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374A - 방호벽 및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방호벽 및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374A
KR20130083374A KR1020127000856A KR20127000856A KR20130083374A KR 20130083374 A KR20130083374 A KR 20130083374A KR 1020127000856 A KR1020127000856 A KR 1020127000856A KR 20127000856 A KR20127000856 A KR 20127000856A KR 20130083374 A KR20130083374 A KR 20130083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wall
fixing
firewall
coup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야오 쳉
친-웬 쳉
Original Assignee
후야오 쳉
친-웬 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야오 쳉, 친-웬 쳉 filed Critical 후야오 쳉
Publication of KR2013008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53Rails of materials other than metal or concrete, e.g. wood, plastics; Rails of different materials, e.g. rubber-faced metal profiles, concrete-filled steel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고정장치 및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재료가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성형시 내충격층으로 피복되어 있고, 방호벽의 앞단 벽면에는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본체의 후단에는 동시에 완충부가 성형되며, 이에 따라 본체의 후단 벽면과 완충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강철 와이어 로프를 설치할 수 있어 보호벽의 안전성을 제공시키고, 또는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여 통신보조설비로 사용되고, 또는 경보등이 켜지거나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도록 차량 접근 감지기를 설치하여 방호벽의 용도를 보다 다원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 측면은 방호벽의 형상에 맞추어 구성된 고정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받침대는 방호벽 결합면이 설치되어 있고, 결합면에는 고정 블럭, 방호벽 및 고정 스트탠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멍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술한 결합면에는 상/하단 모서리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하단 모서리면은 결합면과 각각 결합되어 홈을 구성하여 방호벽의 상/하단면이 놓여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커버 및 결합면이 설치되어 있고, 결합면의 양측에는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고정 받침대의 결합면과 커버의 결합면을 이용하여 방호벽 기둥을 고정시키고, 조임 유닛으로 전술한 결합면의 양측 및 커버의 결합면의 양측을 관통하여 관통홀을 설치하고 조임으로써 고정 받침대와 방호벽이 완전히 고정되도독 하는 방호벽 및 고정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방호벽 및 고정장치{GUARDRAIL AND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방호벽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압축되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보호벽과, 강철 와이어 로프 또는 통신 케이블 등을 설치하여 다원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방호벽에 고정장치를 접목시켜 방호벽을 도로변에 설치함으로써 방호벽의 내충격성 및 도로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갖춘 창신적인 방호벽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로 양쪽으로 설치되어 있는 방호벽(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며, 금속 재질로 제작된 방호벽은 그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 연결점이 많아짐에 따라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 원가가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방호벽은 볼트홀(10) 및 방호벽 기둥(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호벽 기둥(11)은 시멘트 또는 금속 또는 목재 등으로 제작되는 것에 있어서, 시멘트로 제작된 상기 방호벽 기둥(11)은 녹이 쓸지 않고 부식되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방호벽이 내충격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방호벽 기둥(11)과 상기 방호벽(1)의 사이에는 완충 블럭(12)이 설치되는데, 상기 완충 블럭(12)은 목재로 제작되고 다시 볼트(13)를 사용하여 상기 방호벽(1)과 상기 완충 블럭(12) 및 상기 방호벽 기둥(11)을 함께 조여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하여 이를 통해 도로 양측의 방호벽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호벽은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받을 경우 상기 완충 블럭(12)만을 이용하여 완충효과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금속제 방호벽은 다음과 같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1. 금속 재질로 제작된 방호벽(1)은 재질 자체가 지니고 있는 탄력성이 부족하여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받을 경우 쉽게 휘어지고 금속제 방호벽은 차량의 판금에 손상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2. 금속 재질로 제작된 방호벽은 야간이나 시선이 좋지 못한 지역에 설치될 경우, 방호벽의 설치 위치가 선명하지 않아 반광 페인트로 페인팅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반광경고표시 기능이 여전히 부족하다.
3. 목재로 제작된 완충 블럭(12)은 근본적으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는 않으며, 일정 시간 사용 후에는 바람이나 빗물에 의한 영향을 받아 부식이 생기며, 방호벽이 충격을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완충 블럭(12)을 교체하여야 한다.
