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7703A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7703A
KR20130117703A KR1020130042345A KR20130042345A KR20130117703A KR 20130117703 A KR20130117703 A KR 20130117703A KR 1020130042345 A KR1020130042345 A KR 1020130042345A KR 20130042345 A KR20130042345 A KR 20130042345A KR 20130117703 A KR20130117703 A KR 20130117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eat cushion
join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899B1 (ko
Inventor
노조무 무네무라
히로노부 나카네
료 나가하라
타다노리 히사모토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54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Abstract

차량용 시트는, 차체 상부에 장착되는 차체측 부재와, 상기 차체측 부재의 윗쪽에 배치된 시트 쿠션 프레임이 시트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는 시트 쿠션과,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과 상기 차체측 부재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트 쿠션을 상기 차체측 부재에 대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터 기구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각 일단측이 상기 차체측 부재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프런트 링크와,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 프런트 링크의 각 타단측이 접합된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프터 기구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개2010-184582호 공보에 기재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 쿠션의 어퍼 프레임이 좌우의 측부재와, 좌우의 측부재를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한 제1, 제2 및 제3 연결 로드(rod)를 가진다. 이 어퍼 프레임과 좌우의 가이드 레일(로어 프레임)과의 사이에는, 좌우의 제1 링크(프런트 링크)와, 좌우의 제2 링크(리어 링크)가 설치된다.
제1 링크의 일단부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하는 어퍼 레일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의 타단부는, 제2 연결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2 링크의 일단부는, 어퍼 레일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링크의 타단부는, 제3 연결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결과, 어퍼 프레임, 제1, 제2 링크 및 어퍼 레일에 의해 4절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서, 어퍼 프레임이 좌우의 어퍼 레일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시트에는, 차량 충돌 시의 충격에 의해서 관성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으로부터의 과대한 하중이 시트 벨트 등을 개입시켜 입력된다. 그러한 과대한 하중은, 상기 제1, 제2 링크(링크부)에 입력되기 때문에, 링크부에서의 강성 및 강도의 확보가 요구된다. 한편, 차량용 시트에는, 차량의 연비 향상의 관점 등에서 경량화의 요청이 있어서, 강성 및 강도의 확보에 의한 질량의 증가를 회피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차량 충돌 시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차량용 시트는, 차체 상부에 장착되는 차체측 부재와, 상기 차체측 부재의 윗쪽에 배치된 시트 쿠션 프레임이 시트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는 시트 쿠션과,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과 상기 차체측 부재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트 쿠션을 상기 차체측 부재에 대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터 기구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각 일단측이 상기 차체측 부재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프런트 링크와,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 프런트 링크의 각 타단측이 접합된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제1 모양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차체 상부에 장착되는 차체측 부재와, 시트 쿠션 프레임에 설치된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과의 사이에, 리프터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 프런트 링크가 설치된다. 이러한 프런트 링크는, 각 일단측이 차체측 부재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타단측이 연결 부재에 접합된다. 이 연결 부재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좌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프터 기구에 의해서 시트 쿠션이 상하 이동될 때, 좌우 프런트 링크가 연결 부재와 일체로 시트 쿠션 프레임 및 차체측 부재에 대해 시트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된다.
즉, 좌우 프런트 링크가, 연결 부재를 회전축으로서 시트 쿠션 프레임에 대해서 회전된다. 연결 부재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연결 부재에 의해서 시트 쿠션 프레임을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 부재는, 좌우 프런트 링크의 각 타단부와 접합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연결 부재에 의해서 좌우 프런트 링크를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모양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좌우 프런트 링크의 회전축이 되는 한편, 시트 쿠션 프레임을 보강하는 연결 부재에 의해서, 좌우 프런트 링크를 보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충돌 시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면서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모양의 차량용 시트는, 제1 모양에 대해, 상기 연결 부재는, 좌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접합된 좌단측과, 우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접합된 우단측의 구조가 차이가 난다.
