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609A -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609A
KR20200021609A KR1020180097131A KR20180097131A KR20200021609A KR 20200021609 A KR20200021609 A KR 20200021609A KR 1020180097131 A KR1020180097131 A KR 1020180097131A KR 20180097131 A KR20180097131 A KR 20180097131A KR 20200021609 A KR20200021609 A KR 20200021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s
cooling plate
group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용
김상연
노윤주
이태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609A/ko
Priority to US16/541,826 priority patent/US11894532B2/en
Priority to CN201910762281.7A priority patent/CN110854319B/zh
Priority to DE102019122339.3A priority patent/DE102019122339A1/de
Publication of KR2020002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5Control systems based on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01M2/1072
    • H01M2/1094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1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parameters specified by a numeric value or mathematical formula, e.g. ratios, sizes or concent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전지 그룹; 상기 전지 그룹의 일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지 그룹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면에 위치된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탭이 돌출된 측 측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라 폰, 노트북,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배터리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배터리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위와 같이, 상기 이차 전지 다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에 사용하는 경우, 커버 또는 케이스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 전지를 고정하고, 이를 버스바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배터리 모듈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경우 복수개의 전지 셀을 적층 및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 전지 셀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핀, 냉각 판 등의 별도 냉각부재를 더 필요로 하였는 바, 배터리 모듈의 부피가 상승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듈 케이스의 각 측면이 각각 별개 구성으로 구비된 후 결합되었는 바, 모듈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217호 (2015.10.0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도 및 강성이 보강되어 조립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스부의 일측이 개방되어 제조 간 열전도부재의 도포 및 전지 그룹의 삽입 등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지 그룹 및 냉각 플레이트 사이의 열전도부재 도포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지 그룹 상측의 탄성패드에 의해 전지 그룹과 냉각 플레이트의 면착이 극대화된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전도부재가 전지 그룹 및 냉각 플레이트 사이에서 얇게 퍼져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배터리 셀에 대한 냉각 플레이트의 냉각 효율이 극대화된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스부가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으로 압출, 프레스 및 벤딩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바, 적층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수량에 상관없이 케이스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정 개수의 적층된 배터리 셀 사이에 격벽부를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이 증대된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마다 면압패드를 개재하여 스웰링에 의한 모듈 구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마다 난연패드를 개재하여 유사 시 화염 확산 등에 대비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센싱부가 버스바 조립체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단순히 버스바 조립체 및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호 체결됨에 따라 원하는 위치의 배터리 셀 측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전지 그룹; 상기 전지 그룹의 일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지 그룹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면에 위치된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탭이 돌출된 측 측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그룹의 적층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일체형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그룹은, 기 결정된 개수의 상기 배터리 셀이 적층된 서브 그룹 사이마다 배치되고 소정 강성을 가진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셀 사이마다 개재된 면압(面壓)패드 및 난연(難燃)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압패드 및 난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적어도 두 개 묶음 사이마다 개재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상호 대면하는 배터리 셀 사이에서 상기 면압패드 및 난연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재되지 않은 상기 배터리 셀 간은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전지 그룹 및 상기 냉각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전지 그룹 및 상기 냉각 플레이트 상호 간의 접촉 면적을 높여주는 열전도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면 커버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그룹을 상기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인접한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어 상기 인접한 배터리 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고정 및 지지하는 버스바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이 돌출되는 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 측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재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 