4. 방호벽 시공시, 방호벽과 완충 블럭 및 방호벽 기둥을 한번의 시공을 통해 조립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의 소모, 시공 원가의 상승 그리고 시공 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인은 종래의 방호벽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플라스틱 재료가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복수 개의 오목/돌출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모서리의 원호면에는 일체형으로 성형된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이 구비되어 있어 반광, 흡진에 대한 안전 기능을 갖는 방호벽을 제시하며, 전술한 방호벽은 성형시 동시에 내충격층으로 피복되어 방호벽이 충격을 받을 경우 우수한 탄력성 및 쉽게 파단되지 않는 특성을 갖도록 하여 이를 통해 안정성과 기능성을 제고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호벽 후단 벽면에 완충부를 설치하여 방호벽이 충격을 받을 경우 상기 완충부를 이용하여 대부분의 충격력을 흡수하여 사람과 차량의 안전을 높이기 위한 방호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은, 방호벽의 후단 벽면에 완충부를 설치하고, 상기 완충부의 두께느 방호벽의 벽면 두께보다 조금 얇게 제작되는데, 그 목적은 방호벽이 충격을 받아 변형될 경우 완충부가 먼저 해당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심지어는 완충부가 먼저 파단되도록 하여 이를 통해 방호벽이 충격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람과 차량이 방호벽 바깥으로 벗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은, 방호벽의 후단 벽면과 완충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 역시 완충효과를 제고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공간에는 강철 와이어 로프를 설치하거나 통신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산악 지역이나 좁은 도로 구간에 방호벽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에 의해 방호벽이 파단되고 이로 인해 차량이 방호벽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통신 케이블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또는 차량 접근 감지기를 설치하여 경고등이 켜지거나 경고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방호벽의 용도를 보다 다원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상 전술한 내용에 종합하면, 본 발명은 박호벽에 일체형으로 성형된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형광봉 또는 형광시트)가 있을 경우 탈착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은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는 않은 외각지역이나 산악지역에 설치될 경우 차량의 전조등 빛이 조사되면 매우 밝고 선명한 완전 반사 효과가 발생하여 운행의 안전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방호벽은 모두 발포성 플라스틱재가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므로,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내충격 기능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이는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 발생시 상기 방호벽이 탄력성에 의한 흡진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은 빛이 비교적 어두울 때 빛을 반사하는 기능 및 반사물이 쉽게 탈착되지 않는 특성를 가지며, 전술한 흡진 기능을 이용하여 설계상의 안전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은 그 후단 벽면에 완충부를 추가로 설치하고, 이로 인해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완충부와 공간을 이용하여 충격에 의한 힘을 대량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을 강철 와이어 로프(7)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고, 강철 와이어 로프를 설치하는 목적은 방호벽이 충격에 의해 파단되었을 경우 상기 강철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차량을 잡아 당겨 계속 방호벽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산악 구간 도로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차량이 절벽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는 통신 케이블 설치를 위한 공간을 사용하여 산악지역에 통신 케이블를 설치하는데 있어 어려운 문제점을 한번에 해결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접근 감지기(8)를 설치하여 차량이 방호벽에 너무 근접하게 접근할 경우 방호벽의 경고등이 켜지거나 경고음이 울리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안전경고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에는 영구적으로 탈착되지 않는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두운 지역이나 시선이 좋지 못한 지역 도로에 대한 운행 안전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 본 발명이 추구하는 효과이다.
도1은 종래 금속제 방호벽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1실시예의 해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1실시예의 설치 실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1실시예의 운영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2실시예의 해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3실시예의 해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4실시예의 해부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5실시예의 해부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6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차 결합된 제7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차 결합된 제7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차 결합된 제7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차 결합된 제8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차 결합된 제9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블럭의 일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16은 도15에 도시된 고정 블럭을 이용하여 방호벽과 결합시킨 일 실시예의 조립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가 결합된 제10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가 결합된 제10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과 고정장치가 결합된 제10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호벽은 플라시틱 재료가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물결 모양의 방호벽(2)이 형성된다.
