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357A -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357A
KR20130116357A KR1020137022965A KR20137022965A KR20130116357A KR 20130116357 A KR20130116357 A KR 20130116357A KR 1020137022965 A KR1020137022965 A KR 1020137022965A KR 20137022965 A KR20137022965 A KR 20137022965A KR 20130116357 A KR20130116357 A KR 2013011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support shaft
shaft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704B1 (ko
Inventor
오사무 오시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6Joints and connections with adjunctive protector, broken parts retainer, repair, 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 감합 지그(11)는 지그 바디(13); 지그 바디(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단(21)과 숫 커넥터 하우징(33)에 형성된 제1결합부(59)의 제1피계지부(63)에 계지될 수 있는 계지 돌기(65)를 갖는 제1지지 샤프트(15); 및 지그 바디(1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단(25)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에 형성된 제2결합부(69)의 제2눌림부(71)에 접촉가능한 누름부(73)를 갖는 제2지지 샤프트(1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CONNECTOR JOINING JIG AN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감합이 적은 삽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의 감합을 적은 삽입력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저삽입력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의 저삽입력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삽입력 커넥터(501)는 숫(male) 커넥터(503), 암(female) 커넥터(505) 및 회전 샤프트(507)를 포함한다. 숫 커넥터(503)는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도록 제공된 샤프트 홀(509)의 아울렛으로부터 커넥터 감합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좌우 플렉시블 아암(flexible arms, 513) 및 플렉시블 아암(513)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공되는 한 쌍의 앞뒤 빠짐 방지 돌기(515)를 갖는다. 플렉시블 아암(513)은 그 중간 부분에 샤프트 홀(509)의 내부 직경보다 좁은 대향폭을 한정하기 위해 형성된 잘록한 부분(narrowed portion, 533)을 갖고, 그 말단부에 각각 안쪽 방향의 계지 클로(catching claw, 511)가 제공된다. 암 커넥터(505)에는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플렉시블 아암(513)의 계지 클로(511)를 위한 주 결합 홀(519) 및 임시 결합 홀(517)이 성공적으로 제공되고, 또한 샤프트 홀(509)의 연장 선 상에서 핀 형상의 스크류 결합 돌기(521)가 제공된다. 회전 샤프트(507)는 핀 형상의 스크류 결합 돌기(521)를 위해, 소직경부(525)의 말단에 제공된 스크류 나사부(523)를 갖는다. 또한, 회전 샤프트(507)는 소직경부(525)에 연속하도록 형성된 환형부(527) 및 환형 그루브(529)를 갖는다. 환형부(527)는 빠짐 방지 돌기(525)를 위한 삽입 그루브(531)를 갖는다. 환형 그루브(529)는 삽입 그루브(531)와 통신하고 빠짐 방지 돌기(515)와 잘록한 부분(533)이 성공적으로 이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삽입력 커넥터(501)는, 숫 커넥터(503)와 암 커넥터(505)가 서로 입시로 결합된 후에, 회전 샤프트(507)의 샤프트 말단이 숫 커넥터(503)의 샤프트 홀(509)을 통해 삽입되고 빠짐 방지 돌기(515)는 삽입 그루브(531)를 통해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플랙시블 아암(513)의 잘록한 부분(533)은 환형 그루브(529) 내로 결합된다. 플렉시블 아암(513)의 계지 클로(511)은 암 커넥터(505)의 임시 결합 홀(507) 내로 결합되어, 커넥터들이 서로 자리를 잡게 된다.
이어서, 회전 샤프트(507)의 샤프트 말단이 가압되어, 플렉시블 아암(513)의 잘록한 부분(533)이 바깥쪽으로 눌려 뻗어 나가, 계지 클로(511)의 임시적인 결합이 해제된다. 숫 커넥터(503)의 빠짐 방지 돌기(515)는 그 축 방향에서 소직경부(525)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 샤프트(507)의 횐형 그루브(529) 내로 결합된다. 암 커넥터(505)의 핀 형상 스크류 결합 돌기(521)는 회전 샤프트(507)의 소직경부(525) 상에 배치된다.
