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470A - 형광체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형광체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470A
KR20130081470A KR1020120002467A KR20120002467A KR20130081470A KR 20130081470 A KR20130081470 A KR 20130081470A KR 1020120002467 A KR1020120002467 A KR 1020120002467A KR 20120002467 A KR20120002467 A KR 20120002467A KR 20130081470 A KR20130081470 A KR 2013008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vex portion
tappet
binder
p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9364B1 (ko
Inventor
박헌용
이호문
김추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364B1/ko
Priority to TW101146718A priority patent/TWI571308B/zh
Priority to JP2012275138A priority patent/JP2013141667A/ja
Priority to US13/718,706 priority patent/US9463479B2/en
Priority to DE102012112915.0A priority patent/DE102012112915B4/de
Priority to CN201310006152.8A priority patent/CN103191850B/zh
Publication of KR2013008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8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improving resistance to wear, e.g. inserts or coatings; for indicating wear; for handling or replacing worn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39/00Fluid sprinkling, spraying, and diffusing
    • Y10S239/19Nozzle material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형광체 디스펜서가 개시된다. 개시된 형광체 디스펜서는 상기 형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액이 토출되는 개구부가 상기 공간에 노출된 노즐과 상기 노즐에 대해서 왕복 직진운동을 하면서 상기 노즐과의 사이의 상기 형광액을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게 하는 태핏을 구비한다.
상기 태핏은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상기 노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반구 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는 PCD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형광체 디스펜서{Phosphor dispenser}
본 발명은 발광소자 패키지에 형광액을 도포하는 형광체 디스펜서의 태핏 및 노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 칩(light emitting device chip),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의 PN접합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발광다이오드는 수명이 길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빛의 지향성이 강하여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는 충격 및 진동에 강하고, 예열시간과 복잡한 구동이 불필요하며, 다양한 형태로 패키징할 수 있어 여러가지 용도로 적용이 가능하다.
백생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블루 발광다이오드 상에 옐로우 형광체, 또는 그린 형광체 및 레드 형광체가 섞인 형광체를 포함하는 형광층을 형성한다. 형광층은 에폭시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에 형광체를 혼합한 형광액을 형광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발광소자 칩 상에 도포한 후, 건조과정을 거쳐서 발광소자 패키지를 형성할 수 있다.
형광체 디스펜서는 형광액이 토출되는 노즐과, 노즐을 향해서 이동하면서 형광물질을 노즐로 미는 태핏을 포함한다.
종래의 태핏 및 노즐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초경합금, 예컨대 텅스텐 카바이드나 내마모성 세라믹, 예컨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지르코니아 등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태핏 및 노즐은 반복적인 고속 왕복운동시 형광체에 의해 마모가 되며, 이에 따라 형광액의 정량 토출이 어려워지며, 교환주기가 빨라진다.
본 발명은 형광액을 토출하는 형광체 디스펜서에 있어서, 토출과정에서 형광액의 형광체에 의해 마모가 일어나는 태핏 및 노즐의 마모 특성을 개선한 형광체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별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디스펜서는:
상기 형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액이 토출되는 개구부가 상기 공간에 노출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대해서 왕복 직진운동을 하면서 상기 노즐과의 사이의 상기 형광액을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게 하는 태핏;을 구비하며,
상기 태핏은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상기 노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반구 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는 다결정 다이아몬드(polycrystalline diamond: PCD로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는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 1.7 ㎛ 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하는 전체 무게에서 대략 대략 8~16%일 수 있다.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원통부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원통부는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내마모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적어도 상기 볼록부와 대응하며 상기 공간과 접촉하는 오목부가 PC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원통부 및 상기 볼록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표면만 PCD 코팅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디스펜서는:
