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699A - 압착 금형 및 단자 구비 전선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착 금형 및 단자 구비 전선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7699A KR20130137699A KR1020137028993A KR20137028993A KR20130137699A KR 20130137699 A KR20130137699 A KR 20130137699A KR 1020137028993 A KR1020137028993 A KR 1020137028993A KR 20137028993 A KR20137028993 A KR 20137028993A KR 20130137699 A KR20130137699 A KR 201301376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electric wire
- convex
- crimping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01R4/20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having an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to improve the conta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58—Crimping mandre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5—Means to fasten by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전선 압착부를 구비한 단자 피팅에 있어서,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압착 금형은, 전선 압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오목 금형면으로 전선 압착부를 구속하는 제1 금형과, 상기 오목 금형면과 쌍을 이루는 볼록 금형면을 구비한 제2 금형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오목부의 폭과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볼록부의 폭이 상기 전선 압착부의 외경과 동일하다. 상기 전선 압착부는 상기 제1 금형의 오목 금형면과 상기 제2 금형의 볼록 금형면에 의해 압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전선 압착부와 이 전선 압착부의 원통형 내부에 삽입된 전선은 압착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과 단자 피팅을 압착(壓着) 고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말단에서 도체선이 노출되는 전선과, 이 말단에 압착 고정되는 단자 피팅을 구비하는 단자 구비 전선이 공지되어 있다. 단자 구비 전선의 단자 피팅은 여러 형상을 취하며, 그 중의 한 형상은 원통형 전선 압착부(소위, 클로즈드 배럴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클로즈드 배럴형 단자 피팅은 높은 방수 기능을 가지므로, 옥외 환경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커넥터(예컨대, 전기 자동차의 충전 커넥터) 등에 적합하다.
클로즈드 배럴형 단자 피팅과 관련하여, 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클로즈드 배럴부에 전선의 도체선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로즈드 배럴부를 가압 변형시킴으로써, 전선과 단자 피팅을 압착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단자 피팅에 있어서는, 배럴부를 충분히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도체선과 단자 피팅이 확실히 압착 고정되는 경우 이외에는 도통(導通)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변형의 정도가 증대되면, 단자 피팅은 변형될 때에 갈라지거나 부서질 공산이 크다. 특히, 클로즈드 배럴형 단자 피팅은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되므로, 기계 가공하기 쉬운 재료(즉, 비교적 부서지기 쉬운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클로즈드 배럴형 단자 피팅을 압착 변형시킬 때에, 클로즈드 배럴부는 갈라지거나 부서질 공산이 매우 크고, 균열이나 파손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원통형 전선 압착부를 구비한 단자 피팅에 있어서,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는 압착 금형으로서, 단자 피팅의 원통형 전선 압착부를 구속하는 오목 금형면이 형성된 제1 금형; 및 상기 오목 금형면과 쌍을 이루는 볼록 금형면이 형성된 제2 금형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오목부의 폭과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볼록부의 폭은 상기 전선 압착부의 외경과 동일하며; 상기 전선 압착부는 상기 오목 금형면과 상기 볼록 금형면의 사이에 끼여 압착 변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전선 압착부와 이 전선 압착부의 원통형 내부에 삽입된 전선은 압착 고정되는 것인 압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압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세워지고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상기 볼록부의 상단면에 세워지고 상기 볼록부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제2 양태에 따른 압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 각각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전선 압착부의 반경방향의 두께의 10% 이상 36% 이하인 것이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압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은, 상기 길이방향의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오목부의 깊이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단면은, 상기 길이방향의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볼록부의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경사면 부분과 상기 제2 경사면 부분 각각은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으로 된 것이다.
제5 양태는, 원통형 전선 압착부를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전선을 압착 고정함으로써, 단자 구비 전선을 제조하는 단자 구비 전선 제조 방법으로서, a) 전선 압착부의 원통형 내부에 전선을 삽입하는 단계; b) 제1 금형에 형성된 오목 금형면과 제2 금형에 형성된 볼록 금형면 사이에 상기 전선 압착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목 금형면과 상기 볼록 금형면 사이에 상기 전선 압착부를 끼워 넣어 전선 압착부를 압축 변형시켜, 상기 전선 압착부의 원통형 내부에 삽입된 전선과 전선 압착부를 압착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오목부의 폭과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볼록부의 폭이 상기 전선 압착부의 외경과 동일한 것인 단자 구비 전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 및 제5 양태에 따르면, 제1 금형의 오목 금형면에서의 오목부의 폭과 제2 금형의 볼록 금형면에서의 볼록부의 폭은 전선 압착부의 외경과 같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선 압착부는 그 폭방향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그 상하방향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변형되므로,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제1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상기 볼록부의 상단면에 제2 돌기부가 형성되므로, 전선 압착부를 압축 변형시켜 전선 압착부를 전선에 압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전선 압착부는 둘레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압박된다. 