또한, 핸들(535)은 회전 샤프트(507)를 반회전 시키는데 사용되어, 핀 형상의 스크류 결합 돌기(521)가 스크류 나사부(523)를 따라 끌어 올려진다. 핀 형상의 스크류 결합 돌기(521)는 반회전된 스크류 나사부(523)의 삽입 노치(notch) 내에 배치된다. 숫 커넥터(503)의 빠짐 방지 돌기(515)는 환형부(527)의 삽입 그루브(531) 내에 배치되고, 숫 커넥터(503)의 플렉시블 아암(513)이 위치되어 계지 클로(511)는 뻗어 나간 상태에서 암 커넥터(505)의 주 결합 홀(519)에 대향한다.
마지막으로, 회전 샤프트(507)의 소직경부(525)가 숫 커넥터(503) 및 암 커넥터(505)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계지 클로(511)가 암 커넥터(505)의 주 결합 홀(519) 내로 결합되어, 숫 커넥터(503)와 암 커넥터(505)가 서로 고정된다.
일본특허공보 제2613998호
그러나, 상술한 저삽입력 커넥터(501)에서는, 숫 커넥터(503)가 플렉시블 아암(513), 계지 클로(511), 빠짐 방지 돌기(515) 및 잘록한 부분(533)을 갖도록 제공되어야 하고, 또한 암 커넥터(505)도 임시 결합 홀(517), 주 결합 홀(519) 및 핀 형상 스크류 결합 돌기(521)를 갖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그 결과, 서로 일체로 형성되기에 어려운 특정 형상의 부분이 많아 하우징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는 크기의 증가를 야기한다. 또한, 핀 형상 스크류 결합 돌기(52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스크류 나사부(523)의 리드각이 한정된 공간에서 감소될 수 없기 때문에, 조작력을 충분히 작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하우징 구조를 제공하지 않고도 작은 조작력에 의해 커넥터가 감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 (1) 내지 (7)에 의해 이루어진다:
(1)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서로 적은 삽입력 및 분리력에 의해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커넥터 감합 지그로서, 지그 바디; 지그 바디에 제공된 제1회전 지지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단과 자유단 상에 형성되는 계지부를 포함하는 제1지지 샤프트로서, 계지부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의 피계지부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계지되는, 제1지지 샤프트; 지그 바디 상에 제공된 제2회전 지지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단과 자유단 상에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제2지지 샤프트로서, 누름부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각각 형성되는 제2결합부 또는 제1결합부의 눌림부와 접속가능한, 제2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제1지지 샤프트의 계지부를 받침점으로 사용하는 제2지지 샤프트를 눌러내림으로서,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구성(1)에 따른 커넥터 감합 지그에서, 지그 바디는 제2회전 지지 샤프트에 대한 제1회전 지지 샤프트의 반대 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구성(2)에 따른 커넥터 감합 지그에서, 계지부는 제2지지 샤프트를 향하는 제1지지 샤프트의 옆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된 계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적은 삽입력 및 분리력에 의해 서로 부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갖는 저삽입력 커넥터로서, 제1하우징의 감합 면 측 상으로 돌출하고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제2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도록 제공된 샤프트 홀을 통과하는 관통 샤프트; 관통 샤프트의 관통말단부에 제공되는 제1결합부에 형성되는 피계지부; 및 제2하우징의 외면에 제공된 제2결합부에 형성된 눌림부를 포함하고, 샤프트 홀은 외면에서 개방되고, 제2하우징은 제1결합부의 피계지부를 받침점으로 사용하여 제2결합부의 눌림부를 눌러내림으로서 커넥터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구성(4)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에서, 제2하우징은 제1결합부에 형성된 눌림부를 받침점으로 사용하여 제2결합부에 형성된 피계지부를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커넥터 분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구성(4)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에서, 제1결합부의 피계지부는 제2결합부와 대항하는 제1결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구성(5)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에서, 제2결합부의 피계지부는 제1결합부와 대항하는 제2결합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1)의 커넥터 감합 지그에 따르면, 지그 바디의 작동에 의해, 제2지지 샤프트는 제1지지 샤프트의 계지부를 받침점으로 사용하는 레버 동작에 의해 눌러 내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작은 조작력에 의해 서로 감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성(2)의 커넥터 감합 지그에 따르면, 조작부의 말단을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제2지지 샤프트가 작은 조작력에 의해 쉽게 눌러 내려질 수 있다.
