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3451A -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3451A
KR20130123451A KR1020137024889A KR20137024889A KR20130123451A KR 20130123451 A KR20130123451 A KR 20130123451A KR 1020137024889 A KR1020137024889 A KR 1020137024889A KR 20137024889 A KR20137024889 A KR 20137024889A KR 20130123451 A KR20130123451 A KR 20130123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fastener
tape
stop
slid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070B1 (ko
Inventor
고 다카니
마사요시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44B19/06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with substantially rectangular members having interlocking projections and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3Self-locking sliders, e.g. slider body provided with locking projection or groove, fri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1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1)는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더(30)의 내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부를 구비한 적어도 1개의 정지 엘리먼트(15, 51-63)가 파스너 스트링거(10)의 엘리먼트열(12)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30)를 엘리먼트열(12)의 정지 엘리먼트(15, 51-63)가 배치되어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슬라이더(30)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0)를 정지 엘리먼트(15, 51-63)와의 사이의 미끄럼 이동 저항보다도 큰 힘으로 조작함으로써 정지 엘리먼트(15, 51-63)의 저항부를 타고 넘게 하여, 상기 슬라이더(30)를 엘리먼트열(12)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SLIDE FASTENER AND SLIDER WITH SIMPLE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엘리먼트열의 소정의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멈추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지 갈고리를 구비하지 않는 자유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의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시키는 것이 가능한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슬라이드 파스너는 각종 의류나 가방류의 개구부에 부착되고, 그 슬라이드 파스너에 배치된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 조작하여 좌우의 엘리먼트열을 맞물림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개구부가 개폐된다. 또한, 의류의 앞섶에 부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에는,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의 일단부까지 미끄럼 이동시킨 후에,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개방 분리 끼움구가 배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개방 분리 끼움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5425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20)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측으로부터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이다.
이 슬라이드 파스너(20)는 엘리먼트열(24)을 구비하는 좌우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21)와, 엘리먼트열(24)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전후의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와, 엘리먼트열(24)의 일단부측(전단부측)에 배치된 좌우의 스토퍼와, 제1 파스너 스트링거(21)에 있어서의 엘리먼트열(24)의 타단부측(후단부측)에 고착된 삽입 핀(25)과, 제2 파스너 스트링거(21)에 있어서의 엘리먼트열(24)의 타단부측(후단부측)에 고착된 고정 핀(26)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21)는 각각, 테이프측 모서리에 중심끈부(23a)가 배치된 파스너 테이프(23)와, 엘리먼트열(24)을 구성하는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24a)를 갖고 있으며,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24a)는 파스너 테이프(23)가 대향하는 테이프측 모서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22a)는 제2 슬라이더(22b)보다도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는, 슬라이더 동체와, 슬라이더 동체에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손잡이를 구비한 소위 자유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동체는, 상하 날개판과, 상기 상하 날개판의 일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 기둥과, 상하 날개판의 좌우측 모서리부로부터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의 플랜지부와, 상부 날개판의 상면에 문 형상으로 세워 설치된 손잡이 부착 기둥을 갖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 동체의 일단부에는, 안내 기둥을 사이에 끼워 좌우의 견부 개구가 설치되고, 슬라이더 동체의 후단부에는 후방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하 날개판 사이에는, 좌우의 견부 개구와 후방 개구를 연통하는 대략 Y자 형상의 엘리먼트 안내로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는, 서로의 후방 개구가 대향하도록 엘리먼트열(24)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삽입 핀(25)은 파스너 테이프(23)에 고착된 대략 각기둥 형상의 삽입 핀 본체(25a)와, 삽입 핀 본체(25a)의 엘리먼트열(24) 측의 단부 영역에 고정 핀(26)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25b)와, 돌출부(25b)의 선단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한 돌기부(25c)를 갖고 있다.
한편, 고정 핀(26)은 파스너 테이프(23)에 고착된 고정 핀 본체(26a)와, 고정 핀 본체(26a)의 하단부에 배치된 훅 형상의 스토퍼부(26b)와, 고정 핀 본체(26a)의 삽입 핀(25)에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삽입 핀(25)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출부(26c)와, 고정 핀 본체(26a)의 상단부 표면으로 융기한 융기부(26d)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의 슬라이드 파스너(20)는 후방 개구끼리를 대향시켜 배치한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를 갖고 있기 때문에, 맞물림 상태에 있는 좌우의 엘리먼트열(24)을 상기 엘리먼트열(24)의 일단부(전단부)로부터만이 아니라, 타단부(하단부)로부터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서는, 고정 핀(26)에 고정 핀 본체(26a)로부터 융기하는 융기부(26d)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를 고정 핀(26) 측의 말단 위치(하단부 위치)까지 미끄럼 이동시켜서 고정 핀(26)에 보유 지지하였을 때에, 고정 핀(26)의 융기부(26d)가 제1 슬라이더(22a)의 슬라이더 동체 내면에 밀접하고, 고정 핀(26)에 대한 제1 슬라이더(22a)의 마찰력을 증대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슬라이더(22a)를 고정 핀(26)의 소정 위치에 정지시켰을 때에, 그 정지 위치에서 제1 슬라이더(22a)를 보유 지지하고, 고정 핀(26)에 대한 제1 슬라이더(22a)의 상대적인 위치를 안정시킴과 함께, 제1 슬라이더(22a)가 고정 핀(26)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제멋대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에 대하여 삽입 핀(25)을 삽입하는 조작을 행할 때에,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삽입 핀(25)을 제1 슬라이더(22a)나 제2 슬라이더(22b)에 걸리게 하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드 파스너에는, 사용되는 제품(파스너 피착 제품)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의류 등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슬라이더에는, 엘리먼트열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을 정지시켰을 때에, 슬라이더를 그 엘리먼트열의 정지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정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정지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의 일례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5370호 공보(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동체의 엘리먼트 안내로 내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정지 갈고리체를 갖고 있으며, 이 정지 갈고리체는, 판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정지 갈고리체의 일부(정지 갈고리부)를 엘리먼트 안내로 내로 진출시키도록 하여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지 갈고리체를 갖는 특허문헌 2의 슬라이더에서는, 손잡이를 조작하여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킬 때에, 손잡이가 판 스프링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정지 갈고리체를 들어올려, 정지 갈고리부를 엘리먼트 안내로로부터 퇴피시키기 때문에, 슬라이더를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를 정지시켜서 손잡이의 조작을 종료했을 때에는, 정지 갈고리체가 판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정지 갈고리부가 엘리먼트 안내로 내로 진출하여 파스너 엘리먼트에 걸림 지지되기 때문에, 슬라이더를 그 정지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1440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엘리먼트열을 구비하는 좌우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와, 엘리먼트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갖고 있다. 또한, 엘리먼트열을 구성하는 모든 파스너 엘리먼트는, 엘리먼트 상면에 배치된 돌기를 갖고 있으며, 각 파스너 엘리먼트에 설치된 돌기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을 방해하거나, 인체에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슬라이더에는, 파스너 엘리먼트에 설치한 돌기에 접촉함으로써 소리를 발생시키는 갈고리부를 구비한 발음실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특허문헌 3의 슬라이드 파스너는, 엘리먼트열을 따라서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슬라이더의 갈고리부가 파스너 엘리먼트의 돌기에 접촉하여 튕김으로써, 슬라이더의 발음실에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가방의 개구부에 특허문헌 3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부착함으로써, 그 개구부를 개폐할 때마다 음색을 내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소매치기나 도난 시에 알아차리기 쉬어, 방범성이 높아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54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53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1440호 공보
예를 들어 슬라이드 파스너가 의류 등에 사용되는 경우, 엘리먼트열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의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켜서, 그 슬라이더의 정지 위치를 보유 지지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20)에서는, 정지 갈고리체와 같은 정지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자유 슬라이더가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로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이들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를 엘리먼트열(24)의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없다.