형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액이 토출되는 개구부가 상기 공간에 노출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대해서 왕복 직진운동을 하면서 상기 노즐과의 사이의 형광액을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게 하는 태핏;을 구비하며,
상기 태핏은 길이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노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통부 상에서 상기 장홈에 대응되게 상기 반구 형상과 마주보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는 PCD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체 디스펜서의 태핏 및 노즐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형광액의 정량 토출이 가능해져 발광소자 패키지의 색산포가 개선된다. 특히, 내마모성이 향상된 태핏 및 노즐의 사용으로 입경이 큰 형광체 입자의 분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색산포가 더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디스펜서의 일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즐 및 태핏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다이아몬드 입자 사이에서 바인더가 분포된 후, 다이아몬드 입자와 함께 소결되어서 PCD를 형성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2의 구조를 가진 종래의 태핏 및 노즐에서 주로 마모가 일어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방법으로 노즐을 텅스텐 카바이드로 형성하고, 태핏의 볼록부를 지르코니아 및 텅스텐 카바이드로 각각 형성한 경우와, 본 발명에 따라 태핏을 PCD로 형성시의 태핏의 내구성을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디스펜서의 태핏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상" 또는 "위"라는 용어는 어떤 층 위에 직접 접촉되어 배치된 경우뿐만 아니라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 위에 배치되는 경우,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위에 배치되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디스펜서(100)의 일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형광액이 토출되는 개구부(112)가 중앙에 형성된 노즐(110)이 노즐 홀더(120)에 장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노즐 홀더(120)의 내주에는 노즐 홀더 고정부(130)가 배치된다. 노즐 홀더(120)은 노즐 홀더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된다. 노즐 홀더(120) 및 노즐 홀더 고정부(130)는 각각 서로 접촉하는 면에 나사 구조가 형성되어서 노즐 홀더(120)가 노즐 홀더 고정부(13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노즐 홀더 고정부(130)의 일측에는 형광액 주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태핏(140)은 노즐(110)의 오목부(도 2의 114 참조)에 대응되게 형성된 볼록부(142)와 볼록부(142)와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144)를 포함한다. 노즐 홀더 고정부(130)의 내측에는 태핏(140)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태핏 가이드(150)가 배치될 수 있다. 태핏 가이드(150)는 태핏(140)의 외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며, 이 이격된 영역으로 형광액이 통과하여 노즐(110) 쪽으로 이동된다.
태핏 가이드(150)의 외주에는 오링(152)이 배치되어서 태핏 가이드(150) 및 노즐 홀더 고정부(130) 사이로 형광액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태핏 실링(132)이 노즐 홀더 고정부(130)의 상부와 결합되어서 형광액 주입구(132)로부터 공급되는 형광액을 수납하는 제1영역(A1)을 형성한다. 즉, 제1영역(A1)은 노즐 홀더 고정부(130), 태핏 가이드(150) 및 태핏 실링(132)에 의해 한정되며, 개구부(112)와 연통되는 영역이다.
태핏(140)에는 도 1에서 태핏(140)을 화살표 B 방향(도 1에서 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1힘과 태핏(140)을 화살표 C 방향(도 1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제2힘이 주어진다. 도 1에는 제1힘으로 압축스프링(160)이 개시되어 있으며, 제2힘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태핏 실링(132) 상부에는 제1고정부재(162)가 노즐 홀더 고정부(130)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태핏(140)의 상부에는 태핏(140)에 고정된 제2고정부재(146)가 형성된다. 제1고정부재(162) 및 제2고정부재(146) 사이에서 태핏(140)의 외주에는 압축 스프링(160)이 감겨져 있어서, 태핏(140)이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한다. 제2고정부재(146) 상에는 피에조 액츄에이터(170)가 배치되되어 있다.
피에조 액츄에이터(17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태핏(140)은 압축 스프링(160)의 힘으로 제1고정부재(162)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힘을 받으므로, 볼록부(142)는 노즐(110)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제1영역(A1)으로부터의 형광액이 노즐(110)의 개구부(112)를 채운다.
이어서, 피에조 액츄에이터(170)에 전압을 인가하면, 피에조 힘에 의해서 태핏(140)이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출부가 노즐(110)에 있는 형광액을 누르며, 따라서 형광액이 개구부(112)로부터 토출된다.
