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8001A -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8001A
KR20130128001A KR1020137022751A KR20137022751A KR20130128001A KR 20130128001 A KR20130128001 A KR 20130128001A KR 1020137022751 A KR1020137022751 A KR 1020137022751A KR 20137022751 A KR20137022751 A KR 20137022751A KR 20130128001 A KR20130128001 A KR 2013012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arriage
supply line
plug
mari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588B1 (ko
Inventor
라이문트 글뤽하르트
한스-에르하르트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템만-테크니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템만-테크니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12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63J2003/043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using shore connectors for electric power supply from shore-borne mains, or other electric energy sources external to the vessel, e.g. for docked, or moored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항구의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5)을 위한 전력 공급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공급 장치는 육상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30) 캐리지(9)를 포함하며, 이 캐리지에는 선박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15)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11)이 배치된다. 이때, 전력 공급 라인(11)은 육상 측의 전력 공급 네트워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캐리지(9)에는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13)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18) 배치된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장치{POWER SUPPLY DEVICE}
항구에 정박 중인 선박 상에서, 선상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는 통상적으로 선상에 있는 디젤 엔진 발전기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다. 상기 디젤 엔진 발전기 시스템의 작동 시, 특히 이산화탄소 및 산화질소를 함유하고 환경에 유해한 상당량의 디젤 배기가스가 생성된다.
최근에는, 육상으로부터 가요성 전력 공급 라인, 이른바 케이블 라인을 이용하여 항구에 정박 중인 선박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육상 전력 공급)이 고려되고 있다. 상기 전기 에너지(전류)는 항구에 설치된 전력 공급 네트워크에 의해 공급되고 전력 공급 라인에 의해 선박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선내에 배치된 콘센트와 전력 공급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의 섹션을 육상에서 선박으로 전달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육상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가 간편하고 안전하게 선박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특허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항구의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 특히 순항선을 위한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육상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특히 정박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캐리지를 포함하며, 이 캐리지에는 선박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이 배치된다. 이 경우, 전력 공급 라인은 육상 측의 전력 공급 네트워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에는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이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이 수직 및 수평으로 변위/이동 가능한 케이블 공급 시스템이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 라인, 또는 전력 공급 라인에서 플러그가 구비된 섹션은 정박지를 따라, 그리고 더불어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럼으로써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예: 플러그 측 단부)은 정박지에서 각각 그곳에 정박 중인 선박에 필요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항구의 정박지에 매우 다양한 선박, 예컨대 매우 다양한 크기 및 구조의 선박들이 접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선박들 각각의 경우, 플러그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은 선박의 또 다른 위치에서 요구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선박 측의 대응하는 콘센트가 각각 선박의 또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선박의 콘센트 쪽으로 전력 공급 라인을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 라인이 넓은 구간에 걸쳐서 느슨하게 그리고 차폐되지 않은 상태로 정박지의 부두 시설에 놓이는 일이 방지된다. 요컨대 부둣가의 넓은 구간에 걸쳐 차폐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 있는 전력 공급 라인은 상당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전력 공급 라인이 예컨대 항구에서 운행 중인 운송 수단들과 부딪쳐 손상될 수도 있고, 보행자가 상기 전력 공급 라인에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캐리지가 정박지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써, 전력 공급 라인이 선박으로 향하는 가능한 최단 경로로,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캐리지로부터 선박의 육상 측 선체 외벽까지 직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이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은 수평 이동 또는 수평 정렬에 추가로 수직으로도, 예컨대 선박의 선체 외벽에서 플러그가 필요한 높이로 변위될 수 있다(선체 외벽의 상기 위치에는 예컨대 전력 공급 라인을 통과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해치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력 공급 라인은 항구 작업자들의 머리 위쪽에, 또는 정박지에서 돌아다니는 운송 수단들 위쪽에 현수 방식으로 부설되고 차폐되어 