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843A - 내자외선 투명 적층체 - Google Patents

내자외선 투명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843A
KR20130080843A KR1020137008440A KR20137008440A KR20130080843A KR 20130080843 A KR20130080843 A KR 20130080843A KR 1020137008440 A KR1020137008440 A KR 1020137008440A KR 20137008440 A KR20137008440 A KR 20137008440A KR 20130080843 A KR20130080843 A KR 20130080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fluoropolymer
moiety
layer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이스 씨. 홍
프랭크 제이. 칠러그
Original Assignee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8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J201/02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J201/04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1Flexible packaging means, e.g. permeable membranes,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다층 구조체는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및 제3층을 포함하며, 상기 플루오로 접착재층은 제1층과 제3층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접착재층은 UV 방사선 흡수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자외선 투명 적층체{UV RESISTANT CLEAR LAMINATES}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1년 8월 18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번호 제13/212,32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35 U.S.C. § 119(e) 하에 2010년 9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출원 시리얼 번호 제61/381,574호의 이점을 또한 주장하는 바이며, 이들의 내용을 그 전체로 본원에 참조로 통합하였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다층 구조체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전자 소자 및 광기전 소자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비용의 증가와 탄화수소 연료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면서, 산업계는 태양 에너지와 같은 대체 에너지원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특히, 산업계는 태양광선을 전류로 전환시키는 광기전 소자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광기전 소자는 저렴한 향후 운영비를 대표하는 소자이지만, 광기전 소자의 설치 비용의 대부분이 선불 장비 비용이다. 이와 같이, 광기전 소자의 경제적 성공가능성은 장비 비용과 내구성에 크게 의존한다.
사용되는 동안, 광기전 소자는 자외선에 노출된다. 광기전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캡슐화제 및 기타 중합체막을 광기전 소자의 표면 위에 배치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캡슐화제 및 기타 중합체막 자체가 자외선에 약하고, 시간이 지나면 열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열화현상은 캡슐화제 및 중합체막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광기전 소자에 손상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거나, 보호막의 열화로 인해 소자의 작동 유용성이 낮아진다.
내구성에 대한 우려는 다른 에너지원을 상대로 한 광기전 시스템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친다. 태양 에너지 해결책의 낮은 환경적 영향이 갖는 매력에도 불구하고, 광기전 소자는 기존의 그리드(계통) 가격으로 전기를 제공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내구성 감소는 기존의 광기전 소자의 작동을 크게 저해시킨다.
따라서, 개선된 광기전 소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막과 같은 다층 구조체(다층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다층 구조체는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상기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또는 제3층 위에 배치되는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및 상기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상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하부에 배치되는 제3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및 상기 제1층 상부에 배치되는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은 외부 조건에 반응하여 가교반응, 축합반응, 또는 기타 반응들이 일어나도록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은 "반응성"은 결합층으로 간주될 수 있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층은 가교제와 같은 첨가제와 반응할 수 있거나, 또는 접착재 자체 내부의 관능성 모이어티들과 반응할 수 있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은 중합체의 화학적/물리적 성질로 인해 본성적으로 자외선에 내성을 띤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층의 한 가지 장점은 자외선 내성을 얻기 위해 접착재에 자외선 흡수 재료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과 접촉층 사이의 계면은 자외선 흡수 첨가제를 함유하는 접착재보다 우수하여, 재료의 접착성을 낮출 수 있다. 그 밖에도, 자외선 내성 측면에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자외선 흡수 재료가 첨가되어 성질면에서 더 불균질할 수 있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다층막 전체에 걸쳐 더 균일한 자외선 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통 플루오로중합체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HTE);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제3층은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에 접착될 수 있는 모든 재료일 수 있다.
당업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많은 특징과 장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플루오로중합체층,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및 제3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에 대한 도면이다.
서로 다른 도면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항목을 가리킨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10)는 플루오로중합체층(20),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 및 보호층(40)과 같은 제3층을 포함한다.
"다층 구조체"란 용어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보통 다층 구조체는 다층막보다 두껍다. 다층막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1 mils 내지 약 30 mils 범위이다. 구조체의 두께는 폭넓게 다양할 수 있으며, 제3층인 보호층(40)의 두께는 약0.5 mils 내지 약 100 mils일 수 있으며 심지어 더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중합체층(20) 및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을 벽돌 위에 적용함으로써 다층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다층막" 및 용어 "다층 구조체"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 구별없이 공용되며, 제한적이지 않다.
