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672B1 -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672B1
KR102588672B1 KR1020210192171A KR20210192171A KR102588672B1 KR 102588672 B1 KR102588672 B1 KR 102588672B1 KR 1020210192171 A KR1020210192171 A KR 1020210192171A KR 20210192171 A KR20210192171 A KR 20210192171A KR 102588672 B1 KR102588672 B1 KR 102588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front encoder
elevator
motor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4309A (ko
Inventor
노성섭
노영호
천두화
Original Assignee
(주)디 앤드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 앤드 디 filed Critical (주)디 앤드 디
Priority to KR102021019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72B1/ko
Publication of KR2023010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의 엔코더의 거치, 승강기 설치 환경(승강로 벽체와의 간격 등)에 따라 모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엔코더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조립하지 않고도 엔코더의 점검,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ENCODERS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의 엔코더의 거치, 승강기 설치 환경(승강로 벽체와의 간격 등)에 따라 모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엔코더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조립하지 않고도 엔코더의 점검,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으로 만들어진 각종 건물에는 사람이나 사물 등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승강기가 설치되어 승객 및 화물 등을 상층 및 하층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승강기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승강로 내벽을 향해 승강로 내벽과 근접 배치되고 중앙부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주축을 갖는 고정자, 고정자를 감싸 축 회전되는 회전자, 회전자와 연결되어 회전자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는 시브 및 시브와 일체형으로 축 회전되면서 회전자의 축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엔코더는 구동기의 회전속도를 정밀하게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중요한 장치인데, 종래의 엔코더 설치구조는 기본적으로 구동기 자체가 승강로 내벽에 근접 배치되어 구동기와 승강로 내벽 사이의 간격이 매우 비좁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엔코더의 점검이나 교체 등의 작업시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및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엔코더가 승강로 내벽과 구동기 사이의 비좁은 공간에 갇혀 은폐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엔코더에 대한 관찰이나 점검 등이 수월하게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436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기의 엔코더의 거치, 승강기 설치 환경(승강로 벽체와의 간격 등)에 따라 모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엔코더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조립하지 않고도 엔코더의 점검,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100)는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 중심부에 설치되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 중심부가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의 일측 말단부와 결합되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 일측이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에 접하며 내측에 전면 엔코더가 삽입되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 일측면이 상기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 중심부에 밀착 결합되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외륜(140), 상기 전면 엔코더 외륜(140)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전면 엔코더 내륜(150),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에 밀착 결합되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40)과 밀착 결합되는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 및 상기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의 일측이 상기 모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엔코더 내륜(150)의 중심부에는 상기 전면 엔코더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에는 상기 전면 엔코더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의 회전 시, 상기 전면 엔코더 내륜(150)과의 마찰을 방지하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승강기의 엔코더의 거치, 승강기 설치 환경(승강로 벽체와의 간격 등)에 따라 모터 프레임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엔코더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조립하지 않고도 엔코더의 점검,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면 엔코더 외륜(14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전면 엔코더 내륜(15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전면 엔코더 외륜(14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전면 엔코더 내륜(15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100)는 크게 아답터(110), 원형의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 원형의 전면 엔코더 외륜(140), 원형의 전면 엔코더 내륜(150),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 및 하나 이상의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는 모터 프레임에서 회전하는 회전체의 중심부에 삽입 및 설치되고,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의 일측에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의 중심부가 삽입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원형의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은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 중심부에 빈 공간을 메우게 된다.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은 일측이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는 전면 엔코더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이때,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가 회전하는 경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은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과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고 내측에 수용된 전면 엔코더가 회전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의 외주면에는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의 회전 시 전면 엔코더 내륜(150)의 내측면과의 마찰을 방지하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가 회전하더라도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에 의해 전면 엔코더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면 엔코더가 전면 엔코더 내륜(150)에 의해 마찰이 방지될 수도 있다.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에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외륜(140)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전면 엔코더 외륜(140)은 얇은 판(plate)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볼트 결합 홀이 형성된다. 이때 볼트 결합 홀에는 각각 전면 엔코더 외륜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면 엔코더 외륜 고정볼트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4개 이상의 전면 엔코더 외륜 고정볼트가 결합될 수 있다.
원형의 전면 엔코더 외륜(140)에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내륜(150)이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의 전면 엔코더 내륜(150)은 전면 엔코더 외륜(150)의 중심부에 밀착 결합되어 중심부에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에 수용된 전면 엔코더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면 엔코더 내륜(150)에는 전면 엔코더 외륜(140)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볼트 결합 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볼트 결합 홀에는 각각 전면 엔코더 내륜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전면 엔코더 외륜(140)과 연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전면 엔코더 외륜(140) 및 전면 엔코더 내륜(150)은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와 볼트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면 엔코더 외륜(140) 및 전면 엔코더 내륜(150)은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의 단부에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이 밀착 결합된다.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은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의 단부에 밀착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전면 엔코더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은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은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에 일측면이 볼트 결합 되고,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과의 볼트 결합을 통해 모터 프레임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에는 외측으로 일부 노출된 전면 엔코더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용 홀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가 삽입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볼트 결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은 하나 이상의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에 의해 모터 프레임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에서 전면 엔코더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전면 엔코더는 모터 프레임의 회전축과 견고히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에 끼워진 전면 엔코더 내륜(150), 전면 엔코더 외륜(140)은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에 견고히 볼트 결합되어 회전에 간섭받지 않게 된다.
이는, 모터 프레임의 후면(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100)와 대향되는 면)에 설치 가능한 후면 엔코더와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승강기 설치 환경(승강로 벽체와의 간격 등)에 따라 엔코더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점은 구동기를 승강로에서 분해, 조립하지 않고도 엔코더의 점검,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110: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
120: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
130: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
140: 전면 엔코더 외륜
150: 전면 엔코더 내륜
160: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
170: 전면 엔코더 고정판
180: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