선박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사고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의 수직 변위식 배치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조수(조수간만차)로 인한 선박의 수직 이동도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이 추가로, 캐리지의 이동 방향 및 수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 쪽으로 변위될 수 있거나, 선박으로부터 다시 부두 시설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방식으로, 전력 공급 라인의 부설 시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를 선박 쪽으로 인도하거나, 전력 공급 라인의 제거 시 육상 쪽으로 넘겨받을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정박지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들 상에 캐리지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들은 정박지를 따라, 다시 말해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을 따라 캐리지의 정확한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캐리지 상에,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의 수직 변위를 위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1 크로스 바(cross bar)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바를 이용하여, 각각의 선박 유형 및 각각의 부두 시설의 요건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는 상응하는 (상당한) 수직 경로를 통해 (예컨대 4미터의 수직 이동 경로를 통해)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크로스 바는 바람직하게 조수(조수간만차)로 인한 선박의 수직 이동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캐리지 상에, 캐리지의 이동 방향 및 수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2 크로스 바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크로스 바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이 상당한 경로를 통해 상기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다시 말하면 선박을 향하는 방향 또는 선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비사용 시 플러그가 끼워질 수 있는, 무회로(circuitless) 콘센트를 포함한다. 비사용 시 플러그가 끼워질 수 있는, 상기 무회로 콘센트(이른바 "블라인드 콘센트")는 바람직하게 전력 공급 장치의 비사용 시 플러그의 접점들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정해진 자리에 플러그를 고정하며, 그럼으로써 플러그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 "블라인드 콘센트"는 전기 히터(고정형 히터)를 구비하며, 이 전기 히터에 의해 플러그는 비작동 상태에서 결로 및/또는 다른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비사용 시 캐리지를 안전하게 주차하기 위한 파킹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리지는 비사용 시 상기 파킹 공간 내로 입차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는 특히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면서 주차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파킹 공간이 정박지의 부두 시설의 바닥면에 매입된 형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킹 공간이 부두 시설의 바닥면에 매입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부두 시설에서 선적 및 하적 차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특히 크레인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캐리지를 주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전력 공급 라인이 체인(이른바 "가이드 체인")의 내부에서 안내되고, 이 체인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캐리지의 이동 시 전력 공급 라인의 최소 휨 반경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인 내에서의 전력 공급 라인의 가이드는 전력 공급 라인을 위한 기계적 보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전력 공급 라인의 최소 휨 반경을 제한하며, 그럼으로써 전력 공급 라인은 캐리지의 이동 시 허용되지 않을 정도로 예리하게 꺾일 수 없기 때문에 전력 공급 라인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체인이 정박지의 부두 시설의 바닥면에 매입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박지의 부두 시설의 바닥면에 매입된 체인의 배치는 매우 바람직한 배치를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체인과 체인 내부에서 연장되는 전력 공급 라인에 의해 부두 시설 상에서 실시되는 선박의 선적 및 하적 작업이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매입되어 배치된 가이드 체인은 40t의 하중을 견디는 강판 소재의 덮개(이른바 판저벨트 덮개)로 덮인다. 그럼으로써 심지어 수리 목적으로 요구되는 신축식 크레인이나 이와 유사한 운송 수단들이 가이드 체인 위를 지나가거나 그 위에 정지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일 실시예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전력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전력 공급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가이드 체인의 내부에서 안내되는 전력 공급 라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항구의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 여기서는 순항선을 위한 전력 공급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정박지는 물로 채워진 도크(2)를 한정하는 안벽(3)을 포함한다. 안벽에는 정박지에 계류 중인 선박(5)을 보호하기 위한 펜더(4)(fender)가 배치되어 있다. 선박(5)은 안벽(3) 상에 설치된 계선주(6)에 계류되며, 펜더(4)에 의해 선박(5)과 안벽(3) 사이에 보호 간격이 보장된다.
안벽(3)은 육상 측 부두 시설(7)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부두 시설(7) 상에는 안벽(3)에 대해 평행하게 (도 1의 도해에서는 그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레일들(8)이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레일들(8)은 정박지(3)를 따라서 연장된다. 레일들(8) 상에는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캐리지(9)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캐리지는 정박지를 따라 수평으로 (그림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의 수평 이동은 2개의 모터(10)에 의해 가능하다. 캐리지(9)에는 가요성 전력 공급 라인(11)이 배치되고, 이 전력 공급 라인의 일측 단부(13)에는 전기 플러그(15)가 위치한다.
