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897A -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 Google Patents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897A
KR20130098897A KR1020130002818A KR20130002818A KR20130098897A KR 20130098897 A KR20130098897 A KR 20130098897A KR 1020130002818 A KR1020130002818 A KR 1020130002818A KR 20130002818 A KR20130002818 A KR 20130002818A KR 20130098897 A KR20130098897 A KR 2013009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fringe
knitted fabric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9502B1 (en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9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8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PURPOSE: A knitting method of fringe attaching knitted fabric is provided to fix the root of fringe more firmly. CONSTITUTION: A knitting method of fringe attaching knitted fabric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t least a pair of needle beds and a thread guide (9); knitting a knitted fabric comprising multiple fringe (20) and base (100) by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 of stitch (101) between the needle beds; moving the thread guide in a direction becoming further from the start point stitch; moving the thread guide in a direction becoming closer to the start point stitch; forming fringe by knitting a tack bond stitch (2); knitting a stop stitch (3) comprising twisting stitch which is continued in a wale direction of the start point stitch; repeating the process of fixing the origin of the formed fringe.

Description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0001]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0002]

본 발명은, 웨일방향(wale方向)의 임의의 위치에 프린지(fringe)를 구비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having a fringe at an arbitrary position in a wale direction (wale direction).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머플러(muffler)나 쿠션(cushion), 니트웨어의 후드(hood)나 칼라(collar) 등에 프린지를 편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프린지를 편성하면서 그 프린지의 근원(根源)을 고정할 수 있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A fringe is knitted into a muffler, a cushion, a hood or a collar of a knitwear by using a weaving machin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knitting method of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capable of fixing a root of a fringe while knitting the fringe.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16124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161241

그러나 종래의 편성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표면이 매끈매끈한 편사나 가는 편사 등을 사용하여 프린지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프린지를 강하게 잡아당겼을 때에 프린지가 빠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견고하게 프린지의 근원을 고정할 수 있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기대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knitting method, for example, when a fringe is formed by using a smooth knitting yarn or a thin knitting yarn, the fringing may be lost when the fringing yarn is pulled strongly. For this reason, a method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capable of firmly fixing a root of a fringe is expected.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린지의 근원이 종래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프린지를 편성할 수 있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method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capable of knitting a fringe whose root of a fringe is firmly fixed.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와, 그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fringe)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의 공정α∼γ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achine comprising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nd a yarn feeder for feeding yarn to a knitting needle of the needle bed, A base knitted fabric portion and a plurality of fring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base knitted fabric portion by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a knitted fabri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ethod of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for knitting a fringe knitted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lowing steps? To? Are repeated.

[공정α] … 프린지의 기점(起點)이 되는 기점 스티치(起點 stitch)를 편성한다.[Process alpha] ... The starting stitch is form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fringe.

[공정β] … 공정α의 후에, 기점 스티치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급사구를 이동시킨 후에 기점 스티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급사구를 이동시키고, 이 왕복이동을 할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가 결합되는 편침 이외의 편침에 가결합 스티치(假結合 stitch)를 편성함으로써 프린지를 형성한다.[Process beta] ... After the step < RTI ID = 0.0 > a, < / RTI > the yarn feeder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tarting point stitch after moving the yarn feed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arting stitch, (Flanking stitch).

[공정γ] … 공정β의 후에, 공정α에서 형성된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되는 비틀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여, 공정β에서 형성된 프린지의 근원(根源)을 고정한다. 또 상기 기점 스티치는 공침에 형성되는 걸림루프이더라도 좋고, 베이스 편성포부에서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에 의하여 분기된 스티치에 계속되는 스티치이더라도 좋다.[Process γ] ... After the process?, A stop stitch comprising a twist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wale direction) of the starting stitch formed in the process? Is knitted to fix the root of the fringe formed in the process?. Further, the starting point stitch may be a latching loop formed in co-ordination, or may be a stitch subsequent to a stitch branched by a split stitch in the base knitting section.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공정α∼γ를 반복하지만, 그 반복을 할 때에 n회째의 공정α는, n-1회째의 공정α의 후이면 언제 하여도 좋다(n = 2 이상의 자연수).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반복패턴을 들 수 있다.In the method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s? To? Are repeated, but the n-th step? May be repeated at any time after the n-1th step? = 2 or more natural number). Specifically, the following repeating pattern can be mentioned.

[1]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γ의 후에 한다.[1] The n-th process α is performed after the n-1-th process γ.

(예)공정α1 → 공정β1 → 공정γ1 → 공정α2 → 공정β2 → 공정γ2 → 공정α3(Example) Process α 1 → Process β 1 → Process γ 1 → Process α 2 → Process β 2 → Process γ 2 → Process α 3 ...

[2]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의 후이고 또한 n-1회째의 공정γ의 전에 한다.[2] The n-th process α is performed after the n-1-th process β and before the n-1-th process γ.

