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953A -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953A
KR20130094953A KR1020120016244A KR20120016244A KR20130094953A KR 20130094953 A KR20130094953 A KR 20130094953A KR 1020120016244 A KR1020120016244 A KR 1020120016244A KR 20120016244 A KR20120016244 A KR 20120016244A KR 20130094953 A KR20130094953 A KR 2013009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oder
outer ring
ring seal
seal
magnet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768B1 (ko
Inventor
박종필
Original Assignee
선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768B1/ko
Priority to JP2012115653A priority patent/JP5314174B2/ja
Publication of KR2013009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7Encoders, e.g. parts with a plurality of alternating magnetic po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코더, 외륜씰 및 엔코더씰을 제조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제조 및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착자전원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엔코더의 페라이트 자성체에 자극이 균일하게 착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코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에 대한 착자, 검사 및 조립의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엔코더의 페라이트자성체에 대한 자극의 간극을 일정한 상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Manufacturing equipment of Encoder with ferrite material, Outerwheel seal and Encoder-se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휠 베어링에 장착되는 엔코더, 외륜씰 및 엔코더씰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코더, 외륜씰 및 엔코더씰을 제조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제조 및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착자전원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엔코더의 페라이트 자성체에 자극이 균일하게 착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축에 형성되는 휠 베어링은 엔진의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차륜의 고정과 회전시 마찰 손실을 줄여 차륜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33에 나타나는 종래의 휠 베어링은 차체에 고정지지되는 베어링 외륜(1)과, 외륜(1)이 내주에 구비되어 그 외면과 외륜(1)의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 볼(3)이 장착되는 베어링 내륜(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34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 외륜(1)과 베어링 내륜(2)의 우측 결합 끝부위에는 엔코더(11)와 외륜씰(12)이 형성되어 베어링 볼(3), 베어링 외륜(1) 및 베어링 내륜(2)의 예압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휠 속도 측정을 위해 엔코더(1)의 표면에 페라이트자성체가 자화되어 형성되고 이와 이격되어 엔코더 센서가 구비되게 된다.
도35를 참조하면, 상기 페라이트자성체를 N,S극으로 교번 자화시키는 경우 종래에는 페라이트자성체와 동일한 형태의 원형착자요크를 이용하여 단번에 착자를 수행하곤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원형착자요크에 의해 한번에 이루어지는 착자의 경우에는 자극간 균일한 착자가 어렵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우려가 많다.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일일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에러 식별을 수행해야하는 특성상, 종래의 경우 대량으로 제조, 검사 및 조립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KR 10-2006-0126197 A 2006.12.07. KR 10-2006-0098242 A 2006.09.18.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시 자극간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류의 공급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하고, 엔코더, 외륜씰 및 상기 엔코더와 외륜씰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엔코더씰의 착자, 검사 및 조립과정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며,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이 착자핀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엔코더의 제조장치는 엔코더 표면에 형성된 페라이트자성체에 주기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착자전원공급장치와; 상부방향으로 엔코더적재봉을 복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엔코더인덱스, 상기 엔코더인덱스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엔코더적재봉에 적재된 엔코더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엔코더공급리프트, 상기 엔코더공급리프트에 의해 상부로 상승된 엔코더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엔코더공급로더로 이루어지는 엔코더공급부와; 상기 엔코더공급로더에 의해 이송된 엔코더가 안착되는 대기장치, 상기 대기장치에 안착되는 엔코더의 상하방향의 위치오류를 감지하는 파이버센서, 상기 파이버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하방향의 위치를 보정하는 엔코더회전장치로 이루어지는 공급대기부와; 상기 공급대기부에 안착된 엔코더가 이송되어 안착되는 착자콜릿, 착자콜릿에 안착된 엔코더의 페라이트자성체를 상기 착자전원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착자시키는 착자요크, 상기 착자요크가 고정형성되며 상기 착자요크를 엔코더로 이동시키는 착자스테이지로 이루어지는 착자부와; 착자된 엔코더가 이송되어 놓이게 