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929Y1 - 미스트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미스트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929Y1
KR200338929Y1 KR20-2003-0032489U KR20030032489U KR200338929Y1 KR 200338929 Y1 KR200338929 Y1 KR 200338929Y1 KR 20030032489 U KR20030032489 U KR 20030032489U KR 200338929 Y1 KR200338929 Y1 KR 200338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w path
mist
circumferential surf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묵
박성갑
Original Assignee
김원묵
박성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묵, 박성갑 filed Critical 김원묵
Priority to KR20-2003-0032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2Apparatus for achieving spraying before discharge from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38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 B23Q11/1046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using cutting liqui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e.g. flow rate, quality using a minimal quantity of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oil being fed or carried along by another fluid
    • F16N7/32Mist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스트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통부(52)의 내부에 기단측에서 공급된 오일을 선단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오일유로부(60)를 형성함과 함께, 선단측의 외주면을 그 선단방향으로 향하여 외경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형 둘레면(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통부(52)의 테이퍼형 둘레면(54)을 감싸듯이 외투부(80)를 설치하고 테이퍼형 둘레면(54)과 외투부(80)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80)을 따라 에어유로부(85)를 형성한다. 에어유로부(85)의 기단측에서 공급된 에어를 상기 에어유로부(85)를 따라 내통부(52)의 선단측에 보내는 것과 동시에, 오일유로부(60)에 펄스형으로 오일을 공급하여 미스트를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매우 미세한 입자로부터 미스트가 생성된다.

Description

미스트 생성장치 {Mist forming device}
본 고안은 절단, 천착 등의 절삭 가공시 윤활 및 냉각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절단, 천착 등의 금속 절삭가공에 있어서 가공 능률의 향상이나 공구의 수명연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피가공영역에 윤활 및 냉각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유성 또는 수용성 오일을 드릴이나 탭 등과 같은 가공공구의 근방에 설치된 노즐이나 혹은 그 가공공구 내부에 형성된 오일 홀을 통해 액상 그대로 피가공영역에 공급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오일을 액상 그대로 피가공영역에 공급하는 방법에서는 대량의 오일을 소비하기 때문에 가공원가가 증대되고 자원이 낭비되기도 한다. 또한 주위에 튄 오일에 의해 가공기계의 상태가 좋지 않거나 작업환경의 악화 등을 초래한다. 특히, 최근에 지구적 규모의 환경보전의식이 높아지는 것을 배경으로 ISO 14000이 규격화된 현상에 있어서도 이런 상황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일을 미스트 형태로 생성하고 이것을 피가공영역에 뿜는 방법이 별도로 제안되어 있다.
즉, 이 방법에서는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약 10kgf/㎠의 에어가 공급되는 노즐(200)내에 오일(202)이 연속적으로 방울져 떨어지면서 상기 노즐(200) 내에서 상기 오일(202)이 에어와 혼합되어 노즐 선단부(200a)에서 미스트 상태로 분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에서는 노즐 선단부(200a)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범위 내에서 밖에 미스트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상기 노즐(200)을 가공공구 근처에부착할 필요가 있으며 가공기계의 설계의 자유도가 제약되는 것이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노즐(200)의 선단측에 오일유로 등의 배관을 접속하여 미스트를 노즐(200)에서 멀리 떨어진 피가공영역까지 공급하려고 해도 배관 도중에 오일입자가 서로 충돌하여 결합하므로 미스트 상태가 유지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생성된 미스트를 배관을 통해 먼 곳의 피가공영역까지 공급하는 것을 가능한 미스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생성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생성장치의 내통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생성장치의 외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생성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생성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공급장치의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생성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미스트 공급장치 4 : 탱크
6 : 미스트배관 10 : 펌프
12 : 흡입관 14 : 필터
16 : 오일배관 18a,18b,18c : 에어배관
20 : 조정밸브부분 30 : 압력조정부분
40 : 패널 42 : 스트로크조정다이얼
44 : 펄스수조정다이얼 46 : 압력계
48 : 압력조정다이얼 50 : 미스트 생성장치
52 : 내통부 54 : 테이퍼형 둘레면
56 : 동부 58 : 주돌부
60 : 오일유로부 62 : 소경부
64 : 중경부 66 : 대경부
68,81,90 : 연결부 80 : 외투부
82 : 분출실부 84 : 테이퍼수용부
85 : 에어유로부 86 : 수용동부
