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808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808B1
KR101533808B1 KR1020130159251A KR20130159251A KR101533808B1 KR 101533808 B1 KR101533808 B1 KR 101533808B1 KR 1020130159251 A KR1020130159251 A KR 1020130159251A KR 20130159251 A KR20130159251 A KR 20130159251A KR 101533808 B1 KR101533808 B1 KR 101533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connector
mounting termina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025A (ko
Inventor
이상미
심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15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8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단자를 포함하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장착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단자의 외면과 면접하도록 복수의 접촉도트를 포함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접촉력이 향상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메일(male)커넥터와 피메일(female)커넥터가 체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일커넥터에는 피메일커넥터에 장착되는 장착단자를 포함하고, 피메일커넥터에는 장착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한다.
특히 단자가 원형으로 형성된 커넥터의 경우, 피메일커넥터의 접촉단자 내에 외팔보 형상의 바디를 마련하여 메일커넥터의 장착단자와 피메일커넥터의 접촉단자의 접점 접촉부를 형성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의 메일커넥터(12)와 피메일커넥터(16)가 체결되기 위해서, 피메일커넥터(16)의 접촉단자(14)는 메일커넥터(12)의 장착단자(11)가 삽입되는 바디(15)와, 바디(15)를 감싸는 캡(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디(15) 내측에는 장착단자(1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장착단자(11)가 접촉단자(14)에 삽입되어 장착되면서 장착단자(11)의 외면과 상기 바디(15)가 면접하면서 메일커넥터(12)와 피메일커넥터(16)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단자(14)는 평면 상태의 원재료에 바디(15)를 형성한 후, 바디(15)를 벤딩(롤링)하여 원형의 접촉단자(14)를 형성한 후 캡(13)에 장착하여 형성한다. 그런데, 상기 평면 상태의 바디를 롤링하는 과정에서 바디(15)의 위치가 틀어질 수 있어 장착단자(11)가 접촉단자(14)로 삽입될 때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메일커넥터(12)와 피메일커넥터(16)의 접촉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접촉력이 향상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커넥터는, 장착단자를 포함하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장착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단자의 외면과 면접하도록 복수의 접촉도트를 포함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피메일커넥터의 바디가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바디 상에 접촉도트를 형성하여 메일커넥터의 장착단자가 접촉단자로 삽입될 때, 장착단자와 접촉단자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접촉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도트가 메일커넥터의 장착단자가 피메일커넥터의 접촉단자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하여 메일커넥터의 장착단자가 피메일커넥터의 접촉단자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피메일커넥터의 바디와 장착단자와의 접촉성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피메일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피메일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커넥터(10)는 원형으로 형성된 단자를 포함하는 메일커넥터(120)와 피메일커넥터(140)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단자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장착단자(122)를 포함하는 메일커넥터(120)와, 상기 장착단자(122)가 삽입되는 삽입공(145)이 형성되며, 장착단자(122)의 외면과 면접하도록 복수의 접촉도트(148)를 포함하는 접촉단자(142)를 포함하는 피메일커넥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일커넥터(120)와 피메일커넥터(140)는 차량(미도시)의 전장품에 장착되고, 피메일커넥터(140)는 복수의 전선(160)을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전선(160)을 통해 공급된 전원이 커넥터(10)를 통해 차량의 전장품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일커넥터(120)의 장착단자(122)가 피메일커넥터(140)의 접촉단자(142)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단자(142)는 장착단자(122)가 삽입되는 삽입공(145)이 형성된 캡(144)과, 캡(144)에 장착되고, 접촉도트(148)가 형성된 바디(146)를 포함한다. 이때, 접촉도트(148)는 바디(146) 내면에 장착단자(122)가 접촉단자(142)로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도트(148)는 장착단자(122)의 외면과 접촉단자(142)의 내면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재이다. 따라서, 접촉단자(142)가 장착단자(122)의 삽입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때 장착단자(122)와 접촉단자(142)의 접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접촉도트(148)는 2 이상의 열로 배열되고, 상기 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도트(148)는 장착단자(122)와 접촉단자(142)의 접촉력을 향상시키는 부재이다. 따라서, 접촉도트(148)가 2 이상의 열로 배열되고, 배열된 열을 따라 접촉도트(148)가 복수 개 형성됨에 따라 장착단자(122)와 접촉단자(142)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디(146)는 장착단자(122)가 삽입되며, 장착단자(122)의 외면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상기 바디(146)는 접촉단자(142)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메일커넥터(120)와 피메일커넥터(140)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는 부재이다.
이때, 바디(146)는, 바디(146)는 삽입공(145)에 인접한 일 단에서부터 타 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바디(146)는 예를 들어 외팔보 스프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146)를 삽입공(145)에 인접한 일 단에서부터 타 단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장착단자(122)가 삽입공(145)에 삽입되는 순간부터 접촉단자(142)와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접촉도트(148)에 의해 장착단자(122)가 접촉단자(142)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한다. 즉, 접촉도트(148)는 접촉단자(142)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이때, 접촉도트(148)를 복수 개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단자(122)가 접촉단자(142)로 삽입될 때, 장착단자(122)가 바디(146)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접촉단자(142)와 장착단자(122)의 접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장착단자(122)와 접촉단자(142) 사이의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메일커넥터(120)와 피메일커넥터(140)의 접촉성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도트(148)는 바디(146)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바디(146)는 장착단자(122)가 접촉단자(142)로 삽입되는 순간부터 접촉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바디(146)에 접촉도트(148)를 형성함으로써, 장착단자(122)가 접촉단자(142)의 접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장착단자(122)가 접촉단자(142)로 삽입되면, 장착단자(122)의 외면이 접촉도트(148)와 면접하면서 접촉도트(148)가 형성된 바디(146)를 압착할 수 있다. 압착된 바디(146)는 캡(144) 내면과 밀착하기 때문에 장착단자(122)와 접촉단자(142)의 접촉 여부가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도트(148)와 바디(14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단자(142)를 형성하는 평면 상태의 원재료를 가공하여 외팔보 스프링 형태의 바디(146)을 형성한 뒤, 상기 바디(146) 상에 접촉도트(148)를 형성한 후에, 평면 상태의 원재료를 롤링하여 캡(144)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도트(148)을 형성하는 방법은 바디(146)에 압력을 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접촉도트(148)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접촉도트(148)는 바디(146)의 일 단에서부터 타 단을 향할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바디(146)가 삽입공(145)에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바디(146)의 타 단 부분은 장착단자(122)와의 접촉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촉도트(148)의 크기를 바디(146)의 타 단을 향할수록 증가시켜 접촉단자(142)에 삽입된 장착단자(122)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단자 사이의 접촉성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피메일커넥터(140)의 바디(146)가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바디(146) 상에 접촉도트(148)를 형성하여 메일커넥터(120)의 장착단자(122)가 접촉단자(142)로 삽입될 때, 장착단자(122)와 접촉단자(142)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피메일커넥터(140)와 메일커넥터(120)의 접촉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접촉도트(148)가 메일커넥터(120)의 장착단자(122)가 피메일커넥터(140)의 접촉단자(142)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크기가 증가하도록 형성하여 메일커넥터(120)의 장착단자(122)가 피메일커넥터(140)의 접촉단자(142)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피메일커넥터(140)의 바디(146)와 장착단자(122)와의 접촉성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커넥터 120: 메일커넥터
122: 장착단자 140: 피메일커넥터
142: 접촉단자 144: 캡
146: 바디 148: 접촉도트
160: 전선