(예)공정α1 → 공정β1 → 공정α2 → 공정γ1 → 공정β2 → 공정α3 → 공정γ2(Example) Process α 1 → Process β 1 → Process α 2 → Process γ 1 → Process β 2 → Process α 3 → Process γ 2 ...

[3]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의 전에 한다.[3] The n-th process α is performed before the n-1-th process β.

(예)공정α1 → 공정α2 → 공정β1 → 공정γ1 → 공정α3 → 공정β2 → 공정γ2 → 공정α4 → 공정β3 → 공정γ3(Example) Process α 1 → Process α 2 → Process β 1 → Process γ 1 → Process α 3 → Process β 2 → Process γ 2 → Process α 4 → Process β 3 → Process γ 3 ...

특히 상기 반복패턴[2]가 가장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repeating pattern [2] is most preferable.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한 형태로서, 공정γ에 있어서, 멈춤 스티치의 형성 직후에, 그 멈춤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보강 스티치(補强 stitch)를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보강 스티치는, 멈춤 스티치와는 역방향으로 비틀린 비틀림 스티치로 한다.
As a form of the method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rm for knitting a reinforcing stitch continu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opping stitch,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of the stopping stitch, .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stitches are torsionally stitch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stopping stitches.

본 발명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프린지를 형성하면서 그 프린지의 근원을 종래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프린지 부착 편성포에서는, 프린지를 잡아당기더라도 프린지의 근원에서 편사가 벗어나는 것이 거의 없어,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프린지가 풀리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fringe-attached knit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 of the fringe can be more firmly fixed than that of the prior art while forming the fringe. Therefore, in the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obtained by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ringe is pulled out, the knitting yarn rarely deviates from the root of the fringe, and defects such as loosening of the fringe when the knitted fabric is used hardly occur.

여기에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프린지를 형성하기 위한 기점 스티치가 걸림루프인 경우가 있다. 걸림루프는 단지 편침에 편사를 건 것뿐이기 때문에, 연속하여 그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하여 편침을 니들베드갭 방향으로 진출시켰을 때에 편침에 부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되면, 걸림루프의 클리어링(clearing)이 되지 않아 걸림루프에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공정α∼γ를 반복하기 때문에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멈춤 스티치의 편성(n회째의 공정γ) 전에, 반드시 1개 전의 멈춤 스티치를 편성한다(n-1회째의 공정γ). 이 n-1회째의 공정γ의 멈춤 스티치는, 편성에 의하여 그 싱커루프(sinker loop)가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그 멈춤 스티치에 연결되는 n회째의 공정γ의 기점 스티치와의 교차사에도 니들베드갭 하방으로 내려가는 힘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기점 스티치가 걸림루프이더라도 편침의 진출에 기점 스티치가 부착되는 것이 거의 없어, 기점 스티치에 대한 멈춤 스티치의 편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린지를 형성할 때에 일단 프린지를 니들베드갭 근방에서 임시 멈추도록 하기 위하여 가결합 스티치를 편성하는 것도 기점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멈춤 스티치의 편성이 원활하게 되는 요인이다.Here, 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starting stitch for forming the fringe is a latching loop. Since the latching loop is merely a knitting yarn on the knitting needle, it may be attached to the knitting needle when the knitting needle is advanced in the direction of the needle bed gap in order to continuously knit the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clearing of the latching loop is not performed, the stitches following the latching loop can not be knitted. On the other hand, 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ps? To? Are repeated, one preceding stitch is necessarily knitted before the knitting stitches are continuously knitt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arting stitches (nth step? The second process. The step stitch of the (n-1) th step? Is knitted by the knitting process so that the sinker loop descends below the needle bed gap. Therefore, the intersection with the starting stitch of the n-th step? The force that goes down the needle bed gap is also applied to the yarn. Therefore, 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tarting point stitch is the stopping loop, the start point stitch is rarely attached to advance of the knitting needle, and the knitting stitch can be knitted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starting point stitch. In addition, knitting a knit stitch to temporarily stop the fringe in the vicinity of the needle bed gap at the time of forming the fringe is also a factor for smoothly knitting a new stop stitch with respect to the starting stitch.