예를 들면, 차량 충돌 시의 충격에 의해서 관성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으로부터의 과대한 하중이 시트 벨트 등을 개입시켜 시트 쿠션에 입력되는 것으로, 연결 부재 및 좌우 프런트 링크에 좌측 또는 우측에의 과대한 하중이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제2 모양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연결 부재의 좌단측과 우단측에 가해지는 하중의 성질의 차이에 따라, 연결 부재의 좌단측과 우단측의 구조(단면 형상 등)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 프런트 링크를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모양의 차량용 시트는, 제2 모양에 대해,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 프런트 링크의 각 타단측이 접합된 연결 파이프와, 좌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연결 파이프와의 사이에 교차된 상태로 걸쳐져서 양자에 접합된 좌측 경사 보강 부재와, 우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연결 파이프와의 사이에 교차된 상태로 걸쳐져서 양자에 접합된 우측 경사 보강 부재를 갖고, 상기 좌측 경사 보강 부재의 형상과 상기 우측 경사 보강 부재의 형상이 차이가 난다.
제3 모양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연결 파이프와 좌측 경사 보강 부재와 우측 경사 보강 부재와의 3 부재가 접합되는 것에 의해서 연결 부재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3 부재가 처음부터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결 부재에서의 각부의 단면 형상 등을, 각부가 받는 하중의 성질의 차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4 모양의 차량용 시트는, 제3 모양에 대해, 상기 시트 쿠션은, 시트 좌우 방향이 차폭 방향을 따르는 한편 승무원이 차량 전방을 향해 착석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쿠션의 차폭 방향 안쪽으로 배치되어 상기 차체측 부재 또는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장착되어, 3점식 시트 벨트 장치의 시트 벨트에 장착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가 연결되는 버클 장치를 갖고, 상기 좌측 경사 보강 부재 및 상기 우측 경사 보강 부재 중 차폭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는 일측의 경사 보강 부재는, 해당 일측의 경사 보강 부재가 접합된 상기 프런트 링크 및 상기 연결 파이프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한다.
제4 모양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 쿠션에 착석한 승무원이 3점식 시트 벨트 장치의 텅 플레이트를 버클 장치에 연결하면, 승무원이 시트 벨트에 의해서 구속된다. 이 상태로 차량이 전면 충돌을 하면, 차량 전방측으로 관성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으로부터의 하중이 시트 벨트에 입력된다. 이 때, 시트 쿠션에는, 버클 장치로부터의 입력에 의해서, 차량 전방으로 끌려가는 힘이 작용하는 것과 동시에, 차폭 방향 외측(시트 벨트의 양단부가 계지된 차체 측부측)으로 끌려가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좌우 프런트 링크가 차폭 방향 외측으로 넘어지려고 한다. 이 경우, 좌측 경사 보강 부재 및 우측 경사 보강 부재 중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일측의 경사 보강 부재는, 차량폭 방향 외측의 프런트 링크와 연결 파이프와의 사이에 압축 하중을 받고, 차폭 방향 안쪽에 배치된 타측의 경사 보강 부재는, 차량폭 방향 안쪽의 프런트 링크와 연결 파이프와의 사이에 인장 하중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배치된 일측의 경사 보강 부재는, 해당 일측의 경사 보강 부재가 접합된 차폭 방향 외측의 프런트 링크 및 연결 파이프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압축 하중에 대한 상기 일측의 옆의 프런트 링크 및 연결 파이프의 강성 및 강도를 필요 최소한으로 확보하면서, 상기 일측의 경사 보강 부재가 압축 하중에 의해서 좌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용 시트의 한층 효율적인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5 모양의 차량용 시트는, 제4 모양에 대해, 상기 좌측 경사 보강 부재 및 상기 우측 경사 보강 부재 중 차폭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것외 다른 것은, 개방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5 모양의 차량용 시트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인장 하중을 받는 차폭 방향 안쪽의 경사 보강 부재가 개방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인장 하중에 대한 해당 경사 보강 부재의 강성 및 강도를 최소한으로 확보하는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는, 차량 충돌 시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차량용 시트의 구성 부재인 프런트 링크 구조체(좌우 프런트 링크 및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는, 차량의 전면 충돌 시에 상기 차량용 시트에 입력되는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며;
도 5는, 상기 프런트 링크 구조체에 생기는 굽힘 모멘트를 나타내는 굽힘 모멘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런트 링크 구조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시트(1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적당하게 기재된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LH, 화살표 RH, 화살표 OUT는, 차량의 앞방향(진행 방향), 윗방향, 좌방향, 우방향, 차폭 방향의 외측을 각각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하, 단지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히,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차폭 방향)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폭 방향 외측을 아우터측이라 칭하고, 차폭 방향 안쪽을 이너측이라 칭한다.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는, 차체측 부재로서의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12)과, 착석부를 이루는 시트 쿠션(14)과, 상기 시트 쿠션(14)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접속되고 백레스트(back rest)를 이루는 시트 백(16)과, 시트 쿠션(14)을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12)에 대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터 기구(18)와, 시트 벨트(20)용의 버클 장치(22)를 구비한다. 시트 백(16)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headrest)(23)(도 4 참조)가 장착된다.
