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699B1 -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699B1
KR102187699B1 KR1020200107071A KR20200107071A KR102187699B1 KR 102187699 B1 KR102187699 B1 KR 102187699B1 KR 1020200107071 A KR1020200107071 A KR 1020200107071A KR 20200107071 A KR20200107071 A KR 20200107071A KR 102187699 B1 KR102187699 B1 KR 10218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shaft
sheave cover
sheav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록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Priority to KR102020010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축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케이블이 관통되도록 하는 축관통로(12); 상기 시브커버 인접부인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하우징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엔코더장착부(13); 및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을 상기 시브커버에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시브커버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엔코더의 점검이나 교체 등의 작업시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및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축을 삭제하여 엔코더회전축을 곧바로 시브커버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엔코더에서 구동기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 향상과 함께 엔코더에 대한 신뢰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시브커버의 일측에 확인창을 마련하여, 수시로 엔코더에 대한 관찰 및 점검이 가능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엔코더의 점검 시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시에 교체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구동기의 피로 및 손상 등의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ENCODER OF DRIVER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코더가 승강로중심부측에 위치되도록 주축의 승강로중심부를 향하는 단부에 엔코더장착부를 마련하여 엔코더를 장착한 후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을 시브와 일체로 축 회전되는 시브커버에 연결하는 설치구조를 통해 엔코더의 점검 및 수리작업 등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건물 등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이동되면서 승객을 원하는 층으로 안내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승강기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얻기 위해서 별도의 승강기용 구동기가 필요하게 된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승강기로 구동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승강로내벽측을 향해 상기 승강로내벽과 근접 배치되고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주축을 갖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를 감싸 축 회전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고 승강로중심부를 향해 배치되며 일측에 착탈 가능한 시브커버를 갖는 시브 및 상기 시브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자의 축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코더는 모터 또는 기타 회전체에 부착(또는 별도의 단독설비 일수도 있음)되어 회전수에 따라 펄스(정현파나 구형파)를 발생시켜 각도나 이동거리 또는 높이 등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통은 인버터, 컨버터 장치 또는 PLC 등과 연동하여 피드백이나 회전수 등을 측정하기위해 사용되며, 특히, 구동기의 회전속도를 정밀하게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엔코더는 승강로내벽측을 향하는 주축의 일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타측의 시브커버와 별도의 연결축을 통해 엔코더의 회전축이 연결된 상태로 구동기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엔코더 설치구조는 기본적으로 구동기 자체가 승강로내벽측에 근접 배치되어 구동기와 승강로내벽 사이의 간격이 매우 비좁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엔코더의 점검이나 교체 등의 작업시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및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엔코더의 회전축과 시브커버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길다란 연결축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축 회전되는 과정에서 연결축의 떨림이나 진동 등에 의해 엔코더에서 구동기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엔코더가 승강로내벽과 구동기 사이의 비좁은 공간에 갇혀 은폐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엔코더에 대한 관찰이나 점검 등이 수월하게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43645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주축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케이블이 관통되도록 하는 축관통로와, 상기 시브커버 인접부인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하우징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엔코더장착부 및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을 상기 시브커버에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시브커버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기본적으로 엔코더의 점검이나 교체 등의 작업시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및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축을 삭제하여 엔코더회전축을 곧바로 시브커버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엔코더에서 구동기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시브커버의 일측에 외부에서 내부인 엔코더장착부에 장착된 엔코더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마련하여, 수시로 엔코더에 대한 관찰 및 점검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부 및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삽입 안내된 후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정위치에 도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가 마련된 회전축소켓을 포함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엔코더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도록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축관통로에 엔코더케이블이 시브커버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가이더를 마련하여, 엔코더케이블과 엔코더의 연결 작업시 및 연결 후에 엔코더케이블이 축관통로의 내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등의 간섭은 물론 구동기의 타 구성 요소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는, 승강로내벽측을 향해 상기 승강로내벽과 근접 배치되고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주축을 갖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를 감싸 축 회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고 승강로중심부를 향해 배치되며 일측에 착탈 가능한 시브커버를 갖는 시브; 및 상기 시브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자의 축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구동기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기상에 상기 엔코더의 점검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별도의 엔코더 설치구조가 마련되되, 상기 엔코더 설치구조는, 상기 주축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케이블이 관통되도록 하는 축관통로; 상기 시브커버 인접부인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하우징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엔코더장착부; 및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을 상기 시브커버에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시브커버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연결수단은,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에 형성된 암나사산;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관통공; 및 상기 체결관통공을 통해 일측이 상기 엔코더장착부로 관통되어 상기 암나사산과 