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566Y1 -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566Y1
KR200371566Y1 KR20-2004-0026167U KR20040026167U KR200371566Y1 KR 200371566 Y1 KR200371566 Y1 KR 200371566Y1 KR 20040026167 U KR20040026167 U KR 20040026167U KR 200371566 Y1 KR200371566 Y1 KR 200371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tructure
finger
finger member
support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원
김상헌
곽종원
Original Assignee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6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제 1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 2상부구조물을 향해 핑거와 핑거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1핑거부재, 제 1핑거부재를 제 1상부구조물에 고정하여 지지하여주는 제 1핑거부재지지구, 제 2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제 1핑거부재와 마주보고 설치되고 제 1상부구조물을 행해 핑거와 핑거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2핑거부재, 제 2핑거부재를 제 2상부구조물에 고정하여 지지하여주는 제 2핑거부재지지구,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의 양측을 향해 핑거가 삽입될 수 있는 핑거홈과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의 핑거홈에 결합될 수 있는 핑거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3핑거부재, 제 1핑거부재지지구와 제 2핑거부재지지구 사이에 배치되어 제 3핑거부재를 지지하여주는 중간레일,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에 설치되어 중간레일을 지지하여주고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는 중간레일지지구 및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신축되면서 중간레일의 수평위치를 잡아주는 레일 간격유지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복합식 신축이음장치{Complex expansion joint}
본 고안은 고가도로나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복합식 신축이음장치(complex expansion join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은 온도변화 등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된다. 이에 따라 교량의 시공 시 이웃하는 두 상부구조물 사이에는 적정한 간격(일반적으로 “유간”이라 함)을 둔다. 이러한 상부 구조물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크게 레일 타입(rail type)의 신축이음장치와 핑거 타입(finger type)의 신축이음장치로 구분된다.
레일 타입 신축이음장치는 80㎜ 간격을 최대로 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량이 커짐에 따라 중간 레일의 개수를 증가시켜 신축량이 큰 교량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이 레일 타입 신축이음장치의 적용 가능범위는 80㎜∼1200㎜ 정도이다. 이와 관련된 것으로는 2000년 12월 07일 특허등록번호 10-0283364호로 등록된 “신축이음장치”(이하, 선등록발명이라함)의 등록특허공보에 기술된 것이 있다. 이 선등록발명은 교량의 마주보는 두 상판 가장자리에 제 1받침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두 제 1받침부재 사이에 제 2받침부재를 설치하고, 그 하부 두 제 1받침부재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 제 1연결부재∼제 3연결부재와 포스트를 조합하여 두 상판의 신축 정도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져 두 상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 2받침부재를 지지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판의 신축을 허용하면서도 차량이 어느 정도 원활하게 두 상판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선등록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 에 적용된 간격유지기는 상하방향으로의 완충작용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통과 시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그 신축정도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레일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경우 차량통과 시 차량의 덜컹거림을 발생시켜 승차감을 떨어뜨리고 교량구조물 자체의 강도유지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또, 이러한 레일 타입의 신축이음장치는 신축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간 레일의 개수를 증가시켜야한다. 레일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경우 볼트로 체결되는 부위의 사호 마주보는 평행한 부분의 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1개의 레일로서 커버할 수 있는 신축량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그 레일들을 지지하고 레일들의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하부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 시의 작업효율이 낮고, 레일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내구성이 취약하고, 큰 소음이 발생된다는 단점도 있다.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는 구조상 단순하고, 상부에 작용되는 충격이 분산됨으로 인해 내구성이 좋고 큰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 구조상으로 마주보는 두 상부구조물의 단부에만 지지를 받으므로, 신축량이 400㎜ 이상의 신축량에는 적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핑거타입 신축이음장치의 적용 가능범위는80㎜∼400㎜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통과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중간 레일의 수를 1이상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이웃하는 상부주조물들의 신축량에 대해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그 신축정도에 따라 높낮이에 변동이 생기지 않고 완충력이 뛰어나 소음발생이 적으며 파손의 우려도 적을 뿐만 아니라 구조도 복잡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쉬운 복합식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가 적용된 교량의 부분 횡단면도 이고,
도 3a는 도 2의 I-I에서의 확대 종단면도,
도 3b는 도 2의 J-J에서의 확대 종단면도,
도 3c는 도 2의 K-K에서의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도 3b의 M-M에 따른 간격유지기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 간격유지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단면도,
도 6은 간격유지기의 다른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110 : 제 1핑거부재
120 : 제 1핑거부재지지구 130 : 제 2핑거부재
