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190A -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190A
KR20130137190A KR1020137015217A KR20137015217A KR20130137190A KR 20130137190 A KR20130137190 A KR 20130137190A KR 1020137015217 A KR1020137015217 A KR 1020137015217A KR 20137015217 A KR20137015217 A KR 20137015217A KR 20130137190 A KR20130137190 A KR 2013013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ion curing
exhaust gas
carbonation
power plant
therm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671B1 (ko
Inventor
아츠노리 마츠바라
이치로 요시오카
다이사쿠 오바타
타카히토 오이카와
히데츠쿠 요코타
켄지 야마모토
토루 야기
타쿠미 쿠시하시
미노루 모리오카
코스케 요코제키
타케시 토리치가이
사토루 코바야시
켄고 세키
료이치 아시자와
Original Assignee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가지마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가지마 겐세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코쿠 덴료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3After-treatment of removed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2Selection of the hardening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2Selection of the hardening environment
    • C04B40/0231Carbon dioxide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90/00Organisational aspects of production methods, equipment or plants
    • C04B2290/20Integrated combined plants or devices, e.g. combined foundry and concrete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02P40/18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Abstract

경제적으로 탄산화 콘크리트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화력 발전소로부터의 탄산가스 배출량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는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탄산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산화 양생 설비(10)는, 내부가 차폐 공간으로 된 탄산화 양생조(11) 내에 수용된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화력 발전소(1)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순환장치(12)를 구비한다.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농도 및 유량이 조정되지 않고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공급되어, 탄산화 양생조(11) 내에 수용된 피양생체가 탄산화 양생된다.

Description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CARBONATION CURING EQIPMENT, PROCESS FOR PRODUCING CARBONATED CONCRETE, AND METHOD FOR FIXING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화력 발전소를 이용한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100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 중에서, 특수 혼화재를 첨가하여 강제 탄산화 양생에 의해 매우 치밀한 콘크리트(이하,「탄산화 콘크리트」라고 칭한다. )를 제조하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이나 탄산화 콘크리트를 사용한 보수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음의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는 탄산화 양생 설비는, 20%를 초과하는 임의의 농도(바람직하게는, 30%를 초과하는 임의의 농도)로 탄산가스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시멘트 경화체를 수용하여 외부의 대기환경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 공간을 갖고, 그 차폐 공간에 가스유량 조정기구를 통해서 탄산가스 공급원에 연결되는 가스 도입구와 가스 유입 방지기구를 통해서 외부에 연결되는 가스 배출구가 있어, 가스유량 조정기구와 가스유입 방지기구가 내부 분위기의 제어 모드를 적어도「가스 치환 모드」와「정상 모드」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도록 전환 조작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 제안되어 있는 제조 방법은, Ca 용출, 염해, 스케일링 및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 내구성 시멘트계 재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멘트 100질량부에 대하여 γ벨라이트 8∼70질량부를 포함하는 혼련물의 경화체로서, 표층부에 치밀화층을 갖고, 그 치밀화층의 공극률(K1)과 치밀화층을 제외한 내부의 공극률(K2)의 비(K1/K2)가 0.8 이하인 표층 치밀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서 제안되어 있는 상판(床版)의 보수 공법은, 장기에 걸쳐 내구성을 발휘하는 프리캐스트 상판을 사용한 효율적인 상판 보수 공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γC2S를 함유하는 시멘트 경화체를 탄산화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탄산화 시멘트계 부재와, 탄산화 처리되어 있지 않은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한 슬라브로 이루어지고, 해당 슬라브의 적어도 한쪽의 광면(廣面)이 탄산화 시멘트계 부재의 표면으로 구성되는 복합 프리캐스트 상판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상판의 상면 열화 개소를 포함하는 부분을 컷팅하고, 이 컷팅한 부분 대신에 복합 프리캐스트 상판을 그 탄산화 시멘트계 부재가 위 표면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일본 특개 2009-149456호 공보 일본 특개 2006-182583호 공보 일본 특개 2006-34846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의 특허문헌 1∼3에서 제안되어 있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이나 탄산화 콘크리트를 사용한 보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는, 20∼100% 농도의 탄산가스(CO2 가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는 시판되고 있는 농도 100%의 탄산가스 봄베(bombe)를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탄산화 콘크리트를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하여는 대량의 탄산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탄산가스 공급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판 중인 탄산가스 봄베를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사용한 탄산화 양생에는 경제적인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은, 탄산가스 봄베를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사용하여 탄산화 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는 효과적이지만, 탄산가스의 차폐 공간으로의 공급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가스유량 조정기구나, 차폐 공간으로부터 탄산가스를 배출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으로 탄산화 콘크리트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화력 발전소로부터의 탄산가스 배출량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는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탄산화 양생 설비는, 탄산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산화 양생 설비(10)로서, 내부가 차폐 공간으로 된 탄산화 양생조(11) 내에 수용된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화력 발전소(1)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순환장치(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농도 및 유량이 조정되지 않고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되어,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상기 피양생체가 탄산화 양생되어도 좋다.