이로써, 전기적 성능을 확실히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 각각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전선 압착부의 반경방향의 두께의 10% 이상 36% 이하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의 억제와 우수한 전기적 성능을 겸비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면 부분과 상기 제2 경사면 부분 각각은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경사면 부분의 사이에 끼여 있음으로써 형성된 벨마우스부는 다단계로 나눠서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전선 압착부를 압축 변형시켜 전선 압착부를 전선에 압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벨마우스부는 갈라지거나 부서질 가능성이 낮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단자 구비 전선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전선에 압착 고정되기 전의 단자 피팅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금형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금형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압착 공정의 단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압착 공정의 단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서로 다른 압착 고정 양태에서 얻어지는 단자 구비 전선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서로 다른 금형 폭을 갖는 금형을 압착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변형됨으로써 얻어지는 단자 구비 전선의 균열 발생 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13은 서로 다른 압박량에서 얻어지는 단자 구비 전선의 균열 발생 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2는 전선에 압착 고정되기 전의 단자 피팅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금형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금형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금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압착 공정의 단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압착 공정의 단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서로 다른 압착 고정 양태에서 얻어지는 단자 구비 전선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서로 다른 금형 폭을 갖는 금형을 압착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변형됨으로써 얻어지는 단자 구비 전선의 균열 발생 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13은 서로 다른 압박량에서 얻어지는 단자 구비 전선의 균열 발생 시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특정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되는 각 도면에는, 각 부재의 위치 관계와 동작 방향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공통의 XYZ 직교 좌표계가 적절히 첨부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1. 단자 구비 전선(100)>
단자 구비 전선(100)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단자 구비 전선(100)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단자 구비 전선(100)은, 전선(1)과, 전선(1)에 압착된 단자 피팅(2)을 포함한다. 전선(1)은 연선(撚線) 상태로 배치된 복수의 도체선(11)과, 도체선(11)을 절연체로 피복하는 절연 피복(12)을 구비한다. 전선(1)은, 말단에서 절연 피복(12)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도체선(11)이 노출된 상태에 있고, 이 말단에 단자 피팅(2)이 압착 고정되어 있다.
<2. 단자 피팅(2)>
단자 피팅(2)을 도 1뿐만 아니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전선(1)에 압착 고정되기 전의 단자 피팅(2)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단자 피팅(2)은 전기 접촉부(21)와 전선 압착부(22)를 포함한다. 전기 접촉부(21)는 상대 단자에 감합 가능한 형상(예컨대, 핀 형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선 압착부(22)는 도체선(11)에 압착 고정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배럴부이다.
원통형의 전선 압착부(22)(소위 "클로즈드 배럴")를 구비하는 단자 피팅(2)은 일반적으로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단자 피팅(2)은 기계 가공하기 용이한 재료[예컨대, 황동(예컨대, JIS(일본 공업 규격)의 재료 코드 C2801, 쾌삭 황동(예컨대 JIS의 재료 코드 C3604)]로 제조된다. 쾌삭 황동은 황동보다 피삭성(被削性)이 좋으므로, 가공 비용이 억제된다. 반면에, 쾌삭 황동은 황동보다 부서지기 쉬우므로, 압축 변형될 때에 균열이나 파손이 쉽게 발생한다고 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쾌삭 황동은 단자 피팅(2)의 재료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낮았다. 그러나, 이하에 보다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압착 금형(3)을 이용한 압착 고정 양태에 따르면, 단자 피팅(2)이 쾌삭 황동 등의 비교적 부서지기 쉬운 재료로 제조되더라도, 전선 압착부(22)에 균열이나 파손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확실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는 적정 압착 고정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3. 단자 구비 전선(100)의 제조>
단자 구비 전선(100)을 제조하는 양태를 설명한다. 단자 구비 전선(100)은, 단자 피팅(2)의 전선 압착부(22)에 전선(1)의 도체선(11)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착 금형(3)을 이용하여 전선 압착부(22)를 압축 변형시켜 도체선(11)과 전선 압착부(22)를 압착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전선 압착부(22)를 압축 변형시키는 데 사용된 압착 금형(3)을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1. 압착 금형(3)>
압착 금형(3)은 제1 금형(상형)(4)과 제2 금형(하형)(5)을 포함한다.
<제1 금형(4)>
제1 금형(4)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금형(4)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금형(4)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금형(4)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제1 금형(4)의 각 부분의 치수와 단자 피팅(2)의 각 부분의 치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도 4와 도 5에서는 단자 피팅(2)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제1 금형(4)은 그 하단면(-Z측 면)에 형성된 오목 금형면(40)을 구비한다.
오목 금형면(40)은, 그 폭방향(X 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형성되며, 길이방향(Y 방향)의 양단부 및 깊이 방향(Z 방향)의 일단부(-Z측 단부)에서 개구되어 있는 오목부(41)를 구비한다. 오목부(41)는 전선 압착부(22)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목 금형면(40)은 이 오목부(41)에 있어서 전선 압착부(22)를 구속한다.
