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780Y1 - 스프레이 건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780Y1
KR200385780Y1 KR20-2005-0006783U KR20050006783U KR200385780Y1 KR 200385780 Y1 KR200385780 Y1 KR 200385780Y1 KR 20050006783 U KR20050006783 U KR 20050006783U KR 200385780 Y1 KR200385780 Y1 KR 2003857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material
spray
nozzle
ai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철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20-2005-0006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7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7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점도 유체의 스프레이시 노즐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스프레이 작업의 연속성과 스프레이 결과의 우수성을 보장하며, 스프레이재가 분사되는 노즐과 니들 등의 부품에 대한 내마모성을 개선함으로써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고 수명이 연장되는 스프레이 건을 개시한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스프레이재 탱크로부터 압송된 스프레이재가 도입되는 스프레이재 공급관; 상기 도입된 스프레이재가 외부로 분사되는 스프레이재 노즐; 상기 스프레이재와 혼합되어 분사될 에어가 도입되는 에어 공급관; 상기 도입된 에어가 외부로 분사되는 에어 노즐; 상기 스프레이재 공급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을 개폐하는 니들; 상기 스프레이재의 분사후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의 청소를 위해 상기 니들을 스프레이재 노즐에 대해 후퇴 전진시키는 액튜에이터;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프레이 건 {Spray Gun}
본 고안은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의 막힘이나 마모의 문제 없이 고점도 유체의 스프레이에 적합하고 분사의 각도와 유량의 조절이 가능한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스프레이 건'은 각종 도료나 약제 및 코팅제(이하, '스프레이재'로 통칭함) 등의 살포 작업 또는 각종 시설 및 물품에 대한 냉각이나 세척 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치로서, 분사 노즐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그 용도 및 종류가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에 종래의 스프레이 건에 대한 일례가 제시되어 있다. 도시된 스프레이 건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스프레이재 공급관(111)과 에어 공급관(112)이 외주면에 각각 연결된 바디(110)와, 스프레이재가 분사되는 플루이드 캡(121) 및 이 플루이드 캡(121)과 캡 너트(123)으로 조립되어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 캡(122)을 구비하며 바디(110)의 선단부위에 설치되는 노즐(120), 그리고 바디(110)의 내부로부터 노즐(120)의 후단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노즐(120)을 개폐하는 니들(130)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니들(130)이 후퇴하여 노즐(1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스프레이재 공급관(111)으로부터 바디(110)의 내부로 공급된 스프레이재는 에어 공급관(112)으로부터 공급된 에어와 함께 노즐(120)을 통해 혼합 분사됨으로써 스프레이재가 소정 부위에 도포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스프레이 건은 가습용이나 정밀 미세 코팅용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고점도 유체의 스프레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노즐 막힘 현상이 유발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 즉, 가구 및 사무용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사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우지 ·시럽 ·각종 첨가물, 코팅 분야에서 사용되는 세라믹의 스프레이시 노즐 막힘이 심하게 일어난다. 이 중에서도 세라믹 스프레이의 경우에는, 세라믹 입자의 침전으로 인해 노즐 막힘이 특히 심하며 노즐의 재질적인 요인으로 인해 노즐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고점도 유체의 스프레이시 노즐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스프레이 작업의 연속성과 스프레이 결과의 우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부차적인 목적은, 스프레이재가 분사되는 노즐과 니들 등의 부품에 대한 내마모성을 개선함으로써,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고 수명이 연장되는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은, 스프레이재 탱크로부터 압송된 스프레이재가 도입되는 스프레이재 공급관; 상기 도입된 스프레이재가 외부로 분사되는 스프레이재 노즐; 상기 스프레이재와 혼합되어 분사될 에어가 도입되는 에어 공급관; 상기 도입된 에어가 외부로 