상기 반복패턴[2]의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다른 반복패턴보다 프린지 및 그 근원 근방의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복패턴[2]의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기점 스티치에 대한 멈춤 스티치의 편성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n회째의 공정α의 기점 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n-1회째의 공정γ에서 멈춤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그 멈춤 스티치에 연결되는 n회째의 공정α의 기점 스티치를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강하게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n-1회째의 공정γ의 후에 하는 n회째의 공정β에서 프린지를 형성할 때에 프린지를 구성하는 편사가, n회째의 공정α의 기점 스티치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는 교차사에 교차하는 것도 기점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기 쉽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것은, 기점 스티치에 대하여 새로운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기 위하여 편침을 상승시켰을 때에 프린지를 구성하는 편사가 기점 스티치의 상기 교차사를 억제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epeated pattern [2], finishing near the fringe and its root can be better than other repeated patterns. Further, 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repeated pattern [2], the knitting stitch can be more smoothly knitted with respect to the starting point stitch. This is because the starting stitch of the n-th step? Is knitted, and the starting stitch of the n-th step? Connected to the stitching stitch is knitted strongly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needle bed gap by knitting the stitching stitch in the n-1- I can get off. In addition, the knitting yarn constituting the fringe at the time of forming the fringes in the n-th process? After the (n-1) -th process? Intersects the crossing yar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tarting stitch of the n-th process? Is one of the factors that make it easier to knit a new stop stitch. This is because the knitting yarn constituting the fringe suppresses the crossing yarns of the starting point stitches when the knitting needle is raised to knit a new stopping stitch with respect to the starting stitching.

보강 스티치를 편성하는 본 발명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프린지의 근원의 고정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는 편사나 표면이 매끈매끈한 편사를 사용하여 프린지를 형성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프린지의 근원을 고정할 수 있다. 비틀림 스티치인 멈춤 스티치와 역방향으로 보강 스티치를 비틀음으로써 프린지를 잡아당겼을 때에 보강 스티치 또는 멈춤 스티치의 일방이 반드시 프린지의 근원을 조이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knitting a reinforcing stitch,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origin of the fringe. For example, even when a fringe is formed by using a knitting yarn or a smooth knitting yarn whose surface is smooth, the origin of the fringing can be securely fixed. This is because one of the reinforcing stitches or the stitching stitches necessarily tightens the fringe of the fringe when the fringe is pulled by deflecting the reinforcing stitch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orsion stitch which is a torsion stitch.

도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도2의 편성공정에 따라 편성된 프린지 근방의 편사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4의 (A), (B)는, 도2의 편성공정도에 있어서의 공정의 일부 순서를 바꾸어서 편성된 프린지 근방의 편사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photograph of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in the embodiment. Fig.
Fig. 2 is a process chart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in the embodiment.
Fig. 3 is a loop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knitting yarn near the fringe knitted in accordance with the knitting step of Fig. 2. Fig.
Figs. 4A and 4B are a loop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knitting yarn near the knitted fringe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steps in the knitting process diagram of Fig. 2. Fig.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기재된 편성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이하, BB)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2베드 횡편기(2bed 橫編機)를 사용하였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트랜스퍼 전용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더라도 좋고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method of knitting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B") and a rear needle b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BB")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acing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between the front needle bed and the back needle bed, a 2 bed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was used. Of course, the flat knitting machine to be used is not limited to the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but may be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needle bed dedicated to transfer or a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도1에 나타내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는 니트웨어(knit wear)의 칼라(collar)에 상당하는 부분이며, 칼라를 구성하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100)의 웨일방향(wale方向) 중간부에, 복수의 프린지(20)를 형성한 프린지 형성부(fringe 形成部)(200)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지 형성부(200)는,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로 이루어지는 프린지열(fringe列)이 웨일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칼라를 구비하는 니트웨어를 착용할 때에는, 프린지(20)가 외측에 배치되도록 프린지 형성부(200)의 위치에서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되돌린다.The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shown in Fig. 1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collar of knit wear, and is a middle portion of the wedge direction (wale direction) of the base knitted fabric portion (base knitted fabric portion) A fringe forming portion 200 in which a plurality of fringes 20 are formed is formed. The fringe forming portion 200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ringe rows formed of a plurality of fringes 2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in a wale direction. When the knitwear having such a collar is worn, the base knitted fabric part 100 is returned at the position of the fringe forming part 200 so that the fringe 20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상기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도2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에 있어서 좌란(左欄)에 기재되는 「S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중란(中欄)의 좌우방향의 화살표 및 상하방향의 화살표는 각각 급사구(給絲口)의 이동방향 및 스티치의 트랜스퍼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우란(右欄)은 각 편성공정에서 실제로 이루어진 편성동작을 나타내며, 검은점은 편침, ●은 새롭게 형성되는 스티치, ○은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 V자는 걸림루프를 나타낸다. 또 우란에 있어서 실제로 이루어진 편성동작은 굵은선으로 나타낸다.A method of knitting the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knitting process chart of Fig. In Fig. 2, the "S + number" in the left column indicates the number of the knitting process, the arrow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iddle column and the arrow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dicate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stitches. A black dot indicates a knitting operation, a black dot indicates a newly formed stitch, a symbol indicates a stitch binding to a needle bed, and a letter V indicates a latching loop. In addition, the knitting operation actually performed in the URAN is represented by a bold line.