Claims (4)

  1.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 중심부에 설치되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
    중심부가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아답터(110)의 일측 말단부와 결합되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
    일측이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막음판(120)에 접하며 내측에 전면 엔코더가 삽입되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
    일측면이 상기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 중심부에 밀착 결합되는 원형의 전면 엔코더 외륜(140);
    상기 전면 엔코더 외륜(140)에 밀착 결합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원형의 전면 엔코더 내륜(150);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에 밀착 결합되는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60);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고정링(140)과 밀착 결합되는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 및
    상기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의 일측이 상기 모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전면 엔코더 고정판 고정볼트(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엔코더 내륜(150)의 중심부에는,
    상기 전면 엔코더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엔코더 고정판(170)에는,
    상기 전면 엔코더가 거치되기 위한 거치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엔코더 샤프트 커플링(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모터 프레임의 회전체의 회전 시, 상기 전면 엔코더 내륜(150)과의 마찰을 방지하는 베어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KR1020210192171A 2021-12-30 2021-12-30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KR102588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71A KR102588672B1 (ko) 2021-12-30 2021-12-30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71A KR102588672B1 (ko) 2021-12-30 2021-12-30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09A KR20230104309A (ko) 2023-07-10
KR102588672B1 true KR102588672B1 (ko) 2023-10-13

Family

ID=8715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171A KR102588672B1 (ko) 2021-12-30 2021-12-30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6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820A (ja) 2001-02-16 2002-08-30 Mitsuru Takayama 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
JP2004338915A (ja) 2003-05-19 2004-12-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2187699B1 (ko) 2020-08-25 2020-12-07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5345B2 (ja) * 2004-10-20 2009-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巻上機及びその据付方法
EP2687471B1 (en) 2011-03-16 2015-09-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KR20150124847A (ko) * 2014-04-29 2015-11-06 이종기 서보모터 일체형 서포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820A (ja) 2001-02-16 2002-08-30 Mitsuru Takayama 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
JP2004338915A (ja) 2003-05-19 2004-12-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2187699B1 (ko) 2020-08-25 2020-12-07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승강기용 구동기의 엔코더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09A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6259C (en) Beam-mounted neutral axis elevator machinery for reducing vibration
JP372597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537348B2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EP107887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an improved hoisting machine
EP3385209B1 (en) Hoist machine and elevator
JP4550120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2588672B1 (ko) 승강기의 양측형 엔코더 설치 구조
KR100441043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KR100502458B1 (ko) 엘리베이터 권양기
JPWO2005068338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20190092300A (ko) 오프셋 받침판용 고정 도르래 브래킷
JP588030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駆動装置
JP6568032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378757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3444218A1 (en) Radial flux permanent magnet elevator motor
JP403207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451317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JP4284123B2 (ja) 巻上機及び巻上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US10971967B2 (en) Electric motor for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such a motor
KR100798988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JP2008074590A (ja) エレベータ用の巻上機
CN101643168A (zh) 电梯的驱动装置
JP5223248B2 (ja) エレベータの綱車装置
EP1514825A1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JPH02258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