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257A -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 Google Patents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257A
KR20130086257A KR1020137016520A KR20137016520A KR20130086257A KR 20130086257 A KR20130086257 A KR 20130086257A KR 1020137016520 A KR1020137016520 A KR 1020137016520A KR 20137016520 A KR20137016520 A KR 20137016520A KR 20130086257 A KR20130086257 A KR 20130086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ontact
side connection
connection par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033B1 (ko
Inventor
세이이치 노다
에이지 고타니
마사아키 사이쇼
다카시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파킹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파킹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파킹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충전 장치 (21) 는, 팔레트 (6) 의 반송로 (3, 4) 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와, 팔레트 (6) 에 형성되어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에 접촉되는 수전측 접속부 (23) 와, 팔레트 (6) 에 형성되어 수전측 접속부 (2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중계하여 전동 차량 (5) 에 공급하는 콘센트부 (24) 를 구비하고, 수전측 접속부 (23) 는 팔레트 (6) 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는 형상이며, 복수의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설치 위치는, 반송로 (3, 4) 상에 있어서의 팔레트 (6) 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적어도 1 개의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접점부 (35) 가 수전측 접속부 (23) 에 접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ELECTRICITY CHARGING DEVICE FOR MECHANICAL CAR PARK, AND MECHANICAL CAR PARK WITH SAME}
본 발명은 전동 차량의 주차시에, 그 차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 순환식, 평면 왕복식, 수평 순환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 충전중인 전동 차량이 반송될 때에 충전 전원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 보전 의식이 높아지고 있어, 환경 오염의 정도가 적은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 (이하, 전동 차량이라고 호칭한다) 가 놀라운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 차량은, 대용량의 차재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 차재 배터리에 축전된 전력에 의해 전동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한다. 그리고, 차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은, 전동 차량의 차체 외면에 형성된 충전 접속부와 가정용 전원 (상용 (商用) 전원) 등의 전원 콘센트 사이를 충전 케이블로 접속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맨션, 오피스 빌딩 등에 병설되는 기계식 주차장이나, 시가지 등에서 영업하고 있는 시간 임대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도, 전동 차량의 차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충전 설비를 장비하는 것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기계식 주차장이 제안되어 있다.
이 기계식 주차장은, 주차장 건축물의 내부에 대향하는 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상하 복수 층의 주차 선반과, 이에 대향하여 형성된 주차 선반의 종렬 사이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엘리베이터식 승강대를 구비하고 있다. 주차 차량은 지상층에서 승강대 상에 재치 (載置) 된 빈 팔레트 상에 주차하고, 승강대에 의해 팔레트마다 상승되어, 승강대가 공차 (空車) 상태의 주차 선반 옆에 정지하면, 팔레트가 주차 차량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승강대로부터 주차 선반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기계식 주차장에는 충전 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충전 장치는, 주차 선반에 형성된 급전측 접속부와, 팔레트의 하면에 형성된 수전측 접속부와, 팔레트의 상면에 형성된 전동 차량에 접속되는 콘센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콘센트부는 수전측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동 차량은, 지상층에서 팔레트 상에 주차했을 때에 차체의 충전 케이블 접속구와 팔레트의 콘센트부 사이를 충전 케이블로 접속한 상태로 주차 선반에 반송된다. 그리고, 전동 차량을 재치한 팔레트가 주차 선반의 정위치에 수용되면, 급전측 접속부와 수전측 접속부가 접촉되어, 전동 차량에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기계식 주차장은, 주차 선반이 팔레트 1 대분의 폭밖에 없기 때문에, 팔레트가 그 가로 폭 이상의 거리를 수평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주차 선반의 폭이 수 대분의 팔레트를 가로로 나란히 수용할 수 있을 만큼 넓은 다층 순환식 혹은 평면 왕복식의 기계식 주차장인 경우에는, 팔레트가 주차 선반 상을 수 미터 내지 수 십 미터에 걸쳐 이동한다. 이와 같은 다층 순환식의 기계식 주차장에서는, 차량의 입출고에 수반하여, 주차 차량을 재치한 각 팔레트가 빈번하게 이동되어, 그 위치가 바뀐다.
이와 같은 평면 왕복식의 기계식 주차장에, 만일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충전 장치를 장비했을 경우, 각 팔레트가 주차 선반 (반송로) 상을 이동하는 데에 수반하여, 주차 선반에 형성된 전원측의 급전측 접속부와, 팔레트측에 형성된 수전측 접속부가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한다. 이것이 전동 차량의 충전중 (통전중) 이면, 급전측 접속부와 수전측 접속부 사이에 불꽃 (스파크) 이 튀어 각 접점부의 소손이나, 이취, 화재 등의 발생 원인이 된다. 게다가, 전동 차량의 충전중에 빈번하게 충전 전원이 끊어져 충전이 중단되는 것은, 충전 관련 기기류나 전동 차량의 배터리의 고장 및 수명 단축의 원인도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다층 순환식의 기계식 주차장에서는, 주차 선반의 상면에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따른 송전로 (트롤리선) 가 부설 (敷設) 됨과 함께, 팔레트의 하면측에 집전자가 형성되어, 이 집전자를 송전로에 접촉시켜 통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팔레트가 주차 선반 상을 이동중이어도, 항상 집전자를 송전로에 접촉시켜 둘 수 있어, 집전자가 송전로에 대해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지 않기 때문에, 불꽃이 튀거나, 충전이 중단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227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70985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주차 선반 (반송로) 의 상면에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따른 송전로를 부설하려면, 이 송전로를 직선 정밀도가 높은 레일상으로 구성해야 하여, 설치 공사가 곤란한 것이 된다. 따라서, 충전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이미 설치된 입체 주차장에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실시하기 어려워진다. 또, 이와 같이 레일상으로 구성된 송전로가 노출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물, 기름, 먼지 등의 이물질이 송전로에 부착되는 것에 의한 폐해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시 등에 작업자나 기재 등이 송전로에 접촉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순환중인 승강로 부분에서는 충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소하고 저렴하며 안전성이 높은 구성에 의해,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팔레트의 이동에 수반하여 충전 전원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측의 전기 접점부 및 팔레트측의 전기적 접점부와, 충전 관련 기기류, 전동 차량의 배터리 등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함과 함께,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에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1 양태는, 차량을 재치하는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부설되어, 상기 팔레트에 주차한 전동 차량의 차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에, 그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원 수단에 접속된 복수의 급전측 접속부와, 상기 팔레트에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의 반송시에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급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는 수전측 접속부와, 상기 팔레트에 형성되어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측 접속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중계하여 상기 전동 차량에 공급하는 콘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측 접속부는 상기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는 형상이며, 복수의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설치 위치는, 상기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상기 팔레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적어도 1 개의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가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도록 설정되었다.
