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372A - 농작업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작업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372A
KR20140005372A KR1020137032597A KR20137032597A KR20140005372A KR 20140005372 A KR20140005372 A KR 20140005372A KR 1020137032597 A KR1020137032597 A KR 1020137032597A KR 20137032597 A KR20137032597 A KR 20137032597A KR 20140005372 A KR20140005372 A KR 20140005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agricultural
package
agricultural machine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미우라
요시토모 후지모토
가즈히로 다카하라
이사오 다나카
야스히사 우오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0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Abstract

농업 기계에 있어서의 농작업 중에 당해 농작업에 대응한 작업 계획 혹은 작업 실적 등의 정보를 간단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2)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하나의 농업 기계와는 다른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지원 시스템이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3)와, 데이터 베이스(3)의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4)과,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농작업 지원 시스템 {FARM OPERATION SUPPORT SYSTEM}
본 발명은, 트랙터, 콤바인 등의 농업 기계에 의해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곡물의 생산성, 재배 계획을 높이기 위해, 재배 정보 등을 수집하여 활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재배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하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쌀의 생산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우선, 생육 단계에서 얻어지는 시비량을 포함하는 재배 정보와, 수확한 쌀의 단백질량을 포함하는 품질 특성 정보와, 쌀 종류 등을 수집하여 각 정보를 관련짓는다. 그리고 각 정보를 정리 해석한 후에, 정리 해석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83477호 공보
상세하게는, 특허문헌 1에서는, 우선, 수확한 곡물을 곡물 처리 시설에 반입하고, 곡물 처리 시설에서 곡물의 성분 분석을 행한 후, 성분 분석하여 얻어진 품질 특성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에 입력한다. 또한, 곡물을 생산하였을 때의 재배 정보도 퍼스널 컴퓨터에 입력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재배 정보 및 품질 특성 정보를 정리하고, 정리한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한 프린터에 출력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정리한 데이터를 프린터에 출력함으로써, 생산자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농작업에 적응한 데이터를 농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에 얻는 것이 어려워, 제공된 데이터를 농작업을 행하는 현장에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농업 기계에 있어서의 농작업 중에 당해 농작업에 대응한 작업 계획 혹은 작업 실적 등의 정보를 간단하게 알릴 수 있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포장(圃場)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실적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실적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收量)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인 질소 시비량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질소 시비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인 질소 시비량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질소 시비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 및 5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사용하여 다른 농업 기계에서 농작업할 때의 작업 계획을 간단하게 세울 수 있고, 또한 작업 계획을 다른 농업 기계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농작업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좋은 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 및 6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다른 농업 기계에서 농작업할 때에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 농작업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좋은 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 및 7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농작업의 작업 실적을 사용하여 작업 계획을 간단하게 세울 수 있고, 또한 작업 계획을 다른 농업 기계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농작업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좋은 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 및 8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농작업의 작업 실적을, 농업 기계에서 농작업할 때에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 농작업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보다 좋은 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농작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콤바인과 트랙터의 연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작업 실적과 작업기 위치를 관련지은 실적 위치 테이블을 작성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작업 실적 테이블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포장 번호, 목표 수량, 목표 식미(食味)값, 수량 가중치 계수, 식미 가중치 계수, 기준 시비량을 입력하는 설정 입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질소 시비량과 포장 정보를 보존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설명도이다.
도 7은 포장 번호를 입력하는 요구 입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외부 단말의 기능을 휴대 단말에 설치한 경우의 농작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농작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도이다.
도 10은 포장 번호, 연도, 평균의 유무 등을 입력하는 요구 입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포장 특성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포장 번호, 목표 수량, 목표 식미값, 수량 가중치 계수, 식미 가중치 계수, 기준 시비량 및 포장 특성을 입력하는 설정 입력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데 있어서는, 과거의 농작업의 실적(작업 실적이라 함) 등을 참고로 작업 계획을 세워, 작업 계획에 따라 농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작업 계획은, 농작업을 행하기 전에, 퍼스널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작업 실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세운다. 혹은, 농작업을 행할 때에, 농작업자(생산자)가 과거의 작업 실적을 참조하여, 참조한 작업 실적과 생산자의 노하우에 기초하여 농작업과 동시에 정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농작업 지원 시스템에서는, 농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 계획을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선, 미리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데이터 수집 장치(데이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해 두고, 그 후, 수집한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작업 계획을 연산하여 농업 기계에 출력하거나, 혹은 수집한 작업 실적을 정리하여 포장에서 작업하는 농업 기계에 출력한다.