상기 방호벽(2)의 앞단 벽면(20)에는 돌출 모서리(2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 모서리(200)에 맞추어 오목 모서리(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앞단 벽면(20)의 상기 돌출 모서리(200)에는 일체형으로 성형된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3)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벽(2)의 상기 후단 벽면(21)에는 완충부(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22)의 두께(d)는 상기 앞단 벽면(20)의 두께(D)보다 다소 얇으며, 상기 후단 벽면(21)의 상기 완충부(22)와 상기 앞단 벽면(20)의 사이에는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벽(2)이 충격을 받을 경우, 상기 방호벽(2)의 상기 앞단 벽면(20)의 상기 돌출 모서리(200)는 안쪽으로 오목해지면서 변형되며, 이때 상기 완충부(22)의 상기 두께(d)는 상기 앞단 벽면(20)의 상기 두께(D)보다 얇으므로, 병형된 상기 돌출 모서리(200)는 양측으로 늘어남과 동시에 상기 완충부(22)를 끌어 당겨 동시에 양측으로 늘어나도록 하며, 이에 의해 상기 완충부(22)는 먼저 파단되면서 충격에 의한 힘을 대량 흡수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후단 벽면(21)과 상기 완충부(22)의 사이에 위치한 공간(23)도 마찬가지로 상기 공간(23)을 이용하여 충격에 의한 힘을 흡수하므로, 상기 방호벽(2)의 상기 앞단 벽면(20)은 마지막에 비로소 막대한 힘에 의해 파단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한 구조를 갖춘 상기 방호벽(2) 제공를 통해 차량이 상기 방호벽(2)에 충둘한 뒤 상기 방호벽(2)이 즉시 파단되면서 차량이 도로 바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사람과 차량의 안전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로부터 파생된 것이므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호벽은 플라스틱 재로가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이러한 방호벽(2)은 앞단 벽면(20)에 위치한 돌출 모서리(200)에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3)이 조여 설치되고, 상기 방호벽(2)은 내충격 및 반광 경고효과를 갖춘 구조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로부터 파생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방호벽은 압출 성형됨과 동시에 내충격층(9)으로 피복되어 있고, 상기 내충격층(9)은 단일 층 또는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충격층(9)은 각종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가능한 섬유 또는 금속망 또는 금속 재질의 납작한 조각 또는 철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목적은 이러한 내충격층을 사용할 경우 방호벽은 탄력성은 물론 쉽게 파다되지 않는 특성을 갖출 수 있기 때문이다.
도7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의 제4, 제5및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제4, 제5 및 제6실시예는 모두 전술한 제1실시예로부터 파생된 것이다. 본 제4, 제5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 방호벽(2)의 앞단 벽면(20)에는 돌출 모서리(200)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돌출 모서리(200)에 맞추어 오목 모서리(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앞단 벽면(20)의 상기 돌출 모서리(200)에는 일체형으로 성형된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3)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종 장치의 필요에 맞출 수 있도록 완충부(22)를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방호벽(2)의 후단 벽면(21)에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이 상기 완충부(22)를 설치하며, 상기 완충부(22)의 두께(d)는 상기 앞단 벽면(20)의 두께(D)보다 다소 d얇으며, 상기 후단 벽면(21)과 상기 완충부(22)의 사이에는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고정장치에 맞추어 사용될 수 있도록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 방법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에 맞추어 도로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10내지 도12는 전술한 방호벽(2)과 고정장치가 결합된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0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는 고정 블럭(5) 및 고정 받침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블럭(5)은 관통홀(40)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그 내부 측면(41)은 상기 고정 블럭(4)이 상기 방호벽(2)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호벽(2)에 알맞는 형상을 갖추고 있다.