상기 구성으로 했을 경우, 반송로의 상면에 송전로 (트롤리선) 를 직선적으로 부설할 필요가 없어, 반송로에 급전측 접속부를 점재적으로 설치하여 상용 전원 등의 전원 수단에 접속시킴과 함께, 팔레트에 수전측 접속부와 콘센트부를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충전 장치를 간소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함과 함께,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에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팔레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적어도 1 개의 접점부가 팔레트측의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팔레트가 반송로 상의 어느 위치를 이동중이어도, 반송로측의 급전측 접속부와, 팔레트측의 수전측 접속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가 없다. 이로써, 급전측 접속부 (접점부) 와 수전측 접속부 사이에 불꽃 (스파크) 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전기 접점부의 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동 차량의 충전중에 전원이 끊어져 충전이 중단되는 빈도가 감소한다. 이 때문에, 충전 관련 기기류나 전동 차량의 배터리의 고장 및 수명 단축을 회피하고, 이들 기재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2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전측 접속부는,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를 상방으로부터 포용하는 종단면 형상의 슬라이딩홈을 가지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상면에 가압되어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하방으로부터 탄성 지지되는 구조로서,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 단부로부터 도입되기 쉽도록 펀넬상으로 확대 개방된 도입부가 형성되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가 수전측 접속부의 슬라이딩홈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는, 슬라이딩홈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접점부가 상방으로부터 포용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접점부에 물, 기름,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에 의한 폐해의 발생을 억지할 수 있다. 접점부는 수전측 접속부의 슬라이딩홈의 내상면에 가압되어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하방으로부터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접점부와 수전측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딩홈의 양 단부에 펀넬상으로 확대 개방된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가 슬라이딩홈에 도입되기 쉽고, 이로써 급전측 접속부와 수전측 접속부의 상대 위치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접점부와 슬라이딩홈을 양호하게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3 양태는, 상기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는, 상기 반송로의 위치에 대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 조정량만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슬라이딩홈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자유 위치에서는, 상기 반송로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점부가 상기 도입부의 개구 범위 내에 있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가 반송로의 위치에 대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 조정량만큼 이동할 수 있고, 게다가 접점부가 자유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반송로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접점부가 펀넬상으로 확대 개방된 도입부의 개구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접점부가 수전측 접속부의 슬라이딩홈에 도입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급전측 접속부 (접점부) 와 수전측 접속부 (슬라이딩홈) 사이의 상대 위치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급전측 접속부와 수전측 접속부를 확실하게 접촉시켜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반송로에 대한 팔레트의 상대 위치 정밀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에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4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상하에 복수 층 형성되고, 상기 각 반송로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를 상기 각 반송로에서 순환시키는 엘리베이터식 승강대와, 그 승강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는 승강대 접속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 접속부의 설치 위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기 반송로와 상기 승강대 사이에 걸쳐 이동할 때에, 항상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와 상기 승강대 접속부의 접점부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도록 설정되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로에 복수의 급전측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추가하여 승강대에도 승강대 접속부가 형성되고, 팔레트가 반송로와 승강대 사이에 걸쳐 이동할 때에는, 항상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와 승강대 접속부의 접점부 중 적어도 일방이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팔레트가 반송로와 승강대 사이에 걸쳐 한창 이동하고 있는 중에도 팔레트에 전력이 계속 공급된다. 따라서, 팔레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팔레트에 대한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경우가 없다. 이로써, 각 접속부 사이에서 불꽃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각 전기 접점부의 소손 등을 억제함과 동시에, 전동 차량의 충전중에 전원이 끊어져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 관련 기기류나 전동 차량의 배터리 등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5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에 통전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통전 표시 수단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전되고 있는 팔레트가 통전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시의 감전 등을 방지함과 함께, 전력 공급 계통의 고장을 발견하기 쉽게 하여, 충전 장치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은,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한 양태의 충전 장치를 구비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반송로에 형성하는 급전측 접속부의 설치와, 팔레트에 형성하는 수전측 접속부 및 콘센트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충전 장치를 간소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급전측 접속부와 수전측 접속부 사이에 불꽃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전기적 접점부의 소손 등을 방지함과 함께, 전동 차량의 충전중에 전원이 끊어져 충전이 중단되는 빈도를 감소시키거나, 혹은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충전 관련 기기류나 전동 차량의 배터리의 고장 및 수명 단축을 회피하고, 이들 기재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의하면, 간소하고 저렴하고 또한 안전성이 높은 구성에 의해, 팔레트의 이동에 수반하여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팔레트측 및 주차 선반측의 전기적 접점부, 그리고 충전 관련 기기류, 전동 차량의 배터리 등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함과 함께,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에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 장치가 적용된 기계식 주차장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팔레트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주차 스페이스 1 대분 당의 팔레트 및 충전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Ⅳ-Ⅳ 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Ⅴ-Ⅴ 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a) ∼ 6(c) 는, 제 1 실시형태의 충전 장치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의 입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 7(c) 는, 제 1 실시형태의 충전 장치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의 출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 장치가 적용된 기계식 주차장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9(a) ∼ 9(c) 는, 제 2 실시형태의 충전 장치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의 입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 10(c) 는, 제 2 실시형태의 충전 장치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있어서의 출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7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 차량이 팔레트에 재치되어 주차장 구조체의 내부에서 반송되는 기계식 주차장이면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 있는 다층 순환식의 기계식 주차장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 장치가 적용된 기계식 주차장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 기계식 주차장 (1) 은 다층 순환식으로, 예를 들어 지하에 형성된 격납실 (2) 의 내부에, 상층 반송로 (3) 와 하층 반송로 (4) 가 상하로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이들 상, 하층 반송로 (3, 4) 가, 3 대의 차량 (5) 을 옆으로 나란히 주차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지만, 1 층당의 주차 대수가 4 대 이상 혹은 3 대 미만이어도 된다. 또, 상, 하층 반송로 (3, 4) 의 층 수는 2 층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층이어도 된다.