캐리지(9) 상에는 제1 크로스 바(17)가 배치되며, 이 크로스 바에 의해 전력 공급 라인(11) 및 플러그(15)가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수직 변위는 화살표(18)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 바(17)는 "루트만슈타이거(Ruthmannsteiger)"라고도 불리며, 승강용 플랫폼(lifting platform)과 유사하게, 또는 접철식 펜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크로스 바(17)가 수축된다면(다시 말해 접철되면), 플러그(15)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11)은 도 1의 중간 부분에 실선들로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에 위치한다. 이 경우, 플러그(15)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11)은 하부 위치에 위치한다. 제1 크로스 바(17)가 연장되면(다시 말해 펼쳐지면), 플러그(15)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11)은 상부 위치에 위치한다. 이는 도 1에서 상부 부분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크로스 바(17)의 연장 또는 수축을 통해 플러그(15)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11)은 상당한 수직 구간에 걸쳐 변위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약 4m에 걸쳐 변위된다. 그럼으로써 플러그의 위치는 각각의 부두 시설 및/또는 선박의 요건에 적합하게 조정된다.
또한, 캐리지(9) 상에는 캐리지(9)의 이동 방향 및 수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 또는 변위될 수 있는 제2 크로스 바(19)가 배치된다. 이러한 연장 또는 변위는 화살표(20)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제2 크로스 바(19)는 연장된(다시 말해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전력 공급 라인(11)의 플러그 측 단부(13)가 도크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15)는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5) 상으로 인도되어 선내에 배치된 적합한 콘센트 또는 콘센트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크로스 바(19)의 수축된(접힌) 상태(이 상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는, 전력 공급 라인(11)의 플러그 측 단부(13)가 캐리지(9)의 상부에서 대략 계선주들(6)과 캐리지(9)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제2 크로스 바(19)를 통해, 캐리지(9)의 이동 방향 및 수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단부(13)가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단부(13)를 진입시키거나, 상기 선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1)는 비사용 시 플러그(15)가 끼워질 수 있는, 무회로 콘센트(21)(즉, 비접속 콘센트, 이른바 "블라인드 콘센트")를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플러그(15)의 접점들이 오염으로부터 보호되고, 플러그(15)가 구비된 전력 공급 라인(11) 단부(13)는 전력 공급 장치(1)의 비사용 시 정해진 자리에 위치한다.
전력 공급 장치(1)는, 캐리지(9)가 사용되지 않을 때, 캐리지(9)를 안전하게 주차하기 위한 파킹 구역(23)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킹 공간(23)은 정박지의 부두 시설(7)의 바닥면 하부에 매입되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레일들(8)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다. 파킹 공간(23) 내로 캐리지(9)를 입차시키기 위해, 캐리지(9)가 지중의 파킹 공간(23) 내에 위치할 때까지 레일들(8)의 일부가 캐리지(9)와 함께 하강된다. 주차된 캐리지는 도 1의 하부에 파선들로 도시되어 있다.
파킹 공간(23)은 지상에도 배치될 수 있고 예컨대 차고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전력 공급 라인(11)은 체인(25)(이른바 가이드 체인)의 내부에 안내되며, 상기 체인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고 캐리지의 수평 이동 시 전력 공급 라인(11)의 최소 휨 반경을 제한한다. 체인(25)은,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우측 가장자리에 도시된 것처럼, 정박지의 부두 시설(7)의 바닥면에 매입되어 배치된다.
도 2에는, 전력 공급 장치(1)가 선박(5) 또는 도크로부터 바라본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몇몇 부분은 더 나은 식별력을 위해 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부두 시설(7)의 부분들이, 부두 시설(7)의 바닥면에 매입되어 배치된 체인(25)을 도시하기 위해 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체인(25) 내에는 전력 공급 라인(11)이 안내된다. 도 2에서 가이드 체인(25)은, 정박지를 따라 캐리지(9)의 3개의 상이한 수평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3개의 상이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캐리지(9)의 수평 이동은 화살표(30)로 표시되어 있다.
