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611A -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611A
KR20130103611A KR1020137019467A KR20137019467A KR20130103611A KR 20130103611 A KR20130103611 A KR 20130103611A KR 1020137019467 A KR1020137019467 A KR 1020137019467A KR 20137019467 A KR20137019467 A KR 20137019467A KR 20130103611 A KR20130103611 A KR 2013010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se
switch
cover member
cas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219B1 (ko
Inventor
마사타케 히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03914A external-priority patent/JP53304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039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9441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록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혼다 록
Publication of KR2013010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H01H27/06Key inserted and then turned to effect operation of the switch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는, 키 조작에 따른 로터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로터를 끼워 맞추는 실린더 구멍을 갖는 보디에, 고정 접점을 갖는 스위치 케이스가 부착되고, 고정 접점에 접촉할 수 있는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접점 홀더가, 로터에 연동, 연결되어 스위치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스위치 케이스의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에, 고정 접점에 이어져 스위치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단자를 덮는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에 있어서, 접점 홀더를 내장시킨 스위치 케이스(33)와, 커플러(35c)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스위치 케이스(33)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35)로 구성되는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보디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보디에 대한 스위치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키 조작에 따른 로터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로터를 끼워 맞추는 보디에, 고정 접점을 갖는 스위치 케이스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할 수 있는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접점 홀더가, 상기 로터에 연동,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에, 상기 고정 접점에 이어져 상기 스위치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단자를 덮는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는, 특허문헌 1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10284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에서는, 접점 홀더를 내장한 스위치 케이스를 보디에 부착한 후, 스위치 케이스의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를 보디에 부착하는 구조이며, 스위치 케이스 및 커버 부재를 보디에 따로따로 부착할 필요가 있어, 조립 작업이 번잡하다.
게다가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것에서는, 커플러가, 보디에 일체로 형성된 커플러 반부(半部)와, 커버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커플러 반부로 이루어진 2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양 커플러 반부를 서로 조립하는 작업도 필요로 되어, 보디에 대한 스위치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조립성이 우수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보디에 대한 스위치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조립성을 높인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키 조작에 따른 로터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로터를 끼워 맞추는 보디에, 고정 접점을 갖는 스위치 케이스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할 수 있는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접점 홀더가, 상기 로터에 연동,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에, 상기 고정 접점에 이어져 상기 스위치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단자를 덮는 커플러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수용되는 상기 접점 홀더와, 상기 커플러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커버 부재를 유닛화하여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 유닛은, 상기 접점 홀더를 상기 로터에 연동,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보디에 부착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스위치 케이스는 복수의 결합부에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 조립 유닛의 상기 보디에 대한 부착 상태로 상기 결합부를 외측에서 덮는 결합 해제 저지부는, 상기 결합부의 결합 해제를 저지하도록 하여 상기 보디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1 물빠짐 구멍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물빠짐 구멍은, 제1 물빠짐 구멍에 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중 어느 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로터의 회동 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에서의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으로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커버 부재에,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아암부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결합 아암부에 탄발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돌기가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마련되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특징 또는 제5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위치 케이스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가 마련되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2 결합부(64)는 본 발명의 결합부에 대응하고, 실시형태의 제2 결합 아암부(66)는 본 발명의 결합 아암부에 대응하며, 실시형태의 제2 결합 돌기(67)는 본 발명의 결합 돌기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의하면, 스위치 케이스, 접점 홀더 및 커버 부재를 유닛화하여 구성한 스위치 조립 유닛을 보디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보디에 대하여 스위치 케이스 및 커버 부재를 따로따로 부착할 필요가 없어, 조립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커버 부재에, 커플러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디에 대하여 커플러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여, 보디에 대한 스위치 케이스 및 커버 부재의 조립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보디에 일체로 마련되는 결합 해제 저지부는, 스위치 조립 유닛의 보디에 대한 부착 상태로 커버 부재 및 스위치 케이스의 결합부를 외측에서 덮어 결합부의 결합 해제를 저지하기 때문에, 스위치 케이스에 대한 커버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 다음, 보디에 스위치 조립 유닛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케이스로부터 커버 부재가 떨어져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의하면, 스위치 케이스에 형성된 제1 물빠짐 구멍에 통하는 제2 물빠짐 구멍은 제1 물빠짐 구멍보다 아래쪽에서 커버 부재에 형성되기 때문에, 스위치 케이스 내에 물이 침입했다 하더라도 제1 및 제2 물빠짐 구멍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 스위치 케이스 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의하면, 커버 부재는 스위치 케이스에 대하여 로터의 회동 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스위치 케이스에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 치수를 확보하기 위해 스위치 케이스를 로터의 회동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것이 불필요하여, 스위치 케이스, 즉 이그니션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의하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에 일체로 마련되어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아암부에, 스위치 케이스에 마련된 결합 돌기를 탄발적으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스위치 케이스에 커버 부재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스위치 케이스에 결합 아암부가 마련되는 것에 비해 스위치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의하면, 커버 부재는 스위치 케이스 및 커버 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가이드 기구로 가이드되어 스위치 케이스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스티어링 잠금 장치의 정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도 4는 도 2의 4 화살 표시도이다(제1 실시예).
