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645A -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645A
KR20130143645A KR1020137026422A KR20137026422A KR20130143645A KR 20130143645 A KR20130143645 A KR 20130143645A KR 1020137026422 A KR1020137026422 A KR 1020137026422A KR 20137026422 A KR20137026422 A KR 20137026422A KR 20130143645 A KR20130143645 A KR 2013014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r
unit
detecting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264B1 (ko
Inventor
신고 곤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설치 및 조정의 수고를 큰 폭으로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설치나 조정을 행하는 작업자의 기능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제어 장치는 쉬브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와, 엔코더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제어 장치는 승강로의 종단부에 마련된 화상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화상 검출부를 구비한다. 화상 검출부는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한다. 제2 위치 검출 수단은 화상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화상 기록부는, 상기 제1 위치 검출 수단 및 제2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트랙션(traction) 구동 방식을 채용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 문헌 1 및 2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캠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 캠 스위치는 승강로의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엘리베이터 칸이 진입하면 동작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주 로프와 쉬브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승강로의 종단부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상하에 걸쳐서, 위치 코드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서 이 위치 코드를 판독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7-22378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5-126164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에서는, 캠 스위치의 설치 및 위치 조정에 많은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기능에 의해서 설치 정밀도에 차가 생길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캠 스위치가 동작할 때에 소음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에서는, 소음의 걱정은 없기는 하지만, 다른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특히, 위치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부재를 승강로의 상하에 걸쳐서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승강 행정(行程)이 긴 엘리베이터에서는, 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 및 조정의 수고를 큰 폭으로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설치나 조정을 행하는 작업자의 기능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쉬브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와, 엔코더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검출 수단과, 승강로의 종단부에 마련되어 소정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하는 화상 검출부와, 화상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검출 수단과, 제1 위치 검출 수단 및 제2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기초하여,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상 기록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쉬브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와, 엔코더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검출 수단과, 승강로의 종단부에 마련되어 소정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하는 화상 검출부와, 화상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검출 수단과, 제1 위치 검출 수단 및 제2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화상 표시부는 소정의 기기가 접속됨으로써 기기로부터 화상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표시 내용의 유지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및 조정의 수고를 큰 폭으로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설치나 조정을 행하는 작업자의 기능에 관계없이,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는 엘리베이터 칸, 3은 균형추이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추(3)는, 주 로프(4)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두레박식으로 현가(懸架)되고 있다.
5는 엘리베이터의 구동 장치로 이루어진 권상기의 쉬브, 6은 권상기의 모터이다. 주 로프(4)는 그 일부가 쉬브(5)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은 쉬브(5)의 회전에 연동하여 주 로프(4)가 그 긴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주 로프(4)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즉, 도 1은 트랙션 구동 방식을 채용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균형추(3)는 엘리베이터 칸(2)과는 역방향으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7은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다. 가이드 레일(7)은 승강로(1) 내에 연직(鉛直)으로 설치되어 있다. 8은 제동 장치, 9는 엔코더이다. 제동 장치(8) 및 엔코더(9)는, 권상기의 일부로서 구성해도 좋다.
제동 장치(8)는 엘리베이터 칸(2)을 정지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동 장치(8)는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시에 동작하여, 쉬브(5)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엔코더(9)는 쉬브(5)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엔코더(9)는, 예를 들면, 쉬브(5)의 축에 설치되어 쉬브(5)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엔코더(9)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0)에 입력된다. 제어반(10)에는 위치 검출 회로(11 및 12), 제어 회로(13)가 구비되어 있다. 위치 검출 회로(11)는 엔코더(9)로부터의 신호(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위치 검출 회로(11)의 기능은, 엔코더(9) 자체에 구비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제어반(10)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엔코더(9)로부터 입력된다.