주차하는 차량 (5) 은 강판제의 팔레트 (6) 에 재치되어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상에 재치됨과 함께, 팔레트 (6) 마다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상을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반송된다. 상층 반송로 (3) 와 하층 반송로 (4) 는, 예를 들어 팔레트 (6) 의 전단 부근과 후단 부근과 중간부 부근의 하방으로 각각 통과된 복수 개의 횡행 레일 부재 (7) 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팔레트 (6) 의 길이 방향의 전후 단부 부근의 하면측에는, 차폭 방향을 따른 차륜열 (8) 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차륜열 (8) 이 횡행 레일 부재 (7) 의 상면을 전동 (轉動) 시킴으로써, 팔레트 (6) 를 매끄럽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횡행 레일 부재 (7) 에는 팔레트 (6) 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도시되지 않은 규제 차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륜열은 팔레트 (6) 측에 한정하지 않고, 횡행 레일 부재 (7) 측에 형성해도 된다.
상층 반송로 (3) 와 하층 반송로 (4) 의 일단에는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순환 엘리베이터 (12) 가 형성되어 있다.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는, 지상층에 형성된 입출고구 (13) 와, 지하에 형성된 상층 반송로 (3) 의 일단 및 하층 반송로 (4) 의 일단을 세로 방향으로 연통시키고 있으며, 상하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식 승강대 (1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순환 엘리베이터 (12) 는,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의 타단을 세로 방향으로 연통시키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하로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식 승강대 (15) 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대 (14, 15) 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승강한다.
차량 (5) 의 입고시에는, 공차의 팔레트 (6) 가 입출고구 (13) 에 호출되어, 이 팔레트 (6) 에 입고되는 차량 (5) 을 올려 앉힌다. 이 팔레트 (6) 는 차량 (5) 을 실은 상태로 승강대 (14) 에 의해 강하되어, 승강대 (14) 의 높이가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횡행 레일 부재 (7)) 의 높이에 합치하면, 도시되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승강대 (14) 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횡행 레일 부재 (7)) 상을 이동하여, 공차 스페이스에 반송된다. 반대로,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에 수용되어 있는 차량 (5) 의 출고시에는,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및 순환 엘리베이터 (12) 를 작동시켜, 출고되는 차량 (5) 이 재치된 팔레트 (6) 가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에 인접하는 위치에 올 때까지 각 팔레트 (6) 를 순환시켜, 출고 차량이 재치된 팔레트 (6) 를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에 의해 입출고구 (13) 까지 반출하여, 차량 (5) 을 출고시킨다.
이 기계식 주차장 (1) 에는, 내연 기관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일반 차량 이외에, 전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 와 도 3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계식 주차장 (1) 에는, 전동 차량을 주차시켰을 때에, 전동 차량의 차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 (21) 가 장비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든 팔레트 (6) 에, 충전 장치 (21) 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수전측 접속부 (23) 와 콘센트부 (24) 가 형성되고,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차량 (5) 이 전동 차량이라고 가정하지만, 일부의 팔레트 (6) 에만 충전 장치 (21) 를 형성하고, 전동 차량과 함께 일반 차량이 혼재되어 주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충전 장치 (21) 는, 예를 들어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에 4 기씩 형성된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와, 수전측 접속부 (23) 와, 콘센트부 (24) 와, 통전 표시 램프 (25) (통전 표시 수단)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는,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는 접점 지지부 (28)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점 지지부 (28) 는, 예를 들어 횡행 레일 부재 (7) 의 전면 (前面) 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수평 지지봉 (29) 사이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판 스프링 (30) 이, 수평 지지봉 (29) 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되도록 가설된 구성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수평 지지봉 (29) 에는 2 개의 코일 스프링 (31) 이 삽입되어, 이들 코일 스프링 (31) 사이에 판 스프링 (30) 이 협장되어 있다. 그리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3 참조), 판 스프링 (30) 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수지나 세라믹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된 접점 유지 부재 (32) 가 고정되고, 그 양 단부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전동륜 (33) 이 형성되어 있다.