87 : 에어도입공간부 88 : 수용돌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미스트 생성장치는 내부에 기단측에서 공급된 오일을 선단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오일유로부가 형성되며, 선단측의 외주면이 그 선단방향을 향해 외경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형 둘레면으로 이루어지는 내통부를 가지며;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을 둘러싸듯이 외투부가 설치되어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과 외투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을 따라 에어유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로부의 기단측에서 공급된 에어를 에어유로부를 따라 내통부의 선단측으로 보냄과 동시에 상기 오일유로부에 펄스형으로 오일을 공급하여 미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유로부에는 에어가 2.5-10kgf/㎠의 압력으로 공급되고 상기오일유로부에는 오일이 0-20kgf/㎠의 압력과 매분 3-50cc의 유량으로 펄스형으로 공급되며, 테이퍼형 둘레면의 경사각도가 10-12도로 설정되며, 내통부의 오일유로부의 개구 단부에 있어서 통의 두툼한 부분의 치수가 상기 오일유로부의 선단부의 내경과 같이 형성되면서 오일유로부의 선단부의 내경치수는 1-2㎜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미스트 생성장치에 대해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미스트 생성장치(50)는 도 1에는 없고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부의 기단측에서 공급된 오일을 선단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오일유로부(60)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선단측의 외주면이 그 선단방향을 향해 외경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형 둘레면(54)으로 형성되는 내통부(52)를 가지며, 상기 내통부(52)에는 대강의 통 형상의 외투부(80)가 외부로 끼워지며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54)과 외투부(8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54)을 따라 에어유로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부(52)의 오일유로부(60)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소경부(62), 중경부(64) 및 대경부(66)가 형성되어 그 선단측에서 기단측의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그 기단측에는 외부에서 오일을 공급하기 오일배관(16)(도 1에는 없고 도 3에서는 도시생략) 접속용의 연결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오일유로부(60)의 내경을 그 기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하는 것은, 후에 언급하겠지만 미스트 생성의 조건으로서 그 선단측에서 필요한 소경을 확보함과 동시에 오일의 공급량에 대해 적절한 오일유로부(60)의 내부용량(후에 언급한다)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내통부(52) 선단면의 외경치수는 상기 소경부(62) 내경치수의 3배, 즉, 소경부(62) 내경 치수와 같고 내통부(52)의 통의 두툼한 부분의 치수로 되게 된다.
그리고 내통부(52) 외주면의 소경부(62) 및 중경부(64)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그 기단측을 향하게 하고 외경치수가 점차 커지게 되는 테이퍼형 둘레면(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54) 기단측의 최대 외경부분에서 기단측의 대경부(66)와 대응하는 영역에 동부(56)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상기 동부(56) 기단측의 연결부(68)와 대응하는 영역에 후에 언급할 외투부(80)와 밀착형으로 끼워 넣어지는 주돌부(5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투부(80)는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선단측에서 순서대로 분출실부(82), 테이퍼수용부(84), 수용동부(86) 및 수용돌부(88)를 가지게 된다.
상기 분출실부(82)는 내통부(52)의 선단측 영역에 배치되며 그 내부 영역에는 미스트가 생성된다. 또한 그 선단측에는 생성된 미스트를 외부의 공구에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배관(6) 접속용의 연결부(81)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테이퍼수용부(84)는 테이퍼형 둘레면(54)과 대응하는 영역에 배설되어 테이퍼형 둘레면(54)을 그 둘레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덮고 있으며,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54)과 테이퍼수용부(8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폭의 에어유로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수용부(84)의 기단측의 최대외경부분에서 동부(56)와 대응하는 영역에 수용동부(86)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수용동부(86)는 동부(56)를 그 둘레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덮고 있으며, 상기 동부(56)의 외주면과 수용동부(86)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 폭의 에어도입공간부(87)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그 상부에 에어공급용의 배관(도시생략)이 연결된 연결부(90)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수용동부(86)의 기단측의 주돌부(58)와 대응하는 영역에 수용돌부(88)가 설치되는데, 상기 수용돌부(88)에 주돌부(58)가 밀착형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에어유로부(85) 및 에어도입공간부(87)가 기단측을 봉지하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미스트 생성장치(50)에 따른 미스트 생성방법 및 그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에어유로부(85)의 기단측의 연결부(90)에서 소정 압력의 에어를 도입함과 함께, 오일유로부(60)의 기단측의 연결부(68)에서 오일을 단속적으로, 곧 펼스형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오일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사이에는 에어유로부(85)를 따라 흐르는 에어에 의해 내통부(52) 선단측의 상기 에어유로부(85)의 연장상에 고속의 에어유로 G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로 G의 내측에는 테이퍼형 둘레면(54)에서 그 선단측으로 연장된 원추형 둘레면으로 둘러싸인 대강의 원추형의 공간 V이 형성되며, 상기 유로 G를 흐르는 고속의 에어는 이 공간 V내의 기체를 끌어올리면서 선단 방향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공간 V에서 고속에어에 의해 유로 G 측으로 기체가 휩쓸려 들어가면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공간 V 내에 회전속도의 빠른 와류가 형성되고, 동시에 그 공간 V의 기단측의 오일유로부(60)로부터는 오일의 공급이 정지된 상태이므로 극히 진공상태에 가까운 저압상태가 된다.