상기 구성(3)의 커넥터 감합 지그에 따르면, 제1지지 샤프트의 계지부와 제2지지 샤프트의 누름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감합 및 분리될 때 감합 방향과 관련하여 야기되는 하우징의 회전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긁히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4)의 저삽입력 커넥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구성(1)의 커넥터 감합 지그가 사용되어 제1하우징의 관통 샤프트에 제공된 제1결합부의 피계지부가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제2하우징에 제공된 제2결합부의 눌림부가 눌러 내려질 경우, 제2하우징은 제1하우징에 비해 눌러 내려질 수 있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갑합된다.
상기 구성(5)의 저삽입력 커넥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상기 구성(1)의 커넥터 감합 지그가 사용되어 제1하우징의 관통 샤프트에 제공된 제1결합부의 눌림부가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제2하우징에 제공된 제2결합부의 피계지부가 끌어올려질 경우, 제2하우징은 제1하우징에 비해 끌어 올려질 수 있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분리된다.
상기 구성(6)의 저삽입력 커넥터에 따르면, 제1결합부의 피계지부가 제2결합부에 대항하는 제1결합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2결합부의 눌림부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감합될 경우 감합 방향에 대해 야기되는 하우징의 회전 이동이 억제될 수 있어, 긁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받침점인 제2결합부의 눌림부와 작용점인 제1결합부의 피계지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어,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7)의 저삽입력 커넥터에 따르면, 제2결합부의 피계지부가 제1결합부와 대항하는 제2결합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의 눌림부와 인접하게 배열되므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분리 방향에 대해 야기되는 하우징의 회전 이동이 억제될 수 있어, 긁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받침점인 제1결합부와 눌림부와 작용점인 제2결합부의 피계지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어, 조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였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모드(이하, "실시예"라고 함)를 도면을 참조하여 파악할 경우, 본 발명의 상세한 사항은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감합 지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감합 지그를 사용하는 커넥터의 감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감합 전의 저삽입력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저삽입력 커넥터와 커넥터 감합 지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저삽입력 커넥터의 주요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감합 지그를 사용한 커넥터의 감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감합 후의 저삽입력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저삽입력 커넥터와 커넥터 감합 지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감합 지그를 사용한 커넥터의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저삽입력 커넥터와 커넥터 감합 지그의 일부분을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감합 지그(11)는 봉 형태로 형성된 지그 바디(13), 일반적인 반원통 형상을 갖는 제1지지 샤프트(15) 및 일반적인 원통 형상을 갖는 제2지지 샤프트(17)를 포함한다.
지그 바디(13)의 일단측(도 1에서 좌단측)에는 제1회전 지지 샤프트(19)가 제공되고, 제1회전 지지 샤프트(19)에 의해 제1지지 샤프트(15)의 베이스단(2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지지 샤프트(15)의 자유단에는 L자 형상의 계지 돌기(65)가 제공되고, L자 형상의 계지 돌기(65)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숫 커넥터 하우징(33)에 형성된 제1결합부(59)의 제1피계지부(피계지부, 63)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계지할 수 있는 계지부이다.
또한, 제2회전 지지 샤프트(23)가 제1회전 지지 샤프트(19)보다 더 타단측을 향해 위치한 지그 바디(13)의 일 부분에 제공되고, 제2지지 샤프트(17)의 베이스단(25)은 제2회전 지지 샤프트(2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회전 지지 샤프트(23)의 자유단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암 커넥터 하우징(37)에 형성된 제2결합부(69)의 제2눌림부(눌림부, 71)에 접촉가능한 누름부(73)가 제공된다.
또한, 지그 바디(13)는 제2회전 지지 샤프트(23)에 대해 제1회전 지지 샤프트(19)의 대항하는 측(지그 바디(13)의 타단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 조작부(27)를 갖는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감합 지그(11)는,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를 받침점으로 사용하는 조작부(27)의 말단(도 1의 우측)을 눌러내리는 것으로, 작은 조작력에 의해 제2지지 샤프트(17)를 쉽게 눌러 내릴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삽입력 커넥터(29)는 제1하우징으로서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제2하우징으로서 암 커넥터 하우징(37)을 포함한다.
