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00A -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 Google Patents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700A
KR20130090700A KR1020120012024A KR20120012024A KR20130090700A KR 20130090700 A KR20130090700 A KR 20130090700A KR 1020120012024 A KR1020120012024 A KR 1020120012024A KR 20120012024 A KR20120012024 A KR 20120012024A KR 20130090700 A KR20130090700 A KR 2013009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pack
power input
term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717B1 (ko
Inventor
김경호
정재호
임예훈
박원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1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17B1/ko
Priority to PCT/KR2013/000518 priority patent/WO2013118985A1/ko
Priority to JP2014547124A priority patent/JP6049752B2/ja
Priority to CN201380004119.XA priority patent/CN103959513B/zh
Priority to EP13746319.6A priority patent/EP2814089B1/en
Priority to US14/360,869 priority patent/US10784015B2/en
Priority to TW102102810A priority patent/TWI481096B/zh
Publication of KR2013009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2Closed pipes transferring heat by thermal conductivity or phase transition,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3Terminals or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팩의 단자부를 연결하거나 또는 단자부에 접속 체결되고,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버스 바로서, 상기 버스 바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출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입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출력부를 연결하고, 증기 챔버(vapor chamber)를 포함하는 판상형 본체; 및 상기 버스 바를 상기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전원 입력부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Bus Bar with Novel Structure}
본 발명은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bus ba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팩의 단자부를 연결하거나 또는 단자부에 접속 체결되고,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버스 바로서, 상기 버스 바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출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입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출력부를 연결하고, 증기 챔버(vapor chamber)를 포함하는 판상형 본체; 및 상기 버스 바를 상기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전원 입력부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있는 버스 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지모듈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카트리지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작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높은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편, 전지들(단위전지 포함), 전지 카트리지들, 전지모듈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이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외부기기와의 연결 등을 위해서는 전극단자의 연결이 필요하다. 또한, 동력원으로서의 전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압 등의 신호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해당 연결부재와 전극단자와의 연결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극단자의 연결에 필요한 부재로 버스 바(bus bar)가 쓰이며, 이러한 버스 바는 전지모듈에서 인출된 전류가 이동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온도가 쉽게 높아지는 부위이다.
또한, 버스 바는 전지모듈의 출력단자로부터 전류를 수용하는 전원 입력부, 전지모듈의 입력단자로 전류를 전달하는 전원 출력부 및 상기 전원 입력부와 전원 출력부를 연결하는 본체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는 버스 바의 세 부위에 온도 측정장치를 장착하여, 버스 바에 전류를 인가할 때,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버스 바의 표면상에 온도 측정장치가 장착된 위치(601, 602, 603)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1의 위치는 전원 출력부(601)이고, #2의 위치는 본체부(602)이며, #3의 위치는 전원 입력부(603)이다.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스 바에 전원을 인가한 후 1000초의 시간이 흐른 후의 각 부위의 온도를 살펴보면, 전원 출력부(601)의 온도(501) 및 본체부(602)의 온도(502)는 160도 내지 170도 범위 내에 분포한다.
반면, 전원 입력부(603)의 온도(503)는 105도 내지 115도 범위 내에 위치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분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 입력부(603)의 온도(503)는 전원 출력부(601)의 온도(501) 및 본체부(602)의 온도(502)와의 격차가 심각함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버스 바의 부위별 온도 편차는 도 5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버스 바의 온도 편차가 지속될 경우, 버스 바에 핫 스팟(hot spot) 영역이 발생하게 되어, 전지모듈에 열적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이러한 손상은 전체 전지모듈에 크나 큰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버스 바의 온도 편차는 전기 전도율에도 악영향을 끼치며, 이러한 악영향은 전체 전지모듈의 출력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연결부위에 쓰이는 상기 버스 바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 및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는 바, 종래에 이에 대한 일부 선행기술들이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선행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버스 바로부터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열교환 부재를 버스 바에 장착하거나 간접적으로 버스 바를 냉각시키는 냉각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교환 부재를 추가 장착하는 구조 또는 간접적으로 냉각시키는 구조는, 사용되는 부재들 사이에 존재하는 열전도 저항으로 인해, 설계시에 의도한 냉각 효율성이 얻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부득이 상기 열교환 부재의 장착을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전지모듈 전체 크기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전지모듈 전체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버스 바의 전체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온도편차를 줄이고, 핫 스팟 영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각 효율성이 우수한 버스 바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바의 전체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온도편차를 줄이고, 핫 스팟 영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지모듈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원인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버스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모듈 전체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냉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는,
전지팩의 단자부를 연결하거나 또는 단자부에 접속 체결되고,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버스 바로서,