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의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온도·습도 조정장치(13)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기 전에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키는 장치(14)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되는 상기 피양생체의 용량이, 상기 탄산화 양생 기간 중의 상기 탄산화 양생 설비의 소비 전력량에 따른 탄산가스 배출량과 콘크리트에 의한 탄산가스 배출량의 합이 0 이하가 되는 용량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탄산화 양생 기간 중에는,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모두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은, 탄산화 양생 설비(10)의 내부가 차폐 공간으로 된 탄산화 양생조(11) 내에 피양생체를 수용하는 제1 스텝과,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고, 상기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농도 및 유량을 조정하지 않고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시키면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상기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여도 좋다.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의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상기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여도 좋다.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기 전에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켜도 좋다.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탄산화 양생 기간 중의 상기 탄산화 양생 설비의 소비 전력량에 따른 탄산가스 배출량과 콘크리트에 의한 탄산가스 배출량의 합이 0 이하가 되는 용량의 상기 피양생체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하여도 좋다.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모두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은,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고,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함으로써,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되는 탄산가스를 상기 피양생체 내에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고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은,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1)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화력 발전소를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이면서 또한 대량으로 고농도의 탄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할 수 있다.
(2) 시판 중인 탄산가스 봄베의 구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탄산화 콘크리트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3)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탄산가스(온실효과 가스)를 피양생체(콘크리트)에 봉입함으로써, 탄산가스를 피양생체 내에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고정화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화력 발전소로부터의 탄산가스 배출량의 대폭적인 억제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새로운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화 양생 설비(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공시체의 사용 재료이다.
도 3은 실험에 사용한 2종류의 배합으로, (a)는 고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 (b)는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이다.
도 4는 프레시(fresh) 성상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실험 중의 탄산화 양생 설비(10)의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에 따른 CO2 배출량, 콘크리트에 의한 CO2 배출량 및 실험에서의 CO2 배출량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소비 전력량에 의한 CO2 배출량, (b)는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에 의한 CO2 배출량, (c)는 본 실험에 의한 CO2 배출량이다.
상기의 목적을,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여 탄산화 콘크리트를 제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화 양생 설비(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차폐 공간으로 된 탄산화 양생조(11)와,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순환장치(12)와, 탄산화 양생조(11)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온도·습도 조정장치(1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탄산화 양생조(11) 내에는, 탄산화 양생되는 피양생체인 콘크리트(시멘트 경화체)가, 탄산화가 필요한 표면이 차폐 공간 내의 가스 분위기에 노출되도록 또는 탈형된 상태로 수용된다.
또한, 화력 발전소(1)의 배기가스 배출구와 굴뚝(2)을 연통(접속)하는 연도(3:煙道)의 도중에서 배기가스 공급관이 분기되어 있어,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탄산화 양생 기간 중에는, 배기가스 공급관에 설치된 송기 송풍기(4)를 통하여 배기가스 순환장치(12)를 통하여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상시 공급된다.
한편, 도 1(a)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공급관의 송기 송풍기(4)와 배기가스 순환장치(12)의 사이에 물접촉 장치(14)(배기가스를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키는 장치)를 구비하여,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공급하기 전에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켜서, 탄산화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탄산화 양생 설비(10)를 사용하여 탄산화 콘크리트를 실제로 제조한 실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 실험에서 사용한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습도 및 유량은 30∼40℃, 30% 및 1.8m3/h이며, 이 배기가스에 함유되는 탄산가스의 농도는 15∼18%이었기 때문에, 탄산화 양생조(11)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는, 탄산화 양생에 최적의 온도 및 습도인 50℃ 및 50%로 온도·습도 조정장치(13)에 의해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험에 사용하는 배합은, 고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과,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의 2종류이며, 경화 성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 피스를 제작하였다.
공시체의 혼화제의 첨가량은 시험 반죽에 의해 결정하였다.