또한, 이 차량용 시트(10)는, 승무원이 차량 전방을 향해 착석하도록 설치되고, 차량용 시트(10)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좌우 상하의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10)가 우핸들 차량의 운전석으로 되어 있지만, 조수석 또는 뒷좌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12)은, 로어 레일(lower rail)(24)과 어퍼 레일(upper rail)(26)을 가진다. 로어 레일(24)은, 그 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전단부 및 후단부가 설치 브랙킷(28)을 개입시켜 차체 상부(29)(도 4B참조)에 고정된다. 어퍼 레일(26)은, 그 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해서 배치되고, 로어 레일(24)에 대해서 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다. 단, 통상은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락(slide lock) 기구에 의해서 로어 레일(24)에 대한 어퍼 레일(26)의 슬라이드가 규제되고, 도시하지 않은 락 해제 레버가 조작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 락 기구에 의한 슬라이드 규제가 해제되게 된다.
좌측(여기에서는 이너측)으로 배치된 어퍼 레일(26)의 후부의 표면에는, 앵커 브랙킷(30)의 고정부(30A)가 체결 고정된다. 이 고정부(30A)의 이너측의 단부에서는 윗쪽을 향하여 세로벽부(30B)가 연장된다. 이 세로벽부(30B)의 상단부에는, 버클 장치(22)가 구비되는 스테이(32)의 하단부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된다. 이 스테이(32)의 상단부에는, 버클(34)가 고정되고 잇다. 이 버클(34)에는, 3점식 시트 벨트 장치의 시트 벨트(20)에 장착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36)가 연결되는 구성이 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벨트(웨빙)(20)은, 긴 방향 일단부가 차량용 시트(10)의 아우터측에서 차체 상부(29)에 계지되고, 긴 방향 타단측이 차체의 B필라(38)의 상단 측에 장착된 슬립 조인트(40)에 감을 수 있다. 시트 벨트(20)의 긴 방향 타단부는, B필라의 하단 측에 고정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42)의 권취축에 계지된다. 그리고, 시트 쿠션(14)에 착석한 승무원(P)이 텅 플레이트(36)를 버클(34)에 연결하면, 승무원(P)이 시트 벨트(20)에 의해서 구속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쿠션(14)는,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12)의 윗쪽에 배치된 시트 쿠션 프레임(46)을 구비한다. 시트 쿠션 프레임(46)은, 좌우 사이드 프레임(48)과, 리어 프레임(50)과, 프런트 프레임(52)(도 2에서는 도시 생략)을 포함해 구성된다.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은, 예를 들면, 금속판 재료에 의해서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고, 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향하고, 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향하는 것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고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리어 프레임(50)은,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파이프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축선 방향(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후단부 사이에 걸쳐진다. 리어 프레임(50)의 긴 방향 양단부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후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에 삽통됨과 동시에, 코킹 등의 수단에 의해서 빠짐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후단부가 리어 프레임(50)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고, 리어 프레임(50)은,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후단부에는, 시트 백(16)의 골격 부재인 시트 백 프레임(54)의 하단부가 주지의 리클라이닝 기구를 개입시켜 연결된다. 또한, 시트 쿠션 프레임(46) 및 시트 백 프레임(54)에는, 시트 표피에 의해서 덮인 쿠션 패드가 장착된다.