도 5는 제2 케이스 반체 및 커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예).
도 6은 커버 부재의 일부를 절취하여 스위치 조립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예).
도 7은 도 4의 7-7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도 1 내지 도 4에서,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의 헤드 파이프(도시하지 않음)에는 금속제의 보디(11)가 부착되어 있고, 이 보디(11)에는 LOCK 위치 및 OFF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시에는 푸시 조작을 수반하는 것을 조건으로 LOCK 위치, OFF 위치 및 ON 위치를 순차적으로 점하도록 회동할 수 있는 로터(12)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며, 로터(12)의 회동 동작에 따라서 스위치 양태가 변화하는 이그니션 스위치(13)가 부착되고, 또한 로터(12)의 회동에 따라서 전타(轉舵) 조작의 허용 및 저지를 전환하는 잠금 부재(1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보디(11)에는, 상기 보디(11)의 일단(도 2 및 도 3의 좌단)에 일단을 개구하는 실린더 구멍(15)과, 실린더 구멍(15)의 타단에 이어지고 보디(11)의 측면으로 개방되는 오목부(16)와, 상기 오목부(16)와의 사이에 격벽(18)을 개재시켜 보디(11)의 타단(도 2 및 도 3의 우단)에 개방되는 바닥이 있는 스위치 수용 구멍(17)이 형성되며, 보디(11)의 측면에는, 상기 보디(11)와의 사이에 수용실(19)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오목부(16)의 개구단을 덮는 덮개판(20)이 부착된다.
상기 실린더 구멍(15)은, 상기 보디(11)의 일단에 개방되는 대직경 실린더 구멍부(15a)와, 대직경 실린더 구멍부(15a)보다 소직경으로 하여 대직경 실린더 구멍부(15a)의 타단에 일단이 동축으로 이어지는 소직경 실린더 구멍부(15b)를 포함하고, 대직경 실린더 구멍부(15a)의 타단 및 소직경 실린더 구멍부(15b)의 일단 사이에는 고리형의 단부(15c)가 형성된다.
로터(12)는, 정규 미케니컬 키(21)를 삽입하기 위한 바닥이 있는 키 구멍(22)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 구멍(15)의 소직경 실린더 구멍부(15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로터부(12a)와, 상기 실린더 구멍(15)의 대직경 실린더 구멍부(1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로터부(12a)의 일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온 플랜지부(12b)와, 상기 로터부(12a)의 타단에 이어져 크랭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실(19)에 수용되는 구동부(12c)와, 상기 로터부(12a)와 동축으로 하여 상기 구동부(12c)에 이어지는 축부(12d)와, 상기 축부(12d)에 이어지는 연결 축부(12e)를 일체로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12b)는, LOCK 위치 및 OFF 위치 사이에서의 회동시에 로터(12)를 푸시할 때 상기 단부(15c)에 접촉하여 로터(12)의 후퇴 한도를 규제하도록 하면서 상기 단부(15c)에 전방(도 2 및 도 3의 좌측)으로부터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축부(12d)의 일부는, 상기 격벽(18)에 형성된 관통 구멍(23)에 회동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삽입 관통된다.