또한, 제1 및 제2 슬라이더(22a, 22b)가 엘리먼트열(24)의 도중 위치에서 정지하였다고 해도, 슬라이드 파스너(20)가 진동 등을 받았을 때에 각 슬라이더의 자중에 의해 엘리먼트열(24)을 따라서 내려가기 쉬워, 슬라이드 파스너(20)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제멋대로 개폐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21)를 이격하도록 잡아당겼을 때에, 슬라이더가 파스너 엘리먼트(24a)로부터 좌우의 플랜지부를 개재하여 응력(가로 견인력)을 받기 때문에, 슬라이더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미끄럼 이동해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파스너 엘리먼트에 배치된 돌기를 이용함으로써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시에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모든 파스너 엘리먼트의 엘리먼트 상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열을 따라서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킬 때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켜서, 슬라이더의 조작성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따른 슬라이더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스너 엘리먼트에 걸림 지지 가능한 정지 갈고리체에 의한 정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의 슬라이더를,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슬라이더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의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지 갈고리체를 갖는 슬라이더의 경우, 정지 갈고리체의 정지 갈고리부가 파스너 엘리먼트에 걸림 지지되어 있는 상태 그대로, 사용자가 파스너 스트링거를 잡아당겨 개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또한, 가령 좌우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강하게 잡아당겨지는 경우 등과 같이 슬라이더가 어떠한 탄력으로 강제적으로 미끄럼 이동되면, 정지 갈고리체나 파스너 엘리먼트가 파손되기 쉬워져서, 슬라이드 파스너를 고장나게 하는 요인의 하나로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의사로 슬라이드 파스너를 재빠르게 개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더나 파스너 엘리먼트 등에 파손을 발생시키지 않고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 파스너 및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에 사용되는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제1 및 제2 파스너 테이프가 대향하는 테이프측 모서리에 엘리먼트열이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와, 상기 엘리먼트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엘리먼트열은, 상기 테이프측 모서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하 날개판과, 상기 상하 날개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기둥과,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로서, 상기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내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켜서, 상기 슬라이더를 정지 가능한 저항부를 구비한 적어도 1개의 정지 엘리먼트가, 상기 엘리먼트열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를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상하 날개판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게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의 테이프 표리 방향을 향한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쪽에 융기한 적어도 1개의 융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 중 가장 큰 부분이, 상기 제1 또는 제2 파스너 테이프의 중심끈부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테이프를 삽입 관통시키는 테이프 홈이 배치되고, 상기 정지 엘리먼트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테이프 홈을 삽입 관통하는 핀부(fin part)를 갖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핀부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를 상기 테이프 홈의 홈 폭보다도 크게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는, 테이프 안쪽의 벽면에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돌출부의 돌출 치수를, 좌우의 상기 엘리먼트열의 맞물림 시에 있어서의 체인 폭이 상기 슬라이더의 좌우 플랜지부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한쪽이, 테이프 표리 방향 또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항부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 또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만곡한 만곡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연속하여 상기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정지 엘리먼트는,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의 한쪽 또는 양쪽의 상기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가, 상기 엘리먼트열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그 엘리먼트열 전체의 길이 치수가 20% 이내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에 개방 분리 끼움구가 배치되고, 상기 정지 엘리먼트는, 상기 개방 분리 끼움구의 고정 핀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상기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정지 엘리먼트에 간섭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부를 갖고, 상기 로크부는,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로크부는, 상기 상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 또는 상기 하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보다도, 테이프 표리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후방 개구측 단부 또는 견부 개구측 단부로부터 절입된 한 쌍의 슬릿이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슬릿 사이에 끼워진 탄성편부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저항부와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 홈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더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상하 날개판과, 상기 상하 날개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기둥과,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된 플랜지부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슬라이더로서,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파스너 엘리먼트에 간섭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부를 갖고, 상기 로크부는,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상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 또는 상기 하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보다도, 상하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후방 개구측 단부 또는 견부 개구측 단부로부터 절입된 한 쌍의 슬릿이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슬릿 사이에 끼워진 탄성편부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파스너 엘리먼트와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 홈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엘리먼트열을 구성하는 파스너 엘리먼트 중 적어도 1개에,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내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켜서, 상기 슬라이더를 정지 가능(로크 가능)하게 하는 저항부를 구비한 정지 엘리먼트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 정지 엘리먼트가, 엘리먼트열의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려고 하는 위치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지 엘리먼트에 의한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은 정지 갈고리체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슬라이더와 정지 엘리먼트 사이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이용함으로써,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의 정지 엘리먼트가 배치되어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간이적으로 정지시켜서, 그 슬라이더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가 의류의 앞섶 등에 부착된 경우에, 엘리먼트열의 정지 엘리먼트에 의해 슬라이더의 정지 위치를 용이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가 진동을 받았다고 해도, 슬라이더가 자중에 의해 엘리먼트열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가 사용자의 의사에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개폐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정지 상태는, 슬라이더의 내면과 파스너 엘리먼트 사이의 큰 미끄럼 이동 저항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좌우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를 분리시키도록, 슬라이더를 정지 엘리먼트와의 사이의 미끄럼 이동 저항보다도 큰 적절한 힘으로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더가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타고 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사로,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키기 때문에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도, 슬라이더가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타고 넘어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와 같이 슬라이더의 일부가 파스너 엘리먼트에 걸림 지지된 상태 그대로 상기 슬라이더가 강제적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나 파스너 엘리먼트 등에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워져서, 그 결과, 슬라이드 파스너의 고장을 방지하여,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품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정지 엘리먼트를, 엘리먼트열의 임의의 위치에 국부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열의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려고 하는 원하는 위치에만 정지 엘리먼트를 배치하여, 슬라이더의 정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엘리먼트열의 전체에 걸쳐서 미끄럼 이동 저항이 증대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정지 엘리먼트가 접촉하는 슬라이더의 내면이란, 상기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상하 날개판의 내벽면, 플랜지부의 내벽면 및 플랜지부의 돌출면(선단면)을 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정지 엘리먼트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를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상하 날개판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정지 엘리먼트의 테이프 표리 방향을 향한 제1면(상면), 제2면(하면), 또는, 제1면과 제2면의 양면으로 융기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융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 내에 정지 엘리먼트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슬라이더의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확실하게 접촉시켜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융기부는, 1개의 정지 엘리먼트에 대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의 정지 엘리먼트가 복수의 융기부를 갖고 있으면, 상기 정지 엘리먼트에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안정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정지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가 가장 큰 부분이, 제1 또는 제2 파스너 테이프의 중심끈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슬라이더를 적절한 힘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파스너 테이프의 중심끈부를 휘게 함으로써, 슬라이더가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용이하게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해져서, 정지 엘리먼트가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슬라이더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제1 및 제2 파스너 테이프를 삽입 관통시키는 테이프 홈이 배치되어 있으며, 정지 엘리먼트는, 슬라이더의 테이프 홈을 삽입 관통하는 핀부를 갖고 있다. 또한, 저항부는, 파스너 엘리먼트의 핀부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를 슬라이더의 테이프 홈의 홈 폭보다도 크게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 내에 정지 엘리먼트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슬라이더에 배치된 플랜지부에 확실하게 접촉시켜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정지 엘리먼트는, 테이프 안쪽의 벽면에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는, 돌출부의 돌출 치수를, 좌우의 엘리먼트열의 체인 폭이 슬라이더의 좌우 플랜지부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 내에 정지 엘리먼트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슬라이더에 배치된 플랜지부에 확실하게 접촉시켜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먼트열의 체인 폭이란, 좌우의 엘리먼트열을 맞물림시킨 상태에 있어서, 좌측의 파스너 엘리먼트의 좌측 단부 모서리의 위치와 우측의 파스너 엘리먼트의 우측 단부 모서리의 위치 사이에 있어서의 테이프 폭 방향에서의 치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정지 엘리먼트 및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한쪽이, 테이프 표리 방향 또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슬라이더를 적절한 힘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정지 엘리먼트 및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한쪽을 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 엘리먼트가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저항부가,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 또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만곡한 만곡면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정지 엘리먼트를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로 통과시킬 때에, 슬라이더의 상하 날개판이 경사면 또는 만곡면에 의해 안내되어서, 슬라이더가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타고 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연속하여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정지 엘리먼트에 의해 슬라이더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지시켜서, 그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지 엘리먼트가,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의 한쪽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또는, 양쪽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정지 엘리먼트에 의해 슬라이더를 정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에 개방 분리 끼움구가 배치되고, 정지 엘리먼트는, 개방 분리 끼움구의 고정 핀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세탁 등의 처리가 행해져도, 고정 핀 측의 엘리먼트열 위에서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정지 엘리먼트로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는, 엘리먼트열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그 엘리먼트열 전체의 길이 치수가 20% 이내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가 의류의 앞섶 등에 부착된 경우에, 그 의류에 있어서 슬라이더를 정지시키는 빈도가 높은 영역 내에 정지 엘리먼트를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 슬라이더를 그 영역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열의 개구측 단부란,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쇄하도록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방향의 슬라이더 미끄럼 이동 단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정지 엘리먼트에 간섭하여 슬라이더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부를 갖고 있으며, 이 로크부는,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크부가 슬라이더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정지 엘리먼트와 슬라이더의 로크부 사이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정지 엘리먼트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보다 