측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전지 그룹; 상기 전지 그룹의 일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지 그룹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면에 위치된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커버부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호 적층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일측의 냉각 플레이트에 안착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타측면을 감싸는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서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탭이 돌출된 측 측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압출(extrusion), 프레스(press) 및 벤딩(bending)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는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적층되는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기 결정된 개수 사이마다 소정 강성을 가진 격벽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열전도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면 커버부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패드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기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열전도부재가 얇은 막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되기 전에, 버스바 조립체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가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서 돌출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센싱부의 제1 센싱부재가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이 돌출되는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면 커버부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패드에 의해 상기 센싱부의 제2 센싱부재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강도 및 강성이 보강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케이스부의 일측이 개방되어 제조 간 열전도부재의 도포 및 전지 그룹의 삽입 등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지 그룹 및 냉각 플레이트 사이의 열전도부재 도포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지 그룹 상측의 탄성패드에 의해 전지 그룹과 냉각 플레이트의 면착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열전도부재가 전지 그룹 및 냉각 플레이트 사이에서 얇게 퍼져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배터리 셀에 대한 냉각 플레이트의 냉각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케이스부가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으로 압출, 프레스 및 벤딩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바, 적층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수량에 상관없이 케이스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정 개수의 적층된 배터리 셀 사이에 격벽부를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마다 면압패드를 개재하여 스웰링에 의한 모듈 구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마다 난연패드를 개재하여 유사 시 화염 확산 등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센싱부가 버스바 조립체에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단순히 버스바 조립체 및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호 체결됨에 따라 원하는 위치의 배터리 셀 측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서브 그룹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서브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서브 그룹의 Ⅰ-Ⅰ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전지 그룹에 버스바 조립체 및 케이스부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의 (a)는 도 6의 I-I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Ⅱ-Ⅱ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c)는 도 6의 Ⅲ-Ⅲ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전지 그룹, 냉각 플레이트 및 케이스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로 이루어진 전지 그룹(10), 전지 그룹(10)의 일측에 접촉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20) 및 냉각 플레이트(20)의 반대측에서 전지 그룹(10)을 감싸도록 위치된 케이스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부(30)는 전지 그룹(10)의 타측면에 위치된 상면 커버부(310) 및 상면 커버부(310)에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이 돌출된 측 측부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측면 커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은 도면상 하측의 냉각 플레이트(20)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전지 그룹(10) 상측의 케이스부(30)가 냉각 플레이트(20)와 결합됨에 따라 전지 그룹(10)의 상부 및 측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 때의 전지 그룹(10) 측부란,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에서 전극 탭(111a)이 돌출되는 측 측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케이스부(30)의 측면 커버부(32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되는 방향(도 8에 도시됨)을 따라 형성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케이스부(30)는 전지 그룹(10)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되는 방향(d1)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 커버부(320)는 상면 커버부(310)의 양 끝단에서 냉각 플레이트(2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부(3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상호 적층되는 방향(d1)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출(extrusion)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지 그룹(10)에 적층되는 배터리 셀(111) 개수가 달라지더라도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의 적층 방향(d1) 길이에 대응하여 케이스부(30)의 길이가 자유롭게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케이스부(30)는 상면 커버부(310) 또는 측면 커버부(320)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모듈 체결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모듈 체결부(311)를 통해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1)이 구비된 이차 전지 팩 제조 시 타 