되는 검사콜릿, 상기 검사콜릿에 놓여진 엔코더를 하강하여 눌러 검사콜릿에 고정되도록 하는 검사프레스, 검사프레스에 의해 상기 검사콜릿에 고정된 엔코더의 착자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스테이지로 이루어지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부의 검사에 합격된 엔코더가 이송되는 배출대기부, 상기 검사부의 검사에 불합격된 엔코더가 이송되는 불량품회수부, 합격된 엔코더를 이송하는 배출로더, 불합격된 엔코더를 불량품회수부로 이송하는 배출용직교로봇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엔코더 제조장치는, 착자전원공급장치로부터 착자요크로 공급되는 전원의 경우, 공급되는 착자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일정 전류를 공급하되 전류의 공급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착자를 수행하도록 한 후, 착자 마무리단계에서는 전류의 공급시간을 점차로 감소시킴으로써 모든 자극의 폭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엔코더 제조장치의 착자요크의 경우, 착자핀에 인접하여 착자안내롤러를 구비하며 착자안내롤러는 착자핀보다 하부로 위치하여 페라이트자성체 상을 구르도록 함으로써, 착자핀에 의한 페라이트자성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외륜씰 제조장치는, 상부방향으로 외륜씰적재봉을 복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외륜씰인덱스, 상기 외륜씰인덱스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외륜씰적재봉에 적재된 외륜씰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외륜씰공급리프트, 상기 외륜씰공급리프트에 의해 상부로 상승된 외륜씰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외륜씰공급로더로 이루어지는 외륜씰공급부와; 상기 외륜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륜씰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외륜씰1차중량저울과; 1차중량 측정된 외륜씰이 안착되는 외륜씰회전장치와; 상기 외륜씰회전장치에 안착된 외륜씰에 그리스를 공급하기 위한 그리스주입노즐과; 그리스가 주입된 외륜씰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외륜씰2차중량저울; 및 상기 외륜씰1차중량저울 또는 2차중량저울에 의해 중량이 측정된 외륜씰을 이송하는 이송트랜스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엔코더과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는, 외륜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외륜씰이 이송되어 안착되며, 상기 외륜씰 상에 엔코더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엔코더가 이송된 후 상호 결합조립되는 엔코더씰조립부와; 조립된 엔코더씰을 이송하는 엔코더씰이송트랜스퍼와; 상기 엔코더씰이송트랜스퍼에 의해 이송된 엔코더를 조립불량품선별부로 이송하는 엔코더씰적재로더와; 상기 조립불량품선별부의 선별에 따라 합격된 엔코더씰을 적재하기 위한 엔코더씰적재로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코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에 대한 착자, 검사 및 조립의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시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엔코더의 페라이트자성체에 대한 자극의 간극을 일정한 상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요크의 착자핀에 인접하여 착자안내롤러가 구비되기 때문에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이 굴곡지는 경우에도 착자핀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 중 엔코더가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 중 엔코더가 엔코더공급부로부터 공급대기부로 제공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7과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 중 엔코더가 공급대기부에서 회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9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 중 착자부에서 엔코더에 대한 착자가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도면.
도11 내지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 중 검사부에서 착자된 엔코더에 대한 검사 후 배출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 중 착자요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의 착자요크에 인접하여 착자안내롤러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의 착자요크에 인접하여 형성된 착자안내롤러가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을 맞닿아 회전함을 보여주는 도면.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가 측면으로 형성된 페라이트자성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외륜씰 및 엔코더씰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륜씰 제조장치 중 외륜씰이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륜씰 제조장치 중 외륜씰이 외륜씰공급부로부터 외륜씰1차중량저울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륜씰 제조장치에서 외륜씰이 1차로 중량체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23과 도2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륜씰 제조장치에서 외륜씰에 그리스가 도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25와 도2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륜씰 제조장치에서 도포된 그리스를 포함한 외륜씰의 중량을 2차로 체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27과 도2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엔코더와 외륜씰 제조장치에서 제조된 외륜씰을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29 내지 도32는 본 발명의 엔코더씰 제조장치에 의해 조립된 엔코더씰이 검사 및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33은 종래의 차량용 휠 베어링을 나타낸 단면도.
도34는 도33의 A부 상세도로서, 종래 휠 베어링의 엔코더 단면도.
도35는 엔코더의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에 착자되는 자극을 나타내는 도면.
