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645Y1 -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645Y1
KR200223645Y1 KR2020000031200U KR20000031200U KR200223645Y1 KR 200223645 Y1 KR200223645 Y1 KR 200223645Y1 KR 2020000031200 U KR2020000031200 U KR 2020000031200U KR 20000031200 U KR20000031200 U KR 20000031200U KR 200223645 Y1 KR200223645 Y1 KR 200223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hain
spindle device
spindle
cab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일
Original Assignee
대우종합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종합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종합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1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6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645Y1/ko

Links

Landscapes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핀들장치가 수직축(Z축)으로 이동하는 입형선반에 있어서 칼럼으로부터 스핀들장치까지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덕트가 기계의 높이와 항상 같거나 낮은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높이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고정체인 컬럼(10)으로부터의 전기배선이나 유압라인(14)이 이동체인 스핀들장치(12)로 연결되도록 가이드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링크조합에 의해 불연속곡선을 갖고 전기배선과 유압라인(14)이 지지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케이블 체인(20)을 구비하되, 상기 케이블 체인(20)의 일단은 스핀들장치(12)의 최상단에 힌지(22)결합하고, 그 타단을 컬럼(10)의 외측에 수직되게 고정 결합하여, 상기 스핀들장치(12)의 최고 수직이동시 그 스핀들장치(12)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CABLE GUIDE APPARATUS OF A MACHINE TOOL}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핀들장치가 수직축(Z축)으로 이동하는 입형선반에 있어서 칼럼으로부터 스핀들장치까지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덕트가 기계의 높이와 항상 같거나 낮은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높이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NC 장치를 포함한 선반에는 공작물의 크기와 가공상태 등에 의해 스핀들의 위치상태에 따라 수평형 선반과 수직형 선반(입형선반)으로 대별된다.
보통 수평형 선반은 고속회전하는 수평형 스핀들에 공작물이 척킹된 고정 위치상태에서 X축, Z축으로 움직이는 이송대와 그 이송대와 연동하는 터릿의 선삭가공에 의해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는 방식이고, 수직형 선반(입형선반)은 고속회전하는 수직형 스핀들이 컬럼에 수직방향(Z축)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고, 그 하부에 공작물이 거치된 상태에서 수평방향(X축, Y축)으로 움직이는 팔레트에 의해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는 머시닝센터와 흡사한 방식이다.
또한 선반은 수많은 전기배선과 유압이나 공압라인이 분기 연결되는데, 이러한 전기배선과 유체라인 등은 고정체로부터 이동체에 연결되는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고 용이하게 가이드하는 케이블 가이드 덕트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보통 케이블 가이드 덕트는 양끝단이 고정체와 이동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일정 반경을 가지는 상태에서 굽힘이 자유롭도록 된 가이드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도 1 은 이러한 케이블 가이드 덕트가 적용되는 종래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전기배선과 유체라인(14) 등은 고정체인 컬럼(10)으로부터 이동체인 스핀들장치(12)에 연결되는 것이 통상적인 방식인데, 상기 전기배선과 유체라인(14)은 이동체인 스핀들장치(12)의 가동거리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상태에서, 스핀들장치(12)의 움직임에 의해 연동하는 부분인 상기 컬럼(10)과 스핀들장치(12) 사이의 상부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항상 일정한 반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케이블 가이드 덕트(16)에 가이드되어 있다. 종래의 케이블 가이드 덕트(16)는 굽힘이 자유롭지만 구조상 부재의 연결부위가 링크형이 아닌 탄성을 갖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관계로 항상 일정한 곡률반경을 유지해야 굽힘상태에서 굴곡운동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가이드 덕트는 컬럼의 수직면을 따라 가동하는 스핀들장치가 어떤 수직위치에 있다고 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반경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핀들장치가 컬럼의 높이와 거의 같은 수직위치에 이르렀을 경우 항상 일정한 반경이 유지되는 케이블 가이드 덕트는 컬럼이나 스핀들장치의 높이(장비의 전체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운반과정에서 부주의로 그 케이블 가이드 덕트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장의 높이를 상기 케이블 가이드 덕트의 최대수직높이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적용폭이 좁아 구매자의 욕구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핀들장치가 수직축(Z축)으로 이동하는 입형선반에 있어서 칼럼으로부터 스핀들장치까지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덕트가 기계의 높이와 항상 같거나 낮은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공간활용을 높이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고정체인 컬럼으로부터의 전기배선이나 유압라인이 이동체인 스핀들장치로 연결되도록 가이드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링크조합에 의해 일정한 곡률반경이 유지되지 않고도 굴곡운동이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구조상 연결부위인 관절부위를 링크형으로 함으로써, 불연속곡선을 갖고 전기배선이나 유압라인이 지지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케이블 체인을 구비하되, 상기 케이블 체인의 일단은 스핀들장치에 힌지결합하고, 그 타단을 컬럼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스핀들장치의 최고 수직이동시 그 스핀들장치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컬럼, 12: 스핀들장치,
14: 전기배선과 유체라인, 20: 케이블 체인,
22: 힌지, 24: 고정브래킷,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고정체인 컬럼(10)으로부터의 전기배선이나 유압라인(14)이 이동체인 스핀들장치(12)로 연결되도록 가이드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링크조합에 의해 불연속곡선을 갖고 전기배선과 유압라인(14)이 지지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케이블 체인(2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케이블 체인(20)의 일단을 스핀들장치(12)에 힌지(22)결합하고, 그 타단을 컬럼(10)의 외측에 고정 브래킷(24)에 결합하여, 상기 스핀들장치(12)의 최고 수직이동시 그 스핀들장치(12)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체인(20)의 원리는 통상적인 링크체인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종래의 케이블 가이드 덕트(16)와 같이 컬럼(10)에 대한 스핀들장치(12)의 수직이동에 따라 항상 일정한 반경이 유지되지 않고 불연속곡선을 그리게 된다.
즉 스핀들장치(12)에 결합된 케이블 체인(20)의 일단은 힌지(22)결합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체인(20) 및 이에 가이드 되는 전기배선과 유압라인(14) 등의 자중에 의해 상방향이 아닌 측방으로 불룩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일정한 굴곡반경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종래의 케이블 가이드 덕트와는 달리 불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케이블 체인의 구성과 스핀들장치와의 힌지결합구조에 의해 스핀들장치가 컬럼으로부터 최상부에 위치된다고 하더라도 그 스핀들장치 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이르게 되므로 장비의 최대높이에 맞출 수 있어 운반이나 작업장의 배치 등에도 매우 유리한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