140 : 제 2핑거부재지지구 150 : 제 3핑거부재
160 : 중간레일 170 : 중간레일지지구
200, 200a : 간격유지기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는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되는 교량의의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두 상부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면서 두 상부구조물 사이에서 통과하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여 차량이 두 상부구조물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제 1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 2상부구조물을 향해 핑거와 핑거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1핑거부재, 제 1핑거부재를 제 1상부구조물에 고정하여 지지하여주는 제 1핑거부재지지구, 제 2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제 1핑거부재와 마주보고 설치되고 제 1상부구조물을 향해 핑거와 핑거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2핑거부재, 제 2핑거부재를 제 2상부구조물에 고정하여 지지하여주는 제 2핑거부재지지구,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의 양측을 향해 핑거가 삽입될 수 있는 핑거홈과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의 핑거홈에 결합될 수 있는 핑거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3핑거부재, 제 1핑거부재지지구와 제 2핑거부재지지구 사이에 배치되어 제 3핑거부재를 지지하여주는 중간레일,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에 설치되어 중간레일을 지지하여주고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는 중간레일지지구 및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신축되면서 중간레일의 수평위치를 잡아주는 레일 간격유지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제 1핑거부재지지구는 제 1상부구조물에 간격을 두고 파묻힌 앵커후프, 앵커후프에 결합된 브래킷, 브래킷에 탑재되어 제 1핑거부재를 지지하여주는 앵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 2핑거부재지지구는 제 2상부구조물에 간격을 두고 파묻힌 앵커후프, 앵커후프에 결합된 브래킷, 브래킷에 탑재되어 제 2핑거부재를 지지하여주는 앵글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제 1핑거부재와 그 아래쪽의 앵글부재 및 제 2핑거부재와 그 아래쪽의 앵글부재 사이에 구멍을 갖는 평판부재가 더 개재되고, 앵글부재와 중간레일 상단 부근 마주보는 부분에는 위쪽으로 개구되게 클립이 각각 부착되고, 마주보는 두 클립사이에는 그 끝단이 클립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평판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방수고무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레일지지구는 한 쌍이 제 1, 제 2상부구조물의 양측 부근에 각각 설치되고,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에 마주보고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양측 컨트롤박스에 걸쳐서 설치되고 중간레일을 지지하는 스포트 바, 컨트롤박스에 설치되어 스포트 바를 지지하고 컨트롤박스와 스포트 바 상호간의 유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드베어링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간격유지기는 제 1상부구조물 쪽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유단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링크들, 제 2상부구조물 쪽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자유단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제 2링크들 및 제 1링크의 자유단과 그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 2링크의 자유단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각각 연결되고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중간레일과 연결되어 중간레일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한 쌍의 제 3링크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링크와 제 2링크는 위에서 보았을 때 자유단 쪽이 일측으로 꺾어진 모양을 하고 있고, 제 3링크는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여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한 쌍의 제 1링크들은 양단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제 1상부구조물 쪽의 동일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한 쌍의 제 2링크들은 양단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제 2상부구조물 쪽의 동일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한 쌍의 제 3링크들은 제 1, 제 2링크들과 연결되는 양단과 서로의 교차지점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1링크들은 제 1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 1핑거부재지지구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1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지지되고, 한 쌍의 제 2링크들은 제 2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 2핑거부재지지구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2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지지되고, 한 쌍의 제 3링크들은 중간레일의 하단 제 3링크의 교차지점에 설치되는 제 3볼트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간격유지기는 일단은 제 1상부구조물 쪽과 제 2상부구조물 쪽에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고 그 타단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긴 링크들, 일단은 긴 링크들의 중간 부위에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고 그 타단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의 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레일에 연결된 한 쌍의 짧은 링크들을 구비하여 레일의 하중을 지지하지는 않으면서 레일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잡아주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가 적용된 교량의 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2의 I-I에서의 확대 종단면도, 도 3b는 도 2의 J-J에서의 확대 종단면도, 도 3c는 도 2의 K-K에서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1 ∼ 도3c에는 교량의 제 1상부구조물(10)과 제 2상부구조물(2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상부구조물(10)과 제 2상부구조물(20)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두 상부구조물(10, 20)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100)가 설치된다.