숫 커넥터 하우징(33)은 감합 개구(39)를 제공하기 위해 그 상면이 개방되는 사각 후드부(41)를 갖고, 후드부(41)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숫 커넥터부(43)가 후드부(41)의 내측에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복수의 접속 단자(미도시)는 숫 커넥터부(43)의 내부에 수용된다.
암 커넥터 하우징(37)은 하측의 하우징 주벽(housing peripheral wall, 47)을 숫 커넥터 하우징(33)의 후드부(41)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감합된다. 하우징 주벽(47)의 하면 상에, 숫 커넥터부(4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암 커넥터부(49)(도 4 참조)가 제공된다. 복수의 접속 단자(미도시)는 암 커넥터부(49)의 내부에 수용된다.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구성되어, 암 커넥터 하우징(37)의 하우징 주벽(47)이 숫 커넥터 하우징(33)의 후드부(41)로 들어갈 경우, 숫 커넥터부(43)가 암 커넥터부(49)로 감합되어, 접속 단자들이 서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숫 커넥터 하우징(33)에는 감합면 측에 상응하는 숫 커넥터부(43)의 실질적인 중심에서 감합 방향(도 2에서 위쪽 방향)을 향해 돌출된 관통 샤프트(53)가 제공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 샤프트(53)가 사각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었더라도, 본 발명은 이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 샤프트(53)는 반 원통 형상 또는 6각 프리즘 또는 8각 프리즘 같은 다각형 프리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숫 커넥터 하우징(33)이 암 커넥터 하우징(37)에 감합되는 경우, 관통 샤프트(53)는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암 커넥터 하우징(37)을 통해 연장되도록 제공된 샤프트 홀(55)를 관통한다. 관통 샤프트(53)와 샤프트 홀(55)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관통 샤프트(53)의 관통말단부(57)에는 커넥터 감합 지그(11)의 제1지지 샤프트(15) 또는 제2지지 샤프트(17)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결합부(59)가 제공된다. 제1결합부(59)는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가 끌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계지되도록 하는 제1피계지부(63)와 제2지지 샤프트(17)의 누름부(73)가 접촉되도록 하는 제1눌림부(눌림부, 70)를 갖는다. 제1피계지부(63)는 제1결합부(59)의 측면에 오목하게 개방되어, 제1지지 샤프트(15) 상에 형성된 L자형의 계지 돌기(65)가 끌어 올려지는 방향에서 이에 계지될 수 있다.
제2결합부(69)는 관통하여 연장된 샤프트 홀(55)에 인접하여 암 커넥터 하우징(37)의 외면(67)에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비록 제2결합부(69)는 사각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결합부(69)는 반 원통 형상 또는 6각 프리즘이나 8각 프리즘 같은 다각 프리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결합부(69)는 커넥터 감합 지그(11)의 제2지지 샤프트(17) 또는 제1지지 샤프트(15)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2지지 샤프트(17)의 누름부(73)가 접촉되도록 하는 제2눌림부(71)와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가 끌어 올려지는 방향(도 8 참조)에서 계지되도록 하는 제2피계지부(피계지부, 68)를 갖는다.
다시 말해,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는 끌어 올려지는 방향에서 제2피계지부(68)에 계지될 수 있고, 제2피계지부(68)는 제2결합부(69)의 측면에서 오목하게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삽입력 커넥터(29)는, 감합되기 전의 단계에서, 관통 샤프트(53)가 샤프트 홀(55)을 통해 삽입되어, 제1결합부(59)와 제2결합부(69)가 나란히 배열된 상태에서 암 커넥터 하우징(37)의 외면(67)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감합 지그(11)는 이러한 상태에서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를 받침점으로 사용하여 제2지지 샤프트(17)를 눌러내려 커넥터 감합 방향으로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을 이동한다.
따라서, 커넥터 감합 지그(11)는,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가 끌어 올려지는 방향에서 제1결합부(59)의 제1피계지부(63)에 계지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계지 돌기(65)는 제1지지 샤프트의 자유단 상에, 제2지지 샤프트를 향하는 제1지지 샤프트의 측면(77)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제1피계지부(63)는 제2결합부(69)에 대항하는 제1결합부의 측면(79)에 오목하게 제공되고, 제2피계지부(68)는 제1결합부(59)와 대항하는 제2결합부의 측면(87)에 오목하게 제공된다.