사용 재료를 도 2에 나타낸다.
상술한 2종류의 배합을 도 3(a), (b)에 나타낸다.
상술한 2종류의 배합의 반죽 혼합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고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W, G 이외 투입→15초→W 투입→2분→낙하→G 투입→2분→배출
(2)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W 이외 투입→15초→W 투입→1분→낙하→1분→5분 정치→30초→배출
탄산화 양생은, 타설 공정 및 탈형 공정을 거친 후, 1일간의 1차 양생 공정(고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은 수중 양생,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은 밀봉 양생) 중에 공시체를 화력 발전소(1)까지 운반(고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은 젖은 천에서 양생하여 운반,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은 밀봉 상태로 운반)하여, 14일간의 탄산화 양생 공정에 의해 수행하였다.
여기에서, 탄산화 양생 공정은, 공시체를 탄산화 양생조(11) 내의 앞, 중심 및 안쪽에 18행×4열의 격자 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하고, 탄산화 양생조(11) 내에서 균일한 양생이 가능한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공시체 설치시에는, 2단 겹침 팔레트로 쌓아올리는 동시에, 캠버로 공시체를 들어올려 설치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프레시 시험 결과
도 4에, 프레시 성상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2) 1차 양생 중의 온도측정 결과
공시체를 타설 후 하루 정도 20℃에서 양생한 후, 탈형하여 화력 발전소(1)까지 운반하였다. 운반 중에도 최저 12℃ 정도이며, 큰 온도 저하는 확인되지 않았다.
(3) 탄산화 양생 중의 온도·습도 측정 결과
탄산화 양생 중의 탄산화 양생조(11)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 결과, 탄산화 양생 기간(탄산화 재령, 14일)을 통하여 설정값대로의 양생 환경(온도=50℃ 및 습도=50%)이 얻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탄산화 양생조(11) 내는 균질의 양생 환경이 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4) 탄산화 양생 중의 탄산가스 농도 측정 결과
탄산화 양생조(11) 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화력 발전소(1)의 배기가스에 함유되는 탄산가스와 같은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약 24시간 걸리고, 탄산화 양생조(11)의 용량이 37.5m3인 것으로부터,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은 1.6m3/h(=37.5m3/24h)이라고 생각된다. 그 결과,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은 1.8m3/h인 것으로부터, 배기가스는 대부분 손실없이 탄산화 양생조(11) 내에 봉입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탄산화 양생조(11) 내의 탄산가스 농도는, 14일간의 탄산화 양생 기간 중의 평균치로 13.5%이었다.
(5) 경화 성상 측정 결과
(5-1) 고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
고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에서의 배기가스 양생 종료 후의 압축 강도는, 75N/mm2이었다. 한편, 이 콘크리트를 시판 중인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탄산화 양생한 때의 압축 강도는 85N/mm2이고, 약 10N/mm2의 차가 발생하였다. 한편,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킨 배기가스를 사용한 때의 압축 강도는 80N/mm2이고,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키는 것으로 그 차가 작아졌다.
이 결과,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사용하여 탄산화 양생 (이하,「배기가스 양생」이라고 칭한다.)한 경우의 압축 강도는,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2)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
보통 강도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 배합에서의 배기가스 양생 종료 후의 압축 강도는 약 22N/mm2이었다. 한편, 이 콘크리트를 시판 중인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탄산화 양생한 때의 압축 강도는 약 20N/mm2이고, 양자의 차는 대단히 작은 것이었다.
이 결과, 배기가스 양생(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사용하여 탄산화 양생)한 경우, 강도 레벨을 따르지 않고, 시판 중인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탄산화 양생한 것과 동등한 성능을 콘크리트에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6) CO2 배출량
실험 중의 탄산화 양생 설비(10)의 소비 전력량에 의한 CO2 배출량, 보통 타입의 탄산화 콘크리트에 의한 CO2 배출량 및 실험에서의 CO2 배출량을 도 5(a)∼(c)에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는, 탄산화 양생 설비(10)에 사용하는 전력에 의해 766kg의 CO2 를 배출하고, 콘크리트 재료의 CO2 배출량 및 흡수량에 의한 재료 기인의 CO2 배출량은 -812kg이어서, 토탈 46kg의 CO2를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계산이 되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탄산화 양생조(11)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는, 탄산화 양생에 최적의 온도 및 습도인 50℃ 및 50%로 온도·습도 조정장치(13)에 의해 유지하도록 하였지만,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가 50℃ 및 50%에 가까울 경우에는 온도·습도 조정장치(13)는 필요없다.