이하, 농작업 지원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농작업 지원 시스템의 전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업 지원 시스템(1A)은,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데이터 수집 수단)(2)와,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여 보존하는 데이터 베이스(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농작업 지원 시스템(1)은,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된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4)과,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2)는, 농업 기계의 하나인 콤바인(10)에 탑재되고, 데이터 베이스(3), 작업 계획 연산 수단(4) 및 데이터 출력 수단(5)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단말(11)에 구비되어 있다. 이 농작업 지원 시스템(1)에서는, 데이터 수집 장치(2)에 의해 수집한 콤바인(10)의 작업 실적을 휴대 단말(12)을 통해 외부 단말(11)에 송신하고, 외부 단말(11)의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한다. 그리고 외부 단말(11)의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된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에 의해 작업 계획을 연산하고, 연산한 작업 계획을, 데이터 출력 수단(5)에 의해, 콤바인(10)과는 다른 트랙터(13)에 송신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업 지원 시스템(1A)은,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10)]와, 다른 농업 기계[트랙터(13)]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시스템이며, 우선,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10)]에 의해 농작업을 행하였을 때에 작업 실적을 수집한다. 그리고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10)]에 있어서의 작업 실적을 사용하여 다른 농업 기계[트랙터(13)]에 의해 작업할 때의 작업 계획을 세워, 이 작업 계획을 다른 농업 기계[트랙터(13)]에 출력한다. 이 농작업 지원 시스템에서는, 당연히, 농업 기계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무선 통신 기기[근거리의 무선 통신이며, 예를 들어 WiFi(R), Bluetoooth(R), ZigBee(R) 등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기기]를 구비하고 있고, 휴대 단말(12)이나 외부 단말(11)과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2)는, 비휘발성 메모리(기억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15)는, 콤바인(10)을 조작하였을 때의 다양한 작업 실적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콤바인(10)에는, 수확한 곡물의 단백질을 검출하는 식미 센서(20)가 설치되는 동시에, 수확한 곡물의 수확량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21)가 설치되어 있고, 데이터 수집 장치(2)는, 식미 센서(20)에서 검출한 단백질(식미, 단백질 함유율) 및 수량 센서(21)에서 검출한 수확량(수량)을, 작업 실적으로서 일시적으로 기억부(15)에 보존한다.
휴대 단말(12)은, 태블릿 PC나 전화 기능을 갖는 스마트 폰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다양한 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능과, 당해 휴대 단말(12)의 위치를 취득 가능하게 하기 위해 측위 위성(22)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기능(위치 검출부)(23)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검출부(23)는, 휴대 단말(12)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검출부(23)는, 위성 측위 시스템의 하나인 GPS 등에 의해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측위 위성(22)(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신호(GPS 위성의 위치, 송신 시각, 보정 정보 등)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휴대 단말(12)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를 구한다. 휴대 단말(12)을, 콤바인(10)에 탑재하면, 휴대 단말(12)의 위치가 콤바인(10)의 위치(작업기 위치라 함)로 된다. 이 작업기 위치는, 어디의 포장에서 작업 실적을 수집(취득)하였는지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을 갖고 콤바인(10)에 승차하여, 콤바인(10)을 작동시키면, 데이터 수집 장치(2)에 의해 콤바인(10)의 작업 실적을 취득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12)에 의해 콤바인(10)의 작업기 위치도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 실적을 취득하였을 때의 작업기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이 작업기 위치와 포장의 위치를 대조함으로써, 작업 실적을 수집한 포장도 특정할 수 있다. 콤바인(10)에서 취득한 작업 실적 및 휴대 단말(12)에서 취득한 작업기 위치는, 외부 단말(11)에 송신되고, 당해 외부 단말(11)에 의해 작업 실적이 어디의 포장인지 판단되어, 포장마다 작업 실적이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세하게는, 콤바인(10)을 작동시켜 수확한 경우, 데이터 수집 장치(2)로부터 휴대 단말(12)을 향해 작업 실적(단백질, 수량)이 송신되는 동시에, 작업 실적을 취득한 데이터 취득 시각이 휴대 단말(12)을 통해 외부 단말(11)에 송신된다. 한편,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로부터 콤바인(10)의 작업기 위치 및 작업기 위치를 취득한 시각(위치 취득 시각)도 외부 단말(11)에 송신된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단말(11)은, 작업 실적, 데이터 취득 시각, 작업기 위치 및 위치 취득 시각을 수신하면, 데이터 취득 시각과 위치 취득 시각을 대조하고, 데이터 취득 시각과 위치 취득 시각이 일치하는 시각에 있어서의 작업 실적과 작업기 위치를 관련짓고, 작업 실적과 작업기 위치를 관련지은 실적 위치 테이블을,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한다.
다음에, 외부 단말(11)은, 실적 위치 테이블의 작업기 위치와, 포장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장 맵(위도, 경도)을 대조하고, 콤바인(10)에서 취득한 작업 실적과 포장 맵상의 포장을 관련짓는다. 예를 들어, 실적 위치 테이블의 작업기 위치와 포장 맵에 나타난 포장이 서로 겹치는 경우(포장 맵상의 포장 내에 작업기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당해 포장에 겹치는 작업 위치에 대응하는 작업 실적은, 겹친 포장에서 취득한 것으로 판단되고, 겹친 포장과 작업 실적이 관련지어진다.
그리고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단말(11)은, 겹친 포장을 특정하는 포장 번호와, 작업 실적을 관련짓고, 포장 번호와 작업 실적을 관련지은 제1 작업 실적 테이블(T1)을 작성하고, 이 제1 작업 실적 테이블(T1)을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한다.