도2의 S1에서는, FB의 편침(Q, O, M, K, I, G, E, C, A)을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편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1의 상태로부터 S2 이후의 편성에 의하여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를 편성하여 간다.In S1 of FIG. 2, a state in which the base knitted fabric part 100 is knitted using knitting needles (Q, O, M, K, I, G, E, C and A) of FB is shown. A plurality of fringes 2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re knitted from the state of S1 by knitting after S2.

S2에서는, FB의 편침(A)의 스티치를 제외하고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를 BB로 트랜스퍼 하여 둔다. 이것은, FB에 있어서 이제부터 프린지(20)를 편성하는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대피시켜서 프린지(20)가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편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준비공정이다.In step S2, the stitches of the base knitted fabric part 100 are transferred to BB, except for the stitches of the knitting needle A of the FB. This is a preparatory step for preventing the fringe 20 from being knitted to the base knitted fabric part 100 by evacuating the base knitted fabric part 100 from the area where the fringe 20 is knitted from now on in the FB.

S3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紙面)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A)에 결합되는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101)를 편성한 후에 공침(空針)인 FB의 편침(C, F, L)에 걸림루프를 편성한다. S3에서 형성된 걸림루프 중에서 편침(C)의 걸림루프는, 첫 번째 프린지(20)의 기점이 되는 기점 스티치(起點 stitch)(1)이다. 나머지 걸림루프는 프린지(20)에 소정의 길이를 부여하는 가결합 스티치(假結合 stitch)(2)이며, 후에 니들베드로부터 빠진다. 가결합 스티치(2)는, S1에서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지 않았던 편침에 형성된다. 가결합 스티치(2)는, 적어도 프린지(20)의 근원(根源)을 고정하는 다음에 설명하는 S5가 끝날 때까지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으면 좋고, S5 이후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니들베드로부터 빠질 수 있다(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이 종료될 때까지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이더라도 상관없다). 이후에 가결합 스티치(2)의 결합상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In S3, the yarn feeder 9 is moved to the right of the paper surface to knit the stitches 101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itches of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s A of the FB, (C, F, L) of FB which is an empty needle. The hook loop of the knitting needle C among the latching loops formed at S3 is a starting stitch (1) which is a starting point of the first fringe 20. The remaining latching loop is a temporary stitching (stitching) 2 for gi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fringe 20, which is later removed from the needle bed. The jamming stitches 2 are formed on the knitting needles in which the stitches of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are not engaged in S1. The connection stitches 2 need only be bonded to the needle bed until S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fixes at least the root of the fringe 20 is fixed, and can be detached from the needle bed at any timing after the step S5. (It may be connected to the needle bed until knitting of the fringe-attached knitting fabric is completed).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stitch 2 thereafter is not shown in the drawing.

S4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공침인 FB의 편침(P, J, E)에 걸림루프를 편성한다. 이들 S3, S4에 의하여 첫 번째 프린지(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S4에서 형성된 걸림루프 중에서 편침(P, J)의 걸림루프는, 프린지(20)에 소정의 길이를 부여하는 가결합 스티치(2)이다. 한편 편침(E)의 걸림루프는 두 번째 프린지(20)의 기점이 되는 기점 스티치(1)이다.In S4, the yarn feeder 9 is moved in the leftward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to knit a hook loop on the knitting needles P, J, and E of copyled FB. The first fringe 20 is formed by S3 and S4. Here, the engagement loops of the knitting needles P and J among the engagement loops formed at S4 are the engagement stitches 2 that give the fringes 20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ther hand, the latching loop of the needle E is the starting point stitch 1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fringe 20. [

S5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S3에 있어서 편침(C)에 형성된 기점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멈춤 스티치(3))를 편성한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멈춤 스티치(3)는 비틀림 스티치이며, S3, S4에서 형성된 프린지(20)의 근원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멈춤 스티치(3)를 새롭게 편성하는 기점 스티치(1)는 걸림루프이지만, 그 기점 스티치(1)는 편침(A)의 스티치(101)에 의하여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하방으로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기점 스티치(1)에 새로운 멈춤 스티치(3)를 편성할 때에 기점 스티치(1)의 클리어링(clearing)이 되기 쉽고, 따라서 멈춤 스티치(3)를 편성하기 쉽다. 스티치(101)에 의하여 기점 스티치(1)가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은, 양쪽 스티치(101, 1)가 교차사(cross-over yarn)에 의하여 연결되고 또한 스티치(101)가 편성에 의하여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기점 스티치(1)에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In S5, the yarn feeder 9 is moved to the right of the paper surface, and after stitching (stopping stitches 3)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arting point stitch 1 formed on the knitting needle C at S3, 9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aper. This stopping stitch 3 is a torsion stitch and serves to fix the origin of the fringe 20 formed at S3 and S4. Here, the starting point stitch 1 for newly knitting the stopping stitch 3 is a catching loop, but the starting point stitch 1 is formed by the stitch 101 of the knitting needle A to the lower side of the needle bed gap When the new stop stitch 3 is knitted on the starting stitch 1, the starting stitch 1 is likely to be cleared and therefore the stitch stitch 3 is easily knitted. The reason why the starting point stitch 1 is lowered below the needle bed gap by the stitch 101 is that the two stitches 101 and 1 are connected by a cross-over yarn and the stitch 101 is knitted This is because the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starting point stitch 1 downward from the needle bed gap.

