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8274A -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8274A
KR20130108274A KR1020137005120A KR20137005120A KR20130108274A KR 20130108274 A KR20130108274 A KR 20130108274A KR 1020137005120 A KR1020137005120 A KR 1020137005120A KR 20137005120 A KR20137005120 A KR 20137005120A KR 20130108274 A KR20130108274 A KR 2013010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compressor
storage tank
heat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지 오카
마사토시 다카하시
다카시 스기오
아키히코 시미즈
도시유키 이마사카
히로카즈 가모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6Cooling of compressor or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4Storage receiver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압축기(6)와 외접하도록 축열 장치를 배치하고, 이 축열 장치를,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를 수용한 축열조(32)와, 축열조(32)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34)로 구성하고, 축열조(32)는 압축기(6)에 외접하도록 배치되고, 축열조(32)와 압축기(6)가 접하는 압축기 외주 부분 중 1개소에 절결부가 있으며, 그 절결부에 접하는 축열조(32)의 종단부(46, 47) 중 적어도 한쪽의 조 폭은, 가장 조 폭이 얇은 부분에 비해 두껍게 했으므로, 공간 절약화를 실현하면서 소정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HEAT STORA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ID HEAT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압축기에 외접하도록 배치되며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적하는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 장치 및 이러한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기에서는, 난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에 서리가 부착된 경우에는, 난방 사이클로부터 냉방 사이클로 사방밸브를 전환하여 제상을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제상 방식에서는, 실내 팬은 정지하지만, 실내기로부터 서서히 냉기가 방출되므로 난방감이 상실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그래서, 실외기에 마련된 압축기에 축열 장치를 마련하여, 난방 운전 중에 축열조에 비축된 압축기의 폐열을 이용하여 제상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참조).
도 9는 종래의 축열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축열조(101)는, 압축기(102)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비축하는 축열재(103)와, 이 축열재(103)에 비축된 열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열과 냉매를 열교환하는 축열 열교환기(104)를 수납하는 동시에, 전열 시트(105)를 거쳐서 압축기(102)에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102)에는 액상 냉매가 압축기(102)에 유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106)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하는 종래의 축열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열조(101)는, 압축기(102)의 외측에 전열 시트(105)를 거쳐서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지만, 어큐뮬레이터(106)와 부딪치지 않도록, 압축기(102)에 대하여 전체 둘레에 접하는 것이 아니고 그 일부는 노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1991-160242 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축열조(101)가 노치된 부분에 접하는 종단부는 다른 부분의 조 폭(槽幅)에 비하여 얇으므로, 예를 들면 축열조에 덮개를 마련하고, 축열 열교환기(104)의 출입구의 배관과, 그 배관을 통과하기 위해서 덮개에 마련한 구멍을 시일하려고 한 경우, 축열 열교환기(104)는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열교환 할 수 있는 관의 길이를 길게 배치할 필요가 있어서, 그 때문에 가능한 한 축열 열교환기(104)의 출입구의 배관을 축열조(32)의 종단부에 배치하는 것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그 시일부를 마련하는 공간이 없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축열 장치에 축열하는 열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치 전체적으로는 공간 절약을 실현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용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양립에 대해 과제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공간 절약을 실현하면서 용량 확보가 가능한 축열 열교환 축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기와 외접하도록 배치된 축열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와,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를 구비하며, 축열조에는, 축열조와 압축기가 접하는 압축기 외주 부분 중 1개소에 절결부가 있으며, 축열조의 종단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의 조 폭은, 가장 조 폭이 얇은 부분에 비하여 두껍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제상 성능에 기여하는 축열재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데 부가하여, 예를 들면,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구의 관을 축열조의 종단부에 마련하고, 축열조에 덮개를 마련했을 경우라도,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구의 관과 덮개의 사이를 시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열 장치는, 압축기와 외접하도록 배치된 축열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상기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압축기와 축열조가 접하는 부분은 압축기의 외주 중 200° 이하의 각도이며, 축열조의 양쪽 최종 단부를 연결하는 선은 압축기의 투영면을 가로지르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축열조의 종단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축열조를 압축기에 장착할 때에, 축열조의 종단부를 손으로 들어 축열조를 넓히면서 장착하는 것이 쉬워지고, 축열조와 압축기를 보다 밀착시킬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제상 운전 시의 제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성능에 기여하는 축열재의 용량을 늘릴 수 있다.