프런트 프레임(52)은, 예를 들면, 금속판 재료에 의해서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고, 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 상태로,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 사이에 걸쳐진다. 이 프런트 프레임(52)의 긴 방향 양단부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에 접합되고, 해당 프런트 프레임(52)에 의해서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연결된다.
프런트 프레임(52)의 하부에는, 연결 파이프(링크 파이프)(56)가 설치된다. 연결 연결 파이프(56)는, 시트 쿠션 프레임(46)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리프터 기구(18)의 일부를 구성한다. 연결 파이프(56)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파이프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축선 방향(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 사이에 걸쳐진다. 연결 파이프(56)의 긴 방향 양단부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에 삽통됨과 동시에, 코킹 등의 수단에 의해서 빠짐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가 연결 파이프(56)에 의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고, 연결 파이프(56)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이 연결 파이프(56)는, 소위 서브마린(submarine)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의 승무원 엉덩이 부분의 이동 궤적상에 배치되어서, 서브마린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한편, 리프터 기구(1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와 좌우의 어퍼 레일(26)의 전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프런트 링크(58)와,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후단부와 좌우의 어퍼 레일(26)의 후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리어 링크(6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우측의 리어 링크(60)만이 도시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프런트 링크(58)는, 예를 들면, 금속판 재료에 의해서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프런트 링크(58)는, 폭 방향 양단부가 시트폭 방향 안쪽으로 굴곡되고, 한 쌍의 보강 플랜지부(58A)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각 프런트 링크(58)의 휨강성이 향상된다.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일단부(전단부:하단부)에는, 원형의 관통공(59)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일단부는, 관통공(59)에 삽통된 연결축(62)을 개입시키고, 좌우의 어퍼 레일(26)의 전단부에 고정된 브랙킷(64)에 연결된다. 연결축(62)은 축선 방향이 좌우 방향을 향하고, 좌우 프런트 링크(58)는, 좌우의 어퍼 레일(26)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타단부(후단부:상단부)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의 시트폭 방향 안쪽 근방으로 연장된다.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타단부에는, 각각 원형의 관통공(66)(도 3 참조)이 형성된다. 각 관통공(66)에는, 전술한 연결 파이프(56)의 긴 방향 단부가 삽통되고,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서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타단부와 연결 파이프(56)가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 프런트 링크(58)은, 연결 파이프(56)을 개입시켜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에 대해서 연결 파이프(56)와 일체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좌우 프런트 링크(58)와 좌우 사이드 프레임(48)과의 사이에는, 수지제의 칼라(68)(도 2 참조)가 개재되고 있다.
좌우의 리어 링크(60)는, 예를 들면, 금속판 재료에 의해서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리어 링크(60)의 긴 방향 일단부(전단부:하단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는 연결축(70)을 개입시키고, 어퍼 레일(26)의 후단 측에 고정된 브랙킷(72)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리어 링크(60)는, 좌우의 어퍼 레일(26)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좌우의 리어 링크(60)의 긴 방향 타단부(후단부:상단부)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후단부의 시트폭 방향 안쪽 근방으로 연장된다. 좌우의 리어 링크(60)의 긴 방향 타단부에는, 각각 원형의 관통공(74)(도 2 참조)이 형성된다. 