즉, 제1결합부(59)와 제2결합부(69)는 서로 인접하여 제공된다. 제1결합부(59)와 제2결합부(69)가 서로 인접하여 제공되어,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서로 감합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감합 방향에 대해 야기되는 회전 모멘트가 억제될 수 있어, 긁히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을 갖는 커넥너 감합 지그(11)와 저삽입력 커넥터(29)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 지그(11)를 사용하여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을 서로 감합시키기 위해서, 숫 커넥터 하우징(33) 상에 돌출되도록 제공된 관통 샤프트(53)가 먼저 암 커넥터 하우징(37)의 샤프트 홀(55)을 관통한다. 이 상태에서, 암 커넥터 하우징(37)의 하우징 주벽(47)이 숫 커넥터 하우징(33)의 후드부(41)로 들어가, 중간 감합 상태가 얻어진다. 중간 감합 상태에서, 관통 샤프트(53)는 암 커넥터 하우징의 외면(67)으로부터 돌출하여, 관통 샤프트(53)의 관통말단부(57)는 제2결합부(6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관통 샤프트(53)의 관통말단부(57)에 제1결합부(59)가 제공되기 때문에, 제1결합부(59)와 제2결합부(69)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한편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돌출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 지그(11)는,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가 제1결합부(59)의 제1피계지부(63)에 계지되고, 제2지지 샤프트(17)의 누름부(73)가 그 위쪽으로부터 제2결합부(69)의 제2눌림부(71)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그 바디(13)의 조작부(27)가 아래로 회전하여 제2결합부(69)의 제2눌림부(71)가 제1결합부(59)의 제1피계지부(63)를 받침점으로 사용하여 눌러 내려지는 경우, 힘(F2)이 제1결합부(59)와 제2결합부(69)에 반대 방향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숫 커넥터 하우징(3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저삽입력 커넥터(29)에 부착된 커넥터 감합 지그(11)는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지렛대 원리에 따라 서로 쉽게 감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 지지 샤프트(23)가 받침점(75)으로 사용되는 경우, 받침점(75)과 조작부(27)의 힘점(81) 사이의 거리(L1)는 받침점(75)과 작용점(83)인 제1회전 지지 샤프트(19) 사이의 거리(L2)보다 크게 설정된다(L1 > L2). 이 경우, 힘점(81)에 가해지는 힘이 F1이고 작용점(83)에서의 힘이 F2이라면, 지렛대 원리로부터 이하의 식이 얻어진다: L1·F1 = L2·F2. 그 결과, L1 > L2이므로, F1 < F2이다. 그러나, 간단히 말해, 이 식은 힘점(81)과 작용점(83)에 가해지는 힘이 서로 평행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저삽입력 커넥터(29)는, 제2결합부(69)의 제2눌림부(71)가 제1결합부(59)의 제1피계지부(63)를 받침점으로 사용하는 커넥터 감합 지그(11)에 의해 눌러 내려져,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서로 감합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59)의 제1피계지부(63)는 제2결합부(69)의 제2눌림부(7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서로 감합되는 경우 감합 방향에 대해 야기되는 회전 모멘트가 억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긁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2눌림부(17)와 제1피계지부(63)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 조작부(27) 상의 조작력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 감합 지그(11)와 저삽입력 커넥터(29)에 따르면,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은 지그 바디(13)의 조작부(27)를 아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은 조작력으로 서로 감합될 수 있다.
이어서, 서로 감합된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 지그(11)를 사용하여 서로 분리되는 경우, 커넥터 감합 지그(11)의 제1지지 샤프트(15)의 계지 돌기(65)는 제2결합부(69)의 제2피계지부(68)에 계지되고, 제2지지 샤프트(17)의 누름부(73)는 그 위쪽으로부터 제1결합부(59)의 제1눌림부(70)에 접촉된다.