효과적으로 정지시킴과 함께, 그 정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로크부가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슬라이더를 적절한 힘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로크부를 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 엘리먼트를 타고 넘어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크부는, 상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 또는 하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보다도, 테이프 표리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로크부를 보다 확실하게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특히,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후방 개구측 단부 또는 견부 개구측 단부로부터 절입된 한 쌍의 슬릿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슬릿 사이에 끼워진 탄성편부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로크부를 간단한 구조로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확실하게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저항부와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 홈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의 로크부 이외의 부위가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와 과잉으로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내면과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 사이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가 정지 엘리먼트의 저항부를 타고 넘을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더나 정지 엘리먼트의 마모를 억제하여,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품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파스너 엘리먼트에 간섭하여 슬라이더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부를 갖고 있으며, 이 로크부는,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로크부가 슬라이더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부를, 파스너 엘리먼트(예를 들어, 정지 엘리먼트)에 접촉시켜서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크부가 접촉하는 파스너 엘리먼트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효과적으로 정지시킴과 함께, 그 정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로크부가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슬라이더를 적절한 힘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로크부를 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크부가 파스너 엘리먼트에 접촉하여도, 로크부가 그 파스너 엘리먼트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슬라이더를 엘리먼트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 또는 하부 날개판의 주 내벽면보다도, 상하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로크부를 보다 확실하게 파스너 엘리먼트에 접촉시킬 수 있다. 특히,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후방 개구측 단부 또는 견부 개구측 단부로부터 절입된 한 쌍의 슬릿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슬릿 사이에 끼워진 탄성편부의 선단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로크부를 간단한 구조로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확실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더에서는, 상하 날개판 중 적어도 한쪽에, 슬라이드 파스너의 파스너 엘리먼트와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 홈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의 로크부 이외의 부위가 파스너 엘리먼트와 과잉으로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내면과 파스너 엘리먼트 사이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 불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슬라이더나 파스너 엘리먼트의 마모를 억제하여,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품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에 배치되는 정지 엘리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정지 엘리먼트와 슬라이더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도 4의 (m)은 정지 엘리먼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정지 엘리먼트와 슬라이더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d)는 변형예에 따른 정지 엘리먼트의 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Ⅷ-Ⅷ선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부가 탄성 변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ⅩⅠ-ⅩⅠ선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더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ⅩⅢ-ⅩⅢ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슬라이드 파스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에 배치되는 정지 엘리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 정지 엘리먼트와 슬라이더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의 파스너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가리키고, 특히, 좌우의 엘리먼트열을 맞물림시키도록 스토퍼를 향해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좌우의 엘리먼트열을 분리시키도록 개방 분리 끼움구를 향해 슬라이더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이란,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 폭 방향을 가리키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를 정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좌방 및 우방으로 한다. 상하 방향이란,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에 직교하는 테이프 표리 방향을 가리키고, 파스너 테이프의 테이프면에 대하여 슬라이더의 손잡이가 배치되는 측을 상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하방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1)는 파스너 테이프(11)가 대향하는 테이프측 모서리부에 엘리먼트열(12)을 구비한 좌우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10)와, 엘리먼트열(12)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30)와, 파스너 스트링거(10)의 후단부에 배치된 개방 분리 끼움구(40)와, 엘리먼트열(12)의 상단부로부터 연속하도록 제1 및 제2 파스너 테이프(11)의 테이프측 모서리부에 고착된 스토퍼(도시생략)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좌측에 배치된 파스너 스트링거(10) 및 파스너 테이프(11)가 본 발명의 제1 파스너 스트링거 및 제1 파스너 테이프를 구성하고, 우측에 배치된 파스너 스트링거(10) 및 파스너 테이프(11)가 본 발명의 제2 파스너 스트링거 및 제2 파스너 테이프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10)는, 각각, 파스너 테이프(11)와, 테이프측 모서리부에 배치된 합성 수지제의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13)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각 파스너 테이프(11)는 미세 폭의 띠 형상으로 직제 또는 편성되어 있으며, 파스너 피착 제품(예를 들어, 의복 등)에 꿰매어지는 테이프 주체부(11a)와, 파스너 엘리먼트(13)가 부착되는 엘리먼트 부착부(11b)(테이프측 모서리부)를 갖고 있다. 또한, 파스너 테이프(11)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부착부(11b) 측의 테이프측 단부 모서리에는 중심끈부(17)가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11)에 있어서, 중심끈부(17)를 포함하는 엘리먼트 부착부(11b)에는,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13)가 사출 성형에 의해 테이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며, 이들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13)에 의해 엘리먼트열(1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11)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표리면에는, 합성 수지제의 보강 필름(18)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파스너 엘리먼트(13)의 재질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구리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파스너 엘리먼트(13)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특히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의 엘리먼트열(12)을 구성하는 파스너 엘리먼트(13)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 통상 엘리먼트(14)와,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부를 구비한 정지 엘리먼트(15)가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정지 엘리먼트(15)는 좌우의 엘리먼트열(12)에 각각 3개씩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정지 엘리먼트(15)를 길이 방향에서 끼우도록 하여 통상 엘리먼트(14)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좌측의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된 3개의 정지 엘리먼트(15)와, 우측의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된 3개의 정지 엘리먼트(15)는, 서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테이프 길이 방향의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정지 엘리먼트(15)는 엘리먼트열(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개방 분리 끼움구(40)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통상 엘리먼트(14)는 파스너 테이프(11)의 엘리먼트 부착부(11b)에 고착된 기초부와, 기초부로부터 테이프 외측으로 연장하여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잘록해진 형상을 갖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대략 긴 원 형상을 갖는 맞물림 헤드부와,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헤드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어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좌우의 엘리먼트열(12)을 맞물림시킬 때에, 인접하는 파스너 엘리먼트(13)의 헤드부의 사이에 맞물림 상대 측인 파스너 엘리먼트(13)의 맞물림 헤드부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상 엘리먼트(14)에는, 파스너 테이프(11)에의 고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기초부로부터 테이프 내측으로 연장하는 핀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핀부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핀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은, 슬라이더(30)의 후술하는 테이프 홈(39)의 홈 폭보다도 작게 설정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통상 엘리먼트(14)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은, 슬라이더(30)의 후술하는 상하 날개판(33, 34)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특히, 그 간격의 최소값)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상 엘리먼트(14)가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를 통과할 때에, 통상 엘리먼트(14)가 슬라이더(3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시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한편, 정지 엘리먼트(15)는 전술한 통상 엘리먼트(14)의 상면 및 하면에 저항부가 되는 융기부(15e)를 설치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느 것의 정지 엘리먼트(15)도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엘리먼트(15)는 파스너 테이프(11)의 엘리먼트 부착부(11b)에 고착된 기초부(15a)와, 기초부(15a)로부터 테이프 외측으로 연장하여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잘록해진 형상을 갖는 헤드부(15b)와, 헤드부(15b)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대략 긴 원 형상을 갖는 맞물림 헤드부(15c)와,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헤드부(15b)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어깨부(15d)와, 기초부(15a)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융기한 융기부(저항부)(15e)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하의 각 융기부(15e)는 기초부(15a)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파스너(1)를 정면측 또는 배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파스너 테이프(11)의 중심끈부(17)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융기부(15e)의 중앙 영역은 파스너 테이프(11)의 테이프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융기부(15e)의 중앙 영역 주연부로부터 상기 융기부(15e)의 전후 단부 모서리 및 좌우 단부 모서리(즉, 융기부(15e)와 기초부(15a)의 경계부)에 걸친 외면은, 융기부(15e)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를 각 단부 모서리를 향해 서서히 저감시키도록 만곡한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만곡면이 융기부(15e)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정지 엘리먼트(15)를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로 통과시킬 때에,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이 만곡면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더(30)가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를 타고 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융기부(15e)의 주위면이 만곡하고 있음으로써, 정지 엘리먼트(15)의 미관이 좋아져서, 슬라이드 파스너(1)의 외관 품질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정지 엘리먼트(15)에 있어서, 기초부(15a)의 상면측에 배치된 융기부(15e)로부터, 기초부(15a)의 하면측에 배치된 융기부(15e)까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정지 엘리먼트(15)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은, 슬라이더(30)의 후술하는 상하 날개판(33, 34)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특히, 그 간격의 최소값)보다도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지 엘리먼트(15)가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로 진입했을 때에, 정지 엘리먼트(15)의 상하 융기부(저항부)(15e)가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에 확실하게 접촉하고,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통상 엘리먼트(14)가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로 진입한 경우보다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정지 엘리먼트(15)는 저항부에 의해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파스너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기초부의 상하면에 융기부가 배치되어 있지만, 상면측의 융기부로부터 하면측의 융기부까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파스너 엘리먼트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이,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그 융기부에 따라서는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수 없는 경우, 그 융기부는 저항부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정지 엘리먼트(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11)의 엘리먼트 부착부(11b)에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하의 융기부(15e)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통상 엘리먼트(14)를 성형한 후에, 그 기초부에 융기부(15e)를 뒤부터 설치함으로써 정지 엘리먼트(1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정지 엘리먼트(15)의 기초부(15a)와 융기부(15e)는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는 기초부(15a)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더(30)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위 자유 슬라이더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슬라이더(30)는 슬라이더 동체(31)와, 슬라이더 동체(31)에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손잡이(32)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 동체(31)는 상하 날개판(33, 34)과, 상기 상하 날개판(33, 34)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 기둥(35)과, 상하 날개판(33, 34)의 좌우측 모서리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좌우의 플랜지부(36)와, 상부 날개판(33)의 상면에 문 형상으로 세워 설치된 손잡이 부착 기둥(37)을 갖고 있다.