이 신축이음 장치(100)는 제 1상부구조물(10)의 상면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제 1핑거부재(110)와 이를 제 1상부구조물(10)에 고정하기 위한 제 1핑거부재지지구(120)를 구비한다.
제 1핑거부재(110)를 제 1상부구조물(10)에 고정하기 위한 제 1핑거부재지지구(120)는 제 1상부구조물(10)의 가장자리 부근에 묻히는 앵커후프(anchor hoop, 122)와 앵커후프(122)에 용접되어 제 1핑거부재지지구(120)를 잡아주는 브래킷(124)과 브래킷(124)에 탑재되어 제 1핑거부재(110)를 지지하여주는 앵글(126)로 이루어져 있다. 제 1핑거부재(110)는 볼트(128)를 통해 제 1핑거부재지지구(120)에 고정된다. 앵글(126)과 제 1핑거부재(110) 사이에는 평판부재(121)가 개재되어 있으며, 앵글(126)의 측면에는 위쪽으로 개구된 클립부재(12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핑거부재(110)는 제 2상부구조물(10)쪽으로 돌출되고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핑거(112)들과 이 핑거(112)들 사이에 형성되어 뒤에서 설명되는 제 3핑거부재(150)의 제 1핑거(1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핑거홈(114)과 각 핑거(112)들을 일체로 연결하며 제 1핑거부재지지구(1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볼트공(115)을 갖는 연결부(116)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100)는 제 2상부구조물(20)의 상면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제 2핑거부재(130)와 이를 제 2상부구조물(20)에 고정하기 위한 제 2핑거부재지지구(140)를 구비한다.
제 2핑거부재(130)는 제 1핑거부재(110)를 뒤집어놓은 형상과 동일하며, 핑거(132)와 핑거홈(134)과 연결부(136) 및 관통공(135)을 구비한다.
제 2핑거부재(130)를 제 2상부구조물(20)에 고정하기 위한 제 2핑거부재지지구(140)는 제 2상부구조물(20)의 가장자리 부근에 묻히는 앵커후프(anchor hoop, 142)와 앵커후프(142)에 용접되어 제 2핑거부재지지구(140)를 잡아주는 브래킷(144)과 브래킷(144)에 탑재되어 제 2핑거부재(130)를 지지하여주는 앵글(146)로 이루어져 있다. 제 2핑거부재(130)는 볼트(148)를 통해 제 2핑거부재지지구(140)에 고정된다. 앵글(146)과 제 2핑거부재(130) 사이에는 평판부재(141)가 개재되어 있으며, 앵글(146)의 측면에는 위쪽으로 개구된 클립부재(14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핑거부재(110)와 제 2핑거부재(130) 사이에는 제 3핑거부재(150)가 설치된다. 이 제 3핑거부재(150)는 제 1핑거부재(110)와 제 2핑거부재(130) 간의 간격을 메워주어 그 위를 통과하는 차량이 덜컹거림 없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3핑거부재(150)는 제 1핑거부재(110)의 핑거홈(114)을 향하는 제 1핑거(152)와 제 2핑거부재(130)의 핑거홈(134)을 향하는 제 2핑거(154)를 구비하여, 제 1핑거(152)와 제 1핑거(152)사이에 제 1핑거부재(110)의 핑거(112)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핑거홈(152)을 구비하고, 제 2핑거(154)와 제 2핑거(154) 사이에 제 2핑거부재(130)의 핑거(132)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핑거홈(155)을 구비한다. 제 1핑거(152)들과 제 2핑거(154)들 사이에 제 1핑거(152)들과 제 2핑거(154)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56)가 구비되고, 이 연결부(156)에는 간격을 두고 볼트공(157)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제 1핑거부재(110) ∼ 제 3핑거부재(150)는 상호 교차되는 부위의 핑거길이를 증가되는 신축량의 1/2만큼씩만 증가시키면 되므로 1개의 중간레일만으로도 폭넓은 신축량에 대응할 수 있다.
제 3핑거부재(150) 아래쪽으로 중간레일(160)이 배치되며 이 중간레일(160)에 제 3핑거부재(150)가 볼트(158)를 통해 고정된다. 이 중간레일(160)은 중간레일지지구(170)를 통해 지지된다. 중간레일지지구(170)는 제 1, 제 2상부구조물(10, 20)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컨트롤박스(control box, 172)들과 마주보는 두 컨트롤박스(172) 사이에 걸쳐져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컨트롤박스(172)와 상호 유동 가능케 설치된 스포트 바(support bar, 174)의 지지를 받는다. 스포트 바(174)는 슬라이드 베어링(176)의 지지를 받는다.