또한, 지그 바디(13)의 조작부(27)가 아래쪽으로 회전되면, 제1결합부(59)의 제1눌림부(70)는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제2결합부(69)가 끌어 올려진다. 이어서, 암 커넥터 하우징(37)은 지렛대 원리에 따라 숫 커넥터 하우징(33)으로부터 끌어 올려지고, 그 결과,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은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은 작은 조작력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 감합 지그(11)와 저삽입력 커넥터(29)에 따르면,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은 지그 바디(13)의 조작부(27)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킴으로 인해, 작은 조작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 감합 지그(11)와 저삽입력 커넥터(29)에 따르면,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은,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의 복잡한 구조를 제공하지 않고도, 작은 조작력에 의해 서로 감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에 따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지그 바디, 제1 및 제2회전 지지 샤프트, 조작부, 계지부, 누름부, 제1 및 제2하우징, 관통 샤프트, 관통 홀, 제1 및 제2결합부, 피계지부, 눌림부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의 재료, 형상, 치수, 숫자, 설치 위치 등도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상술한 실시예에서, 숫 커넥터 하우징(33)이 제1하우징으로 설명되고,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제2하우징으로 설명되었으나, 암 커넥터 하우징이 제1하우징이 되고 숫 커넥터 하우징이 제2하우징이 될 수 있다.
또한, 비록,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지지 샤프트(15)가 지그 바디(13)의 일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지지 샤프트(17)가 지그 바디(13)의 타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었으나, 제2지지 사프트(17)가 지그 바디(13)의 일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지지 샤프트(15)가 지그 바디(13)의 타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그 바디(13)의 조작부(27)를 위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숫 커넥터 하우징(33)과 암 커넥터 하우징(37)이 작은 조작력으로 감합 방향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1년 3월 1일자로 출원왼 일본특허출원 제2011-044363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가 복잡한 하우징 구조 없이도 작은 조작력에 의해 감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11: 커넥터 감합 지그
13: 지그 바디
15: 제1지지 샤프트
17: 제2지지 샤프트
19: 제1회전 지지 샤프트
21: 베이스단
23: 제2회전 지지 샤프트
25: 베이스단
27: 조작부
29: 저삽입력 커넥터
33: 숫 커넥터 하우징 (제1하우징)
37: 암 커넥터 하우징 (제2하우징)
53: 관통 샤프트
55: 샤프트 홀
57: 관통말단부
59: 제1결합부
63: 제1피계지부 (피계지부)
65: 계지 돌기 (계지부)
67: 외면
68: 제2피계지부 (피계지부)
69: 제2결합부
70: 제1눌림부 (눌림부)
71: 제2눌림부 (눌림부)
73: 누름부
77: 제1지지 샤프트의 측면
79: 제1결합부의 측면
80: 제2결합부의 측면

Claims (4)

  1. 저삽입력 및 저분리력에 의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서로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커넥터 감합 지그로서,
    지그 바디;
    상기 지그 바디에 제공된 제1회전 지지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단과, 자유단에 형성된 계지부를 포함하는 제1지지 샤프트로서, 상기 계지부는 각각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형성된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의 피계지부를 끌어올리는 방향에서 계지될 수 있는, 제1지지 샤프트; 및
    상기 지그 바디에 제공된 제2회전 지지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단과, 자유단에 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는 제2지지 샤프트로서, 상기 누름부는 각각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형성된 제2결합부 또는 제1결합부의 눌림부에 접촉될 수 있는, 제2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상기 제1지지 샤프트의 계지부를 받침점으로 사용하는 상기 제2지지 샤프트를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감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바디는, 상기 제2회전 지지 샤프트에 대하여 제1회전 샤프트의 반대 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감합 지그.
