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524A - 플랫 회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랫 회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524A
KR20130120524A KR1020137022395A KR20137022395A KR20130120524A KR 20130120524 A KR20130120524 A KR 20130120524A KR 1020137022395 A KR1020137022395 A KR 1020137022395A KR 20137022395 A KR20137022395 A KR 20137022395A KR 20130120524 A KR20130120524 A KR 20130120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all
circumferential wall
flat circuit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노리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0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랫 회로용 커넥터(1)는 제1커넥터(3), 및 제1커넥터(3)와 정합되는 제2커넥터(4)를 포함하고, 제1커넥터(3)는 수지제의 블럭부(7)와 블럭부(7)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블럭부(7)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진 플랜지부(8)를 구비하고, 플랫 회로체(2)의 주요면에 평행한 플랜지부(8)의 표면에는 돌출벽이 설치되고, 제2커넥터는 블럭부(7)가 정합되는 제1둘레벽(10)과, 제1둘레벽(10)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플랜지부(8)가 정합되는 제2둘레벽(11)을 포함하고, 제2둘레벽(12)에는 돌출벽(14)이 정합되는 절결부(16)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플랫 회로용 커넥터{CONNECTOR FOR FLAT CIRCUIT}
본 발명은 플랫 회로체(flat circuit body)의 단부에 형성된 수지성형품을 상대방 커텍터 내에 정합하고, 플랫 회로체와 상대방 커넥터 내의 단자를 접속시키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종래의 플랫 회로용 커넥터의 일형태를 도시한다(특허문헌 1 참조).
플랫 회로용 커넥터(61)는 제1커넥터(플러그 커넥터)(62) 및 제2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63)를 구비한다. 제1커넥터(62)는 플랫 하네스(64)의 단부에 수지로 성형된 지지보강부재(부호 62로도 표시함)를 구비한다. 지지부(62a) 상에는 단자의 도체(64a)가 노출되어 있다. 보강부(62b)가 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도체(64a)를 보강하고, 보강부(62b)의 측면에 잠금돌기(65)가 설치되어 있다.
제2커넥터(63)는 수지제의 커넥터 하우징(66)의 내측 상부에 접속단자(67)를 구비하고, 저부에서 지지부(62a)의 테이퍼면을 지지하는 테이퍼면(66a)을 구비하고, 측벽에 잠금돌기(65)에 대응하는 잠금구멍을 구비한다.
도 17은 제1커넥터(62)에서 보강부(62b)의 둘레에 밀봉부재(68)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다. 커넥터들이 정합한 상태에서, 밀봉부(68)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텍터(63)의 내면에 부착되고, 지지부(62a)의 하면과 커넥터 하우징(66)의 저면(66b)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 플랫 회로용 커넥터 외에도,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도 플랫 회로용 넥터(미도시)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의 경우는 각 플랫 케이블 단자를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내에 수용하여 수지제의 리테이너로 각각 가압 및 고정하고, 리테이너의 후방측에 수지몰드부를 충전하여 방수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플랫 케이블의 단자에 위치한 전선에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그 접속부분을 수지몰드부로 덮어서 방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복수의 접속단자를 일차 몰드 수지로 연결하고, 접속단자와 플랫 케이블의 단자 커넥터 간의 접속부분을 일차 몰드수지의 위에 이차 몰드수지로 덮어서 방수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5-93269호(도 4, 도 7) 일본특허공개 제2008-176977호(도 2) 일본특허공개 제7-106016호(도 2) 일본특허공개 제6-310224호(도 1, 도 4)
그러나, 도 16에 도시한 상기 종래 플랫 회로용 커넥터(6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2 커넥터(63)에 대하여 제1커넥터(62)의 좌우 잠금돌기(65)의 상하방향에서 그 삽입범위 또는 상하방향의 삽입간극을 설정한다. 이 때문에, 제1커넥터(62)와 제2커넥터(63) 간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의 흔들림(wobble)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플랫 하네스(플랫 회로체)(64)에 대해 굴곡방향이나 비틀림 방향, 즉 상하좌우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또는 플랫 하네스(64)가 차량의 진동 등을 받는 경우에, 플랫 하네스(64)의 도체(64a)와 접속단자(67) 간의 전기적 접촉성이 악화되거나 심지어 상실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플랫 회로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 등에 있어서도 커넥터 상호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구성 (1) 내지 (5)에 의해 달성된다.