특히, 축열 장치의 설치 공간이 적어서 공간 절약화를 도모해야만 하는 경우라도, 압축기와 어큐뮬레이터 사이에 있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축열조의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통상 난방 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제상·난방 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압축기와 어큐뮬레이터를 장착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에 있어서의 축열조의 종단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에 있어서의 축열 열교환기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면에 덮개를 장착한 상태인 본 발명에 따른 축열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에 있어서의 축열조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축열 장치의 횡면도.
본 발명의 축열 장치는, 압축기와 외접하도록 배치된 축열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와,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축열조에는, 축열조와 압축기가 접하는 압축기 외주 부분 중 1개소에 절결부가 있으며, 축열조의 종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조 폭은, 가장 조 폭이 얇은 부분에 비하여 두껍게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상 성능에 기여하는 축열재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예를 들면,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구를 축열조의 종단부에 마련하고, 축열조에 덮개를 마련한 경우에,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관과 덮개의 사이를 시일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구 중 적어도 한쪽을, 축열 장치의 상면에 마련했을 경우에는, 장치로서의 가로 폭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구가 존재하는 부분을 두껍게 하여, 시일 부재를 마련한 것이며, 축열 장치를 시일하여 축열재가 넘쳐 흐르거나,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열 장치는, 압축기와 외접하도록 배치된 축열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상기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압축기와 축열조가 접하는 부분은 압축기의 외주 중 200°이하이며, 축열조의 양쪽 최종 단부를 연결하는 선은 압축기의 투영면을 가로지르지 않게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서, 축열조의 종단부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축열조를 압축기에 장착 시에 축열조의 종단부를 손으로 들어 축열조를 넓히면서 장착하는 것이 쉬워져, 축열조와 압축기를 보다 밀착시킬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제상 운전 시의 제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압축기와 상기 축열조 사이에 전열성 시트를 마련한 경우에는, 압축기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축열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열 장치는, 축열조를 수지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장착된 것이므로, 축열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압축기와 압축기에 외접하도록 배치된 상술한 축열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공기 조화기는, 냉매 배관으로 서로 접속된 실외기(2)와 실내기(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외기(2)의 내부에는, 압축기(6)와 사방 밸브(8)와 스트레이너(10)와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가 마련되고, 실내기(4)의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16)가 마련되며, 이들은 냉매 배관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술하면, 압축기(6)와 실내 열교환기(16)는, 사방 밸브(8)가 마련된 제 1 배관(18)을 거쳐서 접속되고, 실내 열교환기(16)와 팽창 밸브(12)는, 스트레이너(10)가 마련된 제 2 배관(20)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는 제 3 배관(22)을 거쳐서 접속되며, 실외 열교환기(14)와 압축기(6)는 제 4 배관(24)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 4 배관(24)의 중간부에는 사방 밸브(8)가 배치되어 있으며, 압축기(6)의 냉매 흡입측에 있어서의 제 4 배관(24)에는,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6)와 제 3 배관(22)은, 제 5 배관(28)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며, 제 5 배관(28)에는 제 1 전자 밸브(3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6)의 주위에는 축열조(32)가 마련되며, 축열조(32)의 내부에는, 축열 열교환기(34)가 마련되는 동시에, 축열 열교환기(34)와 열교환하기 위한 축열재(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수용액; 36)가 충전되어 있으며, 축열조(32)와 축열 열교환기(34)와 축열재(36)로 축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배관(20)과 축열 열교환기(34)는 제 6 배관(38)을 거쳐서 접속되고, 축열 열교환기(34)와 제 4 배관(24)은 제 7 배관(40)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며, 제 6 배관(38)에는 제 2 전자 밸브(42)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기(4)의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16)에 부가하여, 송풍 팬(도시하지 않음)과 상하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와 좌우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으며, 실내 열교환기(16)는, 송풍 팬에 의해 실내기(4)의 내부에 흡입된 실내 공기와, 실내 열교환기(16)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열교환을 실행하고, 난방 시에는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실내에 취출하는 한편, 냉방시에는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실내에 취출한다. 상하 블레이드는, 실내기(4)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상하로 변경하고, 좌우 블레이드는, 실내기(4)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필요에 따라 좌우로 변경한다.