접점 유지 부재 (32) 의 상면에는 접점부 (3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 (35) 는, 예를 들어 플러스 전류용, 마이너스 전류용, 어스 전류용으로 3 개 형성되어 있고 (도 4 참조), 이들 각각의 접점부 (35) 가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접점 유지 부재 (32) 의 상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판 스프링 (30) 의 하면측에는 전원 접속 상자 (36) 가 형성되어, 횡행 레일 부재 (7) 를 따라 배치 형성된 전원 케이블 (38) (전원 수단 : 도 1 참조) 이 전원 접속 상자 (36) 에 접속되고, 이 전원 케이블 (38) 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상용 전원 등) 의 전력이 접점부 (35) 에 통전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부 (35) 는, 판 스프링 (30) 이 상하 방향으로 휘어지고, 코일 스프링 (31) 이 전후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위치 조정량 (X, Y) 만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수전측 접속부 (23) 는, 팔레트 (6) 가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상을 반송될 때에 소정의 위치에서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접점부 (35)) 에 접촉되는 부재이다. 이 수전측 접속부 (23) 는, 팔레트 (6) 의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고, 팔레트 (6) 의 하면측에 2 개의 고정 기구 (41) 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측 접속부 (23) 의 종단면 형상은,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채널 형상 (홈통상) 이며, 그 개구 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세로판상의 가이드판 (23a) 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전측 접속부 (23) 의 내측의 공간은 슬라이딩홈 (42) 으로 되어 있고, 그 내상면에, 양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통판 (43) 이 첩착 (貼着)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도통판 (43) 은, 플러스 전류용, 마이너스 전류용, 어스 전류용으로 3 개 병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또한 수전측 접속부 (23) 에 대해서도 절연되어 개별 접점부 (35) 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팔레트 (6) 가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상을 이동할 때에는, 수전측 접속부 (23) 의 슬라이딩홈 (42) 에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접점 유지 부재 (32) 및 접점부 (35) 가 미끄러져 들어가듯이 도입된다. 슬라이딩홈 (42) 의 단면 형상은, 이와 같이 슬라이딩홈 (42) 의 내부에 접점부 (35) 가 도입되었을 때에, 접점부 (35) 를 상방으로부터 포용하는 형상이다. 접점 유지 부재 (32) 와 접점부 (35) 가 슬라이딩홈 (42) 에 도입되면, 접점 유지 부재 (32) 에 형성된 전동륜 (33) 이 수전측 접속부 (23) 의 저면 (23b) 상을 전동시킨다. 또, 접점부 (35)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점 유지 부재 (32) 의 상면으로부터 출몰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상방에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홈 (42) 의 내상면에 형성된 도통판 (43) 에 가압되어 슬라이딩된다. 이 때문에, 도통판 (43) 에 가압된 접점부 (35) 의 반력 (反力) 이 전동륜 (33) 에 가해진다.
또한, 도 2, 도 3,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측 접속부 (23) (슬라이딩홈 (42)) 의 양 단부에는 도입부 (4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부 (45) 는, 슬라이딩홈 (42) 과 닮은 종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외단측을 향함에 따라 높이 치수 (H) 및 전후 치수 (W) 가 커지는 펀넬상으로 확대 개방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입부 (45) 의 저면 (45a) 은, 수전측 접속부 (23) 의 길이 방향 중앙측을 향해 높이가 높아지는 상승 구배로 되어 있고, 도입부 (45) 의 측면 (45b) 은, 중앙측을 향해 상하 폭 및 대향 간격이 좁아져 있다. 이 도입부 (45) 를 형성함으로써,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접점 유지 부재 (32) 와 접점부 (35) 가 슬라이딩홈 (42) 의 양 단부로부터 도입되기 쉬워진다.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접점 유지 부재 (32) 와 접점부 (35) 는, 수전측 접속부 (23) 의 슬라이딩홈 (42) 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자유 위치에서는, 상, 하층 반송로 (3, 4) 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 5 참조), 접점 유지 부재 (32) 및 접점부 (35) 가 도입부 (45) 의 개구 범위 내, 즉 도입부 (45) 의 높이 치수 (H) 와 전후 치수 (W) 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자유 위치에서는, 접점부 (35) 의 상단의 높이가 수전측 접속부 (23) (슬라이딩홈 (42)) 의 도통판 (43) 의 높이보다 낮아져 있다. 그리고, 접점 유지 부재 (32) 와 접점부 (35) 가 도입부 (45) 의 개구부를 지나 도입부 (45) 의 내부를 깊숙이 나아감에 따라, 접점 유지 부재 (32) 에 형성된 전동륜 (33) 이 도입부 (45) 의 저면 (45a) 에 접촉되고, 접점부 (35) 가 판 스프링 (30) 의 휘어짐에 의해 위치 조정량 (Y) 의 범위를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저면 (45a) 의 상승 구배에 의해 접점 유지 부재 (32) 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접점부 (35) 가 도통판 (43) 에 접촉된다. 또, 접점부 (35) 가 코일 스프링 (31) 의 신축에 의해 위치 조정량 (X) 의 범위를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만일 접점부 (35) 와 수전측 접속부 (23) (슬라이딩홈 (42)) 의 중심 위치가 어긋나 있더라도, 접점부 (35) 가 도입부 (45) 의 측면 (45b) 의 사면 형상을 따라 전후 방향 (W 치수의 방향) 으로 이동함으로써 위치 맞춤된다.
콘센트부 (24) 는, 예를 들어 팔레트 (6) 의 양 단부에 형성된 연석부 (緣石部) (6a) 의 일방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팔레트 (6) 상에 주차하는 차량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부 (24) 는, 팔레트 (6) 의 하면측에 배치 형성된 접속 케이블 (47) 에 의해 수전측 접속부 (23) (도통판 (4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콘센트부 (24) 에는, 전동 차량 (2) 으로부터 연장되는 충전 케이블 (48) 이 접속된다. 그리고, 콘센트부 (24) 는,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로부터 수전측 접속부 (23) 를 거쳐 공급되는 전력을 중계하여 전동 차량 (2) 에 공급한다. 또한, 콘센트부는 팔레트 (6) 의 임의의 상면에 설치해도 된다.