상기 고정 받침대(5)는 방호벽 결합면(5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호벽 결합면(50)에는 조임 유닛(51)이 상기 고정 블럭(4)의 상기 관통홀(40)과 상기 방호벽(2)의 오목홈 구멍(26) 및 상기 구멍(500)을 관통하면 방호벽과 고정장치를 정확하게 겹합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구멍(500)이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까이 위치한 방상기 방호벽(2)과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상기 방호벽 결합면(50)에는 앞방향으로 이어지는 상/하단 모서리면(52, 5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단 모서리면(52, 53)과 상기 방호벽 결합면(50)의 사이에는 홈(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54)의 목적은 상기 방호벽(2)의 상/하단면(24, 25)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는 상기 방호벽(2)과 상기 고정 받침대(5)가 다음 단계의 조임 공사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초기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측면 방향으로 설치되는 관통홀(5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55)은 조임 작업을 위해 공구 또는 손바닥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적당한 넓이를 갗추고 있다. 또한,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벽 기둥 결합면(5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호벽 기둥 결합면(56)은 방호벽 기둥(6)에 알맞는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방호벽 기둥 결합면(56)의 양측에는 관통홀(5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5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58)에는 결합면(5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면(58)은 상기 방호벽 기둥(6)에 알맞는 형상을 갖추고 있고, 상기 결합면(580)의 양측에는 관통홀(581)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받침대(5)의 상기 방호벽 기둥 결합면(56)과 상기 커버(58)의 상기 결합면(580)을 이용하여 상기 방호벽 기둥(6)를 잡아 고정시키고, 상기 조임 유닛(59)으로 상기 방호벽 기둥 결합면(56)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관통홀(57) 및 상기 커버(58)의 상기 결합면(58) 양측의 상기 관통홀(581)을 관통하여 조이면 상기 고정 받침대(5)와 상기 방호벽 기둥(6)을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먼저 상기 방호벽 기둥(6)과 상기 고정 받침대(5)를 조여 고정시키고, 그 다음에 다시 상기 방호벽 기둥(6)과 상기 고정 받침대(5)를 고정시키고 다시 상기 방호벽(2), 상기 고정 받침대(5) 및 상기 방호벽 기둥(6)를 조여 고정시키는 순서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한 방호벽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빠른 공사 속도 및 편리한 실용적 설계를 갖추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방호벽 기둥(6)의 상단에는 반사체(60)를 설치할 수 있어 교통 안전표지 및 도로표지 기능을 갖춘 방호벽의 창신적인 구조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2는 한쪽의 방호벽과 결합되는 구조이고, 전술한 도10 및 도11의 구조에 따라 상기 방호벽(2)과 상기 고정 받침대(5) 및 상기 방호벽 기둥(6)을 조임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호벽이 구성된다.
도13은 양쪽의 방호벽을 결합시킨 구주로서, 전술한 도9 및 도10에 의거한 구조이며, 앞뒤로 위치한 두 개의 고정 받침대(5)의 방호벽 기둥 결합면(56)을 서로 등지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방혹벽 기둥(6)과 각각 결합시키고 다시 조임 유닛(51)을 이용하여 두 개의 상기 고정 받침대(5)를 상기 방호벽 기둥 결합면(56) 양측에 위치한 관통홀(57)에 조여 설치하면 두 개의 상기 방호벽(2)과 두 개의 상기 고정 받침대(5) 및 상기 방호벽 기둥(6)이 조임에 의해 고정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양쪽 구조에 의한 방호벽이 구성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가까이 위치한 두 개의 방호벽(2)과 고정 받침대(5)를 결합시키고 고정 블럭(4)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두 개의 상기 방호벽(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15 및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블럭(4)의 측단에는 반사판(42)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사 효과를 증가시키고 방호벽의 안전성을 제고시킨다.