이 슬라이더 동체(31)의 전단부에는, 안내 기둥(35)을 사이에 끼워 좌우의 견부 개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슬라이더 동체(31)의 후단부에는 후방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날개판(33, 34) 사이에는, 좌우의 견부 개구와 후방 개구를 연통하는 대략 Y자 형상의 엘리먼트 안내로(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날개판(33)으로부터 수직 설치된 좌우의 상부 플랜지부(36)와, 하부 날개판(34)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좌우의 하부 플랜지부(36)의 사이에는,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11)를 삽입 관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테이프 홈(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더(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 합금 및 아연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슬라이더(30)의 슬라이더 동체(31)가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하 날개판(33, 34)이 안내 기둥(35)을 기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의 개방 분리 끼움구(40) 및 스토퍼(도시생략)에 대해서도,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즉, 개방 분리 끼움구(40)는, 좌측의 엘리먼트열(12)의 후단부로부터 연속하도록 파스너 테이프(11)에 고착된 삽입 핀(41)과, 우측의 엘리먼트열(12)의 후단부로부터 연속하도록 파스너 테이프(11)에 고착된 고정 핀(42)과, 고정 핀(42)의 후단부에 일체 성형된 상자체(43)를 갖고 있으며, 삽입 핀(41)이 상자체(43)에 대하여 삽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는 슬라이더(30)가 엘리먼트열(12)의 전단부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좌우의 엘리먼트열(12)의 전단부로부터 연속하도록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11)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 분리 끼움구(40)나 스토퍼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 1의 개방 분리 끼움구(40) 대신에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슬라이더, 삽입 핀 및 고정 핀을 구비하고, 좌우의 엘리먼트열을 길이 방향의 양단부측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개방 분리 끼움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스토퍼로서, 예를 들어 슬라이더(30)를 스토퍼의 위치에서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드 파스너(1)는 슬라이더(30)를 예를 들어 정지 엘리먼트(15)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보다도 큰 적절한 힘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30)를 엘리먼트열(12)을 따라서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켜서, 좌우의 엘리먼트열(12)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경우, 정지 엘리먼트(15)와 슬라이더(30)의 슬라이더 동체(31)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더(30)가 적절한 힘으로 조작되어 정지 엘리먼트(15)가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로 진입하고,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가 슬라이더(30)의 내면에 접촉했을 때에, 정지 엘리먼트(15) 및 슬라이더 동체(31) 중 적어도 한쪽을 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지 엘리먼트(15)의 상면측에 배치된 융기부(15e)로부터 하면측에 배치된 융기부(15e)까지의 두께 치수와,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의 내벽면 사이의 치수와의 차이를, 정지 엘리먼트(15) 및/또는 슬라이더 동체(31)의 휨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정지 엘리먼트(15)를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에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다시 말하면, 슬라이더(30)가 정지 엘리먼트(15)를 타고 넘을 수 있음).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더(30)가 정지 엘리먼트(15)를 타고 넘기 위해서는, 정지 엘리먼트(15) 및 슬라이더(30) 중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되지만, 정지 엘리먼트(15)와 슬라이더(30)의 양쪽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정지 엘리먼트(15) 및 슬라이더(30)의 각각의 탄성 변형량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부재의 열화를 억제하여, 슬라이드 파스너(1)의 제품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이때, 본 실시예 1에서는,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는 파스너 테이프(11)의 중심끈부(17)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그 중심끈부(17)의 휘는 정도도 이용함으로써,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가 슬라이더(30)의 내면에 접촉했을 때에 정지 엘리먼트(15)나 슬라이더(30)가 마모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슬라이더(30)가 정지 엘리먼트(15)를 타고 넘을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30)를 엘리먼트열(12)의 정지 엘리먼트(15)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정지시킨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의 내벽면과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를 접촉시켜서, 슬라이더(30)와 정지 엘리먼트(15)의 사이에 큰 미끄럼 이동 저항(마찰)을 발생시켜서 로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 발생한 미끄럼 이동 저항을 이용함으로써, 슬라이더(30)의 정지 상태를 간이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슬라이더(30)를 통상 엘리먼트(14)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먼트열(12)의 위치에서 정지시킨 경우, 통상 엘리먼트(14)와 슬라이더(30)의 사이에는 저항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슬라이더(30)가 진동 등을 받았을 때에 자중에 의해 엘리먼트열(12)을 따라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본 실시예 1의 슬라이드 파스너(1)에서는,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슬라이더(30)를 슬라이더(30)와 정지 엘리먼트(15)의 사이에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30)를 정지 엘리먼트(15)의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1)가 사용자의 의사에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개폐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30)를 정지 엘리먼트(15)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미끄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슬라이더(30)를 정지 엘리먼트(15)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보다도 큰 힘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슬라이더(30)에 정지 엘리먼트(15)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보다도 큰 힘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30)나 파스너 엘리먼트(13) 등에 파손을 발생시키지 않고, 슬라이더(30)를 정지 엘리먼트(15)의 저항부를 타고 넘게 하여, 엘리먼트열(12)을 따라서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1)는 이상과 같은 실시예 1의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더에 대한 저항부를 구비한 적어도 1개의 정지 엘리먼트가 엘리먼트열에 배치되어 있는 듯한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1)의 엘리먼트열(12)은 파스너 테이프(11)에 사출 성형된 복수의 독립된 파스너 엘리먼트(13)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노 필라멘트를 코일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성형한 연속하는 파스너 엘리먼트에 의해 엘리먼트열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정지 엘리먼트는, 도 2에 도시한 형태를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저항부의 형태나 개수 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의 (a) 내지 (m)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도 4의 (a) 내지 (m)에 도시한 각 정지 엘리먼트의 형태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또한, 이들 정지 엘리먼트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1)는 기초부(51a)의 상하면에 각각 4개의 융기부(저항부)(51e)가 정렬하여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정지 엘리먼트(51)에 있어서, 융기부(51e)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정지 엘리먼트(5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의 (a)의 정지 엘리먼트(51)는 실시예 1의 통상 엘리먼트(14)의 상면 및 하면에 4개의 융기부(51e)를 설치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들 융기부(51e)는 어느 것이나 파스너 테이프(11)의 중심끈부(17) 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면측에 배치된 융기부(51e)로부터, 하면측에 배치된 융기부(51e)까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정지 엘리먼트(51)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그 정지 엘리먼트(51)가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정지 엘리먼트(51)의 융기부(51e)를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에 확실하게 접촉시켜서,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후술하는 도 4의 (b) 내지 (g)의 융기부(52e 내지 57e)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도 4의 (b)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2)는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2개의 융기부(저항부)(52e)가 기초부(52a)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3)는 원기둥 형상의 융기부(저항부)(53e)가 기초부(53a)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d)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4)의 융기부(저항부)(54e)는, 정지 엘리먼트(54)의 길이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중앙부가 높아지는 듯한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융기부(54e)의 능선부로부터 전단부 모서리 및 후단부 모서리에 걸쳐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경사면이 융기부(54e)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슬라이더(30)가 정지 엘리먼트(54)의 융기부(54e)를 타고 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4의 (e)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5)의 융기부(저항부)(55e)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55)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외면(상면 또는 하면)을 갖고 있다. 즉, 이 융기부(55e)에서의 테이프 폭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단한 절단면은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슬라이더(30)가 융기부(55e)를 타고 넘기 쉽게 하고 있다.