각 관통공(74)에는, 전술한 리어 프레임(50)의 긴 방향 단부가 삽통되고,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서 좌우의 리어 링크(60)의 긴 방향 타단부와 리어 프레임(50)이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리어 링크(60)는, 리어 프레임(50)을 개입시켜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에 대해서 리어 프레임(50)과 일체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프런트 링크(58), 리어 링크(60), 사이드 프레임(48) 및 어퍼 레일(26)에 의해서 4절 링크 기구가 구성되고, 시트 쿠션 프레임(46)이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12)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리어 링크(60)의 긴 방향 타단측에는, 섹터 기어부(60A)가 설치되고, 이 섹터 기어부(60A)에는, 피니언(76)이 서로 맞물린다. 이 피니언(76)은,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48)에서의 아우터측의 측면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펌프식 리프터 장치의 출력 축으로 장착된다. 이 펌프식 리프터 장치의 입력 축으로는, 리프터 레버(78)가 장착되고, 이 리프터 레버(78)가 상하로 조작되는 것으로, 피니언(76)이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76)이 회전하면, 해당 피니언(76)이 섹터 기어부(60A)에 서로 맞물린 우측의 리어 링크(60)가 리어 프레임(50) 및 도시하지 않은 좌측의 리어 링크(60)와 일체로 회전됨과 동시에, 좌우 프런트 링크(58)가 연결 파이프(56)와 일체로 회전되고, 시트 쿠션 프레임(46)이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12)에 대해서 상하 이동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우터측(여기에서는 우측)의 프런트 링크(58)와 연결 파이프(56)와의 사이에는, 우측 경사 보강 부재(외측 경사 보강 부재)로서의 폐단면 브랙킷(80)이 교차된 상태로 걸쳐진다. 또한, 이너측(여기에서는 좌측)의 프런트 링크(58)와 연결 파이프(56)와의 사이에는, 좌측 경사 보강 부재(안쪽 경사 보강 부재)로서의 개단면 브랙킷(82)이 교차된 상태로 걸쳐진다. 폐단면 브랙킷(80)은, 아우터측의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서 접합되고, 개단면 브랙킷(82)은, 이너측의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서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트러스(truss) 구조를 이루는 프런트 링크 구조체(53)가 일체로 형성된다.
폐단면 브랙킷(80)과 개단면 브랙킷(82)은, 연결 파이프(56)와 함께 연결 부재(55)를 구성하고, 연결 부재(55)에 의해서 좌우 프런트 링크(58)가 시트폭 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연결 부재(55)에서는, 개단면 브랙킷(82)과 폐단면 브랙킷(80)과의 형상이 다르고, 좌단측과 우단측이 형상이 차이가 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단면 브랙킷(80)은, 예를 들면, 금속판 재료가 단면이 약 U자 모양으로 휨 가공되어 형성된 것으로, 아우터측의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중간부와, 연결 파이프(56)의 긴 방향 중간부와의 사이에 비스듬하게 걸쳐지는 저벽부(80A)와, 저벽부(80A)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연결 파이프(56)측으로 연장된 전벽부(80B) 및 후벽부(80C)에 의해서 구성된다. 전벽부(80B) 및 후벽부(80C)는, 약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파이프(56)측의 단부가 연결 파이프(56)의 외주면에 접합됨과 동시에, 아우터측의 단부가 아우터측 프런트 링크(58)의 차폭 방향 내측면에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폐단면 브랙킷(80)은, 아우터측의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개단면 브랙킷(82)은, 예를 들면, 금속판 재료가 단면이 약 U자 모양으로 휨 가공되어 형성된 것으로, 이너측의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중간부와, 연결 파이프(56)의 긴 방향 중간부와의 사이에 비스듬하게 설치된 저벽부(82A)와, 저벽부(82A)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연결 파이프(56)측으로 연장된 전벽부(82B) 및 후벽부(82C)에 의해서 구성된다. 단, 전벽부(82B) 및 후벽부(82C)는, 길고 약 도랑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파이프(56)측의 단부에서의 아우터측의 단부만이 연결 파이프(56)에 접합된다. 전벽부(82A) 및 후벽부(82B)는, 이너측으로 향함에 따라 연결 파이프(56)로부터 이간하도록 형성되고, 이너측의 단부가 이너측의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중앙부에서의 차폭 방향 외측면에 접합된다. 이 때문에, 개단면 브랙킷(82)은, 이너측의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지 않고, 연결 파이프(56)측이 개방된다.
(작용 및 효과)
다음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리프터 레버(78)가 상하로 조작되면, 피니언(76)의 회전이 섹터 기어부(60A)를 개입시켜 아우터측의 리어 링크(60)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아우터측의 리어 링크(60)가 리어 프레임(50) 및 도시하지 않은 이너측의 리어 링크(60)와 일체로 회전됨과 동시에, 좌우 프런트 링크(58)가 연결 부재(55)와 일체로 회전되어 시트 쿠션 프레임(46)이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12)에 대해서 상하 이동된다.