도36은 본 발명의 착자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착자마무리 단계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씰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사시도 및 평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우측의 착자전원공급장치(50), 상기 착자전원공급장치(50)에 인접하여 좌측으로 엔코더(11) 제조장치 및 상기 엔코더(11) 제조장치에 인접하여 좌측으로 외륜씰(12) 제조장치와 엔코더(10) 제조장치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엔코더(11)와 외륜씰(12)을 제조하는 장치를 연속 구성함으로써 엔코더씰(10)을 자동으로 조립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의 수동작업에 따른 작업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자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착자요크(153)가 엔코더(11)의 페라이트자성체(13)를 N극과 S극으로 번갈아 착자시킴으로써 엔코더(11)를 자화하게 되며, 자화된 상기 엔코더(11)를 검사부(160)에서 검사하여 불량품인 경우 불량품회수부(174)를 통해 회수하여 필요에 따라 재착자시키거나 폐기시키게 되며, 이상이 없을 경우 배출부(170)를 통해 적재하거나, 외륜씰(12)과의 조립을 위해 엔코더씰조립부(310)로 이송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륜씰공급부(220)를 통해 외륜씰(12)이 외륜씰 제조장치로 공급되게 되며, 공급된 외륜씰(12)의 중량을 그리스 도포 전후로 체크하여 적정량의 그리스가 도포되도록 하며, 그리스가 도포된 외륜씰(12)을 엔코더씰조립부(310)로 이송하여, 착자된 엔코더(11)과 조립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코더(11)와 외륜씰(12)이 상기 엔코더씰조립부(310)에서 조립된 후 조립의 불량유무를 조립불량품선별부(430)를 통해 선별한 후 불량품인 경우 회수하도록 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엔코더씰적재인덱스(450)에 적재되도록 하여 엔코더의 조립제조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코더, 외륜씰 및 엔코더씰 제조장치가 전장박스(30)에 고정설치되어 착자, 검사, 조립 등이 이루어지게 되며, 조작판넬(101, 201)에 의해 각 과정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착자, 검사 및 조립의 일련의 과정에서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불량품을 회수하여 재사용 또는 폐기함으로써 불량품의 제품화를 최소화하고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 검사 및 조립의 일련의 과정을 진행해가는 동안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상신호발생부(102, 202)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진단 및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4 내지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11)의 공급, 착자, 검사 및 배출을 통해 엔코더(11)를 제조하는 장치에 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엔코더(11)의 착자 및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착자전원공급장치(50)와 엔코더 제조장치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 제조장치는 크게 엔코더공급부(120), 공급대기부(140), 착자부(150), 검사부(160) 및 배출부(1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착자부(150)의 경우 착자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엔코더(11)의 페라이트자성체(13)를 착자함으로써 균일간격으로 착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엔코더공급부(120)로부터 엔코더(11)가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엔코더적재봉(122)이 상부에 복수개 형성된 엔코더인덱스(121)의 회전에 따라 적재된 엔코더(11)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코더인덱스(121)에 인접하여 엔코더공급리프트(13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엔코더공급리프트(130)가 적재봉마다 적층되어 있는 엔코더(11)의 하부를 들어 상승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엔코더공급로더(110)가 엔코더(11)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집어올려 공급대기부(140)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5(b)는 인덱스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엔코더(11)가 적재되어 있는 적재봉이 엔코더공급리프트(130)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5(d)는 적재된 엔코더(11)가 엔코더공급리프트(130)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엔코더인덱스(121)의 회전은 모터의 회전에 따라 구동 가능하며, 엔코더공급리프트(130)의 상하운동은 모터제어를 통한 볼스크류 등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가능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6은 엔코더공급리프트(130)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진 엔코더(11)가 엔코더공급로더(110)에 의해 공급대기부(140)의 대기장치(141)에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코더공급리프트(130)에 의해 엔코더적재봉(122)의 상부로 들어 올려진 엔코더(11)가 감지센서(미도시)의 감지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엔코더공급리프트(130)는 동작을 멈추게 되고, 이후에는 엔코더공급로더(110)가 하강하여 엔코더(11)를 하나씩 집어 올리며 이송하게 된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엔코더공급로더(110)는 엔코더적재봉(122)의 상부에 위치한 엔코더(11)를 집어올린 후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대기장치(141)에 상기 엔코더(11)를 내려놓게 된다.