도 4의 (f)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6)에서는, 기초부, 헤드부 및 맞물림 헤드부의 영역에 걸친 정지 엘리먼트(56)의 상하면에, 각각 3개의 융기부(저항부)(56e)가 테이프 폭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g)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7)에서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외면을 갖고, 테이프 폭 방향으로 수직인 절단면이 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57e)가 기초부로부터 맞물림 헤드부에 걸쳐서 테이프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h)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8)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통상 엘리먼트(14)에 비하여, 엘리먼트 상면으로부터 엘리먼트 하면까지의 상하 방향(테이프 표리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정지 엘리먼트(58)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을,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i)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9)는 전술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통상 엘리먼트(14)의 형태에, 기초부(59a)로부터 테이프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핀부(59f)와, 핀부(59f)의 상면 및 하면으로 융기하는 융기부(59g)를 추가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 정지 엘리먼트(59)의 핀부(59f)는 슬라이더(30)의 테이프 홈(39)을 삽입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핀부(59f)의 상면측에 배치된 융기부(59g)로부터 하면측으로 배치된 융기부(59g)까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은, 슬라이더(30)의 테이프 홈(39)의 홈 폭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상하의 융기부(59g)를 갖는 핀부(59f)가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j)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60)는 도 4의 (i)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9)의 형태에, 기초부(60a)의 상하 양면에 융기부(60e)를 추가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경우, 기초부(60a)에 배치된 융기부(60e)와, 융기부(60g)를 갖는 핀부(60f)가 각각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k)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61)는 기초부(61a)로부터 테이프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핀부(61f)를 갖고 있다. 이 정지 엘리먼트(61)에서는, 핀부(61f) 전체의 크기를 크게 하여, 핀부(61f)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상하 방향(테이프 표리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을, 슬라이더(30)의 테이프 홈(39)의 홈 폭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저항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4의 (l)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62)는 기초부(62a)로부터 테이프 내측을 향해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2h)를 갖는다. 이 돌출부(62h)에 있어서의 기초부(62a) 측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슬라이더(30)의 후방 개구측 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플랜지부(36) 사이의 최소 간격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정지 엘리먼트(62)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엘리먼트열(12)을 맞물림시켰을 때에 정지 엘리먼트(6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의 엘리먼트열(12)의 체인 폭을, 슬라이더(30)의 후방 개구측 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플랜지부(36)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도 크게 하도록, 정지 엘리먼트(62)에 있어서의 돌출부(62h)의 돌출 높이를 설정함으로써,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는 저항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좌우의 엘리먼트열(12)에 있어서, 정지 엘리먼트(62)끼리가 맞물리도록 정지 엘리먼트(62)를 배치함으로써, 정지 엘리먼트(62)의 돌출부(62h)에서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0)는 좌우의 플랜지부(36)가 테이프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에 의해, 슬라이더(30)가 적절한 힘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정지 엘리먼트(15)를 타고 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의 (m)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63)는 도 4의 (d)에 도시한 정지 엘리먼트(54)에 있어서의 융기부(54e)의 전반부가 절제된 듯한 형태를 갖고 있다. 즉, 도 4의 (m)의 정지 엘리먼트(63)에 있어서의 기초부(63a)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는, 기초부(63a)의 후단부 모서리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엘리먼트의 두께 치수를 점증시키도록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면(63i)과, 정지 엘리먼트(6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급각도로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면(63j)을 구비한 융기부(63e)가 배치되어 있으며, 파스너 테이프(11)의 테이프면에 대한 제2 경사면(63j)의 경사 각도는, 제1 경사면(63i)의 경사 각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융기부(63)의 테이프 폭 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은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지 엘리먼트(63)는 예를 들어 융기부(63e)의 제1 경사면(63i)이 후방측(개방 분리 끼움구(40) 측)을 향하도록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된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더(30)를 좌우의 엘리먼트열(12)을 맞물림시키는 방향(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정지 엘리먼트(63)가 슬라이더(30)의 견부 개구로부터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로 진입한다.
이때, 정지 엘리먼트(63)는 융기부(63e)의 제1 경사면(63i) 측으로부터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경사 각도가 완만한 제1 경사면(63i)에 의해 슬라이더(30)의 상하 날개판(33, 34)이 안내되어서, 정지 엘리먼트(63)의 융기부(63e)를 원활하게 타고 넘도록 슬라이더(30)를 보조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슬라이더(30)를 좌우의 엘리먼트열(12)을 분리시키는 방향(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63)가 슬라이더(30)의 후방 개구로부터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로 진입한다. 이때, 정지 엘리먼트(63)는 융기부(63e)의 제2 경사면(63j) 측으로부터 슬라이더(30)의 엘리먼트 안내로(38)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전술한 제1 경사면(63i)과 같은 슬라이더(30)에 대한 보조 효과는 얻어지기 어려워지지만, 상기 정지 엘리먼트(63)의 위치에서 슬라이더(30)를 정지시키기 쉽게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도 4의 (m)의 정지 엘리먼트(63)는 슬라이더(30)를 미끄럼 이동시키는 방향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서로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슬라이드 파스너가 정지 엘리먼트(63)를 가짐으로써, 상기 파스너 엘리먼트를 좌우의 엘리먼트열을 원활하게 맞물림시키지만, 엘리먼트열을 분리시키기 어렵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엘리먼트열에 배치하는 정지 엘리먼트의 위치나 개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슬라이드 파스너(2)와 같이, 정지 엘리먼트(15)를 한쪽의 파스너 스트링거(10)의 엘리먼트열(12)에만 배치해도 되며, 그것에 의해서도, 정지 엘리먼트(15)에 의해 슬라이더(30)를 간이적으로 정지시켜서, 그 슬라이더(30)의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a)의 슬라이드 파스너(2)에 있어서, 정지 엘리먼트(15)는 엘리먼트열(12)의 슬라이더(30)를 정지시키려고 하는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정지 엘리먼트(15)는 고정 핀(42)이 배치되는 측의 파스너 스트링거(10)의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좌우의 엘리먼트열(12) 전체가 분리하여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10)가 분리되는 경우, 슬라이더(30)는 고정 핀(42)이 배치되는 측의 엘리먼트열(12)에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고정 핀(42)이 배치되는 측의 엘리먼트열(12)에 정지 엘리먼트(15)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좌우의 파스너 스트링거(10)가 분리되어 있을 때라도,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30)에 대한 정지 엘리먼트(15)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슬라이드 파스너(3)에서는, 3개의 파스너 엘리먼트마다 1개의 정지 엘리먼트(15)가 좌우의 엘리먼트열(12)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이들 정지 엘리먼트(15)는 좌우의 엘리먼트열(12) 사이에서 정지 엘리먼트(15)끼리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정지 엘리먼트(15)는 엘리먼트열(12)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소정의 피치(간격)로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엘리먼트열(12)의 길이 방향의 소정 영역에만 소정의 피치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의 (c)에 도시한 슬라이드 파스너(4)에서는, 복수의 정지 엘리먼트(15)가 연속하여 배치된 영역(정지 영역)이 엘리먼트열(12)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정지 엘리먼트(15)는 좌우의 엘리먼트열(12) 사이에서 정지 엘리먼트(15)끼리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지 영역 내에 배치하는 정지 엘리먼트(15)의 개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d)에 도시한 슬라이드 파스너(5)에서는, 정지 엘리먼트(15)가 좌우의 엘리먼트열(12)에 소정의 피치로 배치되어 있지만, 좌우의 엘리먼트열(12) 사이에서 정지 엘리먼트(15)끼리가 맞물리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 6의 (d)의 슬라이드 파스너(5)에서는, 정지 엘리먼트(15)가 좌우의 엘리먼트열(12)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마다 좌우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b) 내지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엘리먼트(15)를 배치한 슬라이드 파스너(3 내지 5)이더라도,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더(30)에 대한 정지 엘리먼트(15)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가, 예를 들어 스포츠 웨어와 같은 의류의 앞섶에 사용되는 경우, 정지 엘리먼트(15)는 엘리먼트열(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엘리먼트열(12)의 개방측의 단부인 스토퍼의 위치로부터, 엘리먼트열(12)의 50% 이내의 영역 중, 특히 20% 이내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그 의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슬라이더(30)를 정지시키는 빈도가 높은 영역 내에 정지 엘리먼트(15)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슬라이더(30)를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의 구성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하에 개시하는 변형예 1 내지 변형예 3에 따른 로크부(72, 82, 92)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자유 슬라이더(3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 내지 변형예 3에 따른 슬라이더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동체(71, 81, 91)의 일부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 동체(71, 81, 91)를,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1에 따른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동체(7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날개판(73, 74)과, 상기 상하 날개판(73, 74)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 기둥(75)과, 상하 날개판(73, 74)의 좌우측 모서리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76)와, 상부 날개판(73)에 세워 설치된 손잡이 부착 기둥(77)과, 상부 날개판(73)의 후방 개구측 단부 모서리로부터 전방을 향해 평행하게 설치된 2개 1조의 슬릿(79)과, 슬릿(79) 사이에 배치된 로크부(72)와, 상부 날개판(73)의 내면에 설치된 오목 홈부(73a)를 갖고 있다.