오목부(41)의 그 폭방향(X 방향)의 길이 d401은 전선 압착부(22)의 외경 d201과 동일하다. 또한, 오목부(41)의 그 길이방향(Y 방향)의 길이 d402는 전선 압착부(22)의 그 연장 방향의 길이 d202와 동일하다. 오목부(41)는, -Z측 개구단의 부근에 있어서 폭방향의 길이가 약간 더 길게 된 나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오목부(41)의 한 쌍의 측벽면에 있어서, 전선 압착부(22)를 압착 변형하는 과정에서, 전선 압착부(22)의 그 폭방향(X 방향)의 양단부[전선 압착부(22)의 단면(반경방향을 따르는 단면)을 상하 양분하는 중심선의 양단부]가 접촉하게 되는 영역 X(도 9참조)를 포함하는 영역은, 깊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면 부분을 형성한다. 전술한 오목부(41)의 폭 d401은, 상기 평행면 부분에 있어서 한 쌍의 측벽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오목부(41)의 바닥면(+Z측 단부면)(42)은, 그 폭방향(X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오목부(41)의 측벽면에 완만한 곡선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고, 폭방향을 따른 단면이 실질적으로 반타원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바닥면(42)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바닥면(42)의 길이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제1 돌기부)(43)가 세워져 있다. 제1 돌기부(43)는 그 연장 방향에서 본 선단이 아치 형상을 갖고, 돌출 높이가 가장 큰 부분의 돌출 높이 d403이,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의 두께 d203의 10% 이상 36% 이하이다.
또한, 바닥면(42)은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 부근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 부분(44, 45)과, 이 경사면 부분(44, 45)의 사이에 형성된 평탄면 부분(46)을 구비한다. 각 경사면 부분(44, 45)은, 바닥면(42)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오목부(41)의 깊이방향(+Z 방향)으로 경사지는 면 부분이다. 한편, 평탄면 부분(46)은, 깊이방향으로는 경사지지 않으면서 바닥면(4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부분이다.
여기서, 한쪽 경사면 부분(+Y측 경사면 부분)(44)은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이 경사면 부분(44)과 평탄면 부분(46) 사이의 각도는 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5°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쪽 경사면 부분(이하에서는, "제1 다단 경사면 부분"이라고도 함)(45)의 경사 각도는,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다단 경사면 부분(45)은, 평탄면 부분(46)에 연결되고 평탄면 부분(46)에 대해 깊이방향으로 각도 θ1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단계 경사부(451)와, 제1 단계 경사부(451)에 연결되고 제1 단계 경사부(451)에 대해 깊이방향으로 각도 θ2로 경사져[즉, 평탄면 부분(46)에 대해 깊이방향으로 각도 (θ1+θ2)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2 단계 경사부(452)를 구비한다. 제1 단계 경사부(451)와 평탄면 부분(46) 사이의 각도 θ1은 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5°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계 경사부(452)와 제1 단계 경사부(451) 사이의 각도 θ2도 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5°로 설정될 수 있다.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은,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변화하는 형상에 비해, 가공이 용이(제조가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제2 금형(5)>
제2 금형(5)의 구성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금형(5)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금형(5)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금형(5)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제2 금형(5)의 각 부분의 치수와 단자 피팅(2)의 각 부분의 치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도 7과 도 8에서는 단자 피팅(2)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제2 금형(5)은 그 상단면(+Z측 면)에 형성된 볼록 금형면(50)을 구비한다.
볼록 금형면(50)은, 그 폭방향(X 방향)을 따라 중앙부 부근에 형성된 볼록부(51)를 구비한다. 볼록부(51)는 오목부(41)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목부(41) 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볼록부(51)의 그 폭방향(X 방향)의 길이 d501은 전선 압착부(22)의 외경 d201과 동일하다. 또한, 볼록부(51)의 그 길이방향(Y 방향)의 길이 d502는 전선 압착부(22)의 그 연장 방향의 길이 d202와 동일하다. 볼록부(51)는, 하단부 부근에서의 폭방향의 길이가 상단부 부근에서의 폭방향의 길이 d501보다 약간 더 길게 된 나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볼록부(51)는, 적어도 그 상단부 부근에서 폭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51)의 상단면(+Z측 단부면)(52)의 폭방향(X 방향)의 길이는 볼록부(51)의 폭방향의 길이 d501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볼록부(51)의 상단면(52)의 폭방향의 길이는 전선 압착부(22)의 외경 d201과 동일하다.
볼록부(51)의 상단면(52)은 오목부(41)의 바닥면(42)을 상하 반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면(52)은, 그 폭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완만하게 휘어져 올라가고, 폭방향을 따른 단면이 실질적으로 반타원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단면(52)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상단면(52)의 길이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제2 돌기부)(53)가 세워져 있다. 제2 돌기부(53)는 그 연장 방향에서 본 선단이 아치 형상을 갖고, 돌출 높이가 가장 큰 부분의 돌출 높이 d503이,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의 두께 d203의 10% 이상 36% 이하이다.
또한, 상단면(52)은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 부근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 부분(54, 55)과, 이 경사면 부분(54, 55)의 사이에 형성된 평탄면 부분(56)을 구비한다. 각 경사면 부분(54, 55)은, 상단면(52)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볼록부(51)의 돌출방향과는 반대의 방향(-Z 방향)으로 경사지는 면 부분이다. 한편, 평탄면 부분(56)은, 볼록부(51)의 돌출방향으로는 경사지지 않으면서 상단면(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면 부분이다.
