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657A - 정보 프로세싱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프로세싱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657A
KR20130097657A KR1020130016487A KR20130016487A KR20130097657A KR 20130097657 A KR20130097657 A KR 20130097657A KR 1020130016487 A KR1020130016487 A KR 1020130016487A KR 20130016487 A KR20130016487 A KR 20130016487A KR 20130097657 A KR20130097657 A KR 20130097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printer object
function
us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402B1 (ko
Inventor
?스케 오사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6Printer job scheduling or printer resource hand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7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sing pre-stored settings, e.g. job templates, presets, print sty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6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local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by using hot folders, e.g. folder for which print settings or print data management rules are set in adv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정보 프로세싱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가젯으로 명령이 수신되고 가젯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프로세싱을 실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가젯으로 명령이 수신되고 가젯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가젯에 대한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정보 프로세싱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원 발명은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프로세싱을 실시하기 위한 가젯(gadget)과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가젯은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object)이다. 일반적으로, 가젯은, 용이하게 액세스될 수 있도록 자주 사용되는 기능을 제공하고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데 이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0533호는 위젯(widget)(본원 명세서에서 가젯 및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해당)이 삭제되는 경우에 프로세싱을 실시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70533호는 프린터 객체를 위젯에 할당하여 그들을 연관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고, 그리고 당연히, 위젯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는 경우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위젯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는 것과 관계없이, 위젯은 삭제된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가젯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정보 프로세싱 장치는,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및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객체에 제1 프린터 객체 및 제2 프린터 객체를 할당하기 위한 할당 수단, 제1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제1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 및 제2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제2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issue)하기 위한 명령 수단, 및 제1 프린터 객체와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수단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양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리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원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양태들을 설명하고 그리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원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화상 프로세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스플레이 및 운영 체제(OS)에서의 프린터 객체들의 관리 스크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가상의 디바이스 객체와 프린터 객체들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대한 출력 조작 동안의 UI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출력이 실시되지 않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조작 중의 UI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프린터 객체들을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하기 위한 셋팅을 실시하기 위한 UI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가 드롭(drop) 조작을 수신하였을 때 실행되는 프로세싱의 흐름도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기동시에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확인될 때 실시되는 프로세싱의 흐름도들이다.
도 12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가 실행될 수 있는 지 여부가 결정될 때의 프로세싱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가 삭제되었다는 것 검출하였을 때 실시되는 프로세싱의 흐름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가 드롭 조작을 수신하였을 때, 상응하는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실시되는 프로세싱의 흐름도들이다.
본원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양태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와 화상 프로세싱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에서,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는 인쇄 및 팩시밀리 송신을 실시하도록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101 및 102)에 명령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이다.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101 및 102)의 각각은 복합기(MFP)이고, 프린터 기능, 팩시밀리 기능, 복사 기능, 스캐너 기능, 및 파일 전달 기능을 갖는다. 미리 결정된 운영 체제(OS)가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에 설치되고, 특정의 기능적 프로세싱을 실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타입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이 또한 정보 프로세싱 장치에 설치된다. 특정의 기능적 프로세싱은 서류(document) 프로세싱, 스프레드시트 프로세싱, 프레젠테이션 프로세싱, 화상 프로세싱, 및 그래픽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은 고유한 데이터 구조(파일 구조)를 갖는다.
또한, OS는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인쇄 명령을 발행하기 위해 각각의 파일의 식별자(identifier)를 참조할 수 있다.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101 및 102)의 각각을 이용하기 위한 가상의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에 설치된다. 가상의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인쇄 명령 및 팩시밀리 송신 명령 등의 출력 명령을 화상 프로세싱 장치에 발행하는 기능 및 화상 프로세싱 장치의 이용 상황 및 출력 작업(job)의 실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 및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101 및 102)은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103)에 연결되고, LAN(103)을 통해 정보의 상호 통신을 실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서,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205),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는 또한 시각적 출력 정보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202)을 더 포함한다.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는,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여러 가지 타입의 프로그램들 및 실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3),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FDD) 등의 외부 메모리(206), 및 리드-온리 메모리(ROM)(20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유닛(207)을 포함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중앙 처리 유닛(CPU)(201)을 포함한다. 주변 디바이스에 대한 네트워킹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연결 인터페이스(I/F)를 통해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101 및 102)에 연결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101 및 102)의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예는 스캐너 기능, 프린터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갖는 MFP를 설명한다.