상술한 것처럼, 엔코더(9)는 쉬브(5)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주 로프(4)와 쉬브(5)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면, 위치 검출 회로(11)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실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린다. 한편,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로(1)의 종단부(상단부·하단부)에 접근한 경우는, 엘리베이터 칸(2)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감속·정지와 같은 제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부터, 본 엘리베이터에는 엔코더(9) 및 위치 검출 회로(11)로 이루어진 수단과는 별도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지 수단은, 승강로(1)의 종단부(상단부·하단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2)의 존재를 정확하게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지 수단은 화상 표시부(14 및 15), 화상 검출부(16), 위치 검출 회로(12), 제어 회로(13)에 의해, 그 주요부가 구성된다.
화상 표시부(14 및 15)는 소정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표시부(14 및 15)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페이퍼가 이용된다.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을 전자 페이퍼로 구성함으로써, 그 표시 내용(화상)이나 표시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전자 페이퍼이면,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표시 내용을 장기(長期)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14)는 승강로(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14)는, 예를 들면, 지지 암(17)을 통하여 가이드 레일(7)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화상 표시부(15)는 승강로(1)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화상 표시부(15)는, 예를 들면, 지지 암(18)을 통하여 가이드 레일(7)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화상 표시부(14 및 15)는 상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면이,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방향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2)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상 검출부(16)는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 검출부(16)는 엘리베이터 칸(2)에 마련되어 있다. 화상 검출부(16)는 엘리베이터 칸(2)이 소정의 상방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화상 표시부(1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2)이 상기 상방 위치에 이르면, 화상 검출부(16)에 의해, 화상 표시부(14)에 표시된 화상이 검출된다. 화상 검출부(16)는 화상 표시부(14)의 화상을 검출하면, 그 검출 결과(화상 정보)를 제어반(10)에 대해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화상 검출부(16)는 엘리베이터 칸(2)이 소정의 하방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화상 표시부(15)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이 상기 하방 위치에 이르면, 화상 검출부(16)에 의해, 화상 표시부(15)에 표시된 화상이 검출된다. 화상 검출부(16)는 화상 표시부(15)의 화상을 검출하면, 그 검출 결과(화상 정보)를 제어반(10)에 대해서 출력한다.
제어반(10)의 위치 검출 회로(12)는, 화상 검출부(16)로부터의 정보(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위치 검출 회로(12)는 화상 검출부(16)로부터 송신되어 온 화상 정보를 해석하여 기등록 정보와 비교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상기 상방 위치 혹은 하방 위치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위치 검출 회로(12)의 기능은 화상 검출부(16) 자체에 구비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제어반(10)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화상 검출부(16)로부터 입력된다.
제어 회로(13)는, 통상 운전시, 위치 검출 회로(11)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나 착상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제어 회로(13)는 위치 검출 회로(12)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13)는 위치 검출 회로(12)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이 소정의 상방 위치 혹은 하방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면, 감속·정지와 같은 제어를 적절한 타이밍으로 실시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도 참조하여,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적절히 표시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19는,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화상을 표시시키거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화상 기록부이다. 화상 기록부(19)는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화상의 기록을 행할 필요가 있을 때,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설치시나 보수시에, 제어반(10)과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접속된다.
소정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은,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행을 확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 변경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위치(높이)에 표시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화상 검출부(16)가 화상 표시부(14)(혹은 15)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하고 나서 제어 회로(13)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 변경(예를 들면, 감속·정지)이 개시될 때까지는, 위치 검출 회로(12) 및 제어 회로(13)가 연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경과해 버린다. 이 때문에, 승강로(1)의 종단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위치 검출 회로(12) 및 제어 회로(13)에 의한 연산 지연도 고려하고,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상기 화상을 표시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또, 화상 검출부(16)에 의해서 상기 화상을 확실히 검출하기 위해서는, 화상의 길이(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 방향의 폭)도, 어느 정도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종단층의 높이로부터 상기 화상의 중간층측의 단(端)까지의 거리를 B로 하면, 거리 B는 다음 식에 의해서 나타낼 수 있다(도 2 참조).