상기 로터(12)에서의 로터부(12a)의 일단부에는 캡(24)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고, 이 캡(24)에는 상기 키 구멍(22)에 이어지는 키 삽입 구멍(25)이 형성된다. 상기 로터(12)의 일단부에는, 키 삽입 구멍(25)을 내측에서 폐쇄하는 셔터판(26)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셔터판(26)은, 미케니컬 키(21)가 키 삽입 구멍(25)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키 삽입 구멍(25)을 개방하도록 하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키 삽입 구멍(25)을 폐쇄하는 측으로 압박된다.
또한, 상기 보디(11)에는 상기 로터(12)에서의 로터부(12a) 중 상기 캡(24)이 끼워져 부착되는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부(27a)를 일단부에 갖는 합성 수지제의 보디 커버(27)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로터(12)에서의 플랜지부(12b)가 상기 원통부(27a)에 접촉함으로써, 로터(12)의 전진 한도가 규제된다.
보디(11)의 실린더 구멍(15)에서의 소직경 실린더 구멍부(15b)의 내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결합 홈(28, 28)이 형성되어 있고, 로터부(12a)에는, 정규 미케니컬 키(21)를 키 구멍(22)에 삽입함에 따라서 상기 결합 홈(28…)과의 결합을 해제하는 복수의 텀블러(29…)가, 상기 결합 홈(28…)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탄발 압박되면서 배치된다.
또한, 잠금 부재(14)는 상기 로터(12)의 축선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슬라이드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보디(11)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수용실(19) 내에서, 상기 로터(12)의 구동부(12c)에 연결된다. 즉, 잠금 부재(14)에는 상기 구동부(12c)를 삽입 관통시키는 연결 구멍(30)이 형성되는 것이며, 잠금 부재(14) 및 보디(11) 사이에는, 스티어링 샤프트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측으로 상기 잠금 부재(14)를 압박하는 스프링(31)이 마련된다.
이렇게 상기 구동부(12c)가 크랭크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로터(12)가 LOCK 위치 및 OFF 위치 사이에서 회동함에 따라, 잠금 부재(14)가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이며, 로터(12)의 LOCK 위치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샤프트에 결합하여 전타 조작을 저지하기 위해 돌출 위치에 있던 잠금 부재(14)가, OFF 위치에서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전타 조작을 허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후퇴하게 된다.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13)의 스위치 케이스(33)는, 상기 보디(11)의 스위치 수용 구멍(17)에 끼워 맞춰지도록 하여 보디(11)에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33) 내에는, 상기 로터(12)의 연결 축부(12e)에 연동, 연결되는 접점 홀더(34)가 로터(12)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도록 하여 수용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일부는 커버 부재(35)로 덮인다.
상기 스위치 수용 구멍(17)은, 상기 수용실(19)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격벽(18)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관통 구멍(23)과 동축인 소직경 구멍부(17a)와, 소직경 구멍부(17a)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소직경 구멍부(17a)에 동축으로 이어지는 대직경 구멍부(17b)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33)는, 상기 스위치 수용 구멍(17)에 끼워 맞춰지는 합성 수지제의 제1 케이스 반체(36)와, 상기 격벽(18)과는 반대측에서 제1 케이스 반체(36)에 부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제2 케이스 반체(37)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 반체(36)는, 격벽(18)에 접촉하는 단벽부(36a)를 일단부에 갖고 상기 스위치 수용 구멍(17)의 내측 둘레에 대응한 외측 둘레를 가지며 단차식의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벽부(36a)의 중앙부에는, 상기 격벽(18)의 관통 구멍(23)과 동축이며 상기 관통 구멍(23)보다 대직경인 투과 구멍(3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벽부(36a)의 외면에는, 상기 투과 구멍(38)과 동축의 링 형상인 끼워 맞춤 돌기부(36b)가 일체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격벽(18)에는, 상기 끼워 맞춤 돌기부(36b)를 끼워 맞추는 링 형상의 끼워 맞춤 오목부(39)가 마련된다.