도 3에서, I/O 유닛(301)이 네트워크(LAN)(103) 등의 통신 매체를 통해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에 연결된다. I/O 유닛(301)은 복수의 네트워킹 포맷을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I/O 유닛(301)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프로세싱 장치(101)[(102)]는 I/O 유닛(301)을 통해 디바이스 식별자(ID) 및 스캔 화상을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에 전달한다. 화상 프로세싱 장치(101)[(102)]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로부터 여러 가지 타입들의 제어 커맨드들을 수신하면 프로세싱을 실시한다.
I/F 제어 유닛(302)은, 화상 프로세싱 장치(101)[(102)]로 로딩되는 스캐너,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등의 프로세싱 시스템과 관련된 디바이스 ID를 발행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RAM(303)은, 1차 저장 디바이스이고, I/O 유닛(301)에 의해 획득된 제어 커맨드 등의 외부 데이터 및 스캐너 엔진(313)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저장하는 데 이용된다. 또한, RAM(303)은, 프린터 제어기(310)에 의해 래스터화(rasterized)되어 프린터 엔진(306)에 전달되기 전에 화상을 저장하는 데 이용된다.
RAM 제어 유닛(304)은 RAM(303)의 할당 관리를 실시한다. 화상 데이터 시작-정지 회로(305)는, 프린터 엔진(306)이 회전될 때 프린터 제어기(310) 및 스캐너 엔진(313)에 의해 획득되어 RAM 제어 유닛(304)으로 로딩된 화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프린터 엔진(306)은 종이 등의 출력 매체 상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메인 제어기(308)는 엔진 I/F(307)에 의해 프린터 엔진(306)의 여러 가지 타입의 제어를 실시한다. 메인 제어기(308)는 제어의 중심(core)으로서 제공되는 모듈이고, 그리고 스캐너 제어기(309), 프린터 제어기(310), 및 팩시밀리 제어기(311)로의, I/O 유닛(301)을 통해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언어의 적절한 분배 프로세싱을 실시한다. 또한, 메인 제어기(308)는, 제어기들(309, 310, 및 311)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12)의 지원을 받아, 프린터 엔진(306) 및 스캐너 엔진(313)을 제어한다. 메인 제어기(308)와 제어기들(309, 310, 및 311) 사이의 제어 인터페이스들이 통합되고, 그에 따라 복수 타입의 제어 커맨드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는 확장 보드(expansion board)가 하나의 주변 디바이스에 로딩될 수 있다. 메인 제어기(308)의 기능은 제어기들(309, 310, 및 311)의 각각으로부터 현재 로딩되어 있는 확장 제어기의 디바이스 ID를 획득하는 것 그리고 획득된 ID를 관리하는 것이다.
스캐너 제어기(309)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스캔 제어 커맨드를 메인 제어기(308)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내부 실행 명령으로 분해한다. 스캔 엔진(313)에 의해 판독된 화상이 스캔 제어 커맨드로 변경된다. 프린터 제어기(310)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페이지 기술 언어(page description language)를 메인 제어기(308)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페이지 기술 언어의 래스터화된 화상을 포함하는 내부 실행 명령으로 분해한다. 래스터화된 화상이 프린터 엔진(306)으로 전달되고, 종이 등의 출력 매체 상에 인쇄된다. 팩시밀리 제어기(311)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팩시밀리 제어 언어를 화상으로 래스터화하고, 공중 회선(미도시) 또는 인터넷을 통해 그 화상을 다른 팩시밀리 디바이스 및 인터넷 프로토콜-팩시밀리(IP-FAX)에 전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12)는, 화상 프로세싱 장치(101)[(102)]가 메인 제어기(308)의 여러 유형의 셋팅, 스캐너 기능, 프린터 기능, 및 팩시밀리 기능을 직접적으로 실시할 때, 사용자에 의해 발행되는 명령의 입/출력 유닛으로서 사용된다.
스캐너 엔진(313)은 메인 제어기(308)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광학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된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된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를 메인 제어기(308)에 전달한다.