여기서, 한쪽 경사면 부분(+Y측 경사면 부분)(54)은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다. 이 경사면 부분(54)과 평탄면 부분(56) 사이의 각도는 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5°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쪽 경사면 부분(이하에서는, "제2 다단 경사면 부분"이라고도 함)(55)의 경사 각도는,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다단 경사면 부분(55)은, 평탄면 부분(56)에 연결되고 평탄면 부분(56)에 대해 깊이방향으로 각도 θ1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1 단계 경사부(551)와, 제1 단계 경사부(551)에 연결되고 제1 단계 경사부(551)에 대해 깊이방향으로 각도 θ2로 경사져[즉, 평탄면 부분(56)에 대해 깊이방향으로 각도 (θ1+θ2)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2 단계 경사부(552)를 구비한다. 제1 단계 경사부(551)와 평탄면 부분(56) 사이의 각도 θ1은 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5°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계 경사부(552)와 제1 단계 경사부(551) 사이의 각도 θ2도 3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5°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은,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커지도록 변화하는 형상에 비해, 가공이 용이(제조가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3-2. 압착 공정>
이어서, 압착 금형(3)을 이용하여 단자 구비 전선(100)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 9와 도 10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9와 도 10은 압착 공정의 각 단계에 있어서 압착 금형(3)과 단자 피팅(2)의 단면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금형(4)과 제2 금형(5)은, 오목 금형면(40)과 볼록 금형면(50)을 상하에 대향시킨 자세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쪽 금형[여기서는, 제1 금형(4)]은 고정적으로 지지된 다른쪽 금형[여기서는, 제2 금형(5)]에 대하여 수직축을 따라 진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압착 공정에서는, 우선 단자 피팅(2)의 전선 압착부(22)의 원통형 내부에 도체선(11)이 삽입된다. 이어서, 원통형 내부에 도체선(11)이 삽입된 전선 압착부(22)를, 전선 압착부(22)의 연장 방향이 볼록부(51)의 상단면(52)의 길이방향과 정렬되도록 되어 있는 자세로 상단부(52) 상에 놓는다. 이에 의해, 제1 금형(4)의 오목 금형면(40)과 제2 금형(5)의 볼록 금형면(50) 사이에 전선 압착부(22)가 배치되게 된다. 전선 압착부(22)를 상단면(52) 상에 놓은 후(또는, 놓음과 동시에), 전선 압착부(22)에 도체선(11)을 삽입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제1 금형(4)을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오목 금형면(40)은 볼록 금형면(50)에 가까워진다. 이때, 볼록부(51) 및 상단면(52) 상에 놓인 전선 압착부(22)는 오목 금형면(40)의 오목부(41) 내로 안내된다. 오목부(41)가 나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면, 볼록부(51) 및 전선 압착부(22)는 오목부(41) 내로 매끄럽게 안내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제1 금형(4)이 더 하방으로 이동되면, 오목부(41)의 바닥면(42)은 전선 압착부(22)의 상단부(+Z측 단부)에 접촉하게 된다(도 9 및 도 10의 상측부에 도시된 상태). 즉,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22)는 그 상단부가 바닥면(42)과 접촉해 있고, 그 하단부(-Z측 단부)가 상단면(52)과 접촉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41)의 폭방향의 길이 d401과 볼록부(51)의 폭방향의 길이 d501은 모두 전선 압착부(22)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한 상태에서, 전선 압착부(22)는 그 폭방향(X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서 오목부(41)의 측벽과 접촉해 있다.
제1 금형(4)이 더 하방으로 이동되면, 전선 압착부(22)는 오목 금형면(40)과 볼록 금형면(50)의 사이에 끼여 압축 변형된다(도 9 및 도 10의 하측부에 도시된 상태). 구체적으로, 전선 압착부(22)는 그 폭방향의 길이는 변화되지 않으면서 그 높이방향으로 압축되어,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을 갖도록 변형된다. 이로써, 전선 압착부(22)와 그 원통형 내부에 삽입된 도체선(11)은 압착 고정된다.
그러나, 전선 압착부(22)는, 오목 금형면(40)과 볼록 금형면(50)의 사이에서 압축 변형될 때, 그 상단부측의 중앙부 부근에서는 오목부(41)의 바닥면(42)에 형성된 제1 돌기부(43)에 의해 눌리고, 그 하단부측의 중앙부 부근에서는 볼록부(51)의 상단면(52)에 형성된 제2 돌기부(53)에 의해 눌린다. 이러한 식으로, 전선 압착부(22)의 폭방향 중앙 부근에 있어서 압착 불량의 발생이 회피되고, 전선 압착부(22)는 도체선(11)에 대해 확실하게 압착 고정된다.
또한, 전선 압착부(22)가 오목 금형면(40)과 볼록 금형면(50)의 사이에서 압축 변형될 때, 전선 압착부(22)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에서, 바닥면(42)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44)과 상단면(52)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54) 사이에 있는 개구측 단부에 의해,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넓어지는 확경부(201)가 형성된다. 한편, 전기 접촉부(21)측의 단부는, 바닥면(42)에 형성된 제1 다단 경사면 부분(45)과 상단면(52)에 형성된 제2 다단 경사면 부분(55) 사이에 있고, 이에 의해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다단계로 나눠서 점차 넓어지는 확경부(벨마우스부)(202)가 형성된다.