도7과 도8은 공급대기부(140)로 이송된 엔코더(11)가 상하 뒤집힌 상태에 있을 경우, 엔코더회전장치(143)에 의해 회전되어 보정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엔코더공급로더(110)에 의해 공급대기부(140)로 이송된 엔코더(11)는 페라이트자성체(13)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어야 하나, 이송된 엔코더(11)의 페라이트자성체(13)가 하부방향으로 향하여 있을 경우 이를 회전하여 상부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이후 착자부(150)에 의한 착자시 페라이트자성체(130가 자화될 수 있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도7(a)는 엔코더공급로더(110)에 의해 공급된 엔코더(11)가 상하가 뒤집힌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파이버센서(142)에 의해 엔코더(11)의 상하 위치상태가 확인된 후 엔코더회전장치(143)가 구동되어 엔코더(11)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7(b)는 엔코더회전장치(143)의 핑거(144)가 뒤집혀 있는 엔코더(11)를 들어올린 다음 180도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8(c)는 핑거(144)가 180도 회전한 후 페라이트자성체(13)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대기장치(141)에 재장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8(d)는 이후 엔코더회전장치(143)와 핑거(144)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9와 도10은 착자부(150)에서 엔코더(11)에 대한 착자가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직교로봇에 의해 대기장치(141)에 있던 엔코더(11)가 착자콜릿(154)으로 이송되면서 착자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9(a)를 참조하면, 엔코더(11)가 우측의 대기장치(141)로부터 착자콜릿(154)으로 이송되어 안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인접하여 형성된 착자스테이지(151) 상의 착자요크(153)가 착자콜릿(154)에 안착된 엔코더(11)에 착자할 준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9(b)는 착자콜릿(154)에 안착된 엔코더(11)이 콜릿에 의해 척킹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10(c)는 착자콜릿(154)에 의해 척킹된 엔코더(11)에 착자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가이드실린더(152)에 의해 착자요크(153)를 수반한 스테이지가 엔코더(11)로 전진하게 되고 착자콜릿(154)은 회전하게 되며, 착자요크(153)가 엔코더(11)에 착자를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10(d)는 착자가 완료된 후 엔코더(11)가 이후 검사부(160)로 이송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착자가 완료되면 착자콜릿(154)은 회전을 멈추게 되고 척킹을 해제하게 되며, 착자스테이지(151)는 가이드실린더(152)에 의해 뒤로 후진하게 된다. 이후 직교로봇이 착자콜릿(154) 상에 있는 엔코더(11)를 검사콜릿(161)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콜릿(154)에 의한 착자는 착자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착자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경우 전압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공급하되 전류는 단계별로 공급시간에 차이를 두어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페라이트자성체(13)에 형성되는 극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착자전원공급장치는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 크기로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균일하게 (i=일정, T1=T2=T3=...=Tn) 하되, 전압의 경우 초기 착자시에는 상승시키되 착자 진행 중에는 일정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 마무리 작업시에는 점차 감소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마무리 작업시 착자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전압감소비율이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전압 감소비율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착자 자극의 폭이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과 달리, 전압은 일정 값으로 유지하도록 하되 비교적 제어가 용이한 전류의 공급시간을 착자의 마무리 단계에서 차이를 두도록 함으로써 착자 자극의 폭을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비교적 간단한 착자전원공급장치로도 착자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착자요크(154)로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일정 값의 전류를 공급하되, 상기 전류는 정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공급되게 되며, 이후 마무리단계에서는 도3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의 공급시간을 주기적으로 점차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착자된 모든 자극의 폭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11 내지 도14는 검사부(160)에서 착자된 엔코더(11)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진 후 배출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11(a)는 검사콜릿(161)에 착자가 완료된 엔코더(11)가 이송되어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11(b)는 검사프레스(162)가 하강하여 엔코더(11)를 누르면서 검사콜릿(161)이 척킹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12(c)를 참조하면, 척킹이 완료된 후에는 검사프레스(162)가 상승하게 되고, 이후 검사스테이지(163)가 전진하게 되며, 동시에 검사콜릿(161)이 회전을 하며 검사가 시작되는 모습을 알 수 있다. 도12(d)는 검사가 완료된 후 검사스테이지(163)는 뒤로 후퇴하게 되며, "양품"으로 판정된 엔코더(11)가 배출용직교로봇(172)에 의해 배출대기부(171)에 이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도13(e)에서 보듯이 "양품" 판정된 엔코더(11)가 배출로더(173)에 의해 적재봉으로 옮겨지거나, 조립을 위해 엔코더조립부(310)로 이송되게 되며, 도13(f) 및 도13(g)에서 보듯이 "불량품"으로 판정된 엔코더(11)의 경우에는 배출용직교로봇(172)에 의해 불량품회수부(174)로 옮겨지게 되며, 상기 불량품회수부(174)에 놓여있던 엔코더(11)는 배출용직교로봇(172)에 의해 이송된 다른 불량품에 의해 밀려서 떨어져 회수되게 된다.
도15 내지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착자요크(153)의 동작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특히 도15 내지 도17은 수평면상에 형성된 페라이트자성체(13)에 착자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15는 착자요크(153)에 안착되어 척킹된 페라이트자성체(13)에 착자요크(153)가 접근하여 착자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16은 착자요크(153)의 일측면에 착자안내롤러(157)가 구비되어 착자시 상기 착자안내롤러(157)가 페라이트자성체(13)를 접촉하여 구르면서 회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17은 구체적인 회전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착자스테이지(151) 및 롤러스테이지(159)를 조정하여 착자안내롤러(157)가 페라이트자성체(13)의 표면에 닿아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인접한 착자핀(158)이 상기 착자안내롤러(157)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정함으로써 착자콜릿(154)의 회전에 따라 엔코더(11)가 회전한다 하더라도 페라이트자성체(13)가 착자핀(158)에 의해 긁혀 손상을 입는 경우가 없도록 하게 된다.