(1) 플랫 회로용 커넥터로서,
플랫 회로체의 단부에 수지성형된 제1커넥터; 및
상기 단부에 설치된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정합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수지제의 블럭부와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후방측에 일체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플랫 회로체의 주요면에 평행한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에는 돌출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제1둘레벽과,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둘레벽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둘레벽에는 상기 돌출벽이 정합되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상기 구성 (1)을 구비한 플랫 회로용 커넥터에 따르면, 제1커넥터의 블럭부가 제2커넥터의 제1둘레벽 내에 정합하고, 블럭부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후측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제1둘레벽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2둘레벽 내측에 정합하고, 플랜지부의 플랫 회로체의 주요면과 평행한 플랜지부의 면에 설치되는 돌출벽이 제2둘레벽의 절결부 내에 정합한다. 이에 따라서 2개 커넥터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상하방향은 플랫 회로체의 두께방향이고 좌우방향은 플랫 회로체의 폭방향이다.
(2)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상기 제2둘레벽에는 상기 플랫 회로체의 폭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 잠금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는 피잠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상기 구성 (2)를 구비한 플랫 회로용 커넥터에 따르면, 제2둘레벽의 잠금부가 외측으로 굴곡하여 플랜지부의 피잠금부와 결합하고, 플랜지부가 제2둘레벽에 간극없이 정합한다. 잠금부와 피잠금부의 결합으로 2개의 커넥터가 상호 잠겨서 결합된다.
(3) 상기 구성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와 돌출판부 사이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부는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전방측에서 상기 돌출벽의 선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둘레벽은 상기 홈부에 정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상기 구성 (3)을 구비한 플랫 회로용 커넥터에 따르면, 홈부에 제1둘레벽의 벽부분이 정합하고, 벽부분의 외면이 돌출판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벽부분의 내면이 블럭부의 외면에 접촉하여 2개의 커넥터 사이에서 상호 상하방향의 흔들림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4) 상기 구성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의 외주에는 탄성 밀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둘레벽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상기 구성 (4)을 구비한 플랫 회로용 커넥터에 따르면, 밀봉부재가 블럭부의 외주면과 제1둘레벽의 내면를 내외방향(밀봉부재의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블럭부와 제1둘레벽 간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밀봉부재는 블럭부와 제2둘레벽 사이의 공간을 방수하여 커넥터 내부에 대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구성 (3)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의 외주에는 탄성 밀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둘레벽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상기 구성 (5)을 구비한 플랫 회로용 커넥터에 따르면, 밀봉부재가 블럭부의 외주면과 제1둘레벽의 내면을 내외방향(밀봉부재의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블럭부와 제1둘레벽 간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밀봉부재는 블럭부와 제1둘레벽 사이의 공간을 방수하고, 그 결과 커넥터 내부에 대한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에 따르면, 플랫 회로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커넥터 상호 간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플랫 회로체의 도체와 제2커넥터의 단자의 마모를 방지하고 전기적 접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 (2)에 따르면, 잠금부가 피잠금부에 굴곡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제2둘레벽에 간극없이 정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특히 좌우방향에서 2개의 커넥터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 (3)에 따르면, 홈부에 제1둘레벽이 정합되기 때문에, 특히 2개 커넥터의 상하방향의 흔들림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구성 (1)의 효과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상기 종래의 방수 밀봉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경우와 동일하게 상하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밀봉부(68)의 부착성이 감소할 염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상기 구성 (4)에 따르면, 상기 구성 (1) 또는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커넥터 상호 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밀봉부재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방지하고, 커넥터의 방수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 자체의 탄성력으로 양 커넥터 간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방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플랫 회로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커넥터 상호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랫 회로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 등에 있어서도 방수성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 (5)에 따르면, 상기 구성 (3)에 의해 커넥터 상호간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때문에 밀봉부재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방지하고, 커넥터의 방수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재 자체의 탄성력으로 2개 커넥터 간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플랫 회로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커넥터 상호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플랫 회로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 등에 있어서도 방수 밀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랫 회로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회로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플랫 회로측 커넥터를 아래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플랫 회로측 커넥터의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2개의 커넥터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2개의 커넥터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변형 커넥터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변형 커넥터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랫 회로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플랫 회로용 커넥터를 아래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플랫 회로측 커넥터의 변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플랫 회로측 커넥터를 도시한 도 10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도시한 2개의 커넥터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에 도시한 2개의 커넥터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변형 커넥터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정합 상태에 있는 종래 플랫 회로용 커넥터의 일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종래 플랫 회로측 커넥터의 변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랫 회로용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회로용 커넥터(1)는 제1커넥터(3) 및 제2커넥터(4)를 포함하며, 제1커넥터(3)는 가요성 플랫 회로체(2)의 단부(2b)에 일체로 수지성형되고, 여기서 가요성 플랫 회로체(2)는 평면형(플랫형)으로서 FPC 또는 FFC로 형성된 메인 보드를 구비하며, 한편 제2커넥터(4)는 제1커넥터(3) 뿐만 아니라 플랫 회로체(2)의 단부(2b)를 수용하는 커넥터 정합실(5)을 구비하여 제1커넥터(3)와 정합한다. 제1커넥터(3)에서 그 절연성 수지성형부(6)의 후방측에는 전방측부와 후방측부를 갖춘 정합부(고정부)(9)가 위치한다. 정합부(9)는 전방측의 블럭부(7)와 후방측의 플랜지부(8)를 포함하고, 블럭부(7)와 플랜지부(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4)는 정합부(9)를 수용하는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갖춘 둘레벽부(12)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플랫 회로체(2)의 종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플랫 회로체(2)의 일 단부(2b) 측을 전방측, 그 반대의 타단부측을 후방측으로 정한다. 즉, 제1커넥터(3)와 제2커넥터(4)의 정합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제1커넥터(3)가 제2커넥터(4)에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방향으로 하고, 제1커넥터(3)가 제2커넥터(4)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후방방향으로 한다. 플랫 회로체(2)의 폭방향은 좌우방향으로 하고, 플랫 회로체(2)의 두께방향은 상하방향으로 정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하, 전후, 좌우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전후방향은 제1커넥터(3)와 제2커넥터(4)가 정합되는 방향과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2커넥터(4)의 "전후"는 제1커넥터(3)의 "전후"를 기준으로 한다.