상기 버스 바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출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입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출력부를 연결하고, 증기 챔버(vapor chamber)를 포함하는 판상형 본체; 및
상기 버스 바를 상기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전원 입력부에 형성된 체결부;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지모듈은 추가적으로 열교환 부재를 버스 바에 장착하거나 간접적으로 버스 바를 냉각시키는 냉각 구조를 구성하여, 버스 바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과열을 방지하고 있으나, 충분한 냉각 효과를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버스 바는 버스 바의 전원 입력부, 전원 출력부 및 판상형 본체를 증기 쳄버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증기 챔버 내의 냉매의 상변환을 통한 열전도에 의해 열을 제거하여, 버스 바의 전체 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온도편차를 줄이고, 핫 스팟 영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지모듈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원인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의 방열을 위한 추가적인 열교환 부재가 필요하지 않는 구조의 버스 바이므로, 전지모듈 전체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냉각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바람직하게는, 단자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단자 접속부재에 압연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방식은, 추가적인 체결용 연결 부재를 필요치 않는 방식으로서, 연결 부재의 장착에 의한 추가적인 공간 및 연결 부재의 장착을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전지모듈의 콤팩트 한 구조 및 효율적인 조립 공정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단자 접속부재와의 연결 방향으로 "ㄱ"자형 또는 "ㄴ"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단자 접속 부재는 전지팩 케이스 또는 외부 부재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입력부에 형성된 체결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 및 단자 접속부재의 결합으로 달성되며, 전지팩 케이스 또는 외부 부재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측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출력부는, 바람직하게는, 전지팩의 입력 단자부 방향으로 "ㄱ"자형 또는 "ㄴ"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판상형 본체는 양측 단부에서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출력부에 연속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판상형 본체는, 전지팩 케이스 또는 외부 부재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단차(step)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전지팩 케이스 또는 외부 부재에는 상기 단차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차와 그에 대응하는 홈에 의한 체결 방식은, 추가적인 체결용 연결 부재를 필요치 않는 구조로서, 이 또한 전지모듈의 콤팩트 한 구조 및 효율적인 조립 공정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증기 챔버는 열전도성 소재의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지지부재 및 메쉬(mesh) 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전지팩의 각 단자간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통전성이 우수하고,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우수한 소재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구리 소재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증기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미세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미세 유로는 냉각시스템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이 제작이 가능하고, 재질의 의존성이 매우 낮은 장점을 가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에 적용함은 물론이거니와, 콤팩트한 구조의 열교환 시스템이 필요한 부위에 다양하고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매는 상기 증기 챔버 내에서 순환하고, 상변환을 일으켜 외부의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변환은 기화 또는 액화일 수 있으며, 상기 미세 유로 내에서 냉매를 순환하게 하는 동력원이 되는 바, 이를 모세관력이라 칭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증기 챔버는 모세관력으로 자동 순환하는 열 교환 시스템으로서, 기본적인 상변환 과정은 '기화(증발)'-'증기 이동'-'액화(응축)'-'회귀'의 순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화 과정은, 열원으로부터 고체면을 통해 열이 전도되고, 얇게 유기된 액체막에서 열이 증발 잠열로 흡수되어, 냉매가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환을 일으키면, 상변환된 냉매는 증발부 상단의 압력 상승에 의해 기체 이동 통로를 통해 열손실 없이 면적이 넓은 응축부로 분산되는 것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응축 과정은, 기체통로로부터 유입된 증기가 차가운 벽면에서 액체로 응축되고, 응축열은 고체 벽면을 통해 전도되어 외부로 방출되며, 이때 응축된 액체는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 미세 유로를 통해 증발부로 회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버스 바가 하나 이상 팩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팩과, 이러한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일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는, 버스 바의 전원 입력부, 전원 출력부 및 판상형 본체를 증기 챔버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전지모듈 전체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버스 바의 전체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온도 편차를 줄이고, 버스 바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 및 종래의 버스 바의 시간에 따른 국부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400)는 전원 입력부(100), 전원 출력부(200), 판상형 본체(300) 및 체결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버스 바(400)는 단자 접속부재(110) 및 단차(step, 32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전원 입력부(100)는 단자 접속부재(110)와의 연결 방향으로 절곡(101)되어 있으며, 단자 접속부재(110)에 압연 체결(130)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 방식은, 추가적인 체결용 연결 부재를 필요치 않는 방식으로서, 연결 부재의 장착에 의한 추가적인 공간 및 연결 부재의 장착을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전지모듈의 콤팩트 한 구조 및 효율적인 조립 공정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단자 접속부재(110)는 전지팩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또는 외부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두개의 체결구(111, 112)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전원 출력부(200)는 전지팩(도시하지 않음) 입력 단자부(도시하지 않음) 방향으로 절곡(201)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도 2의 단면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판상형 본체(300)는 양측 단부에서 전원 입력부(100) 및 전원 출력부(200)에 연속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판상형 본체(300)는 전지팩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또는 외부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나의 단차(step, 320)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전지팩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또는 외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는 단차(320)에 대응하는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단차(320)와 이에 대응하는 홈에 의한 체결 방식은, 추가적인 체결용 연결 부재를 필요치 않는 구조로서, 전지모듈의 콤팩트 한 구조 및 효율적인 조립 공정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준다.