통전 표시 램프 (25) 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층 반송로 (3) 와 하층 반송로 (4) 를 구성하는 횡행 레일 부재 (7) 에 형성되어 있고, 각 팔레트 (6) 가 정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각 팔레트 (6) 의 정면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통전 표시 램프 (25) 는, 팔레트 (6) 상에 주차되어 있는 전동 차량 (2) 이 충전되고 있을 때에 점등되어, 팔레트 (6) 에 통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에서는, 급전 정지중인 충전 차량 (2) (또는 비전동 차량) 의 위치의 통전 표시 램프 (25) 는 소등되어 있고, 급전중인 충전 차량 (2) 의 위치의 통전 표시 램프 (25) 는 점등되어 있다. 또한, 통전 표시 램프 (25) 를 팔레트 (6) 에 직접 형성해도 된다.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에 설치된 복수의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설치 위치는,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상에 있어서의 팔레트 (6) 의 위치에 상관없이,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중 적어도 1 개의 접점부 (35) 가 항상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에 접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 개의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중, 외단측에 위치하는 2 개의 급전측 접속부 (22A, 22D) 는, 3 대분의 주차 스페이스의 양 단에 놓여진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의 내단에 가까운 위치에 접촉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내측에 위치하는 2 개의 급전측 접속부 (22B, 22C) 는, 외측에 위치하는 2 개의 급전측 접속부 (22A, 22D) 의 위치로부터, 수전측 접속부 (23) 의 길이보다 짧은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급전측 접속부 (22B, 22C) 간의 거리도 수전측 접속부 (23) 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급전측 접속부 (22B, 22C) 각각이, 3 대분의 주차 스페이스의 한가운데에 배치된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의 양 단부 부근에 접촉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 (1) 및 충전 장치 (21) 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6(a) ∼ 6(c) 는, 기계식 주차장 (1) 에 있어서의 입고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순환 엘리베이터 (12) 에 의해 전동 차량 (5A) 의 팔레트 (6A) 가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상에 반송될 때에는, 순환 엘리베이터 (12) 의 승강대 (15) 로부터 상층 반송로 (3) 상에 팔레트 (6A) 가 반송됨과 동시에, 상층 반송로 (3) 상의, 순환 엘리베이터 (12) 에 가까운 단부에 이미 재치되어 있던 전동 차량 (5B) 의 팔레트 (6B) 가, 1 대분의 폭만큼 중앙측 (도면을 향해 좌측) 으로 어긋나진다. 도 6(a) 의 위치에 있는 팔레트 (6B) 의 수전측 접속부 (23B) 에는, 급전측 접속부 (22A) 가 접촉되어 있다. 이 급전측 접속부 (22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전측 접속부 (23B) 의 내단에 가까운 위치에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도 6(b) ∼ 6(c) 와 같이, 팔레트 (6B) 가 상층 반송로 (3) 상을 중앙측으로 어긋남에 수반하여, 수전측 접속부 (23B) 와 급전측 접속부 (22A) 의 접촉이 끊어지지만, 그보다 먼저 급전측 접속부 (22B) 가 수전측 접속부 (23B) 에 접촉되고, 또한 급전측 접속부 (22C) 가 접촉되어 급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팔레트 (6B) 가 상층 반송로 (3) 상의 어느 위치를 이동중이어도, 팔레트 (6 B) 의 수전측 접속부 (23B) 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가 없다. 또, 입고되어 온 팔레트 (6A) 의 수전측 접속부 (23A) 는 급전측 접속부 (22A) 와 접촉되어, 팔레트 (6A) 에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동 차량 (5A) 에 대한 급전이 개시된다. 이 때, 수전측 접속부 (23A) 가 급전측 접속부 (22A) 와 완전히 접촉되고 나서 통전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 7(c) 는, 마찬가지로 출고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의, 순환 엘리베이터 (12) 에 가까운 단부에 재치되어 급전측 접속부 (22A) 와 접촉됨으로써 급전중이었던 팔레트 (6A) 의 전동 차량 (5A) 이 출고될 때에는, 이 팔레트 (6A) 가 상층 반송로 (3) 로부터 순환 엘리베이터 (12) 의 승강대 (15) 로 옮겨져, 급전측 접속부 (A) 와의 접촉이 끊어져 급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층 반송로 (3) 상의 중앙 위치에 재치되어 있던 팔레트 (6B) 가, 상층 반송로 (3) 의 단부측 (도면을 향해 우측) 으로 어긋나진다. 도 7(a) 의 위치에 있던 팔레트 (6B) 는, 그 수전측 접속부 (23B) 가 급전측 접속부 (22B, 22C) 와 접촉됨으로써 급전되고 있었지만, 도 7(b) ∼ 7(c) 와 같이 팔레트 (6B) 가 상층 반송로 (3) 의 단부측으로 어긋남에 수반하여, 먼저 급전측 접속부 (22C) 와의 접촉이 끊어지고, 다음으로 급전측 접속부 (22B) 와의 접촉이 끊어진다. 그러나, 급전측 접속부 (22B) 와의 접촉이 끊어지는 것보다도 먼저 급전측 접속부 (22A) 가 수전측 접속부 (23B) 에 접촉되어, 급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층 반송로 (3) 상 및 하층 반송로 (4) 상에 있어서의 팔레트 (6) 의 위치에 상관없이,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중 적어도 1 개의 접점부 (35) 가 항상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에 접촉되어 있고, 팔레트 (6) 에 대한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접점부 (35)) 와 수전측 접속부 (23) (도통판 (43)) 사이에 불꽃 (스파크) 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전기 접점부의 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동 차량 (5) 의 충전중에 전원이 끊어져 충전이 중단되는 빈도가 현격히 감소한다. 이 때문에, 충전 관련 기기류나 전동 차량 (5) 의 배터리의 고장 및 수명 단축을 회피하고, 이들 기재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작용·효과는,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의 승강대 (14) 에 의해 팔레트 (6) 를 반송할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게다가, 본 구성에 의하면,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횡행 레일 부재 (7)) 의 상면에 송전로 (트롤리선) 를 직선적으로 부설할 필요는 없어, 상, 하층 반송로 (3, 4) 에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를 점재적으로 설치하여, 상, 하층 반송로 (3, 4) 의 횡행 레일 부재 (7) 등을 따라 배치 형성한 전원 케이블 (38) 에 각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를 접속함과 함께, 팔레트 (6) 에 수전측 접속부 (23) 와 콘센트부 (24) 를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충전 장치 (21) 를 간소하고 저렴한 구성으로 함과 함께,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에 충전 장치 (21) 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가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접점부 (35) 를 상방으로부터 포용하는 종단면 형상의 슬라이딩홈 (42) 을 갖는 한편, 접점부 (35) 가 슬라이딩홈 (42) 의 내상면의 도통판 (43) 에 가압되어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하방으로부터 탄성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점부 (35) 가 슬라이딩홈 (42) 에 접촉되어 있을 때에는, 슬라이딩홈 (42) 에 의해 접점부 (35) 에 물, 기름,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에 의한 폐해의 발생을 억지할 수 있다. 