제1커넥터(3)의 수지성형품(6)은 블럭부(7)의 전방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평판형의 절연성 접점 커버(13)를 포함한다. 플랜지부(8)는 플랫 회로체(2)의 메인보드와 평행한 상하면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긴 돌출벽(보강부)(14)를 구비하고 좌우측면에서 한 쌍의 잠금돌기(피잠금부)(15)를 구비한다.
제2커넥터(4)의 둘레벽부(12)는 대략 타원형이고 전방측에서 연속으로 형성된 제1둘레벽(10)과, 이 제1둘레벽(10)의 선단측(후방측)과 일체로 형성되어 플랜지부(8)와 정합하는 제1둘렉벽(10)을 포함한다. 제2둘레벽(11)의 외면은 제1둘레벽(10)의 외면과 동일면으로 연속하고, 제2둘레벽(11)의 내면은 제1둘레벽(10)의 선단면(후단측의 면)(10a)에 직교하며, 제2둘레벽(11)의 내측에 선단면(10a)의 일부(10b)가 위치한다.
제2둘레벽(11)에는 제1커넥터(3)의 돌출벽(14)과 정합하는 한쌍의 장방형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제2둘레벽(11)은 대략 원호형으로 얇게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절결부(16)는 제2둘레벽(11)의 좌우의 2개의 단면(11a) 사이에 형성되고, 3개의 부분으로 둘러싸여서 구성되며, 여기서 3개의 부분이란 제1둘레벽(10)의 상하의 선단면(10a)과 제2둘레벽(11)의 좌우 2개의 단부면(11a)을 말한다. 제2둘레벽(11) 각각은 중앙에 가요성 잠금 프레임(잠금부)(17)을 구비하고, 각 가요성 잠금 프레임(17)은 제2둘레벽(11)으로부터 상하의 슬릿(17a)에 의해 분리되고, 중앙에서 제1커넥터(3)의 잠금돌기(15)와 결합되는 장방형 잠금구멍(17b)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랜지부(8)의 상하면에 한 쌍의 돌출벽(14)이 형성되고, 제2둘레벽(11)에는 한 쌍의 돌출벽(14)과 정합하는 한 쌍의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플랜지부(8)의 상하면 중 적어도 한 쪽에 한 쌍의 돌출벽(14)이 형성되고, 제2둘레벽(11)에는 돌출벽(14)에 대응한 위치에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이 돌출벽(14)에 절결부(16)가 정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1둘레벽(10)의 내측에 커넥터 정합실(5)이 위치하고, 커넥터 정합실(5)의 수직 바닥벽(5a)에 복수의 단자수용실(18)이 개구되어 있다. 커넥터 정합실(5)의 후방개구(5b)의 상하에 절결부(16)가 위치하고, 후방개구(5b)의 좌우로 제2둘레벽(11)이 위치하고 있다. 둘레벽부(12) 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진 하우징 본체부(19)가 둘레벽부(12)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둘레벽부(12)와 하우징 본체부(19)로 절연수지제의 커넥터 하우징(20)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부(19)는 차량 패널 등에 고정되는 미끄럼 고정부(21)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의 블럭부(7)는 도 1에 도시된 제2커넥터(4)의 커넥터 정합실(5)[제1둘레벽(10)의 내면]의 형상에 일치하는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좌우측으로 반원형의 만곡면(7a)을 구비하며, 상하로 수평형 평탄면(7b)을 구비하고, 전방단부에 수직면(전단면)(7c)을 구비한다. 전단면(7c)의 높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접점 커버(13)가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이 접점 커버(13)는 수평하고 폭이 넓은 상판부(13a)와 좌우로 폭이 좁은 측판부(13b)를 구비한다.