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제2 케이스 반체(37)는, 제1 케이스 반체(36)의 상기 단벽부(36a)와는 반대측의 개방 단부, 즉 타단부에 접촉하도록 하여 기본적으로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케이스 반체(36)의 타단부에 끼워 맞춰지는 짧은 원통형의 끼워 맞춤 통부(37a)가 제2 케이스 반체(37)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1 케이스 반체(36) 및 제2 케이스 반체(37)는, 이들 케이스 반체(36, 37) 사이에 접점 홀더(34)를 수용하도록 하여 복수의 제1 결합부(40…)에서 서로 결합되는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케이스 반체(36)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2개소의 제1 결합부(40…)에서 제1 케이스 반체(36) 및 제2 케이스 반체(37)가 서로 결합된다.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제1 결합부(40…)는, 제1 결합 구멍(41…)을 형성하도록 하여 제1 케이스 반체(36)에 일체로 마련되는 제1 결합 아암부(42…)와, 제1 결합 구멍(41…)에 결합하도록 하여 제2 케이스 반체(37)에 일체로 돌출되는 제1 결합 돌기(43…)를 포함하는 것이며, 제1 결합 아암부(42…)는 제1 케이스 반체(36)의 타단부의 외측 둘레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2개소로부터 제2 케이스 반체(37)측으로 연장된다. 한편, 제2 케이스 반체(37)의 측부 외면에는, 도 5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 아암부(42…)를 배치하기 위한 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결합 돌기(43…)는, 상기 홈(44…)에 배치된 제1 결합 아암부(42…)의 제1 결합 구멍(41…)에 결합하도록 하여 제2 케이스 반체(37)에 일체로 돌출된다.
이렇게 제2 케이스 반체(37)의 끼워 맞춤 통부(37a)를 제1 케이스 반체(36)에 끼워 맞추도록 하여 제1 및 제2 케이스 반체(36, 37)를 서로 접촉시키면, 제1 케이스 반체(36)의 제1 결합 아암부(42…)의 선단부가 휘어지면서 제2 케이스 반체(37)의 제1 결합 돌기(43…)를 타고 넘어, 제1 결합 돌기(43…)가 제1 결합 아암부(42…)에 탄발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제1 및 제2 케이스 반체(36, 37)가 서로 조립되어 스위치 케이스(33)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33) 중 제2 케이스 반체(37)의 내면에는, 한쌍씩 2조의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이 고정된다. 이들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은, 제2 케이스 반체(37)에 매설되는 복수의 버스바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버스바는 상기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에 개별적으로 이어지는 단자(47A, 47B; 48A, 48B)도 형성한다. 이들 단자(47A, 47B; 48A, 48B)는 헤드 파이프에 부착된 보디(11)에 스위치 케이스(33)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점 홀더(34)의 회동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하면서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제2 케이스 반체(37)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며, 이들 단자(47A, 47B; 48A, 48B)의 베이스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지지부(37b)가, 상기 양 홈(44…)과의 사이의 둘레 방향 간격을 등간격으로 한 위치에서 제2 케이스 반체(37)의 측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단자 지지부(37b)는, 제2 케이스 반체(37)의 끼워 맞춤 통부(37a)와의 사이에, 보디(11)의 타단부 및 제1 케이스 반체(36)의 타단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점 홀더(34)에는, 쌍을 이뤄 제2 케이스 반체(37)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에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가동 접점(49, 50)이 유지된다. 이들 가동 접점(49, 50)은 접점 홀더(34)의 회동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제1 케이스 반체(36)에 유지되어 있고, 제1 케이스 반체(36) 및 가동 접점(49, 50) 사이에는, 가동 접점(49, 50)을 제2 케이스 반체(37)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51, 52)이 마련된다.