  3. 저삽입력 및 저분리력에 의해 서로 부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갖는 저삽입력 커넥터로서,
    상기 제1하우징의 감합면측으로 돌출하고, 커넥터 감합 방향에서 상기 제2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도록 제공된 샤프트 홀을 관통하는 관통 샤프트;
    상기 관통 샤프트의 관통말단부 상에 제공된 제1결합부에 형성된 피계지부; 및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상에 제공된 제2결합부에 형성된 눌림부로서, 상기 샤프트 홀이 상기 외면에서 개방된, 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결합부의 피계지부를 받침점으로 사용하는 상기 제2결합부의 눌림부를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눌림부를 받침점으로 사용하는 상기 제2결합부에 형성된 피계지부를 끌어 올리는 것에 의해, 커넥터 분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KR1020137022965A 2011-03-01 2012-03-01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KR101417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4363A JP5669309B2 (ja) 2011-03-01 2011-03-01 コネクタ嵌合治具および低挿入力コネクタ
JPJP-P-2011-044363 2011-03-01
PCT/JP2012/055238 WO2012118144A1 (ja) 2011-03-01 2012-03-01 コネクタ嵌合治具および低挿入力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357A true KR20130116357A (ko) 2013-10-23
KR101417704B1 KR101417704B1 (ko) 2014-07-08

Family

ID=4675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965A KR101417704B1 (ko) 2011-03-01 2012-03-01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36706A1 (ko)
JP (1) JP5669309B2 (ko)
KR (1) KR101417704B1 (ko)
CN (1) CN103430399A (ko)
DE (1) DE112012001051T5 (ko)
WO (1) WO2012118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6120B2 (ja) * 2011-05-23 2013-06-19 昭和電線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器用引抜工具、ケーブル接続器の引き抜き方法及びケーブル接続器
JP7285749B2 (ja) * 2019-09-20 2023-06-02 株式会社ミツバ コネクタ及びモータ装置
EP3819998A1 (en) * 2019-11-11 2021-05-12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768A (en) * 1872-03-19 Improvement in man-hole covers for oil-tanks
US2363350A (en) * 1944-02-11 1944-11-21 Walter P Nail Tool for servicing battery terminals
US4681290A (en) * 1984-11-28 1987-07-21 Crosbie Donald A Apparatus and method of shoring masonry, stone, concrete and other materials over openings in buildings
JP2613998B2 (ja) * 1992-07-10 1997-05-28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H10125394A (ja) * 1996-10-16 1998-05-15 Yazaki Corp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468336B2 (ja) * 1997-01-17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構造体相互の自動嵌合及び離脱機構
US6183278B1 (en) * 2000-01-14 2001-02-06 Yazaki Corporation Lever structure of electric connection box
US6814334B1 (en) * 2000-03-06 2004-11-09 Whitehead Richard E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movement of insulation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JP2002025744A (ja) * 2000-07-10 2002-01-25 Suzuka Fuji Xerox Co Ltd プリント基板の装着分離装置
JP2011044363A (ja) 2009-08-21 2011-03-03 Nissho Telecom Corp 照明装置
JP2011258324A (ja) * 2010-06-07 2011-12-22 Yazaki Corp コネクタ嵌合用治具、コネクタの嵌合方法、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5631192B2 (ja) * 2010-12-21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31191B2 (ja) * 2010-12-21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11569B2 (ja) * 2011-03-01 2015-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治具および低挿入力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69309B2 (ja) 2015-02-12
DE112012001051T5 (de) 2013-12-19
JP2012182019A (ja) 2012-09-20
WO2012118144A1 (ja) 2012-09-07
US20130336706A1 (en) 2013-12-19
CN103430399A (zh) 2013-12-04
KR101417704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8674B2 (en)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cable
KR101797249B1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JP498843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9033719B2 (en) Lever-fitting-type connector
JP4377820B2 (ja) 光コネクタのロック解除機構
JP5957346B2 (ja) コネクタ
KR101112644B1 (ko) 잠금 기구
JP2003331984A (ja) 電気コネクタ
KR101417704B1 (ko) 커넥터 감합 지그 및 저삽입력 커넥터
JP2010205595A (ja) ロック解除装置及びコネクタ装置
US20150255890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Cable
JP2008146941A (ja) コネクタ装置
US20140113476A1 (en) Lever-fitting-type connector
JP2009181851A (ja) コネクタ用カバー
JP5721473B2 (ja) コネクタ
JP5631192B2 (ja) コネクタ
WO2014084025A1 (ja) 端子抜き治具
JPH11250985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H07211392A (ja) コネクタ
KR20140006558A (ko) 커넥터
KR20100070833A (ko) 커넥터
JP2006331719A (ja) ロック構造およびロック構造を有する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KR20080024629A (ko) 랜스 파손 방지 커넥터
KR200370919Y1 (ko) 콘센트 안전 장치
JPH1126067A (ja)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