여기서, 매년, 컴바인(10)에 의해 곡물류를 수확할 때마다 작업 실적을 수집하여, 작업 실적과 포장을 관련지으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년도 뿐만 아니라 수년분의 작업 실적을 갖는 제2 작업 실적 테이블(T2)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작업 실적 테이블(T1), 제2 작업 실적 테이블(T2)은, 하나의 포장에 대해 복수의 작업 실적(단백질, 수확량)이 존재하는 데이터군으로 되어 있지만,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포장에 있어서의 단백질을 평균하여, 그 평균값을 포장에 있어서의 단백질의 대표값으로 하고, 하나의 포장에 있어서의 수량(㎏/10a, 가마/10a)을 산출하고, 단백질의 대표값과 수량(㎏/10a, 가마/10a)을 갖는 제3 작업 실적 테이블(T3)을 데이터 베이스에 작성해도 된다.
데이터 베이스(3)는, 상술한 제1 작업 실적 테이블(T1), 제2 작업 실적 테이블(T2), 제3 작업 실적 테이블(T3) 모두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 제1 작업 실적 테이블(T1), 제2 작업 실적 테이블(T2), 제3 작업 실적 테이블(T3)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실적 테이블(T2)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작업 실적 테이블(T1), 제2 작업 실적 테이블(T2), 제3 작업 실적 테이블(T3)을 작성할 때에 데이터 취득 시각(혹은, 위치 취득 시각)을 관련지어 데이터 베이스(3)에 작성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후일이어도 농작업을 행하였을 때의 일시(작업 실적의 일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계획을 행할 때에 더욱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농작업 지원 시스템(1)에서는, 복수의 포장 중, 콤바인(10)이 포장 B에서 농작업(수확)을 하였을 때는, 당해 포장 B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취득할 수 있고, 콤바인(10)이 포장 D에서 농작업(수확)을 하였을 때는, 당해 포장 D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취득할 수 있다. 이들 포장 B에 있어서의 작업 실적과, 포장 D에 있어서의 작업 실적을, 작업 실적 테이블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실적과 작업기 위치가 관련지어진 실적 위치 테이블의 작성은, 외부 단말(11) 대신에 휴대 단말(12)에서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포장에서의 농작업이 종료되었을 때에, 데이터 수집 장치(2)로부터 휴대 단말(12)로 작업 실적 및 데이터 취득 시각을 일괄하여 송신한다. 휴대 단말(12)은, 데이터 수집 장치(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취득 시각과, 작업 실적을 수집하고 있을 때에 미리 보존하고 있었던 위치 취득 시각을 대조한다. 그리고 외부 단말(11)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취득 시각과 위치 취득 시각이 일치하는 시각에 있어서의 작업 실적과 작업기 위치를 관련짓고, 작업 실적과 작업기 위치가 관련지어진 데이터를, 실적 위치 테이블이라 한다. 이와 같이 작성한 실적 위치 테이블을, 휴대 단말(12)로부터 외부 단말(11)에 송신하면, 데이터 베이스(3)에 실적 위치 테이블을 보존할 수 있다.
그런데,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은,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포장마다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것으로, 외부 단말(11)에 저장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단말(11)의 표시부(모니터)에는, 작업 계획의 하나인 시비량(예를 들어, 질소 시비량)을 연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포장 번호, 목표 수량, 목표 식미값, 수량 가중치 계수 α, 식미 가중치 계수 β, 기준 시비량 S)를 입력하는 설정 입력 화면(S1)이 표시된다.
설정 입력 화면(S1)에 있어서, 포장 번호라 함은, 시비량을 계산하는 포장을 지정하는 것이고, 목표 수량이라 함은, 지정한 포장에 있어서의 목표한 수량을 설정하는 것이고, 목표 식미값이라 함은, 지정한 포장에 있어서의 목표한 식미를 지정하는 것이다. 수량 가중치 계수 α라 함은, 시비량을 계산하는 데 있어서 수량의 중요도를 설정하는 것이고, 식미 가중치 계수 β라 함은, 시비량을 계산하는 데 있어서 식미의 중요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수량과 식미는, 상반되는 관계에 있어, 수량의 중요도(α)를 증가시키면 식미의 중요도(β)가 감소하고, 식미의 중요도(β)를 증가시키면, 수량의 중요도(α)가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생산자는, 질소 시비량(작업 계획)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상반되는 수량과 식미의 밸런스를 생각하여, 수량 가중치 계수 α나 식미 가중치 계수 β를 설정한다.
기준 시비량 S라 함은, 질소 시비량을 구하는 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이미 포장에 존재하는 질소량(포장 1반당 질소량)을 고려하여 구해지는 것으로, 포장 1반당 요망되는 표준적인 질소량으로부터 포장 중의 질소량을 감산하여, 기준으로 되는 시비 기준량 S를 구한다. 예를 들어, 포장 1반당 요망되는 표준적인 질소량이 12.0㎏/10a이며, 포장 중의 질소량이 8.50㎏/10a이었던 경우, 시비 기준량 S는, 12.0㎏/10a으로부터 8.50㎏/10a을 감산한 값 3.50㎏/10a으로 된다. 또한, 기준 시비량 S는, 상술한 산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생산자가 곡물의 품종 등도 고려하여 설정해도 된다.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은, 설정 입력 화면(S1)에 입력된 정보(포장 번호, 목표 수량, 목표 식미값, 수량 가중치 계수 α, 식미 가중치 계수 β)와,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된 식미 및 수량(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지정된 포장에 살포하는 질소 시비량을 작업 계획으로 하여 연산한다.