그런데 상기 로터(12)의 연결 축부(12e)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격벽(18)의 관통 구멍(23)을 관통하는 횡단면이 원형인 상기 축부(12d) 및 상기 연결 축부(12e) 사이에는, 접점 홀더(34)측에 면한 단차부(12f)(도 2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점 홀더(34)의 중앙부에는 연결 통부(34a)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이 연결 통부(34a) 내에는 상기 연결 축부(12e)를 상대 회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바닥이 있는 연결 구멍(55)이, 횡단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 축부(12e)가 연결 구멍(55)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접점 홀더(34)가 로터(12)에 상대 회동 불가능하게 연동, 연결된다. 따라서 로터(12)의 회동에 따라서 접점 홀더(34)도 스위치 케이스(33) 내에서 회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49, 50) 및 상기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의 연통ㆍ차단 상태가 전환되어 스위칭 양태가 변화하게 된다.
게다가 로터(12)의 축부(12d) 및 연결 축부(12e) 사이의 상기 단차부(12f)에 접촉하는 스프링 받침판(56)과, 상기 접점 홀더(34) 사이에는 상기 연결 통부(34a)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인 리턴 스프링(57)이 수축되어 있고, 이 리턴 스프링(57)이 발휘하는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로터(12)는 플랜지부(12b)를 상기 보디 커버(27)의 원통부(27a)에 접촉시키는 측, 즉 전진 측으로 압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제1 케이스 반체(36)와 상기 접점 홀더(34) 사이에는, 접점 홀더(34)의 회동에 절도감을 부여하기 위한 클릭 기구(58)가 마련되어 있고, 이 클릭 기구(58)는, 상기 접점 홀더(3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2개소에 마련되어 제1 케이스 반체(36)의 단벽부(36a)측으로 개방된 바닥이 있는 스프링 수용 구멍(59…)과, 이들 스프링 수용 구멍(59…)의 개구 단부에 유지되는 구체(60…)와, 각 구체(60…)의 일부를 상기 로터(12)의 LOCK, OFF 및 ON의 각 위치에서 끼워 맞추도록 하여 상기 단벽부(36a)에 마련되는 오목부(61…)와, 상기 구체(60…)와 상기 접점 홀더(34) 사이에 개재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 수용 구멍(59…)에 수용되는 스프링(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35)는 제2 케이스 반체(37)를 외측에서 덮는 직사각형의 평판부(35a)와, 제2 케이스 반체(37)의 측부 중 상기 단자 지지부(37b)가 마련되는 부분측을 측방에서 덮도록 하여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판부(35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직각으로 이어지는 측벽부(35b)와, 제2 케이스 반체(37)의 단자 지지부(37b) 및 상기 단자 지지부(37b)로부터 돌출되는 단자(47A, 47B; 48A, 48B)를 수용, 배치하도록 하며 상기 측벽부(35b)로부터 돌출된 통형상의 커플러(35c)를 일체로 갖고 있고, 커버 부재(35)에 커플러(35c)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커버 부재(35)는 상기 로터(12) 및 상기 접점 홀더(34)의 회동 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63)(도 5 참조)에서의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으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 및 커버 부재(35)는, 복수 개소, 예컨대 2개소의 제2 결합부(64, 64)에서 서로 결합된다.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제2 결합부(64…)는, 제2 결합 구멍(65…)을 형성하도록 하여 커버 부재(35)에 일체로 마련되는 제2 결합 아암부(66…)와, 제2 결합 구멍(65…)에 결합하도록 하여 제2 케이스 반체(37)에 일체로 돌출되는 제2 결합 돌기(67…)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결합 아암부(66…)는 커버 부재(35)에서의 측벽부(35b)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방향(63)을 따라서 상기 커플러(35c)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케이스 반체(37)의 측부 외면에는 제2 결합 아암부(66…)의 제2 결합 구멍(65…)에 결합하도록 하여 제2 결합 돌기(67…)가 일체로 돌출된다.