<4. 효과>
<4-1. 오목부(41)와 볼록부(51)의 폭>
압착 금형(3)에 있어서, 제1 금형(4)의 오목 금형면(40)에서의 오목부(41)의 폭 d401과 제2 금형(5)의 볼록 금형면(50)에서의 볼록부(51)의 폭 d501은 전선 압착부(22)의 외경 d201과 같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선 압착부(22)는 압축 변형되는 과정에서 그 폭방향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그 상하방향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변형되므로, 단자 피팅(2)이 비교적 부서지기 쉬운 재료, 예컨대 쾌삭 황동으로 제조되더라도,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쾌삭 황동으로 제조된 단자 피팅(2)을 전선(1)의 도체선(11)에 서로 다른 여러 양태로 압착 고정하여 얻어진 단자 구비 전선의 단면에서의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의 해석 결과가 도 11에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1에서,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큰 변형이 일어난 부분이 음영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색이 진할수록 큰 변형이 일어났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압축 변형 전후에 있어서의 단자 피팅의 폭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압축 변형 전의 단자 피팅(2)은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음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제1 단자 구비 전선은, 전술한 단자 구비 전선(100)으로서 압착 금형(3)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제2 단자 구비 전선(제1 비교예)(901)은, 도체선(11)이 삽입된 전선 압착부(22)에 대해 상하좌우측으로부터 막대 형상의 금형 등을 압박하여 전선 압착부(22)를 압축 변형시키고 이 전선 압착부(22)를 도체선(11)에 압착 고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제3 단자 구비 전선(제2 비교예)(902)은, 전선 압착부(22)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오목부를 갖는 오목 금형면과 전선 압착부(22)의 외경보다 폭이 넓은 볼록부를 갖는 볼록 금형면의 사이에 전선 압착부(22)를 끼워 넣고 전선 압착부(22)를 압축 변형시켜 이 전선 압착부(22)를 도체선(11)에 압착 고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제1 비교예(901)에 있어서, 원형 단면을 갖는 전선 압착부(22)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변형되었고, 도체선(11)의 그룹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다발지어지면서 전선 압착부(22)에 압착 고정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큰 변형이, 전선 압착부(22)에 있어서 금형으로부터 압박되는 부분의 부근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다발지어진 도체선(11)의 모서리부로부터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으로 균열이 형성될 공산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선 압착부(22)의 외면이 파손될 공산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제2 비교예(902)에 있어서, 전선 압착부(22)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줄어들고 폭방향의 길이가 증대되도록 변형되었고, 도체선(11)의 그룹이 폭방향의 중앙부 부근에서 표주박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다발지어지면서 전선 압착부(22)에 압착 고정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큰 변형이, 전선 압착부(22)의 폭방향의 양단부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다발지어진 도체선(11)의 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으로 균열이 형성될 공산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단자 구비 전선(100)에 있어서, 전선 압착부(22)는 폭방향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하방향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변형되어, 그 단면이 원형상의 것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타원형상(두 반원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얻어진 형상)의 것으로 변형되며, 도체선(11)의 그룹이 전선 압착부(22)의 단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타원 단면 형상을 갖도록 다발지어지면서 전선 압착부(22)에 압착 고정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선 압착부(22)에 있어서 파손을 야기할 수 있는 큰 변형이 발생한 부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도체선(11)과 전선 압착부(22) 사이의 경계 부분으로부터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균열도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전기적 성능도 확증되었다.
도 12는 쾌삭 황동으로 제조된 다양한 크기의 단자 피팅(2)을, 각각 서로 다른 금형 폭을 갖는 압착 금형을 이용하여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얻어진 단자 구비 전선의 균열 시험 결과를 보여준다. "금형 폭"은 압착 금형의 오목부의 폭(즉, 볼록부의 폭)을 의미한다. 도 12의 "파손 결과"에서 "○"는 파손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기록되어 있고, "×"는 파손이 확인된 경우에 기록되어 있다.
이 시험에서도, 금형 폭과 전선 압착부(22)의 외경이 동일한 경우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았고, 금형 폭이 전선 압착부(22)의 외경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는 파손이 발생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4-2. 압박>
또한, 압착 금형(3)에서는, 오목 금형면(40)에서의 오목부(41)의 바닥면(42)에 제1 돌기부(43)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 금형면(50)에서의 볼록부(51)의 상단면(52)에 제2 돌기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 압착부(22)를 압축 변형시켜 도체선(11)에 압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전선 압착부(22)는 서로 대향하는 둘레방향의 위치에서 압박된다. 이로써, 전기적 성능을 확실히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1 돌기부(43) 및 제2 돌기부(53)에 의한 압박량[구체적으로는, 제1 돌기부(43)의 높이 d403 및 제2 돌기부(53)의 높이 d5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의 두께 d203의 10 % 이상 3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의 억제와 우수한 전기적 성능을 쉽게 그리고 확실하게 겸비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도 13에서는 쾌삭 황동으로 제조된 다양한 크기의 단자 피팅(2)을, 각각 서로 다른 압박량으로 전선(1)의 도체선(11)에 압착 고정함으로써 얻어진 단자 구비 전선의 균열 시험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시험에서, 압박량이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의 두께 d203의 36% 이하인 경우에는, 파손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압박량이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의 두께 d203의 50%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파손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는, 압박량이 증대됨에 따라, 압축 변형 과정에서 전선 압착부(22)에 발생되는 변형이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고려된다.
