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6482A -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6482A
KR20130136482A KR1020137014566A KR20137014566A KR20130136482A KR 20130136482 A KR20130136482 A KR 20130136482A KR 1020137014566 A KR1020137014566 A KR 1020137014566A KR 20137014566 A KR20137014566 A KR 20137014566A KR 20130136482 A KR20130136482 A KR 20130136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pipe
gas
biological tissue
tissu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네츠 스즈키
마사오 이케다
다카노리 우치다
오사무 이치키
시로우 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잇빤 자이단호진 가가쿠오요비겟세이료호겐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잇빤 자이단호진 가가쿠오요비겟세이료호겐쿠쇼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91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the liquid and the gas being mixed at least twice along the flow path of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41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one inner conduit of liquid surrounded by an external conduit of gas upstream the mixing chamber
    • B05B7/0475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one inner conduit of liquid surrounded by an external conduit of gas upstream the mixing chamber with means for deflecting the peripheral gas flow towards the central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 B05B7/087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to form parallel jets constituted by a liquid or a mixture contain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29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the carried liquid and the main stream of atomising fluid being brought together afte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7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comprising several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61B2017/00495Surgical glue applicators for two-component glue

Abstract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노즐 본체(1), 가스 주입구(2), 약액 주입구(3a, 3b), 약액 토출구(4a, 4b), 약액 유통관(5a, 5b), 가스 분출구(6), 연통구(8a, 8b) 및 역지 밸브(7b)를 갖고 있다. 가스 분출구(6)는, 약액 토출구(4a, 4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가스 주입구(2)로부터 노즐 본체(1)의 내부에 충전된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약액을 무화시켜 서로 혼합한다. 연통구(8a, 8b)는 노즐 본체(1)의 내부와 약액 유통관(5a, 5b)의 내부를 연통한다. 역지 밸브(7b)는 연통구(8a, 8b)와 약액 주입구(3a, 3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7b)는, 약액 주입구(3a, 3b)로부터 약액 유통관(5a, 5b)의 내부로의 약액의 유입을 일방적으로 허용한다.

Description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TOOL FOR APPLYING BIOLOGICAL TISSUE ADHESIVE}
본 발명은, 조직 접착용 복수의 약액을 동시에 생체의 환부에 분무하여 도포하기 위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관한 것이다.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로서, 시린지 본체, 약액 유통관 및 노즐을 포함하는 약액 유로를 2식(式) 구비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2개의 시린지 본체에는 각각 약액으로서 피브리노겐 용액 및 트롬빈 용액이 충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균 가스를 이용하여 이들 약액을 노즐로부터 동시에 분무함과 함께 서로 혼합시키는 도포 방법은, 스프레이 도포법이라 불리고 있다. 스프레이 도포법에서는, 피브리노겐 용액이 트롬빈 용액과 반응하여 섬유 형상의 피브린으로 변화된다. 섬유 형상으로 변화된 피브린은, 예를 들어 손상 후의 소화관 등의 환부를 지혈 폐쇄한다. 이때, 약액의 토출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다시 토출시켜 분무하는 것과 같은 단속적인 분무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중단된 동안에, 분무된 피브리노겐 용액 및 트롬빈 용액의 안개상의 미립자가 노즐의 선단에 재부착되어 2액이 서로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약액의 토출구나 약액 유통관의 선단부에 있어서 피브린이 고화되어 노즐이 막혀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막힘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무균 가스 주입구에 전환 장치를 설치하여, 이 무균 가스의 유로를, 가스 유로와 약액 유로로 전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약액의 토출을 정지하였을 때에, 전환 장치를 전환하여 무균 가스를 약액의 유로 내에 사출함으로써, 약액의 유로의 선단측에 잔류하고 있는 약액을 배출할 수 있다. 시린지와 약액 유통관 사이에는, 약액이 약액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일방적으로 허용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무균 가스에 의해 잔류 약액을 배출할 때에 약액이 시린지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전환 장치를 설치하여, 약액 토출시에 전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약액 유통관의 관 벽면에 연통구를 개방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연통구는, 관 벽면에 비스듬히 형성한 절입부이다. 이 절입부의 깊이 방향은, 약액의 흐름의 상류측(공급측)으로부터 하류측(토출측)을 향하는 경사 방향이다. 이 연통구는, 약액의 토출시에는 토출압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만, 약액의 토출을 정지한 순간에, 가스압에 의해 연통구가 개방되고, 이 연통구로부터 무균 가스가 유통관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통관의 선단측에 잔류한 약액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선단의 막힘이 방지된다. 그로 인해, 간이한 구성에 의해, 단속적인 분무를 행해도 노즐의 막힘이 방지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3888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52880호 공보
그러나, 최근에는 도포 용구의 노즐의 고화 방지에 관하여 가일층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약액을 분무 및 혼합하여 접착력을 얻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이며, 분무 후에 노즐 선단이 고화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포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노즐 본체와, 이 공간 내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주입구와, 노즐 본체에 설치된 제1 및 제2 약액 주입구와, 노즐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와, 노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제1 및 제2 약액 유통관과, 가스 분출구를 갖는다. 제1 약액 유통관은 제1 약액 주입구와 제1 약액 토출구를 연통한다. 제2 약액 유통관은 제2 약액 주입구와 제2 약액 토출구를 연통한다. 가스 분출구는,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의 근방에 설치되고, 노즐 본체의 내부에 충전된 가스를 분사하고,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약액을 무화시켜 서로 혼합한다. 제2 약액 유통관에는, 노즐 본체의 내부와 제2 약액 유통관의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는, 연통구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고 제2 약액 주입구로부터 제2 약액 유통관의 내부로의 약액의 유입을 일방적으로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서는, 약액 유통관의 내압이 소정 이하로 되면, 약액을 무화하기 위한 고압의 가스가 연통구로부터 제2 약액 유통관의 내부로 유입된다. 연통구보다도 상류측에는 역지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가스는 연통구로부터 약액 토출구를 향해 흐른다. 이에 의해, 연통구를 설치한 제2 약액 유통관의 약액 토출구의 근방에 잔류하고 있었던 약액(잔류 약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단속적인 사용시에 있어서의 제2 약액 유통관의 선단의 고화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역지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가스의 압력은 역지 밸브보다도 상류측에서 소비되는 일 없이, 오로지 잔류 약액의 배출에 사용된다. 