도 1에서는 태핏(140)을 왕복운동하는 힘을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압축스프링(160)이 아래 방향으로 바이어스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액츄에이터(170)로 태핏(140)을 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노즐(110) 및 태핏(140)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형광액을 토출하기 전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110)의 오목부(114)는 형광액을 수용하며 개구부(112)와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태핏(140)의 왕복운동시 형광액 내의 형광체와의 마모가 일어나는 부분은 볼록부(142)의 표면이다. 또한, 노즐(110)도 형광액과의 마찰에 의해 주로 마모되는 부분은 오목부(114)이다. 볼록부(142)의 마모 정도는 반경의 길이, 특히, 오목부(114) 면과 대략 수직으로 접촉하는 부위의 반경(r)의 감소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핏(140)은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144)와, 원통부(144)에서 노즐(110)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142)를 포함한다. 볼록부(142)는 반구형상일 수 있다.
원통부(144)는 텅스텐 카바이드로 제조될 수 있다.
볼록부(142)는 다결정 다이아몬드(polycrystalline diamond: PCD)로 형성될 수 있다. PCD는 다이아몬드 입자와 바인더를 성형후 이를 고압, 고온으로 소결하여 제조된다. 다이아몬드 입자는 평균 입경이 대략 1 ~ 1.7 ㎛ 이며, 0.7~2㎛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이아몬드 입자들을 성형하기 위해서 바인더를 사용한다. 바인더는 다이아몬드 입자 사이에서 다이아몬드 입자를 결합시킨다. 바인더로는 코발트, 크롬, 니켈, 망간, 탄탈륨, 철, 티타늄 카바이드등을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다이아몬드 입자 사이에서 바인더가 분포된 후, 다이아몬드 입자와 함께 소결되어서 PCD를 형성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인더에 의해 PCD 입자가 결합되며, 또한, PCD 입자들 사이에서도 본딩이 일어날 수 있다.
다이아몬드 입자가 2 ㎛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대략 2~16 ㎛ 직경의 형광체 입자에 의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바인더가 마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모가 진행되면 다이아몬드 입자들 사이의 결합이 깨져서 태핏(140)의 볼록부(142)의 일부가 부서질 수도 있다.
바인더 양은 다이아몬드 입경에 따라 그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바인더 양은 대략 전체 무게의 8~16 wt. % 사용될 수 있다.
원통부(144)에 PCD로 이루어진 볼록부(142)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바인더(146)를 그 사이에 개재한 후, 고압, 예컨대 80,000 bar에서 전기적 용접을 하여 대략 1400℃로 바인더(146)를 용융시켜서 이들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바인더(146)로 코발트 또는 전술한 바인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태핏(140)의 볼록부(142)를 PCD로 제조함에 따라 태핏(140)의 내마모성이 향상되지만, 노즐(110)을 종래의 초경합금, 또는 내마모성 세라믹으로 제조한 경우, 노즐(110)의 내마모성은 상대적으로 향상되지 않으므로 형광액의 정량 토출이 어려워지며, 노즐(110)의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태핏(140)의 볼록부(142)와 같이 노즐(110)도 PCD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PCD로 노즐(110)을 만드는 경우, 다이아몬드 입자의 크기, 바인더 양 및 종류 등은 실질적으로 볼록부(142)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볼록부(142)와 노즐(110)은 싱글 다이아몬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2의 구조를 가진 종래의 태핏 및 노즐에서 주로 마모가 일어나는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태핏(140)이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지르코니아 등의 내마모성 세라믹으로 제조되고, 노즐(110)이 텅스텐 카바이드으로 제조된 경우, 주로 마모가 일어나는 영역은 노즐(110)의 오목부(114)와 볼록부(142)가 서로 만나는 영역이다. 도 4에서 이들 영역을 검게 도시하였다. 거리(d)는 볼록부(142)의 반경에서 가장 마모가 진행되는 영역의 남은 부분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5는 종래의 방법으로 노즐(110)을 텅스텐 카바이드로 형성하고, 태핏(140)의 볼록부(142)를 지르코니아 및 텅스텐 카바이드로 각각 형성한 경우와, 본 발명에 따라 태핏(140)을 PCD로 형성시의 태핏(140)의 내구성을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 가로는 태핏(140)의 왕복 회수(shot)를 가리키며, 세로는 도 2에서 노즐(110)의 오목부(114)와 접촉하며 가장 마모가 많이 일어나는 부분에서의 거리(도 4의 d)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거리(d)가 0.62 mm 이하인 경우 토출력이 떨어져서 태핏을 교환하게 된다. 종래의 지르코니아 재질의 태핏은 100만 샷 이전에 태핏이 마모가 심해지며, 텅스텐 카바이드의 경우는 대략 430만 샷 이전에 태핏이 마모가 심해져서 토핏의 수명이 다하는 데 비하여, 본 발명에서처럼 다결정 다이아몬드를 사용하는 경우 1000만 샷에서도 태핏의 마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볼록부(142), 노즐(110)이 PCD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볼록부(142) 모재가 초경재질의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내마모성 재질의 지르코니아,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PCD 코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PCD 코팅은 다이아몬드 입자 사이에 바인더가 혼합된 것을 가리킨다.