변형예 1의 로크부(72)는 상부 날개판(7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슬릿(79)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릿(79)의 폐색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탄성편부(72a)와, 탄성편부(72a)의 선단부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72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상부 날개판(73)에 설치되는 오목 홈부(73a)가 탄성편부(72a)의 위치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탄성편부(72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두께가, 탄성편부(72a) 이외의 상부 날개판(73)의 두께보다도 얇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편부(72a)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편부(72a)는 슬라이더 동체(71)의 재질, 슬릿(79)의 길이, 탄성편부(72a)의 두께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탄성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다.
탄성편부(72a)의 선단부에 배치된 볼록부(72b)는 상기 볼록부(72b)의 하단부 위치(선단 위치)가 상부 날개판(73)의 주 내벽면의 위치보다도 하부 날개판(74)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72b)의 하단부 위치로부터 하부 날개판(74)의 주 내벽면의 위치까지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정지 엘리먼트(15)에 있어서의 상면측의 융기부(15e)로부터 하면측의 융기부(15e)까지의 상하 방향의 치수의 최대값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정지 엘리먼트(15)가 엘리먼트 안내로(78) 내를 통과할 때에 로크부(72)의 볼록부(72b)를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저항부)(15e)에 확실하게 간섭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볼록부(72b)의 좌우 방향으로 수직인 절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적절한 힘으로 슬라이더를 조작했을 때에 로크부(72)의 볼록부(72b)가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를 타고 넘는 것을 보조한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71)에 있어서의 오목 홈부(73a)는 정지 엘리먼트(15)가 엘리먼트 안내로(78) 내를 통과할 때에 상기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가 통과하는 진로를 따라서, 슬라이더 동체(71)의 견부 개구로부터 후방 개구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 홈부(73a)의 홈 폭 및 홈 깊이는, 정지 엘리먼트(15)에 배치되는 융기부(15e)의 크기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 1에 따른 슬라이더를,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1)의 자유 슬라이더 대신에 사용한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엘리먼트(15)가 변형예 1의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78) 내로 진입했을 때에,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된 로크부(72)의 탄성편부(72a)가 상하 방향으로 휘면서, 로크부(72)의 볼록부(72b)와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가 접촉하여 큰 미끄럼 이동 저항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정지시켜서, 그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의 슬라이더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오목 홈부(73a)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엘리먼트 안내로(78) 내로 정지 엘리먼트(15)가 진입했을 때에, 상하 날개판(73, 74)과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가 과도하게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간섭에 의한 정지 엘리먼트(15)나 슬라이더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의 슬라이더에서는, 로크부(72)가 상부 날개판(7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1회의 사출 성형 공정에서, 손잡이도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변형예 1의 슬라이더를 얻는 것이 가능해져서,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제조 공정의 간략화나, 부품 개수의 감소에 따른 제조 비용의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변형예 1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로크부(72)는 상부 날개판(73)의 후방 개구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로크부(72)를 상부 날개판(73)의 견부 개구측 단부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로크부(72)를 하부 날개판(74)에만, 또는 상하 날개판(73, 74)의 양쪽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로크부(72) 및 오목 홈부(73a)는 한쪽의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된 정지 엘리먼트(15)에 대응시켜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좌우 양쪽의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된 정지 엘리먼트(15)에 대응시키도록, 로크부(72) 및 오목 홈부(73a)를 슬라이더 동체(71)에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에는, 변형예 2에 따른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동체(81)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 2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동체(81)는 상하 날개판(83, 84)과, 상기 상하 날개판(83, 84)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 기둥(85)과, 상하 날개판(83, 84)의 좌우측 모서리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86)와, 상부 날개판(83)에 세워 설치된 손잡이 부착 기둥(87)과, 상부 날개판(83)의 후방 개구측 근처의 부위에 뚫어서 형성된 구멍부(89)와, 상기 구멍부(89)에 둘러싸이도록 하여 상부 날개판(83)과 일체로 배치된 로크부(82)와, 상부 날개판(83)의 내면에 설치된 오목 홈부(83a)를 갖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81)에 있어서의 구멍부(89)는 상부 날개판(83)에 로크부(82)를 설치하기 위해 상부 날개판(83)의 상면으로부터 내벽면 측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드러내고 있다. 변형예 2의 로크부(82)는 구멍부(89)에 연장하도록 배치된 탄성편부(82a)와, 탄성편부(82a)의 선단부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82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상부 날개판(83)에 설치되는 오목 홈부(83a)가 탄성편부(82a)의 위치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변형예 1과 마찬가지로, 탄성편부(82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두께가 탄성편부(82a) 이외의 상부 날개판(83)의 두께보다도 얇아, 탄성편부(82a)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부(82)의 볼록부(82b)는 상기 볼록부(82b)의 하단부 위치(선단 위치)가 상부 날개판(83)의 주 내벽면의 위치보다도 하부 날개판(84) 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82b)의 하단부 위치로부터 하부 날개판(84)의 주 내벽면의 위치까지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정지 엘리먼트(15)에 있어서의 상면측의 융기부(15e)로부터 하면측의 융기부(15e)까지의 상하 방향의 치수의 최대값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 볼록부(82b)의 좌우 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 동체(81)에 있어서의 오목 홈부(83a)는 전술한 변형예 1과 마찬가지로, 정지 엘리먼트(15)가 엘리먼트 안내로(88) 내를 통과할 때에 상기 정지 엘리먼트(15)의 융기부(15e)가 통과하는 진로를 따라서, 슬라이더 동체(81)의 견부 개구로부터 후방 개구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변형예 3에 따른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동체(91)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 3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동체(91)는 상하 날개판(93, 94)과, 상기 상하 날개판(93, 94)의 전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 기둥(95)과, 상하 날개판(93, 94)의 좌우측 모서리부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96)와, 상부 날개판(93)에 세워 설치된 손잡이 부착 기둥(97)과, 상부 날개판(93)의 후방 개구측 단부에 일체로 배치된 로크부(92)와, 상부 날개판(93)의 내면에 설치된 오목 홈부(93a)를 갖고 있다.