일 구현예에서, 다층 구조체(10)는 다층막이다. 다층 구조체(10)는 플루오로중합체층(20) 및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을 포함한다. 그런 후에는 이 구조체를 나중에 제3층 또는 기재(substrate) 위에 도포시킬 수 있다. 적합한 제3층/기재를 본원에 제공하였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다층 구조체(10)는 또한 다층막이다. 다층막(10)은 또한 광기전 소자를 위한 베리어층(장벽층) 또는 보호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층막(10)은 또한 실외 환경에서 내구적 투명 보호가 요구되는 모든 물품에 대한 베리어층 또는 보호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으로는 실외 신호체재, 차양, 지붕, 실외 전자 소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막의 한 가지 장점은 가시광선이 막을 투과할 수 있으면서, 추가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필요 없이 플루오로중합체층(20) 및/또는 층(40) 사이에 접착성 결합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대안적 구현예에 의하면, 자외선 흡수제를 접착재층에 첨가시켜 하부에 있는 층(들)을 보호할 수 있다. 층(40)이 플루오로중합체와 같이 본성적으로 자외선 내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듀퐁 Teijin XST6638 또는 X6641 PET막과 같이 자외선 첨가제가 미리 함유되어 있을 때에는, 접착재층에 자외선 흡수제가 필요없게 된다. 이론으로 제한받고자 함은 아니지만, 본성적으로 자외선에 내성을 나타내는(첨가제로서 자외선 흡수재를 요구하지 않는)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재료를 사용하면 다양한 층들 사이의 접착성 향상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플루오로중합체층(20)의 두께는 0.5 mils 내지 20 mils 범위이다. 예를 들면, 층(20)의 두께는 0.5 mils 내지 10 mils 범위, 이를테면 0.5 mils 내지5 mils, 또는 심지어 0.5 mils 내지 2 mils 범위일 수 있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층(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중간에 개재되는 층들 없이 층(20)과 직접 접촉된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의 두께는 0.2 mils 내지 10 mils 범위, 이를테면 0.2 mils 내지5 mils 범위, 0.2 mils 내지 2 mils 범위, 이를테면 0.2 mils 내지 1.5 mils 범위, 또는 0.5 mils 내지 1.0 mils 범위일 수 있다. 대안으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의 두께는 2 mils 내지 10 mils 범위일 수 있다.
태양광선 및 기타 인공조명에 노출되면 다층막과 같은 플라스틱 제품의 유효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UV 방사선은 중합체 내의 화학결합을 분해할 수 있다. 이 과정은 광분해현상으로 불리며, 궁극적으로 크래킹, 쵸팅, 변색 및 물리적 특성의 손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이 있기까지는, 자외선의 악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태양광선으로의 노출과 관련된 상기 분해현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 안정화제를 재료에 첨가하여왔다. 자외선 안정화제는 두 가지 일반 범주로 분류된다 - 자외선 흡수제(UVA) 및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HALS).
자외선 흡수제는 해로운 UV 방사선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여 이를 열에너지로서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흔히 이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벤족사지논을 기재로 한다.
본 발명의 다층막은 코팅법 또는 적층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다층막은 플루오로중합체,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 및 제3층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다층막은 광기전 소자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막은 2개의 재료층 내지 12개의 재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다층막은 제1층 및 제2층 등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그 밖에도, 가령 제1층, 제2층, 상기 제1및 제2층들과 상이한 제3층,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층들과 상이한 제4층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층들의 조합체가 본원에 포함된다. 거듭 말하지만, 이러한 적층은 고려 대상인 응용분야에서 요구되는 대로 반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의하면, 플루오로중합체 및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로 된 2층 구조체를 봉지와 같은 비닐 주머니 안에 진공밀봉하여, 막이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런 후에는 상기 구조체를 제3층 또는 기재에 도포시키고, 대기 중 수분에 노출시킴으로써 제3층 또는 기재에 접착시킬 수 있다.