볼록부(142)의 표면에 PCD코팅이 형성된 경우, 원통부(144)와 볼록부(142)의 몸체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110)도 볼록부(142)와 같이 모재가 초경재질의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내마모성 재질의 지르코니아,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PCD 코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21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노즐(210)의 오목부(214)는 형광액을 수용하며 개구부(212)와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형광액에 의해서 주로 마모가 되는 부분인 제1부분(221)만 PCD로 형성하고 나머지 제2부분(222)은 초경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제1부분(221)과 제2부분(222)의 접합은 바인더(224)를 이용하여 전술한 전기적 용접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31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즐(310)의 오목부(314)는 형광액을 수용하며 개구부(312)와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노즐(310)은 오목부(314)를 감싸는 제1부분(321)과, 개구부(312)를 감싸는 제2부분(3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부분(321)은 제2부분(322) 상에서 바인더(324)에 의해 본딩된다. 형광액에 의해서 주로 마모가 되는 부분인 오목부(314)를 포함하는 제1부분(321)만 PCD로 형성하고, 제2부분(322)은 초경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광체 디스펜서의 태핏(34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태핏(340)은 노즐(도 1의 110)의 오목부(도 1의 114 참조)에 대응되게 형성된 볼록부(442)와 볼록부(442)와 연결된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444)를 구비한다. 원통부(444)에서 볼록부(442)를 대향하는 면에는 태핏(440)의 길이방향으로 장홈(444a)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42)에는 장홈(444a)에 대응되게 볼록부(442)로부터 연장된 연장부(442a)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444)는 텅스텐 카바이드로 제조될 수 있다. 볼록부(442)는 PCD로 형성될 수 있다. PCD는 다이아몬드 입자와 바인더를 성형후 이를 고압, 고온으로 소결하여 제조된다. 다이아몬드 입자는 평균 입경이 대략 1 ~ 1.7 ㎛ 이며, 0.7~2㎛ 범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PCD로 된 볼록부(442)를 제조시 다이아몬드 입자들과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소결한다. 바인더는 다이아몬드 입자 사이에서 다이아몬드 입자를 결합시킨다. 바인더로는 코발트 또는 전술한 바인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원통부(444)와 볼록부(442) 사이의 결합을 위해서 바인더(446)를 그 사이에 개재한 후, 고압, 예컨대 80,000 bar에서 전기적 용접을 하여 대략 1400℃로 만들어 이들을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에서 참조번호 346은 소결된 바인더를 가리킨다.