또한, 배기가스 순환장치(12)를 이용하여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시켰지만, 예를 들면 탄산화 양생조(11)의 하면을 제외한 5면(표면 및 4개의 측면)으로부터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11) 내로 공급하도록 하면,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11) 내에서 순환시킬 필요는 특별히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함으로써,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탄산가스를 피양생체에 봉입해서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고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화력 발전소로부터의 탄산가스 배출량의 대폭적인 억제 및 화력 발전소로부터의 탄산가스의 고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화력 발전소
2 굴뚝
3 연도
4 송기 송풍기
10 탄산화 양생 설비
11 탄산화 양생조
12 배기가스 순환장치
13 온도·습도 조정장치
14 물접촉 장치

Claims (13)

  1. 탄산화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산화 양생 설비(10)로서,
    내부가 차폐 공간으로 된 탄산화 양생조(11) 내에 수용된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산가스 공급원으로서 화력 발전소(1)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는 배기가스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양생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순환장치(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농도 및 유량이 조정되지 않고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되어,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상기 피양생체가 탄산화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양생 설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의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기 위한 온도·습도 조정장치(1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양생 설비.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기 전에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키는 장치(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양생 설비.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되는 상기 피양생체의 용량이, 상기 탄산화 양생 기간 중의 상기 탄산화 양생 설비의 소비 전력량에 따른 탄산가스 배출량과 콘크리트에 의한 탄산가스 배출량의 합이 0 이하가 되는 용량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양생 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산화 양생 기간 중에는,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모두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양생 설비.
  7. 탄산화 양생 설비(10)의 내부가 차폐 공간으로 된 탄산화 양생조(11) 내에 피양생체를 수용하는 제1 스텝과,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여, 상기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는 제2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농도 및 유량을 조정하지 않고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시키면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상기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의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상기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기 전에 물 또는 수증기와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11.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탄산화 양생 기간 중의 상기 탄산화 양생 설비의 소비 전력량에 따른 탄산가스 배출량과 콘크리트에 의한 탄산가스 배출량의 합이 0 이하가 되는 용량의 상기 피양생체를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에서, 상기 화력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배기가스를 모두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13. 화력 발전소(1)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탄산화 양생조 내로 공급하여, 상기 탄산화 양생조 내에 수용된 피양생체를 탄산화 양생함으로써, 상기 배기가스에 함유되는 탄산가스를 상기 피양생체 내에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고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
KR1020137015217A 2010-12-17 2011-12-08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 KR101863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1273A JP4822373B1 (ja) 2010-12-17 2010-12-17 炭酸化養生設備、炭酸化コンクリート製造方法および炭酸ガス固定化方法
JPJP-P-2010-281273 2010-12-17
PCT/JP2011/078401 WO2012081486A1 (ja) 2010-12-17 2011-12-08 炭酸化養生設備、炭酸化コンクリート製造方法および炭酸ガス固定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190A true KR20130137190A (ko) 2013-12-16
KR101863671B1 KR101863671B1 (ko) 2018-06-01

Family

ID=4532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217A KR101863671B1 (ko) 2010-12-17 2011-12-08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28718B1 (ko)
JP (1) JP4822373B1 (ko)
KR (1) KR101863671B1 (ko)
CN (1) CN103347838A (ko)
WO (1) WO2012081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7882B2 (ja) * 2012-07-09 2014-07-23 鹿島建設株式会社 炭酸化養生設備及び炭酸化養生用co2含有ガスの供給方法
US8845940B2 (en) 2012-10-25 2014-09-30 Carboncure Technologies Inc. Carbon dioxide treatment of concrete upstream from product mold
CA2900049C (en) 2013-02-04 2020-08-18 Coldcrete, Inc.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carbon dioxide during the production of concrete
US9393715B2 (en) * 2013-03-13 2016-07-19 Solidia Technologies, Inc. Composite railroad tie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CA2904720C (en) * 2013-03-14 2016-11-29 Solidia Technologies, Inc. Curing systems for materials that consume carbon dioxide
US9376345B2 (en) 2013-06-25 2016-06-28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delivery of carbon dioxide to a flowable concrete mix
US10927042B2 (en) 2013-06-25 2021-02-23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9388072B2 (en) 2013-06-25 2016-07-12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20160107939A1 (en) 2014-04-09 2016-04-21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crete production
US9108883B2 (en) 2013-06-25 2015-08-18 Carboncure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carbonation of a cement mix
WO2015123769A1 (en) 2014-02-18 2015-08-27 Carboncure Technologies, Inc. Carbonation of cement mixes
CA2943791C (en) 2014-04-07 2023-09-05 Carboncure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arbon dioxide capture
CN104155434B (zh) * 2014-08-21 2015-11-04 广西大学 连续湿度环境条件下混凝土碳化规律的分析方法及试验装置
JP6418602B2 (ja) * 2015-02-27 2018-11-07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セメント質硬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461266B (zh) * 2015-12-01 2017-12-19 长安大学 一种能够吸附二氧化碳的大孔隙水泥混凝土及其制备方法
CA3019860A1 (en) 2016-04-11 2017-10-19 Carboncur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concrete wash water
CN106003397B (zh) * 2016-07-27 2019-08-09 湖南三一快而居住宅工业有限公司 混凝土预制件养护方法及混凝土预制件养护系统
CN107023072A (zh) * 2017-03-08 2017-08-08 北京航空航天大学 Frp‑碳化混凝土预制拼装组合体系
MX2019015651A (es) 2017-06-20 2020-08-03 Carboncure Tech Inc Métodos y composiciones para tratamiento de agua de lavado de concreto.