나합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브커버는 일측에 외부에서 내부인 상기 엔코더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엔코더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은 상기 체결관통공의 외측 동심원상에 원호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내부의 엔코더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연결수단은,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부; 및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삽입 안내된 후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정위치에 도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가 마련된 회전축소켓;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회전축소켓의 입구에서 내측을 향해 축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1홈부; 상기 제1홈부의 연장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직각 연장되는 제2홈부; 및 상기 제2홈부의 연장단부에서 상기 회전축소켓의 입구를 향해 상기 제1홈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홈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3홈부는 연장단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넘어선 후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스톱퍼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관통로는 상기 엔코더케이블이 상기 시브커버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가이더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이더는, 상기 축관통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엔코더케이블을 감싸 안내하는 가이더본체; 및 상기 가이더본체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축관통로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본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본체는 상기 엔코더케이블이 투입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투입구를 갖는 개방 원관체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본체는 상기 투입구가 상기 엔코더케이블의 직경보다 좁은 폭 넓이로 개방되어 상기 엔코더케이블의 가압에 의해 벌어져서 상기 엔코더케이블의 상기 가이더본체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일측에 상기 투입되는 엔코더케이블이 상기 투입구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경사면 구조의 경사안내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는 주축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케이블이 관통되도록 하는 축관통로와, 상기 시브커버 인접부인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하우징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엔코더장착부 및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을 상기 시브커버에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시브커버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기본적으로 엔코더의 점검이나 교체 등의 작업시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및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축을 삭제하여 엔코더회전축을 곧바로 시브커버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엔코더에서 구동기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 향상과 함께 엔코더에 대한 신뢰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브커버의 일측에 외부에서 내부인 엔코더장착부에 장착된 엔코더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마련하여, 수시로 엔코더에 대한 관찰 및 점검이 가능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엔코더의 점검 시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시에 교체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구동기의 피로 및 손상 등의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부 및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삽입 안내된 후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정위치에 도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가 마련된 회전축소켓을 포함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엔코더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조립작업 시간 및 수고를 최소화하여 이에 따른 비용절감 등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축관통로에 엔코더케이블이 시브커버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가이더를 마련하여, 엔코더케이블과 엔코더의 연결 작업시 및 연결 후에 엔코더케이블이 축관통로의 내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등의 간섭은 물론 구동기의 타 구성 요소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엔코더케이블의 안내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됨과 동시에 서로 간의 마찰에 따른 부품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에 따른 부품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에 엔코더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를 통해 엔코더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중 케이블가이더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의 케이블가이더에 케이블이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는 승강로내벽(5)측을 향해 상기 승강로내벽(미도시)과 근접 배치되고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주축(11)을 갖는 고정자(10)와, 상기 고정자(10)를 감싸 축 회전되는 회전자(20)와, 상기 회전자(20)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20)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고 승강로중심부(7)를 향해 배치되며 일측에 착탈 가능한 시브커버(31)를 갖는 시브(30) 및 상기 시브(30)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자(20)의 축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상에 상기 엔코더(40)의 점검 및 교체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엔코더 설치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엔코더 설치구조는, 축관통로(12)와, 엔코더장착부(13) 및 일체형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축관통로(12)는 상기 주축(11)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엔코더(40)의 엔코더케이블(41)이 관통되도록 하는 중공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엔코더장착부(13)는 상기 시브커버(31) 인접부인 상기 주축(11)의 일단부에 상기 엔코더(40)의 엔코더하우징(42)이 장착 고정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4는 상기 엔코더하우징(42)의 외측면이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져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엔코더밀착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엔코더(40)의 엔코더회전축(43)을 상기 시브커버(31)에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상기 엔코더회전축(43)과 시브커버(31)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일체형 연결수단은, 상기 엔코더(40)의 엔코더회전축(43)에 형성된 암나사산(43a)과, 상기 암나사산(43a)에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31)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관통공(33) 및 상기 체결관통공(33)을 통해 일측이 상기 엔코더장착부(13)로 관통되어 상기 암나사산(43a)과 나합되는 수나사산(51)을 갖는 체결구(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브커버(31)는 원판 형상으로, 그 일측에 시브커버(31)의 외부에서 내부인 상기 엔코더장착부(13)에 장착된 상기 엔코더(4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확인창(32)이 마련되되, 상기 확인창(32)은 상기 체결관통공(33)의 외측 동심원상에 원호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내부의 엔코더(40)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의 엔코더 조립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동기의 시브(30)로부터 시브커버(31)를 분리하여 주축(11) 일단부의 엔코더장착부(13)가 노출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축관통로(12)의 반대편에서 엔코더케이블(41)을 관통시켜 상기 엔코더장착부(13) 측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엔코더(40)와 연결시킨다.