후방단부에서의 플랜지부(8)는 블럭부(7) 보다 다소 크고 전후방향으로 블럭부(7) 보다 얇에 형성되며, 블럭부(7)의 외주면[만곡면(7a), 평탄면(7b)]에 직교하는 수직 전단면(8a)을 구비하고, 전단면(8a)은 상하의 돌출벽(14)의 전단면(14a)과 동일면에 연속되어 있다. 돌출벽(14)은 제2커넥터(4)의 제2둘레벽(11)의 두께와 동일두께를 갖추도록 형성되고, 좌우측으로 좁은 수직 측면(14b)을 구비한다.
플랜지부(8)의 좌우 양단부는 제2커넥터(4)의 잠금 프레임(17)의 내면과 접촉하기 위한 좁고 평탄한 수직 측면(8b)과, 이 측면(8b)의 전후방향 중앙에 잠금돌기(15)를 구비한다. 잠금돌기(15)는 전방측의 경사 안내면(15a)과 후방측의 대략 수직한 잠금면(15b)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랫 회로체(2)의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병렬 도체(22)가 제1커넥터(3)의 접점 커버(13)의 내면(배면)에 노출되어 있다. 도체(22)는 플랫 회로체(2)의 상하에 수평한 절연 시트(피막)(2a)로 덮여진 내부도체(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도체(22)는 내부도체와 동일할 수도 있고, 별개체의 도체(22)를 내부도체에 접속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플랫 회로체(2)의 노출 도체(22)가 평판형이고 압착단자 등으로된 강성을 가진 경우는 접점 커버(13)를 생략할 수도 있다. 플랫 회로체(2)는 FPC(Flexible Print Circuit)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 같은 기존의 것을 총칭한다.
도 4는 도 2의 보강부인 돌출벽(14) 대신에, 전방을 향하여 대략 L자형(후크형)으로 굴곡된 상항 한 쌍의 돌출벽(23)을 플랜지부(8)의 상하에 보강부로서 일체로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돌출벽(23)은 도 2의 돌출벽(14)을 상하방향으로 확대한 형상을 가진 수직하고 짧은 기립벽부(돌출벽)(24)과, 기립벽부(24)의 전단면(24a)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을 항하여 수평으로 돌출한 긴 돌출판부(25)를 구비한다. 돌출판부(25)의 내면(25a)은 블럭부(7) 상하의 외면(7b)에 대향하여 평행으로 위치하고, 내면(25a)과 외면(7b) 사이에는 홈부(26)가 형성되어 있다.
2개 커넥터(3', 4)의 정합시에, 도 1의 제2커넥터(4)의 절결부(16)에 기립벽부(24)가 정합하고, 돌출판부(25)의 내면(25a)이 제1둘레벽(10)의 외면(10c')에 접촉한다. 이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립벽부(24)의 전단면(24a)은 플랜지부(8)의 전단면(8a)과 동일면으로 연속하고 있다. 도 4의 제1커넥터(3')의 구성은 돌출벽(23) 외에는 도 2의 제1커넥터(3)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호 13은 접점 커버를 나타내고, 부후 2는 플랫 회로체, 부호 15는 잠금돌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커넥터(3,4)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는 플랫 회로체(2)의 단부(2b)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판두께 방향 및 폭방향)에 수지재를 충실하게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정합부(9)를 구비하고, 또한 접점 커버(13)의 하면에 단자로서 노출된 도체(22)를 구비한다. 정합부(9)에는 단부(2b)가 관통하고, 이 단부(2b)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노출 도체(22)를 구비한다.
제2커넥터(4)의 제1둘레벽(10)의 내측에서 그 커넥터 정합실(5)에는 전방측의 블럭부(7)가 거의 간극없이 정합하고, 후방측의 제2둘레벽(11)의 내측에 후방측의 플랜지부(8)가 거의 간극없이 정합하며, 플랜지부(8)의 상하의 돌출벽(14)이 제2둘레벽(11)들 사이의 절결부(16)에 간극 없이 정합한다. 블럭부(7)의 선단면(7c)은 커넥터 정합실(5)의 바닥벽(5a)에 접촉하고, 플랜지부(8)와 돌출벽(14)의 전단면(8a, 14a)은 제1둘레벽(10)의 선단면(10a)에 접촉한다. 상하의 돌출벽(14)의 상면 또는 하면은 제1둘레벽(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동일면에 위치한다. 돌출벽(14)의 후면과 플랜지부(8)의 후면은 제2둘레벽(11)의 선단면(후단측면)과 동일면에 위치한다.