Claims (7)

  1. 장착단자를 포함하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장착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단자의 외면과 면접하도록 복수의 접촉도트를 포함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에 장착되고, 상기 접촉도트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인접한 일 단에서부터 타 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도트는, 복수 개가 상기 바디 내면에 상기 장착단자가 상기 접촉단자로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도트는 상기 바디의 일 단에서부터 타 단을 향할수록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장착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장착단자의 외면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도트는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7. 삭제
KR1020130159251A 2013-12-19 2013-12-19 커넥터 KR101533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51A KR101533808B1 (ko) 2013-12-19 2013-12-19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251A KR101533808B1 (ko) 2013-12-19 2013-12-19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25A KR20150072025A (ko) 2015-06-29
KR101533808B1 true KR101533808B1 (ko) 2015-07-03

Family

ID=5351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251A KR101533808B1 (ko) 2013-12-19 2013-12-19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29217U (zh) * 2018-07-23 2019-08-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连接器及其母座及公头、数据线、移动终端和电子装置
KR102067359B1 (ko) * 2019-06-28 2020-01-15 지에스엠메탈(주)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
KR102579947B1 (ko) 2022-05-09 2023-09-18 주식회사 한탑 언 락킹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창호용 락킹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581Y2 (ja) * 1990-03-20 1995-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H11144789A (ja) * 1997-11-06 1999-05-28 Yazaki Corp 端子構造
KR20120029916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581Y2 (ja) * 1990-03-20 1995-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H11144789A (ja) * 1997-11-06 1999-05-28 Yazaki Corp 端子構造
KR20120029916A (ko) * 2010-09-17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25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998B1 (ko) 커넥터
US9118130B1 (en) Low insertion force terminal
US9287643B2 (en) Electric connector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948467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787891B1 (ko)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US9673549B2 (en) Connector with movement suppression function during excessive vibration
US9033722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6039473B2 (ja) コネクタ
US9666957B2 (en) Connector terminal
JP5737361B2 (ja) コネクタ端子
US9083091B1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for solderless connection of parts to electrical contact holes
JP2015167225A5 (ko)
KR101533808B1 (ko) 커넥터
US7604518B2 (en) Electrical contact with retention latch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JP5934065B2 (ja)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06257762A (zh) 连接器
JP2015204186A (ja) 端子
US9812816B2 (en) Connector for use with a socket
JP6796619B2 (ja)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JP2010102831A (ja) 雄端子及びコネクタ
CN104170174A (zh) 电接触元件、插接件壳体和插接连接件
JP2013214438A (ja) 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JP2014007012A (ja) 圧着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