도17 내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벽 기둥(6)을 옆으로 누운 H자로 제작하고 지그 받침대(62)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지그 바침대(62)는 상기 방호벽 기둥(6)의 앞단 벽면(63)의 뒤쪽에 설치되고 다시 볼트(61)로 상기 지그 받침대(62)로부터 고정 받침대(5)의 관통홀(57a)까지 앞쪽으로 조이면 상기 방호벽(2)과 상기 고정 받침대(5) 및 상기 방호벽 기둥(6)을 안전한 방호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2 : 방호벽 20 : 앞단 벽면
200 : 돌출 모서리 201 : 오목 모서리
21 : 후단 벽면 22 : 완충부
d : 두께 D : 두께
23 : 공간 24, 25 : 상/하단면
26 : 오목홈 구멍 3 :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
4 : 고정 블럭 40 : 관통홀
41 : 내부 측면 5 : 고정 받침대
50 : 방호벽 결합면 500 : 구멍
51 : 조임 유닛 52, 53 : 상/하단 모서리면
54 : 홈 55 : 관통홀
56 : 방호벽 기둥 결합면 57 : 관통홀
57a : 관통홀 58 : 커버
580 : 결합면 581 : 관통홀
59 : 조임 유닛 6 : 방호벽 기둥
60 : 반사체 61 : 볼트
62 : 지그 받침대 63 : 앞단 벽면
7 : 강철 와이어 로프 8 : 접근 감지기
9 : 내충격층

Claims (9)

  1. 플라스틱 재로가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제작되고,
    돌출 모서리와 상기 돌출 모서리에 알맞도록 제작된 오목 모서리 및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가 설치된 앞단 벽면과,
    완충부가 설치된 후단 벽면, 및
    상기 후단 벽면과 상기 완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두께(d)는 상기 앞단 벽면의 두께(D)보다 다소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의 상기 공간 내부에는 강철 와이어 로프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방호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의 상기 공간 내부에는 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벽.
  5.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이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제작되고, 돌출 모서리와 상기 돌출 모서리에 알맞도록 형성된 오목 모서리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 모서리에는 반사판 또는 반사시트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하단면 및 오목홈 구멍이 구비되는 방호벽과,
    관통홀이 설치되는 고정 블럭, 및
    방호벽 결합면이 설치되는 고정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 결합면에는 조임 유닛으로 상기 고정 블럭, 상기 방호벽 및 상기 고정 받침대를 조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방호벽 결합면에는 상/하단 모서리면이 설치되고, 상기 상/하단 모서리면과 상기 결합면의 사이에는 상기 방호벽의 상기 상/하단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받침대에는 조임 작업을 진행하는데 편리하도록 옆방향으로 뚫린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방호벽 결합면은 방호벽 기둥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되고, 상기 방호벽 결합면의 양측에는 관통홀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받침대에는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는 결합면이 설치되며, 상기 결합면은 상기 방호벽 기둥의 형상에 맞추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면의 양측에는 관통홀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받침대의 방호벽 기둥 결합면과 상기 커버의 상기 결합면을 이용하여 상기 방호벽을 잡아 고정시키고, 상기 조임 유닛으로 상기 방호벽 기둥 결합면 양측에 설치된 관통홀 및 상기 커버의 상기 결합면에 설치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조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받침대와 상기 방호벽 기둥을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럭의 내부 측면은 상기 방호벽의 단면의 형상에 맞추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럭의 측면에는 반사시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앞뒤로 위치한 두 개의 상기 고정 받침대의 상기 방호벽 결합면을 상기 방호벽 기둥에 각각 결합시키고, 다시 상기 조임 유닛을 이용하여 두 개의 상기 고정 받침대의 상기 방호벽 결합면 양측에 위치한 상기 관통홀을 조임으로써 양쪽 구조를 갖춘 방호벽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 기둥은 옆으로 누운 H자 형성으로 구성되고, 지그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그 받침대는 상기 방호벽 기둥의 앞단 벽면의 뒤쪽에 설치되고, 다시 볼트로 상기 지그 받침대로부터 상기 고정 받침대의 상기 관통홀까지 앞쪽으로 조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방호벽, 상기 고정 받침대 및 상기 방호벽 기둥을 안전한 방호벽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1020127000856A 2009-06-30 2009-06-30 방호벽 및 고정장치 KR201300833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9/000727 WO2011000127A1 (zh) 2009-06-30 2009-06-30 护栏及固定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374A true KR20130083374A (ko) 2013-07-22

Family

ID=4341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856A KR20130083374A (ko) 2009-06-30 2009-06-30 방호벽 및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30083374A (ko)
CN (1) CN102803613A (ko)
WO (1) WO20110001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420A1 (ko) * 2017-04-28 2018-11-01 (주)카리스가드레일 개방형 플라스틱 가드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44178B (es) 2011-05-30 2016-12-08 Ind Galvanizers Corp Pty Ltd Construcción mejorada de barrera.