이렇게 제2 케이스 반체(37)의 단자 지지부(37b) 및 단자(47A, 47B; 48A, 48B)를 커플러(35c) 내에 수용하도록 하여 커버 부재(35)를 제2 케이스 반체(37)에 대하여 슬라이드 방향(63)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2 결합 아암부(66…)와, 제2 결합 아암부(66…)에 탄발적으로 결합하는 제2 결합 돌기(67…)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64…)에서, 커버 부재(35)가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와 상기 커버 부재(35) 사이에는, 제2 케이스 반체(37)에 대한 커버 부재(35)의 상기 슬라이드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68)가 마련되어 있고, 이 가이드 기구(68)는, 상기 슬라이드 방향(63)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하여 제2 케이스 반체(35)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제1 가이드 돌기부(69…)와, 제1 가이드 돌기부(69…)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하여 상기 커버 부재(35)에서의 평판부(35a)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방향(63)을 따라서 연장되는 한쌍의 제1 가이드 오목부(70…)와, 상기 슬라이드 방향(63)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하여 제2 케이스 반체(37)의 양 측부로 돌출되는 한쌍의 제2 가이드 돌기부(71…)와, 제2 가이드 돌기부(7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도록 하여 상기 커버 부재(35)에서의 측벽부(35b)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2 가이드 오목부(72…)로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수용되는 상기 접점 홀더(34)와, 상기 커버 부재(3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화되어 스위치 조립 유닛(75)을 구성하는 것이며, 이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상기 접점 홀더(34)를 상기 로터(12)에 연동,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보디(11)에 부착된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인 제2 케이스 반체(37)의 4개의 모서리부 중 2개의 모서리부에서 제2 케이스 반체(37)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보스부(37c…)가, 커버 부재(35)에서의 평판부(35a)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제2 케이스 반체(27)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이들 보스부(37c…)에서 형성되는 삽입 관통 구멍(76…)에 대응하는 삽입 관통 구멍(77…)이 커버 부재(35)의 평면부(35a)에 형성된다.
상기 보디(11)에는 그 타단부로부터 외측방으로 튀어나온 플랜지부(11a)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조립 유닛(75)은, 그 스위치 조립 유닛(7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 반체(36)를 보디(11)의 스위치 수용 구멍(17)에 삽입하고 제2 케이스 반체(37) 중 제1 케이스 반체(36)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을 상기 플랜지부(11a)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보디(11)에 부착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 관통 구멍(76…, 77…)에 삽입 관통되는 나사 부재(78…)가, 상기 플랜지부(11a)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되고, 이들이 나사 부재(78…)를 체결함으로써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보디(11)에 부착된다. 즉, 스위치 조립 유닛(75)의 일부를 구성하여 접점 홀더(34)를 수용하는 스위치 케이스(33) 중 제2 케이스 반체(37)가 보디(11)에 나사 부재(78…)로 부착되고, 스위치 조립 유닛(75)의 잔부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35)가, 제2 케이스 반체(37)와 함께 체결되어 상기 나사 부재(78…)에 의해 보디(11)에 부착되게 된다.
이렇게 보디(11)의 스위치 수용 구멍(17)에서의 대직경 구멍부(17b)의 내면에는, 제1 케이스 반체(36)에 일체로 마련된 제1 결합 아암부(4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79…)가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마련된다.
또한,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보디(11)에는 상기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보디(11)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커플러(35c)와는 반대측에서 제2 케이스 반체(37)를 덮는 커버부(11b), 즉 헤드 파이프에 부착된 보디(11)에 상기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제2 케이스 반체(37)를 상측에서 덮는 커버부(11b)가 일체로 마련되고, 그 커버부(11b)의 양단에 일체로 이어지는 결합 해제 저지부(11c, 11c)가, 제2 결합부(64, 64)의 결합 해제를 저지하기 위해 제2 결합부(64…)를 외측에서 덮도록 하는 상기 보디(11)에 일체로 마련된다.
