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517B1 -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8517B1 KR101658517B1 KR1020130116857A KR20130116857A KR101658517B1 KR 101658517 B1 KR101658517 B1 KR 101658517B1 KR 1020130116857 A KR1020130116857 A KR 1020130116857A KR 20130116857 A KR20130116857 A KR 20130116857A KR 101658517 B1 KR101658517 B1 KR 101658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heat
- battery module
- heat dissipation
- battery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의 4개의 모서리 부분을 절취하거나 절곡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냉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냉각 부재의 사시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과 종래의 전지모듈을, 추가적인 냉각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전율 검사에 따른 각 전지팩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과 종래의 전지모듈을, 추가적인 냉각을 가한 상태에서, 방전율 검사에 따른 각 전지팩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28)
-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로서,
충방전이 가능한 판상형 전지셀들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전지셀 적층체에서 전지셀들의 계면에 개재되어 상기 전지셀들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흡열판;
상기 흡열판으로부터 전도된 열을 방열하도록 흡열판과 연결되어 있고, 전지셀 적층체에서 전지셀들 사이의 잉여 공간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 블록; 및
상기 방열 블록들을 일체화하여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블록에는 체결부재의 삽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는 연통되어 있는 관통구들에 삽입되어 방열 블록들을 고정하며,
상기 방열 블록들은 전지셀 전극단자들이 위치하는 열융착 잉여부들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어 있고, 전지셀에 대한 체결부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통과하는 전지셀의 외주면 열융착 부위는 절곡 또는 절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전극 단자가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대향 단부들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의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수납부의 외주면을 열융착하는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은 0.1 내지 5.0 mm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은 전지셀의 평면상 길이의 50 내지 120%의 길이 및 전지셀의 평면상 폭의 50 내지 150%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파우치형 전지셀이고, 상기 방열 블록은 전지셀 적층체에서 전지셀들의 열융착 잉여부들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의 적어도 하나는 전지셀 전극단자들이 위치하는 열융착 잉여부들 사이의 공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은 다각형 구조의 수직 단면을 포함하는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의 높이는 열융착 잉여부들 사이의 공간 높이와 일치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과 흡열판은 열전도성 접합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접합은 방열 에폭시계 접착제(thermally conductive epoxy-based bond) 및 방열 접착 테이프(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tap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은 0.8 내지 3.0 kJ/kgf·deg의 비열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은 상변환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환 물질은 30 내지 100도의 범위에서 상변환 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은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중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기체 또는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블록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 또는 방열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판과 전지셀의 계면에는 열전도 매개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매개체는 방열 그리스(thermally conductive grease), 방열 에폭시계 접착제(thermally conductive epoxy-based bond), 방열 실리콘 패드(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pad), 방열 접착테이프(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tape) 및 흑연 시트(graphite she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들은 방열 블록의 양측 단부 상에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bol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방열 블록들의 계면에는 열전도 매개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매개체는 방열 그리스(thermally conductive grease), 방열 에폭시계 접착제(thermally conductive epoxy-based bond), 방열 접착테이프(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tape) 및 흑연 시트(graphite she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1 항 내지 제 19 항 및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이 하나 이상 팩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26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6857A KR101658517B1 (ko) | 2013-09-30 | 2013-09-30 |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6857A KR101658517B1 (ko) | 2013-09-30 | 2013-09-30 |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7335A KR20150037335A (ko) | 2015-04-08 |
KR101658517B1 true KR101658517B1 (ko) | 2016-09-21 |
Family
ID=5303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6857A Active KR101658517B1 (ko) | 2013-09-30 | 2013-09-30 |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51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28306A1 (ko) * | 2017-01-05 | 2018-07-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상변화물질 캡슐을 적용한 배터리 냉각용 히트 싱크 |
US11557818B2 (en) | 2018-05-15 | 2023-01-1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3542B1 (ko) | 2015-09-21 | 2019-01-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EP3340365B1 (en) | 2015-09-21 | 2020-04-22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including array of cooling fi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
KR102002365B1 (ko) * | 2017-12-28 | 2019-07-22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배터리 셀 모듈용 방열 계면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모듈 |
KR102549437B1 (ko) | 2018-11-30 | 2023-06-2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US11877423B2 (en) * | 2020-10-08 | 2024-01-16 | Toyota Motor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Battery thermal management with large area planar heat pipes |
KR20220101305A (ko) * | 2021-01-11 | 2022-07-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03258A (ja) | 2002-09-04 | 2004-04-02 | Nissan Motor Co Ltd | 組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8196B1 (ko) * | 2010-09-08 | 2011-12-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향상된 열 안정성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
KR101305218B1 (ko) * | 2010-12-28 | 2013-09-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2013
- 2013-09-30 KR KR1020130116857A patent/KR10165851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03258A (ja) | 2002-09-04 | 2004-04-02 | Nissan Motor Co Ltd | 組電池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28306A1 (ko) * | 2017-01-05 | 2018-07-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상변화물질 캡슐을 적용한 배터리 냉각용 히트 싱크 |
US11024897B2 (en) | 2017-01-05 | 2021-06-01 | Lg Chem, Ltd. | Battery-cooling heat sink provided with PCM capsule |
US11557818B2 (en) | 2018-05-15 | 2023-01-1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7335A (ko) | 2015-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40070B2 (ja) |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 |
JP6014752B2 (ja) | 安定性が向上した構造及び高い冷却効率性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 |
JP6000364B2 (ja) | 新規な構造の電池モジュール | |
KR101658517B1 (ko) | 냉각 부재를 활용한 전지모듈 | |
KR101545166B1 (ko) | 전지셀 냉각 부재 | |
KR101205180B1 (ko) | 콤팩트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냉각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130043B1 (ko) |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 |
KR101326086B1 (ko) | 콤팩트한 구조와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KR101218751B1 (ko) |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 |
CN104285315B (zh) | 具有高效冷却结构的电池模块 | |
KR101084969B1 (ko) |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CN104412439B (zh) | 具有间接空气冷却结构的电池模块 | |
JP2013505535A (ja) | 新規の構造を有する放熱部材を含んでい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並びに中型又は大型のバッテリーパック | |
KR20130123901A (ko) | 우수한 냉각 효율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모듈 | |
JP2023501680A (ja)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 |
JP2023509529A (ja) |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 |
KR20140144784A (ko) | 간접 냉각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533992B1 (ko) | 전지모듈 | |
KR102085339B1 (ko) | 열전도 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모듈 | |
JP7648286B2 (ja) |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 |
JP2025512001A (ja) | 改善された冷却構造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当該電池モジュールを含む電池パ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9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