이 경우, 좌우 프런트 링크(58)는, 연결 부재(55)의 연결 파이프(56)를 회전축으로서 시트 쿠션 프레임(46)에 대해서 회전된다. 연결 파이프(56)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48)의 전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연결 파이프(56)에 의해서 시트 쿠션 프레임(46)을 보강할 수 있다. 게다가, 연결 파이프(56)는,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각 긴 방향 타단부와 접합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연결 파이프(56)에 의해서 좌우 프런트 링크(58)를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회전축이 되는 한편 시트 쿠션 프레임(46)을 보강하는 연결 파이프(56)에 의해서, 프런트 링크(58)를 보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 충돌 시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면서 차량용 시트(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55)는, 이너측의 프런트 링크(58)와 접합된 좌단측과, 아우터측의 프런트 링크(58)와 접합된 우단측으로 구조가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차량 충돌 시의 충격에 의해서 관성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P)으로부터의 과대한 하중이 시트 벨트(20) 등을 개입시켜 시트 쿠션(14)에 입력되는 것으로, 연결 부재(55) 및 좌우 프런트 링크(58)에 아우터측(여기에서는 좌측) 또는 이너측(여기에서는 우측)으로의 과대한 하중이 입력되는 경우에서도, 연결 부재(55)의 좌단측과 우단측과에 가해지는 하중의 성질의 차이에 따라, 연결 부재(55)의 좌단측과 우단측과의 구조(단면 형상 등)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 프런트 링크(58)를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차량용 시트(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무원(P)이 시트 벨트(20)에 의해서 구속된 상태로 차량이 전면 충돌을 하면, 차량 전방측으로 관성 이동하려고 하는 승무원(P)으로부터의 하중이 시트 벨트(20)에 입력된다. 이 때, 시트 쿠션(14)에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 장치(22)로부터의 입력(F)에 의해, 차량 전방으로 끌려가는 힘(F1)이 작용하는 것과 동시에, 강체인 B필라(38)측으로 끌어 당겨지는 힘(F2)(아우터측으로의 하중)이 작용한다. 그 결과, 좌우 프런트 링크(58)가 아우터측으로 넘어지려고 한다. 이 경우, 폐단면 브랙킷(80)은, 우측의 프런트 링크(58)와 연결 파이프(56)와의 사이에 압축 하중(FC)을 받고, 개단면 브랙킷(82)은, 좌측의 프런트 링크(58)와 연결 파이프(56)와의 사이에 인장 하중(FP)을 받는다(도 5에 나타낸 굽힘 모멘트 그래프(Bending moment diagram) 참조). 이러한 하중의 성질의 차이에 따라, 폐단면 브랙킷(80) 및 개단면 브랙킷(82)의 형상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써, 폐단면 브랙킷(80), 개단면 브랙킷(82),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의 강성 및 강도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우터측에서 압축 하중(FC)을 받는 폐단면 브랙킷(80)이, 아우터측의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압축 하중(FC)에 대한 아우터측의 폐단면 브랙킷(80),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의 강성 및 강도를 필요 최소한으로 확보하면서, 폐단면 브랙킷(80)이 압축 하중에 의해서 좌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차량용 시트(10)의 아우터측을 효율적으로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장 하중(FP) 밖에 받지 않는 이너측의 개단면 브랙킷(82)이 개방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장 하중(FP)에 대한 최소한의 단면(강성 및 강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시트(10)의 이너측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차량용 시트(10)의 전체 구성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비교예와 같이,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긴 방향 중간부를 파이프 모양의 인 포스(90)에 의해 연결하면, 좌우 프런트 링크(58)의 횡방향 넘어짐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비교에에서는, 인 포스(90)가 그 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질량이 증가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유의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비교예보다 50% 정도의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파이프(56)와 폐단면 브랙킷(80)과 개단면 브랙킷(82)과의 3 부재가 접합되는 것에 의해서 연결 부재(55)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상기 3 부재가 처음부터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결 부재에서의 각부의 단면 형상 등을, 각부가 받는 하중의 차이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너측에 