물(100)에 마주보게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6)와 간격유지구(7)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서포트빔(5)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설치된 수개의 레일(8) 하부에 상측의 빗물받이(82)와는 별도로 각각 고정수단(9)으로 고정 설치되어서 레일(8)과 서포트빔(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방진커튼(3);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량의 이웃하는 상판구조물(100)에 마주보게 각각 고정된 고정부재(6)와 간격유지구(7)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서포트빔(5)에 슬라이드 가능토록 설치된 수개의 레일(8) 사이의 하부에 상측의 빗물받이(82)와는 별도로 서포트빔(5)에 걸림 결합되어서 레일(8)과 서포트빔(5)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합성수지발포체의 방진쿠션(3-11);
    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진패드(2)는 컨트롤박스(4) 쪽으로 컨트롤박스(4)의 테두리 내측에 강제로 끼움 결합되게 돌출 형성된 내측결합돌기(21);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진패드(2)는 컨트롤박스(4) 쪽으로 컨트롤박스(4)의 테두리 외측에 강제로 끼움 결합되게 돌출 형성된 외측결합돌기(22);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6. 청구항 2에 있어서;
    방진커튼(3)은 각 레일(8)에 고정수단(9)으로 고정되는 수개의 고정부(311)와, 레일(8) 사이에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되어 레일(8)의 슬라이딩작용 시 대응되게 신축토록 형성된 수개의 신축부(312)로 구성된 일체형방진커튼(31);
    으로 이루어지며,
    일체형방진커튼(31)의 양단에 컨트롤박스(4)와 이웃하는 레일(8) 사이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된 사이드신축부(315)로 연결되어 컨트롤박스(4)에 고정되는 방진패드(2)에 고정 설치되는 패드고정부(314)로 구성된 사이드방진부(313);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7. 청구항 2에 있어서;
    방진커튼(3)은 이웃하는 레일(8)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양단이 이웃하는 레일(8)에 각각 고정수단(9)으로 고정된 한 쌍의 개별고정부(321)와, 한 쌍의 개별고정부(32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레일(8) 사이에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레일(8)의 슬라이딩작용 시 대응되게 신축토록 구성된 개별신축부(322)로 구성된 개별방진커튼(32);
    으로 이루어지며,
    개별방진커튼(32)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개별방진커튼(32)에 컨트롤박스(4)와 이웃하는 레일(8) 사이로 주름진 자바라타입으로 형성된 개별사이드신축부(332)로 연결되어 컨트롤박스(4)에 고정되는 방진패드(2)에 고정 설치된 개별패드고정부(331)와 컨트롤박스(4)에 이웃하는 레일(8)에 고정된 개별사이드고정부(333)로 구성된 사이드방진커튼(33);
    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방진패드(2)의 레일(8) 쪽으로 방진커튼(3)이 고정 설치되게 서포트빔(5)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패드고정부(314) 또는 개별패드고정부(331)가 고정되는 커튼고정돌기(23);
    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이웃하는 레일(8)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개별신축부(322)로 연결된 양측 개별고정부(321)가 각각 이웃하는 레일(8)에 고정 설치되는 개별방진커튼(32)의 개별고정부(321)가 각각 이웃하는 개별방진커튼(32)의 개별고정부(321)와 서로 겹치게 레일(8)에 고정수단(9)으로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20170117947A 2017-09-14 2017-09-14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206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47A KR102068824B1 (ko) 2017-09-14 2017-09-14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47A KR102068824B1 (ko) 2017-09-14 2017-09-14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67A KR20190030467A (ko) 2019-03-22
KR102068824B1 true KR102068824B1 (ko) 2020-01-22

Family

ID=6594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947A KR102068824B1 (ko) 2017-09-14 2017-09-14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474B1 (ko) * 2020-03-23 2020-07-09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2중 서포트빔 타입의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9039B (zh) * 2019-12-31 2021-11-23 山西省交通新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桥梁板式伸缩缝的位移装置
CN112962441B (zh) * 2021-01-28 2023-06-30 中铁第一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自复位模块化快装模数式伸缩装置
CN112942071B (zh) * 2021-02-03 2022-08-02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地震多级设防用模数伸缩缝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49B1 (ko) * 2004-09-23 2007-01-31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3850179A (zh) * 2014-03-20 2014-06-11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齿条式桥梁伸缩装置
KR101507121B1 (ko) * 2014-07-22 2015-03-31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보수성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755Y1 (ko) 2003-05-22 2003-08-27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기
KR200371566Y1 (ko) 2004-09-11 2005-01-14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KR200411537Y1 (ko) 2005-12-30 2006-03-1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49B1 (ko) * 2004-09-23 2007-01-31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3850179A (zh) * 2014-03-20 2014-06-11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齿条式桥梁伸缩装置
KR101507121B1 (ko) * 2014-07-22 2015-03-31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보수성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474B1 (ko) * 2020-03-23 2020-07-09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2중 서포트빔 타입의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67A (ko)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824B1 (ko)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1374606B1 (ko)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200416825Y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KR10153066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ITPD20070194A1 (it) Smorzatore di vibrazioni, particolarmente per il supporto di compressori, pompe, motori elettrici e simili
KR10100578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100768521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280988B1 (ko) 슬라이드와 탄성 신축 이음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KR101745453B1 (ko) 해중터널의 체인 장력조절장치
KR102420341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1607531B1 (ko)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4490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KR101762145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보수 교체 공법 및 그 장치
KR200470336Y1 (ko) 간격유지 및 소음 방지용 서포터
KR101481029B1 (ko)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1684421B1 (ko) 교량의 소 유간 자동 신축이음 장치
KR100791834B1 (ko) 교량의 하중방향에 따른 가변형 탄성받침 구조
KR101839135B1 (ko) 교량의 신축 이음 장치 설치 방법
KR10157188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55354B1 (ko) 교량의 자동 유간충전(遊間充塡) 신축이음장치
KR100536406B1 (ko)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CN212925755U (zh) 一种新型市政桥梁用道桥伸缩缝结构
KR101581799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할형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