그러고 나서, 상기 엔코더(40)를 엔코더장착부(13)로 삽입시켜 엔코더하우징(42)이 엔코더밀착면(14)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여 엔코더(40)의 장착을 완료한다.
그런 다음, 상기 시브커버(31)로 엔코더장착부(13)를 덮어씌운 후 시브커버(31)의 체결관통공(33)을 통해 체결구(50)를 삽입하여 체결구(50)의 수나사산(51)이 엔코더회전축(43)의 암나사산(43a)과 나합되도록 체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엔코더(40)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구동기를 작동시켜 회전자(20)를 통해 시브(30)를 축 회전시키면 이 시브(3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브커버(31) 및 이 시브커버(31)와 체결구(50)를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엔코더회전축(43)이 동시에 축 회전되며, 이때, 상기 엔코더(40)는 시브(30)의 축회전수를 감지하여 별도의 제어장치(미도시)로 전송하여 승강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브커버(31)의 확인창(32)을 통해서는 육안으로 작업자가 엔코더(40)의 작동상 이상 유무 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엔코더(40)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종종 에러가 발생하게 되어 교환 또는 수리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면, 곧바로 시브(30)로부터 시브커버(31)만 분리하면 엔코더(40)가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엔코더(40)를 교체하거나 또는 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특히, 상기 일체형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원터치 방식으로서, 엔코더(미도시)의 엔코더회전축(45)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부(46) 및 상기 엔코더회전축(45)과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31)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부(46)가 삽입 안내된 후 상기 슬라이딩돌부(46)가 정위치에 도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36)가 마련된 회전축소켓(35)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이드홈부(36)는, 상기 회전축소켓(35)의 입구에서 내측을 향해 축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제1홈부(36a)와, 상기 제1홈부(36a)의 연장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직각 연장되는 제2홈부(36b) 및 상기 제2홈부(36b)의 연장단부에서 상기 회전축소켓(35)의 입구를 향해 상기 제1홈부(36a)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홈부(36c)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홈부(36c)는 연장단부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돌부(46)가 넘어선 후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스톱퍼(37)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8은 상기 스톱퍼(37)를 탄력적으로 떠받치는 압축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원터치 방식 일체형 연결수단은, 우선 분리되어 있는 엔코더회전축(45) 및 회전축소켓(35)을 연결하기 위해 엔코더회전축(45)의 슬라이딩돌부(46)를 회전축소켓(35)의 가이드홈부(36)에 맞춘 상태에서 회전축소켓(35) 내부로 삽입한다.