이때 공간 V에서는 그 원추형 표면을 따라 진공도가 높아지지만 이러한 진공도가 높은 부분이 오일유로부(60)내에도 형성되게 되면 후에 언급하겠지만 오일유로부(60)에 오일이 흡입되기 힘들게 되기 때문에, 본 장치에서는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 내통부(52) 선단에 있어서 관벽의 두께를 소경부(62)의 내경 치수와 같게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일유로부(60)에 오일이 공급되면 소용돌이치는 공간 V의 부압에 의해 오일유로부(60) 내의 오일이 빨려 들어가서 그 선단측의 분출실부(82) 내로 분출되게 된다.
그리고 오일의 공급이 다시 정지되면 재차 오일유로부(60)의 개구부의 선단측에 저압의 공간 V가 형성되어 상기의 동작이 반복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미스트 생성장치(50)에 의하면 흐름이 빠른 소용돌이치는 저압의 공간 V에 의해 오일유로부(60) 내에서 오일을 흡인하여 분출실부(82) 내로 분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매우 미세한 오일입자로 구성된 미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미스트는 비록 배관 안을 통과한다 하더라도 입자들이 충돌하여 결합하는 일은 거의 없고, 생성된 미스트를 미스트배관(6)을 통하여 미스트 생성장치(50)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매우 미세한 오일입자로부터 형성되는 미스트를 피가공영역에 뿜어낸 경우, 큰 입자로 된 미스트를 뿜어낸 경우와 비교해서 피가공물에 대한 부착성이 좋아지고 공구와 피가공물 사이의 윤활 성능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미세한 입자의 미스트가 피가공영역에서 쉽게 기화하여 냉각성능도 뛰어나게 된다.
이러한 미스트 생성장치(50)에 있어서 미세한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결부(90)에서 공급된 에어의 압력은 2.5-10kgf/㎠ 이내가 적절하다. 이것은 압력이 2.5kgf/㎠ 보다 작으면 생성된 미스트를 미스트배관(6)을 통해 원거리까지 보낼 수 없기 때문이고, 또한 압력이 10kgf/㎠ 보다 커지면 생성된 미스트가 미스트배관(6)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서로 충돌한 후 결합하여 미스트 상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미스트 생성장치(50)가 통상 사용되는 공장 내에 배관되어 있는 에어의 압력은 7kgf/㎠ 이하이므로 기존의 공장의 에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오일유로부(60)에서 공급되는 오일은 0-20kgf/㎠의 압력으로 매분 3-30cc의 유량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소경부(62), 중경부(64), 대경부(66) 및 연결부(68)를 포함하는 오일유로부(60)와 상기 오일유로부(60)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10)에서의 오일배관(16)과의 총용량은, 1회의 펄스에서 공급된 오일의 양과 거의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1회의 펄스에서 공급된 오일이 오일유로부(60) 내를 채우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일유로부(60)의 중심축 X에 대한 테이퍼형 둘레면(54)의 경사각은 10~12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테이퍼형 둘레면(54)의 연장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V가 상기 오일유로부(60)에서 오일을 흡인하기 위해 필요한 체적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과 관련된 미스트 생성장치(50)를 갖춘 미스트 공급장치(2)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미스트 공급장치(2)는 탱크(4)내에 저장된 수용성 오일을 펌프(10)에 의해 빨아올려서 미스트 생성장치(50)에 공급하는 것과 함께, 외부에서 공급된 소정 압력의 에어를 조정밸브부분(20) 및 압력조정부분(30)을 통하여 미스트 생성장치(5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펌프(10)에서 탱크(4) 아래쪽으로 향하여 개구단에 필터(14)를 갖춘 흡입관(12)이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12)을 통해 빨아올려진 탱크(4) 내의 수용성 오일은, 오일배관(16)을 통해 미스트 생성장치(50)의 후단측에 공급된다.