접점부 (35) 는 수전측 접속부 (23) 의 도통판 (43) 에 가압되어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하방으로부터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접점부 (35) 와 수전측 접속부 (23) 를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게다가, 슬라이딩홈 (42) 의 양 단부에 펀넬상으로 확대 개방된 도입부 (45)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 (35) 가 슬라이딩홈 (42) 에 도입되기 쉽고, 이로써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와 수전측 접속부 (23) 의 상대 위치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접점부 (35) 와 슬라이딩홈 (42) 을 양호하게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에 충전 장치 (21) 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접점부 (35) 는, 상, 하층 반송로 (3, 4) (횡행 레일 부재 (7)) 의 위치에 대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 조정량 (X, Y) 만큼 이동할 수 있고, 접점부 (35) 가 슬라이딩홈 (42) 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자유 위치에서는, 상, 하층 반송로 (3, 4) 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접점부 (35) 가 도입부 (45) 의 개구 범위 (높이 치수 (H) × 전후 치수 (W)) 내에 있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 (35) 가 슬라이딩홈 (42) 에 도입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접점부 (35)) 와 수전측 접속부 (23) (슬라이딩홈 (42)) 사이의 상대 위치 정밀도가 다소 낮아도,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와 수전측 접속부 (23) 를 확실하게 접촉시켜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상, 하층 반송로 (3, 4) 에 대한 팔레트 (6) 의 상대 위치 정밀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기존의 기계식 주차장에 충전 장치 (21) 를 설치하는 개수 공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각 팔레트 (6) 에 통전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통전 표시 램프 (25)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전되고 있는 팔레트 (6) 가 명확하게 표시된다. 이 때문에, 메인터넌스시의 감전 등을 방지함과 함께, 전력 공급 계통의 고장을 발견하기 쉽게 하여, 충전 장치 (21) 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왕복식 주차장인 경우에는, 상기의 승강대 (15) 로 바꿔, 팔레트 (6) 의 격납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차로 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8 ∼ 도 10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 장치 (51) 가 적용된 기계식 주차장 (101) 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 충전 장치 (51) 는, 상, 하층 반송로 (3, 4) 에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에 추가하여 급전측 접속부 (22E, 22F) 가 형성되어 있는 점과,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와 순환 엘리베이터 (12) 의 승강대 (14, 15) 에 승강대 접속부 (22G, 22H) 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제 1 실시형태의 기계식 주차장 (1) 및 충전 장치 (21) 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급전측 접속부 (22E, 22F) 및 승강대 접속부 (22G, 22H) 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급전측 접속부 (22A ∼ 22D) 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구성 부품의 부호는 생략한다.
급전측 접속부 (22E, 22F) 는, 상, 하층 반송로 (3, 4) 의 외단부 부근에 설치되고, 여기에 정지한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의 외단부 부근에 접촉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들 급전측 접속부 (22E, 22F) 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전원 케이블 (38) 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또, 승강대 접속부 (22G, 22H) 에는, 예를 들어 승강대 (14, 15) 의 상하동으로 추종할 수 있는 플렉시블 전원 케이블 (53) (전원 수단) 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이 승강대 접속부 (22G, 22H) 는, 팔레트 (6) 가 승강대 (14, 15) 에 재치되었을 때에,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에 접촉되어 팔레트 (6) 에 전력을 공급한다.
승강대 접속부 (22G, 22H) 의 설치 위치는, 팔레트 (6) 가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와 승강대 (14, 15) 사이에 걸쳐 이동할 때에, 항상 급전측 접속부 (22E, 22F) 의 접점부 (35) 와 승강대 접속부 (22G, 22H) 의 접점부 (35) 중 적어도 일방이, 이동중인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승강대 접속부 (22G, 22H) 는, 각각 승강대 (14, 15) 의, 상, 하층 반송로 (3, 4) 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대 접속부 (22G) 와 급전측 접속부 (22E) 사이의 거리와, 승강대 접속부 (22H) 와 급전측 접속부 (22F) 사이의 거리가, 각각 수전측 접속부 (23) 의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계식 주차장 및 충전 장치 (51) 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9(a) ∼ 9(c) 는, 충전 장치 (51) 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101) 에 있어서의 입고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순환 엘리베이터 (12) 의 승강대 (15) 에 의해 전동 차량 (5A) 의 팔레트 (6A) 가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상에 반송될 때에는, 순환 엘리베이터 (12) 의 승강대 (15) 로부터 상층 반송로 (3) 상에 팔레트 (6A) 가 반송됨과 동시에, 상층 반송로 (3) 상의, 순환 엘리베이터 (12) 에 가까운 단부에 이미 재치되어 있던 전동 차량 (5B) 의 팔레트 (6B) 가, 1 대분의 폭만큼 중앙측 (도면을 향해 좌측) 으로 어긋나진다. 이와 같이 팔레트 (6B) 가 상층 반송로 (3) 상을 이동할 때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충전 장치 (21) 와 마찬가지로, 팔레트 (6B) 가 상층 반송로 (3) 상의 어느 위치를 이동중이어도, 6 기의 급전측 접속부 (22A ∼ 22F) 중 어느 것이 수전측 접속부 (23B) 에 접촉되기 때문에, 팔레트 (6B) 에 대한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경우가 없다.