정합부(고정부)(9)로서의 블럭부(7) 및 플랜지부(8)와 제2커넥터(4) 사이에는 흔들림이 없다. 돌출벽(보강부)(14)을 이용하여 플랫 회로체(2) 또는 정합부(9)가 외부로부터 받는 외력이 2개 커넥터(3, 4)의 단자(22, 27)의 접점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의 제2커넥터(4)의 잠금 프레임(17)은 좌우방향, 즉 플랫 회로체(2)의 폭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 제1커넥터(3)의 잠금돌기(15)의 삽입을 허용하므로, 제2둘레벽(11)과 플랜지부(8)가 간극 없이 정합한다. 그 결과, 좌우의 잠금 프레임(17)과 잠금돌기(15)가 정합할 때, 좌우방향, 즉 플랫 회로체(2)의 폭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즉 외력이 가해져도), 좌우측의 제2둘레벽(11)이 플랜지부(8)의 좌우 반원형의 외면부(8c)(도 2 참조)와 접촉하여 해당 외력을 차단하므로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 즉 플랫회로체(2)이 두께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플랜지부(8)의 좌우 반원형의 외면부(8c)가 제2둘레벽(11)의 내주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해당 외력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돌출벽(14)의 전단면(14a)과 플랜지부(8)의 전단면(8a)과 넓은 면적으로 제1둘레벽(10)의 선단면(10a)에 접촉하며, 이에 따라서, 상하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플랫 회로체(2)의 주요면과 평행한 플랜지부(8)의 상하면에 설치된 한 쌍의 돌출벽(14)의 좌우측 단면(14b)(도 2 참조)이 절결부(16)에서 제2둘레벽(11)의 단면(11a)에 접촉하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블럭부(7)의 전단면(7c)이 커넥터 정합실(5)의 바닥벽(5a)에 접촉하고, 돌출벽(14)의 전단면(14a)과 플랜지부(8)의 전단면(8a)이 제1둘레벽(10)의 선단면(10a)에 접촉하기 때문에 전후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각 방향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플랫 회로체(2)의 도체(22)와 상대방 단자(27)(도 6 참조) 간의 마모가 방지되고 전기적 접촉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커넥터(4)의 하우징(20)에는 커넥터 정합실(5)에 연결된 단자수용실(18)이 설치되어 있고, 단자수용실(18)에 단자(27)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단자(27)는 일측에 탄성접촉부(27a)를 포함하는 피메일 전기접촉부(부호 "27a"로도 표시됨)를 구비하고, 타측에 메일 전기접촉부(27b)를 구비하며, 메일 전기접촉부(27b)는 하우징(20)의 타측에서 커넥터 정합실(28) 내로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27)가 플랫 회로체(2)의 도체(22)에 대응하여 각각 배열되고, 단자(27)의 탄성접촉부(27a)가 노출도체(22)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타측의 전기접촉부(27b) 대신에 전선 접속부(미도시)를 사용하여 이 전선 접속부에 전선(미도시)을 압착 접속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타측의 커넥터 정합실(28)은 전선도출구멍으로 교체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제1커넥터(3')가 도 5 및 도 6의 제2커넥터(4)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1커넥터(3')의 상하 보강부로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돌출벽(23)의 기립벽부(24)가 제2커넥터(4)의 하우징(20)의 상하 절결부(16)에 정합한다. 그 결과, 기립벽부(24)의 전단면(24a)이 하우징(20)의 제1둘레벽(10)의 선단면(10a)에 접촉하고, 돌출벽(23)의 돌출판부(25)가 제1둘레벽(10)의 상하 벽부(10c)의 외측에 중첩하고, 돌출판부(25)의 내면(25a)이 제1둘레벽(10)의 외면(10c')에 접촉한다.