또한, 압축기(6), 송풍 팬, 상하 블레이드, 좌우 블레이드, 사방 밸브(8), 팽창 밸브(12), 전자 밸브(30, 42) 등은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 각 부품의 상호의 접속 관계와 기능을, 난방 운전 시를 예를 들어 냉매의 흐름과 함께 설명한다.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배관(18)을 통과하여 사방 밸브(8)로부터 실내 열교환기(16)로 도달한다.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6)를 나와 제 2 배관(20)을 통과하여 팽창 밸브(12)로의 이물 침입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10)를 통과하고, 팽창 밸브(12)에 도달한다. 팽창 밸브(12)에서 감압된 냉매는, 제 3 배관(22)을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4)에 도달하고,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된 냉매는, 제 4 배관(24)과 사방 밸브(8)와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 1 배관(18)의 압축기(6) 토출구와 사방 밸브(8) 사이로부터 분기된 제 5 배관(28)은, 제 1 전자 밸브(30)를 거쳐서 제 3 배관(22)의 팽창 밸브(12)와 실외 열교환기(14) 사이에 합류하고 있다.
또한, 내부에 축열재(36)와 축열 열교환기(34)를 수납한 축열조(32)는, 압축기(6)에 접하여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재(36)에 축적하고, 제 2 배관(20)으로부터 실내 열교환기(16)와 스트레이너(10) 사이에 분기된 제 6 배관(38)은, 제 2 전자 밸브(42)를 지나 축열 열교환기(34)의 입구로 도달하고, 축열 열교환기(34)의 출구로부터 나온 제 7 배관(40)은, 제 4 배관(24)에 있어서의 사방 밸브(8)와 어큐뮬레이터(26) 사이에 합류한다.
다음에, 도 1에 도시되는 공기 조화기의 통상 난방 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면서 통상 난방 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상 난방 운전 시, 제 1 전자 밸브(30)와 제 2 전자 밸브(42)는 폐쇄 제어 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배관(18)을 통과하여 사방 밸브(8)로부터 실내 열교환기(16)에 도달한다.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6)를 나와, 제 2 배관(20)을 통과하여 팽창 밸브(12)에 도달하며, 팽창 밸브(12)에서 감압된 냉매는, 제 3 배관(22)을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14)에 도달한다.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된 냉매는, 제 4 배관(24)을 통과하여 사방 밸브(8)로부터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또한,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은, 압축기(6)의 외벽으로부터 축열조(32)의 외벽을 거쳐서 축열조(32)의 내부에 수용된 축열재(36)에 축적된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상·난방 시의 동작 및 냉매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3을 참조하면서 제상·난방 시의 동작을 설명 한다. 도면 중, 실선 화살표는 난방에 제공하는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파선 화살표는 제상에 제공하는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통상 난방 운전 중에 실외 열교환기(14)에 착상하여, 착상된 서리가 성장하면, 실외 열교환기(14)의 통풍 저항이 증가하여 풍량이 감소하고, 실외 열교환기(14) 내의 증발 온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14)의 배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44)가 마련되어 있으며, 비 착상시에 비해, 증발 온도가 저하된 것을 온도 센서(44)에서 검출하면, 제어 장치로부터 통상 난방 운전으로부터 제상·난방 운전으로의 지시가 출력된다.
통상 난방 운전으로부터 제상·난방 운전으로 이행하면, 제 1 전자 밸브(30)와 제 2 전자 밸브(42)는 개폐 제어되고, 상술한 통상 난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에 부가하여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나온 기상 냉매의 일부는 제 5 배관(28)과 제 1 전자 밸브(30)를 통과하고, 제 3 배관(22)을 통과하는 냉매에 합류하여, 실외 열교환기(14)를 가열하고, 응축하여 액상화한 후, 제 4 배관(24)을 통과하여 사방 밸브(8)와 어큐뮬레이터(26)를 거쳐서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또한, 제 2 배관(20)에 있어서의 실내 열교환기(16)와 스트레이너(10) 사이에 분류된 액상 냉매의 일부는, 제 6 배관(38)과 제 2 전자 밸브(42)를 지나, 축열 열교환기(34)에서 축열재(36)로부터 흡열하여 증발, 기상화하여, 제 7 배관(40)을 통과하고 제 4 배관(24)을 통과하는 냉매에 합류하여, 어큐뮬레이터(26)로부터 압축기(6)의 흡입구로 되돌아온다.