중합체 등급들 중에서, 플루오로중합체는 높은 투명도, 양호한 유전강도, 높은 순도, 화학적 비활성, 낮은 마찰계수, 높은 열안정성, 탁월한 내후성, 및 자외선 내성과 같은 월등한 범위의 특성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일무이한 재료이다. 플루오로중합체는 종종 상기 특성들의 조합이 요구되는 고성능 응용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다층 구조체(20)의 제1층은 일반적으로 플루오로중합체이다. "플루오로중합체"란 표현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예컨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FEP(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비닐 플루오라이드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및/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즉, VDF)와, 1종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이를테면 알켄(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 1-옥텐), 클로로알켄(예컨대, 염화비닐 및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플루오로알켄(예컨대,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3-클로로펜타플루오로프로펜, 디클로로디플루오로에틸렌, 및 1,1,-디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로알켄(예컨대,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즉, TFE), 1-하이드로펜타플루오로프로펜, 2-하이드로펜타플루오로프로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즉, HFP), 및 비닐 플루오라이드), 퍼플루오로알콕시알킬 비닐 에테르(예컨대, CF3OCF2CF2CF2OCF=CF2); 퍼플루오로 알킬비닐에테르(예컨대, CF3OCF=CF2 및 CF3C2CF2OCF=CF2)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플루오로중합체가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공중합체(예컨대, "THV" 란 상표로 다이네온, LLC가 시판 중인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기타 용융-가공처리가능한 플루오로플라스틱의 경우에서와 같이 용융-가공처리될 수 있거나, 플루오로중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TFE 및 하한레벨 불소화 비닐 에테르의 공중합체, 및 경화된 플루오로엘라스토머의 경우에서와 같이 용융-가공처리가 불가능할 수 있다.
유용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HFP 및 VDF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있다.
유용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또한 다이네온 LLC사에서 입수가능한 공중합체와 같은, HFP, TFE 및 VDF의 공중합체(즉, THV)가 있다.
기타 유용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역시 다이네온 LLC사에서 입수가능한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TFE 및 HFP의 공중합체가 있다.
추가의 시판 중인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함유 플루오로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KYNAR"(예컨대, "KYNAR 740") 상표로 아르끄마사가 시판 중인 플루오로중합체; "HYLAR"(예컨대, "HYLAR 700") 상표로 솔베이 솔렉시스사가 시판 중인 플루오로중합체; 및 "FLUOREL"(예컨대, "FLUOREL FC-2178") 상표로 다이네온, LLC사가 시판 중인 플루오로중합체가 있다.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한 유용하다. 이러한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KYNARFLEX(예컨대, KYNARFLEX 2800 또는 KYNARFLEX 2550) 상표로 아르끄마사가 시판 중인 공중합체가 있다.
시판 중인 비닐 플루오라이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한 E.I. du 듀퐁 Nemours & Company가 "TEDLAR" 상표로 시판 중인 비닐 플루오라이드의 단일중합체가 있다.
유용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또한 듀퐁사, 다이킨사, 다이네온사, 아사히사 및 다른 회사들로부터 입수가능한 에틸렌 및 TFE (즉, "ETFE")의 공중합체가 있다.
그 밖에, 유용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에틸렌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ECTFE)가 있다. 상업용 제품의 예로는 솔베이 솔렉시스사의 Halar 350 및 Halar 500 수지가 있다.
기타 유용한 플루오로중합체로는, 허니웰사의 Aclar와 같은,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실질적인 단일중합체(PCTFE)가 있다.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플루오로중합체층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루오루중합체의 표면에 친수성 관능기들을 부착시켜 습윤상태로 더 쉽게 만들고, 화학결합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플루오로중합체 표면을 관능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플라즈마 식각, 코로나 처리, 화학적 기상증착,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과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플라즈마 식각은 수소, 산소, 아세틸렌, 메탄, 및 이들의 질소, 아르곤 및 헬륨과의 혼합물과 같은 반응성 플라즈마를 포함한다. 코로나 처리는 케톤(예컨대, 아세톤), C1-C4 탄소 사슬 길이 알코올, p-클로로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프로필렌 디아민, 무수 암모니아, 스티렌 설폰산, 사염화탄소, 테트라에틸렌 펜트아민, 사이클로헥실 아민, 테트라 이소프로필 티타네이트, 데실 아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렌 트리아민, 3차 부틸 아민, 에틸렌 디아민,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헥산, 트리에틸 아민, 메틸 알코올, 비닐 아세테이트, 메틸이소프로필 아민, 비닐 부틸 에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비닐 피롤린, 메틸비닐케톤, 크실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반응성 탄화수소 증기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몇몇 기법은 상기 방법들 중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들을 조합하여 이용한다. 예를 들어, 표면 활성화는 여기 가스종의 존재 하에서의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론으로 제한받고자 함은 아니지만, 상기 방법이 개질된 플루오로중합체와 접착층 사이에 강한 중간층 접착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플루오로중합체의 표면을 미국 특허들 제3,030,290호; 제3,255,099호; 제3,274,089호; 제3,274,090호; 제3,274,091호; 제3,275,540호; 제3,284,331호; 제3,291,712호; 제3,296,011호; 제3,391,314호; 제3,397,132호; 제3,485,734호; 제3,507,763호; 제3,676,181호; 제4,549,921호; 및 제 6,726,979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처리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교시내용 전체를 사실상 본원에 참조로 통합하였다.