한편,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대 (15) 에 재치된 팔레트 (6A) 에는, 그 수전측 접속부 (23A) 에 승강대 접속부 (22G) 가 접촉됨으로써 전력 공급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도 9(b) ∼ 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팔레트 (6A) 가 승강대 (15) 로부터 상층 반송로 (3) 상으로 이동하는 데에 수반하여, 수전측 접속부 (23A) 와 승강대 접속부 (22G) 의 접촉이 끊어지지만, 그보다 먼저 급전측 접속부 (22E) 가 수전측 접속부 (23A) 에 접촉된다. 이 때문에, 팔레트 (6A) 가 승강대 (15) 로부터 상층 반송로 (3) 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시종 팔레트 (6A) 에 전력이 계속 공급된다.
도 10(a) ∼ 10(c) 는, 마찬가지로 출고시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층 반송로 (3) (또는 하층 반송로 (4)) 의, 순환 엘리베이터 (12) 에 가까운 단부에 재치되어 급전측 접속부 (22A, 22E) 와 접촉됨으로써 급전중이었던 팔레트 (6A) 의 전동 차량 (A) 이 출고될 때에는, 이 팔레트 (6A) 가 상층 반송로 (3) 로부터 순환 엘리베이터 (12) 의 승강대 (15) 로 옮겨지는 데에 수반하여, 팔레트 (6A) 의 수전측 접속부 (23A) 와 급전측 접속부 (22A, 22E) 의 접촉이 끊어지지만, 급전측 접속부 (22E) 와의 접촉이 끊어지는 것보다 먼저 승강대 접속부 (22G) 가 수전측 접속부 (23A) 에 접촉된다. 이 때문에, 팔레트 (6A) 가 상층 반송로 (3) 로부터 승강대 (15) 로 이동하는 동안에도 시종 팔레트 (6A) 에 전력이 계속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 하층 반송로 (3, 4) 에 복수의 급전측 접속부 (22A ∼ 22F) 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추가하여, 승강대 (14, 15) 에도 승강대 접속부 (22G, 22H) 가 형성되고, 각 팔레트 (6) 가 상, 하층 반송로 (3, 4) 와 승강대 (14, 15) 사이에 걸쳐 이동할 때에는, 항상 급전측 접속부 (22E, 22F) 의 접점부 (35) 와 승강대 접속부 (22G, 22H) 의 접점부 (35) 중 적어도 일방이 팔레트 (6) 의 수전측 접속부 (23) 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팔레트 (6) 가 상, 하층 반송로 (3, 4) 와 승강대 (14, 15) 사이에 걸쳐 한창 이동하고 있는 중에도 팔레트 (6) 에 전력이 계속 공급된다.
따라서, 팔레트 (6) 의 위치에 상관없이, 팔레트 (6) 에 대한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경우가 없다. 이로써, 각 접점부 사이에서 불꽃 (스파크) 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각 전기 접점부의 소손 등을 억제함과 동시에, 전동 차량 (5) 의 충전중에 전원이 끊어져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충전 관련 기기류나 전동 차량 (5) 의 배터리 등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작용·효과는, 입출고 엘리베이터 (11) 의 승강대 (14) 에 의해 팔레트 (6) 을 반송할 때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상과 같이, 충전 장치 (21, 51) 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1, 101) 에 의하면, 팔레트 (6) 의 이동에 수반하여 충전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원측의 전기 접점부와 팔레트 (6) 측의 전기 접점부 사이에서 불꽃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 전기 접점부의 건전성을 유지함과 함께, 전동 차량 (5) 의 충전중에 전원이 끊어져 충전이 중단되는 빈도를 감소시키거나, 혹은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충전 관련 기기류나 전동 차량 (5) 의 배터리의 고장 및 수명 단축을 회피하고, 이들 기재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상층에 입출고구 (13) 가 형성되고, 지하에 상층 반송로 (3) 및 하층 반송로 (4) 가 구축된 지하식의 입체 주차장에 본 발명에 관련된 충전 장치 (21, 51) 가 적용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지상식의 입체 주차장에 본원 발명에 관련된 충전 장치를 적용해도 상관없다.
