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897A -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897A
KR20130098897A KR1020130002818A KR20130002818A KR20130098897A KR 20130098897 A KR20130098897 A KR 20130098897A KR 1020130002818 A KR1020130002818 A KR 1020130002818A KR 20130002818 A KR20130002818 A KR 20130002818A KR 20130098897 A KR20130098897 A KR 2013009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fringe
knitted fabric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502B1 (ko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9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프린지의 근원이 종래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프린지를 편성할 수 있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횡편기를 사용하여 공정α∼γ를 반복함으로써 프린지(20)를 편성한다. 공정α에서는, 프린지(20)의 기점이 되는 기점 스티치(1)를 형성한다. 공정α의 후에 이루어지는 공정β에서는, 기점 스티치(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급사구(9)를 이동시킨 후에 기점 스티치(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급사구(9)를 이동시키고, 이 왕복이동을 할 때에 가결합 스티치(2)를 형성함으로써 프린지(20)를 형성한다. 공정β의 후에 이루어지는 공정γ에서는, 공정α에서 형성된 기점 스티치(1)에 계속되는 비틀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멈춤 스티치(3)를 형성하여, 상기 공정β에서 형성된 프린지(20)의 근원을 고정한다.

Description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본 발명은, 웨일방향(wale方向)의 임의의 위치에 프린지(fringe)를 구비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머플러(muffler)나 쿠션(cushion), 니트웨어의 후드(hood)나 칼라(collar) 등에 프린지를 편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프린지를 편성하면서 그 프린지의 근원(根源)을 고정할 수 있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16124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편성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표면이 매끈매끈한 편사나 가는 편사 등을 사용하여 프린지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프린지를 강하게 잡아당겼을 때에 프린지가 빠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견고하게 프린지의 근원을 고정할 수 있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린지의 근원이 종래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프린지를 편성할 수 있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와, 그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fringe)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의 공정α∼γ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정α] … 프린지의 기점(起點)이 되는 기점 스티치(起點 stitch)를 편성한다.
[공정β] … 공정α의 후에, 기점 스티치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급사구를 이동시킨 후에 기점 스티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급사구를 이동시키고, 이 왕복이동을 할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가 결합되는 편침 이외의 편침에 가결합 스티치(假結合 stitch)를 편성함으로써 프린지를 형성한다.
[공정γ] … 공정β의 후에, 공정α에서 형성된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되는 비틀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여, 공정β에서 형성된 프린지의 근원(根源)을 고정한다. 또 상기 기점 스티치는 공침에 형성되는 걸림루프이더라도 좋고, 베이스 편성포부에서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에 의하여 분기된 스티치에 계속되는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공정α∼γ를 반복하지만, 그 반복을 할 때에 n회째의 공정α는, n-1회째의 공정α의 후이면 언제 하여도 좋다(n = 2 이상의 자연수).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반복패턴을 들 수 있다.
[1]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γ의 후에 한다.
(예)공정α1 → 공정β1 → 공정γ1 → 공정α2 → 공정β2 → 공정γ2 → 공정α3
[2]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의 후이고 또한 n-1회째의 공정γ의 전에 한다.
(예)공정α1 → 공정β1 → 공정α2 → 공정γ1 → 공정β2 → 공정α3 → 공정γ2
[3]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의 전에 한다.
(예)공정α1 → 공정α2 → 공정β1 → 공정γ1 → 공정α3 → 공정β2 → 공정γ2 → 공정α4 → 공정β3 → 공정γ3
특히 상기 반복패턴[2]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공정γ에 있어서, 멈춤 스티치의 형성 직후에, 그 멈춤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보강 스티치(補强 stitch)를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보강 스티치는, 멈춤 스티치와는 역방향으로 비틀린 비틀림 스티치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프린지를 형성하면서 그 프린지의 근원을 종래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프린지 부착 편성포에서는, 프린지를 잡아당기더라도 프린지의 근원에서 편사가 벗어나는 것이 거의 없어,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프린지가 풀리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프린지를 형성하기 위한 기점 스티치가 걸림루프인 경우가 있다. 걸림루프는 단지 편침에 편사를 건 것뿐이기 때문에, 연속하여 그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하여 편침을 니들베드갭 방향으로 진출시켰을 때에 편침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걸림루프의 클리어링(clearing)이 되지 않아 걸림루프에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공정α∼γ를 반복하기 때문에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멈춤 스티치의 편성(n회째의 공정γ) 전에, 반드시 1개 전의 멈춤 스티치를 편성한다(n-1회째의 공정γ). 이 n-1회째의 공정γ의 멈춤 스티치는, 편성에 의하여 그 싱커루프(sinker loop)가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그 멈춤 스티치에 연결되는 n회째의 공정γ의 기점 스티치와의 교차사에도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내려가는 힘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기점 스티치가 걸림루프이더라도 편침의 진출에 기점 스티치가 부착되는 것이 거의 없어, 기점 스티치에 대한 멈춤 스티치의 편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린지를 형성할 때에 일단 프린지를 니들베드갭 근방에서 임시 멈추도록 하기 위하여 가결합 스티치를 편성하는 것도 기점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멈춤 스티치의 편성이 원활하게 되는 요인이다.