배터리 모듈과의 결합 또는 팩 하우징 등과의 결합을 통해 배터리 모듈(1)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이차 전지 팩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전지 그룹(10)은 기 결정된 개수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된 서브 그룹(110) 사이마다 배치된 격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 그룹(1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상호 적층된 기 결정된 개수의 배터리 셀(111) 마다 서브 그룹(110)을 형성할 수 있고, 상술한 서브 그룹(110)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전지 그룹(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격벽부(120)는 소정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서브 그룹(110) 사이마다 격벽부(120)가 배치됨으로써 전지 그룹(10) 내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 방향(d1)으로 부푸는 것을 억제하여 배터리 모듈(1)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전지 그룹(10)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되는 방향(d1) 양단에는 전후면 커버부(40)가 배치될 수 있고, 소정 강성을 구비한 전후면 커버부(40)는 상술한 냉각 플레이트(20) 및 케이스부(30)와 결합됨에 따라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 방향(d1)으로 부푸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1)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조립체(50)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냉각 플레이트(20)에서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 측 양 단부 적어도 일부에는 버스바 조립체(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안착홈(210)은 냉각 플레이트(20)의 끝단 적어도 일부가 소정 깊이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버스바 조립체(50)의 하단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전지 그룹(10) 일측의 냉각 플레이트(20)에 형성된 안착홈(210)에 버스바 조립체(50)가 안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바, 버스바 조립체(50), 전지 그룹(10) 및 냉각 플레이트(20) 간의 체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버스바 조립체(50)와 전지 그룹(10)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측면 커버부(320) 및 버스바 조립체(50) 사이에는 버스바 커버부(60)가 위치되어 버스바 조립체(50) 및 측면 커버부(320) 간의 통전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버스바 커버부(60) 및 버스바 조립체(50)에 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나아가, 전지 그룹(10)과 냉각 플레이트(20) 사이에는 전지 그룹(10)과 냉각 플레이트(20) 간의 접촉 정도를 높이기 위한 갭 필러(gap filler) 또는 열전도성 접착제 등의 열전도부재(미도시 됨)가 얇은 막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 그룹(10)과 냉각 플레이트(20) 사이에는 열전도성을 가진 열전도부재가 얇게 펴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전지 그룹(10)과 냉각 플레이트(20)의 접촉면을 극대화하여 전지 그룹(10) 및 냉각 플레이트(20) 사이의 공백을 최소화 하는 바, 냉각 플레이트(20)의 전지 그룹(10) 냉각에 있어 열전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열전도부재는 절연성을 구비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및 냉각 플레이트(20) 간의 통전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열전도부재는 접착제 등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도성을 가진 양면 테이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서브 그룹(110)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서브 그룹(11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서브 그룹(110)의 Ⅰ-Ⅰ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술한 전지 그룹(1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11) 사이마다 개재된 면압패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면압패드(112)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기 설정된 개수의 상호 인접한 배터리 셀(111)의 묶음마다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면압패드(112)는 자체적인 접착력을 구비하여 면압패드(112) 양측의 배터리 셀(111)과 접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술한 면압패드(112)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정한 면압응력이 구비된 패드이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스웰링(swelling) 될 때 허용되는 두께만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사이 사이에 면압패드(112)가 배치됨에 따라 스웰링(swelling)에 의해 전지 그룹(10)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부푸는 것을 완화 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및 진동 등이 배터리 셀(11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면압패드(112)는 상호 인접한 배터리 셀(111) 두 개 묶음 또는 그 이상의 배터리 셀(111) 사이마다 개재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배터리 셀(111) 중 면압패드(112)가 개재되지 않은 배터리 셀(111) 간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배터리 모듈(1)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면압패드(112)는 도면과 같이 배터리 셀(111) 사이마다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하게 배치된 배터리 셀(111) 두 개 묶음 또는 세 개 묶음 사이 마다 배치되는 등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면압패드(112)는 난연(難燃)성의 난연패드(112')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 그룹(10)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적어도 하나 사이마다 상술한 면압패드(112) 외에 난연패드(112')가 배치될 수 있고, 난연패드(112')는 불에 타지 않는 난연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배터리 셀(111) 과열로 인한 화재나 폭발 등의 사고에도 주변 배터리 셀(111)로 화재가 전이되거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난연패드(112')는 실리콘(silicon) 및 세라믹(ceramic)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난연 소재이면 충분하다. 