변형예 3의 로크부(92)는 상부 날개판(93)의 후방 개구측 단부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탄성편부(92a)와, 탄성편부(92a)의 선단부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92b)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상부 날개판(93)에 설치되는 오목 홈부(93a)의 연장선 위에 탄성편부(92a)가 배치되어 있으며, 탄성편부(92a)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두께가, 탄성편부(92a) 이외의 상부 날개판(93)의 두께보다도 얇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부(92)의 볼록부(92b)는 상기 볼록부(92b)의 하단부 위치(선단 위치)가 상부 날개판(93)의 주 내벽면의 위치보다도 하부 날개판(94) 측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92b)의 하단부 위치로부터 하부 날개판(94)의 주 내벽면의 위치까지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정지 엘리먼트(15)에 있어서의 상면측의 융기부(15e)로부터 하면측의 융기부(15e)까지의 상하 방향의 치수의 최대값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92b)의 좌우 방향에 수직인 절단면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변형예 2에 따른 슬라이더나 변형예 3에 따른 슬라이더를,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드 파스너(1)의 자유 슬라이더(30) 대신에 사용한 경우에도, 변형예 1에 따른 슬라이더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슬라이드 파스너
2: 슬라이드 파스너
3: 슬라이드 파스너
4: 슬라이드 파스너
5: 슬라이드 파스너
10: 파스너 스트링거
11: 파스너 테이프
11a: 테이프 주체부
11b: 엘리먼트 부착부
12: 엘리먼트열
13: 파스너 엘리먼트
14: 통상 엘리먼트
15: 정지 엘리먼트
15a: 기초부
15b: 헤드부
15c: 맞물림 헤드부
15d: 어깨부
15e: 융기부
17: 중심끈부
18: 보강 필름
30: 슬라이더
31: 슬라이더 동체
32: 손잡이
33: 상부 날개판
34: 하부 날개판
35: 안내 기둥
36: 플랜지부
37: 손잡이 부착 기둥
38: 엘리먼트 안내로
39: 테이프 홈
40: 개방 분리 끼움구
41: 삽입 핀
42: 고정 핀
43: 상자체
51: 정지 엘리먼트
51a: 기초부
51e: 융기부
52: 정지 엘리먼트
52a: 기초부
52e: 융기부
53: 정지 엘리먼트
53a: 기초부
53e: 융기부
54: 정지 엘리먼트
54e: 융기부
55: 정지 엘리먼트
55e: 융기부
56: 정지 엘리먼트
56e: 융기부
57: 정지 엘리먼트
57e: 융기부
58: 정지 엘리먼트
59: 정지 엘리먼트
59a: 기초부
59f: 핀부
59g: 융기부
60: 정지 엘리먼트
60a: 기초부
60e: 융기부
60f: 핀부
60g: 융기부
61: 정지 엘리먼트
61a: 기초부
61f: 핀부
62: 정지 엘리먼트
62a: 기초부
62h: 돌출부
63: 정지 엘리먼트
63a: 기초부
63e: 융기부
63i: 제1 경사면
63j: 제2 경사면
71: 슬라이더 동체
72: 로크부
72a: 탄성편부
72b: 볼록부
73: 상부 날개판
73a: 오목 홈부
74: 하부 날개판
75: 안내 기둥
76: 플랜지부
77: 손잡이 부착 기둥
78: 엘리먼트 안내로
79: 슬릿
81: 슬라이더 동체
82: 로크부
82a: 탄성편부
82b: 볼록부
83: 상부 날개판
83a: 오목 홈부
84: 하부 날개판
85: 안내 기둥
86: 플랜지부
87: 손잡이 부착 기둥
88: 엘리먼트 안내로
89: 구멍부
91: 슬라이더 동체
92: 로크부
92a: 탄성편부
92b: 볼록부
93: 상부 날개판
93a: 오목 홈부
94: 하부 날개판
95: 안내 기둥
96: 플랜지부
97: 손잡이 부착 기둥

Claims (20)

  1. 제1 및 제2 파스너 테이프(11)가 대향하는 테이프측 모서리부에 엘리먼트열(12)이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0)와, 상기 엘리먼트열(12)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30)를 갖고, 상기 엘리먼트열(12)은 상기 테이프측 모서리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의 파스너 엘리먼트(13)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더(30)는 상하 날개판(33, 34, 73, 74, 83, 84, 93, 94)과, 상기 상하 날개판(33, 34, 73, 74, 83, 84, 93, 94)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 기둥(35, 75, 85, 95)과, 상기 상하 날개판(33, 34, 73, 74, 83, 84, 93, 94) 중 적어도 한쪽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된 플랜지부(36, 76, 86, 96)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1, 2, 3, 4, 5)이며,
    상기 슬라이더(30)의 미끄럼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더(30)의 내면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켜서, 상기 슬라이더(30)를 로크 가능한 저항부를 구비한 적어도 1개의 정지 엘리먼트(15, 51-63)가 상기 엘리먼트열(12)에 국부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57, 60, 63)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를 상기 슬라이더(30)의 상기 상하 날개판(33, 34, 73, 74, 83, 84, 93, 94) 사이의 간격보다도 크게 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57, 60, 63)의 테이프 표리 방향을 향한 제1면 및 제2면 중 적어도 한쪽으로 융기한 적어도 1개의 융기부(15e, 51e-57e, 60e, 63e)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57, 60, 63)에 있어서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가 가장 큰 부분이, 상기 제1 또는 제2 파스너 테이프(11)의 중심끈부(17) 위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테이프(11)를 삽입 관통시키는 테이프 홈(39)이 배치되고,
    상기 정지 엘리먼트(59, 60, 61)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상기 테이프 홈(39)을 삽입 관통하는 핀부(59f, 60f, 61f)를 갖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핀부(59f, 60f, 61f)의 테이프 표리 방향의 치수를 상기 테이프 홈(39)의 홈 폭보다도 크게 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62)는 테이프 안쪽의 벽면에 테이프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2h)를 갖고,
    상기 저항부는, 상기 돌출부(62h)의 돌출 치수를, 좌우의 상기 엘리먼트열(12)의 맞물림 시에 있어서의 체인 폭이 상기 슬라이더(30)의 좌우 플랜지부(36, 76, 86, 96) 사이의 최소 간격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63) 및 상기 슬라이더(30) 중 적어도 한쪽이, 테이프 표리 방향 또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 또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만곡한 만곡면을 갖고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63)는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연속하여 상기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63)는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0)의 한쪽 또는 양쪽의 상기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스너 스트링거(10)에 개방 분리 끼움구(40)가 배치되고,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63)는 상기 개방 분리 끼움구(40)의 고정 핀(42)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상기 엘리먼트열(12)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63)는 상기 엘리먼트열(12)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상기 엘리먼트열(12) 전체의 길이 치수가 20% 이내인 영역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상하 날개판(73, 74, 83, 84, 93, 94) 중 적어도 한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정지 엘리먼트(15, 51-63)에 간섭하여 상기 슬라이더(30)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부(72, 82, 92)를 갖고,
    상기 로크부(72, 82, 92)는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72, 82, 92)는 상기 상부 날개판(73, 83, 93)의 주 내벽면 또는 상기 하부 날개판(74, 84, 94)의 주 내벽면보다도, 테이프 표리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72b, 82b, 92b)를 갖고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날개판(73, 74) 중 적어도 한쪽에, 후방 개구측 단부 또는 견부 개구측 단부로부터 절입된 한 쌍의 슬릿(79)이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72b)는 상기 슬릿(79) 사이에 끼워진 탄성편부(72a)의 선단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날개판(73, 74, 83, 84, 93, 94)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저항부와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 홈부(73a, 83a, 93a)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17. 상하 날개판(73, 74, 83, 84, 93, 94)과, 상기 상하 날개판(73, 74, 83, 84, 93, 94) 사이를 연결하는 안내 기둥(75, 85, 95)과, 상기 상하 날개판(73, 74, 83, 84, 93, 94) 중 적어도 한쪽의 좌우측 모서리부에 배치된 플랜지부(76, 86, 96)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이며,
    상기 상하 날개판(73, 74, 83, 84, 93, 94) 중 적어도 한쪽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파스너 엘리먼트(13)에 간섭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정지 상태를 보유 지지하는 로크부(72, 82, 92)를 갖고,
    상기 로크부(72, 82, 92)는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72, 82, 92)는 상기 상부 날개판(73, 83, 93)의 주 내벽면 또는 상기 하부 날개판(74, 84, 94)의 주 내벽면보다도, 상하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볼록부(72b, 82b, 92b)를 갖고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날개판(73, 74) 중 적어도 한쪽에, 후방 개구측 단부 또는 견부 개구측 단부로부터 절입된 한 쌍의 슬릿(79)이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72b)는 상기 슬릿(79) 사이에 끼워진 탄성편부(72a)의 선단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날개판(33, 34, 73, 74, 83, 84, 93, 94)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슬라이드 파스너의 파스너 엘리먼트(13)와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 홈부(73a, 83a, 93a)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20137024889A 2011-03-24 2011-03-24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 KR101558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7226 WO2012127688A1 (ja) 2011-03-24 2011-03-24 簡易ロック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スライ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451A true KR20130123451A (ko) 2013-11-12