그로 인해, 제2 약액 유통관의 선단의 고화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화 방지에 우수한 제품을, 연통구와 역지 밸브를 설치한 것만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제2 약액 유통관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제1 약액 유통관에, 노즐 본체의 내부와 제1 약액 유통관의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더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약액 유통관에 설치된 연통구의 개구 면적이, 제2 약액 유통관에 설치된 연통구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아도 된다. 여기서, 연통구의 개구 면적이라 함은, 0개, 1개 또는 복수개의 연통구의 개구 면적의 합계이다. 제1 약액 유통관에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약액 유통관의 연통구의 개구 면적은 제로이다. 즉, 제1 및 제2 약액 유통관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약액 유통관의 연통구의 개구 면적의 합계보다도 제2 약액 유통관의 연통구의 개구 면적의 합계의 쪽이 커도 된다. 또는, 제1 약액 유통관에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2 약액 유통관에만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제1 약액 주입구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제1 시린지 본체와, 제2 약액 주입구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제2 시린지 본체를 더 갖고, 제1 시린지 본체에 충전된 제1 약액의 점성보다도, 제2 시린지 본체에 충전된 제2 약액의 점성의 쪽이 높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제1 약액 유통관과 제2 약액 유통관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더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제1 약액을 제1 시린지 본체로부터 제1 약액 유통관에 주입하는 제1 피스톤과, 제2 약액을 제2 시린지 본체로부터 제2 약액 유통관에 주입하는 제2 피스톤과, 제1 및 제2 피스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더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시린지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과, 노즐 본체 및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연통구는, 약액 유통관의 관 벽면에 형성된 슬릿이며, 이 슬릿의 깊이 방향은, 약액 유통관의 선단측을 향하는 경사 내향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슬릿은, 관 벽면의 외측의 개구 폭보다도 내측의 개구 폭이 좁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연통구는, 약액 유통관의 관 벽면의 두께보다도 큰 길이를 갖는 가스 유로이며, 이 가스 유로 깊이 방향은, 약액 유통관의 선단측을 향하는 경사 내향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약액 유통관은, 연질성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복수의 노즐 본체가, 복수의 약액 유통관에 대해 개별로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종 구성 요소는, 반드시 각각 독립된 존재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구성 요소가 1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 어느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인 것, 어느 구성 요소의 일부와 다른 구성 요소의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류측이라 함은, 약액 유통관에 약액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구측을 의미하고, 하류측이라 함은, 약액 유통관의 약액을 외부로 토출하는 약액 토출구측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약액의 분무 혼합 후에 노즐 선단이 고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합한 실시 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로, 도 1a는 당해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를 밴드(고정 수단)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측면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슬릿 형상의 연통구를 설치한 약액 유통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역지 밸브 부분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a, 도 5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노즐 본체측의 일부 확대도로, 도 5a는 약액을 토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약액의 토출을 정지하고, 연통구를 설치한 약액 유통관 내부로부터 약액을 배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일부 확대도로, 도 6a는 연통구의 내측에 연통관을 접속한 약액 유통관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연통구의 외측에 연통관을 접속한 약액 유통관의 단면도이고, 도 6d는 도 6c의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일부 확대도로, 도 7a는 연통구의 내측에 연통관을 접속한 약액 유통관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이고, 도 7c는 연통구의 외측에 연통관을 접속한 약액 유통관의 단면도이고, 도 7d는 도 7c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마찬가지의 번호를 부여하고, 적절하게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규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은 구성 요소의 상대 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편의적으로 규정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제품의 제조시나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고, 도 1b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측면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는, 특히 간장이나 폐의 절제 단단(斷端)이나 소화관의 봉합부의 지혈 폐쇄 등의 기술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2개의 서로 다른 약액이 각각 충전된 시린지 본체가 노즐 본체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개요에 대해, 도 1a 내지 도 1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b에 있어서, 도면 중의 상방향을 생체 접착제 도포 용구 상이라고 칭하고, 도면 중의 하방향을 하라고 칭한다. 또한, 도 1b에 있어서, 도면 중의 앞쪽 방향을 좌측이라고 칭하고, 도면 중의 안쪽 방향을 우측이라고 칭한다(즉, 도 1a 및 도 1c에 있어서, 도면 중의 하방향을 좌측이라고 칭하고, 도면 중의 상방향을 우측이라고 칭한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 있어서, 도면 중의 좌측 방향을 전방 또는 선단측이라고 칭하고, 도면 중의 우측 방향을 후방 또는 후단부측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점성이 다른 약액, 예를 들어 피브리노겐 용액 및 트롬빈 용액을 환부에 도포하여 접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2개의 약액 중, 비교적 점성이 낮은 트롬빈 용액을 제1 약액이라 호칭하고, 비교적 점성이 높은 피브리노겐 용액을 제2 약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저점성의 제1 약액은 제1 시린지 본체(10a)에 충전되어 있다. 제1 약액은, 제1 약액 유통관(5a)을 유통하여 제1 약액 토출구(4a)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고점성의 제2 약액은 제2 시린지 본체(10b)에 충전되어 있다. 제2 약액은, 제2 약액 유통관(5b)을 유통하여 제2 약액 토출구(4b)로부터 토출된다.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노즐 본체(1), 가스 주입구(2), 제1 및 제2 약액 주입구(3a, 3b),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4a, 4b), 제1 및 제2 약액 유통관(5a, 5b), 가스 분출구(6), 연통구(8a, 8b), 역지 밸브(7b)를 갖고 있다. 제1 약액의 유로는, 시린지 본체(10a), 약액 주입구(3a), 약액 토출구(4a), 약액 유통관(5a)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약액의 유로는, 시린지 본체(10b), 약액 주입구(3b), 약액 토출구(4b), 약액 유통관(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1 약액의 유로와 제2 약액의 유로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경우에는, 제1, 제2의 서수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노즐 본체(1)는, 내부에 공간(1c)을 갖고 있다. 가스 주입구(2)는, 공간(1c) 내에 가스를 충전한다. 제1 및 제2 약액 주입구(3a, 3b)는, 노즐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4a, 4b)는, 노즐 본체(1)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약액 유통관(5a, 5b)은 노즐 본체(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약액 유통관이 노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당해 약액 유통관의 적어도 일부가 노즐 본체의 내부에 있는 것을 말한다.