제1커넥터(3')의 블럭부(7)가 제2커넥터(4)의 제1둘레벽(10) 내측에서 그 커넥터 정합실(5)에 정합하고, 블럭부(7)의 상하 외면(10c')과 돌출판부(25)의 내면(25a)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26)에 제1둘레벽(10)의 상하 벽부(10c)가 정합한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둘레벽(10)의 상하 벽부(10c)를 홈부(26)에서 유지하기 때문에 2개 커넥터(3', 4) 사이에서 상하 방향의 흔들림이 더욱 확실히 방지된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회로용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랫 회로용 커넥터(31)는 제1커넥터(33)의 블럭부(7)에 0링, 원형 패킹과 같은 합성 고무제의 탄성 밀봉부재(32)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의 커넥터(1)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밀봉부재(32)는 블럭부(7)에 설치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색 성형 등에 의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블럭부(7)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3)는 FPC 또는 FFC와 같은 플랫 회로체(2)의 단부(2b)와 수지성형부(6')를 일체로 포함하며, 여기서 수지성형부(6')는 절연수지제의 블럭부(7)와 플랜지부(8)를 포함하는 정합부(9)와, 정합부(9)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접점 커버(13)를 구비한다. 정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형의 블럭부(7)의 외주면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둘레홈(34)이 설치되고, 둘레홈(34) 내에 밀봉부재(32)가 장착되어 있다.
밀봉부재 삽입용의 큰 전단 테이퍼면(7d)과 이 테이퍼면(7d)에 연결된 좁은 원형 외면(7e)을 구비하는 블록 전방부가 둘레홈(34)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평탄한 원형 외면(7f)을 구비하는 블록 후방부가 둘레홈(34)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원형외면(7e, 7f)은 도 2의 실시예의 외주면[만곡면(7a), 평탄면(7b)]에 상당한다. 후방단부에서의 플랜지부(8)는 상하측에 보강부로서의 돌출벽(14)를 구비하고, 좌우측에 잠금돌기(15)를 구비한다.
제2커넥터(4)는 도 1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고, 제1둘레벽(10)과 제2둘레벽(11)을 구비한 제2둘레벽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둘레벽부(11)는 절연수지제 하우징(20)의 후방부에서 제1둘레벽(10) 후방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제2둘레벽(11)의 상하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절결부(16)에는 돌출벽(14)이 정합된다. 제2둘레벽(11)의 좌우측면에는 잠금돌기(15)와 결합되는 가요성의 잠금 프레임(17)이 설치된다. 하우징(20)은 제1둘레벽(10) 내에 커넥터 정합실(5)(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전방부에 격벽(35)으로 부분적으로 구획된 커넥터 정합실(28)을 구비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3)의 플랜지부(8)의 상하방향 중앙으로부터 플랫 회로체(2)가 후방으로 도출된다. 플랫 회로체(2)는 플랜지부(8)와 블럭부(7)를 관통하고, 또한 플랜지부(8)와 블럭부(7)에 고정된다. 블럭부(7)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접점 커버(13)의 하면에는 플랫 회로체(2) 단부(2b)에 포함된 복수의 병렬 도체(22)가 노출되어 위치한다. 밀봉부재(32)는 블록부(7)의 상하 평탄부(7b)을 따르는 상하의 직진부(32b)와, 블록부(7)의 좌우 만곡부(7a)를 따르는 반원형의 만곡부(32a)를 구비한다. 플랫 회로체(2), 수지성형품(6'), 및 밀봉부재(32)로 플랫 회로 조립체가 구성된다.
도 11은 도 10의 돌출벽(14) 대신에 제1실시예의 도 4의 돌출벽(23)이 플랜지부(8)의 상하에 설치된 제1커넥터(33')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블럭부(7)의 둘레홈(34)에 장착된 밀봉부재(32)의 상하의 직진부(32b)의 상측과 하측에 돌출벽(23)의 상하 돌출판부(25)가 위치한다. 부호 13은 접점 커버, 부호 15는 잠금돌기, 부호 2는 플랫 회로체를 각각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의 제1커넥터(33)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밀봉부재(32)는 단면원형으로 형성되고, 밀봉부재(32)의 외주면(32c)은 블럭부(7)의 외면 보다도 높게 돌출하고, 플랜지부(8)와 그 상하의 돌출벽(14)은 밀봉부재(32) 보다도 높게 돌출되어 있다. 둘레홈(34)은 전후의 수직한 내면(34a)과 수평한 저면(34b)을 구비한다. 플랫 회로체(2)의 단부(2b)에 정합부(9)가 수지성형되고, 접점 커버(13)의 상판부(13a)에서 그 내면측의 홈 내에 단부(2b)의 노출도체(22)가 수용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도 9의 2개 커넥터(4, 33)가 정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33)의 상하의 돌출벽(14)이 제2커넥터(4)의 상하 절결부(16)에 정합하고, 돌출벽(14)의 전단면(14a)이 절결부(16)의 저면[둘레벽(10)의 선단면(10a)]에 접촉하고, 돌출벽(14)의 좌우의 단면(14b)이 절결부(16)의 좌우의 단면[제2의 둘레벽(11)의 단부)(11a)에 접촉하고, 좌우의 잠금돌기(15)가 좌우의 잠금 프레임(17)에 결합되어 있다. 