압박량이 작아지면, 파손의 발생은 억제되지만, 실제 사용에서 만족할 만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압박량이 전선 압착부(22)의 반경방향의 두께 d203의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4-3. 벨마우스부(202)>
또한, 압착 금형(3)에서는, 오목부(41)의 바닥면(42)의 제1 다단 경사면 부분(45)과 볼록부(51)의 상단면(52)의 제2 다단 경사면 부분(55)은,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다단 경사면 부분(45, 55)의 사이에 끼여 있음으로써 형성된 벨마우스부(202)는 다단계로 나눠서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전선 압착부(22)를 압축 변형시켜 도체선(11)에 압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벨마우스부(202)는 갈라지거나 부서질 가능성이 낮다.
<5.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압착 금형(52)에서는, 오목부(41)의 폭 d401과 볼록부(51)의 폭 d501은 전선 압착부(22)의 외경 d201과 동일하며(제1 구성), 오목부(41)의 바닥면(42)에 제1 돌기부(43)가 형성되며, 볼록부(51)의 상단면(52)에 제2 돌기부(53)가 형성되고(제2 구성), 오목부(41)의 바닥면(42)의 제1 다단 경사면 부분(45)과 볼록부(51)의 상단면(52)의 제2 다단 경사면 부분(55)은,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제3 구성). 여기서, 압착 금형(3)은 제1 내지 제3 구성을 모두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구성을 채용한 압착 금형[오목부의 폭과 볼록부의 폭이 전선 압착부(22)의 외경 d201과 동일하며, 오목부의 바닥면과 볼록부의 상단면에 압박용 돌기부가 형성되는 압착 금형으로서, 오목부의 바닥면의 각 경사면 부분과 볼록부의 상단면의 각 경사면 부분이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도 또한 유효하다. 이러한 양태에서도, 균열이나 파손의 발생을 어느 정도 억제하면서 전기적 성능을 보장하는 압착 고정 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오목부의 바닥면과 볼록부의 상단면에 압박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태도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성능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해서는, 오목부의 바닥면과 볼록부의 상단면에 압박용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 구성만을 채용한 압착 금형[오목부의 바닥면에 있는 한쪽 경사면 부분과 볼록부의 상단면에 있는 한쪽 경사면 부분이,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압착 금형으로서, 오목부의 폭과 볼록부의 폭이 전선 압착부(22)의 외경 d201과 동일하지 않고, 오목부의 바닥면과 볼록부의 상단면에 압박용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도 또한 유효하다. 이러한 양태에서는, 특히 다단 경사면 부분 사이에 끼여 있음으로써 형성된 벨마우스부는 갈라지거나 부서질 가능성이 낮다라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3 구성은, 예컨대 원통 형상 이외의 형상을 갖는 전선 압착부를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전선을 압착 고정할 때에 사용되는 압착 금형에도 단독으로 채용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상의 설명은 어느 면으로나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많은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전선 11 : 도체선
2 : 단자 피팅 22 : 전선 압착부
3 : 압착 금형 4 : 제1 금형
5 : 제2 금형 40 : 오목 금형면
41 : 오목부 42 : 바닥면
43 : 제1 돌기부 45 : 제1 다단 경사면 부분
50 : 볼록 금형면 51 : 돌기부
52 : 상단면 53 : 제2 돌기부
55 : 제2 다단 경사면 부분
2 : 단자 피팅 22 : 전선 압착부
3 : 압착 금형 4 : 제1 금형
5 : 제2 금형 40 : 오목 금형면
41 : 오목부 42 : 바닥면
43 : 제1 돌기부 45 : 제1 다단 경사면 부분
50 : 볼록 금형면 51 : 돌기부
52 : 상단면 53 : 제2 돌기부
55 : 제2 다단 경사면 부분
Claims (5)
- 압착 금형으로서,
단자 피팅의 원통형 전선 압착부를 구속하는 오목 금형면이 형성된 제1 금형; 및
상기 오목 금형면과 쌍을 이루는 볼록 금형면이 형성된 제2 금형
을 포함하고,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오목부의 폭과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볼록부의 폭이 상기 전선 압착부의 외경과 동일하며;
상기 전선 압착부는 상기 오목 금형면과 상기 볼록 금형면의 사이에 끼여 압착 변형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전선 압착부와 이 전선 압착부의 원통형 내부에 삽입된 전선은 압착 고정되는 것인 압착 금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은,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세워지고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상기 볼록부의 상단면에 세워지고 상기 볼록부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인 압착 금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 각각의 돌출 높이가, 상기 전선 압착부의 반경방향의 두께의 10% 이상 36% 이하인 것인 압착 금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은, 상기 오목부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의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오목부의 깊이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의 상단면은, 상기 볼록부의 폭방향과 직교하는 길이방향의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볼록부의 돌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 경사면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경사면 부분과 상기 제2 경사면 부분 각각은 단부를 향해 감에 따라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비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으로 된 것인 압착 금형. - 원통형 전선 압착부를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전선을 압착 고정함으로써 단자 구비 전선을 제조하는 단자 구비 전선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전선 압착부의 원통형 내부에 전선을 삽입하는 단계;
b) 제1 금형에 형성된 오목 금형면과 제2 금형에 형성된 볼록 금형면 사이에 상기 전선 압착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오목 금형면과 상기 볼록 금형면 사이에 상기 전선 압착부를 끼워 넣어 상기 전선 압착부를 압축 변형시켜, 상기 전선 압착부의 원통형 내부에 삽입된 전선과 전선 압착부를 압착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 금형면에서의 오목부의 폭과 상기 볼록 금형면에서의 볼록부의 폭이 상기 전선 압착부의 외경과 동일한 것인 단자 구비 전선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63457 | 2011-07-26 | ||