제1 약액 유통관(5a)은, 제1 약액 주입구(3a)와 제1 약액 토출구(4a)를 연통한다. 제2 약액 유통관(5b)은, 제2 약액 주입구(3b)와 제2 약액 토출구(4b)를 연통한다. 가스 분출구(6)는,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4a, 4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 분출구(6)는, 노즐 본체(1)의 내부에 충전된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4a, 4b)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제1 및 제2 약액을 무화시키는 동시에, 서로 혼합한다.
연통구(8a, 8b)는, 고점성의 제2 약액이 유통하는 제2 약액 유통관(5b)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약액 유통관(5b)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2개)의 연통구(8a, 8b)를 예시한다. 연통구(8a, 8b)는, 노즐 본체(1)의 내부와, 이 제2 약액 유통관(5b)의 내부를 연통하고 있다. 연통구(8a, 8b)는, 노즐 본체(1)의 내부의 가스를, 제2 약액 유통관(5b)의 선단측[제2 약액 토출구(4b)의 측]을 향해 도입한다.
역지 밸브(7b)는, 제2 약액 유통관(5b)에 있어서의 연통구(8a, 8b)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연통구(8a, 8b)보다도 상류측이라 함은, 이들 중 상류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구[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구(8b)]보다도 더욱 후단부측을 말한다. 역지 밸브(7b)는, 제2 약액 주입구(3b)로부터 제2 약액 유통관(5b)의 내부로의 제2 약액의 유입을 일방적으로 허용한다. 즉, 역지 밸브(7b)는, 제2 약액 주입구(3b)로부터 제2 약액 토출구(4b)를 향하는 액체 및 기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반대로 제2 약액 토출구(4b)로부터 제2 약액 주입구(3b)를 향하는 액체 및 기체의 흐름을 규제한다. 역지 밸브(7b)는, 약액 유통관(5b)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약액 주입구(3b)와 약액 유통관(5b)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약액 주입구(3b)와 시린지 본체(10b)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의 단속 사용시에, 약액의 토출을 정지시키면, 연통구(8a, 8b)로부터 제2 약액 유통관(5b)으로 유입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점성이 높은 제2 약액의 잔류 약액을 약액 토출구(4b)로부터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약액의 고화를 양호하게 방지하여,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의 단속 사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구(8a, 8b)와 시린지 본체(10b)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연통구(8a, 8b)보다도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약액 주입구(3b)와 시린지 본체(10b) 사이에 역지 밸브(7b)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스에 의한 약액의 배출시에, 가스가 시린지 본체(10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점성의 제1 약액이 유통하는 제1 약액 유통관(5a)에는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고점도의 제2 약액이 유통하는 제2 약액 유통관(5b)에만 연통구(8a, 8b)가 설치되어 있다. 저점도의 제1 약액에 관해서는, 제1 약액 유통관(5a)의 내부에 있어서의 유동성이 높아, 당해 약액의 토출을 정지한 후의 선단 위치는 제1 약액 토출구(4a)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후퇴한다. 시린지의 압박을 정지한 후에도, 가스의 분출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는, 당해 가스가 형성하는 부압(負壓)에 의해, 여전히 소정량의 약액이 약액 유통관으로부터 분출된다. 이로 인해, 토출 정지 후의 약액의 선단 위치는 약액 토출구보다도 후퇴한다. 비교적 점성이 낮은 제1 약액은, 제2 약액보다도 이 흡출량이 많아지므로, 토출 정지 후의 약액의 선단 위치는 제2 약액보다도 크게 후퇴한다. 따라서, 제1 약액이 유통하는 제1 약액 유통관(5a)에 대해서는, 연통구(8a, 8b)를 형성하지 않아도, 제1 약액 토출구(4a)의 고화는 비교적 문제가 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점성이 높은 제2 약액에 관해서는, 토출 정지 후의 약액의 선단 위치가 약액 토출구(4b)에 근접하기 쉽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고압의 가스를 사용하여 잔류 약액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실시 형태 대신에, 제2 약액 유통관(5b)뿐만 아니라 제1 약액 유통관(5a)에도 연통구(8a, 8b)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약액의 유로에 있어서의 연통구(8a, 8b)보다도 상류측에, 역지 밸브(7a)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이 경우, 제1 약액 유통관(5a)에 설치된 연통구(8a, 8b)의 개구 면적이, 제2 약액 유통관(5b)에 설치된 연통구(8a, 8b)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약액 유통관(5a)의 잔류 약액(저점도의 제1 약액)과, 제2 약액 유통관(5b)의 잔류 약액(고점도의 제2 약액)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밸런스 좋게 배출된다. 또한, 제1 약액 유통관(5a)에 연통구(8a, 8b)를 설치하지 않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약액 유통관(5a)과 피스톤(12a) 사이에 역지 밸브(7a)를 설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12a)에의 기포의 혼입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제1 약액 주입구(3a)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제1 시린지 본체(10a)와, 제2 약액 주입구(3b)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제2 시린지 본체(10b)를 갖고 있다. 제1 시린지 본체(10a)에 충전된 제1 약액(저점도)의 점성보다도, 제2 시린지 본체(10b)에 충전된 제2 약액(고점도)의 점성의 쪽이 높다.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제1 약액 유통관(5a)과 제2 약액 유통관(5b)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9a, 9b, 11a, 11b, 14a, 14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제1 약액을 제1 시린지 본체(10a)로부터 제1 약액 유통관(5a)에 주입하는 제1 피스톤(12a)과, 제2 약액을 제2 시린지 본체(10b)로부터 제2 약액 유통관(5b)에 주입하는 제2 피스톤(12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피스톤(12a, 12b)은, 시린지 본체(10a, 10b)에 충전된 약액을 각 약액 유통관(5a, 5b)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압박 수단이다.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제1 및 제2 피스톤(12a, 12b)을 서로 연결하는 피스톤 연결 수단(13)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12a, 12b)을 피스톤 연결 수단(13)에 의해 연결하여, 동시에 압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약액 유통관(5a, 5b)을 유통하는 점성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약액을, 밸런스가 좋은 토출 비율로 각 약액 토출구(4a, 4b)로부터 토출시켜 환부에 도포할 수 있다.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가스 주입구(2)에 접속되어 가스를 노즐 본체(1)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15)과, 이 가스 주입구(2)의 상류측에 배치된 가스 여과용 필터(16)를 더 갖고 있다.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는, 제1 및 제2 시린지 본체(10a, 10b)를 서로 연결하는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20)과, 노즐 본체(1) 및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20)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의 밴드(14)를 구비하고 있다.