이러한 펌프(10)는 빨아올린 수용성 오일을 펄스형으로 미스트 생성장치(5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그러한 1분간의 펄스와 1회의 펄스의 공급량인 스트로크량을 미스트 공급장치(2)의 전면 패널에 설치된 스트로크조정다이얼(42) 및 펄스수 조정다이얼(44)에 의해 각각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배관(18a)을 통하여 미스트 공급장치(2) 내에 공급된 공장에어 등의 에어는 우선 조정밸브부분(20) 내로 들여 보내진다. 이 조정밸브부분(20)으로는 펌프(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자변이 사용되고, 펌프(10)에 의해 수용성 오일을 패널형으로 공급하고 있는 동안에만 전자밸브를 열린 상태로 해서 에어 공급이 행해질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에어는 이 조정밸브부분(20)에서 에어배관(18b)을 통하여 압력조정부분(30)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측정된 에어압력이 패널(40)에 설치된 압력계(46)에 의해 표시되는 것과 함께, 상기 패널(40)의 압력조정다이얼(48)에 의해 그 에어압력이 조정되어 에어배관(18c)를 통해 미스트 생성장치(5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수용성 오일 및 에어가 미스트 생성장치(50)에 공급되면, 이미 언급한 것처럼 미스트 생성장치(50)에서 수용성 오일이 미스트 상태로 생성되어 미스트 배관(6)을 통해 외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미스트 배관(6)은 도 8 또는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천착 등의 가공장치(180a)(180b)에 설치된 급유구(182a)(182b)로 연결되어 상기 급유구(182a) (182b)에서 가공장치(180a)(180b) 내부의 배관(184a)(184b)을 지나 드릴(188b) 내부의 오일유로(188a)로 공급되며, 상기 드릴(188b)의 선단부와 피가공물 간의 피가공영역을 향해 뿜어내어지거나(도3 참조), 또는 드릴(188b) 주위에 설치된 노즐 (190b)에 의해 드릴(188b)끝의 피가공영역으로 뿜어내어진다.
또한 가공장치가 드릴과 같은 천착용 가공장치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탭이나 다이스가공, 절단가공 등 다른 가공장치의 경우에도 똑같이 수용성 오일이 그 가공장치내의 배관을 통해 가공공구 근처에 설치된 노즐에 의해 피가공영역으로 뿜어내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미스트 생성장치(50)는 도 1에는 없고 도 3에 설명한 것으로서, 각부의 바람직한 치수는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내통부(52)에 있어서, 소경부(62)의 X축을 따른 길이는 8mm, 그 직경은 1mm, 중경부(64)의 길이는 9mm, 그 직경은 1.5mm, 대경부(66)의 길이는 16mm, 그 직경은 5mm, 또한 주돌부(58)의 길이는 10mm이고 그 내주면에는 오일배관(16)을 나사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나사 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유로부(85)의 직경방향의 폭은 약 3mm로 설정되게 된다.
또한 테이퍼형 둘레면(54)의 X축 방향으로 대한 경사각도 θ는 10도로 설정되고 그 X축 방향에 따른 길이는 20mm로 설정되며, 그 선단측의 최소경부(62)의 외경치수는 3mm로 설정되는 것과 함께 기단측의 최대경부(66)의 외경치수는 10mm로 설정되게 된다.
한편, 외투부(80)는 그 전체길이(연결부(81)를 제외하고 분출실부(82)의 선단에서 수용돌부(88)의 기단측까지)가 80mm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분출실부(82)의 외경치수는 8mm, 수용동부(86)의 외경치수는 16mm로 설정되는 것과 함께, 그 X축 방향에 따른 길이는 13mm로 설정되며 수용돌부(88)의 길이는 10mm로 설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미스트 생성장치(50)에 의하면 에어압력 3kgf/㎠, 수용성 오일을 압력 10kgf/㎠, 매분 5cc의 유량으로 매분 150펄스의 조건에서 미스트를 생성시키면 30m의 배관을 통해 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미스트 공급장치(2)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를 피가공영역에 뿜어내서 바이트 가공을 한 경우와 유성오일을 피가공영역에 액체 그대로 흘려보내 바이트 가공을 한 경우와의 비교결과는 아래와 같다.
각 경우의 조건은 가공공구의 절삭이송을 0.3mm/r, 주속을 150m/min으로 하고 0.3mm의 끝손질가공을 한 경우에, 미스트 공급장치(2)에서 에어압력을 3kgf/㎠, 오일을 매분 5cc의 유량으로 공급하고, 또한 오일로서 수용성 오일(마이티미스트(상품명), 마이티과학기술주식회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성오일을 액체 그대로 흘러내린 경우에는 달아나는 면의 마모가 0.827mm 생긴 것에 비하여, 본 미스트 공급장치(2)에 의해 생성된 미스트를 뿜어낸 경우에는 달아나는 면 마모가 0.131mm가 되어 유성오일을 흘려 보낸 경우보다도 마모가 적었다.