배치된 개단면 브랙킷(82)(좌측 경사 보강 부재)이 개방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너측에 배치되는 경사 보강 부재의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너측에 배치되는 경사 보강 부재가, 와이어에 의해서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너측에서는 교차된 부재가 생략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아우터측에 배치된 폐단면 브랙킷(80)(우측 경사 보강 부재)이, 아우터측의 프런트 링크(58) 및 연결 파이프(56)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아우터측에 배치되는 경사 보강 부재의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우터측에 배치되는 경사 보강 부재가, 파이프재나 평판재에 의해서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파이프(56)와 폐단면 브랙킷(80)(우측 경사 보강 부재)과 개단면 브랙킷(82)(좌측 경사 보강 부재)에 의해서 연결 부재(55)가 형성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 부재의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의 우단 측에 일체로 설치된 우측 보강부가 우측의 프런트 링크에 접합됨과 동시에, 연결 부재의 좌단 측에 일체로 설치된 좌측 보강부가 좌측의 프런트 링크에 접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 파이프에 따라 연결 부재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의 좌단측과 우단측의 구조가 다른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 부재의 좌단측과 우단측이 동일한 구조로 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42)가 B필라(38)의 하단 측에 고정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차량용 시트의 시트 가방에 설치된 구성(소위, 인티그럴 시트(integral seat))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우핸들 차량의 운전석에 대해서 본 발명이 적용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우핸들 차량의 조수석이나 좌핸들 차량의 운전석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좌우의 구성이 상기 실시 형태와는 거꾸로 된다.
그 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1. 차체 상부에 장착되는 차체측 부재와,
    상기 차체측 부재의 윗쪽에 배치된 시트 쿠션 프레임이 시트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을 가지는 시트 쿠션과,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과 상기 차체측 부재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시트 쿠션을 상기 차체측 부재에 대해서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터 기구의 일부를 구성 함과 동시에, 각 일단측이 상기 차체측 부재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프런트 링크와,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에 따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 프런트 링크의 각 타단측이 접합된 연결 부재,
    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좌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접합된 좌단측과, 우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접합된 우단측이 구조가 차이가 나는 차량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의 전단측을 시트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좌우 사이드 프레임에 대해서 시트 좌우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 프런트 링크의 각 타단측이 접합된 연결 파이프와,
    좌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연결 파이프와의 사이에 교차된 상태로 걸쳐져서 양자에 접합된 좌측 경사 보강 부재와,
    우측의 상기 프런트 링크와 상기 연결 파이프와의 사이에 교차된 상태로 걸쳐져서 양자에 접합된 우측 경사 보강 부재,
    를 갖고,
    상기 좌측 경사 보강 부재의 형상과 상기 우측 경사 보강 부재의 형상이 차이가 나는 차량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은, 시트 좌우 방향이 차폭 방향을 따르고, 승무원이 차량 전방을 향해 착석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쿠션의 차폭 방향 안쪽으로 배치되어 상기 차체측 부재 또는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에 장착되어, 3점식 시트 벨트 장치의 시트 벨트에 장착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가 연결되는 버클 장치를 갖고,
    상기 좌측 경사 보강 부재 및 상기 우측 경사 보강 부재 중 차폭 방향 외측으로 배치된 일측 경사 보강 부재는, 상기 프런트 링크 및 상기 연결 파이프와 함께 폐단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경사 보강 부재 및 상기 우측 경사 보강 부재 중 차폭 방향 안쪽으로 배치되는 타측의 경사 보강 부재는, 개방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차량용 시트.