한편, 전원 입력부(100)는 단자 접속부재(110)의 결합으로 달성되며, 전지팩 케이스(도시하지 않음) 또는 외부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측면 방향에서 볼 때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400)는, 각각 증기 챔버(vapor chamber, 310)의 구조로 형성된 전원 입력부(100), 판상형 본체(300) 및 전원 출력부(20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증기 챔버(310)는 구리 소재의 상판(311)과 하판(312)로 구성되어 있고, 상판(311)의 두께(H')는 하판(312)의 두께(H)보다 얇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증기 챔버(310)는 내부에 지지부재(313) 및 메쉬(mesh) 구조물(3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판(311)과 하판(312)에 의해 미세 유로(315)가 형성되어 있어 냉매(316)가 유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미세 유로(315)를 포함하는 구조의 증기 챔버(310)는 냉각시스템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이 제작이 가능한 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연 체결(130)되고 두 개의 체결구(111, 112)를 포함하는 구조의 전원 입력부(100)에도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400)는 전원 입력부(100), 판상형 본체(300) 및 전원 출력부(200)에 모두 증기 챔버(310)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증기 챔버(310) 내의 냉매(316)의 유동에 의해 우수한 열 전도율을 얻게 된다.
구체적으로, 증기 챔버(310) 내의 냉매(316)는 물로서, 증기 챔버(310) 내의 미세 유로(315) 내에서 액체 상변환 시 자연적으로 동반되는 모세관력으로 자동 순환하는 열 교환 시스템으로, 기본적인 상변환 과정은 '기화(증발)'-'증기 이동'-'액화(응축)'-'회귀'의 순서이다.
상판(311)에 비해 두꺼운 하판(312)으로 전달된 외부의 열은 미세 유로(315) 내에 얇게 유기된 냉매 액체막(316)에 흡수되게 되며, 냉매 액체막(316)은 흡수한 열을 이용하여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환을 일으키게 된다. 이렇게 상변환된 기체는 미세 유로(315)의 압력 상승을 야기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에 의해 기체는 압력이 비교적 낮은 미세 유로(315)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유동하는 과정 중 상변환된 기체는 하판(312)에 비해 차가운 상판(311)의 내부 벽면에서 액체로 응축되고, 이러한 응축열은 상판(311)을 통해 전도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응축된 액체는 모세관력에 의해 미세 유로(315)를 통해 제자리로 회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 및 종래의 버스 바의 시간에 따른 국부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 되어 있다.
도 5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1, #2 및 #3은 버스 바(400) 표면상에 위치한 온도 측정 장치의 위치(601, 602, 603)를 나타내는 바, 구체적으로, #1은 버스 바(400)의 전원 출력부(200) 쪽의 위치(601)를 나타내고, #2는 판상형 본체(300) 중앙부의 위치(602)를 나타내며, #3은 전원 입력부(100) 쪽의 위치(603)를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버스 바(400)에 전류를 인가한 후, 시간(X-축)에 따른 온도(Y-축)의 변화를, 종래의 버스 바(도시하지 않음)의 각 부위(501, 502, 503) 및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400)의 각 부위(511, 512, 513)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간 1000초 부분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버스 바(도시하지 않음)는 온도 편차가 50도 내지 60도 범위로서, #1 및 #2 부위에서 핫 스팟 영역이 발생함을 볼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400)는 온도 편차가 10도 내지 15도 범위로서, 전체온도가 균일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종래 구리 재질만을 사용하는 버스 바의 경우, 그 열전달 계수가 400W/mK 정도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경우, 그 열전달 계수가 5,000W/mK 정도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400)는 전원 입력부(100), 판상형 본체(300) 및 전원 출력부(200)에 모두 증기 챔버(310)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전체 온도를 균일하게 하여 온도 편차를 줄이고, 버스 바(400)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전지팩의 단자부를 연결하거나 또는 단자부에 접속 체결되고,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버스 바로서,
    상기 버스 바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출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고, 전지팩의 입력 단자부에 연결 또는 접속 체결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출력부를 연결하고, 증기 챔버(vapor chamber)를 포함하는 판상형 본체; 및
    상기 버스 바를 상기 전지팩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전원 입력부에 형성된 체결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단자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단자 접속부재에 압연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단자 접속부재와의 연결 방향으로 "ㄱ"자형 또는 "ㄴ"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접속부재는 전지팩 케이스 또는 외부 부재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부는 전지팩의 입력 단자부 방향으로 "ㄱ"자형 또는 "ㄴ"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본체는 양측 단부에서 전원 입력부 및 전원 출력부에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본체는, 전지팩 케이스 또는 외부 부재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단차(step)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챔버는 열전도성 소재의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지지부재 및 메쉬(mesh)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은 구리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미세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상기 증기 챔버 내에서 순환하고, 상변환을 일으켜 외부의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환은 기화 또는 액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에 형성된 체결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 및 단자 접속부재의 결합으로 달성되며, 전지팩 케이스 또는 외부 부재와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측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바.