제 1핑거부재지지구(120)와 중간레일(160) 사이 및 제 2핑거부재지지구(140)와 중간레일(160) 사이에 빗물이나 찌꺼기가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실(rubber seal, 180)이 설치된다.
중간레일(160)의 좌우 중간부위에 중간레일(160)이 양측 두 상부구조물(10, 20)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기(200)가 설치된다. 이 간격유지기(200)와 관련하여서는 도 3b와 도 4∼도 5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b의 M-M에 따른 간격유지기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 간격유지기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3b와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간격유지기(200)는 제 1상부구조물(10) 쪽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자유단(211)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링크(210)들을 구비한다. 이 제 1링크(210)들은 그 고정단(212)과 자유단(211)에 각각 관통공(213)을 구비한다. 제 1링크(210)들은 고정단(212)의 관통공(213)을 통해 제 1상부구조물(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 1핑거부재지지구(12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1볼트(214)와 너트(215)를 통해 지지되어 제 1볼트(214)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이 제 1링크(210)들은 위에서 보았을 때 자유단(211)이 고정단(212)에 대해 직선이 아닌 소정 각도 꺾여진 모양을 하고 있다.
간격유지기(200)는 제 2상부구조물(20) 쪽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2링크(220)들을 구비한다. 이 제 2링크(220)들은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자유단(221)을 갖는다. 이 제 2링크(220)들 역시 그 고정단(222)과 자유단(221)에 각각 관통공(223)을 구비한다. 제 2링크(220)들은 고정단(222)의 관통공(223)을 통해 제 2상부구조물(2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 2핑거부재지지구(140)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2볼트(224)와 너트(225)를 통해 지지되어 제 2볼트(224)를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이 제 2링크(220)들 역시 위에서 보았을 때 자유단(221)이 고정단(222)에 대해 직선이 아닌 소정 각도 꺾여진 모양을 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기(200)는 적어도 한 쌍의 제 3링크(230)들을 구비한다. 이 제 3링크(230)들은 제 1, 제 2링크(210, 220)들과 연결되는 부위와 그 교차점에 관통공(233)을 각각 구비한다. 이 제 3링크(233)들은 제 1링크(210)의 자유단(211)과 그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 2링크(220)의 자유단(221)에 배치된 관통공(213, 223)에 결합되는 일반 육각머리 볼트(234)와 너트(235)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각각 연결되고 서로 교차된다. 이러한 제 3링크(230)들의 교차점에 형성된 관통공(237)에는 중간레일(16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 3볼트(234)가 삽입되고, 그 하단에서 너트(235)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 3링크(230)들은 그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꺾여진 모양을 하고 있다.
이 간격유지기(200)는 도 4의 상태에서 제 1상부구조물(10)과 제 2상부구조물(20)이 점점 수축하면 제 1볼트(210)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 2볼트(220)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제 1볼트(210)와 제 2볼트(220)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에 따라 제 1링크(210)들, 제 2링크(220)들 및 제 3링크(230)들은 각 지지점과 서로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되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 1상부구조물(10)과 제 2상부구조물(20)이 점점 팽창하면 제 1볼트(214)와 제 2볼트(224)의 간격은 서로 점점 좁아지고, 제 1링크(210)들, 제 2링크(220)들 및 제 3링크(230)들은 앞에서와는 역과정으로 각 지지점과 연결점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 간격유지기(200)에 의해 중간레일(160)은 제 1상부구조물(10)과 제 2상부구조물(20)사이의 중립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도 6은 간격유지기의 다른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긴 링크(210a)들과 짧은 링크(220a)들을 수직으로 상호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간격유지기(200a)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측의 긴 링크(210a)들의 일단은 제 1상부구조물(10)과 제 2상부구조물(20)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214a, 224a)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서로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중앙의 짧은 두 링크(220a)들의 일단은 긴 링크(210a)의 중앙부위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그 타단은 서로 회동 가능케 연결된 상태에서 레일(160)의 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162a)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 간격유지기(200a)는 레일(160)의 수평위치만 조절하고 레일(160)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나머지는 도 3b를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종래의 레일 타입의 신축이음장치 및 핑거 타입의 신축이음장치 대비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의 장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다.
표.