또한, 면압패드(112) 또는 난연패드(112') 중 어느 하나만 개재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면압패드(112) 및 난연패드(112')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11)마다 혼용되어 배치되거나 면압패드(112) 및 난연패드(112')가 상호 포개어진 상태로 함께 배치되는 등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전지 그룹(10)에 버스바 조립체(50) 및 케이스부(30)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버스바 조립체(5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버스바 조립체(50)는 도 5에 도시된 버스바 조립체(50)의 내측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상 도 5의 전방 측 버스바 조립체(50)의 좌단은 도 6의 버스바 조립체(50)의 우단에 대응되고, 도면상 도 5의 전방 측 버스바 조립체(50)의 우단은 도 6의 버스바 조립체(50)의 좌단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조립체(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5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인접한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과 연결되어 상술한 인접한 배터리 셀(11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및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하는 버스바 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각각은 인접한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과 접촉 및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인접한 배터리 셀(111)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간이 접촉되는 경우, 배터리 모듈(1) 내부에 단락 등이 일어날 수 있는 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절연재질로 형성된 버스바 프레임(52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5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배터리 셀(11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싱부(530) 및 상술한 센싱부(530)를 지지하는 지지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센싱부(530)는 버스바 조립체(50)에서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측에 돌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530)는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이 돌출되는 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 측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싱부재(531) 및 배터리 셀(111)의 상면에 접촉 위치되어 배터리 셀(111)의 상부 측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싱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배터리 셀(111)은 내부에 전극 조립체(미도시 됨)를 수용하는 셀 바디(111b) 및 셀 바디(111b)의 일측에서 돌출된 전극 탭(111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제1 센싱부재(531)는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이 돌출되는 측 셀 바디(111b) 측면에 접촉되어 해당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 측 측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2 센싱부재(532)는 배터리 셀(111)의 셀 바디(111b) 상면에 접촉되어 해당 배터리 셀(111)의 상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센싱부(530)의 온도 측정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센싱부재(531) 또는 제2 센싱부재(532)가 배터리 셀(111)의 하면 또는 셀 바디(111b)의 특정 부위에 접촉되어 해당 부분의 배터리 셀(111)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지지부(540)는 제1 지지부재(541) 및 제2 지지부재(5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541)는 버스바 프레임(520)의 적어도 일부가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중 인접한 버스바(510) 사이에서 전극 탭(111a)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센싱부재(531)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541)는 소정의 탄성 반발력을 구비한 소재로 형성되어 버스바 조립체(50)의 전지 그룹(10) 체결 시 제1 센싱부재(531)가 배터리 셀(111)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부재(532)는 버스바 프레임(520)의 적어도 일부가 전극 탭(111a)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버스바 프레임(520)의 상측 적어도 일부가 전극 탭(111a)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 센싱부재(532)의 위치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제2 센싱부재(532) 역시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여 상측의 상면 커버부(310) 조립 시 제2 센싱부재(532)를 셀 바디(111b)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지지부재(541) 및 제2 지지부재(542) 각각이 제1 센싱부재(531) 및 제2 센싱부재(532) 각각을 고정 및 지지하는 바, 제1 센싱부재(531) 및 제2 센싱부재(532)가 버스바 프레임(520) 및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와 함께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고, 단순히 버스바 조립체(50)의 전지 그룹(10)과의 체결을 통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원하는 위치에 제1 센싱부재(531) 및 제2 센싱부재(532)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싱부(530)는 제1 센싱부재(531) 및 제2 센싱부재(532)와 연결되어 제1 센싱부재(531) 및 제2 센싱부재(532)에서 측정한 배터리 셀(111) 온도 정보를 외부의 BMS모듈(미도시 됨) 등의 회로 기판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533)의 적어도 일부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각각의 전압 정보를 외부 BMS모듈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재(533)는 케이블(cable)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버스바 조립체(50)에 일체로 구비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530)는 버스바 조립체(50)의 외면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어 연결부재(533)를 감싸도록 위치된 커버부재(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50)의 외측에는 상술한 버스바 커버부(60)가 위치될 수 있고, 버스바 커버부(6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및 케이스부(30)의 측면 커버부(320) 간의 통전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의 (a)는 도 6의 I-I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Ⅱ-Ⅱ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c)는 도 6의 Ⅲ-Ⅲ부분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확대도는 도 5에 도시된 전지 그룹(10), 버스바 조립체(50) 및 케이스부(30)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확대 부분 위치의 명확한 표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 도 6의 버스바 조립체(50)에 각 확대 위치를 표시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버스바 조립체(50)는 도 5의 버스바 조립체(50)를 전지 그룹(10) 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케이스부(30)는 상면 커버부(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술한 전지 그룹(10)을 냉각 