JP2011163457A JP5686064B2 (ja) | 2011-07-26 | 2011-07-26 | 圧着金型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
PCT/JP2012/052806 WO2013014955A1 (ja) | 2011-07-26 | 2012-02-08 | 圧着金型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7699A true KR20130137699A (ko) | 2013-12-17 |
KR101559222B1 KR101559222B1 (ko) | 2015-10-13 |
Family
ID=4760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8993A KR101559222B1 (ko) | 2011-07-26 | 2012-02-08 | 압착 금형 및 단자 구비 전선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9543726B2 (ko) |
EP (1) | EP2738885B1 (ko) |
JP (1) | JP5686064B2 (ko) |
KR (1) | KR101559222B1 (ko) |
CN (1) | CN103503249B (ko) |
WO (1) | WO2013014955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68526B2 (en) | 2013-10-15 | 2017-09-19 | Furukawa Electric Co., Ltd. |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wire harness, method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and device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
KR20190044813A (ko) * | 2017-10-23 | 2019-05-0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고전압 케이블 압착용 지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67234B1 (ja) * | 2013-02-23 | 2014-08-06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接続構造体、端子圧着部材、ワイヤハーネス、コネクタ、接続構造体の圧着方法及びその圧着する圧着装置 |
US9397461B2 (en) * | 2013-03-15 | 2016-07-19 | Hubbell Incorporated | Controlled compression tube |
JP6421737B2 (ja) * | 2015-10-21 | 2018-11-14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圧着冶具、および端子付き電線 |
JP6867903B2 (ja) * | 2017-07-11 | 2021-05-12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付き電線、端子圧着用金型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
JP2019096569A (ja) * | 2017-11-28 | 2019-06-20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付き電線、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 |
JP6762338B2 (ja) * | 2018-05-21 | 2020-09-30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の圧着方法及び圧着構造 |
JP7195978B2 (ja) | 2019-03-01 | 2022-12-2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圧着用金型、圧着装置、及び端子付き導線の製造方法 |
JP7084341B2 (ja) * | 2019-03-06 | 2022-06-1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コネクタ部のモールド成形方法 |
USD985029S1 (en) * | 2019-06-27 | 2023-05-02 | Barsplice Products, Inc. | Cold-swaging die set with tubular splice sleeve |
JP7216044B2 (ja) * | 2020-04-24 | 2023-01-31 | 矢崎総業株式会社 | 防水部材の成形方法 |
JP7185660B2 (ja) | 2020-06-03 | 2022-12-0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35013A (en) * | 1946-03-20 | 1950-12-19 | Aircraft Marine Prod Inc | Electrical connector |
US2557126A (en) * | 1946-06-27 | 1951-06-19 | Aircraft Marine Prod Inc | Electrical connector |
US2795769A (en) * | 1947-10-24 | 1957-06-11 | Amp Inc | Electrical connection and method |
NL82445C (ko) * | 1951-10-11 | |||
NL102635C (ko) | 1954-07-06 | |||
BE563464A (ko) * | 1956-12-28 | |||
NL120485C (ko) * | 1960-03-09 | |||
US3097683A (en) * | 1960-05-02 | 1963-07-16 | Burndy Corp | Ram for circumferential crimping |
US3146519A (en) * | 1961-03-21 | 1964-09-01 | Etc Inc | Method of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
US4031613A (en) * | 1976-03-04 | 1977-06-28 | Amp Incorporated | Closed barrel terminal applicator |
US4040180A (en) * | 1976-06-15 | 1977-08-09 | Amp Incorporated | Wire cone assembly |
US4828516A (en) * | 1983-12-30 | 1989-05-09 | Amp Incorporated | Crimped electrical connection and crimping dies therefore |
US4890384A (en) * | 1988-08-25 | 1990-01-02 | Amp Incorporated | Method of crimping an electrical connection |
JPH0587879U (ja) * | 1991-05-21 | 1993-11-26 | 収平 岩田 | 鋼心アルミ撚線の円形圧縮接続 |
JPH0648171A (ja) | 1992-07-28 | 1994-02-22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空気清浄器 |
JPH0648171U (ja) * | 1992-12-02 | 1994-06-28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ターミナルピン |
JP3096804B2 (ja) * | 1995-11-20 | 2000-10-1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ケーブル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多芯ケーブルコネクタおよび圧着工具 |
US5745982A (en) * | 1996-11-22 | 1998-05-05 | The Whitaker Corporation | Lifting device for a crimped wire assembly |
US5907901A (en) * | 1997-04-29 | 1999-06-01 | The Whitaker Corporation | Wire lead-in funnel for a terminal applicator |
JPH1140310A (ja) * | 1997-05-19 | 1999-02-12 | Toyota Motor Corp | 通電カシメ装置 |