그러면, 슬라이딩돌부(46)는 제1홈부(36a)를 따라 축 방향 내측으로 진행되어 막다른면에 이르게 되면 엔코더회전축(45)의 삽입이 완료되고, 계속해서 엔코더회전축(45)을 축 회전시키게 되면 슬라이딩돌부(46)는 제2홈부(36b)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진행되다가 다시 막다른면에 도달하게 되고, 다시 제3홈부(36c)를 따라 축 방향 외측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돌부(46)는 스톱퍼(37)를 탄성 가압하면서 넘어선 후 탄발되어 원상 회복된 상기 스톱퍼(37)와 제3홈부(36c)의 막다른 단부 사이에 놓이게 되면서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축관통로(12)에는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이 상기 시브커버(31)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가이더(60)가 더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가이더(60)는, 상기 축관통로(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을 감싸 안내하는 가이더본체(61) 및 상기 가이더본체(61)의 외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축관통로(12)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더본체(6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편(62)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더본체(61)는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이 투입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투입구(61a)를 갖는 개방 원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더본체(61)는 상기 투입구(61a)가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의 직경보다 좁은 폭 넓이로 개방된 구조로써,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의 가압에 의해 벌어져서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의 상기 가이더본체(61) 내측으로 투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61a)는 일측에 상기 투입되는 엔코더케이블(41)이 상기 투입구(61a)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경사면 구조의 경사안내부(61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케이블가이더(60)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엔코더장착부(13)의 반대편인 축관통로(12)의 단부에서 엔코더케이블(41)을 준비한 후 이 엔코더케이블(41)을 가이더본체(61)의 한 쌍의 경사안내부(61b) 상에 올려 놓고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경사안내부(61b)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동시에 투입구(61a)가 확개되면서 엔코더케이블(41)이 투입구(61a)를 통해 가이더본체(61) 내부로 투입된다.
그런 다음,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을 엔코더장착부(13) 방향으로 밀어 보내면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은 축관통로(12)의 내주면과의 마찰 등의 발생 없이 상기 축관통로(12)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더본체(61)를 따라 엔코더장착부(13)로 안내된 후 엔코더(40)와 연결시킬 수 있게 되며, 이후 엔코더(40) 작동 중에 상기 엔코더케이블(41)은 축관통로(12)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로 이 축관통로(12)는 물론 주변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접촉되는 등의 간섭없이 안정적인 위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는 주축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케이블이 관통되도록 하는 축관통로와, 상기 시브커버 인접부인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하우징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엔코더장착부 및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을 상기 시브커버에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시브커버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기본적으로 엔코더의 점검이나 교체 등의 작업시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및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연결축을 삭제하여 엔코더회전축을 곧바로 시브커버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엔코더에서 구동기의 정확한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 향상과 함께 엔코더에 대한 신뢰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브커버의 일측에 외부에서 내부인 엔코더장착부에 장착된 엔코더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마련하여, 수시로 엔코더에 대한 관찰 및 점검이 가능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그 결과 엔코더의 점검 시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시에 교체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이에 따른 구동기의 피로 및 손상 등의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 외주부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돌부 및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삽입 안내된 후 상기 슬라이딩돌부가 정위치에 도달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가 마련된 회전축소켓을 포함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마련하여, 엔코더의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조립작업 시간 및 수고를 최소화하여 이에 따른 비용절감 등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축관통로에 엔코더케이블이 시브커버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가이더를 마련하여, 엔코더케이블과 엔코더의 연결 작업시 및 연결 후에 엔코더케이블이 축관통로의 내주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등의 간섭은 물론 구동기의 타 구성 요소들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엔코더케이블의 안내작업이 수월하고 신속하게 됨과 동시에 서로 간의 마찰에 따른 부품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이에 따른 부품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5 : 승강로내벽 7 : 승강로중심부
10 : 고정자 11 : 주축
12 : 축관통로 13 : 엔코더장착부
14 : 엔코더밀착면 20 : 회전자
30 : 시브 31 : 시브커버
32 : 확인창 33 : 체결관통공
35 : 회전축소켓 36 : 가이드홈부
36a : 제1홈부 36b : 제2홈부
36c : 제3홈부 37 : 스톱퍼
38 : 압축스프링 40 : 엔코더
41 : 엔코더케이블 42 : 엔코더하우징
43 : 엔코더회전축 43a : 암나사산
45 : 엔코더회전축 46 : 슬라이딩돌부
50 : 체결구 51 : 수나사산
60 : 케이블가이더 61 : 가이더본체
61a : 투입구 61b : 경사안내부
62 : 지지편

Claims (5)