도 4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기능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입력 관리 유닛(404),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 출력 제어 디바이스(401), 및 출력 관리 유닛(402)을 포함한다. 입력 관리 유닛(404)은,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한 사용자에 의한 입력 디바이스(205)의 조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에 관한 조작 정보를 획득한다.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GUI로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디바이스 객체의 디스플레이 및 출력 선택의 디스플레이 등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객체이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OS의 모듈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은 OS에 의해 관리되는 프린터 객체에 관한 정보 및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은,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 및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서로 협력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인쇄용 프린터 객체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가 동일한 프린터 객체로서 표시된다. 인쇄용 프린터 객체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는 그러한 객체들이 명확하게 구분될 필요가 있을 때 적절하게 이용되고, 그 객체들 중 어느 하나라도 명백하게 특정되지 않으면 양 객체들 모두가 프린터 객체로서 표시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인쇄용 프린터 드라이버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드라이버가 동일한 프린터 드라이버로서 표시된다. 인쇄용 프린터 드라이버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드라이버는 그러한 드라이버들이 명확하게 구분될 필요가 있을 때 적절하게 이용되고, 그 드라이버들이 명백하게 특정되지 않으면 또는 그 드라이버들 중 어느 하나라도 명백하게 특정되지 않으면 양 드라이버들 모두가 프린터 드라이버로서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부터의 프린터 드라이버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공개될 수 있다. 이 인터페이스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로서 공개되고,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과 프린터 드라이버의 협력을 위한 동작이 보장된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과 프린터 드라이버 사이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은, 프린터 드라이버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과 협력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프린터 드라이버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디바이스 객체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디바이스 객체의 구성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에 의해 획득된 프린터 객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구축된다. 또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의 구성에 관한 정보 및 가상 디바이스 객체의 기능 셋팅 등의 셋팅에 관한 정보를 외부 메모리(206)에 저장된 셋팅 파일 내로 기입하고 셋팅 파일로부터 셋팅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한다.
출력 제어 유닛(401)은, 입력 관리 유닛(404)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출력 명령을 수신할 때, 그러한 출력 명령을 기초로 하여 상응하는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에 출력 명령을 발행한다. 출력 제어 유닛(401)은 그 출력 제어 유닛이 인쇄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인쇄용 프린터 드라이버에 출력 명령을 발행하고, 출력 제어 유닛이 팩시밀리 송신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드라이버에 출력 명령을 발행한다.
명령을 수신한 프린터 드라이버는 출력 명령으로서 지정된 파일을 화상 프로세싱 장치(101)[(102)]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출력 명령 정보로 변환한다. 출력 명령 정보는, 인쇄 명령의 경우에 변환에 의해 획득되는 인쇄용 데이터 포맷 내의 정보(예를 들어, 페이지-기술 언어(PDL))를 의미하고, 팩시밀리 송신 명령의 경우에 팩시밀리 송신용 데이터 포맷 내의 정보(예를 들어, 래스터 데이터)를 의미한다. 프린터 드라이버는 변환에 의해 얻어진 인쇄 명령 정보를 네트워크(103)를 통해 화상 프로세싱 장치(101)[(102)]에 송신한다.
도 5는 OS 내의 프린터 객체의 관리 스크린 및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데스크탑 스크린(500)이 OS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프린터 객체 관리 스크린(501) 상에는, OS에 설치된 모든 프린터 객체들(502)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프린터 드라이버가 OS에 설치될 때, OS에 의해 프린터 드라이버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들(502)이 프린터 객체 관리 스크린(50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프린터 객체들(502)은 인쇄용 프린터 드라이버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드라이버에 할당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를 포함한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내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로부터 출력 명령을 받기 위해,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가 OS의 데스크탑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희망하는 출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와 프린터 객체들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는, 특정된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에 각각 상응하는,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에 할당된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는 그 가상 디바이스 객체가 사용자로부터 인쇄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를 통해 출력을 실시한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는 그 가상 디바이스 객체가 사용자로부터 팩시밀리 송신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를 통해 출력을 실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과 유사하게, 만약 복수의 화상 프로세싱 장치가 존재한다면, 하나의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는 화상 프로세싱 장치들(101 및 102)의 각각의 내부에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가 또한 화상 프로세싱 장치(101)에 상응하는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에 그리고 화상 프로세싱 장치(102)에 상응하는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에 할당될 수 있다.
도 7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출력 조작 중의 디스플레이 UI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가상 디바이스 객체(701) 위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파일의 드래그(drag)를 수신할 때,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들(702 및 704)이 가상 디바이스 객체(70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출력 섹션 디스플레이 부분은 사용자에 의한 파일의 드롭(drop)을 수신하기 위한 가상 디바이스 객체 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영역은 인쇄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인쇄 부분과 팩시밀리 송신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팩시밀리 송신 부분으로 분할된다.