1, 101 : 기계식 주차장
3 : 상층 반송로 (반송로)
4 : 하층 반송로 (반송로)
5 : 전동 차량
6 : 팔레트
7 : 횡행 레일 부재
11 : 입출고 엘리베이터
12 : 순환 엘리베이터
13 : 입출고구
14, 15 : 승강대
21, 51 : 충전 장치
22A ∼ 22F : 급전측 접속부
22G, 22H : 승강대 접속부
23 : 수전측 접속부
24 : 콘센트부
25 : 통전 표시 램프 (통전 표시 수단)
35 : 접점부
38, 53 : 전원 케이블 (전원 수단)
42 : 슬라이딩홈
45 : 도입부
48 : 충전 케이블
H, W : 도입부의 개구 범위가 되는 높이 치수 및 전후 치수
X, Y : 접점부의 위치 조정량

Claims (6)

  1. 차량을 재치 (載置) 하는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로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에 부설되어, 상기 팔레트에 주차한 전동 차량의 차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로서,
    상기 반송로에, 그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원 수단에 접속된 복수의 급전측 접속부와,
    상기 팔레트에 형성되어 상기 팔레트의 반송시에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급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는 수전측 접속부와,
    상기 팔레트에 형성되어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급전측 접속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중계하여 상기 전동 차량에 공급하는 콘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전측 접속부는 상기 팔레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연장되는 형상이며,
    복수의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설치 위치는, 상기 반송로 상에 있어서의 상기 팔레트의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적어도 1 개의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가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도록 설정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측 접속부는,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를 상방으로부터 포용하는 종단면 형상의 슬라이딩홈을 가지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내상면에 가압되어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하방으로부터 탄성 지지되는 구조이고,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 단부로부터 도입되기 쉽도록 펀넬상으로 확대 개방된 도입부가 형성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는, 상기 반송로의 위치에 대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 조정량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슬라이딩홈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자유 위치에서는, 상기 반송로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점부가 상기 도입부의 개구 범위 내에 있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는,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상하에 복수 층 형성되고,
    상기 각 반송로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팔레트를 상기 각 반송로에서 순환시키는 엘리베이터식 승강대와,
    그 승강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는 승강대 접속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 접속부의 설치 위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기 반송로와 상기 승강대 사이에 걸쳐 이동할 때에, 항상 상기 급전측 접속부의 접점부와 상기 승강대 접속부의 접점부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수전측 접속부에 접촉되도록 설정된,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에 통전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통전 표시 수단을 갖는,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충전 장치를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KR1020137016520A 2011-06-14 2012-06-07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KR101521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2609A JP5669676B2 (ja) 2011-06-14 2011-06-14 機械式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
JPJP-P-2011-132609 2011-06-14
PCT/JP2012/064727 WO2012173045A1 (ja) 2011-06-14 2012-06-07 機械式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257A true KR20130086257A (ko) 2013-07-31
KR101521033B1 KR101521033B1 (ko) 2015-05-15

Family

ID=4735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520A KR101521033B1 (ko) 2011-06-14 2012-06-07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69676B2 (ko)
KR (1) KR101521033B1 (ko)
CN (1) CN103282590B (ko)
SG (1) SG191107A1 (ko)
WO (1) WO20121730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403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2948B (zh) * 2014-02-27 2018-06-12 株式会社Ihi 非接触供电装置以及非接触供电系统
CN105178667B (zh) * 2015-10-12 2017-06-06 大洋泊车股份有限公司 横移梳齿架输送电装置及梳齿横移式立体车库
CN105735170A (zh) * 2016-03-10 2016-07-06 苏州凯丰电子电器有限公司 一种自动化电子地锁
US11981221B2 (en) * 2019-03-20 2024-05-14 Schunk Transit Systems Gmbh Contact device,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JP2021085277A (ja) * 2019-11-29 2021-06-03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機械式駐車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8010A (en) * 1974-12-10 1976-06-12 Niigata Engineering Co Ltd Sharyono shudensochi
JPH0493403U (ko) * 1990-12-26 1992-08-13
JP2005188033A (ja) * 2003-12-24 2005-07-14 Nissei Ltd 自走式トレー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格納装置
JP5268518B2 (ja) * 2008-09-19 2013-08-21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充電機能を備えた循環式駐車装置及びその駐車管理方法
JP2010133096A (ja) * 2008-12-02 2010-06-17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循環式駐車装置
JP2010161880A (ja) * 2009-01-08 2010-07-22 Alpha Corp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SG178858A1 (en) * 2009-08-28 2012-04-27 Ihi Transport Machinery Co Ltd Park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403A (ko) * 2016-08-30 2018-03-08 주식회사 창공주차산업 수직 순환형 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82590B (zh) 2016-04-27
KR101521033B1 (ko) 2015-05-15
JP5669676B2 (ja) 2015-02-12
CN103282590A (zh) 2013-09-04
JP2013002089A (ja) 2013-01-07
WO2012173045A1 (ja) 2012-12-20
SG191107A1 (en)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6257A (ko) 기계식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주차장
KR101672569B1 (ko) 지상 운반차량 특히 iso 컨테이너용 고성능 무인 운반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시스템
KR101266073B1 (ko) 주차 장치
KR960005533B1 (ko) 입출고용 전차 이용의 자동창고
CN102482035B (zh) 物品收纳设备
EP2308778A2 (en) Automated warehouse shuttle
JP5566642B2 (ja) 駐車装置
KR20150010962A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시스템에서의 물품의 일시 보관 방법
US20140360011A1 (en) Device for installing and uninstalling a vehicle battery
KR102445043B1 (ko) 반송 설비
KR102185372B1 (ko) 기계식 주차장용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015211B1 (ko) 승강기식 주차 설비용 전기차 충전 장치
CN218112409U (zh) 换电站
KR102180875B1 (ko) 기계식 주차장용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
CN218112408U (zh) 换电机构、换电装置和换电站
CN104925441A (zh) 一种穿梭式立库单元
CN216470109U (zh) 一种仓储系统
JP2013177213A (ja) 物品処理設備及び物品処理設備における処理装置の設置方法
CN204737284U (zh) 一种穿梭式立库单元
KR200469339Y1 (ko) 무접촉 전원공급 장치가 적용된 알티비의 서랍식 픽업장치
JP2010281103A (ja) 駐車装置
JP2016206884A (ja) 無人走行車の給電システム
JP5681525B2 (ja) コンベア式立体駐車装置、コンベア式立体駐車装置に用いる集電ブラケット、及びコンベア式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車両の充電方法
CN218230624U (zh) 一种重载rgv系统
CN215204517U (zh) 基于皮带的双侧换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