분사되는 에어 노즐; 상기 스프레이재 공급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을 개폐하는 니들; 상기 스프레이재의 분사후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의 청소를 위해 상기 니들을 스프레이재 노즐에 대해 후퇴 전진시키는 액튜에이터;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스프레이재를 분쇄시키면서 상기 노즐들 외부에서 분무를 형성하도록, 상기 에어 노즐이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의 전방을 향해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공급관에 대한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에어 레귤레이터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이 더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재 공급관에는 스프레이재의 일부를 상기 스프레이재 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라인이 연결된 구성이 더 개시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 및 상기 니들을 구성하는 소재는 텅스텐카바이드 또는 세라믹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프레이 건은 바디(10)와 이 바디(10)의 선단부위에 결합된 캡(20)을 본체로 하고 있으며, 스프레이 건을 통해 분사하고자 하는 각종 도료나 약제 및 코팅제 또는 부정형 내화재 등의 스프레이재를 공급하기 위한 스프레이재 탱크(30)와 펌프(40) 등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스프레이재 탱크(30)로부터 펌프(40)에 의해 압송된 스프레이재가 도입되는 스프레이재 공급관(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스프레이재 공급관(11)의 최선단에는 도입된 스프레이재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스프레이재 노즐(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레이재 공급관(11) 내에는 스프레이재 노즐(12)을 개폐하는 니들(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바디(10)에는 스프레이재 노즐(12)을 통해 분사되는 스프레이재와 혼합되어 스프레이재의 분사량과 분사각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가 도입되는 에어 공급관(14)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캡(20)은 캡 너트(21)에 의하여 바디(10)의 선단에 조립되는데, 상기 에어 공급관(14)과 연통되어 에어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에어 노즐(22)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이 에어 노즐(22)은 스프레이 노즐(12)의 전방을 향해 약간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에어 노즐(22)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스프레이재 노즐(12)을 통해 분사되는 스프레이재를 분쇄시키면서 노즐(12,22)들 외부에서 분무를 형성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에어 공급관(14)에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에어 레귤레이터(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에어 레귤레이터(50)에 의해 조절되어 에어 노즐(22)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의 공급량에 따라 스프레이재가 분사되는 양과 분사각도가 조절된다. 즉, 에어의 공급량은 에어의 분사속도에 좌우되므로, 에어의 공급량이 많을수록 에어의 분사속도가 증가하는데, 에어의 분사속도가 빠를수록 스프레이재 노즐(12)로부터 빨려나오는 스프레이재의 분사량과 분사각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프레이재의 분사후에 스프레이재 노즐(12) 입구에 잔류하는 스프레이재를 밀어내어 청소되도록 하기 위해 니들(13)을 스프레이재 노즐(1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일정 시간 왕복 운동시키는 액튜에이터(15)가 바디(10) 내에 설치된다. 이 액튜에이터(15)는 공지된 솔레노이드 또는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그 작동은 소정의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특히, 제어부(60)는 타이머를 내장함으로써 분사 작업 종료후 일정 시간 동안 니들(13)이 왕복 운동하도록 하며, 니들(13)의 왕복운동이 최고 분당 180회 정도의 속도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전술한 펌프(40)와 에어 레귤레이터(50)의 제어도 겸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스프레이재 공급관(11)에는 스프레이재의 일부를 스프레이재 탱크(30)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라인(7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스프레이재 공급관(11)에 공급되는 스프레이재의 분사 유압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에 스프레이재의 일부가 스프레이재 탱크(30)로 리턴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레이 건의 이상 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스프레이재의 분사후 스프레이재 공급관(11) 내부에 남은 스프레이재가 리턴 라인(70)을 통해 스프레이재 탱크(30)로 보내어짐에 따라 스프레이재 공급관(11)에 