이어서, 출력을 실시하고자 하는 부분 위로 파일을 드래그하고 드롭하는 것에 의한 실행 명령의 수령시에, 희망하는 출력이 구현될 수 있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702) 내의 인쇄 부분 위에서의 드롭 조작을 수신할 때, 지정된 인쇄 셋팅에 대한 UI 스크린(703)을 디스플레이한다. 화상 프로세싱 장치에 대한 인쇄 명령의 실행을 위해, 사용자가 인쇄 셋팅을 선택한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704) 내의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에서의 드롭 조작을 수신할 때, 팩시밀리 송신에 대한 대상 특정 스크린(destination specifying screen; 705)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대상을 특정하고 그리고 실행 조작을 실시하여, 화상 프로세싱 장치에 대한 팩시밀리 송신 명령을 실행한다. UI 스크린(703) 및 대상 특정 스크린(705) 상에 UI들이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에 의해 관리되는 UI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대신에, 가상 디바이스 객체(701)에 상응하는 프린터 객체의 UI가 호출될 수 있다.
도 8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린터 객체를 삭제하였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출력 조작 중의 디스플레이 UI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801) 위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파일의 드래그를 수신할 때, 가상 디바이스 객체(801) 상에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들(802, 803, 및 804)을 디스플레이한다.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802)은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인쇄가 실시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803)은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팩시밀리 송신을 실시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804)은,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 모두가 존재하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인쇄 또는 팩시밀리 송신 어느 것도 실시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 기술된, 도 10a, 도 10b 및 도 10c의 흐름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만약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이 출력을 실시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상응하는 프린터 객체는 존재하지 않고, 그에 따라 파일을 드롭하더라도 인쇄 또는 팩시밀리 송신이 실시되지 않게 된다.
출력이 실시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x" 마크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의 색채를 변화시키는 방법 및 마우스 커서를 변화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도 9는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를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하기 위한 셋팅을 실시하기 위한 UI를 도시한다. UI(901)에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의 각각이 콤보 박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할당될 수 있는 프린터 객체들의 후보들의 리스트가 콤보 박스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프린터 객체를 할당하기 위한 셋팅을 실시하기 위한 UI는 도 9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UI는 체크 박스로부터 프린터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 위에서의 드롭 조작을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수신할 때 실행되는 프로세싱의 흐름들을 도시한다.
단계들(S1001 내지 S1029)은, CPU(201)가 ROM(204) 및 외부 메모리(206)에 저장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RAM(203)으로 로딩할 때 시행되고,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한다.
단계(S1001)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사용자에 의한 파일의 드롭 조작이 인쇄 부분 위에서 실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드롭 조작이 인쇄 부분 위에서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단계(S1001)에서 '아니오'), 단계(S1002)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사용자의 의한 파일의 드롭 조작이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에서 실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드롭 조작이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에서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면(단계(S1002)에서 '아니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드롭 조작이 인쇄 부분 위에서 실시된 것으로 결정된다면(단계(S1001)에서 '예'), 단계(S1003)에서, 파일이 인쇄 부분 위에 드롭되었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프로세싱을 실시한다. 만약 드롭 조작이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에서 실시된 것으로 결정된다면(단계(S1002)에서 '예'), 단계(S1004)에서, 파일이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에 드롭되었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프로세싱을 실시한다.
단계들(S1011 내지 S1019)은, 파일이 인쇄 부분 위에서 드롭되었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에 의해 실시되는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와 연관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를 첫 번째로 획득한다. 단계(S1011)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획득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획득된 프린터 객체들의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한다면(단계(S1011)에서 '예'), 단계(S1012)에서, 출력 제어 유닛(401)은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에 드롭된 파일을 출력하라는 명령을 발행한다. 그에 따라, 화상 프로세싱 장치는 그러한 파일을 기초로 인쇄를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드라이버는 파일을 출력 명령 정보로 변환하고 그 변환에 의해 획득된 출력 명령 정보를 화상 프로세싱 장치에 송신한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011)에서 '아니오'),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를 획득한다.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를 사용자가 삭제한 경우를 포함한다.
단계(S1013)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획득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획득된 프린터 객체들의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한다면(단계(S1013)에서 '예'), 단계(S1014)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인쇄용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었습니다. 인쇄용 프린터 객체를 리셋하시겠습니까?" 라고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확인 스크린을 스크린에 출력한다. 단계(S1015)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확인 스크린에 대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의 리셋팅을 사용자가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의 리셋팅을 선택하지 않는다면(단계(S1015)에서 '아니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의 리셋팅을 선택한다면(단계(S1015)에서 '예'), 단계(S1016)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사용자로부터 프린터 객체의 변경을 수용하기 위한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1016)에서 디스플레이된 셋팅 스크린은 도 9에 도시된 UI(901)이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013)에서 '아니오'), 단계(S1017)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가젯을 셋팅 또는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확인 스크린을 스크린에 출력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가젯(위젯) 및 가상 디바이스 객체는 동의어이다.