전력 공급 라인(11)은 육상 측 전력 공급 네트워크(32), 특히 중간 전압 네트워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전기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간 전압 네트워크(32)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는 전력 공급 라인(11) 및 플러그(15)를 통해 항구의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공급 라인(11)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단자함(34)을 통해 [또는 그 대안으로 미도시된 이종 접속함(transition joint)을 통해] 중간 전압 전력 공급 네트워크(32)의 중간 전압 케이블(36)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전압 케이블은 부둣가에서 지중 케이블 피트(cable pit) 내, 또는 공관 시스템(empty conduit system) 내에 부설될 수 있다. 항구 측의 장치들과 선박 사이에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전력 공급 라인(11)(케이블 라인)과 함께 추가로 제어 라인들 및/또는 통신 라인들(예: 광도파관 케이블)이 전력 공급 네트워크로부터 플러그(15)로 안내될 수 있다.
도 3에는, 가이드 체인(25)으로서 이용되는 것과 같은 가이드 체인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체인(25)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체인 링크들(50, 52, 54 등)을 포함하며, 이들 체인 링크는 가이드 체인과 이 가이드 체인 내에서 안내되는 전력 공급 라인(11)의 휨을 가능하게 하며, 이때 전력 공급 라인(11)의 최소 휨 반경을 제한한다. 도 3의 좌측 부분에서 전력 공급 라인(11)의 최소 휨 반경은 가이드 체인(25)의 도시된 최소 휨 반경과 일치한다. 상기 가이드 체인(25)을 통해, 전력 공급 라인(11)이 부두 시설(7)에서 차폐되어 안내되면서 캐리지(9)가 정박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항구(1)의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을 위한 전력 공급 장치(1)를 설명하였다. 상기 전력 공급 장치는 안벽 또는 부두 시설상에서 유연하면서 이동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 전력 공급 라인(11)은 지상 또는 지중의 지지 시스템(25, 9)을 통해 안전하게 안내되며, 이때 전력 공급 라인은 부두 시설의 위험 구역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부두 시설 상의 운반, 선적 및 하적 차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전력 공급 장치의 경우, 플러그(15)가 구비된 전력 공급 라인(11) 단부가 3차원의 모든 방향으로 이동 또는 변위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단부에 의해, 예컨대 육상 기반 전력 공급 장치를 위해 이용되어야 하고 육상 측의 선체 외벽에 위치하는, 선박의 각각의 외부 해치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의 작동은, 필요에 따라 수동, 전자동 또는 원격 제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 공급 라인은 육상 측으로부터 선박으로 정확하게 유도되어, 선체 벽부의 외부 해치를 통해 선박 내로 진입된다. 그 다음 플러그는 선상에 위치하는 콘센트 내에 끼워지고, 장력이 이완되며, 기계적으로 그리고/또는 전기적으로 잠금 고정된다. 그런 후에 선박은 육상 측에서 전력 공급 네트워크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Claims (10)

  1. 항구의 정박지에 정박 중인 선박(5), 특히 순항선을 위한 전력 공급 장치(1)이며, 육상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30) 캐리지(9)를 포함하고, 이 캐리지에는 선박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15)를 구비한 전력 공급 라인(11)이 배치되는,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력 공급 라인(11)은 육상 측의 전력 공급 네트워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캐리지(9)에는 전력 공급 라인의 플러그 측 섹션(13)이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게(18) 배치되는, 전력 공급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 라인(11)의 플러그 측 섹션(13)은 추가로, 캐리지의 이동 방향 및 수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게(20)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캐리지(9)는 정박지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8)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지(9) 상에는, 전력 공급 라인(11)의 플러그 측 섹션(13)의 수직 변위를 위해 수직 방향(18)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제1 크로스 바(1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지(9) 상에는, 캐리지의 이동 방향 및 수직선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는(20) 제2 크로스 바(1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 장치(1)는, 플러그(15)가 비사용 시 끼워질 수 있는 무회로 콘센트(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 장치(1)는, 비사용 시 캐리지(9)를 안전하게 주차하기 위한 파킹 공간(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킹 공간(23)은 정박지의 부두 시설(7)의 바닥면에 매입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 공급 라인(11)은 체인(25)의 내부에서 안내되며, 상기 체인은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체인 링크들(50, 52, 54)을 포함하고 캐리지(9)의 이동 시 전력 공급 라인(11)의 최소 휨 반경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25)은 정박지의 부두 시설(7)의 바닥면에 매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137022751A 2011-03-02 2012-02-23 전력 공급 장치 KR10157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4992.4 2011-03-02
DE102011004992 2011-03-02