플레이트(20)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패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탄성패드(330)는 압축 반력을 가지는 바, 전지 그룹(10) 상측에서 전지 그룹(10)을 가압하여 하부로 더 밀착시킬 수 있고, 전지 그룹(10) 및 냉각 플레이트(20)의 면착이 더욱 극대화되는 바, 냉각 플레이트(20)의 배터리 셀(111)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패드(330)가 배터리 셀(111) 상측의 제2 센싱부재(532)를 가압함에 따라 배터리 셀(111) 상측의 제2 센싱부재(532)는 셀 바디(111b) 상부에 더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도 7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은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어 버스바(510)에 면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541)는 배터리 셀(111) 및 버스바 프레임(520)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센싱부재(531)를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이 돌출된 측 측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전지 그룹(10), 냉각 플레이트(20) 및 케이스부(3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상호 적층되고,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을 구비한 전지 그룹(10)이 냉각 플레이트(20)에 안착되고, 전지 그룹(10) 상부에 케이스부(30)가 안착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케이스부(3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의 상면을 감싸는 상면 커버부(310) 및 상면 커버부(310)에서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이 돌출된 측 측부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측면 커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부(30)는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의 적층되는 방향(d1)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부(3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되는 적층 방향(d1)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층되는 배터리 셀(111)의 개수가 달라지더라도 케이스부(30)가 배터리 셀(111)의 적층 방향(d1)으로 압출 형성되는 바, 적층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수량에 상관없이 케이스부(30)의 길이를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케이스부(30) 형성은 압출 공정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압출(extrusion), 프레스(press) 및 벤딩(bending)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111) 사이마다 면압패드(112) 및 난연패드(112')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상호 적층된 기 결정된 개수의 인접한 배터리 셀(111) 사이마다 소정 강성을 가진 격벽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모듈(1)의 구조적 강성이 확보될 수 있고, 화재 전이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면압패드(112), 난연패드(112') 및 격벽부(12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전지 그룹(10)이 냉각 플레이트(2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냉각 플레이트(20) 및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적어도 하나에 열전도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 플레이트(20) 상에 열전도부재가 도포된 후 전지 그룹(10)이 안착될 수 있고, 반대로 전지 그룹(10)이 뒤집힌 상태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하면에 열전도부재를 도포하여 냉각 플레이트(20)가 안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냉각 플레이트(20) 상부 및 복수개의 전지 그룹(10)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열전도부재가 도포되는 바, 열전도부재 도포 과정에서 육안 확인이 가능하여 열전도부재의 도포량 및 도포되는 도포 구간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필요 구간에만 열전도부재를 도포할 수 있는 바, 열전도부재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부재 도포 후 전지 그룹(10) 및 냉각 플레이트(20)가 면착되는 바, 열전도부재는 전지 그룹(10) 및 냉각 플레이트(20) 사이에 얇게 펴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최소량을 열전도부재를 통해 충분한 접착력 및 열전도성을 가진 열전도부재의 도포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케이스부(30)의 탄성패드(330)를 통해 전지 그룹(10)이 냉각 플레이트(20) 측으로 가압될 수 있고, 열전도부재는 박막화되어 전지 그룹(10)과 냉각 플레이트(20) 간의 면착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부(30)가 냉각 플레이트(20)와 결합되기 전에,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50)가 전지 그룹(10)에 체결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 그룹(10)과 버스바 조립체(50)가 상호 체결된 후,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및 버스바 조립체(50)의 버스바(510)에 접촉된 전극 탭(111a) 상호 간이 용접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50)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 및 버스바 프레임(520)의 결합 상태로 버스바 조립체(50)를 구성하여 전지 그룹(10)에 체결되는 바,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인접하게 배치된 배터리 셀(111)의 전극 탭(111a) 마다 별개의 버스바(510)를 부착 및 연결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고, 단순히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510)를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50)를 전지 그룹(10) 측에 체결하여 버스바(510) 및 전극 탭(111a) 간의 연결을 행하면 되는 바, 배터리 모듈(1) 제조 간 작업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바 조립체(50)에는 제1 센싱부재(531) 및 제2 센싱부재(532)를 포함하는 센싱부(530) 역시 기 결정된 위치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바, 전지 그룹(10)에 버스바 조립체(50) 체결 시 복수개의 배터리 셀(111) 중 원하는 위치에 상술한 센싱부(530)재(331, 332)가 접촉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에 배터리 셀(111) 온도 측정을 위해 배터리 셀(111)의 원하는 위치에 센싱부(530)재를 부착하는 데에 소요되었던 작업 시간 및 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센싱부재(531)는 제1 지지부재(54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바, 버스바 조립체(50) 및 전지 그룹(10)이 체결됨에 따라 제1 지지부재(541)의 반발력에 의해 배터리 셀(111)의 측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부재(5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30)가 전지 그룹(1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케이스부(30)의 탄성패드(330)에 의해 배터리 셀(111)의 상부에 밀착될 수 있다.