단계(S1018)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해서 가젯을 셋팅하였는지, 가젯을 삭제하였는지, 또는 가젯을 셋팅하지도 않고 삭제하지도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가젯의 셋팅을 선택한다면, 단계(S1016)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이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가젯의 삭제를 선택한다면, 단계(S1019)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를 삭제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가젯의 셋팅도 삭제도 아닌 것을 선택한다면,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이러한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단계들(S1021 내지 S1029)은 파일이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로 드롭되었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에 의해 실시되는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와 연관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를 첫 번째로 획득한다. 단계(S1021)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획득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획득된 프린터 객체들의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한다면(단계(S1021)에서 '예'), 단계(S1022)에서, 출력 제어 유닛(401)은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에 드롭된 파일을 출력하라는 명령을 발행한다. 그에 따라, 화상 프로세싱 장치는 그러한 파일을 기초로 팩시밀리 송신을 실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드라이버는 파일을 출력 명령 정보로 변환하고 그 변환에 의해 획득된 출력 명령 정보를 화상 프로세싱 장치에 송신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021)에서 '아니오'),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를 획득한다. 단계(S1023)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획득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획득된 프린터 객체들의 리스트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한다면(단계(S1023)에서 '예'), 단계(S1024)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었습니다.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를 리셋하시겠습니까?" 라고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확인 스크린을 스크린에 출력한다. 단계(S1025)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확인 스크린에 대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의 리셋팅을 사용자가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의 리셋팅을 선택하지 않는다면(단계(S1024)에서 '아니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의 리셋팅을 선택한다면(단계(S1024)에서 '예'), 단계(S1026)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S1026)에서 디스플레이된 셋팅 스크린은 도 9에 도시된 UI(901)이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023)에서 '아니오'), 단계(S1027)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가젯을 셋팅 또는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확인 스크린을 스크린에 출력한다. 단계(S1028)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해서 가젯을 셋팅하였는지, 가젯을 삭제하였는지, 또는 가젯을 셋팅하지도 않고 삭제하지도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가젯의 셋팅을 선택한다면, 단계(S1026)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이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가젯의 삭제를 선택한다면, 단계(S1029)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를 삭제한다. 만약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한 가젯의 셋팅도 그리고 삭제도 아닌 것을 선택한다면,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이러한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프로세싱 흐름들의 결과로서, 사용자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 위에서의 드롭 조작을 실시하였을 때 희망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적절한 확인 스크린을 수신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편의성이 개선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기동될 때 가상 디바이스 객체들의 각각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모든 가상 디바이스 객체들에 대하여 확인할 때 실시되는 프로세싱의 흐름을 도시한다. 이러한 프로세싱은 기동 체크로서 지칭된다.
단계들(S1101 내지 S1115)은, CPU(201)가 ROM(204) 및 외부 메모리(206)에 저장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RAM(203)으로 로딩할 때 시행되고,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한다.
단계(S1101)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아직 기동 체크되지 않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들(601)을 선택한다. 선택되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들(601)의 순서는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가상 디바이스 객체들이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내에서 등록된 순서에 따라 가상 디바이스 객체들(601)이 선택될 수 있다. 단계(S1102)에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선택된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를 기동 체크한다. 확인을 위한 프로세싱 흐름들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단계(S1103)에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아직 기동 체크되지 않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아직 기동 체크되지 않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103)에서 '아니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아직 기동 체크되지 않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가 존재한다면(단계(S1103)에서 '예'), 단계(S1101) 내지 단계(S1103)의 프로세싱이 반복된다.
단계들(S1111 내지 S1115)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를 기동 체크하기 위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에 대한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단계(S1111)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한다면(단계(S1111)에서 '예'),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111)에서 '아니오'), 단계(S1112)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한다면(단계(S1112)에서 '예'),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112)에서 '아니오'), 단계(S1113)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인쇄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들이 가젯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젯을 삭제하겠습니까?" 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확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유닛(202)에 출력한다. 단계(S1114)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사용자가 확인 스크린에 대해서 "삭제"를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삭제"를 선택하였다면(단계(S1114)에서 '예'), 단계(S1115)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를 삭제한다. 만약 사용자가 "삭제"를 선택하지 않았다면(단계(S1114)에서 '아니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이러한 흐름에서의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프로세싱 흐름들의 결과로서, 만약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기동시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를 삭제하라고 사용자를 재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자에 의해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대해서 잘못 실시되는 출력 조작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2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 위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파일의 드래그를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수신하였을 때 실시되는 프로세싱의 흐름을 도시한다.