또한 오일을 미스트 상태로 해서 피가공영역에 뿜어내므로 종래의 오일을 흘려보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오일의 소비량을 비약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ISO 14000의 인정취득도 가능하게 되며 환경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미스트 생성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기단측에서 공급된 오일을 선단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오일유로부가 형성됨과 함께, 선단측의 외주면이 그 선단 방향을 향하여 외경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형 둘레면으로 이루어진 내통부를 가지며,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을 감싸듯이 외투부가 설치되며,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과 외투부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을 따라 에어유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로부의 기단측에서 공급된 에어를 에어유로부를 따라 상기 내통부 선단측에 보내는 것과 동시에, 상기 오일유로부에 펄스형으로 오일을 공급해서 미스트를 생성하므로, 오일유로부를 따라 내통부의 선단측에 공급된 고속에어에 의해 에어유로부의 개구부 끝 부분의 에어가 흡입되어 그곳에 소용돌이치는 저압의 부분이 형성된다. 이 와류의 저압부분에 의해 오일유로부의 오일이 흡인되어 미스트가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매우 미세한 입자의 미스트가 생성되고 이러한 미스트는 미스트배관을 통해 멀리 떨어진 곳의 피가공영역까지 공급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

  1. 내부에 기단측에서 공급된 오일을 선단측으로 토출하기 위한 오일유로부(60)가 형성되며, 선단측의 외주면이 그 선단방향을 향해 외경치수가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형 둘레면(54)으로 이루어지는 내통부(52)를 가지며;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54)을 둘러싸듯이 외투부(80)가 설치되어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54)과 외투부(8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테이퍼형 둘레면(54)을 따라 에어유로부(85)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로부(85)의 기단측에서 공급된 에어를 에어유로부(85)를 따라 내통부(52)의 선단측으로 보냄과 동시에 상기 오일유로부(60)에 펄스형으로 오일을 공급하여 미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로부(85)에는 에어가 2.5-10kgf/㎠의 압력으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유로부(60)에는 오일이 0-20kgf/㎠의 압력과 매분 3-50cc의 유량으로 펄스형으로 공급되며, 테이퍼형 둘레면(54)의 경사각도가 10-12도로 설정되며, 내통부(52)의 오일유로부(60)의 개구 단부에 있어서 통의 두툼한 부분의 치수가 상기 오일유로부(60)의 선단부의 내경과 같이 형성되면서 오일유로부(60)의 선단부의 내경치수는 1-2㎜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트 생성장치.
KR20-2003-0032489U 2003-10-16 2003-10-16 미스트 생성장치 KR200338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89U KR200338929Y1 (ko) 2003-10-16 2003-10-16 미스트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89U KR200338929Y1 (ko) 2003-10-16 2003-10-16 미스트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929Y1 true KR200338929Y1 (ko) 2004-01-16

Family

ID=4934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89U KR200338929Y1 (ko) 2003-10-16 2003-10-16 미스트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9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944B1 (ko) 액체도포장치
KR100282206B1 (ko) 블라스트 가공 방법 및 장치
JP4017522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方法
JP2001150294A (ja) 油膜付水滴生成混合器
KR100879504B1 (ko) 유체 분사노즐
KR20140112416A (ko) 습식 블라스트용 분사 건
JP2021525645A (ja)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水ノズルインサートおよびアウトレット
JP4986352B2 (ja) オイルミスト供給システム
KR200338929Y1 (ko) 미스트 생성장치
EP2006597B1 (en) Mist feeder
JP3148646B2 (ja) 塗付材料循環供給型スプレーガン
JP4545040B2 (ja) ブラストノズル及びこれを備えたブラストガン
KR100843390B1 (ko) 워터젯 커팅장치
JPH11319636A (ja) スプレーノズル
JP3038778U (ja) ミスト生成装置
JPH10235507A (ja) 穴あけ加工方法及び穴あけ加工装置
JP4303936B2 (ja) 噴霧装置
JP2004276230A (ja) ミスト生成装置
JP2007130514A (ja) 液体噴霧装置
CN111828820A (zh) 气/油雾发生器
JP2000033326A (ja) ミスト塗布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切削加工装置
JP5035498B2 (ja) ミスト噴射ノズル
JP2788065B2 (ja) 液体ジェット加工用ノズル装置
JP4619009B2 (ja) オイルミスト生成装置
JP6027598B2 (ja) ミスト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