일 양태에서는, 플루오로중합체 기재의 표면은 전극 영역을 아세톤, C1-C4 탄소 사슬 길이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 에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또는 프로필 아세테이트 증기로 침수시키는 코로나 방전법으로 처리된다.
코로나 방전은 2개의 이격된 전극 사이에 존재하는 기체상 매질의 정전용량 교환(capacitative exchange)에 의해 발생하며, 상기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는 유전체 베리어에 의해 기체상 매질로부터 절연된다. 고전압, 저전류 현상이며, 전압은 통상 킬로볼트 단위로 측정되고, 전류는 통상 밀리암페어 단위로 측정된다. 코로나 방전은 광범위한 압력 및 주파수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로나 방전 작용의 한계치는 0.2 내지 10 대기압 범위의 압력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대기압이 바람직하다. 20 Hz 내지 100 kHz 범위, 구체적으로 500 Hz 이상, 특히 3000 Hz 내지 10 kHz 범위의 주파수가 사용하기에 편리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플루오로중합체의 표면을 플라즈마로 처리한다. 플라즈마는 일반적으로 두 전극 간의 RF(AC) 주파수 또는 DC 방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두 전극 사이의, 반응가스가 충전된 공간에는 기재가 배치된다. 플라즈마는, 상당 비율의 원자 또는 분자가 이온화되어, 반응성 이온, 전자, 라디칼 및 UV 방사선을 생성하는 임의의 가스이다.
본원에 기술되는 다층 구조체에 유용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주쇄 또는 측쇄를 따라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도록 화학적으로 개질된 플루오로중합체이다. 그 밖에도, 기타 화학적 개질법에 의해 일반 유기용매 내에서의 용해성, 및 향상된 가요성과 같은 특성을 가진 플루오로중합체가 제공될 수 있다. 가교성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의 한 예는 다이킨사로부터 입수가능한 Zeffle® 접착재이다. Zeffle® 반응성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가교성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의 다른 예는 아사히 글래스사로부터 입수가능한Lumiflon® 접착재이다. Lumiflon® 알킬 비닐 에테르와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이다. 이러한 개질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니타네이트 및 멜라민과 같은 모든 화학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다. 화학반응 결과로, 탁월한 접착성이 제공되며, 또한 장기 내구성을 위해 접착 불용성을 나타낸다.
일 양태에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이를테면 관능기(하이드록실)-함유 불포화 올레핀, 에테르 모이어티,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실란 모이어티, 인산 모이어티, 설폰산 모이어티 또는 카복실산 모이어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다.
다른 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퍼플루오로우레탄 알키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 실란, 또는 퍼플루오로 에폭사이드, 이를테면, 시토닉스(Cytonix)사가 시판 중인 FLUOROPEL™, FLUOROTHANE™ 또는 FLUOROSYL™이다.
다른 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아미드, 알콕시 실란 또는 포스페이트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이를테면 솔베이 솔렉시스사의 FLUOROLINK™로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은, 관능화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합체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듀퐁사의 TEFLON®로 알려져 있는 비정질 플루오로중합체이다.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에 가교제가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아민, 아미드, 무수물, 페놀,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카복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양자 공여체, 퍼옥사이드, 실란, 금속 이온, 수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일-, 이- 및 다-관능성 작용제가 있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거나 또는 플루오로 접착재 자체 내부에 함유된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다. 상기 반응은 열, 압력, 수분, pH 변화, 자외선, 열개시제(이를테면,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광민감성 개시제, 방사선(이를테면, 감마선 및 전자빔), 산 촉매, 염기 촉매, 금속 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물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 추가의 UV 방사선 흡착제를 함유할 수 있다. 게다가,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선택적으로 광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항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정예에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2 N/cm 이상의 박리강도, 이를테면 2.0 N/cm 이상, 5 N/cm 이상, 10 N/cm 이상, 15 N/cm 이상의 박리강도로 플루오로중합체 층(20)에 결합된다. 유사하게, 접착재층(30)은 비슷한 박리강도로 제3층에 결합된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에 자외선 흡수제를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UV 방사선 흡착제를 0.1 중량% 내지 15 중량% 범위, 이를테면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UV 방사선 흡착제를 5.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UV 방사선 흡착제를 15.0 중량% 넘게 함유하지 않는다.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가령 벤조페논, 이를테면 CYASORB UV-9(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CHIMASSORB 81(또는CYASORB UV 531)(2 하이드록시-4 옥틸옥시벤조페논)이 있다.