이하,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은, 수량차 산출부(30), 식미차 산출부(31), 수량차 보정부(32), 식미차 보정부(33) 및 시비량 설정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수량차 산출부(30), 식미차 산출부(31), 수량차 보정부(32), 식미차 보정부(33) 및 시비량 설정부(34)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량차 산출부(30)는, 다음 식 (1)에 기초하여, 설정 입력 화면(S1)에 입력된 수량의 목표값(목표 수량) YO와, 데이터 베이스(3)에 저장된 수량의 실적값(실적 수량) YP의 차인 수량차를 산출한다.
Figure pct00001
상세하게는, 수량차 산출부(30)는, 설정 입력 화면(S1)에서 포장 번호가 입력되면, 이 포장 번호에 대응하는 포장에 있어서의 전년의 수량을 데이터 베이스(3)로부터 취득하고, 전년의 수량을 실적 수량 YP로 하여 채용한다. 또한, 수량차 산출부(30)는, 전년의 수량을 데이터 베이스(3)로부터 취득하는 대신에, 복수년의 수량을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년의 수량의 평균값을 실적 수량 YP로 해도 되고, 각 년의 수량에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산출한 가중치 평균값을 실적 수량 YP로 해도 된다.
그리고 수량차 산출부(30)는, 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 입력 화면(S1)에 입력된 목표 수량 YO로부터 실적 수량 YP를 감산함으로써, 수량차를 산출한다.
식미차 산출부(31)는, 식 (2)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3)에 저장된 식미의 실적값(실적 식미값) QP와, 설정 입력 화면(S1)에 입력된 단백질 함유량(식미값)의 목표값(목표 식미값) QO의 차인 식미차를 산출한다.
Figure pct00002
상세하게는, 식미차 산출부(31)는, 설정 입력 화면(S1)에서 포장 번호가 입력되면, 수량차 산출부(30)와 동일하게, 이 포장 번호에 대응하는 포장에 있어서의 전년의 식미를 데이터 베이스(3)로부터 취득하고, 전년의 식미를 실적 식미값 QP로 하여 채용한다. 또한, 식미차 산출부(31)는, 전년의 식미를 데이터 베이스(3)로부터 취득하는 대신에, 복수년의 식미를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년의 식미의 평균값을 실적 식미값 QP로 해도 되고, 각 년의 수량에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산출한 가중치 평균값을 실적 식미값 QP로 해도 된다.
그리고 수량차 산출부(30)는, 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적 식미값 QP로부터 설정 입력 화면(S1)에 입력된 목표 식미값 QO를 감산함으로써, 식미차를 산출한다.
수량차 보정부(32)는, 식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량차 산출부(30)에서 산출한 수량차(YO-YP)에, 설정 입력 화면(S1)에서 입력된 수량 가중치 계수 α를 곱함으로써, 수량차의 중요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3
식미차 보정부(33)는, 식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미차 산출부(31)에서 산출한 식미차(QP-QO)에, 설정 입력 화면(S1)에서 입력된 식미 가중치 계수 β를 곱함으로써, 식미차의 중요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4
시비량 설정부(34)는, 수량차 보정부(32)에서 산출한 보정 수량차 α(YO-YP)와, 식미차 보정부(33)에서 산출한 보정 식미차 β(QP-QO)를, 식 (5)에 적용함으로써, 질소 시비량 N(㎏/10a)을 구하는 것이다.
Figure pct00005
그런데, 시비 기준량 S의 단위는 「㎏/10a」이며, 수량차(YO-YP)의 단위는 「가마/10a」이며, 식미차(QP-QO)의 단위는「%」이며, 시비 기준량 S, 수량차(YO-YP), 식미차(QP-QO)는, 각각 다른 단위의 값이지만, 식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식을 구축함으로써, 질소 시비량 N(㎏/10a)을 정할 수 있다. 식 (5)를 참조하면, α(YO-YP)는, 시비 기준량 S를 수량의 관점으로부터 보정하는 보정항이며, 목표 수량 YO를 실현하기 위해 증량해야 하는, 또는 감량해야 하는 질소 시비량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β(QP-QO)는, 시비 기준량 S를 식미값의 관점으로부터 보정하는 보정항이며, 목표 식미값 QO를 실현하기 위해 감량해야 하는, 또는 증량해야 하는 질소 시비량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식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비 기준량 S에 대해, 수량차 α(YO-YP)를 가산하고, 식미차 β(QP-QO)를 감산함으로써, 수량차 α(YO-YP)에 의한 질소 시비량의 증감분과, 식미차 β(QP-QO)에 의한 질소 시비량의 증감분을 가미한 질소 시비량 N을 구할 수 있다. 질소 시비량을 구할 때는, 목표 수량, 실적 수량, 실적 식미값, 목표 식미값 및 시비 기준량 S의 단위를 무시하고, 이들 값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식 (5)에서는, 질소 시비량 N을 구하는 데에 있어서, 수량과 식미의 밸런스를 설정하기 위해, 수량 가중치 계수 α(O≤α≤1)와 식미 가중치 계수 β(O≤β≤1)의 합(α+β)은 1로 하고 있다. 「α+β=1」로 함으로써, 수량 및 식미의 한쪽에 큰 가중치 부여를 행하면 다른 쪽의 가중치가 작아져, 수량과 식미가 상반되는 관계를 보다 적절하게 반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량 가중치 계수 α와 식미 가중치 계수 β는, 모두 정의 값으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량을 1반당 수확된 가마수로 나타내고 있지만, 수량을 1반당 수확된 중량(㎏)으로 나타내도 된다. 목표 수량 YO와 실적 수량 YP를 1반당 중량(㎏/10a)을 단위로 하여 나타내는 경우, 목표 수량 YO와 실적 수량 YP를 그대로의 단위로 식 (1)에 적용하고, 얻어진 수량차를 1가마당 중량인 60㎏으로 나누면, 식 (1)에서 얻어진 수량차의 단위 「㎏/10a」을 단위「가마/10a」로 변환할 수 있다.