S6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S5에 있어서 형성된 멈춤 스티치(3)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보강 스티치(補强 stitch)(4))를 편성한 후에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 이동시킨다. 이 보강 스티치(4)는, 멈춤 스티치(3)와는 비틀어지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는 비틀림 스티치이다. 비틀림 스티치인 멈춤 스티치(3)와 역방향으로 보강 스티치(4)를 비틀음으로써 프린지(20)를 잡아당겼을 때에, 보강 스티치(4) 또는 멈춤 스티치(3)의 일방(一方)이 반드시 프린지(20)의 근원을 조이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가는 편사나 표면이 매끈매끈한 편사를 사용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프린지(20)의 근원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보강 스티치(4)의 편성은 필수가 아니라, 상기 S5의 후에 S6을 하지 않고 다음에 설명하는 S7을 하여도 좋다. 또한 보강 스티치(4)는, S5에서 급사구(9)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편성함으로써 비틀어지지 않고 있는 스티치로 하여도 좋다(이 경우에 S6은 생략한다). 다만 스티치(3, 4)를 양쪽 모두 비틀림 스티치로 하는 쪽이 프린지(20)의 근원의 고정은 견고하다.In S6, the yarn feeder 9 is moved to the right of the paper surface to knit stitches (reinforcing stitches 4)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opping stitches 3 formed in S5, 9 to the left of the paper. The reinforcing stitches (4) are torsion stitches in whi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opping stitches (3) are twisted are reversed. One of the reinforcing stitches 4 or the detent stitches 3 is surely fringed when the fringe 20 is pulled by twisting the reinforcing stitches 4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topping stitches 3 which are torsion stitches 20 can be tighten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ly fix the root of the fringe 20 even when a fine knitting yarn or a smooth knitting yarn whose surface is smooth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knit the reinforcing stitches 4, but the following S7 may be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S6 after S5. Further, the reinforcing stitch 4 may be a stitch that is knitted when the feeding opening 9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aper in S5 (in this case, S6 is omitted). If the stitches 3 and 4 are both made of torsion stitches, the fixing of the root of the fringe 20 is robust.

S7에서는, 급사구(9)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H, N)에 가결합 스티치(2)를 편성하고, S8에서는, 급사구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R, L)에 가결합 스티치(2)를, 편침(G)에 세 번째 프린지(20)의 기점이 되는 기점 스티치(1)를 편성한다.In S7, the yarn feeder 9 is moved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to knit the bonded stitches 2 on the knitting needles H and N of the FB. In S8, the yarn feeder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paper, The connecting stitches 2 are knitted to the knitting needles R and L and the starting stitches 1 to be the origin of the third fringes 20 are knitted to the knitting needles G. [

S9, S10에서는, S4에서 형성된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멈춤 스티치(3)와 보강 스티치(4)의 편성을 하여 두 번째 프린지(20)의 근원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여기에서 기점 스티치(1)는 걸림루프이지만, 그 기점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멈춤 스티치(3)를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다. 이것은,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지면 좌측으로 연결되는 멈춤 스티치(3)(S5, S6 참조)가 편성에 의하여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내려감으로써 기점 스티치(1)가 강하게 니들베드갭의 하방으로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이다. 부가하여 S7에서 형성되는 프린지(20)의 편사가,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교차사와 교차하고 있는 것도 멈춤 스티치(3)를 용이하게 편성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이다.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에 새로운 멈춤 스티치(3)를 편성할 때에, 그 기점 스티치(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교차사와 교차하는 프린지(20)의 편사가 당해 교차사를 억제하기 때문이다.In steps S9 and S10, the stop stitches 3 and the reinforcing stitches 4, which continue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arting stitches 1 of the knitting needles E formed in S4, are knitted together to firmly fix the root of the second fringe 20 do. Here, the starting point stitch 1 is a catching loop, but the stopping stitch 3 can be knitted easily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arting point stitch 1. This is because the stop stitches 3 (refer to S5 and S6)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ground stitch 1 of the knitting needle E are knitted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needle bed gap by knitting, Because they are pulling down the gap.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knitting yarn of the fringe 20 formed at S7 crosses the cross yarn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tarting stitch 1 of the knitting needle E is one of the factors that can easily knit the stop stitch 3 . The knitting yarns of the fringe 20 intersecting with the crossing yarns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tarting point stitch 1 when knitting a new stopping stitch 3 on the starting stitches 1 of the knitting needles E suppress the crossing yarns Becau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2의 편성공정에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방법의 공정α∼공정γ를, 공정α(S3의 전반) → 공정β(S3의 후반 + S4의 전반) → 공정α(S4의 후반) → 공정γ(S5 + S6) → 공정β(S7 + S8의 전반) → 공정α(S8의 후반) → 공정γ(S9 + S10) … 의 순서로 반복하고 있다. 즉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와 공정γ의 사이에서 하고 있다. S10 이후에는, S7∼S10과 동일한 편성을 편침의 위치를 바꾸어서 반복함으로써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로 이루어지는 프린지열이 편성된다. 또 프린지(20)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FB에 가결합 스티치(2)를 편성하는 공침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때에는 이미 FB에 결합되는 가결합 스티치(2)에 계속되어 새로운 프린지(20)의 가결합 스티치(2)를 형성하여도 좋다.As described above, in the knitting step of Fig. 2, the steps? To? Of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nged from the step? (The first half of S3)? The step? (The latter half of S3 + (The second half of S8)? Process? (S5 + S6)? Process? (First half of S7 + S8)? Process? In order. That is, the n-th step? Is performed between the n-1-th step? And the step?. After S10, the same knitting as in S7 to S10 is repea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knitting needle so that a fringe row composed of a plurality of fringes 2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is knitted. When the number of the fringes 20 increases, coprecursing for knitting the joining stitches 2 at the FBs may not be sufficient. At this time, following the joining stitches 2 already joined to the FBs, a new fringe 20 may be formed.