상기 반복패턴[2]의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다른 반복패턴보다 프린지 및 그 근원 근방의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복패턴[2]의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기점 스티치에 대한 멈춤 스티치의 편성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n회째의 공정α의 기점 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n-1회째의 공정γ에서 멈춤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그 멈춤 스티치에 연결되는 n회째의 공정α의 기점 스티치를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강하게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n-1회째의 공정γ의 후에 하는 n회째의 공정β에서 프린지를 형성할 때에 프린지를 구성하는 편사가, n회째의 공정α의 기점 스티치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교차사에 교차하는 것도 기점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기 쉽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것은, 기점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하여 편침을 상승시켰을 때에 프린지를 구성하는 편사가 기점 스티치의 상기 교차사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는 본 발명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프린지의 근원의 고정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는 편사나 표면이 매끈매끈한 편사를 사용하여 프린지를 형성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프린지의 근원을 고정할 수 있다. 비틀림 스티치인 멈춤 스티치와 역방향으로 보강 스티치를 비틀음으로써 프린지를 잡아당겼을 때에 보강 스티치 또는 멈춤 스티치의 일방이 반드시 프린지의 근원을 조이기 때문이다.
도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도2의 편성공정에 따라 편성된 프린지 근방의 편사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4의 (A), (B)는, 도2의 편성공정도에 있어서의 공정의 일부 순서를 바꾸어서 편성된 프린지 근방의 편사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기재된 편성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이하, BB)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2베드 횡편기(2bed 橫編機)를 사용하였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트랜스퍼 전용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더라도 좋고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도1에 나타내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는 니트웨어(knit wear)의 칼라(collar)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칼라를 구성하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100)의 웨일방향(wale方向) 중간부에, 복수의 프린지(20)를 형성한 프린지 형성부(fringe 形成部)(200)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지 형성부(200)는,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로 이루어지는 프린지열(fringe列)이 웨일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칼라를 구비하는 니트웨어를 착용할 때에는, 프린지(20)가 외측에 배치되도록 프린지 형성부(200)의 위치에서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되돌린다.
상기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도2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좌란(左欄)에 기재되는 「S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중란(中欄)의 좌우방향의 화살표 및 상하방향의 화살표는 각각 급사구(給絲口)의 이동방향 및 스티치의 트랜스퍼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우란(右欄)은 각 편성공정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편성동작을 나타내며, 검은점은 편침, ●은 새롭게 형성되는 스티치, ○은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 V자는 걸림루프를 나타낸다. 또 우란에 있어서 실제로 이루어진 편성동작은 굵은선으로 나타낸다.
도2의 S1에서는, FB의 편침(Q, O, M, K, I, G, E, C, A)을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편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1의 상태로부터 S2 이후의 편성에 의하여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를 편성하여 간다.
S2에서는, FB의 편침(A)의 스티치를 제외하고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를 BB로 트랜스퍼 하여 둔다. 이것은, FB에 있어서 이제부터 프린지(20)를 편성하는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대피시켜서 프린지(20)가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편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준비공정이다.