착자에러가 최소화된 상태로 착자되기 위해서는 착자요크(153)를 가급적 페라이트자성체(13) 가까이 근접시켜 착자해야 하지만, 도17(b)에서 보듯이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은 매끄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한 착자를 위해 착자요크를 상기 페라이트자성체에 근접시키게 되면, 착자요크(153)의 착자핀(158)이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을 긁게 되어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페라이트자성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착자요크(153)에 인접하여 착자안내롤러(157)를 형성한 후 상기 착자안내롤러(157)를 착자핀(158)보다 하부로 위치시킨 후 페라이트자성체(13)의 표면에 닿은 채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에 굴곡이 있다 하더라도 상기 페라이트자성체 표면이 착자핀(158)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핀(158)이 착자안내롤러(157)보다 상부방향으로 단차를 두고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착자핀(158)이 형성된 착자요크(153)와 착자안내롤러(157)를 상호 고정하되, 착자안내롤러(157)를 지지하는 롤러스테이지(159)와 착자스테이지(151)와의 결합은 나사 등을 조절하여 고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페라이트자성체(13) 상을 착자안내롤러(157)가 접촉하여 구동한다 하더라도 롤러스테이지(159)가 상하로 유동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페라이트자성체(1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도18은 측면에 페라이트자성체가 형성된 엔코더(11)를 착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착자스테이지(151)를 조절하여 착자요크(153)를 도면과 같이 위치시킴으로써 측면에 페라이트자성체가 형성된 엔코더(11)의 착자도 가능하게 된다.
도19 내지 도3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륜씰(12)의 공급, 엔코더씰(10)의 조립, 검사 및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외륜씰(12) 및 엔코더(11)와 외륜씰(12)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엔코더씰(1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19는 외륜씰 및 엔코더씰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전면에 외륜씰(12)이 공급되고 그리스가 도포되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후면에는 엔코더(11)와 외륜씰(12)이 조립되어 엔코더씰(10)이 형성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20은 외륜씰(12)이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엔코더(11)가 공급되는 모습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외륜씰인덱스(221) 상부에 복수개의 외륜씰적재봉(222)을 구비하게 되고, 외륜씰(12)의 적재상태에 따라 상기 외륜씰인덱스(221)를 회전시켜 외륜씰공급리프트(230)에 근접시킨 후 외륜씰(12)을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외륜씰(12)이 하나씩 개별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도20(b)는 외륜씰(12)이 적재된 외륜씰적재봉(222)이 외륜씰공급리프트(230) 쪽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외륜씰적재봉(222)에 외륜씰(12)을 투입한 후에 자동기동을 시키게 되면 외륜씰인덱스(221)가 외륜씰공급리프트(230)로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20(c)는 외륜씰적재봉이 외륜씰공급리프트쪽으로 회전되어 위치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20(d)는 외륜씰공급리프트(230)가 적재된 외륜씰(12)을 상부로 밀어올린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21은 외륜씰(12)이 외륜씰공급부(220)로부터 1차중량저울(240)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외륜씰공급리프트(230)가 외륜씰(12)을 외륜씰적재봉(222) 위로 밀어 올린 후 외륜씰(12)이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외륜씰공급리프트(230)가 멈추게 되는데, 이후 외륜씰공급로더(210)가 하강하여 외륜씰(12)을 하나씩 집어올리게 된다. 외륜씰(12)을 집어올린 외륜씰공급로더(210)는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외륜씰1차중량저울(240)에 상기 외륜씰(12)을 올려 놓은 후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도22는 외륜씰(12)이 1차로 중량체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외륜씰공급로더(210)에 의해 외륜씰1차중량저울(240)로 이송된 외륜씰(12)이 상기 외륜씰1차중량저울(240)에 의해 중량이 측정되게 된다.
도23과 도24는 외륜씰(12)에 그리스가 도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외륜씰1차중량저울(240)에 의해 중량이 측정된 외륜씰(12)이 이송트랜스퍼(260)에 의해 외륜씰회전장치(270)로 이송되게 되며, 그리스주입노즐(281)이 하강하여 외륜씰회전장치(270)에 안착된 외륜씰(12)에 그리스를 주입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외륜씰회전장치(270)는 외륜씰(12)을 회전시켜 그리스가 골고루 도포되도록 해준다. 상기 그리스주입노즐(281)의 상부에는 그리스정량공급유닛(280)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그리스정량공급유닛(280)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외륜씰(12)에 공급되는 그리스의 양이 제어되도록 한다.