식 (5)에 의해 질소 시비량 N을 구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질소 시비량 N(㎏/10a)은, 포장에 관한 포장 정보(포장 번호, 포장명, 포장 면적 등)에 관련지어지고, 포장마다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된다.
이와 같이 농작업 지원 시스템(1)에서는, 콤바인(10)에 의해 쌀이나 보리 등 곡물류를 수확할 때에, 콤바인(10)에 탑재한 데이터 수집 장치(2)에 의해 수확량이나 식미 등의 작업 실적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작업 실적은, 외부 단말(11)의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되고,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에 의해 포장마다 질소 시비량인 작업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작업 계획(질소 시비량)은, 포장마다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되는 점에서, 포장에서 시비를 실시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농작업 지원 시스템(1)은, 작업 계획(질소 시비량)을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 수단(6)과, 이 데이터 요구 수단(6)에서 요구된 작업 계획(질소 시비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요구 수단(6)은,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고, 데이터 출력 수단(5)은, 외부 단말(11)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요구 수단(6)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의 표시부(모니터)에는, 작업 계획을 요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포장 번호)를 입력하는 요구 입력 화면(S2)이 표시된다. 요구 입력 화면(S2)에 있어서의 포장 번호라 함은, 작업 계획을 취득하고자 하는 포장을 지정하는 것이며, 생산자는, 트랙터(13)에 의해 비료를 살포할 때에, 살포하는 포장에 대응하는 포장 번호를 입력한다.
요구 입력 화면(S2)에 포장 번호를 입력하면, 데이터 요구 수단(6)은, 무선 통신 등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3)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에, 포장 번호 및 작업 계획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데이터 출력 수단(5)은, 데이터 요구 수단(6)으로부터의 포장 번호 및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베이스(3)를 참조하여 포장 번호에 대응하는 질소 시비량을 추출하고, 추출한 질소 시비량과 포장 정보(포장 번호, 포장명, 포장 면적 등)를, 휴대 단말(12)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12)은, 질소 시비량 및 포장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질소 시비량 및 포장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트랙터(13)에 연결한 비료 살포 장치(37)에 의해 비료 살포를 행할 때, 생산자가 휴대 단말(12)을 소지하여 트랙터(13)에 승차하면, 트랙터(13)에 승차한 생산자에 대해 질소 시비량 등을 통지할 수 있다. 생산자는, 휴대 단말(12)에 표시된 질소 시비량, 포장 정보(포장 면적 등), 비료에 포함되는 질소 성분값%를 참고로, 포장에 살포하는 시비량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시비량으로 되도록 비료 살포 장치(37)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작업 계획에 대응하는 시비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질소 시비량(작업 계획)을 휴대 단말(12)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포장에서 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예를 들어, 트랙터(13)]의 운전석의 주위에 설치된 표시 장치(예를 들어, 미터 패널)에, 질소 시비량(작업 계획)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13) 혹은 외부 단말(11)로부터, 트랙터(13)에 작업 계획 및 포장 정보를 송신하면 되고, 트랙터(13)의 표시 장치는, 작업 계획 및 포장 정보의 수신 후에, 작업 계획 및 포장 정보를 표시하면 된다.