식별 수단(9a, 9b)은, 시린지 본체(10a, 10b)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피스톤(12a)에 식별 수단(9a)이 설치되어 있고, 제2 피스톤(12b)에 식별 수단(9b)이 설치되어 있다. 식별 수단(11a, 11b)은, 약액 주입구(3a, 3b)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식별 수단(14a, 14b)은 밴드(14)에 설치되어 있다. 식별 수단(14a, 14b), 식별 수단(11a, 11b) 및 식별 수단(9a, 9b)은 서로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노즐 본체(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1)는, 후단부측에 기밀적으로 덮개(1a)가 접속되어 있다. 이 덮개(1a)의 벽면에는, 노즐 본체(1)의 선단 방향으로 지지 기둥(1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기둥(1b)은,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1)의 선단까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기둥(1b)에 의해, 노즐 본체(1)와 약액 토출구(4a, 4b)를 지지하여, 약액과 가스의 분무 혼합압에의 내성을 높이고 있다. 지지 기둥(1b)의 외주면 및 노즐 본체(1)의 내주면과, 약액 토출구(4a, 4b)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이 가스 분출구(6)이다. 이 가스 분출구(6)는, 제1 및 제2 약액의 양호한 혼합과 분사를 행할 수 있도록, 2개의 약액 토출구(4a, 4b) 사이, 또한 이들보다도 후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본체(1)에 약액 분무용의 고압의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주입구(2)는,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1)의 하부 저벽(1d)에 개방 형성되어 있다. 가스 분출구(6)로부터 가스를 고속으로 분사함으로써, 가스 분출구(6)의 근방에 부압이 형성되어, 약액 토출구(4a, 4b)로부터 약액이 분출된다. 이로 인해, 피스톤(12a, 12b)을 작은 힘으로 압출함으로써 약액을 원활하게 토출할 수 있다. 토출된 제1 및 제2 약액은, 가스의 분사에 의해 무화되어, 서로 혼합된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1)의 가스 주입구(2)에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탱크 등의 공급 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연통되는 가스 공급관(1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가스 공급관(15)에는, 가스 주입구(2)의 상류측에, 가스 여과용 필터(16)가 접속 배치되고, 이 필터(16)를 통해, 가스의 공급원과 연통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필터(16)에 의해 가스 내의 먼지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어, 노즐 본체(1)의 공간(1c)에 청정화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보다 청결한 약액을 환부에 분무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약액의 토출을 정지하였을 때에, 연통구(8a, 8b)로부터 약액 유통관(5b)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어 선단의 약액을 배출하는 경우의, 먼지 등의 혼입에 의한 약액 유통관(5b) 내부의 막힘 등을 방지하여, 약액의 원활한 유통과 토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즐 본체(1)의 덮개(1a)에는, 도 4, 도 5a 및 도 5b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 유통관(5a, 5b)과 시린지 본체(10a, 10b)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구멍(1e1, 1e2)이 개방 형성되어 있다. 덮개(1a)에는 또한, 이 연통 구멍(1e1, 1e2)에 연속하여, 노즐 본체(1)의 공간(1c) 방향으로 약액 유통관(5a, 5b)을 액밀적으로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해 원통 형상의 관 장착부(1d1, 1d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 구멍(1e1, 1e2)에 연속된 후단부측에, 역지 밸브(7a, 7b)를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밸브 장착부(1f1, 1f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장착부(1f1, 1f2)에는, 내부에 장착한 역지 밸브(7a, 7b)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19a, 19b)에 돌출 형성된 2중의 원통부(19c, 19d)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 수단(19a, 19b)의 외주에는, 지지 수단 커버(21a, 21b)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수단 커버(21a, 21b)는, 각각 적색과 청색으로 구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린지 본체(10a, 10b)를 접속할 때의 식별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 수단 커버(21a, 21b)를 장착함으로써, 2중의 원통부(19c, 19d)의 외측으로의 확장을 방지하여, 지지 수단(19a, 19b)의 탈락 방지, 기밀성 및 액밀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노즐 본체(1)는, 약액의 성질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예를 들어 차광 등을 위해 반투명이나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해도 되고, 내부의 용이한 확인 등을 위해 투명한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 노즐 본체(1), 약액 토출구(4a, 4b), 약액 유통관(5a, 5b), 가스 공급관(15), 역지 밸브(7a, 7b) 등,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는, 의료용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용의 다른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약액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역지 밸브(7a, 7b)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c의 전체도 및 도 4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7a, 7b)는, 원통 형상의 밸브 장착부(1f1, 1f2) 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역지 밸브(7a, 7b)로서, 도 4의 역지 밸브(7b) 부근의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면으로의 압력의 부여에 의해 개방되고, 외면으로의 압력의 부여에 의해 폐쇄되는, 이른바 덕빌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약액 토출시에는, 밸브막이 개방되어 약액 주입구(3b)로부터 약액 유통관(5b) 내부로의 약액의 유입을 허용한다. 그러나, 약액의 토출 정지시 등에는, 당해 약액 유통관(5b) 내부로부터의 약액 주입구(3b) 방향으로 가스압 등의 압력이 가해져, 밸브막이 폐쇄되어, 약액 유통관(5b) 내부로부터의 약액이나 가스의 시린지 본체(10b)측으로의 유출을 규제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역지 밸브(7a)에 대해서도, 역지 밸브(7b)와 마찬가지의 구성과 효과를 갖고 있다.