도25와 도26은 도포된 그리스를 포함한 외륜씰(12)의 중량을 2차로 체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외륜씰회전장치(270)의 회전에 따라 그리스가 도포된 외륜씰(12)이 이송트랜스퍼(260)에 의해 회수된 후 외륜씰2차중량저울(250)로 이송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외륜씰2차중량저울(250)에서는 그리스가 도포된 외륜씰의 중량을 측정하게 되며, 측정된 중량 데이터에서 1차중량측정시 나타난 중량 데이터를 감하게 되면 도포된 그리스의 중량이 산출되게 된다. 산출된 그리스의 중량이 기준범위 내를 벗어나게 되면 중량불량으로 판정하여 불량품으로 회수되게 된다. 그리스는 차량 내외륜 사이에 위치한 엔코더(11)와 외륜씰(12)에 필요한 윤활작용을 담당하는 것으로써, 도포되는 그리스가 기준용량이하로 도포되는 경우 차륜의 회전에 의한 마찰로 타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기준용량이상으로 도포되는 경우 엔코더씰(10)의 외부로 흘러나와 기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범위 내에서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도27과 도28은 엔코더(11)와 외륜씰(12)이 조립되어 완제품인 엔코더씰(10)이 형성되는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외륜씰(12)의 2차중량 측정이 완료되게 되면, 상기 외륜씰(12)은 이송트랜스퍼(260)에 의해 이송되어 엔코더조립부(310)에 안착되게 된다. 외륜씰(12)이 엔코더조립부(310)에 안착된 후에는 엔코더씰조립로더(320)가 착자 및 검사가 완료된 엔코더(11)를 이송해 오게 되며, 상기 엔코더(11)는 엔코더씰조립부(310)에 이미 안착되어 있는 외륜씰(12) 상에 조립되게 된다.
도29 내지 도32는 엔코더씰이 검사 및 배출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엔코더씰조립부(310)에서 조립된 엔코더씰(10)은 배출로더(410)를 통해 엔코더씰이송트랜스퍼(42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엔코더씰이송트랜스퍼(420)에 이송된 엔코더씰(10)은 엔코더씰적재로더(440)에 의해 조립불량품선별부(430)로 이송되게 되며, 상기 조립불량품선별부(430)는 엔코더(11)와 외륜씰(12)의 결합이 불량하여 엔코더(11)가 외륜씰(12)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불량으로 판정하여 불량품회수부를 통해 회수되도록 한다. 조립불량품선별부(430)를 통해 검사 후 합격된 제품은 엔코더씰적재로더(440)에 의해 엔코더씰적재인덱스(450)에 적재되며 이를 통해 엔코더씰의 조립공정이 완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코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에 대한 착자, 검사 및 조립의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업무의 효율 및 검사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착자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공급시간을 착자의 마무리 단계에서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착자자극의 간극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착자안내롤러의 구동작용으로 페라이트자성체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 베어링 외륜 2: 베어링 내륜
3: 베어링 볼
10:엔코더씰 11:엔코더
12:외륜씰 13:페라이트자성체
20:출력검사결과 표시모니터 30:전장박스
50:착자전원공급장치
101:엔코더조작판넬 102:엔코더이상신호발생부
110:엔코더공급로더
120:엔코더공급부 121:엔코더인덱스
122:엔코더적재봉 130:엔코더공급리프트
140:공급대기부 141:대기장치
142:파이버센서 143:엔코더회전장치
144:핑거
150:착자부 151:착자스테이지
152:착자가이드실린더 153:착자요크
154:착자콜릿 156:착자안내롤러외륜씰
157:착자안내롤러 158:착자핀
159:롤러스테이지
160:검사부 161:검사콜릿
162:검사프레스 163:검사스테이지
164:검사가이드실린더
170:배출부 171:배출대기부
172:배출용직교로봇 173:배출로더
174:불량품회수부
201:외륜씰조작판넬 202:외륜씰이상신호발생부
210:외륜씰공급로더 211:외륜씰공급직교로봇
220:외륜씰공급부 221:외륜씰인덱스
222:외륜씰적재봉 230:외륜씰공급리프트
240:외륜씰1차중량저울 260:이송트랜스퍼
270:외륜씰회전장치 280:그리스정량공급유닛
281:그리스주입노즐 250:외륜씰2차중량저울
310:엔코더씰조립부 320:엔코더씰조립로더
321:엔코더씰조립용직교로봇
410:배출로더 411:배출직교로봇
420:엔코더씰이송트랜스퍼 430:조립불량품선별부
440:엔코더씰적재로더 441:엔코더씰적재직교로봇
450:엔코더씰적재인덱스

Claims (5)

  1.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엔코더(11) 표면에 형성된 페라이트자성체(13)에 주기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착자전원공급장치(50)와;
    상부방향으로 엔코더적재봉(121)을 복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엔코더인덱스(120), 상기 엔코더인덱스(121)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엔코더적재봉(122)에 적재된 엔코더(11)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엔코더공급리프트(130), 상기 엔코더공급리프트(130)에 의해 상부로 상승된 엔코더(11)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엔코더공급로더(110)로 이루어지는 엔코더공급부와(120);
    상기 엔코더공급로더(110)에 의해 이송된 엔코더(11)가 안착되는 대기장치(141), 상기 대기장치(141)에 안착되는 엔코더(11)의 상하방향의 위치오류를 감지하는 파이버센서(142), 상기 파이버센서(142)의 감지에 따라, 상하방향의 위치를 보정하는 엔코더회전장치(143)로 이루어지는 공급대기부(140)와;
    상기 공급대기부(140)에 안착된 엔코더(11)가 이송되어 안착되는 착자콜릿(154), 착자콜릿(154)에 안착된 엔코더(11)의 페라이트자성체(13)를 상기 착자전원공급장치(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착자시키는 착자요크(153), 상기 착자요크(153)가 고정형성되며 상기 착자요크(153)를 엔코더(11)로 이동시키는 착자스테이지(151)로 이루어지는 착자부(150)와;