구분 레일 타입 신축이음장치 핑거타입 신축이음장치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신축량 증가에 따른 형태 ①. 중간 레일의 수량이 증가②. 증가된 중간 레일 수량만큼의 하부 서포트 바 및 지지박스 증가 ①. 양쪽 핑거의 길이 증가②. 핑거의 두께 증가 ①. 중간 핑거 길이 1/2증가②. 가장자리 핑거 길이 1/2증가
안정성 및 소음도 ①. 각각의 레일이 차륜에 개별적으로 충격되어짐으로 인해 레일에 과도한 하중 발생과 이에 다른 고소음 발생②. 주행성이 떨어짐 ①. 차륜의 접촉부위의 분산으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 확보 및 소음의 저감②. 주행성 양호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와 동일
적용가능 신축량 80∼1200㎜ 80∼400㎜ 80∼1200㎜
경제성 및 생산성 신축량이 커질수록 상·하부의 원자재, 부자재 소요량과 비용증가 및 구조적 복잡성으로 인한 생산효율 저감 구조의 단순함으로 인한 생산효율이 높음 신축량이 커지더라도 중간 레일의 수량은 동일하므로 원자재, 부자재 절감 및 생산 효율 증대
즉, 본 고안에 따른 복합식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레일 타입 신축이 음장치의 장점과 핑거 타입 신축이음장치의 장점만을 취하여 중간레일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핑거의 길이만 증가시켜 교량상부구조물의 폭넓은 범위의 신축량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앞에서 설명한 제 1핑거부재, 제 2핑거부재, 제 3핑거부재의 교체만으로도 마주보고 배치된 상부구조물이 신축량이 80∼1200㎜ 범위를 가지는 교량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수월하고, 그를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복잡하지도 않다. 또, 차량의 차륜이 통과되는 부위는 제 1∼제 3핑거부재가 서로 교차된 상태로 차륜을 받쳐주므로 소음발생이 적고 주행성이 양호하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하방향으로의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차량통과 시의 충격을 완충하여주기 때문에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그 신축정도에 따라 높낮이가 달라지지도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고안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되는 교량의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두 상부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면서 상기 두 상부구조물 사이에서 통과하는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여 상기 차량이 두 상부구조물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상부구조물을 향해 핑거와 핑거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1핑거부재;
    상기 제1핑거부재를 상기 제 1상부구조물에 고정하여 지지하여주는 제 1핑거부재지지구;
    상기 제 2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 1핑거부재와 마주보고 설치되고 상기 제 1상부구조물을 향해 핑거와 핑거홈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2핑거부재;
    상기 제 2핑거부재를 상기 제 2상부구조물에 고정하여 지지하여주는 제 2핑거부재지지구;
    상기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의 양측을 향해 상기 핑거가 삽입될 수 있는 핑거홈과 상기 제 1핑거부재와 제 2핑거부재의 핑거홈에 결합될 수 있는 핑거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제 3핑거부재;
    상기 제 1핑거부재지지구와 제 2핑거부재지지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3핑거부재를 지지하여주는 중간레일;
    상기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레일을 지지하여주고 상기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의 신축을 허용하는 중간레일지지구;
    상기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신축되면서 상기 중간레일의 수평위치를 잡아주는 레일 간격유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핑거부재지지구는 상기 제 1상부구조물에 간격을 두고 파묻힌 앵커후프, 상기 앵커후프에 결합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탑재되어 상기 제 1핑거부재를 지지하여주는 앵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핑거부재지지구는 상기 제 2상부구조물에 간격을 두고 파묻힌 앵커후프, 상기 앵커후프에 결합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탑재되어 상기 제 2핑거부재를 지지하여주는 앵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핑거부재와 그 아래쪽의 앵글부재 및 상기 제 2핑거부재와 그 아래쪽의 앵글부재 사이에 구멍을 갖는 평판부재가 더 개재되고, 상기 앵글부재와 중간레일 상단 부근 마주보는 부분에는 위쪽으로 개구되게 클립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마주보는 두 클립 사이에는 그 끝단이 상기 클립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평판부재에 의해 눌려지는 방수고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레일지지구는 한 쌍이 상기 제 1, 제 2상부구조물의 양측 부근에 각각 설치되고, 제 1상부구조물과 제 2상부구조물에 마주보고 설치되는 컨트롤박스, 상기 양측 컨트롤박스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중간레일을 지지하는 스포트 바,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스포트 바를 지지하고 상기 컨트롤박스와 스포트 바 상호간의 유동을 허용하는 슬라이드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기는 상기 제 1상부구조물 쪽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자유단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링크들, 상기 제 2상부구조물 쪽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자유단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제 2링크들 및 상기 제 1링크의 자유단과 그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제 2링크의 자유단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각각 연결되고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상기 중간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중간레일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한 쌍의 제 3링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링크와 제 2링크는 위에서 보았을 때 자유단 쪽이 일측으로 꺾어진 모양을 하고 있고, 상기 제 