[수 1]
B=A+(Δt1+Δt2)×v
여기서,
A:종단층의 높이로부터 엘리베이터 칸(2)을 검지하고 싶은 높이까지의 거리
Δt1:위치 검출 회로(12)의 연산 지연
Δt2:제어 회로(13)의 연산 지연
v:엘리베이터 칸(2)의 주행 속도
이다. 화상 기록부(19)는 상기 연산 지연 Δt1 및 Δt2도 고려하고, 예를 들면, 상기 식 1로 산출된 B의 높이로부터 A의 높이까지의 사이에,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표시시키는 상기 화상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코드와 같이 간단한 것이 좋다.
상기 화상의 구체적인 표시 설정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대로이다.
엘리베이터의 설치시, 권상기나 화상 표시부(14 및 15)와 같이 필요한 기기를 장착한 후, 화상 기록부(19)를 제어반(10)과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접속한다. 화상 기록부(19)는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소정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최상층 및 최하층의 사이에 왕복 주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엘리베이터 칸(2)을 하방으로 주행시켜 최하층에 정지시킨다(S101).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칸(2)을 상방으로 주행시켜 최상층에 정지시킨다(S102). 추가로, 엘리베이터 칸(2)을 하방으로 주행시켜 최하층에 정지시킨다(S103).
S101 내지 S103에서 엘리베이터 칸(2)을 왕복 주행시키고 있는 동안, 제어반(10)에서는, 위치 검출 회로(11 및 12)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의 검출을 행한다. 제어 회로(13)는 위치 검출 회로(11)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위치 검출 회로(12)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비교하여,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의 표시 위치 오차를 산출한다. 제어 회로(13)는 표시 위치의 오차를 산출하면, 그 산출 결과(오차)를 화상 기록부(19)에 전송한다(S104). 화상 기록부(19)는 제어 회로(13)에 의해서 산출된 오차에 기초하여, 화상의 표시 위치가 상기 식 1을 만족하도록,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변경)한다(S105).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이면, 엘리베이터 칸(2)의 왕복 주행시에 주 로프(4)와 쉬브(5)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기록부(19)는 위치 검출 회로(11)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 표시부(14 및 15)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또한, S104에 있어서의 처리는, 화상 기록부(19)에 있어서 실시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화상 기록부(19)에는, 위치 검출 회로(11)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위치 검출 회로(12)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의 표시 위치가 적절히 설정되면, 화상 기록부(19)가 제어반(10)과 화상 표시부(14 및 15)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어 장치이면, 승강로(1)의 종단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 검출 정밀도도, 설치나 조정을 행하는 작업자의 기능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또, 화상의 위치 조정이 화상 표시부(14 및 15)의 설치 후에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및 조정의 수고를 큰 폭으로 간소화시킬 수 있다.