적체되는 스프레이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스프레이재가 세라믹이나 내화물 등일 경우에, 스프레이재 노즐(12)과 니들(13)의 마모가 심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스프레이재 노즐(12) 및 니들(13)을 구성하는 소재를 텅스텐카바이드 또는 세라믹스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세라믹스는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스로서, 고속도강이나 초경합금 등을 대신하여 세라믹스 공구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다음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60)의 제어하에 스프레이재 탱크(30)로부터 펌핑되는 스프레이재는 스프레이재 공급관(11)을 통해 스프레이 건의 바디(10) 내로 압송되고, 스프레이재 노즐(12)을 통해 분사된다. 이 때, 에어 공급관(14)을 통해 외부의 에어가 바디(10) 내로 공급되어 에어 노즐(22)로 분사됨에 따라 스프레이재 노즐(12)을 통해 분사되는 스프레이재를 분쇄시키면서 노즐(12,22)들의 외부에서 분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스프레이 건에서는 스프레이재와 에어가 스프레이 건의 외부에서 혼합되는 외부혼합형 구조로 개시되므로, 스프레이재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특히 점도가 높은 스프레이재(예를 들면, 접착제, 우지, 시럽, 세라믹, 부정형 내화물 등)의 분사에 매우 적합하다. 한편, 에어 레귤레이터(50)에 의해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면 에어의 분사속도가 변화하는데, 이에 따라서 스프레이재 노즐(12)로부터 빨려나오는 스프레이재의 분사량과 분사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레이재의 분사가 종료된 다음에는, 액튜에이터(15)가 작동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스프레이재 공급관(11)과 스프레이재 노즐(12)에 삽입되어 있는 니들(13)이 일정 시간 동안 후퇴 전진의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스프레이재 노즐(12)의 입구에 잔류하는 스프레이재가 외부로 밀려서 제거됨으로써 스프레이재 노즐(12)이 막힐 염려가 전혀 없으며, 차후에 연속하여 작업이 속개될 수가 있다.
한편, 스프레이 건의 내부, 즉 스프레이재 공급관(11) 내에 잔류하는 스프레이재는 리턴 라인(70)을 통해 스프레이재 탱크(30)로 복귀하게 되므로, 스프레이재가 스프레이재 공급관(11) 내에 침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리터 라인(70)은 분사 작업시 과도한 분사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일부 스프레이재가 스프레이재 탱크(30)로 복귀하는 경로가 됨으로써, 스프레이 건의 이상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 본 고안에서는 스프레이재 노즐(12)과 니들(13)을 구성하는 소재로서 텅스텐카바이드 또는 세라믹스와 같이 내마모성이 큰 재료가 적용됨으로써, 세라믹이나 내화물이 스프레이재로 적용되는 경우에, 스프레이재 노즐(12)과 니들(13)의 이상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은, 스프레이 작업후 노즐에 잔류하는 스프레이재를 니들의 후퇴 전진 작동에 의해 자동 청소하게 되므로 고점도 유체의 적용시에 발생하던 노즐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스프레이 작업의 연속성과 스프레이 결과의 우수성을 보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은, 스프레이재와 에어가 외부에서 혼합되는 외부혼합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스프레이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특히 고점도의 스프레이재를 적용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은 스프레이재 리턴 라인을 구비한 구조를 개시함으로써, 스프레이 건 내부에 스프레이재가 침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스프레이 건의 성능 보전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은, 스프레이재가 분사되는 노즐과 니들의 소재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텅스텐카바이드 또는 세라믹스가 적용됨으로써, 해당 부품에 대한 내마모성이 개선되어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고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 스프레이 건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건에 대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11 : 스프레이재 공급관
12 : 스프레이재 노즐 13 : 니들
14 : 에어 공급관 15 : 액튜에이터
20 : 캡 21 : 캡 너트
22 : 에어 노즐 30 : 스프레이재 탱크
40 : 펌프 50 : 에어 레귤레이터
60 : 제어부

Claims (6)

  1. 스프레이재 탱크로부터 압송된 스프레이재가 도입되는 스프레이재 공급관;
    상기 도입된 스프레이재가 외부로 분사되는 스프레이재 노즐;
    상기 스프레이재와 혼합되어 분사될 에어가 도입되는 에어 공급관;
    상기 도입된 에어가 외부로 분사되는 에어 노즐;
    상기 스프레이재 공급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을 개폐하는 니들;