혹은, 휴대 단말(12)은, 질소 시비량, 포장 정보 중 질소 시비에 필요한 정보(포장 면적, 비료에 포함되는 질소 성분값)를, 비료 살포 장치(37)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8)에 출력하여, 제어 장치(38)에 의한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비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38)는, 휴대 단말(12)을 통해 질소 시비량 및 포장 면적을 수신하면, 질소 시비량, 포장 면적, 비료에 포함되는 질소 성분값으로부터, 당해 포장에 살포하는 시비량을 구하고, 비료 살포 장치(37)를 제어한다. 또한, 비료에 포함되는 질소 성분값%는, 휴대 단말(12)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작업 계획인 질소 시비량이, 「3.85475㎏/10a」이며, 포장 면적이 10a, 살포하는 비료의 질소 함유율이 14%인 경우, 질소 시비량(3.85475㎏/10a)을 14%로 나누어 얻어진 값, 약 27.5340㎏/10a이, 포장에 살포하는 시비량으로 된다. 제어 장치(38)는, 포장에 있어서의 시비량이, 27.5340㎏/10a으로 되도록, 포장 내의 주행 거리에 따라 비료 살포 장치(37)에 의한 단위 시간당의 시비량을 조정하거나, 포장 내의 트랙터(13)의 속도에 따라 비료 살포 장치(37)에 의한 단위 시간당 시비량을 조정한다. 또한, 작업 계획인 질소 시비량으로 되도록, 비료 살포 장치(37)를 제어하면 되므로, 비료 살포 장치(37)의 제어 등은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농작업 지원 시스템(1)에 따르면, 트랙터(13)에 의해 비료 살포를 행할 때, 예를 들어 생산자가 휴대 단말(12)을 소지하여 트랙터(13)에 승차하면, 작업 계획에 따라 간단하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비료를 살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리하면, 농작업 지원 시스템(1)에서는, 데이터 수집 장치(2)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10)]와,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10)]와는 다른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트랙터(13)]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10)]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3)와, 데이터 베이스(3)의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4)과, 다른 농업 기계[트랙터(13)]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5)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10)]에 의한 농작업의 결과(작업 실적)를, 다른 농업 기계[트랙터(13)]에 의한 농작업에 활용할 수 있어, 트랙터(13)에 의한 농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12)과 외부 단말(11)을 각각으로 구성하고 있었지만, 외부 단말(11)의 기능을 휴대 단말(12)에 설치해도 된다. 즉, 도 8의 농작업 지원 시스템(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3), 작업 계획 연산 수단(4), 데이터 요구 수단(6) 및 데이터 출력 수단(5)을 휴대 단말(12)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상술한 외부 단말을 휴대 단말로 바꿔 읽음으로써, 휴대 단말(12)의 동작으로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휴대 단말(12)의 기능을 하나의 농업 기계(콤바인)에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의 위치 검출부(23)와, 실적 위치 테이블의 기능을 콤바인(10)에 마련하고, 콤바인(10)으로부터 실적 위치 테이블을 외부 단말(11)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혹은, 콤바인(10)에 전화 회선 통신망과 통신 가능한 기능을 마련하여, 데이터 수집 장치(2)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외부 단말(11)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를 변형한 것이며, 작업 계획을 트랙터(13)에 출력하는 대신에, 데이터 베이스(3)에 보존된 작업 실적을 트랙터(13)에 출력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농작업 지원 시스템(1C)에서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작업 실적을 요구하는 데이터 요구 수단(40)과, 이 데이터 요구 수단(40)에서 요구된 작업 실적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41)을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 요구 수단(40)은, 예를 들어 휴대 단말(12)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고, 데이터 출력 수단(41)은, 외부 단말(11)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요구 수단(40)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2)의 표시부(모니터)에는, 작업 실적을 요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포장 번호, 연도, 평균의 유무 등)를 입력하는 요구 입력 화면(S3)이 표시된다. 요구 입력 화면(S3)에 있어서의 포장 번호라 함은, 작업 실적을 취득하고자 하는 포장을 지정하는 것이며, 생산자는, 트랙터(13)에 의해 비료를 살포할 때에, 살포하는 포장에 대응하는 포장 번호를 입력한다. 또한, 요구 입력 화면(S3)에 있어서의 연도라 함은, 복수년의 작업 실적 중 취득하고자 하는 연도를 지정하는 것이고, 평균의 유무라 함은, 작업 실적을 평균값으로 취득하는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다.
요구 입력 화면(S3)에 포장 번호, 연도, 평균의 유무를 입력하면, 데이터 요구 수단(40)은, 무선 통신 등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3)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에, 포장 번호, 연도, 평균의 유무를 송신한다. 데이터 출력 수단(41)은, 데이터 요구 수단(6)으로부터의 포장 번호, 연도, 평균의 유무를 수신하면, 데이터 베이스(3)를 참조하여 포장 번호, 연도, 평균의 유무에 대응하는 작업 실적을 추출하고, 추출한 작업 실적과 포장 정보(포장 번호, 포장명, 포장 면적 등)를, 휴대 단말(12)에 송신한다. 휴대 단말(12)은, 작업 실적 및 포장 정보를 수신하면, 당해 작업 실적 및 포장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트랙터(13)에 연결한 비료 살포 장치(37)에 의해 비료 살포를 행할 때, 생산자가 휴대 단말(12)을 소지하여 트랙터(13)에 승차하면, 트랙터(13)에 승차한 생산자는 작업 실적 및 포장 정보를 볼 수 있다. 생산자는, 휴대 단말(12)에 표시된 작업 실적, 포장 정보를 참고로, 작업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부 단말(11)의 기능을 휴대 단말(12)에 설치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를 변형한 것이며, 작업 계획을 산출할 때의 파라미터를 추가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베이스(3)에는, 포장 중에 발현하는 질소의 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포장의 특징(특성)과, 그 특성이 질소량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평가한 포장 특성 계수 C가 관련지어진 포장 특성 테이블(T4)이 보존되어 있다. 특성 및 포장 특정 계수 C는, 과거의 작업 실적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것이다.