도 8에서는 볼록부(442) 몸체가 모두 PCD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볼록부(442) 모재가 초경재질의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내마모성 재질의 지르코니아, 실리콘 카바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PCD 코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형광체 디스펜서 110: 노즐
112: 개구부 120: 노즐 홀더
130: 노즐 홀더 고정부 140: 태핏
142: 볼록부 144: 원통부
150: 태핏 가이드 160: 압축 스프링
170: 피에조 액츄에이터

Claims (16)

  1. 형광액을 토출하는 형광체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형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액이 토출되는 개구부가 상기 공간에 노출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대해서 왕복 직진운동을 하면서 상기 노즐과의 사이의 상기 형광액을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게 하는 태핏;을 구비하며,
    상기 태핏은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상기 노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반구 형상의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는 PCD로 형성된 형광체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형광체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 1.7 ㎛ 인 형광체 디스펜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하는 전체 무게에서 대략 대략 8~16%인 형광체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원통부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가 개재된 형광체 디스펜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내마모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디스펜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적어도 상기 볼록부와 대응하며 상기 공간과 접촉하는 오목부가 PCD로 이루어진 형광체 디스펜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 및 상기 볼록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표면만 PCD 코팅으로 형성된 형광체 디스펜서.
  9. 형광액을 토출하는 형광체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형광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형광액이 토출되는 개구부가 상기 공간에 노출된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대해서 왕복 직진운동을 하면서 상기 노즐과의 사이의 형광액을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되게 하는 태핏;을 구비하며,
    상기 태핏은 길이 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의 원통부와, 상기 노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통부 상에서 상기 장홈에 대응되게 상기 반구 형상과 마주보게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볼록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는 PCD로 형성된 형광체 디스펜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형광체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는 평균 입경이 1.0 ~ 1.7 ㎛ 인 형광체 디스펜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를 포함하는 전체 무게에서 대략 대략 8~16%인 형광체 디스펜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원통부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가 개재된 형광체 디스펜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내마모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디스펜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적어도 상기 볼록부와 대응하며 상기 공간과 접촉하는 오목부가 PCD로 이루어진 형광체 디스펜서.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 및 상기 볼록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표면만 PCD 코팅으로 형성된 형광체 디스펜서.
KR1020120002467A 2012-01-09 2012-01-09 형광체 디스펜서 KR10136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467A KR101369364B1 (ko) 2012-01-09 2012-01-09 형광체 디스펜서
TW101146718A TWI571308B (zh) 2012-01-09 2012-12-11 磷噴灑器
JP2012275138A JP2013141667A (ja) 2012-01-09 2012-12-17 蛍光体ディスペンサー
US13/718,706 US9463479B2 (en) 2012-01-09 2012-12-18 Phosphor dispenser
DE102012112915.0A DE102012112915B4 (de) 2012-01-09 2012-12-21 Phosphorspender
CN201310006152.8A CN103191850B (zh) 2012-01-09 2013-01-08 荧光体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467A KR101369364B1 (ko) 2012-01-09 2012-01-09 형광체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470A true KR20130081470A (ko) 2013-07-17
KR101369364B1 KR101369364B1 (ko) 2014-03-06

Family

ID=4865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467A KR101369364B1 (ko) 2012-01-09 2012-01-09 형광체 디스펜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3479B2 (ko)
JP (1) JP2013141667A (ko)
KR (1) KR101369364B1 (ko)
CN (1) CN103191850B (ko)
DE (1) DE102012112915B4 (ko)
TW (1) TWI571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882B1 (en) * 2017-01-25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forming a dielectric layer on a structure having a height difference using ALD
DE102018108915A1 (de) * 2018-04-16 2019-10-17 Atlas Copco Ias Gmbh Dosierventil
CA3112206A1 (en) * 2018-09-21 2020-03-26 Craftstech, Inc. Unitized valve seat assembly
JP7229558B2 (ja) * 2020-12-04 2023-02-28 株式会社ワークス 電子部品接着用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166A (en) 1975-04-03 1977-05-10 Teledyne Industries, Inc. Piezoelectric fuel injector valve
US4732364A (en) * 1984-12-17 1988-03-22 Ameron Iron Works USA, Inc. Wear resistant diamond cladding
KR100262890B1 (ko) 1997-12-30 2000-08-01 정몽규 밸브태핏용 철계 소결합금
ZA200000781B (en) * 1999-03-01 2000-09-13 Gen Electric Polycrystalline abrasive compacts of enhanced corrosion resistance.