S11에는, 복수의 프린지(20)를 형성하여 끝내고 FB의 편침(C, E, G, I, K, M, O, Q)에 프린지(20)의 근원을 고정하는 보강 스티치(4)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11의 상태로부터 S12에서는, 프린지(20)를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고정하기 위하여 BB에 맡겨둔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스티치를 FB의 보강 스티치(4)와 포개어서, 그 더블루프(double loop)에 계속되는 스티치를 편성한다. 그 결과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20)로 이루어지는 일렬(一列)의 프린지열이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고정된다.In step S11, a plurality of fringes 20 are formed and a reinforcing stitch 4 for fixing the source of the fringe 20 to the knitting needles C, E, G, I, K, M, Is displayed. In S12 from the state of S11, the stitches of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held in the BB to fix the fringe 20 to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are superimposed with the reinforcing stitches 4 of the FB, double loop). As a result, a row of fringe columns made up of a plurality of fringes 20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is fixed to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여기에서 도1에 나타내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는 복수의 프린지열이 웨일방향으로 나란한 편성포이기 때문에, S12의 후에 S1로부터 시작되는 프린지열의 편성을 또 한다. 그리고 원하는 수의 프린지열을 편성하면, 최후의 프린지열을 베이스 편성포부(100)에 고정하는 S12의 후에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편성을 또 하여 도1의 프린지 부착 편성포를 완성한다. 물론 프린지열의 사이에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어느 정도 편성하여도 좋다.Here, since the fringe-attached knit fabric shown in Fig. 1 is a knitted fabric with a plurality of fringe row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wale direction, the knitting of the fringe rows starting from S1 is performed after S12. When a desired number of fringe rows are knitted, the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of Fig. 1 is completed by knitting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after S12 in which the last fringe row is fixed to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 Of course, the base knitting needles 100 may be knitted to some extent between the fringe rows.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따라 편성된 프린지 부착 편성포에서는, 프린지의 근원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당해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프린지가 빠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이유를 도3의 루프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In the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knitted in accordance with the knitting process described above, the root of the fringe is firmly fixed, and defects such as missing fringe are not likely to occur when the knitted fabric is used. The reason for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loop diagram of Fig.

도3은, 도1의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S12가 종료된 시점에서의 프린지(20) 근방의 스티치 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이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린지(20)의 근원이 되는 기점 스티치(1)에 계속되는 새로운 멈춤 스티치(3)와 보강 스티치(4)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 스티치(3, 4)는 프린지(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린지(20)를 잡아당기면, 프린지(20)에 연결되는 스티치(3, 4)가 작게 오그라들어서 각각의 스티치(3, 4)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티치의 근원을 조인다. 그 결과 프린지(20)의 근원이 고정되어 프린지(20)가 빠지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Fig. 3 is a loop diagram showing a stitch state in the vicinity of the fringe 20 at the end of S12 in the knitting process of Fig. 1. Fig. 3, new stitching stitches 3 and reinforcing stitches 4 are formed following the starting stitches 1 which are the origin of the fringes 20 and these stitches 3 and 4 are formed by fringing 20 ). Therefore, when the fringe 20 is pulled out, the stitches 3 and 4 connected to the fringe 20 are shrunk to tighten the stitches of the stitches connected to the stitches 3 and 4 in the wale direction. As a result, the source of the fringe 20 is fixed, and defects such as the fringe 20 being missing are less likely to occur.