어큐뮬레이터(26)로 되돌아오는 냉매에는, 실외 열교환기(14)로부터 되돌아오는 액상 냉매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것에 축열 열교환기(34)로부터 되돌아오는 고온의 기상 냉매를 혼합함으로써, 액상 냉매의 증발이 촉진되고, 어큐뮬레이터(26)를 통과하여 액상 냉매가 압축기(6)로 되돌아오는 것이 없어져, 압축기(6)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상·난방 개시시에 서리의 부착에 의해 빙점하가 된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는, 압축기(6)의 토출구로부터 나온 기상 냉매에 의해서 가열되고, 영도 부근에서 서리가 융해하며, 서리의 융해가 끝나면,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실외 열교환기(14)의 온도 상승을 온도 센서(44)에서 검출하면, 제상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제어 장치로부터 제상·난방 운전에서 통상 난방 운전으로의 지시가 출력된다.
도 4는 축열 장치가 압축기(6)와, 압축기(6)에 조립 장착되는 어큐뮬레이터(26)에 장착된 설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축열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열조(32)와 축열 열교환기(34)와 축열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축열조(32)에는, 축열 열교환기(34)가 수용되며, 축열조(32)의 내부 공간에는 축열재가 충전된다. 여기서 축열조(32)는, 압축기(6)의 외측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압축기(6)에 대해서 전체 둘레에 접하는 것이 아니며, 어큐뮬레이터(26)에 부딪치지 않도록 그 일부는 노치되어 있다. 이 때, 축열조(32)의 노치된 부분에, 어큐뮬레이터(26)에 가장 가까운 개소를 축열조(32)의 종단부(46, 47)로 한다(도 5 참조).
도 6은 축열조(32)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34)의 구성 예를 도시했던 것으로, 도 6의 (a)가 평면도, 도 6의 (b)가 정면도를 도시한다. 축열 열교환기(34)는, 예를 들면 동관 등을 사행 형상으로 절곡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축열재와 냉매의 열교환의 촉진을 고려하면, 축열 열교환기(34)의 형상으로서는, 냉매가 흐를 때의 압손이 큰 폭으로 증대하지 않는 한 열교환 할 수 있는 관의 길이 부분이 길수록 좋다. 또한, 축열조(32)의 종단부(46)로부터 다른 종단부(47)까지를 왕복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축열조(32)에 출입하는 입구 부분의 배관은, 종단부(46, 47) 부근에 마련하는 것이 좋다.
축열조(32)에 덮개(48)를 장착한 형태를 도 7에 도시한다. 축열조(32)는, 상방이 개구된 수지제의 축열조 본체(45)와 저판(도시하지 않음)과, 이 축열조 본체(45)의 상방 개구부를 폐색하는 수지제의 덮개(48)와, 축열조 본체(45)와 덮개(48)의 사이에 개재되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된 패킹(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덮개(48)는 축열조 본체(45)에 나사 장착된다. 여기서, 축열 열교환기(34)의 축열조(32)로의 출입구관은, 축열조(32)의 양쪽 종단부에 있다. 여기서, 축열 장치가 경사진 경우에 축열조(32)에 충전된 축열재가 축열조(32)로부터 넘쳐 흐르지 않도록, 혹은, 축열재의 온도가 상승하여, 이것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축열조(32)에 덮개(48)를 구비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축열 열교환기(34)의 축열조(32)로의 출입구관은 덮개(48)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일단은 제 6 배관(38)(도 1 참조)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은 제 7 배관(40)(도 1 참조)에 접속된다. 또한, 축열 열교환기(34)의 축열조(32)로의 출입구관과 이것을 통과하기 위해서 덮개(48)에 마련한 구멍 사이에는, 시일 부재(49, 50)가 마련된다. 시일 부재(49, 50)는, 예를 들면 실리콘 성의 수지이며, 내경을 축열 열교환기(34)의 출입구관보다 약간 작고, 외형을 축열 열교환기(34)의 출입구관이 덮개(48)를 통과하기 위해서 마련한 구멍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축열 장치가 경사진 경우에 축열조(32)에 충전된 축열재가 축열조(32)로부터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하거나 혹은, 축열재의 온도가 상승하여, 이것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한다. 