또한, 제1 케이스 반체(36)의 타단부에는 상기 커플러(35c)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돌기(80)가 돌출되어 있고, 그 위치 결정 돌기(80)를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 오목부(81)가 상기 커버부(11b)의 내면에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에는, 보디(11) 및 로터(12) 사이의 간극 및 접점 홀더(34)를 거쳐 제2 케이스 반체(37)측으로 흘러온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 물빠짐 구멍(82)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 파이프에 부착된 보디(11)에 상기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부착된 상태로 제1 물빠짐 구멍(8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물빠짐 구멍(83)이, 제1 물빠짐 구멍(82)에 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커버 부재(35)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스위치 케이스(33)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수용되는 접점 홀더(34)와, 커버 부재(35)를 유닛화하여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접점 홀더(34)를 로터(12)에 연동, 연결하도록 하여 보디(11)에 부착되기 때문에, 보디(11)에 대하여 스위치 케이스(33) 및 커버 부재(35)를 따로따로 부착할 필요가 없어, 조립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커버 부재(35)에, 커플러(35c)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디(11)에 대하여 커플러(35c)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여, 보디(11)에 대한 스위치 케이스(33) 및 커버 부재(35)의 조립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5) 및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가 한쌍의 제2 결합부(64…)에서 서로 결합되고, 스위치 조립 유닛(75)의 보디(11)에 대한 부착 상태로 제2 결합부(64…)를 외측에서 덮는 결합 해제 저지부(11c…)가, 제2 결합부(64…)의 결합 해제를 저지하도록 하여 보디(11)에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스위치 케이스(33)에 대한 커버 부재(35)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 다음, 보디(11)에 스위치 조립 유닛(75)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케이스(33)로부터 커버 부재(35)가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에 형성되는 제1 물빠짐 구멍(8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물빠짐 구멍(83)이, 제1 물빠짐 구멍(82)에 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커버 부재(35)에 형성되기 때문에, 스위치 케이스(33) 내에 물이 침입했다 하더라도 제1 및 제2 물빠짐 구멍(82, 83)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어, 스위치 케이스(33) 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35)는 로터(12)의 회동 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63)에서의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으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 치수를 확보하기 위해 스위치 케이스(33)를 로터(12)의 회동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어, 스위치 케이스(33), 즉 이그니션 스위치(13)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커버 부재(35)에 상기 슬라이드 방향(63)으로 연장되는 제2 결합 아암부(66…)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제2 케이스 반체(37)에, 제2 결합 아암부(66…)에 탄발적으로 결합하는 제2 결합 돌기(67…)가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스위치 케이스(33)에 커버 부재(35)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스위치 케이스(33)에 결합 아암부가 마련되는 데 비해 스위치 케이스(33)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케이스(33)와 커버 부재(35) 사이에, 스위치 케이스(33)에 대한 커버 부재(35)의 슬라이드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68)가 마련되기 때문에, 스위치 케이스(33)에 대한 커버 부재(35)의 슬라이드 결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11 : 보디 11c : 결합 해제 저지부
12 : 로터 13 : 이그니션 스위치
33 : 스위치 케이스 34 : 접점 홀더
35 : 커버 부재 35c : 커플러
45A, 45B, 46A, 46B : 고정 접점 47A, 47B, 48A, 48B : 단자
49, 50 : 가동 접점 63 : 슬라이드 방향
64 : 결합부인 제2 결합부 66 : 결합 아암부인 제2 결합 아암부
67 : 결합 돌기인 제2 결합 돌기 68 : 가이드 기구
75 : 스위치 조립 유닛 82 : 제1 물빠짐 구멍
83 : 제2 물빠짐 구멍

Claims (6)

  1. 키 조작에 따른 로터(12)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로터(12)를 끼워 맞추는 보디(11)에,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을 갖는 스위치 케이스(33)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에 접촉할 수 있는 가동 접점(49, 50)을 유지하는 접점 홀더(34)가, 상기 로터(12)에 연동,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케이스(33) 내에 수용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의 일부를 덮는 커버 부재(35)에, 상기 고정 접점(45A, 45B, 46A, 46B)에 이어져 상기 스위치 케이스(33)로부터 돌출된 단자(47A, 47B, 48A, 48B)를 덮는 커플러(35c)의 적어도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수용되는 상기 접점 홀더(34)와, 상기 커플러(35c)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커버 부재(35)를 유닛화하여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 유닛(75)은, 상기 접점 홀더(34)를 상기 로터(12)에 연동,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보디(1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35) 