<실시형태2>&Lt; Embodiment 2 >

실시형태1과는 다른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n회째의 공정α는 n-1회째의 공정β 전에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2의 S4(S8)에서 하였던 편침(E)(편침(G))의 기점 스티치(1)의 편성을 S3(S7)에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4(A)의 루프도에 나타내는 상태의 프린지(20)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그 이외에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γ 후에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2의 S4에서 하였던 편침(E)의 기점 스티치(1)의 편성을 S7에서 하고, S8에서 하였던 편침(G)의 기점 스티치(1)의 편성을 S10의 후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4(B)의 루프도에 나타내는 상태의 프린지(20)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들의 편성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프린지(20)의 근원을 고정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Embodiment 1, for example, the n-th step? May be performed before the (n-1) th step?. Concretely, S3 (S7) combines the starting point stitch 1 of the knitting needles E (knitting needles G) in S4 (S8) of Fig. By doing this, the knitted fabric having the fringe 20 of the state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4 (A) can be knitted. Alternatively, the n-th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n-1-th step?. Concretely, the starting point stitch 1 of the knitting needle E in S4 of Fig. 2 is knitted in S7, and the starting stitch 1 of the knitting needle G in S8 is knitted after S10. By doing so, the knitted fabric having the fringe 20 in the state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4 (B) can be knitted.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root of the fringe 20 by the knitting.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2의 S12에 있어서 FB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코 빼기 처리하면, 편성포의 말단(末端)에 프린지열이 형성된 편성포로 할 수 있다. 이것을 응용하면 머플러(muffler) 등과 같이 웨일방향의 양단에 프린지열을 가지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성시작부를 형성하고, 그 편성시작부에 대하여 도2의 편성을 한 후에 머플러의 본체가 되는 베이스 편성포부(100)를 편성한다. 그리고 베이스 편성포부(100)의 말단에 도2의 편성을 한 후에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코 빼기 처리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the stitches to be joined to the FB are neglected in S12 of Fig. 2, knitted fabrics in which fringe rows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formed. By applying this, a knitted fabric having fringe rows at both ends in the wale direction, such as a muffler, can be knitted. Concretely, a knitting start portion is formed, and after the knitting shown in Fig. 2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start portion, the base knitted fabric portion 100 to be a main body of the muffler is knitted. 2 is knitted at the end of the base knitted fabric part 100, and the stitches to be joined to the needle bed are knitted.

100 : 베이스 편성포부 101 : 스티치
200 : 프린지 형성부 20 : 프린지
1 : 기점 스티치(걸림루프)
2 : 가결합 스티치(걸림루프)
3 : 멈춤 스티치(비틀림 스티치)
4 : 보강 스티치(비틀림 스티치)
9 : 급사구
100: base knitting asle 101: stitch
200: fringe forming part 20: fringe
1: Start point stitch (jam loop)
2: Assembly stitch (latching loop)
3: Stop stitch (torsion stitch)
4: Stitch reinforcement (torsion stitch)
9: Feeding gear

Claims (3)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와, 그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의 프린지(fringe)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프린지 부착 편성포(fringe 附着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린지의 기점(起點)이 되는 기점 스티치(起點 stitch)를 편성하는 공정α와,
공정α의 후에, 상기 기점 스티치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급사구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기점 스티치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급사구를 이동시키고, 이 왕복이동을 할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가 결합되는 편침 이외의 편침에 가결합 스티치(假結合 stitch)를 편성함으로써 프린지를 형성하는 공정β와,
공정β의 후에, 상기 공정α에서 형성된 상기 기점 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되는 비틀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멈춤 스티치를 편성하여, 상기 공정β에서 형성된 프린지의 근원(根源)을 고정하는 공정γ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A pair of front and rear needle beds and a yarn feeder for feeding yarn to the knitting needles of the needle bed and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the front and back needle beds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having a base knitted fabric portion and a plurality of fring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base knitted fabric portion by using a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knitted fabric A knitting method of a fringe-attached knitted fabric,
A step of forming a starting point stitch to be a starting point of the fringe,
After the step &lt; alpha &gt;, the yarn feeder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arting point stitch, and then the yarn feeder is mov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starting point stitch. A step of forming a fringe by knitting a covalent stitch on a stitch,
After the step?, A step stitch comprising a torsion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wale direction) of the starting stitch formed in the step? Is knitted, and a step of fixing the root of the fringe formed in the step?
Wherein the knitting is repeated.
제1항에 있어서,
n회째의 공정α를, n-1회째의 공정β의 후이고 또한 n-1회째의 공정γ의 전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단, n은 2 이상의 임의의 자연수이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th step? is performed after the n-1-th step? and before the n-1-th step?.
However, n is an arbitrary natural number of 2 or mo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γ에 있어서, 상기 멈춤 스티치의 형성 직후에, 그 멈춤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고 또한 상기 멈춤 스티치와는 역방향으로 비틀어진 비틀림 스티치인 보강 스티치(補强 stitch)를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of the stop stitch, in the step &lt; RTI ID = 0.0 &gt; y, &lt; / RTI &gt; a reinforcing stitch, which is a torsion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top stitch and twis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op stitch, A method of knitting a fleece attached knitted fabric.
KR1020130002818A 2012-02-28 2013-01-10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KR1014495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2297A JP5865730B2 (en) 2012-02-28 2012-02-28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with fringe
JPJP-P-2012-042297 2012-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97A true KR20130098897A (en) 2013-09-05
KR101449502B1 KR101449502B1 (en) 2014-10-08