  15. 제 1 항에 따른 버스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6. 제 15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20012024A 2012-02-06 2012-02-06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KR10143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24A KR101431717B1 (ko) 2012-02-06 2012-02-06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PCT/KR2013/000518 WO2013118985A1 (ko) 2012-02-06 2013-01-23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JP2014547124A JP6049752B2 (ja) 2012-02-06 2013-01-23 新規な構造のバスバー
CN201380004119.XA CN103959513B (zh) 2012-02-06 2013-01-23 具有新型结构的汇流条
EP13746319.6A EP2814089B1 (en) 2012-02-06 2013-01-23 Battery pack with a bus bar having novel structure
US14/360,869 US10784015B2 (en) 2012-02-06 2013-01-23 Bus bar with novel structure
TW102102810A TWI481096B (zh) 2012-02-06 2013-01-25 新穎結構之匯流排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024A KR101431717B1 (ko) 2012-02-06 2012-02-06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00A true KR20130090700A (ko) 2013-08-14
KR101431717B1 KR101431717B1 (ko) 2014-08-26

Family

ID=4894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024A KR101431717B1 (ko) 2012-02-06 2012-02-06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84015B2 (ko)
EP (1) EP2814089B1 (ko)
JP (1) JP6049752B2 (ko)
KR (1) KR101431717B1 (ko)
CN (1) CN103959513B (ko)
TW (1) TWI481096B (ko)
WO (1) WO20131189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560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13036263A (zh) * 2021-03-08 2021-06-25 山东大学 一种基于液体相变材料的电池包热管理装置及电动汽车
WO2023096096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3353A1 (de) * 2014-11-17 2016-05-1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en Bauelement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Vorrichtung
DE102015219609A1 (de) * 2015-10-09 2017-04-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romverteilerschiene mit einem Wärmeleitrohr
DE102015222713A1 (de) * 2015-11-18 2017-05-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zitäts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2018719B1 (ko) * 2016-02-12 2019-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냉각용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US11177518B2 (en) * 2016-03-29 2021-11-16 Amogreentech Co., Ltd. Heat-radiating cartridge, and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using same
KR101990107B1 (ko) * 2016-03-29 2019-06-1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열 모듈 및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전지팩
DE102016206510B4 (de) * 2016-04-18 2023-10-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einheit
US10516191B2 (en) * 2016-09-07 2019-12-24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busbar cooling
US10403943B2 (en) * 2016-09-07 2019-09-03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Battery system
CN106602177B (zh) * 2016-12-16 2020-03-17 浙江南都电源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软包动力电池的模组顶部加热系统及控制方法
KR102087699B1 (ko) * 2017-11-27 2020-04-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하는 배터리팩
US11189887B2 (en) 2017-03-16 2021-1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bar assembly for an electrified vehicl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0003112B1 (en) * 2017-12-01 2018-06-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backplane assembly with integrated bus bar connections and thermal management features
KR20200021609A (ko) * 2018-08-21 2020-03-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7115208B2 (ja) * 2018-10-12 2022-08-0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DE102018222404B4 (de) * 2018-12-20 2020-08-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r elektrischen Verbindung elektrochemischer Speicherzellen und/oder Zellmodule untereinander sowie Batterie oder Fahrzeug dazu
DE102019200817A1 (de) * 2019-01-23 2020-07-23 Audi Ag Kühleinrichtung zur Kühlung von Batteriezellen, Batterie und Kraftfahrzeug
JP7016836B2 (ja) * 2019-06-10 2022-02-07 矢崎総業株式会社 導電システム
CN112582754B (zh) * 2019-09-27 2022-05-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排防护装置、动力电池包及车辆
DE102022105188A1 (de) 2022-03-04 2023-09-07 iinovis GmbH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Verbinden einer Ladedose mit einer elektrischen Speichereinrichtung
DE102022108336A1 (de) 2022-04-06 2023-10-12 Lisa Dräxlmaier GmbH Stromschiene mit passiver kühlung