여기서, 이 시일 부재(49, 50)를 덮개(48)에 마련하려고 하면, 덮개(48)에는 이들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축열조(32)의 단면 형상이 덮개(48)의 투영 형상과 거의 동일한 경우는, 축열조(32)의 종단부에 일정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도 8은 축열조(32)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중앙에 압축기(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51, 52)는 축열조의 조 폭을 나타낸다. 압축기(6)와 접하는 부분의 조 폭(51)은, 압축기(6)의 중심부로부터 압축기(6)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반경 방향 연장 상에서 절취된 부분의 길이로 결정된다. 또한, 압축기(6)와는 접하지 않는 부분의 조 폭(52)은, 압축기(6)와 접하는 조 폭(51)이 연속적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결정된다. 여기서 축열조(32)의 양쪽 종단부(46, 47)의 조 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일 부재(49, 50)를 덮개(48)에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른 조 폭에 비하여 얇아지는 일은 없다. 즉, 축열조(32)의 양쪽 종단부(46, 47)의 조 폭은, 축열조(32) 중에서 가장 조 폭이 얇은 부분보다 두꺼워진다. 이것에 의해서, 축열조(32)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축열재의 충전량을 늘릴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통상 난방 운전 시에 축열재(36)에 비축되는 열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제상·난방 운전 시의 제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축열 열교환기(34)의 출입구관은 종단부(46, 47)의 양측에 마련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종단부에 양쪽 입구의 배관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종단부만이 축열조(32) 안에서 조 폭이 가장 얇아지지 않는 되는 부분이 되며, 다른 한쪽의 종단부의 두께는 예외로 하고, 필요에 따라 조 폭이 가장 얇은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와는 별도로, 축열 장치 전체의 설치 공간의 관계 상, 공간 절약화를 해야 하는 경우에는, 축열조(32)의 양쪽 종단부에 시일 부재(49, 50)를 장착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축열조(32)의 소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즉, 양쪽 종단부(46, 47)의 조 폭을 확보하면서 다른 부분의 조 폭을 얇게 하면, 축열 장치 전체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가 실현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도, 축열 열교환기(34)의 출입구관을 종단부(46, 47)의 양측에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종단부에 양쪽의 출입구관을 배치하면, 종단부 중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양쪽이 아니고, 축열 열교환기(34)의 출입구관을 마련하는 측의 종단부만 되며, 또 다른 한쪽의 종단부를 얇게 하여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예와는 별도로, 원래 압축기(6)와 어큐뮬레이터(26) 사이의 공간은 빈 공간이 되므로, 여기를 깎아도 축열 장치 전체의 공간 절약화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축열조(32)의 종단부의 조 폭을 확보하면서 다른 부분의 조 폭을 얇게 하여, 축열 장치 전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은, 이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면서 축열조(32)의 용적을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압축기(6)의 표면에는 압축기(6) 제조 과정에서 생기는 용접에 의한 요철 개소나 표면이 까칠한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장착하는 경우, 그 접하는 면을 밀착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축기(6)와 축열조(32) 사이에, 점착성이 있으며, 또한 탄성이 있는 전열 성능이 뛰어난 수지제 시트(예를 들면 실리콘 계:도시하지 않음)를 사이에 두고 있다. 두께는 0.5 내지 3mm이며, 전열 성능을 유지하면서, 압축기(6) 표면의 요철이나 까칠함에 의한 밀착성의 악화를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를 갖는다. 혹은, 이러한 방법 이외, 압축기(6)의 표면에 요철이나 까칠한 개소가 있으면서 축열조(32)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방법으로서는, 축열조(32) 중 압축기(6) 표면의 요철 개소와 접하는 부분에만, 예를 들면 단면 형상이 ㄷ자 형의 노치를 마련해 둔다는 것도 유용하다.