작업 계획 연산 수단(4)을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단말(11)의 표시부(모니터)에는, 포장 번호, 목표 수량, 목표 식미값, 수량 가중치 계수 α, 식미 가중치 계수 β, 기준 시비량 S, 특성을 입력하는 설정 입력 화면(S4)이 표시된다. 특성으로서, 「전작, 다수성 품종 재배」를 선택하면, 포장 특정 계수 C는, 1.2가 설정된다.
시비량 설정부(34)는, 목표 수량 YO, 목표 식미값 QP, 수량 가중치 계수 α, 식미 가중치 계수 β, 기준 시비량 S의 외에 포장 특정 계수 C도 고려하여, 이들을 수학식 6에 적용함으로써, 질소 시비량을 산출한다.
Figure pct00006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장의 특성도 고려하여 질소 시비량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포장에 적합한 시비를 행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수집 장치(2)를 농업 기계에 탑재하고 있었지만, 데이터 수집 장치(2)를 농업 기계에 탑재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수집 장치(2)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은, 휴대 단말(12)이나 외부 단말(11)에 송신하도록 구성하면 되고, 또한, 데이터 수집 장치(2)에 측위 위성(22)으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2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농업 기계를 콤바인으로 하고, 다른 농업 기계를 트랙터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농업 기계를 트랙터로 하고, 다른 농업 기계를 이식기로 해도 되고, 하나의 농업 기계를 이식기로 하고, 다른 농업 기계를 트랙터로 해도 된다. 즉, 서로의 농업 기계가 연계되어 농작업을 행하는 경우, 콤바인, 트랙터, 이식기, 전식기 등의 각각의 조합에 의해 농작업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도 된다.
또한, 포장이라 함은, 현실에 구획된 농지뿐만 아니라, 농작업 계획을 위해 가상적으로 구획된 농지이어도 된다.
1 : 농작업 지원 시스템
2 : 데이터 수집 장치(데이터 수집 수단)
3 : 데이터 베이스
4 : 작업 계획 연산 수단
5 : 데이터 출력 수단
6 : 데이터 요구 수단
10 : 콤바인
11 : 외부 단말
12 : 휴대 단말
13 : 트랙터
15 : 기억부
20 : 식미 센서
21 : 수량 센서
22 : 측위 위성
23 : 위치 검출부
30 : 수량차 산출부
31 : 식미차 산출부
32 : 수량차 보정부
33 : 식미차 보정부
34 : 시비량 설정부
37 : 비료 살포 장치
38 : 제어 장치
40 : 데이터 요구 수단
41 : 데이터 출력 수단
T1 : 제1 작업 실적 테이블
T2 : 제2 작업 실적 테이블
T3 : 제3 작업 실적 테이블
T4 : 특성 테이블
S1 : 설정 입력 화면
S2 : 요구 입력 화면
S3 : 요구 입력 화면
S4 : 설정 입력 화면

Claims (8)

  1.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2.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실적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3.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실적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4.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작업 실적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작업 실적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작업 계획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5.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인 질소 시비량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질소 시비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6.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탑재한 하나의 농업 기계와,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와 다른 농업 기계를 연계시켜 농작업을 행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이며,
    상기 하나의 농업 기계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다른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7.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8. 포장에서 농작업하였을 때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함하는 작업 실적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수집한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을 포장마다 집약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곡물의 수량 및 단백질 함유율에 기초하여 포장마다의 작업 계획인 질소 시비량을 연산하는 작업 계획 연산 수단과,
    상기 포장에서 농작업을 행하는 농업 기계에, 당해 포장에 대응하는 상기 질소 시비량을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 지원 시스템.
KR1020137032597A 2012-05-09 2013-03-28 농작업 지원 시스템 KR20140005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8038A JP6025390B2 (ja) 2012-05-09 2012-05-09 農作業支援システム
JPJP-P-2012-108038 2012-05-09
PCT/JP2013/059391 WO2013168483A1 (ja) 2012-05-09 2013-03-28 農作業支援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786A Division KR20170018977A (ko) 2012-05-09 2013-03-28 농작업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72A true KR20140005372A (ko) 2014-01-14

Family

ID=495505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786A KR20170018977A (ko) 2012-05-09 2013-03-28 농작업 지원 시스템
KR1020137032597A KR20140005372A (ko) 2012-05-09 2013-03-28 농작업 지원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786A KR20170018977A (ko) 2012-05-09 2013-03-28 농작업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25390B2 (ko)
KR (2) KR20170018977A (ko)
CN (1) CN103562949A (ko)
WO (1) WO20131684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518A (ko) * 2017-03-10 2019-01-18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수량 정보 표시 시스템
KR20190089712A (ko) * 2018-01-23 2019-07-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영농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6282B2 (ja) * 2014-11-11 2019-05-22 Necソリューションイノベータ株式会社 優先度設定装置、優先度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78865B2 (ja) * 2014-11-28 2020-04-08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業支援システム
JP6524851B2 (ja) * 2015-08-17 2019-06-05 Tdk株式会社 農作業支援装置および農作業支援プログラム