PCT/EP2012/053044 WO2012116919A1 (de) 2011-03-02 2012-02-23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001A true KR20130128001A (ko) 2013-11-25
KR101570588B1 KR101570588B1 (ko) 2015-11-19

Family

ID=4587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51A KR101570588B1 (ko) 2011-03-02 2012-02-23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80954B2 (ko)
EP (1) EP2681108A1 (ko)
JP (1) JP5778300B2 (ko)
KR (1) KR101570588B1 (ko)
CN (1) CN103442981B (ko)
AU (1) AU2012222476B2 (ko)
BR (1) BR112013022087A2 (ko)
WO (1) WO20121169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151B1 (ko) * 2016-07-21 2017-01-04 주식회사 엔그린텍 부두지역에서의 선박 육전연결 급전 설비장치
KR102432740B1 (ko) 2021-03-30 2022-08-1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이동형 선박 전력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6471B1 (fr) * 2009-06-05 2011-07-15 New Generation Natural Gas Dispositif et procede d'alimentation terrestre d'un mobile, notamment d'un navire
EP3289240B1 (en) * 2015-04-30 2020-11-25 Findalto S.r.l. Separator system for steel energy chains and chain link thereof
LU93105B1 (en) * 2016-06-14 2018-01-09 Ipalco Bv A system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of a ship to a shore side electrical power supply
CN106627193A (zh) * 2016-09-30 2017-05-10 江苏耐维思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岸上移动供电装置
CN106877204B (zh) * 2017-03-30 2019-02-05 大丰隆盛实业有限公司 一种码头岸电供电系统
DE102017109988B4 (de) 2017-05-09 2019-08-01 Conductix-Wampfler Gmbh Energieversorgungssystem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Leitungskabels mit einer Verbindungvorrichtung
NO20180493A1 (en) 2018-04-11 2019-10-14 Sea Electric As Smart Cable Well
DE102018003806B4 (de) * 2018-05-11 2020-02-13 Hans-Erhard Schmidt Landstromanschluss für Containerschiffe
DE202019102347U1 (de) * 2019-04-26 2019-05-06 Igus Gmbh Einrichtung zur Versorgung eines Verbrauchers
DE102019128184B4 (de) * 2019-10-18 2024-03-14 Stemmann-Technik Gmbh Energieübertrag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nergieübertragung
US20220112675A1 (en) * 2020-01-21 2022-04-14 Galataport Istanbul Liman Isletmeciligi Ve Yatirimlari Anonim Sirketi Cruise port operation system and method
EP4152537A1 (en) * 2021-09-17 2023-03-22 Scaleup OÜ Cable feeding unit of cable management system
DE102022103342B4 (de) 2022-02-14 2023-12-07 Stemmann-Technik Gmbh 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Schiffes mit einem landseitigen Versorgungsnetz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1715A (en) 1966-06-01 1968-07-31 Allan Mathieson Thomson Improvements relating to shore gangways
JPS5558719A (en) * 1978-10-23 1980-05-0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Method of drawing calbe from generator ship
JPS569826U (ko) * 1979-06-30 1981-01-28
JPS6185006A (ja) * 1984-10-02 1986-04-30 トピ−工業株式会社 走行装置への配線ケーブル、配管ホース等の接続構造
DD235752A1 (de) 1985-03-28 1986-05-14 Deutfracht Seereederei Rostock Halte- und uebergabevorrichtung von landseitigen e-kabelanschluessen fuer wasserfahrzeuge
FR2647604A1 (en) * 1989-05-25 1990-11-30 Electricite De France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moored ships
SU1676922A1 (ru) * 1989-08-22 1991-09-15 Войсковая часть 27177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с берега на судно
DE19629126A1 (de) * 1996-07-19 1998-01-22 Krupp Foerdertechnik Gmbh Einrichtung für die Stromversorgung einer elektrischen Lokomotive
JP2001302174A (ja) * 2000-04-17 2001-10-31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移動式運転室へのケーブル配索構造
KR200223645Y1 (ko) 2000-11-08 2001-05-15 대우종합기계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EP1667301A1 (en) * 2004-12-01 2006-06-07 Ipalco B.V. Maritime power supply system
DE102005004628A1 (de) 2005-01-27 2006-08-17 Siemens Ag Mittelspannungslandanschluss für Schiffe
US8067357B2 (en) 2005-12-12 2011-11-29 Mosamedix B.V. Annexin derivatives suitable for pretargeting in therapy and diagnosis
DE102006049434A1 (de) * 2006-10-16 2008-04-17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system für lange Verfahrwege