또한 축열조(32)는, 압축기(6)에 밀착하여 장착되므로, 상기 전열성 시트의 두께를 포함한 장착 공차 등을 고려하여 축열조(32)의 압축기(6)와 접하는 부분의 내경은 압축기(6)의 외경보다 약간 큰 값(예를 들면, 2mm 정도)으로 설정되거나, 혹은, 축열조(32)가 수지 등의 탄성체로,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장착할 때에, 축열조(32)의 양쪽 종단부(46, 47)를 넓히면서 장착되는 경우는, 반대로, 축열조(32)와 압축기(6)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축열조(32)의 압축기(6)와 접하는 부분의 내경은 압축기(6)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값(예를 들면, 2mm 정도)으로 설정된다.
도 8에 있어서, 축열조(32)와 압축기(6)가 접하는 부분은 압축기(6)의 전체 둘레 중 약 180°의 각도이며, 이러한 경우 축열조(32)는 압축기(6)에 대해 위에서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옆에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축열조(32)를 압축기에 대해 위에서 장착하는 것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상술과 같은 전열 시트를 압축기(6)와 축열조(32)의 사이에 끼우는 경우에는, 미리 전열 시트를 압축기(6)의 주위에 감아 두거나, 혹은 축열조(32)의 압축기(6)와 접하는 부분에 구비해 둘 필요가 있다. 만일 압축기(6)의 주위에 감아 두는 경우, 전열 시트에는 점착성이 있기 때문에, 축열조(32)는 이것과 접하지 않도록 하여 장착해야만 하지만 그것은 곤란하며, 축열조(32)의 장착 작업을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축열조(32)가 전열 시트에 닿아버려, 이것을 벗겨버리게 된다. 또한,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장착한 후에, 어떠한 이유로, 축열조(32)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 압축기(6)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또한 압축기(6)의 토출관(도시하지 않음)이, 축열조(32)의 상방 근방을 가로지르고 있는 경우는, 축열조(32)를 압축기(6) 상으로부터 분리하려고 하면, 이 토출관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먼저 이 토출관의 접속을 분리하지 않으면, 축열조(32)는 분리할 수 없다.
한편, 축열조(32)가 압축기(6)에 대해 옆에서 장착, 분리가 가능한 경우는, 축열조(32)가 탄성체이며 그 양쪽 종단부를 가지고 축열조(32)를 넓힐 수 있다면, 압축기(6)에 점착성의 전열 시트가 감겨져 있어도, 이것에 닿지 않도록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열조(32)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 압축기(6)로부터 축열조(32)를 분리하는 경우이며 또한, 축열조(32) 상방 근방을 압축기(6) 토출관이 가로지르고 있는 경우도, 축열 열교환기(34)의 출입구관을 분리하면, 압축기(6) 토출관을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압축기(6) 토출관은, 냉매 배관 중에서도 굵은 배관이 이용되며, 이 관의 분리 장착에는 다른 관에 비해 용접 시에 노력을 필요로 하므로, 이것을 생력화(省力化)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부가하여, 도 8과 같이 축열조(32)의 양쪽 종단부(46, 47)에 있는 각각의 최종 단부(53, 54)를 서로 연결하는 선(55)은, 압축기(6)의 투영면을 가로지르지 않도록 하면, 즉, 축열조(32)의 양쪽 최종 단부(53, 54)를 모두 연결하는 선(55)이, 압축기(6) 혹은 압축기(6)의 상방의 모두를 가로지르지 않도록 한다면, 축열조(32)의 종단부(46, 47)의 부분을 길게 할 수 있어서,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장착하는 경우에, 축열조(32)의 종단부(46, 47)를 가지고 넓히기 쉬워지므로, 장착하기 쉬워진다. 특히, 축열조(32)와 압축기(6) 사이에 전열 촉진의 점착성이 있는 전열성 시트를 사이에 두는 경우는,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축열조(32)와 시트가 붙어 버리면, 그 이상 장착 작업을 계속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축열조(32)를 충분히 넓히면서 장착할 필요가 있으며, 축열조(32)의 양쪽 종단부(46, 47)를 길게하는 것은 축열조(32)를 쉽게 넓힐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압축기(6)의 전체 둘레 중 축열조(32)와 접하는 부분의 각도는, 축열조(32)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축열조(32)가 수지 등 탄성 변형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180°보다 크게 하고, 넓히면서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장착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만 한편, 축열조(32)를 너무 넓혀 파손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그 각도는 200°이하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축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열조(32)는, 통상 난방 운전 시에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재(36)에 축적하고, 통상 난방 운전으로부터 제상·난방 운전으로 이행했을 때에, 제 2 배관(20)에 있어서의 실내 열교환기(16)와 스트레이너(10) 사이에 분류된 액상 냉매의 일부가, 축열 열교환기(34)에서 축열재(36)로부터 흡열하여 증발, 기상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압축기(6)에서 발생한 열의 흡열 효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흡열 효율은, 축열조(32)와 압축기(6)의 밀착도에 의존하고 있지만, 압축기(6)는 원통형의 금속제이며 그 외주면에는 요철이 있으므로, 축열조(32)와 압축기(6)의 밀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압축기(6)와 축열조(32) 사이에 점착성의 전열성 시트를 사이에 두어, 흡열 효율을 향상 시키고 있다.