시린지 본체(10a, 10b)에는, 충전되는 약액의 식별 수단(9a, 9b)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시린지 본체(10a)에 삽입하여 내부의 약액을 압출하는 피스톤(12a)을 적색으로 하고, 시린지 본체(10b)에 삽입하는 피스톤(12b)을 청색으로 하여, 식별 수단(9a, 9b)의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적색, 청색의 피스톤(12a, 12b)에 의해 식별된 시린지 본체(10a, 10b)를 접속하는 노즐 본체(1)에도,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색 원의 식별 수단(11a)과 청색 원의 식별 수단(11b)이 인쇄된 식별 시일(11)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1)와 2개의 시린지 본체(10a, 10b)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의 밴드(14)에도 식별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즉, 밴드(14)에 「적」이라는 문자와 시린지 본체(10a)의 장착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부각시켜 식별 수단(14a)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밴드(14)에 「청」이라는 문자와 시린지 본체(10b)의 장착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부각시켜 식별 수단(14b)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린지 본체(10a, 10b)의 노즐 본체(1)에의 접속 위치의 오류를,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수단 커버(21a)를 적색, 지지 수단 커버(21b)를 청색으로 하여, 이들에도 식별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노즐 본체(1)에의 2종류의 시린지 본체(10a, 10b)의 접속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밴드(14)에 의한 노즐 본체(1)와 시린지 본체(10a, 10b)의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의 전체도 및 도 2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14)의 선단은, 노즐 본체(1)의 후단부에 형성된 삽입부(1g) 내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밴드(14)의 후단은, 관통 구멍(14c)이 개방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시린지 본체(10a, 10b)를 연결하는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20)의 선단에는, 상기 관통 구멍(14c)에 삽입하기 위한 돌기부(20a)가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린지 본체(10a, 10b)를 노즐 본체(1)측의 지지 수단(19a, 19b)에 각각 삽입한 후에, 밴드(14)을 밀어내려, 관통 구멍(14c)에,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20)의 돌기부(20a)를 삽입한다. 또한, 밴드의 밀어내림과 이 삽입을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해, 밴드(14)의 후단부에는, 손가락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부(14d)가 경사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이 밴드(14)에 의해, 노즐 본체(1)로부터의 시린지 본체(10a, 10b)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시린지 본체(10a, 10b)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 결과, 피스톤(12a, 12b)의 안정된 압박이 가능해지고, 약액의 원활한 토출이 가능해져,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의 안정된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밴드(1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린지 본체(10a)의 접속측을 가리키는 화살표와 「적」이라는 문자가 부각된 식별 수단(14a)이 설치되고, 시린지 본체(10b)의 접속측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청」이라는 문자가 부각된 식별 수단(14b)이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시린지 본체(10a, 10b)의 접속의 오류를, 보다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과 「청」이라고 하는 문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ed의 이니셜「R」과 Blue의 이니셜「B」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색 구분도 적색과 청색에 한정되지 않고, 시린지 본체(10a, 10b)의 색이나 약액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한 색을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약액 유통관(5b)에 설치된 연통구(8a, 8b)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약액 유통관(5b)의 모식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이다. 연통구(8a, 8b)는, 약액 유통관(5b)의 관 벽면에 형성된 슬릿이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의 깊이 방향은, 약액 유통관(5b)의 선단측[약액 토출구(4b)의 측]을 향하는 경사 내향이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8a, 8b)(슬릿)는, 약액 유통관(5b)의 관 벽면의 외측의 개구 폭 w1보다도 내측의 개구 폭 w2의 쪽이 좁다. 연통구(8a, 8b)는, 약액 유통관(5b)의 축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이며, 또한 상류측(도 3b의 우측)으로부터 하류측(도 3b의 좌측)에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절입부를 넣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연통구(8a, 8b)는, 축 방향(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하는 약액의 토출시에는, 가스압보다도 높은 토출압으로 약액이 토출되므로, 연통구(8a, 8b)로부터 가스가 약액 유통관(5b) 내로 유입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약액 토출구(4b)로부터의 약액의 토출을 연통구(8a, 8b)가 방해하는 일이 없어, 약액의 원활한 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약액 유통관(5a, 5b)은, 연질성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릿 형상의 연통구(8a, 8b)용 절입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약액 유통관(5a, 5b)을 연질성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그 밖의 재료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약액의 토출 정지시에는, 노즐 본체(1)의 공간(1c)에 충전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연통구(8a, 8b)가 개방된다. 그리고, 이 연통구(8a, 8b)로부터 가스가 약액 유통관(5b) 내로 유입되어, 연통구(8a, 8b)보다도 선단측의 약액을 외부로 배출한다. 그로 인해, 약액 유통관(5b)의 약액이 외기나 다른 쪽의 약액과 접촉하기 어려워져, 다음 약액의 토출까지 시간이 경과해도, 선단측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100)를 사용하여, 생체의 환부에 분무하여 도포하기 위해서는, 우선 노즐 본체(1)에, 시린지 본체(10a, 10b)를 접속한다. 이때에는, 연통구(8a, 8b)가 형성된 제2 약액 유통관(5b)에, 점성이 높은 약액(예를 들어, 피브리노겐 용액)이 충전된 시린지 본체(10b)를 접속한다. 또한, 연통구(8a, 8b)가 없는 제1 약액 유통관(5a)에, 비교적 점성이 낮은 약액(예를 들어, 트롬빈 용액)이 충전된 시린지 본체(10a)를 접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린지 본체(10a, 10b)에 삽입된 피스톤(12a, 12b)에 식별 수단(9a, 9b)이, 노즐 본체(1)에 식별 수단(11a, 11b)이, 밴드(14)에 식별 수단(14a, 1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시린지 본체(10a, 10b)의 접속 위치를 틀리는 일 없이 정확하게 접속할 수 있다. 시린지 본체(10a, 10b)를 접속하면, 밴드(14)의 압박부(14d)를 밀어내려,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20)의 돌기부(20a)를 관통 구멍(14c)에 삽입함으로써, 시린지 본체(10a, 10b)와 노즐 본체(1)를 고정한다.