    착자된 엔코더(11)가 이송되어 놓이게 되는 검사콜릿(161), 상기 검사콜릿(161)에 놓여진 엔코더(11)를 하강하여 눌러 검사콜릿(161)에 고정되도록 하는 검사프레스(162), 검사프레스(162)에 의해 상기 검사콜릿(161)에 고정된 엔코더(11)의 착자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스테이지(163)로 이루어지는 검사부(160); 및
    상기 검사부(160)의 검사에 합격된 엔코더(11)가 이송되는 배출대기부(171), 상기 검사부(160)의 검사에 불합격된 엔코더(11)가 이송되는 불량품회수부(174), 합격된 엔코더(11)를 이송하는 배출로더(173), 불합격된 엔코더(11)를 불량품회수부(174)로 이송하는 배출용직교로봇(172)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자전원공급장치(50)로부터 상기 착자요크(153)로 공급되는 전원의 경우, 공급되는 착자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일정 전류를 공급하되 전류의 공급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착자를 수행하도록 한 후, 착자 마무리단계에서는 전류의 공급시간을 점차로 감소시킴으로써 모든 자극의 폭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자요크(153)는 착자핀(158)에 인접하여 착자안내롤러(157)를 구비하며, 상기 착자안내롤러(157)는 상기 착자핀(158)보다 하부로 위치하여 페라이트자성체(13) 상을 구르도록 함으로써, 착자핀(158)에 의한 페라이트자성체(13)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의 제조장치.
  4. 차량용 휠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부방향으로 외륜씰적재봉(222)을 복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외륜씰인덱스(221), 상기 외륜씰인덱스(221)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외륜씰적재봉(222)에 적재된 외륜씰(12)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외륜씰공급리프트(230), 상기 외륜씰공급리프트(230)에 의해 상부로 상승된 외륜씰(12)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는 외륜씰공급로더(210)로 이루어지는 외륜씰공급부(220)와;
    상기 외륜씰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외륜씰(12)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외륜씰1차중량저울(240)과;
    1차중량 측정된 외륜씰(12)이 안착되는 외륜씰회전장치(270)와;
    상기 외륜씰회전장치(270)에 안착된 외륜씰(12)에 그리스를 공급하기 위한 그리스주입노즐(281)과;
    그리스가 주입된 외륜씰(12)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외륜씰2차중량저울(250); 및
    상기 외륜씰1차중량저울(240) 또는 2차중량저울(250)에 의해 중량이 측정된 외륜씰(12)을 이송하는 이송트랜스퍼(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륜씰의 제조장치.
  5.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와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에 있어서,
    제4항에 의해 제조된 외륜씰(12)이 이송되어 안착되며, 상기 외륜씰(12) 상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엔코더(11)가 이송된 후 상호 결합조립되는 엔코더씰조립부(310)와;
    조립된 엔코더씰(10)을 이송하는 엔코더씰이송트랜스퍼(420)와;
    상기 엔코더씰이송트랜스퍼(420)에 의해 이송된 엔코더씰(10)을 조립불량품선별부(430)로 이송하는 엔코더씰적재로더(440); 및
    상기 조립불량품선별부(430)의 선별에 따라 합격된 엔코더씰(10)을 적재하기 위한 엔코더씰적재로더(4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KR1020120016244A 2012-02-17 2012-02-17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KR10131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244A KR101310768B1 (ko) 2012-02-17 2012-02-17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JP2012115653A JP5314174B2 (ja) 2012-02-17 2012-05-21 エンコーダの製造装置、外輪シールの製造装置、及びエンコーダシール製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244A KR101310768B1 (ko) 2012-02-17 2012-02-17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53A true KR20130094953A (ko) 2013-08-27
KR101310768B1 KR101310768B1 (ko) 2013-09-25

Family

ID=4921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244A KR101310768B1 (ko) 2012-02-17 2012-02-17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14174B2 (ko)
KR (1) KR1013107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25B1 (ko) * 2014-02-28 2015-07-02 김근호 차량의 조향장치용 캠 요크의 조립방법 및 장치
KR20160071962A (ko) * 2014-12-12 2016-06-22 선진기술 주식회사 휠 베어링 내륜에 접촉되어 차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러버마그네트가 표면에 형성되는 엔코더링 제조장치
KR101666892B1 (ko) * 2015-06-15 2016-10-24 선진기술 주식회사 엔코더링 출력 복수 채널 검사장치