통상 난방 운전 시에 축열조(32)에 비축된 열은, 제상·난방 운전 시에는 서리의 용해에 이용되기 때문에, 축열재(36)에는 통상 난방 운전 시 동안 높은 온도의 열을 비축하는 것이, 제상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즉, 통상 난방 운전 시간과 압축기(6)의 표면 온도가 동일한 경우라도, 압축기(6)의 표면으로부터 축열조(32)에 수용된 축열재(36)로의 열의 전달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는 축열재(36)의 온도의 상승도 나빠지고, 반대로 압축기(6) 표면으로부터 축열재(36)로의 열의 전달이 양호한 경우는 축열재(36)의 온도의 상승도 양호해진다. 이들 열의 전달에 기여하는 것이, 축열조(32)와 압축기(6)의 밀착성에서, 양자 간에 여분 공기가 존재하면, 이것이 단열 효과가 되어 열의 전달이 나빠진다.
이상의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압축기(6)와 축열조(32) 사이에 적절한 두께의 점착성 전열 시트를 사이에 두고, 전열 성능을 올려야만 하며 밀착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설치하는 경우, 축열조(32)를 압축기(6)에 대해 상측에서 장착하도록 하면, 이 시트를 벗겨버리게 되므로, 옆에서 장착 가능하도록, 압축기(6)와 축열조(32)가 접하는 각도를 압축기(6)의 주위에 대하여 200°이하로 하고, 수지제의 축열조(32)를 종단부를 가지기 쉽게 하도록 하여, 넓히면서 장착하기 쉽게 하고 있다. 그리고 축열조(32)는 밴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축기(6)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통상 난방 운전 시에 축열재에 충분히 열을 비축할 수 있어서 축열재의 온도를 높이면서 제상·난방 운전에 임할 수 있으므로, 그 결과, 제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축열조(32)로부터 나오는 축열 열교환기(34)의 출입구관은, 축열조(32)의 종단부(46, 47)로부터 출입되므로, 덮개(48)에는 시일 부재(49, 50) 패킹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어, 이 부분의 조 폭은 두꺼워진다.
또한, 통상 난방 운전 시에 축열조(32)에 수납된 축열재(36)에 비축된 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상·난방 운전 시의 제상용으로 이용되는 것 이외, 제상·난방 운전 후나, 기기가 한 번 정지한 후의, 통상 난방 운전을 다시 실시할 때의 보조 열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재빠른 난방의 시작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축열 장치를 이용하는 냉동 사이클의 구성으로서는, 본 실시형태로 나타낸 것은 일예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축열 장치는, 압축기에서 발생한 폐열을 축열재에 축적하는데 따른 것이며, 공기 조화기, 냉장고, 급탕기, 히트 펌프식 세탁기 등에 유용하다.
2 : 실외기 4 : 실내기
6 : 압축기 8 : 사방 밸브
10 : 스트레이너 12 : 팽창 밸브
14 : 실외 열교환기 16 : 실내 열교환기
18 : 제 1 배관 20 : 제 2 배관
22 : 제 3 배관 24 : 제 4 배관
26 : 어큐뮬레이터 28 : 제 5 배관
30 : 제 1 전자 밸브 32 : 축열조
34 : 축열 열교환기 36 : 축열재
38 : 제 6 배관 40 : 제 7 배관
42 : 제 2 전자 밸브 44 : 온도 센서
45 : 축열조 본체 46, 47 : 종단부
48 : 덮개 49, 50 : 시일 부재
51, 52 : 조 폭 53, 54 : 최종 단부
55 : 양쪽 최종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선

Claims (7)

  1. 압축기와 외접하도록 배치된 축열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상기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축열조에는, 상기 축열조와 상기 압축기가 접하는 상기 압축기의 외주 부분 중 1개소에 절결부가 있으며, 상기 축열조의 종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조 폭은 축열조의 가장 조 폭이 얇은 부분에 비하여 두껍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구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축열 장치의 상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 폭을 두껍게 하는 부분은 상기 축열 열교환기의 출입구가 존재하는 부분이며, 상기 출입구에 시일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장치.