KR1020130042345A 2012-04-18 2013-04-17 차량용 시트 KR102017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94982 2012-04-18
JP2012094982A JP5921307B2 (ja) 2012-04-18 2012-04-18 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703A true KR20130117703A (ko) 2013-10-28
KR102017899B1 KR102017899B1 (ko) 2019-09-03

Family

ID=4814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345A KR102017899B1 (ko) 2012-04-18 2013-04-17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7993B2 (ko)
EP (1) EP2653342A3 (ko)
JP (1) JP5921307B2 (ko)
KR (1) KR102017899B1 (ko)
CN (1) CN1033732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516A (ko) 2017-09-05 2019-03-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컨텐츠 북마킹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4936A1 (ja) * 2012-08-09 2014-02-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4321222B (zh) * 2012-08-14 2017-10-31 株式会社三角工具加工 交通工具用座椅
US20150231993A1 (en) * 2012-09-21 2015-08-20 Ts Tech Co., Ltd. Vehicle seat
CN104648194B (zh) * 2013-11-25 2017-10-31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座椅的防潜滑装置
EP3122592B1 (en) 2014-03-25 2020-07-15 CVG Management Corporation Seat tilt control mechanism
JP6189249B2 (ja) 2014-04-25 2017-08-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165670B2 (ja) * 2014-04-25 2017-07-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フレームのバネ部材取付け構造
CN104442472B (zh) * 2014-12-04 2016-08-24 重庆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安全型汽车座椅高调四连杆机构
WO2016160106A1 (en) * 2015-03-31 2016-10-06 Zodiac Seats Us Llc Energy absorbing brackets for passenger seats
JP6559496B2 (ja) * 2015-07-31 2019-08-1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フレーム
JP6865591B2 (ja) * 2017-01-18 2021-04-28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EP3674135B1 (en) * 2018-11-27 2021-06-09 Mazda Motor Corporation Seat structure for vehicle, and vehicle
KR20220014920A (ko) 2020-07-29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지지 조립체
JP2023003137A (ja) * 2021-06-23 2023-01-11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986A (ja) * 2005-01-12 2006-07-27 Tachi S Co Ltd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JP2008230428A (ja) * 2007-03-20 2008-10-0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6675B1 (fr) * 2000-03-22 2002-06-0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mecanisme de rehausse, et dispositif de commande pour un tel siege
FR2808483B1 (fr) * 2000-05-05 2003-03-07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reglage motorise pour siege de vehicule
JP5055766B2 (ja) * 2005-12-27 2012-10-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US7413252B2 (en) * 2006-03-20 2008-08-19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Motor vehicle seat lift assembly
JP2010184582A (ja) * 2009-02-12 2010-08-26 Shigeru Co Ltd 車両用シート
JP5218506B2 (ja) * 2010-09-17 2013-06-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フ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2986A (ja) * 2005-01-12 2006-07-27 Tachi S Co Ltd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JP2008230428A (ja) * 2007-03-20 2008-10-0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516A (ko) 2017-09-05 2019-03-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컨텐츠 북마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20784A (ja) 2013-10-28
EP2653342A3 (en) 2015-08-19
JP5921307B2 (ja) 2016-05-24
KR102017899B1 (ko) 2019-09-03
US9027993B2 (en) 2015-05-12
CN103373256A (zh) 2013-10-30
CN103373256B (zh) 2017-05-03
US20130278030A1 (en) 2013-10-24
EP2653342A2 (en)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899B1 (ko) 차량용 시트
US9481278B2 (en) Frame structures for vehicle seats
JP5585530B2 (ja) 車両の車体下部構造
JP453943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6016816A (ja) 車両用シート
JP2020125010A (ja) バックル装置、バックル装置のシート搭載構造、及び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CN107031739B (zh) 车身底板结构
CN104859719B (zh) 汽车的车身构造
US20190092201A1 (en) Vehicle seat
JP6856150B1 (ja) 車両用乗員拘束構造
JP2019059285A (ja) 乗物用シート
WO2016181677A1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シート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4222235B2 (ja) シート
JP628154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4396566B2 (ja) 車両用シート支持部の構造
JP6281546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1592779B1 (ko) 자동차의 시트프레임 조립체
JP7064806B2 (ja) 車両の車体後部構造
JP7235413B2 (ja) ラッププリテンショナ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9010905A (ja) 車両用シート
JP2023097023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JP2023097024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JP2023097017A (ja)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JP5041288B2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両のシートベルト配索構造
JP2011084235A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