Family

ID=4782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818A KR101449502B1 (en) 2012-02-28 2013-01-10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634299B1 (en)
JP (1) JP5865730B2 (en)
KR (1) KR101449502B1 (en)
CN (1) CN103290609B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2B1 (en) * 2014-05-20 2014-12-11 채희준 knitwear weaving method
KR20170072262A (en) * 2014-10-17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KR20220079449A (en) * 2020-12-04 2022-06-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3846B (en) * 2018-07-27 2021-02-02 珠海建轩服装有限公司 Method for making tassels in fabric
CN108842269B (en) * 2018-08-03 2020-06-16 内蒙古鹿王羊绒有限公司 Knitting method of double-layer tassel composite structure of double-sided knitted fabric
IT201900002185A1 (en) * 2019-02-14 2020-08-14 Csp Int Fashion Group S P A VARIOUSLY DECORATED TUBULAR KNIT GARMENT
CN112553756B (en) * 2020-12-01 2022-03-01 桐乡嘉裕时装有限公司 Anti-run-off process for knitted tassels of knitted sweater
CN112481787B (en) * 2020-12-07 2022-04-05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Ribbon-shaped tassel tissue and weaving method thereof
CN113818128B (en) * 2021-11-04 2023-01-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Fringe structure of weft-knitted fabric of flat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thereof
CN114232188B (en) * 2021-12-16 2023-06-13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Full-formed vertical tassel tissue structure and knit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741A (en) * 1992-02-20 1993-09-07 Shima Seiki Mfg Ltd Fringed knit fabric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JP3523501B2 (en) * 1998-09-25 2004-04-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Inlay knitting method and inlay knitting
JP2001055651A (en) * 1999-08-11 2001-02-27 Tsudakoma Corp Prevention of disengagement of knot of crossing yarn in weft knitted fabric
ITCO20000014A1 (en) * 2000-06-09 2001-12-09 Franco Sciacca METHOD AND EQUIPMENT TO PRODUCE TUBULAR KNIT ITEMS THROUGH THE UNLOADING AND RETURNING OF SHIRTS ALSO PLANNED WITH NEEDLE AND WASTE
US6912876B2 (en) * 2003-11-21 2005-07-05 Sara Lee Corporation Shaped blank
JP2006161241A (en) * 2004-12-10 2006-06-22 Shima Seiki Mfg Ltd Knit with fringe treated for preventing thread cast-off,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WO2008136185A1 (en) * 2007-04-27 2008-11-13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for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2011226019A (en) * 2010-04-20 2011-11-10 Shima Seiki Mfg Ltd Fringed cylindrical fabric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632B1 (en) * 2014-05-20 2014-12-11 채희준 knitwear weaving method
KR20170072262A (en) * 2014-10-17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KR20220079449A (en) * 2020-12-04 2022-06-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4299A1 (en) 2013-09-04
JP2013177709A (en) 2013-09-09
KR101449502B1 (en) 2014-10-08
CN103290609A (en) 2013-09-11
CN103290609B (en) 2015-01-28
EP2634299B1 (en) 2015-03-25
JP5865730B2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502B1 (en)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EP2226417B1 (en) Fabric knitting method and fabric
EP1728908A1 (en) Knitting method for wide rib texture by plating
EP2390393A1 (en) Method for preventing ravel of knitting yarn and knitted fabric
KR101356981B1 (en) Joining method of neighboring knitted fabric pieces, and knitted fabric
JP5695862B2 (en) How to create a knitted fabric
EP2319969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5736250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52349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EP2568066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KR101324524B1 (en) Knitting method for a knitted fabric having a hole, and the knitted fabric
JP5479048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648748B1 (en) Unraveling prevention method for knitted fabric
JP3099304B2 (en) Unleash method
JP2017186694A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KR101356985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2013019062A (en) Flat-knitting machine comprising stitch-holding bar and knit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1088586B (en) Method for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s
JP3121278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end and knitted fabric knitted by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end
WO2022191048A1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CN109423752A (en) The weav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of knitte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