DE102006061373B4 (de) * 2006-12-22 2019-03-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ff mit einem System zur Nutzung von Überschussenergie an Bord
DE102007017940A1 (de) * 2007-04-13 2008-10-16 Igus Gmbh Seitenwandsegment für eine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Seitenwandseg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Seitenwandsegmentes
US8061495B2 (en) * 2007-11-20 2011-11-22 Paceco Corp. Rubber-tire gantry crane with shore power
JP5334470B2 (ja) * 2008-06-30 2013-11-06 三井造船株式会社 非接触式の船舶用給電システム、船舶及び船舶への給電方法
CN102132468B (zh) * 2008-08-26 2015-06-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动车充电线组
JP5465255B2 (ja) * 2008-12-12 2014-04-09 エービービー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船に電力を伝達する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5341565B2 (ja) * 2009-03-05 2013-11-13 三井造船株式会社 クレーンの給電システム
DE102009015603B4 (de) 2009-04-02 2012-02-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Landanschluss für Schiffe mit einem Gelenkkran
DE102009017157B4 (de) * 2009-04-15 2011-0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ersorgung eines elektrischen Schiffs-Bordnetzes mit Fremdenergie, Schiff mit einer derartigen Fremdenenergieversorgung sowie Nachrüstverfahren hierfür
FR2946471B1 (fr) 2009-06-05 2011-07-15 New Generation Natural Gas Dispositif et procede d'alimentation terrestre d'un mobile, notamment d'un navire
FR2968854B1 (fr) * 2010-12-13 2013-04-26 New Generation Natural Gas Dispositif pour connecter electriquement, notamment un navire dans un 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151B1 (ko) * 2016-07-21 2017-01-04 주식회사 엔그린텍 부두지역에서의 선박 육전연결 급전 설비장치
KR102432740B1 (ko) 2021-03-30 2022-08-16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이동형 선박 전력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6919A1 (de) 2012-09-07
EP2681108A1 (de) 2014-01-08
US9180954B2 (en) 2015-11-10
KR101570588B1 (ko) 2015-11-19
US20130341144A1 (en) 2013-12-26
CN103442981B (zh) 2017-06-09
JP2014509508A (ja) 2014-04-17
JP5778300B2 (ja) 2015-09-16
AU2012222476A1 (en) 2013-09-19
CN103442981A (zh) 2013-12-11
AU2012222476B2 (en) 2016-04-21
BR112013022087A2 (pt)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8001A (ko) 전력 공급 장치
CN108473070B (zh) 电能向电气驱动的船舶的供应
US8122841B2 (en) Device and a method of connecting an electrical power line between a ship and a terminal
EP3535181B1 (en) A transport system and method
KR20120132576A (ko) 선박의 해치
KR20130124207A (ko) 선박과 해양 구조물 간의 이송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킹 장치
CA3080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watercrafts, in particular ships, in a port with electrical power an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a system and method of this type
CN112278195B (zh) 滚装船的靠泊方法
US20130292222A1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articularly a ship in a port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AU2022229041A1 (en) Cable feeding unit of cable management system
CN104003212A (zh) 龙门移动料斗式过驳装船机
KR20220023342A (ko) 소모재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WO2012116920A2 (de)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WO2010074493A2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US20210155334A1 (en) Land Power Connection For Container Ships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CN216374912U (zh) 一种海洋科学综合考察船甲板轨道辅助布放装置
US11951848B2 (en) Power transfer device and mooring area for inductively charging a water-bound vehicle
Tang et al. Port of Oakland: Developing the World’s First Fixed Track Mobile Shore Power Outlet System
KR20100129978A (ko) 구조물의 연결 가이드 장치
KR20100076103A (ko) 대형 위그선의 정박용 장치 및 방법
AU2013295048A1 (en) Floating unit and assembly for producing a modular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such floating units
CN113525627A (zh) 大型船舶的下水方法
KR20150012610A (ko) 수중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