이 고정에 의해, 약액의 분무 중의 시린지 본체(10a, 10b)의 축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여, 약액 분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 버튼(도시하지 않음) 등을 조작하여, 가스 공급부로부터 노즐 본체(1)의 공간(1c) 내에 가스를 충전하고 가스 분출구(6)로부터 가스를 분출한다. 동시에, 피스톤(12a, 12b)을 연결하는 피스톤 연결 수단(13)을 압박하여, 2종류의 약액을 약액 유통관(5a, 5b)에 주입하고, 약액 토출구(4a, 4b)로부터 토출시킨다. 이 약액 토출구(4a, 4b)로부터 토출된 약액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분출구(6)로부터 분출된 가스에 의해 안개상으로 혼합되어, 환부에 분무된다. 이 약액의 분무시에, 피스톤 연결 수단(13)에 의해, 피스톤(12a, 12b)을 동시에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약액의 원활한 토출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밸런스가 좋은 적합한 혼합 비율로 환부에 도포할 수 있어, 접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약액의 토출을 일단 정지한 경우, 가스압에 의해, 약액 유통관(5b)의 연통구(8a, 8b)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이 연통구(8a, 8b)보다도 선단측의 약액이, 약액 토출구(4b)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로 인해, 약액 유통관(5b)의 약액이 외기와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약액 유통관(5a)의 약액과의 혼합도 억제되어, 약액 토출구(4a, 4b)에서의 약액의 고화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회의 약액의 분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약액 유통관(5b)으로부터의 약액의 배출시에, 역지 밸브(7b)를 설치함으로써, 가스압이 약액 공급원에 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약액의 조제시에는 약액에 기포가 혼입되는 경우가 있어, 이 기포가 시린지 본체에 잔류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연통구와 약액 주입구 사이에 역지 밸브가 존재하지 않는 도포 용구에서는, 이 혼입된 기포에 가스압과 시린지 본체의 피스톤에 의한 압박력의 양쪽이 부하되어, 기포가 압축된다. 그리고, 피스톤의 압박력을 해제하여 약액의 토출을 정지한 후에, 압축되어 있었던 기포의 체적이 서서히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그 결과, 잔류 약액을 날린 후의 약액 유통관의 내부에서 약액의 선단 위치가 예측할 수 없게 전진하여 이것이 고화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통구(8a, 8b)보다도 상류측에 있어서, 약액 유통관(5b)의 후단부에 역지 밸브(7b)를 설치함으로써, 가스압이 기포에 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린지 본체의 내부에 미리 혼입되어 있는 기포가 가스압에 의해 압축되는 것이 저감된다. 따라서, 기포의 체적의 탄성 복원량도 근소해져, 약액의 선단 위치의 예측할 수 없는 전진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연통구(8a, 8b)에 의한 약액 유통관(5a, 5b)으로부터의 약액의 배출의 효과를 방해하는 일이 없어, 이들의 선단의 고화 방지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약액의 고화의 방지에 우수한 제품을, 연통구와 역지 밸브를 설치한 것만으로, 적은 부품 개수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슬릿 형상의 연통구에 대략 각통 형상의 연통관을 접속한 약액 유통관의 일부 확대도를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다. 도 6a는 약액 유통관(105b)을 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연통구(108a, 108b)는, 약액 유통관(105b)의 관 벽면의 두께보다도 큰 길이를 갖는 가스 유로이다. 여기서, 관 벽면의 두께라 함은, 연통구(108a, 108b)를 제외한 영역에 있어서의 약액 유통관(105b)의 평균 두께이다. 이 가스 유로는, 연통관(108c, 108d)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스 유로의 깊이 방향은, 약액 유통관(105b)의 선단측(도 6a의 좌측)을 향하는 경사 내향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연통구(108a, 108b)에 따르면, 노즐 본체의 내부의 가스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구(108a, 108b)의 내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통관(108c, 108d)은 약액 유통관(105b)의 내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을 허용한다. 도 6c는, 약액 유통관(115b)의 관 벽면의 외측에, 상류측(도 6c의 우측)으로부터 하류측(도 6c의 좌측)으로 경사지는 연통관(118c, 118d)을 각각 접속한 약액 유통관(115b)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도 6c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 유통관(105b, 115b)에 약액 주입구(3b)측으로부터 약액 토출구(4b) 방향으로 경사지는 연통관(108c, 108d, 118c, 118d)을 설치하고 있다. 가스 유로를 약액 토출구(4b)의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약액 토출의 정지시에, 가스를 약액 토출구(4b) 방향으로 확실하게 유도하여, 점성이 높은 약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관(108c, 108d, 118c, 118d)의 베이스부를 약액 유통관(105b, 115b)의 다른 부위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가스 유입시에, 가스압에 의해 연통구(108a, 108b, 118a, 118b)가 폐색되는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약액 유통관(105b, 115b)은, 연질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을 사용하여, 몰드 성형이나 인발 성형 등의 종래 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에 있어서, 대략 원 형상의 연통구에 대략 원통 형상의 연통관을 접속한 약액 유통관의 일부 확대도를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한다. 도 7a는, 연통구(208a, 208b)의 내측에, 노즐 본체(1) 내부의 가스를 약액 토출구(4b)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약액 주입구(3b)측으로부터 약액 토출구(4b) 방향으로 경사지는 가스 유로를 갖는 연통관(208c, 208d)을 각각 접속한 약액 유통관(205b)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평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 7c에서는, 연통구(218a, 218b)의 외측에,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경사지는 연통관(218c, 218d)을 각각 접속한 약액 유통관(215b)의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7c의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연통관(208c, 208d, 218c, 218d)을 설치하여, 가스 유로를 약액 토출구(4b)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약액 토출의 정지시에, 가스를 약액 토출구(4b) 방향으로 확실하게 유도하여, 점성이 높은 약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관(208c, 208d, 218c, 218d)의 베이스부를 약액 유통관(205b, 215b)의 다른 부위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가스 유입시에, 가스압에 의해 연통구(208a, 208b, 218a, 218b)가 폐색되는 일이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약액 유통관(205b, 215b)은, 연질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을 사용하여, 몰드 성형이나 인발 성형 등의 종래 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약액 유통관을 사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약액 연통관을 사용하여, 3액 이상의 약액을 토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약액의 점성에 따라서, 각 약액 유통관에 설치하는 연통구의 수를 바꾸어, 점성이 높은 약액이 충전된 시린지 본체를, 연통구의 개구 면적의 합이, 보다 넓은 약액 유통관으로부터 차례로 접속하면, 점성에 따른 약액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약액의 토출시는, 연통구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구성으로 연통구를 형성하고 있지만, 약액 토출시에도 가스가 연통구로부터 유입되도록 해도 된다. 특히, 점성이 다른 약액을 동시에 토출하는 경우, 이러한 연통구를 설치한 약액 유통관에, 특히 점성이 높은 약액을 유통시킴으로써, 약액 유통관에 유입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이 점성이 높은 약액의 토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점성이 높은 약액과 점성이 낮은 약액을 각각 충전한 시린지 본체의 토출에 필요한 압박력이 균등화되어, 각 약액을 밸런스가 좋은 토출 비율로 토출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다양한 점성의 약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노즐 본체(1) 내에, 복수의 약액 유통관(5a, 5b)을 수납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부에 공간을 갖는 복수의 노즐 본체를, 복수의 약액 유통관에 대해 개별로 설치해도 된다. 