US11208350B2 (en) 2017-12-13 2021-12-28 Hconnect 2 Gmbh Method for simultaneous exhaust gas cleaning and manufacturing of supplementary cementitous material
EP3498681A1 (en) * 2017-12-13 2019-06-19 HeidelbergCement AG Use of carbonated recycled concrete fines as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
CN108640598A (zh) * 2018-05-16 2018-10-12 徐州工程学院 一种固碳混凝土预制件的制备方法
CN108911785A (zh) * 2018-09-14 2018-11-30 河南环宇石化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二氧化碳气养护蒸压砖生产装置
CN110128094B (zh) * 2019-04-25 2023-12-12 宁波大学 一种气硬性固化淤泥的养护装置及其养护方法
CN110315633A (zh) * 2019-04-30 2019-10-11 武汉理工大学 水泥窑富氧燃烧尾气养护水泥混凝土制品的方法及装置
US11254028B2 (en) * 2019-05-20 2022-02-22 Saudi Arabian Oil Company Systems and processes for accelerated carbonation curing of pre-cast cementitious structures
CN111960708B (zh) * 2020-03-28 2021-07-23 长江大学 一种表面包覆释控制备水泥基材料碳化内养护剂的方法
CN112191093A (zh) * 2020-04-03 2021-01-08 太平洋水泥株式会社 一种用水泥基材料固定二氧化碳的方法及装置
JP7471166B2 (ja) 2020-07-15 2024-04-19 株式会社フジタ 覆工コンクリートの養生システム、覆工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および覆工コンクリートの養生台車
KR102620833B1 (ko) 2021-11-25 2024-01-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포집형 복합콘크리트 구조물
CN114180990B (zh) * 2021-12-16 2022-10-04 武汉理工大学 一种含硅酸钙矿物预制件的碳化方法和碳化装置
KR102632095B1 (ko) 2022-12-09 2024-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나노버블 이산화탄소 용해수를 이용한 카본이팅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601A (ja) * 2001-03-30 2002-10-09 Taiheiyo Cement Corp 軽量モルタル材の製造方法
JP2006143531A (ja) * 2004-11-19 2006-06-08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硬化体の養生装置
JP2006182583A (ja) 2004-12-27 2006-07-13 Kajima Corp 表層緻密化モルタルまたはコンクリート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6348465A (ja) 2005-06-13 2006-12-28 Kajima Corp 複合プレキャスト床版および床版補修工法
JP2009149456A (ja) 2007-12-19 2009-07-09 Kajima Corp 炭酸化養生設備および表層緻密化セメント硬化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70935A (en) * 1970-12-21 1975-07-15 Arthur K. Stallard Method and apparatus for co2 curing of concrete
GB2106886B (en) * 1981-10-01 1986-03-19 Roman Malinowski Rapid hardening of concrete
US4427610A (en) * 1982-01-06 1984-01-24 Conger/Murra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ring concrete products
GB2192392B (en) * 1986-07-11 1990-04-18 Redland Roof Tiles Ltd Improvement in concrete articles
JPS63210054A (ja) * 1987-02-27 1988-08-3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γ型珪酸二石灰の炭酸化養生方法
JPH0818856B2 (ja) * 1987-02-27 1996-02-28 秩父小野田株式会社 γ型珪酸二石灰の炭酸化養生方法
JPH0856648A (ja) * 1994-08-22 1996-03-0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新規微細藻類株及びそれを用いてco2を固定する方法
US5690729A (en) * 1994-09-21 1997-11-25 Materials Technology, Limited Cement mixtures with alkali-intolerant matter and method
JPH0959050A (ja) * 1995-08-21 1997-03-04 Chichibu Onoda Cement Corp セメント用混合材の製造方法
JP2000119049A (ja) * 1998-10-13 2000-04-25 Taiheiyo Cement Corp セメント製造方法
JP4641117B2 (ja) * 2001-03-30 2011-03-02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無機質セメント複合板の製造方法
JP4666905B2 (ja) * 2003-12-03 2011-04-06 株式会社フジタ カルシウム除去方法およびカルシウム除去システム
CN100465121C (zh) * 2007-08-17 2009-03-04 济南大学 碳化养护加气混凝土