CN102535367B (zh) * 2012-01-19 2014-03-12 湖南金鸿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肋形护栏板
CN102535368B (zh) * 2012-01-19 2014-03-12 湖南金鸿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中空护栏板
CN102720152A (zh) * 2012-03-28 2012-10-10 李布尔 防撞栏及其塑料防撞板
CN103866712A (zh) * 2014-04-08 2014-06-18 陕西龙盛亚实业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护栏板
CN105568900A (zh) * 2014-10-10 2016-05-11 无锡梓昱安全用品科技有限公司 耐冲击缓冲防护板结构
CN105178222B (zh) * 2015-08-29 2018-02-09 淮南联合大学 带布线槽的高速公路护栏板
CN105625224A (zh) * 2015-12-26 2016-06-01 李春奎 一种节能环保高强塑料反光护栏板
CN106812089B (zh) * 2017-01-23 2019-05-28 合肥饰界金属制品有限公司 具有反光层的防撞护栏
AU2019206002A1 (en) 2018-07-26 2020-02-13 Industrial Galvanizers Corporation Pty Ltd Improved Spacer Piece for a Guard Rai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3583A (en) * 1993-03-26 1994-06-28 Frank Venegas, Jr. Stanchion with sleeve and method of using same
JPH08144232A (ja) * 1994-09-21 1996-06-04 Bridgestone Corp 自発光連続型視線誘導標
JP3780043B2 (ja) * 1996-10-09 2006-05-31 Smc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US6149134A (en) * 1998-10-01 2000-11-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posite material highway guardrail having high impact energy dissipation characteristics
TW524255U (en) * 2000-09-21 2003-03-11 Fu-Yau Jeng Guard bar
JP2004150048A (ja) * 2002-10-28 2004-05-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付き防護柵
TWI224643B (en) * 2003-04-11 2004-12-01 Fu-Yau Jeng Fixing structure of protection fence
CN101082206A (zh) * 2006-06-02 2007-12-05 郑福耀 护栏及固定结构
CN2908607Y (zh) * 2006-06-27 2007-06-06 广东广韶高速公路有限公司路面扩建工程管理处 抱箍式护栏托架
CN2892950Y (zh) * 2006-09-29 2007-04-25 李强 弹性反光警示公路护栏
CN200974961Y (zh) * 2006-12-01 2007-11-14 刘奕忠 一种公路波形梁钢护栏反光柱帽
CN201132948Y (zh) * 2007-12-07 2008-10-15 陈志宏 公路护栏板
CN101250860A (zh) * 2008-03-11 2008-08-27 陈卫国 防攀爬城市公交道路绿化交通安全隔离防护装置
TWI481767B (zh) * 2008-06-23 2015-04-21 Fu Yao Cheng 護欄(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420A1 (ko) * 2017-04-28 2018-11-01 (주)카리스가드레일 개방형 플라스틱 가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3613A (zh) 2012-11-28
WO2011000127A1 (zh)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3374A (ko) 방호벽 및 고정장치
CA2690047C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KR101143454B1 (ko) 안전기능이 향상된 도로용 가드레일
KR100897583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드레일
KR100837432B1 (ko) 충격흡수 볼라드 및 시공방법
KR200420476Y1 (ko) 충격 완충 구조를 갖는 델리네이터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102222363B1 (ko) 펜스 기둥구조물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US20100254759A1 (en) Barrier system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200453540Y1 (ko) 지주에 보호커버 및 반사판이 설치된 휀스
JP4359522B2 (ja) 道路用防眩板
KR200229392Y1 (ko) 차량충격 완충용 가드레일
JP2003328325A (ja) 落下防止機能付き道路用透光型遮音壁
JP2001336125A (ja) 多機能支柱一体型防護柵
KR102151677B1 (ko) 유리파손방지 가림판 및 그 가림판이 구비된 전체 탈부착 투명방음판 및 그 방음판의 설치방법
KR100955790B1 (ko) 방호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388753Y1 (ko) 도로용 울타리의 지주구조
TWI481767B (zh) 護欄(二)
KR101143455B1 (ko) 충격흡수 판을 구비한 도로용 가드레일
JP4235123B2 (ja) 防護柵
KR101681957B1 (ko)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KR100533053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2642482B1 (ko) 다목적 기능의 led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