즉, 상기 실시 형태 대신에,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가 복수개의 노즐 본체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의 경우,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각 노즐 본체는, 상술한 약액 주입구, 약액 토출구, 이들을 연통하는 약액 유통관, 가스 주입구 및 가스 분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노즐 본체에 수납된 약액 유통관에는 연통구가 설치되고, 그 연통구보다도 상류측에는 역지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즐 본체를 갖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라도, 약액의 토출을 정지하면, 연통구로부터 유입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잔류 약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약액의 고화를 양호하게 방지하여,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의 단속 사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노즐 본체 내에, 약액 유통관이 1개씩 수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개 또는 복수의 노즐 본체에, 복수개의 약액 유통관을 수납해도 된다. 이 경우, 연통구를 설치한 약액 유통관과 연통구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약액 유통관을 1개의 노즐 본체 내에 설치해도 되고, 각 노즐 본체의 모든 약액 유통관에 연통구를 설치해도 된다. 어느 경우도, 연통구를 설치한 약액 유통관은 물론, 연통구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약액 유통관에도 역지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약액의 분사를 정지하였을 때의 복귀압 등에 의해, 약액 유통관으로부터 약액이나 가스가 시린지 본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연통구 및 역지 밸브를 모두 구비하는 약액 유통관을 갖는 것이면, 다른 약액 유통관에 연통구나 역지 밸브를 설치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에 있어서의 다양한 변형, 개량 등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
(1) 내부에 공간을 갖는 노즐 본체와, 상기 노즐 본체 내부의 상기 공간 내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주입구와,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된 복수의 약액 주입구와,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복수의 약액 토출구와,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고, 복수의 상기 약액 주입구 및 복수의 상기 약액 토출구를 각각 연통하는 복수의 약액 유통관과, 상기 약액 토출구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가스 주입구로부터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충전된 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약액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약액을 안개상으로 분무 혼합하는 가스 분출구와, 상기 약액 유통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 내부와 상기 약액 유통관 내부를 연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 내부의 상기 가스를 상기 약액 토출구 방향으로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와, 상기 연통구를 설치한 상기 약액 유통관에 적어도 설치되고, 상기 약액 주입구로부터 당해 약액 유통관 내부로의 상기 약액의 유입을 허용하고, 당해 약액 유통관 내부로부터의 상기 약액 주입구 방향으로의 상기 약액의 유출을 규제하는 역지 밸브를 갖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2) 상기 약액 유통관은, 상기 연통구를 관 벽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3) 상기 연통구는, 상기 약액 유통관마다, 상기 연통구의 개구 면적의 합이 각각 다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4) 점성이 다른 상기 약액이 충전되고, 복수의 상기 약액 주입구의 각각에 접속하는 복수의 시린지 본체를 더 갖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5) 점성이 보다 높은 상기 약액이 충전된 상기 시린지 본체를, 상기 연통구의 상기 개구 면적의 합이 보다 넓은 상기 약액 유통관에 접속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6) 점성이 다른 상기 약액이 충전된 시린지 본체를 접속하는 상기 약액 유통관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더 갖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7) 복수의 상기 시린지 본체는, 내부에 충전되는 상기 약액을, 각 약액 유통관 내부에 주입하기 위한 압박 수단과, 복수의 당해 압박 수단을 연결하여 동시에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 연결 수단을 더 갖는 상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8) 복수의 상기 시린지 본체를 연결하는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과,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갖는 상기 (7)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9) 상기 연통구는, 상기 약액 유통관의 관 벽면에 있어서의 형상이, 상기 약액 유통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인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0) 상기 슬릿 형상의 연통구는, 측면 형상이 상기 약액 유통관의 상기 약액 주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약액 토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상기 관 벽면의 외측의 개구 폭보다도, 내측의 개구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관 벽면을 절결하여 형성된 상기 (9)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1) 상기 연통구에는, 관 벽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노즐 본체 내부의 상기 가스를 상기 약액 토출구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약액 주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약액 토출구 방향으로 경사지는 가스 유로를 갖는 연통관이 형성된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2) 상기 약액 유통관은, 연질성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된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3) 내부에 상기 공간을 갖는 복수의 상기 노즐 본체가, 복수의 상기 약액 유통관에 대해 개별로 설치된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본 출원은, 2010년 1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인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51515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포함한다.

Claims (13)

  1. 내부에 공간을 갖는 노즐 본체와,
    상기 공간 내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주입구와,
    상기 노즐 본체에 설치된 제1 및 제2 약액 주입구와,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와,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1 약액 주입구와 상기 제1 약액 토출구를 연통하는 제1 약액 유통관 및 상기 제2 약액 주입구와 상기 제2 약액 토출구를 연통하는 제2 약액 유통관과,
    상기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충전된 상기 가스를 분사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약액 토출구로부터 각각 토출되는 약액을 무화시켜 서로 혼합하는 가스 분출구와,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와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의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구와,
    상기 연통구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약액 주입구로부터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의 내부로의 상기 약액의 유입을 일방적으로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갖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상기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액 유통관에,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와 상기 제1 약액 유통관 내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더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약액 유통관에 설치된 상기 연통구의 개구 면적이,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에 설치된 상기 연통구의 개구 면적보다도 작은,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액 유통관에 상기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에만 상기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액 주입구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제1 시린지 본체와, 상기 제2 약액 주입구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제2 시린지 본체를 더 갖고,