및 상기 스위치 케이스(33)는 복수의 결합부(64)에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 조립 유닛(75)의 상기 보디(11)에 대한 부착 상태로 상기 결합부(64)를 외측에서 덮는 결합 해제 저지부(11c)가, 상기 결합부(64)의 결합 해제를 저지하도록 하여 상기 보디(11)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형성되는 제1 물빠짐 구멍(8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물빠짐 구멍(83)은, 제1 물빠짐 구멍(82)에 통하도록 하면서 상기 커버 부재(3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35)는, 상기 로터(12)의 회동 축선에 직교하는 슬라이드 방향(63)에서의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대한 슬라이드 동작으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커버 부재(35)에, 상기 슬라이드 방향(63)으로 연장되는 결합 아암부(66)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결합 아암부(66)에 탄발적으로 결합하는 결합 돌기(67)가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와 상기 커버 부재(35) 사이에, 상기 스위치 케이스(33)에 대한 상기 커버 부재(35)의 상기 슬라이드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6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KR1020137019467A 2011-01-12 2011-08-31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KR101426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3914A JP5330417B2 (ja) 2011-01-12 2011-01-12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JP2011003915A JP5394413B2 (ja) 2011-01-12 2011-01-12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JPJP-P-2011-003914 2011-01-12
JPJP-P-2011-003915 2011-01-12
PCT/JP2011/069725 WO2012096026A1 (ja) 2011-01-12 2011-08-31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611A true KR20130103611A (ko) 2013-09-23
KR101426219B1 KR101426219B1 (ko) 2014-08-01

Family

ID=4650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467A KR101426219B1 (ko) 2011-01-12 2011-08-31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26219B1 (ko)
CN (1) CN103299388B (ko)
WO (1) WO2012096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0182A (ja) * 2012-12-03 2014-06-12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051032B2 (ja) * 2012-12-11 2016-12-21 株式会社アルファ エンジン始動装置
JP6146205B2 (ja) * 2013-08-27 2017-06-14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36439B (en) * 1996-03-27 2001-05-28 Honda Motor Co Ltd Main switch of vehicle
JPH11238436A (ja) * 1998-02-24 1999-08-31 Honda Lock Mfg Co Ltd ロータリースイッチ装置
JP4201301B2 (ja) 2000-01-24 2008-12-24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密閉型電池
AU2003299217A1 (en) * 2002-12-13 2004-07-09 Valeo Sistemas De Seguridad Y De Cierre, S.A Ignition switch with low current and digital signal for vehicles and ignition device equiped with said switch
JP4430556B2 (ja) * 2005-01-31 2010-03-10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ロータリースイッチ装置
JP4474294B2 (ja) * 2005-01-31 2010-06-0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スイッチ装置
JP4523435B2 (ja) * 2005-01-31 2010-08-11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US8542092B2 (en) * 2009-01-29 2013-09-24 Trw Automotive U.S. Llc Keyless-go ignition switch with fault back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9388A (zh) 2013-09-11
CN103299388B (zh) 2016-09-28
KR101426219B1 (ko) 2014-08-01
WO2012096026A1 (ja)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83331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photo conductor drum
KR101426219B1 (ko)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JP2008144968A (ja) ボールジョイント装置
JP2011253655A (ja) コネクタ
JP4722997B2 (ja) 摺動可能なピンおよび阻止装置を備えたプラグ
JP4958810B2 (ja) 車両用シリンダ錠装置
US9605447B2 (en) Cylinder locking device
CN105918269B (zh) 双轴承绕线轮
JP5330417B2 (ja)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JP5394413B2 (ja)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JP2008288166A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2011153432A (ja) 建物型操作盤用ヒンジ機構
JP2010270484A (ja) プッシュラッチ
EP3128527A1 (en) Switch device
JP4825325B2 (ja) シリンダ錠装置
JP2007204961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5778627B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装置
JP4801812B2 (ja) 車両用シリンダ錠装置
JP5984086B2 (ja) ロータリスイッチ
JP4523435B2 (ja) 車両用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JP2013252835A (ja) シフト装置
JP2020111903A (ja) 車両のリッド開閉装置
JP7171902B2 (ja) 回転式伸縮装置
JP6734105B2 (ja) ロック機構
JP5118561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