KR101558070B1 KR101558070B1 (ko) 2015-10-06

Family

ID=4687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889A KR101558070B1 (ko) 2011-03-24 2011-03-24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80311B2 (ko)
EP (1) EP2689682B1 (ko)
JP (1) JP5575976B2 (ko)
KR (1) KR101558070B1 (ko)
CN (1) CN103442609B (ko)
ES (1) ES2627516T3 (ko)
TW (1) TWI457090B (ko)
WO (1) WO2012127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9774A (zh) * 2012-11-14 2014-05-21 睡眠科技有限公司 身体覆盖物和促使使用该覆盖物的方法以及搭扣带
JP2015123111A (ja) 2013-12-25 2015-07-0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DE112014006376B4 (de) * 2014-02-17 2021-02-04 Ykk Corporation Reißverschlusskette
CN104082913B (zh) * 2014-07-22 2016-03-30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弹性啮合拉链
US10085526B2 (en) 2016-06-01 2018-10-02 Boban Jose Locking slider assembly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170347760A1 (en) * 2016-06-01 2017-12-07 Boban Jose Locking slider assembly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D824286S1 (en) * 2017-05-17 2018-07-31 Ideal Fastener (Guangdong) Industries Ltd. Pair of zipper parts
JP6712623B2 (ja) * 2018-08-20 2020-06-24 松本ナ−ス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付き縫製品
CN109846150B (zh) * 2019-02-13 2021-06-18 淮南冠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横向闭合式拉链
JP7190573B2 (ja) * 2019-07-04 2022-12-15 Ykk株式会社 エレメント部材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付き製品
CN110731583B (zh) * 2019-11-05 2022-04-19 山东轻工职业学院 可穿戴服装配饰
JP2020114537A (ja) * 2020-04-30 2020-07-30 Ykk株式会社 調整具
WO2022183435A1 (zh) * 2021-03-04 2022-09-09 浙江华圣达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拉链齿及拉链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0336A (en) * 1931-06-02 1932-12-06 Frank E Nodine Locking means
US2077360A (en) * 1932-02-03 1937-04-13 Hookless Fastener Co Separable fastener
US2584916A (en) * 1945-11-15 1952-02-05 Talon Inc Method of making die-cast sliders
US2644995A (en) * 1949-10-21 1953-07-14 Louis H Morin Blunt nose double-acting scoop for separable fasteners
US2720015A (en) * 1951-08-09 1955-10-11 Louis H Morin Center ridge scoop of separable fastener stringers
US2901802A (en) * 1952-09-16 1959-09-01 Louis H Morin Plastic scoop with cast nubbin insert
US3082501A (en) * 1959-03-04 1963-03-26 Alexander M Brown Sealing separable fastener
US3114952A (en) * 1961-04-21 1963-12-24 Louis H Morin One-sided thin wall separable fastener stringer
US3086269A (en) * 1961-10-09 1963-04-23 Scovill Manufacturing Co Top stops for zipper fasteners
US4238871A (en) * 1978-05-19 1980-12-16 Textron, Inc. Slide fastener installation
DE3111138A1 (de) 1981-03-21 1982-09-30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polymerisation von chloropren
JPS6232416Y2 (ko) 1981-04-09 1987-08-19
JPS58134916A (ja) 1982-02-02 1983-08-11 ユニチカ株式会社 農業用不織シ−ト
JPS58134916U (ja) * 1982-03-05 1983-09-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
JPS58195509A (ja) 1982-05-10 1983-1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座席
AU545352B2 (en) * 1982-05-19 1985-07-11 Yoshida Kogyo K.K. Slide fastener stringer
JPS58195509U (ja) 1982-06-21 1983-12-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
AU541561B2 (en) * 1982-09-09 1985-01-10 Yoshida Kogyo K.K. Watertight slide fastener stringer
JP3453421B2 (ja) * 1994-01-19 2003-10-06 マイエルホファー フリードリッヒ ジッパーファスナーすべり具の製造方法および機械とジッパーファスナーすべり具
US5713110A (en) * 1996-10-01 1998-02-03 D. Swarovski & Co. Zipper closure with decorative stones
TW502584U (en) * 2001-05-30 2002-09-11 Chung Chwan Entpr Co Ltd Slider structure of hidden zipper
JP3947679B2 (ja) * 2002-03-25 2007-07-25 Ykk株式会社 検針器対応ステンレス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ボタン
US6647598B2 (en) * 2002-03-29 2003-11-18 Yu-Pau Lin Needle locking structure of a zipper slide
JP3643959B2 (ja) * 2002-07-11 2005-04-27 株式会社ジャパンスチール 発音付きファスナー
US6701585B2 (en) * 2002-07-31 2004-03-09 Chang-Wen Tsaur Stop device for upper stops and a pull of a nylon zipper
JP3935819B2 (ja) * 2002-10-29 2007-06-27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GB0506680D0 (en) 2005-04-01 2005-05-11 Ykk Europ Ltd A readily burstable slide fastener
JP4238229B2 (ja) * 2005-04-20 2009-03-18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上止
JP2006320642A (ja) * 2005-05-20 2006-11-30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チエン
JP4587949B2 (ja) * 2005-12-20 2010-11-24 Ykk株式会社 防水性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4610521B2 (ja) * 2006-05-30 2011-01-12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
US7464445B1 (en) * 2007-06-29 2008-12-16 Yu-Pau Lin Cap structure for zipper
JP5008518B2 (ja) * 2007-10-12 2012-08-22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4726876B2 (ja) 2007-10-15 2011-07-20 Ykk株式会社 逆開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7891061B2 (en) * 2007-10-24 2011-02-22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Zipper head
US8356391B2 (en) * 2008-05-01 2013-01-22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automatic stopper
US8695178B2 (en) * 2008-06-30 2014-04-15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EP2745725B1 (en) * 2008-12-17 2016-08-31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ES2648252T3 (es) * 2010-04-28 2017-12-29 Ykk Corporation Diente de doble cara metálico y cierre de cremallera
US8484811B2 (en) * 2010-11-16 2013-07-16 Under Armour, Inc. Zipper arrangement with wheeled slider
EP2692262B1 (en) * 2011-03-30 2016-10-19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openable/meshable strips
US20120284971A1 (en) * 2011-05-09 2012-11-15 Glenn Edward Roberts Zipper g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13548A1 (en) 2014-01-16
EP2689682B1 (en) 2017-03-08
EP2689682A1 (en) 2014-01-29
TWI457090B (zh) 2014-10-21
EP2689682A4 (en) 2015-11-18
TW201238515A (en) 2012-10-01
WO2012127688A1 (ja) 2012-09-27
JP5575976B2 (ja) 2014-08-20
US9480311B2 (en) 2016-11-01
ES2627516T3 (es) 2017-07-28
KR101558070B1 (ko) 2015-10-06
CN103442609A (zh) 2013-12-11
CN103442609B (zh) 2017-04-12
JPWO2012127688A1 (ja)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3451A (ko) 간이 로크 기구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 및 슬라이더
JP4762108B2 (ja) 逆開き開離嵌挿具付き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0761182B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5631502B2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JP5220127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5474073B2 (ja) 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6227015B2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JPWO2011039868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WO2011077543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の縫製方法及びファスナー被着製品の製造方法、並びに、ファスナー被着製品及びミシンフット
WO2016135873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TW201505577A (zh) 附有可分離式嵌插件之拉鏈及射出成形用模具
WO2011145183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ファスナー被着製品
JP7190573B2 (ja) エレメント部材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付き製品
JP3191897U (ja) スライドファスナ
TWI727758B (zh) 拉鏈
JPWO2011040167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