    상기 제1 시린지 본체에 충전된 제1 상기 약액의 점성보다도, 상기 제2 시린지 본체에 충전된 제2 상기 약액의 점성의 쪽이 높은,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액 유통관과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을 더 갖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액을 상기 제1 시린지 본체로부터 상기 제1 약액 유통관에 주입하는 제1 피스톤과, 상기 제2 약액을 상기 제2 시린지 본체로부터 상기 제2 약액 유통관에 주입하는 제2 피스톤과,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더 갖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린지 본체를 서로 연결하는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과, 상기 노즐 본체 및 상기 시린지 본체 연결 수단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갖는,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약액 유통관의 관 벽면에 형성된 슬릿이고, 상기 슬릿의 깊이 방향은, 상기 약액 유통관의 선단측을 향하는 경사 내향인,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관 벽면의 외측의 개구 폭보다도 내측의 개구 폭이 좁은,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상기 약액 유통관의 관 벽면의 두께보다도 큰 길이를 갖는 가스 유로이고, 상기 가스 유로의 깊이 방향은, 상기 약액 유통관의 선단측을 향하는 경사 내향인,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유통관은, 연질성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공간을 갖는 복수의 상기 노즐 본체가, 복수의 상기 약액 유통관에 대해 개별로 설치된,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KR1020137014566A 2010-11-10 2011-11-07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KR201301364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1515 2010-11-10
JP2010251515A JP5792452B2 (ja) 2010-11-10 2010-11-10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PCT/JP2011/006222 WO2012063464A1 (ja) 2010-11-10 2011-11-07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482A true KR20130136482A (ko) 2013-12-12

Family

ID=4605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566A KR20130136482A (ko) 2010-11-10 2011-11-07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253580A1 (ko)
EP (1) EP2638868A1 (ko)
JP (1) JP5792452B2 (ko)
KR (1) KR20130136482A (ko)
CN (2) CN103237509A (ko)
CA (1) CA2817098A1 (ko)
WO (1) WO2012063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7736A (zh) * 2010-04-05 2013-02-06 尼奥文股份有限公司 具有自净化来防止堵塞的用于递送水凝胶组合物的系统、设备及方法
CN104428055A (zh) * 2012-05-14 2015-03-18 苏舍米克斯帕克有限公司 用于混合和喷射至少两种可流动组分的喷射混合器
KR102128799B1 (ko) * 2013-01-15 2020-07-01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경화막 형성용 수지 조성물
WO2015089106A1 (en) * 2013-12-09 2015-06-18 Accelefx Medical adhesives, accelerants, delivery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2017176713A (ja) * 2016-03-31 2017-10-05 テルモ株式会社 塗布具
CN105943246B (zh) * 2016-04-23 2019-08-30 泉州智造者机械设备有限公司 数控成人纸尿裤生产线的吸收材料滚切设备
CN106362271A (zh) * 2016-08-29 2017-02-01 名高医疗器械(昆山)有限公司 一种药物喷雾器
CN108704217A (zh) * 2018-07-18 2018-10-26 朱双珠 一种即时混合涂敷装置
JP7205340B2 (ja) * 2019-03-26 2023-01-1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生体接着剤塗布具
US11358165B2 (en) * 2019-10-04 2022-06-14 Ethicon, Inc. Spray devices having side-by-side spray tips for dispensing two fluids that chemically react together
US20220313948A1 (en) * 2021-03-31 2022-10-06 Ethicon,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flowable hemostats that incorporate safety mechanisms for preventing air embolis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3958Y2 (ja) * 1980-08-04 1983-10-05 株式会社 丸山製作所 フオ−ムノズル
JPH0324765U (ko) * 1989-07-21 1991-03-14
WO1994007420A1 (en) * 1992-09-26 1994-04-14 Juridical Foundation The Chemo-Sero-Therapeutic Research Institute Applicator for tissue adhesive
AT400675B (de) * 1993-10-18 1996-02-26 Immuno Ag Spritzengarnitur zur aufbewahrung und applikation eines mehrkomponentenmaterials, spritzenvorrichtung und betätigungseinrichtung hiefür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befüllten, sterilen spritzenvorrichtung
JP2001190558A (ja) * 1999-10-28 2001-07-17 Sumitomo Bakelite Co Ltd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JP3830073B2 (ja) 2000-02-28 2006-10-0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JP2002153490A (ja) * 2000-11-22 2002-05-28 Osada Res Inst Ltd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3933880B2 (ja) * 2001-03-27 2007-06-20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US7611494B2 (en) * 2005-02-08 2009-11-03 Confluent Surgical, Inc. Spray for fluent materials
JP4360377B2 (ja) * 2006-02-22 2009-11-1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US7441973B2 (en) * 2006-10-20 2008-10-28 Ethicon Endo-Surgery, Inc. Adhesive applicator
US20080272209A1 (en) * 2007-02-09 2008-11-06 Terumo Kabushiki Kaisha Sprayer
JP5147465B2 (ja) * 2007-11-08 2013-02-20 テルモ株式会社 塗布具
JP5222591B2 (ja) * 2008-03-12 2013-06-26 テルモ株式会社 塗布具
US20090234236A1 (en) * 2008-03-14 2009-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Nerve blood flow modulation for imaging nerves
JP5001973B2 (ja) 2009-04-15 2012-08-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差動通信用プリント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00851A (ja) 2012-05-31
US20130253580A1 (en) 2013-09-26
CN107051764B (zh) 2020-05-08
CA2817098A1 (en) 2012-05-18
WO2012063464A1 (ja) 2012-05-18
EP2638868A1 (en) 2013-09-18
CN107051764A (zh) 2017-08-18
JP5792452B2 (ja) 2015-10-14
CN103237509A (zh)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6482A (ko) 생체 조직 접착제 도포 용구
JP5222591B2 (ja) 塗布具
EP1162916B1 (en) Device for mixing and applying components of differing viscosities for tissue adhesives
US6454739B1 (en) Fibrin sealant delivery device
US20110253806A1 (en) Spray head and spraying device having pressurized gas line
US20080073372A1 (en) Multicomponent Dispensing Device For Liquid And Powdery Materials
JP2006517862A (ja) スプレーノズル
JPWO2008153059A1 (ja) スプレーヘッド、生体組織接着剤塗布器具、および接着剤の塗布方法
JP4486036B2 (ja) 塗布具
JP2012006601A (ja) 泡吐出容器
JP2010075412A (ja) 塗布具
JP5581981B2 (ja)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WO2013046710A1 (ja)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およびノズルヘッド
US10449295B2 (en) Syringe assembly
JP5588131B2 (ja) 液状体供給具
KR20210141471A (ko) 생체 접착제 도포구
US20070164051A1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 drops
JP5255386B2 (ja) 塗布具
JP2020036824A (ja) 生体組織接着剤塗布用具
JP2007245044A (ja) 液噴出ノズル
JP3734441B2 (ja) 生体接着剤噴霧ノズル
WO2022131249A1 (ja) 生体用薬液注入用具
JP3483250B2 (ja) 生体接着剤噴霧ノズル
JP2009207513A (ja) 塗布具
JP2009006120A (ja) 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