  1. 승강로내벽측을 향해 상기 승강로내벽과 근접 배치되고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주축을 갖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를 감싸 축 회전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자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고 승강로중심부를 향해 배치되며 일측에 착탈 가능한 시브커버를 갖는 시브; 및 상기 시브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자의 축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포함하는 구동기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기상에 상기 엔코더의 점검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별도의 엔코더 설치구조가 마련되되,
    상기 엔코더 설치구조는,
    상기 주축의 중심부에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케이블이 관통되도록 하는 축관통로; 상기 시브커버의 인접부인 상기 주축의 일단부에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하우징이 장착 고정되도록 하는 엔코더장착부; 및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을 상기 시브커버에 일체형으로 연결시켜 상기 엔코더회전축과 시브커버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일체형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 연결수단은,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회전축에 형성된 암나사산;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상기 시브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관통공; 및 상기 체결관통공을 통해 일측이 상기 엔코더장착부로 관통되어 상기 암나사산과 나합되는 수나사산을 갖는 체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시브커버는 일측에 외부에서 내부인 상기 엔코더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엔코더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은 상기 체결관통공의 외측 동심원상에 원호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내부의 엔코더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통로는 상기 엔코더케이블이 상기 시브커버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케이블가이더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200107071A 2020-08-25 2020-08-25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KR10218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71A KR102187699B1 (ko) 2020-08-25 2020-08-25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071A KR102187699B1 (ko) 2020-08-25 2020-08-25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699B1 true KR102187699B1 (ko) 2020-12-07

Family

ID=7379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71A KR102187699B1 (ko) 2020-08-25 2020-08-25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09A (ko) * 2021-12-30 2023-07-10 (주)디 앤드 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471A (ja) * 2007-11-28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巻上機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0143661A (ja) * 2008-12-16 2010-07-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駆動モータ
KR20130143645A (ko) 2011-03-16 2013-12-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2016036890A (ja) * 2014-08-11 2016-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ール交換方法及びシール交換装置
JP2016092983A (ja) * 2014-11-05 2016-05-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471A (ja) * 2007-11-28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巻上機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0143661A (ja) * 2008-12-16 2010-07-01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その駆動モータ
KR20130143645A (ko) 2011-03-16 2013-12-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2016036890A (ja) * 2014-08-11 2016-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シール交換方法及びシール交換装置
JP2016092983A (ja) * 2014-11-05 2016-05-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09A (ko) * 2021-12-30 2023-07-10 (주)디 앤드 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KR102588672B1 (ko) 2021-12-30 2023-10-13 (주)디 앤드 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699B1 (ko)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JP4415041B2 (ja) ロープ点検方法
GB2421796A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EP1849739A1 (en) Elevator-use hoist machine and bearing replacing method for elevator-use hoist machine
KR20110054047A (ko) 터빈 동익의 결함 검출 장치 및 터빈 동익의 결함 검출 방법
JPH11160286A (ja) タービン羽根検査装置及びタービン羽根を検査する方法
TWI731948B (zh) 車輛用開閉體驅動裝置之裝設判定方法及裝設判定裝置
KR20180014162A (ko) 전동기
CN108267368A (zh) 拉力测试结构
JP2016036890A (ja) シール交換方法及びシール交換装置
KR101335634B1 (ko) 배관 측정 장치 및 배관 측정 방법
KR100890606B1 (ko) 인사이드 핸들 조립시스템
KR100964569B1 (ko) 탭 불량 검사장치
JP6755335B2 (ja) 振動計組立体、回転機械、振動計の取付け方法および取外し方法
WO2015089755A1 (en) Pulley for lift system, lift system with pulley and method for monitoring lift system
JP3610057B2 (ja) 線状部材の径測定方法および同装置
KR20150053418A (ko) 와전류 센서를 이용한 나사탭 검사장치
KR100364197B1 (ko) 원자력 발전소 원자로 헤드의 스터드 볼트구멍 검사장치
KR101691263B1 (ko) 가스센서 결합용 지그
CN109029190A (zh) 一种阀体通道孔检验量具
JP7104605B2 (ja) ポンプシステム
US20230034506A1 (en) A device for the inspection of steel wire ropes and a procedure for the use thereof
JP6359920B2 (ja) 取付アダプタ
CN217542980U (zh) 涡流检测工装和涡流检测装置
CN217861016U (zh) 旋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