JP2001050133A (ja) * 1999-08-06 2001-02-23 Hitachi Ltd 電子燃料噴射弁
JP3625041B2 (ja) 1999-11-15 2005-03-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タペット
US6508416B1 (en) * 2000-04-28 2003-01-21 Delphi Technologies, Inc. Coated fuel injector valve
KR100372785B1 (ko) 2000-10-20 2003-02-25 유영남 용접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태핏용 초경합금
KR200226493Y1 (ko) * 2000-12-29 2001-06-15 김영조 팬형 고압 워터젯 노즐
JP2002361151A (ja) * 2001-06-10 2002-12-17 Mikuni Denshi Kk 液状体の吐出塗布方法と吐出塗布装置
US6817550B2 (en) * 2001-07-06 2004-11-16 Diamicron, Inc. Nozzles,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DE20220800U1 (de) 2002-10-24 2004-04-08 Vermes Technik Gmbh & Co. Kg Piezoelektrisches Aktorsystem
KR20050057809A (ko) 2003-12-11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형광체막 도포용 잉크젯 헤드
KR100550265B1 (ko) 2004-01-20 2006-02-08 프리시젼다이아몬드 주식회사 WC-Co 계 초경재료를 모재로 한 다이아몬드 막이코팅된 다이아몬드 코팅 공구 및 내마모 부품
DE102004005456A1 (de) 2004-02-04 2005-08-25 Robert Bosch Gmbh Kraftstoffinjektor mit direktgesteuertem Einspritzventilglied
JP2005262018A (ja)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及びそれを用いたペースト塗布線描画装置
KR200385780Y1 (ko) * 2005-03-14 2005-06-02 이승환 스프레이 건
WO2008096314A2 (en) 2007-02-05 2008-08-14 Element Six (Production) (Pty) Ltd Polycrystalline diamond (pcd) materials
EP2180972A1 (en) * 2007-08-31 2010-05-05 Element Six (Production) (Pty) Ltd. Polycrystalline diamond composites
US20110045124A1 (en) * 2007-09-21 2011-02-24 Mold-Masters (2007) Limited Injection Molding Nozzle Having A Nozzle Tip With Diamond Crown
KR100986070B1 (ko) 2008-06-05 2010-10-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분사 장치
GB0902230D0 (en) * 2009-02-11 2009-03-25 Element Six Production Pty Ltd Polycrystalline super-hard element
KR101130049B1 (ko) * 2009-09-08 2012-03-28 김일천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 코팅 피스톤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796B1 (ko) 2010-06-30 2018-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06640B1 (ko) * 2010-10-14 2011-01-10 이구환 디스펜싱용 노즐 유닛
KR101100549B1 (ko) * 2011-10-04 2011-12-30 이구환 디스펜서 유닛의 태핏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112915A1 (de) 2013-07-11
CN103191850B (zh) 2016-08-10
KR101369364B1 (ko) 2014-03-06
TW201328781A (zh) 2013-07-16
DE102012112915B4 (de) 2021-05-20
CN103191850A (zh) 2013-07-10
TWI571308B (zh) 2017-02-21
US9463479B2 (en) 2016-10-11
JP2013141667A (ja) 2013-07-22
DE102012112915A8 (de) 2013-10-02
US20130175369A1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364B1 (ko) 형광체 디스펜서
JP4953578B2 (ja) 発光装置
US10651353B2 (en)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reflective element
US966015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US9780258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1096758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US8154043B2 (en) Packaged light emitting devices
JP4920497B2 (ja) 光半導体装置
EP1693904B1 (en)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with len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JP5680278B2 (ja) 発光装置
JP4956977B2 (ja) 発光装置
KR101704087B1 (ko) 각도에 따른 색 변화가 감소된 led
CN102738362A (zh) 反射树脂片、发光二极管装置及其制造方法
US20060103302A1 (en) LE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126060A (ko)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8018979A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07243053A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6025138B2 (ja)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8123B1 (ko) 디스펜서 구조
JP5816479B2 (ja) 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5447407B2 (ja) 発光装置
JP2014081009A (ja) 流路切替部材、および装置
KR20140032470A (ko) 디스펜서 구조
KR101148214B1 (ko) 고체 재료 공급 장치
JP2012080146A (ja) 光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