KR20220009585A (ko) 2020-07-16 2022-01-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회전체의 절대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220009588A (ko) 2020-07-16 2022-01-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자성체를 이용한 회전체의 절대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91B1 (ko) * 2014-12-12 2016-07-14 선진기술 주식회사 엔코더링 또는 베어링의 수동 출력검사장치
KR101655443B1 (ko) * 2015-04-13 2016-09-09 한국에스케이에프씰 주식회사 자기 엔코더용 조합형 착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524B2 (ja) * 1991-09-25 1995-08-23 日本碍子株式会社 光センサ自動組立装置
JPH06171563A (ja) * 1992-12-04 1994-06-21 Asahi Tec Corp 軸受組立装置
JP4867454B2 (ja) 2006-04-21 2012-02-01 日本精工株式会社 多極磁石エンコーダ付き密封装置該密封装置を備えた転がり軸受及び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JP5092393B2 (ja) 2006-12-25 2012-12-05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状態量測定装置の組立方法
JP2008169856A (ja) * 2007-01-09 2008-07-24 Nsk Ltd 転がり軸受
JP5082646B2 (ja) * 2007-07-24 2012-11-28 日本精工株式会社 エンコーダ付シールリングの製造方法及びエンコーダ付シールリングを備えた転がり軸受の製造方法
KR100955630B1 (ko) 2010-02-16 2010-05-03 선진기술 주식회사 엔코더 씰 착자, 검사 및 조립공정 자동화장치 및 자동화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25B1 (ko) * 2014-02-28 2015-07-02 김근호 차량의 조향장치용 캠 요크의 조립방법 및 장치
KR20160071962A (ko) * 2014-12-12 2016-06-22 선진기술 주식회사 휠 베어링 내륜에 접촉되어 차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러버마그네트가 표면에 형성되는 엔코더링 제조장치
KR101666892B1 (ko) * 2015-06-15 2016-10-24 선진기술 주식회사 엔코더링 출력 복수 채널 검사장치
KR20220009585A (ko) 2020-07-16 2022-01-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회전체의 절대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220009588A (ko) 2020-07-16 2022-01-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자성체를 이용한 회전체의 절대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US11512980B2 (en) 2020-07-16 2022-11-29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Absolut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of rotating body
US11639860B2 (en) 2020-07-16 2023-05-02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Absolut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of rotating body using magnetic material
KR20230160215A (ko) 2020-07-16 2023-11-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자성체를 이용한 회전체의 절대위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14174B2 (ja) 2013-10-16
JP2013171035A (ja) 2013-09-02
KR101310768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768B1 (ko) 차량용 휠 베어링의 내륜에 접촉되며 페라이트자성체가 표면에 형성된 엔코더, 베어링의 외륜에 접촉되는 외륜씰 및 엔코더와 외륜씰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엔코더씰 제조장치
CN205771617U (zh) 自动化输送电路板测试站
CN105345281B (zh) 镭焊机
CN205364826U (zh) 一种全自动丝网印刷机
CN208921051U (zh) 一种圆柱工件自动测量设备
KR101176308B1 (ko) 타이어 시험기용 타이어 팽창 방법
TW201447254A (zh) 輪胎搬運方法、輪胎搬運固定裝置及輪胎檢查系統
CN203750873U (zh) 一种滚动体检测分拣装置
KR100955630B1 (ko) 엔코더 씰 착자, 검사 및 조립공정 자동화장치 및 자동화방법
CN109382329B (zh) 一种方板尺寸和重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187149B1 (ko) 허브 어셈블리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US10760903B2 (en) Master disk, master disk mounting method, and master disk removal method
CN206050807U (zh) 一种圆柱电池ocv测试设备
CN206074046U (zh) 一种锂电池焊接检测设备
KR20110078589A (ko) 와이퍼모터 샤프트 검사장비의 샤프트 투입기
KR102153332B1 (ko) 무선충전기 상호 호환성 자동화 시험장치
KR101672793B1 (ko) 휠 베어링 내륜에 접촉되어 차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러버마그네트가 표면에 형성되는 엔코더링 제조장치
CN106501353B (zh) 一种钢铁探伤用磁粉探伤设备
CN109186516A (zh) 一种轴类零件在线自动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JP2016037327A (ja) ローカバーの搬送装置およびセンタリング方法
CN211768717U (zh) 电子元件性能自动检测机
CN204223816U (zh) 一种轴承套圈无损检测的上下料装置
KR101936876B1 (ko) 모터 케이스 검사장치
KR100479556B1 (ko) 타이어 x선 검사의 타이어 정위치 조절장치
CN211538610U (zh) 产品检测机器人工作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