    상기 스프레이재의 분사후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의 청소를 위해 상기 니들을 스프레이재 노즐에 대해 후퇴 전진시키는 액튜에이터;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프레이 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스프레이재를 분쇄시키면서 상기 노즐들 외부에서 분무를 형성하도록, 상기 에어 노즐이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의 전방을 향해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관에 대한 에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에어 레귤레이터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재 공급관에는 스프레이재의 일부를 상기 스프레이재 탱크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라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 및 상기 니들을 구성하는 소재는 텅스텐카바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재 노즐 및 상기 니들을 구성하는 소재는 세라믹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KR20-2005-0006783U 2005-03-14 2005-03-14 스프레이 건 KR200385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783U KR200385780Y1 (ko) 2005-03-14 2005-03-14 스프레이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783U KR200385780Y1 (ko) 2005-03-14 2005-03-14 스프레이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780Y1 true KR200385780Y1 (ko) 2005-06-02

Family

ID=4368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783U KR200385780Y1 (ko) 2005-03-14 2005-03-14 스프레이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78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6992A3 (en) * 2009-11-04 2011-09-22 Graco Minnesota Inc. Integrated valving rod lubrication cartridge
KR101369364B1 (ko) * 2012-01-09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형광체 디스펜서
KR101763819B1 (ko) * 2017-01-25 2017-08-14 주식회사 아이가코리아 화장품 분무기의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30070904A (ko) * 2021-11-15 2023-05-23 라라코리아인터내셔날(주) 분사공 막힘 방지형 미스트 분무기
KR20230070908A (ko) * 2021-11-15 2023-05-23 라라코리아인터내셔날(주) 분무량 조절이 가능한 미스트 분무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6992A3 (en) * 2009-11-04 2011-09-22 Graco Minnesota Inc. Integrated valving rod lubrication cartridge
KR101369364B1 (ko) * 2012-01-09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형광체 디스펜서
KR101763819B1 (ko) * 2017-01-25 2017-08-14 주식회사 아이가코리아 화장품 분무기의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20230070904A (ko) * 2021-11-15 2023-05-23 라라코리아인터내셔날(주) 분사공 막힘 방지형 미스트 분무기
KR20230070908A (ko) * 2021-11-15 2023-05-23 라라코리아인터내셔날(주) 분무량 조절이 가능한 미스트 분무기
KR102569209B1 (ko) 2021-11-15 2023-08-22 라라코리아인터내셔날(주) 분무량 조절이 가능한 미스트 분무기
KR102624077B1 (ko) * 2021-11-15 2024-01-11 라라코리아인터내셔날(주) 분사공 막힘 방지형 미스트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780Y1 (ko) 스프레이 건
US5829679A (en) Plural component airless spray gun with mechanical purge
CN102773182B (zh) 流体喷射装置
KR102329039B1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20070111486A (ko) 점성 액체 분사 시스템, 밸브 및 방법
US20070262173A1 (en) Spray Nozzle
JP2002361122A (ja) エアスプレーガン
JP2530531B2 (ja) 内部混合型塗装用スプレ―ガン
CN101347925B (zh) 水喷射切割装置
JP4104898B2 (ja) 薬液供給システム
JP2823145B2 (ja) 衛生陶器の施釉スプレー装置
KR101307848B1 (ko) 절삭유 분사구조 내장형 홀더
KR100780537B1 (ko) 실러 도포용 스월건 장치
CN111423892A (zh) 炉盖清洗装置及炉盖的清洗方法
JP3193901B2 (ja) エア・エアレスガン
JP3921105B2 (ja) 塗装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塗装装置
KR102218659B1 (ko) 오일 미스트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mql 시스템
KR100889318B1 (ko)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
JPS586521Y2 (ja) 洗浄式塗装ガン
JP2023034035A (ja) 塗装方法
JPH079299A (ja) 切削油剤注液方法
JPH0994493A (ja) 塗装ガン
KR200338929Y1 (ko) 미스트 생성장치
CN115178406A (zh) 喷涂装置
KR200312263Y1 (ko) Cnc 선반용 내장형 냉각수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