즉, 단순히 전지 그룹(10), 버스바 조립체(50) 및 케이스부(30)의 체결을 통해 위와 같은 밀착 증대를 얻을 수 있는 바, 제1 센싱부재(531) 및 제2 센싱부재(532)의 밀착을 위한 추가 작업 또는 부재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조 간 시간 및 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배터리 모듈
10 : 전지 그룹
110 : 서브 그룹
111 : 배터리 셀
111a : 전극 탭
111b : 셀 바디
112 : 면압패드
112' : 난연패드
120 : 격벽부
20 : 냉각 플레이트
210 : 안착홈
30 : 케이스부
310 : 상면 커버부
311 : 모듈 체결부
320 : 측면 커버부
330 : 탄성패드
40 : 전후면 커버부
50 : 버스바 조립체
510 : 버스바
520 : 버스바 프레임
530 : 센싱부
531 : 제1 센싱부재
532 : 제2 센싱부재
533 : 연결부재
534 : 커버부배
540 : 지지부
541 : 제1 지지부재
542 : 제2 지지부재
60 : 버스바 커버부
d1 :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

Claims (21)

  1.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전지 그룹;
    상기 전지 그룹의 일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지 그룹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면에 위치된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탭이 돌출된 측 측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그룹의 적층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일체형의 구조체로 형성된, 배터리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 그룹은,
    기 결정된 개수의 상기 배터리 셀이 적층된 서브 그룹 사이마다 배치되고 소정 강성을 가진 격벽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터리 셀 사이마다 개재된 면압(面壓)패드 및 난연(難燃)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면압패드 및 난연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적어도 두 개 묶음 사이마다 개재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상호 대면하는 배터리 셀 사이에서 상기 면압패드 및 난연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재되지 않은 상기 배터리 셀 간은 상호 접착된, 배터리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지 그룹 및 상기 냉각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전지 그룹 및 상기 냉각 플레이트 상호 간의 접촉 면적을 높여주는 열전도부재가 위치된, 배터리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면 커버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 그룹을 상기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인접한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어 상기 인접한 배터리 셀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를 고정 및 지지하는 버스바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이 돌출되는 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 측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재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에 밀착된, 배터리 모듈.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상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 측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2. 상호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전지 그룹;
    상기 전지 그룹의 일측면에 접촉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지 그룹을 감싸도록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전지 그룹의 타측면에 위치된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커버부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을 따라 형성된, 배터리 모듈.
  13.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호 적층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일측의 냉각 플레이트에 안착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타측면을 감싸는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상면 커버부에서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탭이 돌출된 측 측부를 감싸도록 연장된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압출(extrusion), 프레스(press) 및 벤딩(bending) 공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적층되는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적층되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기 결정된 개수 사이마다 소정 강성을 가진 격벽부가 배치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기 냉각 플레이트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열전도부재가 도포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면 커버부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패드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이 상기 냉각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열전도부재가 얇은 막 형태로 도포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되기 전에,
    버스바 조립체가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가 상기 전극 탭과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서 돌출된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센싱부의 제1 센싱부재가 상기 배터리 셀의 상기 전극 탭이 돌출되는 측면에 밀착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적어도 일부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가 상기 냉각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면 커버부의 일측에 배치된 탄성패드에 의해 상기 센싱부의 제2 센싱부재가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밀착되는,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KR1020180097131A 2018-08-21 2018-08-21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1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31A KR20200021609A (ko) 2018-08-21 2018-08-21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16/541,826 US11894532B2 (en) 2018-08-21 2019-08-15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910762281.7A CN110854319B (zh) 2018-08-21 2019-08-19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DE102019122339.3A DE102019122339A1 (de) 2018-08-21 2019-08-20 Batteriemodu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131A KR20200021609A (ko) 2018-08-21 2018-08-21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09A true KR20200021609A (ko) 2020-03-02

Family

ID=6941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131A KR20200021609A (ko) 2018-08-21 2018-08-21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94532B2 (ko)
KR (1) KR20200021609A (ko)
CN (1) CN110854319B (ko)
DE (1) DE102019122339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18A1 (ko) *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77683A1 (ko) *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06278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215712A1 (ko) * 2020-04-22 2021-10-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39399A1 (ko) * 2020-08-21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WO2022045868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85969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92677A1 (ko)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92678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4976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69310A3 (ko) * 2021-02-08 2022-10-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03260A1 (ko) * 2021-07-22 2023-01-26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배터리팩
WO2023229388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모듈 및 이에 이용되는 이차전지
CN117199644A (zh) * 2023-11-03 2023-12-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WO2024019451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WO2024106741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냉각 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571A (ko) 2019-07-08 2021-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단락 장치 및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시스템