JP6392715B2 (ja) 2015-08-17 2018-09-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ループアンテナアレイ群
JP6705160B2 (ja) * 2015-12-11 2020-06-03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業支援システム
JP6787074B2 (ja) * 2016-11-22 2020-11-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施肥設計方法、施肥設計プログラム、および施肥設計システム
JP7144145B2 (ja) * 2018-01-22 2022-09-29 株式会社クボタ 農業支援システム
JP7210016B2 (ja) * 2018-03-30 2023-01-23 株式会社ほくつう 圃場管理システム
JP7433747B2 (ja) * 2018-05-01 2024-02-20 株式会社クボタ 農業支援システム
JP7293070B2 (ja) * 2019-09-25 2023-06-19 株式会社クボタ 散布支援システム
EP3821688A1 (en) * 2019-11-13 2021-05-19 Polyor SARL In situ agronomic experimentation applicable to integrated fertilizer management (ifm)
JP7340258B2 (ja) * 2020-04-27 2023-09-07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追肥量演算装置、追肥量演算方法および追肥量演算プログラム
JP7429964B2 (ja) * 2020-04-27 2024-02-09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基肥量演算装置、基肥量演算方法および基肥量演算プログラム
JP7449216B2 (ja) 2020-11-13 2024-03-13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収穫情報管理システム、収穫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収穫情報管理方法
EP4101280A1 (en) * 2021-01-29 2022-12-14 Polyor SAS Agronomic method for evaluating, benchmarking and improving the sustainability of current cropping practices
EP4252516A1 (fr) * 2022-04-01 2023-10-04 Polyor SARL Méthode générique et interopérable de fertilisation raisonnée pour l agriculture durab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3648B2 (ja) * 1991-12-03 2002-01-0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動農機の走行制御システム
JPH0668274A (ja) * 1992-08-18 1994-03-11 Iseki & Co Ltd 農業機械の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H06162216A (ja) * 1992-11-17 1994-06-10 Iseki & Co Ltd 農業機械のデータ収集装置
JPH0785328A (ja) * 1993-09-10 1995-03-31 Iseki & Co Ltd 農業機械のデ−タ収集装置
JP2000083477A (ja) 1998-07-17 2000-03-28 Satake Eng Co Ltd 米の生産情報の提供方法
JP4057196B2 (ja) * 1999-06-16 2008-03-0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収穫地図作成装置
JP4305795B2 (ja) * 1999-08-10 2009-07-29 株式会社サタケ 作物の診断方法
FI107368B (fi) * 1999-12-20 2001-07-31 Kemira Agro Oy Viljelykasvien lannoitusmenetelmä, jolla optimoidaan sadon määrä ja laatu
JP2003180152A (ja) * 2001-12-17 2003-07-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精密農法
JP2005315768A (ja) * 2004-04-30 2005-11-10 National Agriculture & Bio-Oriented Research Organization Gps信号をトリガとする計測システム
JP4586482B2 (ja) * 2004-10-06 2010-11-24 株式会社サタケ ライスセンターや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等の荷受における生籾の仕分け方法
JP2007248347A (ja) * 2006-03-17 2007-09-27 Iseki & Co Ltd 農業用管理システム
KR101100519B1 (ko) * 2007-03-30 2011-12-2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농작업 관리 시스템, 농작업 관리 장치 및 농작업 관리 방법
CN101236410B (zh) * 2007-12-29 2011-04-13 中国农业大学 一种智能灌溉施肥决策控制系统
CN102414713A (zh) * 2009-05-01 2012-04-11 诺基亚公司 收集用于农业分析的数据的方法和设备
CN101897260A (zh) * 2010-04-12 2010-12-01 四川大学锦江学院 基于传感网上的高精度智能化棉花采摘机
JP5485020B2 (ja) * 2010-05-28 2014-05-07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農作物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サーバ、方法、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518A (ko) * 2017-03-10 2019-01-18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수량 정보 표시 시스템
KR20190089712A (ko) * 2018-01-23 2019-07-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영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33117A (ja) 2013-11-21
WO2013168483A1 (ja) 2013-11-14
JP6025390B2 (ja) 2016-11-16
KR20170018977A (ko) 2017-02-20
CN103562949A (zh)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5372A (ko) 농작업 지원 시스템
US20200334766A1 (en) Agricultural field management system
US10885481B2 (en) Agricultural work management system and agricultural crop harvester
US11763400B2 (en) Updating execution of tasks of an agricultural prescription
KR102639478B1 (ko) 영농 시스템
US11793108B2 (en) Agriculture support system, agriculture support device and agriculture support method
CN108605496B (zh) 农作业机、农作业管理方法以及记录了其程序的记录介质
JP6116173B2 (ja) 農作管理システム
JPWO2017164097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1272701B2 (en) Method for remediating developmentally delayed plants
JP2017102924A (ja) 農作管理システム及び農作物収穫機
JP6869775B2 (ja) 散布支援システム
JP2020162490A (ja) 散布支援装置及び散布支援システム
US20170228832A1 (en) Automated farming system and method
JP6163056B2 (ja) 農業支援システム
JP7293070B2 (ja) 散布支援システム
JP201908276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2040342A (ja) 営農システム
JP2019120520A (ja) 気象管理装置及び気象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5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26

Effective date: 2019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