그러한 프로세싱 흐름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이 저장할 때, 실행된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은,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이 저장하도록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프린터 객체가 도 10a, 도 10b 및 도 10c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프로세싱 흐름들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결정된 경우에,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결정된 프린터 객체의 플래그를 "비-존재"(non-existent)로 셋팅한다.
플래그는 프로세싱 실시를 위해 저장되는데, 이는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프린터 객체를 획득하는 데 시간이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에, 프린터 객체의 존재가 파일의 드래그 동안에 확인될 때,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프로세싱을 실시하기 위한 플래그를 저장함으로써 OS로부터 프린터 객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이 실시되지 않을 수 있고, 출력이 실시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프로세싱의 속도가 빨라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한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프린터 객체를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싱이 실시된다.
도 12에서, 단계들(S1201 내지 S1204)은, CPU(201)가 ROM(204) 및 외부 메모리(206)에 저장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RAM(203)으로 로딩할 때 시행되고,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한다.
단계(S1201)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201)에서 '아니오'), 단계(S1203)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 내의 인쇄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 둔다.
사용불가 상태는 인쇄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상태 또는 인쇄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이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 상태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실시 방법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S1202)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202)에서 '아니오'), 단계(S1204)에서,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 내의 팩시밀리 송신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 둔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기동될 때 도 12에 도시된 프로세싱 흐름이 모든 가상 디바이스 객체들에 대해서 실시될 수 있다.
프로세싱 흐름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자가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대해서 출력 조작을 잘못하여 실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기동될 때 또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 상에 디스플레이된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 위에서의 드롭 조작이 수신되었을 때, 프린터 객체의 존재가 확인된다.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개선하도록,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프린터 객체에 대해서 셋팅된 출력 포트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도 13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프로세싱에 있어서 예시적인 제2 실시예 및 예시적인 제1 실시예 간의 차이점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CPU(201)가 ROM(204) 및 외부 메모리(206)에 저장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RAM(203)으로 로딩하고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할 때,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싱 흐름들의 각각이 실시된다. 다른 구체적인 기재가 없다면, 예시적인 제2 실시예의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예시적인 제1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하다.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서, 프린터 객체 내에서 셋팅된 출력 포트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애플리케이션-호환성 포트일 때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었다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애플리케이션-호환성 포트는, 프린터 객체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포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 객체에서 셋팅된 프린터가 공유형 프린터인 경우는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상응하지 않는데, 이는 공유형 프린터 내의 프린터 객체의 출력 포트가 애플리케이션-호환성 포트가 아니기 때문이다.
출력 관리 유닛(402)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애플리케이션-호환성 포트를 통해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가 삭제되었다는 것을 검출한다. 단계(S1301)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검출 이후에 결정된 프린터 객체의 플래그를 "비-존재"로 셋팅한다.
스크린 디스플레이 관리 유닛(405)은 "가젯을 셋팅하겠습니까?" 또는 "가젯을 셋팅 또는 삭제하시겠습니까?"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확인 스크린을 스크린에 출력하고 가젯을 삭제한다. 실행을 위한 특정 과정은 단계(S1013 내지 S1019) 및 단계(S1023 내지 S1029)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서의 기동 체크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 및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 중 하나가 삭제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를 셋팅하라는 재촉을 받지 않는다.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서는, 아직 체크되지 않은 프린터 객체를 또한 사용자가 삭제한 시점에 가상 디바이스 객체를 셋팅하라고 사용자를 재촉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할 때, 파일이 가상 디바이스 객체 상의 인쇄 부분 위로 드롭된 후에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체크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도 체크되지 않는데, 다시 말하면,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할 때, 파일이 가상 디바이스 객체 상의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로 드롭된 후에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체크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프린터 객체가 삭제된 시점에 아직 체크되지 않은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었다는 것이 검출된다. 검출을 기초로 출력이 실시될 수 없다는 것이 표시되고, 또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를 셋팅하고 삭제하라고 사용자를 재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자가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대한 출력 조작을 잘못 실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 상에 디스플레이된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 위에서의 드롭 조작을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수신할 때, 프린터 객체의 존재가 확인된다.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상에서의 드롭 조작을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수신할 때 실시되는 다른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상응하는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에도,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다른 프린터 객체의 존재가 확인된다.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프로세싱에 있어서 예시적인 제3 실시예와 예시적인 제1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을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CPU(201)가 ROM(204) 및 외부 메모리(206)에 저장된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RAM(203)으로 로딩하고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 및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할 때,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싱 흐름들의 각각이 실시된다. 다른 구체적인 기재가 없다면,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예시적인 제1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하다.