KR102120933B1 (ko) * 2019-09-06 2020-06-09 주식회사 알멕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케이스
CN111490209A (zh) * 2020-04-29 2020-08-04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软包电池模组及新能源汽车
WO2021221299A1 (ko) * 2020-04-29 2021-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3782890B (zh) * 2020-05-22 2024-05-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包及电动车
US11544614B2 (en) * 2020-06-05 2023-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ampling of an operator in a quantum system
KR20220021611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36243A (ko) * 2020-09-15 2022-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40869A (ko) * 2020-09-24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41470A (ko) * 2020-09-25 2022-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2133861B (zh) * 2020-10-12 2021-05-11 东莞市云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锂电池模块组合结构
EP4030536A1 (en) * 2021-01-14 2022-07-20 SK On Co., Ltd. Battery module
CN113707998A (zh) * 2021-10-28 2021-11-26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电池包、电池包组件及车辆
SE2151624A1 (en) * 2021-12-27 2023-06-28 Northvolt Ab Secondary battery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217B1 (ko) 2012-09-19 2015-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효율이 향상된 전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86B1 (ko) 2006-03-21 2010-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사이에 접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US20120129022A1 (en) * 2007-05-07 2012-05-24 Kalish Peter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and assembly
JP2013012441A (ja) 2011-06-30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KR101447057B1 (ko) * 2012-01-26 2014-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장착 및 방열을 위한 방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431717B1 (ko) * 2012-02-06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JP5978037B2 (ja) 2012-07-20 2016-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US11128005B2 (en) * 2013-07-30 2021-09-21 Cps Technology Holdings Llc Lithium ion battery with lead acid form factor
JP2015088236A (ja)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システム
DE102014215543A1 (de) * 2014-08-06 2016-02-11 Robert Bosch Gmbh Rahmeneinrichtung zur Aufnahme von Speicherzellen eines Energiespeichermoduls
CN204103003U (zh) 2014-09-29 2015-01-14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有限公司 电池组装壳体及电池组模块
JP6510261B2 (ja) 2015-02-18 2019-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2018521447A (ja) 2015-05-06 2018-08-02 エー123 システムズ エルエルシーA123 Systems LLC バッテリ圧潰保護システム
US11038223B2 (en) * 2015-06-12 2021-06-15 Lg Chem, Ltd. Battery module
KR102284339B1 (ko) * 2015-09-09 2021-08-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032504B1 (ko) 2015-11-06 2019-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EP3327821B1 (en) * 2016-01-12 2019-10-3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stable fixing means for unit modules
US10886583B2 (en) * 2016-03-02 2021-01-05 Gentherm Incorporated Battery and capacitor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heating and cooling the battery and capacitor assembly
CN205828455U (zh) 2016-05-06 2016-12-21 中信国安盟固利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模组
CN111492503A (zh) * 2017-12-19 2020-08-04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和电源装置用的分隔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217B1 (ko) 2012-09-19 2015-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효율이 향상된 전지모듈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618A1 (ko) *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77683A1 (ko) * 2020-03-06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06278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1215712A1 (ko) * 2020-04-22 2021-10-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039399A1 (ko) * 2020-08-21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및 전지 팩 제조 방법
WO2022045868A1 (ko) * 2020-08-31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85969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92677A1 (ko)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92678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4976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169310A3 (ko) * 2021-02-08 2022-10-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03260A1 (ko) * 2021-07-22 2023-01-26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배터리팩
WO2023229388A1 (ko) * 2022-05-25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모듈 및 이에 이용되는 이차전지
WO2024019451A1 (ko) * 2022-07-20 2024-01-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WO2024106741A1 (ko) * 2022-11-16 2024-05-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냉각 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117199644A (zh) * 2023-11-03 2023-12-0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CN117199644B (zh) * 2023-11-03 2024-04-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22339A1 (de) 2020-02-27
US20200067040A1 (en) 2020-02-27
CN110854319A (zh) 2020-02-28
US11894532B2 (en) 2024-02-06
CN110854319B (zh)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609A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198952A1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2858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7027635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US11848432B2 (en) Battery module
CN113875078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2023537015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190138358A (ko) 배터리 모듈
KR102473336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464825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30110072A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210092563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00131501A (ko) 배터리 모듈
US2023017882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1133627B (zh) 电源装置
US2023019804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481343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24050379A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2023535947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10130549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6942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69502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5170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20305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10039214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