DE102022108334A1 (de) 2022-04-06 2023-10-12 Lisa Dräxlmaier GmbH Stromschiene mit aufnahme für eine kühlung
DE102022114560A1 (de) 2022-06-09 2023-12-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romschiene mit pulsierendem Wärmerohr, Baugruppe sowie Hochvoltbordnetz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8585A (en) 1972-06-12 1973-04-17 Gen Electric Electric switchboard assembly with bus bar heat pipe means
JPS58166027U (ja) * 1982-04-30 1983-11-05 株式会社東芝 コンデンサ
JPH0743867Y2 (ja) * 1989-07-05 1995-10-09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給電用ブスバー
GB9005243D0 (en) * 1990-03-08 1990-05-02 Bicc Plc An improved isolated phase busbar installation
US6010800A (en) * 1998-06-17 2000-01-04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a battery
JP4164212B2 (ja) 1999-11-18 200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力供給装置
JP4204237B2 (ja) * 2001-03-21 2009-01-07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単電池およびリチウム二次単電池の接続構造体
JP2006210245A (ja) 2005-01-31 2006-08-10 Toyota Motor Corp 電池モジュールの冷却装置
KR100936262B1 (ko) * 2005-10-21 2010-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기 접속용 버스 바 및 그것을 포함하고있는 전지모듈
DE102006058327B3 (de) * 2006-12-11 2008-05-15 Siemens Ag Stromschienenpaket
KR100887759B1 (ko) 2007-11-12 2009-03-12 미래특수금속 주식회사 동복알루미늄 부스 바 제조방법
JP2009245730A (ja) * 2008-03-31 2009-10-22 West Japan Railway Co 電池接続具
US20100030733A1 (en) * 2008-08-01 2010-02-04 Draughn Jr Alphonza Transforming SQL Queries with Table Subqueries
US7786384B2 (en) * 2008-08-29 2010-08-31 Mauricio Diaz Efficient high-ampacity bowl-shaped tubular conductors
US20100146169A1 (en) * 2008-12-05 2010-06-10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Bus-handling
DE102009005124A1 (de) * 2009-01-19 2010-07-29 Li-Tec Battery Gmbh Elektrochemische Energiespeichervorrichtung
JP5514578B2 (ja) * 2009-02-24 2014-06-04 矢崎総業株式会社 組電池冷却構造
KR20100096755A (ko) * 2009-02-25 2010-09-0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모듈
US7952875B2 (en) 2009-05-29 2011-05-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acked busbar assembly with integrated cooling
JP2011029103A (ja) * 2009-07-29 2011-02-10 Kawasaki Shipbuilding Corp 電池冷却装置
KR101097226B1 (ko) * 2010-02-01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4560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13036263A (zh) * 2021-03-08 2021-06-25 山东大学 一种基于液体相变材料的电池包热管理装置及电动汽车
WO2023096096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59513A (zh) 2014-07-30
EP2814089A4 (en) 2015-08-05
TW201338244A (zh) 2013-09-16
US10784015B2 (en) 2020-09-22
KR101431717B1 (ko) 2014-08-26
US20140370339A1 (en) 2014-12-18
WO2013118985A1 (ko) 2013-08-15
JP6049752B2 (ja) 2016-12-21
JP2015507818A (ja) 2015-03-12
CN103959513B (zh) 2016-09-14
EP2814089B1 (en) 2017-12-20
EP2814089A1 (en) 2014-12-17
TWI481096B (zh) 2015-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717B1 (ko)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US10586952B2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cartridge having gripping part
JP5137480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EP2763214B1 (en) Battery module
EP2416438B1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afety
JP5625115B2 (ja) 優れた熱放射特性を有する小型構造の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の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使用する中型又は大型のバッテリーパック
US9093686B2 (en)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JP5540070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JP7348180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と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
JP5183175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
US20150064540A1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of improved stability and high cooling efficiency
WO2013146561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US20150072191A1 (en) Battery cell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US20130157103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JP2009134901A (ja) バッテリシステム
KR20150127863A (ko) 배터리 모듈
JP2009009853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13125617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2012094456A (ja) 電源装置
CN104412439A (zh) 具有间接空气冷却结构的电池模块
KR101658517B1 (ko)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KR20140100605A (ko) 배터리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