US7754169B2 (en) * 2007-12-28 2010-07-13 Calera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waste sources of metal oxides
US7815880B2 (en) * 2008-09-30 2010-10-19 Calera Corporation Reduced-carbon footprint concrete compositions
US7771684B2 (en) * 2008-09-30 2010-08-10 Calera Corporation CO2-sequestering formed building materials
JP2010239962A (ja) * 2009-03-19 2010-10-28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二酸化炭素を利用したメタンガスの生産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601A (ja) * 2001-03-30 2002-10-09 Taiheiyo Cement Corp 軽量モルタル材の製造方法
JP2006143531A (ja) * 2004-11-19 2006-06-08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硬化体の養生装置
JP2006182583A (ja) 2004-12-27 2006-07-13 Kajima Corp 表層緻密化モルタルまたはコンクリート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6348465A (ja) 2005-06-13 2006-12-28 Kajima Corp 複合プレキャスト床版および床版補修工法
JP2009149456A (ja) 2007-12-19 2009-07-09 Kajima Corp 炭酸化養生設備および表層緻密化セメント硬化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26623A (ja) 2012-07-05
JP4822373B1 (ja) 2011-11-24
EP2628718A1 (en) 2013-08-21
EP2628718A4 (en) 2015-04-08
KR101863671B1 (ko) 2018-06-01
CN103347838A (zh) 2013-10-09
WO2012081486A1 (ja) 2012-06-21
EP2628718B1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7190A (ko) 탄산화 양생 설비, 탄산화 콘크리트 제조 방법 및 탄산가스 고정화 방법
EP3720831B1 (en) Method for enhancement of mechanical strength and co2 storage in cementitious products
Mermerdaş et al. Experimental assessment and optimization of mix parameters of fly ash-based lightweight geopolymer mortar with respect to shrinkage and strength
Cho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mortar containing bio-char from pyrolysis
Shi et al. Weathering properties of CO2-cured concrete blocks
JP5270145B2 (ja) 表層緻密化セメント硬化体の製造方法
JP2021514922A (ja) 低ケイ酸カルシウムセメント系中性化コンクリート中における腐食の抑制
JP5504000B2 (ja) Co2吸収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551516A (ja) 最適なpHを有する硬化複合材料の形成方法、及びそれに関連する組成とシステム
CN108640598A (zh) 一种固碳混凝土预制件的制备方法
CN106007793A (zh) 一种提高过硫磷石膏矿渣水泥制品抗冻性能的方法
KR101078715B1 (ko) 폐목탄을 이용한 수질정화기능을 갖는 친환경 포러스 콘크리트블록
Shao et al. CO2 utilization in concrete
JP6563270B2 (ja) セメント質硬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
RU2339600C2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пенобетона
KR1009120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Gonçalves et al. Characterization and feasibility of using vegetable biomass ash in mortar
KR101120618B1 (ko) 이산화탄소 가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중성화 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개질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제조방법
KR100665192B1 (ko) 메카 보드 및 그 제조방법
Li et al. Repair of Fire-Damaged Concrete: Improvement of Carbonation Resistance
US20190308909A1 (en) Sintered ceramics
JP6418602B2 (ja) セメント質硬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Gilroy et al. Effects of Accelerated Carbonation Curing on CO2 Sequestration and 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Masonry Units
KR102629613B1 (ko) Oled 폐유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이의 제조방법
WO2024013263A1 (en) Method of reduction corrosion of reinforced carbonated construction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