S3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紙面)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A)에 결합되는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101)를 편성한 후에 공침(空針)인 FB의 편침(C, F, L)에 걸림루프를 편성한다. S3에서 형성된 걸림루프 중에서 편침(C)의 걸림루프는, 첫 번째 프린지(20)의 기점이 되는 기점 스티치(起點 stitch)(1)이다. 나머지 걸림루프는 프린지(20)에 소정의 길이를 부여하는 가결합 스티치(假結合 stitch)(2)이며, 후에 니들베드로부터 빠진다. 가결합 스티치(2)는, S1에서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지 않았던 편침에 형성된다. 가결합 스티치(2)는, 적어도 프린지(20)의 근원(根源)을 고정하는 다음에 설명하는 S5가 끝날 때까지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으면 좋고, S5 이후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니들베드로부터 빠질 수 있다(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이 종료될 때까지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이더라도 상관없다). 이후에 가결합 스티치(2)의 결합상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S4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공침인 FB의 편침(P, J, E)에 걸림루프를 편성한다. 이들 S3, S4에 의하여 첫 번째 프린지(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S4에서 형성된 걸림루프 중에서 편침(P, J)의 걸림루프는, 프린지(20)에 소정의 길이를 부여하는 가결합 스티치(2)이다. 한편 편침(E)의 걸림루프는 두 번째 프린지(20)의 기점이 되는 기점 스티치(1)이다.
S5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S3에 있어서 편침(C)에 형성된 기점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멈춤 스티치(3))를 편성한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멈춤 스티치(3)는 비틀림 스티치이며, S3, S4에서 형성된 프린지(20)의 근원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멈춤 스티치(3)를 새롭게 편성하는 기점 스티치(1)는 걸림루프이지만, 그 기점 스티치(1)는 편침(A)의 스티치(101)에 의하여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으로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기점 스티치(1)에 새로운 멈춤 스티치(3)를 편성할 때에 기점 스티치(1)의 클리어링(clearing)이 되기 쉽고, 따라서 멈춤 스티치(3)를 편성하기 쉽다. 스티치(101)에 의하여 기점 스티치(1)가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은, 양쪽 스티치(101, 1)가 교차사(cross-over yarn)에 의하여 연결되고 또한 스티치(101)가 편성에 의하여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기점 스티치(1)에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S6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S5에 있어서 형성된 멈춤 스티치(3)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보강 스티치(補强 stitch)(4))를 편성한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 이동시킨다. 이 보강 스티치(4)는, 멈춤 스티치(3)와는 비틀어지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는 비틀림 스티치이다. 비틀림 스티치인 멈춤 스티치(3)와 역방향으로 보강 스티치(4)를 비틀음으로써 프린지(20)를 잡아당겼을 때에, 보강 스티치(4) 또는 멈춤 스티치(3)의 일방(一方)이 반드시 프린지(20)의 근원을 조이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는 편사나 표면이 매끈매끈한 편사를 사용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프린지(20)의 근원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보강 스티치(4)의 편성은 필수가 아니라, 상기 S5의 후에 S6을 하지 않고 다음에 설명하는 S7을 하여도 좋다. 또한 보강 스티치(4)는, S5에서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편성함으로써 비틀어지지 않고 있는 스티치로 하여도 좋다(이 경우에 S6은 생략한다). 다만 스티치(3, 4)를 양쪽 모두 비틀림 스티치로 하는 쪽이 프린지(20)의 근원의 고정은 견고하다.
S7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H, N)에 가결합 스티치(2)를 편성하고, S8에서는, 급사구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R, L)에 가결합 스티치(2)를, 편침(G)에 세 번째 프린지(20)의 기점이 되는 기점 스티치(1)를 편성한다.
S9, S10에서는, S4에서 형성된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멈춤 스티치(3)와 보강 스티치(4)의 편성을 하여 두 번째 프린지(20)의 근원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여기에서 기점 스티치(1)는 걸림루프이지만, 그 기점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멈춤 스티치(3)를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다. 이것은,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지면 좌측으로 연결되는 멈춤 스티치(3)(S5, S6 참조)가 편성에 의하여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감으로써 기점 스티치(1)가 강하게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이다. 부가하여 S7에서 형성되는 프린지(20)의 편사가,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교차사와 교차하고 있는 것도 멈춤 스티치(3)를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이다.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에 새로운 멈춤 스티치(3)를 편성할 때에, 그 기점 스티치(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교차사와 교차하는 프린지(20)의 편사가 당해 교차사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2의 편성공정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방법의 공정α∼공정γ를, 공정α(S3의 전반) → 공정β(S3의 후반 + S4의 전반) → 공정α(S4의 후반) → 공정γ(S5 + S6) → 공정β(S7 + S8의 전반) → 공정α(S8의 후반) → 공정γ(S9 + S10) … 의 순서로 반복하고 있다. 즉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와 공정γ의 사이에서 하고 있다. S10 이후에는, S7∼S10과 동일한 편성을 편침의 위치를 바꾸어서 반복함으로써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로 이루어지는 프린지열이 편성된다. 또 프린지(20)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FB에 가결합 스티치(2)를 편성하는 공침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때에는 이미 FB에 결합되는 가결합 스티치(2)에 계속되어 새로운 프린지(20)의 가결합 스티치(2)를 형성하여도 좋다.