화상 표시부(14 및 15)로서 전자 페이퍼를 이용하면, 무급전(無給電)으로도 표시 내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설정 후의 유지비도 저감할 수 있다. 또, 화상 기록부(19)를 접속하지 않으면 화상 표시부(14 및 15)의 표시 내용 및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장난이나 오동작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 기록부(19)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화상 기록부(19)를 개개의 엘리베이터에 설치해 둘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저비용으로 상기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부(14)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는, 하나의 화상의 표시 위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면, 다른 화상의 표시 위치는 상기 한 화상과의 상대적 관계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화상 표시부(1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승강로의 종단부에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엘리베이터 칸
3: 균형추
4: 주 로프
5: 쉬브
6: 모터
7: 가이드 레일
8: 제동 장치
9: 엔코더
10: 제어반
11, 12: 위치 검출 회로
13: 제어 회로
14, 15: 화상 표시부
16: 화상 검출부
17, 18: 지지 암
19: 화상 기록부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쉬브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검출 수단과,
    승강로의 종단부에 마련되어, 소정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하는 화상 검출부와,
    상기 화상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제2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상 기록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이 전자 페이퍼로 이루어져,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표시 내용의 유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동작을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 기록부는, 상기 화상 검출부가 상기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하고 나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동작 변경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의 경과도 고려하여, 화상의 위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4. 엘리베이터의 쉬브의 회전을 검출하는 엔코더와,
    상기 엔코더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검출 수단과,
    승강로의 종단부에 마련되어, 소정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검출하는 화상 검출부와,
    상기 화상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제1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제2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 표시부는 소정의 기기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기기로부터 화상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력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표시 내용의 유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는 부분이 전자 페이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20137026422A 2011-03-16 2011-03-16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502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6174 WO2012124068A1 (ja) 2011-03-16 2011-03-16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645A true KR20130143645A (ko) 2013-12-31
KR101502264B1 KR101502264B1 (ko) 2015-03-12

Family

ID=4683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422A KR101502264B1 (ko) 2011-03-16 2011-03-16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87471B1 (ko)
JP (1) JP5527475B2 (ko)
KR (1) KR101502264B1 (ko)
CN (1) CN103391894B (ko)
WO (1) WO201212406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99B1 (ko) 2020-08-25 2020-12-07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KR20230104309A (ko) 2021-12-30 2023-07-10 (주)디 앤드 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5409B2 (ja) * 2014-06-13 2017-08-0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位置検出装置の動作確認用治具
TWI673229B (zh) * 2014-12-02 2019-10-01 瑞士商伊文修股份有限公司 用於判定電梯車廂位置的方法和系統以及電梯系統
CN106698119A (zh) * 2017-03-07 2017-05-24 江苏西德电梯有限公司 一种基于二维码楼层信息的智能电梯光电开关
EP3409629B2 (en) 2017-06-01 2024-02-28 Otis Elevator Company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JP6673618B1 (ja) * 2019-03-20 2020-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21005658A1 (ja) * 2019-07-05 2021-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3783A (ja) 1994-02-10 1995-08-2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端階安全装置
WO2004058617A1 (en) * 2002-12-30 2004-07-15 Otis Elevator Company Position referencing system
JP2005126164A (ja) 2003-10-21 2005-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JP2007521211A (ja) * 2003-11-26 2007-08-0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自動調整式エレベータ位置決め基準システムの装置ならびに方法
EP1698580B1 (de) * 2005-03-05 2007-05-09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JP2007171629A (ja) * 2005-12-22 2007-07-05 Asahi Glass Co Ltd 情報提供方法および装置
JP4380708B2 (ja) * 2007-01-26 2009-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JP2009214965A (ja) * 2008-03-07 2009-09-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10100395A (ja) * 2008-10-23 2010-05-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99B1 (ko) 2020-08-25 2020-12-07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KR20230104309A (ko) 2021-12-30 2023-07-10 (주)디 앤드 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91894B (zh) 2015-08-19
WO2012124068A1 (ja) 2012-09-20
CN103391894A (zh) 2013-11-13
JP5527475B2 (ja) 2014-06-18
KR101502264B1 (ko) 2015-03-12
EP2687471A1 (en) 2014-01-22
EP2687471A4 (en) 2014-11-19
JPWO2012124068A1 (ja) 2014-07-17
EP2687471B1 (en)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26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CN101090854B (zh) 电梯装置
JP53555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5185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17077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システム
JP537199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8349686B (zh) 电梯系统和用于控制电梯系统的方法
CN104822614A (zh) 电梯装置
JP5963335B1 (ja) エレベータ用速度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
WO2016132484A1 (ja)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KR201400094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419638B2 (ja) 両かごエレベーター
JP5449127B2 (ja) エレベータ
WO2020115901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9099325A (ja) エレベーター
KR101283643B1 (ko)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EP3006386B1 (en) Elevator with low overhead and low pit
JP200435241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191854B (zh) 电梯装置
JP526414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8654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80121709A (ko) 가변형 더블데크 엘리베이터의 층간 간격 측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