그 결과, 2개 커넥터(4, 33)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제1커넥터(33)의 밀봉부재(32)의 외주면(32c)이 제2커넥터(4)의 제1둘레벽(10)의 내면(10d)에 탄성적으로 부착되고, 밀봉부재(32)의 내주면(32d)이 둘레홈(34)의 저면(내면)(34b)에 탄성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서, 절결부(16) 또는 제2둘레벽(11)으로부터 커넥터 정합실(5)에 대한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밀봉부재(32)는 둘레홈(34)의 저면(34b)과 제1둘레벽(10)의 내면(10d) 사이에서 지름방향으로 압축되어, 탄성반발력으로 블럭부(7)와 제1둘레벽(10) 사이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블럭부(7)는 커넥터 정합실(5)에서 정합하고, 블럭부(7)의 전단면(7c)이 커넥터 정합실(5)의 저벽(5a)에 접촉하고, 플랜지부(8)의 전단면(8a)과 돌출벽(14)의 전단면(14a)이 제1둘레벽(10)의 선단면(10a)에서 동일면으로 접촉한다. 제1커넥터(33)의 정합부(9)의 돌출벽(14)이 제2커넥터(4)의 절결부(16)에 정합되고, 플랜지부(8)가 제2둘레벽(11) 내에 정합하여 정합부(9)와 제2커넥터(4)의 하우징(20) 간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서, 밀봉부재(32)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경을 억제할 수 있어 밀봉부재(32)의 밀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 정합실(5)에 연통된 단자수용실(18) 내의 단자(27)는 플랫 회로체(2)의 노출도체(22)와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도 15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제1커넥터(33')를 도 14의 실시예와 같은 제2커넥터(4)에 정합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제1커넥터(33')의 돌출벽(23)의 기립벽부(돌출벽)(24)가 도 14의 실시예에서 그 돌출벽(14)과 같이 제2커넥터(4)의 절결부(16)에 정합하고, 돌출판부(25)가 제1둘레벽(10)의 외면(10c')에 접촉하고, 돌출판부(25)와 블럭부(7) 사이의 홈부(26)에 제1둘레벽(10)의 상하의 벽부(10c)가 정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2개 커넥터(4, 33') 간의 상하방향 흔들림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되고, 그 결과, 밀봉부재(32)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이 방지되어 밀봉부재(32)의 밀봉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설명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커넥터(4)에 단자(27)를 설치하였지만, 단자(27) 대신에 제1커넥터(3)에 플랫 회로체(2)를 설치하고, 플랫 회로체(2)의 단자 도체(22)에 탄성 접촉부(27a)를 구비한 단자(미도시)를 접속하여 설치한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1. 02. 25. 자 출원의 일본특허출원(출원 제2011-039686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회로용 커넥터는 플랫 회로체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있어서 커넥터들 상호 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1. 31. 플랫 회로용 커넥터
2. 플랫 회로체
2b. 단부
3, 3', 33'. 제1커넥터
4. 제2커넥터
7. 블럭부
8. 플랜지부
10. 제1둘레벽
11. 제2둘레벽
14. 돌출벽
15. 잠금돌기(피잠금부)
16. 절결부
17. 잠금 프레임(잠금부)
22. 도체
24. 기립벽부(돌출벽)
25. 돌출판부
26. 홈부
27. 단자
32. 밀봉부재

Claims (5)

  1. 플랫 회로용 커넥터로서:
    플랫 회로체의 단부에 수지성형된 제1커넥터; 및
    상기 단부에 설치된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정합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수지제의 블럭부와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블럭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며,
    상기 플랫 회로체의 주요면에 평행한 상기 플랜지부의 표면에는 돌출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제1둘레벽과,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둘레벽의 후방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둘레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둘레벽에는 상기 돌출벽이 정합되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둘레벽에는 상기 플랫 회로체의 폭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 잠금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는 피잠금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와 돌출판부 사이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부는 상기 블럭부가 정합되는 방향으로 전방측에서 상기 돌출벽의 선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둘레벽은 상기 홈부에 정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의 외주에는 탄성 밀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둘레벽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의 외주에는 탄성 밀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제1둘레벽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회로용 커넥터.