JP3627212B2 (ja) * | 1999-07-23 | 2005-03-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圧着状態判別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加締め型の摩耗状態検出方法 |
JP2001250657A (ja) * | 2000-03-03 | 2001-09-14 | Yazaki Corp | 金属端子金具の圧着片の圧着装置 |
JP3621913B2 (ja) * | 2001-12-04 | 2005-02-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圧着型およびそれを有する端子圧着機 |
SE523214C2 (sv) * | 2002-01-11 | 2004-04-06 | Elpress Ab | Sätt att förena ett kontaktdon med en flertrådig ledares ena ändparti och ett pressverktyg anpassat härför |
DE10343837B3 (de) | 2003-09-23 | 2005-06-09 | Harting Automotive Gmbh & Co. Kg | Crimpverbindung für Koaxialkabel sowie Vorrichtung für eine Crimpverbindung |
JP4250103B2 (ja) * | 2004-03-12 | 2009-04-08 | Smk株式会社 | 圧着装置 |
US7409847B2 (en) * | 2006-12-14 | 2008-08-12 | Intelligent Design Group,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connecting ferrules |
JP4499114B2 (ja) * | 2007-01-25 | 2010-07-07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端子圧着方法、端子圧着装置、端子圧着構造及び電気コネクタ |
JP2009087848A (ja) * | 2007-10-02 | 2009-04-23 | Furukawa Electric Co Ltd:The | アルミニウム電線用の圧着端子およびアルミニウム電線の端子圧着方法 |
JP4948346B2 (ja) * | 2007-10-02 | 2012-06-06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アルミニウム電線用の端子圧着工具 |
JP5164819B2 (ja) * | 2008-12-12 | 2013-03-21 | 矢崎総業株式会社 | 圧着バレルの圧着方法、圧着バレル及び圧着装置 |
JP2010153187A (ja) | 2008-12-25 | 2010-07-08 | Kuramo Electric Co Ltd | 電線における圧着端子の接続方法及び圧着端子 |
US8519267B2 (en) | 2009-02-16 | 2013-08-27 |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 Terminal having integral oxide breaker |
JP5374208B2 (ja) * | 2009-03-27 | 2013-12-25 | 矢崎総業株式会社 | 圧着端子金具 |
-
2011
- 2011-07-26 JP JP2011163457A patent/JP5686064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2-08 KR KR1020137028993A patent/KR101559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2-08 CN CN201280021345.4A patent/CN103503249B/zh active Active
- 2012-02-08 EP EP12817568.4A patent/EP2738885B1/en active Active
- 2012-02-08 US US14/131,547 patent/US9543726B2/en active Active
- 2012-02-08 WO PCT/JP2012/052806 patent/WO201301495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
- 2015-12-30 US US14/984,099 patent/US9698553B2/en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68526B2 (en) | 2013-10-15 | 2017-09-19 | Furukawa Electric Co., Ltd. |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wire harness, method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and device of manufacturing crimp-connection structural body |
KR20190044813A (ko) * | 2017-10-23 | 2019-05-0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고전압 케이블 압착용 지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144011A1 (en) | 2014-05-29 |
JP2013030274A (ja) | 2013-02-07 |
KR101559222B1 (ko) | 2015-10-13 |
CN103503249A (zh) | 2014-01-08 |
EP2738885A1 (en) | 2014-06-04 |
US9698553B2 (en) | 2017-07-04 |
EP2738885A4 (en) | 2014-12-17 |
JP5686064B2 (ja) | 2015-03-18 |
WO2013014955A1 (ja) | 2013-01-31 |
US20160111842A1 (en) | 2016-04-21 |
US9543726B2 (en) | 2017-01-10 |
CN103503249B (zh) | 2016-09-07 |
EP2738885B1 (en) | 2019-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37699A (ko) | 압착 금형 및 단자 구비 전선의 제조 방법 | |
CN101505019B (zh) | 具有调准板的连接器 | |
US9673549B2 (en) | Connector with movement suppression function during excessive vibration | |
US9666957B2 (en) | Connector terminal | |
US20150357738A1 (en) | Socket contact | |
US8851941B2 (en) | Crimping terminal and manufacturing of same | |
JP5164819B2 (ja) | 圧着バレルの圧着方法、圧着バレル及び圧着装置 | |
CN101662081A (zh) | 端子接头和与端子接头连接的导线 | |
US20100192366A1 (en) | Terminal crimp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erminal crimping electric wire, and terminal crimping electric wire | |
US11616316B2 (en) | Socket contact element for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 |
JP2017033759A (ja) | 端子金具 | |
CN105977676A (zh) | 一种插合连接器 | |
CN105514642B (zh) | 蝶形弹簧连接器 | |
CN105703087A (zh) | 压接连接器 | |
CN105703119A (zh) | 压接连接器 | |
CN109193219A (zh) | 一种双向式鳞片插孔机构 | |
KR101533808B1 (ko) | 커넥터 | |
CN104112915A (zh) | 压接连接器及其所使用的壳体 | |
CN110061372A (zh) | 压接连接器及其制造方法 | |
CN105006673B (zh) | 单片式表面安装伸缩弹片及具该弹片的表面安装组件 | |
CN102130395B (zh) | 电连接器的包覆电线保持部改良结构 | |
CN110061378A (zh) | 压接连接器及其制造方法 | |
JP6123105B2 (ja) |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方法 | |
JP6796619B2 (ja) |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 |
US20170141502A1 (en) | Electrical terminal for a femal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