S11에는, 복수의 프린지(20)를 형성하여 끝내고 FB의 편침(C, E, G, I, K, M, O, Q)에 프린지(20)의 근원을 고정하는 보강 스티치(4)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11의 상태로부터 S12에서는, 프린지(20)를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고정하기 위하여 BB에 맡겨둔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를 FB의 보강 스티치(4)와 포개어서, 그 더블루프(double loop)에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한다. 그 결과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로 이루어지는 일렬(一列)의 프린지열이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도1에 나타내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는 복수의 프린지열이 웨일방향으로 나란한 편성포이기 때문에, S12의 후에 S1로부터 시작되는 프린지열의 편성을 또 한다. 그리고 원하는 수의 프린지열을 편성하면, 최후의 프린지열을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고정하는 S12의 후에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편성을 또 하여 도1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를 완성한다. 물론 프린지열의 사이에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어느 정도 편성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따라 편성된 프린지 부착 편성포에서는, 프린지의 근원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당해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프린지가 빠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이유를 도3의 루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도1의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S12가 종료된 시점에서의 프린지(20) 근방의 스티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이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린지(20)의 근원이 되는 기점 스티치(1)에 계속되는 새로운 멈춤 스티치(3)와 보강 스티치(4)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 스티치(3, 4)는 프린지(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린지(20)를 잡아당기면, 프린지(20)에 연결되는 스티치(3, 4)가 작게 오그라들어서 각각의 스티치(3, 4)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티치의 근원을 조인다. 그 결과 프린지(20)의 근원이 고정되어 프린지(20)가 빠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과는 다른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n회째의 공정α는 n-1회째의 공정β 전에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2의 S4(S8)에서 하였던 편침(E)(편침(G))의 기점 스티치(1)의 편성을 S3(S7)에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4(A)의 루프도에 나타내는 상태의 프린지(20)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그 이외에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γ 후에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의 S4에서 하였던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편성을 S7에서 하고, S8에서 하였던 편침(G)의 기점 스티치(1)의 편성을 S10의 후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4(B)의 루프도에 나타내는 상태의 프린지(20)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들의 편성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프린지(20)의 근원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2의 S12에 있어서 FB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코 빼기 처리하면, 편성포의 말단(末端)에 프린지열이 형성된 편성포로 할 수 있다. 이것을 응용하면 머플러(muffler) 등과 같이 웨일방향의 양단에 프린지열을 가지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성시작부를 형성하고, 그 편성시작부에 대하여 도2의 편성을 한 후에 머플러의 본체가 되는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편성한다. 그리고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말단에 도2의 편성을 한 후에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코 빼기 처리한다.