  4. 압축기와 외접하도록 배치된 축열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을 축열하는 축열재와, 상기 축열재를 수용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에 수용된 축열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축열조가 접하는 부분은 상기 압축기의 외주 중 200°이하이며, 상기 축열조의 양쪽 최종 단부를 연결하는 선은 상기 압축기의 투영면을 가로지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와 상기 축열조 사이에 전열성 시트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를 수지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압축기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부터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37005120A 2010-08-31 2011-02-28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20130108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3433 2010-08-31
JP2010193433A JP5110136B2 (ja) 2010-08-31 2010-08-31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PCT/JP2011/001137 WO2012029201A1 (ja) 2010-08-31 2011-02-28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274A true KR20130108274A (ko) 2013-10-02

Family

ID=4577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120A KR20130108274A (ko) 2010-08-31 2011-02-28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2613107B1 (ko)
JP (1) JP5110136B2 (ko)
KR (1) KR20130108274A (ko)
CN (2) CN104654642B (ko)
BR (1) BR112013004212A2 (ko)
WO (1) WO20120292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01A1 (ko) * 2014-10-28 2016-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축열 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
KR20160049994A (ko) * 2014-10-28 201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축열 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2755B (zh) * 2012-07-12 2016-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蓄热器
JP6289814B2 (ja) * 2013-03-28 2018-03-0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蓄熱装置及び空気調和機
CN104456775B (zh) * 2013-09-23 2018-06-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提高空调器室内制热量的方法及空调器
CN106643250A (zh) * 2017-01-11 2017-05-10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蓄热器及包括该蓄热器的空调室外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09Y2 (ja) * 1989-03-27 1995-03-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蓄熱装置
JPH079304B2 (ja) * 1989-11-17 1995-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蓄熱装置
JPH0765782B2 (ja) * 1989-11-17 1995-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蓄熱槽
JPH04203776A (ja) * 1990-11-29 1992-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H0510605A (ja) * 1991-07-04 1993-01-19 Daikin Ind Ltd 圧縮機用蓄熱装置
JPH0518614A (ja) * 1991-07-11 1993-01-26 Daikin Ind Ltd 蓄熱熱交換器と蓄熱熱交換器を備える圧縮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01A1 (ko) * 2014-10-28 2016-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축열 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
KR20160049994A (ko) * 2014-10-28 201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축열 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 조화기
US10156390B2 (en) 2014-10-28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storage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0669B (zh) 2015-04-15
CN104654642B (zh) 2017-07-25
BR112013004212A2 (pt) 2016-05-10
WO2012029201A1 (ja) 2012-03-08
EP2775235B1 (en) 2018-08-15
CN103080669A (zh) 2013-05-01
JP2012052682A (ja) 2012-03-15
EP2613107B1 (en) 2016-08-03
EP2613107A4 (en) 2013-10-09
CN104654642A (zh) 2015-05-27
EP2775235A1 (en) 2014-09-10
JP5110136B2 (ja) 2012-12-26
EP2613107A1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8274A (ko)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WO2011099061A1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WO2012042689A1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EP2623893B1 (en) Heat stora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heat storage device
JP2011163664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083394B2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WO2011099060A1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4085021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1163662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WO2012042691A1 (ja) 蓄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EP2623911B1 (e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eat storage device
JP4634529B1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2072934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4020679A (ja) 蓄熱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067460B2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2077935A (ja) 蓄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WO2013099163A1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2072958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3238380A (ja) 空気調和機
KR20120125289A (ko) 축열 장치 및 상기 축열 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2013104586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2072963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2077937A (ja) 蓄熱装置及び該蓄熱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040024347A (ko) 냉장고 열교환기의 냉매 누설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