  1. 고정체인 컬럼(10)으로부터의 전기배선이나 유압라인(14)이 이동체인 스핀들장치(12)로 연결되도록 가이드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링크조합으로 구성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케이블 체인(20)을 구비하되, 상기 케이블 체인(20)의 일단은 스핀들장치(12)에 힌지(22)결합하고, 그 타단을 컬럼(10)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스핀들장치(12)의 최고 수직이동시 그 스핀들장치(12)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KR2020000031200U 2000-11-08 2000-11-08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KR200223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00U KR200223645Y1 (ko) 2000-11-08 2000-11-08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200U KR200223645Y1 (ko) 2000-11-08 2000-11-08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645Y1 true KR200223645Y1 (ko) 2001-05-15

Family

ID=7309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200U KR200223645Y1 (ko) 2000-11-08 2000-11-08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6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588B1 (ko) 2011-03-02 2015-11-1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전력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588B1 (ko) 2011-03-02 2015-11-1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전력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3876A1 (en) Handling Manipulator Assembly
US10940548B2 (en) Machine for machining workpieces
KR960037186A (ko) 다수의 스핀들을 구비한 공작 기계
ITTO20000657A1 (it) Macchina operatrice e dispositivo manipolatore installabile su tale macchina.
CN207415358U (zh) 一种用于自动上下料的桁架机械手
CN204135560U (zh) 八轴联动机器人激光切割机床
KR101606938B1 (ko) 버티컬 터닝 센터의 자동 공작물 장착 장치
KR200223645Y1 (ko) 공작기계의 수직축 케이블 가이드장치
CN204673083U (zh) 一种弯管侧壁加工装置
CN104785965A (zh) 对流段三轴式焊接工作站
CN211162436U (zh) 一种用于管件加工的激光切割设备
KR20150101207A (ko) 공작기계의 x축 이송장치
KR102231352B1 (ko) 2개의 스핀들을 구비하는 공작기계
CN204747800U (zh) 对流段三轴式焊接工作站
US6623222B1 (en) Machine tool with horizontal work spindle
KR102174672B1 (ko) 공작기계
JPH0615127B2 (ja) 工作機械
JP6298570B1 (ja) パレット交換装置
CN102540739A (zh) 主动驱动线缆台
KR101126481B1 (ko) 가공물의 지지용 방진구 모듈
CN204221490U (zh) 卧式车床车滚珠丝杠防挠度变形装置
KR970002544B1 (ko) 수평식 와이어 방전가공기
WO2005102596A3 (de) Werkzeugmaschine
CN210146999U (zh) 一种车床机械手
CN213080902U (zh) 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