단계들(S1401 내지 S1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는 상태를 전제로 하고, 그리고 이러한 전제하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의 인쇄 부분 위에서 파일이 드롭되었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에 의해 실시되는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세싱 흐름은 예시적인 제1 실시예의 도 10에 도시된 단계(S1012)의 프로세싱을 대체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단계(S1401)에서, 출력 제어 유닛(401)은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에 출력 명령을 발행한다. 이어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를 획득한다. 단계(S1402)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획득된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획득된 프린터 객체들의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한다면(단계(S1402)에서 '예'),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402)에서 '아니오'), 단계(S1403)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의 플래그를 "비-존재"로 셋팅한다.
단계들(S1411 내지 S1413)은,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가 존재하는 동안에 가상 디바이스 객체(503) 상의 팩시밀리 송신 부분 위에 파일이 드롭되었을 때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에 의해 실시되는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세싱 흐름은 예시적인 제1 실시예의 도 10c에 도시된 단계(S1022)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단계(S1411)에서, 출력 제어 유닛(401)은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603)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에 출력 명령을 먼저 발행한다.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할당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를 획득한다. 단계(S1412)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획득된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프린터 객체 정보 획득 유닛(406)으로부터 획득된 프린터 객체들의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한다면(단계(S1412)에서 '예'),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이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만약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단계(S1412)에서 '아니오'), 단계(S1413)에서, 가상 디바이스 객체 관리 유닛(403)은 인쇄용 프린터 객체(602)의 플래그를 "비-존재"로 셋팅한다.
프로세싱 흐름들의 결과로서, 출력 명령이 실행되기 전에 가상 디바이스 객체(601)에 의해 실행될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고(도 12에 도시된 프로세싱 흐름), 결과적으로 편의성을 개선한다.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서, 프린터 객체에서 셋팅된 출력 포트가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400)의 애플리케이션-호환성 포트인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되었다.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서, 프린터 객체의 출력 포트가 애플리케이션-호환성 포트가 아닌 경우에도, 파일이 드롭될 때 프린터 객체가 삭제되었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체크를 기초로, 체크를 기초로 출력이 실시될 수 없다는 것이 표시되거나, 또는 가상 디바이스 객체를 셋팅 또는 삭제하라고 사용자를 재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상 디바이스 객체에 대한 출력 조작을 잘못 실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프로세싱을 실시하기 위한 높은 조작성을 갖는 가젯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양태들은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나 MPU 등의 디바이스)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실시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제공되는 여러 가지 타입들의 기록 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프로그램이 컴퓨터로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변경들, 균등한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및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객체에 제1 프린터 객체 및 제2 프린터 객체를 할당하기 위한 할당 수단;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2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기 위한 명령 수단; 및
    상기 제1 프린터 객체 및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화상 프로세싱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화상 프로세싱 장치를 이용하여 팩시밀리 송신을 실시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1 프린터 객체는 인쇄용 프린터 객체이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는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인, 정보 프로세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객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파일의 드롭을 수신하기 위한 객체이고,
    상기 명령 수단은,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파일의 드롭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을 기초로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파일의 드롭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2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을 기초로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때 상기 제1 프린터 객체 및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삭제 수단이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또는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 및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삭제 수단이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제공되는 제1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제공되는 제2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확인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동안에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 두고,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동안에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 두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정보 프로세싱 장치.