3링크는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여진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 1링크들은 양단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 1상부구조물 쪽의 동일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 2링크들은 양단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 2상부구조물 쪽의 동일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 3링크들은 상기 제 1, 제 2링크들과 연결되는 양단과 서로의 교차지점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링크들은 상기 제 1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 1핑거부재지지구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1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링크들은 상기 제 2상부구조물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 2핑거부재지지구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 2볼트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제 3링크들은 상기 중간레일의 하단 상기 제 3링크의 교차지점에 설치되는 제 3볼트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기는 일단은 상기 제 1상부구조물 쪽과 제 2상부구조물 쪽에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고 그 타단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긴 링크들. 일단은 상기 긴 링크들의 중간 부위에 회동 가능케 각각 설치되고 그 타단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의 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기 레일에 연결된 한 쌍의 짧은 링크들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의 하중을 지지하지는 않으면서 상기 레일의 수평방향의 위치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KR20-2004-0026167U 2004-09-11 2004-09-11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KR200371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67U KR200371566Y1 (ko) 2004-09-11 2004-09-11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67U KR200371566Y1 (ko) 2004-09-11 2004-09-11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590A Division KR100579200B1 (ko) 2003-05-22 2003-05-22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566Y1 true KR200371566Y1 (ko) 2005-01-14

Family

ID=4935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167U KR200371566Y1 (ko) 2004-09-11 2004-09-11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5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67A (ko) 2017-09-14 2019-03-2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2103574B1 (ko) * 2019-07-03 2020-04-22 주식회사 큐디앤 핑거조인트, 핑거조인트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핑거지지판과 그 제조방법
KR102520638B1 (ko) * 2022-10-31 2023-04-1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WO2023191347A1 (ko) * 2022-04-01 2023-10-0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무배수시트 타입 신축이음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467A (ko) 2017-09-14 2019-03-2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신축이음장치용 서포트빔의 방진커버
KR102103574B1 (ko) * 2019-07-03 2020-04-22 주식회사 큐디앤 핑거조인트, 핑거조인트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핑거지지판과 그 제조방법
WO2023191347A1 (ko) * 2022-04-01 2023-10-05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무배수시트 타입 신축이음장치
KR20230142252A (ko) * 2022-04-01 2023-10-11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무배수시트 타입 신축이음장치
KR102587939B1 (ko) * 2022-04-01 2023-10-1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무배수시트 타입 신축이음장치
KR102520638B1 (ko) * 2022-10-31 2023-04-1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6183A1 (en) Large Resisting Distortion and Modularized Comb-Type Bridge Expansion Joint
KR200371566Y1 (ko)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KR1005792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WO2023024687A1 (zh) 一种低噪声桥梁聚合物伸缩装置
CN106758592B (zh) 一种轨枕抓取装置及道床线路施工与维护装置
KR101399839B1 (ko) 철도교량 단부 횡단 궤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32475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기
KR100658535B1 (ko) 신축이음장치
US6581848B1 (en) Sleeper frame for a rail system for rail-mounted vehicles, especially for a ballasted track
CN220503652U (zh) 一种拱形跨座式单轨梁桥
CN205443925U (zh) 模块化、大转角、多向变位伸缩装置以及桥梁
JP6467282B2 (ja) 桁たわみ低減装置
KR20020033992A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ES2943310T3 (es) Aguja
CN1391006A (zh) 特大位移量梳齿桥梁伸缩装置
KR100874463B1 (ko) 보행용 교량의 가동단 구조
CN107858874B (zh) 一种柔性单轨道岔梁阻尼支撑系统
CN216156348U (zh) 一种伸缩缝装置
CN216786813U (zh) 多向变位模数伸缩装置
JP4296981B2 (ja) 防風フェンス
CN218951949U (zh) 隐藏式伸缩缝结构
KR200352102Y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CN110468700B (zh) 一种桥梁用多功能伸缩缝装置
CN113818341A (zh) 一种伸缩缝装置
KR10089635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