100 : 베이스 편성포부 101 : 스티치
200 : 프린지 형성부 20 : 프린지
1 : 기점 스티치(걸림루프)
2 : 가결합 스티치(걸림루프)
3 : 멈춤 스티치(비틀림 스티치)
4 : 보강 스티치(비틀림 스티치)
9 : 급사구

Claims (3)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와, 그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fringe)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린지의 기점(起點)이 되는 기점 스티치(起點 stitch)를 편성하는 공정α와,
    공정α의 후에, 상기 기점 스티치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급사구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기점 스티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급사구를 이동시키고, 이 왕복이동을 할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가 결합되는 편침 이외의 편침에 가결합 스티치(假結合 stitch)를 편성함으로써 프린지를 형성하는 공정β와,
    공정β의 후에, 상기 공정α에서 형성된 상기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되는 비틀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여, 상기 공정β에서 형성된 프린지의 근원(根源)을 고정하는 공정γ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의 후이고 또한 n-1회째의 공정γ의 전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단, n은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γ에 있어서, 상기 멈춤 스티치의 형성 직후에, 그 멈춤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고 또한 상기 멈춤 스티치와는 역방향으로 비틀어진 비틀림 스티치인 보강 스티치(補强 stitch)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30002818A 2012-02-28 2013-01-10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449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2297A JP5865730B2 (ja) 2012-02-28 2012-02-28 フリンジ付編地の編成方法
JPJP-P-2012-042297 2012-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97A true KR20130098897A (ko) 2013-09-05
KR101449502B1 KR101449502B1 (ko) 2014-10-08

Family

ID=4782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818A KR101449502B1 (ko) 2012-02-28 2013-01-10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34299B1 (ko)
JP (1) JP5865730B2 (ko)
KR (1) KR101449502B1 (ko)
CN (1) CN10329060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2B1 (ko) * 2014-05-20 2014-12-11 채희준 니트웨어 편직방법
KR20170072262A (ko) * 2014-10-17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220079449A (ko) * 2020-12-04 2022-06-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3846B (zh) * 2018-07-27 2021-02-02 珠海建轩服装有限公司 织物中制作流苏的方法
CN108842269B (zh) * 2018-08-03 2020-06-16 内蒙古鹿王羊绒有限公司 双面针织物的双层流苏复合结构的编织方法
IT201900002185A1 (it) * 2019-02-14 2020-08-14 Csp Int Fashion Group S P A Indumento a maglia tubolare variamente decorato
CN112553756B (zh) * 2020-12-01 2022-03-01 桐乡嘉裕时装有限公司 一种针织衫编织流苏防脱散工艺
CN112481787B (zh) * 2020-12-07 2022-04-05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织带状流苏组织及其编织方法
CN113818128B (zh) * 2021-11-04 2023-01-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横机纬编织物流苏组织及其编织方法
CN114232188B (zh) * 2021-12-16 2023-06-13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竖向流苏组织结构及其编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741A (ja) * 1992-02-20 1993-09-07 Shima Seiki Mfg Ltd フリンジ付き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3523501B2 (ja) * 1998-09-25 2004-04-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インレイ編地編成方法およびインレイ編地
JP2001055651A (ja) * 1999-08-11 2001-02-27 Tsudakoma Corp 横編地における渡り糸の括結解れ止め法
ITCO20000014A1 (it) * 2000-06-09 2001-12-09 Franco Sciacca Metodo e attrezzatura per produrre articoli a maglia tubolare mediante lo scarico e ripresa di maglie programmati anche con scarto d'ago e f
US6912876B2 (en) * 2003-11-21 2005-07-05 Sara Lee Corporation Shaped blank
JP2006161241A (ja) * 2004-12-10 2006-06-22 Shima Seiki Mfg Ltd 糸抜け防止処理されたフリンジ付き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157219B1 (en) * 2007-04-27 2016-08-24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for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2011226019A (ja) * 2010-04-20 2011-11-10 Shima Seiki Mfg Ltd フリンジ付き筒状編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2B1 (ko) * 2014-05-20 2014-12-11 채희준 니트웨어 편직방법
KR20170072262A (ko) * 2014-10-17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220079449A (ko) * 2020-12-04 2022-06-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4299B1 (en) 2015-03-25
JP5865730B2 (ja) 2016-02-17
JP2013177709A (ja) 2013-09-09
EP2634299A1 (en) 2013-09-04
KR101449502B1 (ko) 2014-10-08
CN103290609A (zh) 2013-09-11
CN103290609B (zh)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502B1 (ko)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EP2226417B1 (en) Fabric knitting method and fabric
EP1728908A1 (en) Knitting method for wide rib texture by plating
EP2390393A1 (en)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KR101356981B1 (ko)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JP5695862B2 (ja) 編地の編出し方法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EP2319969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5736250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EP2568066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KR101324524B1 (ko) 홀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JP5479048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648748B1 (ko)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JP3099304B2 (ja) 解れ止め方法
JP2017186694A (ja) 編糸の解れ止め方法
KR101356985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 방법, 및 편성포
JP2013019062A (ja) 編目抑止杆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11088586B (zh) 针织物的接合方法及接合后的针织物
JP3121278B2 (ja) 編地終端部の編成方法及び該編地終端部の編成方法により編成された編地
WO2022191048A1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CN109423752A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