  10.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및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객체에 제1 프린터 객체 및 제2 프린터 객체를 할당하는 할당 단계;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2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는 명령 단계; 및
    상기 제1 프린터 객체 및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은 화상 프로세싱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화상 프로세싱 장치를 이용하여 팩시밀리 송신을 실시하는 기능이며, 상기 제1 프린터 객체는 인쇄용 프린터 객체이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는 팩시밀리 송신용 프린터 객체인,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객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파일의 드롭을 수신하기 위한 객체이고, 및
    상기 명령 단계는,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파일의 드롭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1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을 기초로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파일의 드롭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2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을 기초로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는,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는 가상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때 상기 제1 프린터 객체 및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기 위한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삭제 단계가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디바이스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객체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또는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 및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삭제 단계가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제공되는 제1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서 제공되는 제2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확인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셋팅 스크린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동안에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 두고,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동안에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출력 선택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불가 상태로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컴퓨터로 하여금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이며,
    상기 방법은,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및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객체에 제1 프린터 객체 및 제2 프린터 객체를 할당하는 할당 단계;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제1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고,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할 때 상기 제2 프린터 객체에 할당된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출력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발행하는 명령 단계; 및
    상기 제1 프린터 객체 및 상기 제2 프린터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디바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삭제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30016487A 2012-02-24 2013-02-15 정보 프로세싱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618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8882A JP5995460B2 (ja) 2012-02-24 2012-02-24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制御方法
JPJP-P-2012-038882 2012-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657A true KR20130097657A (ko) 2013-09-03
KR101618402B1 KR101618402B1 (ko) 2016-05-04

Family

ID=4809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487A KR101618402B1 (ko) 2012-02-24 2013-02-15 정보 프로세싱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0683B2 (ko)
JP (1) JP5995460B2 (ko)
KR (1) KR101618402B1 (ko)
CN (1) CN103336674B (ko)
DE (1) DE102013202738B4 (ko)
GB (1) GB2502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9267B2 (ja) * 2017-02-10 2021-01-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949134B2 (en) * 2018-01-19 2021-03-16 Canon Kabushiki Kaisha Clien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0551B2 (ja) 1998-05-22 2007-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周辺機器の選択システム及び選択方法
JP2002015234A (ja) * 2000-06-29 2002-01-1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634784B2 (ja) * 2001-09-14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印刷制御装置
JP3833127B2 (ja) * 2002-03-12 2006-10-11 キヤノン株式会社 代行印刷処理装置、代行印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4318752A (ja) * 2003-04-21 2004-11-11 Sony Corp 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880575B2 (ja) * 2003-12-12 2007-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設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JP4878864B2 (ja) * 2006-02-20 2012-02-15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29806B2 (ja) * 2006-04-12 2012-05-0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12214B2 (ja) * 2006-07-25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JP2009098744A (ja) * 2007-10-12 2009-05-07 Canon Marketing Japa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146317A (ja) * 2007-12-17 2009-07-0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装置、ジョブの実行指示方法及び同指示プログラム
JP5467849B2 (ja) * 2008-12-22 2014-04-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基準電圧回路及び半導体装置
JP2010244099A (ja) *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周辺機器起動プログラムおよび周辺機器起動装置
JP5402650B2 (ja) 2009-06-09 2014-01-29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制御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JP5665288B2 (ja) * 2009-07-24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20110041091A1 (en) * 2009-08-11 2011-02-17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managing apparatus, device managing method, and icon display control method
JP5595032B2 (ja) * 2009-12-24 2014-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994469B2 (ja) * 2010-02-19 2012-08-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238136A (ja) * 2010-05-12 2011-11-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連携機能設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0265B2 (ja) * 2010-05-26 2013-1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共通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印刷ポートの管理方法
JP5975666B2 (ja) * 2012-02-15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02738B4 (de) 2018-03-08
CN103336674A (zh) 2013-10-02
DE102013202738A1 (de) 2013-08-29
GB2502179A (en) 2013-11-20
US9030683B2 (en) 2015-05-12
GB2502179B (en) 2016-06-22
CN103336674B (zh) 2016-06-01
GB201303092D0 (en) 2013-04-10
JP5995460B2 (ja) 2016-09-21
US20130222832A1 (en) 2013-08-29
KR101618402B1 (ko) 2016-05-04
JP2013175035A (ja)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5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708675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25565B2 (ja) プリンタドライバ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の印刷機能の追加方法
US89949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2352218A (zh) 信息处理装置、控制方法及程序
JP592489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3041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CN106462365B (zh) 输出系统、终端装置和输出方法
KR20110085218A (ko) 화상형성장치와 그 프리뷰 이미지 디스플레이방법, 및 서버와 그 프리뷰 이미지 제공방법
EP299358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90101767A (ko) 필터를 동적으로 호출 가능한 인쇄방법, 상기 인쇄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및 호스트장치
JP508464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18402B1 (ko) 정보 프로세싱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00041136A (ko) 인쇄제어장치 및 프린트 티켓 제어방법
CN113282252A (zh) 信息处理装置、其控制方法及能够与其通信的服务器系统
JP2006301860A (ja) 情報処理装置
CN108027752B (zh) 信息处理装置、用于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和程序
JP5879807B2 (ja) 印刷制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22553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認証プリントシステム
JP3833090B2 (ja) 制御方法、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32840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設定アプリケーション
JP61884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192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job for occupying communication with a peripheral device
JP2015069414A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019182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