KR1020137022395A 2011-02-25 2012-02-15 플랫 회로용 커넥터 KR201301205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9686A JP5654382B2 (ja) 2011-02-25 2011-02-25 フラット回路用コネクタ
JPJP-P-2011-039686 2011-02-25
PCT/JP2012/053565 WO2012114961A1 (ja) 2011-02-25 2012-02-15 フラット回路用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524A true KR20130120524A (ko) 2013-11-04

Family

ID=4672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395A KR20130120524A (ko) 2011-02-25 2012-02-15 플랫 회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6627B2 (ko)
JP (1) JP5654382B2 (ko)
KR (1) KR20130120524A (ko)
CN (1) CN103392264B (ko)
DE (1) DE112012001736B4 (ko)
WO (1) WO2012114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15A (ko) * 2015-06-23 2017-01-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4650B2 (ja) * 2013-08-12 2016-11-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金具付導電シート
TWM493797U (zh) * 2014-05-30 2015-01-11 Advanced Connectek Inc 多合一插座連接器
JP5922271B1 (ja) * 2015-02-12 2016-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挿通部材
US9490571B1 (en) * 2015-06-11 2016-11-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wafers
JP6524961B2 (ja) * 2016-05-13 2019-06-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止水ケーブル
JP6415483B2 (ja) * 2016-06-23 2018-10-3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水入り対策構造
CN106856268B (zh) * 2016-12-12 2019-03-15 中国航天时代电子公司 一种用于扁平电缆的耐高电压连接器组件
JP6616798B2 (ja) * 2017-05-10 2019-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KR102614172B1 (ko) * 2018-03-19 2023-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결합구조
JP6984566B2 (ja) * 2018-08-24 2021-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195974B2 (ja) 2019-02-26 2022-12-26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4A (en) * 1849-01-09 Cast-iron gar-wheel
US3149897A (en) * 1961-08-29 1964-09-22 Hans G Martineck Printed cable connector
NL8902192A (nl) * 1989-08-30 1991-03-18 Du Pont Nederland Inbouwconnector voorzien van een vergrendelframe.
JPH0360778U (ko) * 1989-10-19 1991-06-14
JPH06310224A (ja) * 1993-04-27 1994-11-04 Mitsubishi Cable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H07106016A (ja) * 1993-10-01 1995-04-21 Mitsubishi Cable Ind Ltd コネクタ
JPH1116628A (ja) * 1997-06-24 1999-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水コネクタとその組立方法
JP2001155815A (ja) 1999-11-30 2001-06-08 Hirose Electric Co Ltd 平形ケーブルとこの平形ケーブルを用いた防水コネクタ構造
JP2001210410A (ja) * 2000-01-28 2001-08-0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の端末構造
JP4387055B2 (ja) * 2000-11-30 2009-12-16 株式会社フジクラ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87548B2 (ja) * 2001-02-16 2005-08-24 住友電装株式会社 可撓性平型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JP2005093269A (ja) * 2003-09-18 2005-04-07 Fujikura Ltd コネクタ
DE20319849U1 (de) * 2003-12-22 2005-05-0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lmington Steckverbindervorrichtung für mehradrige Flachbandkabel
KR200427992Y1 (ko) 2006-06-30 2006-10-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용커넥터
JP2008176977A (ja) * 2007-01-17 2008-07-31 Fujikura Ltd 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コネクタの防水構造
CN101919124B (zh) * 2008-01-15 2013-03-27 株式会社藤仓 柔性基板用防水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15A (ko) * 2015-06-23 2017-01-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92264B (zh) 2016-02-03
US20130330963A1 (en) 2013-12-12
CN103392264A (zh) 2013-11-13
US9136627B2 (en) 2015-09-15
WO2012114961A1 (ja) 2012-08-30
DE112012001736B4 (de) 2022-07-14
JP2012178246A (ja) 2012-09-13
DE112012001736T5 (de) 2014-02-13
JP5654382B2 (ja)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0524A (ko) 플랫 회로용 커넥터
US9118137B2 (en) Connector capable of restricting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female and male connectors
US9954304B2 (en) Packing attachment structure and packing
US7198496B2 (en) Lever type connector
WO2012023506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413845B1 (ko) 방수 커넥터
EP3382816A1 (en) Connector
CN103299121B (zh) 电线保持和防水结构以及led单元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EP3382815A2 (en) Electronic part and connector
CN104285343A (zh) 防水连接器
JPH11126636A (ja) 圧接コネクタのカバー固定構造
CN110073554B (zh) 连接器
US10899294B2 (en) Grommet assembly
US20200070751A1 (en) Grommet assembly
EP3346557B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JP5631105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0008803B2 (en) Connector for a camera with reduced dimensions in a fitting direction
US11646525B2 (en) Connector having seal member
KR20130029813A (ko) 평판형 케이블용 커넥터
US11631948B2 (en) Sealing member for a wire connected to a terminal within a housing
WO2023140133A1 (ja) コネクタ装置
JP2021197206A (ja) ゴム栓、ゴム栓付き導電路、及び、防水コネクタ
JP2007134197A (ja) コネクタ
JP202316819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21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2

Effective date: 2017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