TINUVIN P, TINUVIN 234, TINUVIN 326, TINUVIN 328, CYASORB UV 5411 및 CYASORB UV 237은 벤조트리아졸의 적합한 예이다.
CYASORB UV 1164(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은 트리아진 자외선 흡수제의 한 예이다.
CYASORB 3638은 벤조옥사지논에 해당되는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이다.
또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HALS)와 같은 광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HALS)는 대부분의 중합체의 광유도 열화현상에 대해 극히 효율적인 안정화제이다. 이들은 대개 UV 방사선을 흡수하지 않지만, 중합체의 열화현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통상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아민 및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과 같은 테트라알킬 피페리딘이다.
예를 들어,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광안정화제를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일 예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30)은 광안정화제를 2.5 중량% 이상, 이를테면 3.5 중량% 이상, 또는 심지어 5.0 중량% 이상 함유한다. 예시적인 광안정화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사의 Tinuvin® 770 또는 싸이테크 인더스트리스사의 Cyasorb THT-4611로 입수가능하다.
다층 구조체의 제3층(40)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플루오로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비롯한)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폴리아미드), EPDM,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프로필렌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 알파 올레핀 용융 접착재 (이를테면, 가령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를 포함함), 아이오노머 (금속염으로 대체로 중성화되는 산 관능성 폴리올레핀), 산 관능성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예를 들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올레핀 엘라스토머, 올레핀성 블록 공중합체, 열가소성 규소, 폴리비닐 부티랄, 플루오로중합체, 이를테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 금속, 복합재, 유리, 시멘트성 재료, 석조, 목재 또는 기타 다른 적합한 기재,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을 비롯한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3층(40)의 두께는 0.5 mils 내지 20 mils 범위이다. 예를 들면, 층(40)의 두께는 0.5 mils 내지 10 mils, 이를테면0.5 mils 내지 5 mils, 또는 심지어 0.5 mils 내지 2 mils 범위일 수 있다. 그러나, 다층 구조체가 제공되는 경우, 층(40)의 두께는 훨씬 더 두꺼울 수 있다.
층(40)은 그 표면 상에 증착되는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탄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은 알루미늄, 은, 금, 티타늄, 주석, 아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금속 산화물로는 알루미늄, 실리카,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있을 수 있다. 예시적 금속 질화물로는, 질화알루미늄, 질화티타늄, 질화규소, 질화아연,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있을 수 있다. 예시적 탄화물로는, 탄화규소, 탄화알루미늄, 탄화티타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 있을 수 있다. 무기층의 두께는 30 nm 내지 1000 nm 범위, 이를테면 50 nm 내지 500 nm, 또는 심지어 50 nm 내지 200 nm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는 특히 전자 부품들을 수분, 기후, 열, 방사선,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하거나 상기 부품들을 절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부품의 예로는, 결정성-규소계 후막형 광기전 모듈, 비정질 규소, CIGS, CdTe, OPV, 또는 DSSC계 박막형 광기전 모듈, LED, LCD, 인쇄회로기판, 가요성 디스플레이 및 인쇄배선기판이 있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현예에 의하면, 다층 구조체를 광기전 구조체로 적층시켜 광기전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기전 부품이 배당되면, 다층 적층체를 포함한 보호 구조체를 광기전 부품 상부에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다층 보호 구조체를 적용하기 전에 광기전 부품에 캡슐화제를 적층시키고, 상기 캡슐화제에 다층 보호 구조체를 적층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베리어 구조체를, 접착재층 및 플루오로중합체층과는 별개로, 광기전 부품 상부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기전 부품은 2개 이상의 주면(major surface)을 포함한다. "전면(front surface)"은 더 많은 비율의 직접적인 태양광선을 받는 광기전 소자의 표면을 가리킨다. 구현예에서, 전면은 태양광선을 전기로 변환시키는 광기전 소자의 활성면이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에서, 광기전 소자는 소자의 2개 표면이 활성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은 직접적인 태양광선을 전기로 변환시킬 수 있는 한편, 후면은 반사된 태양광선을 전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 의하면, 전면은 낮 동안에 한 지점에서 직접적인 태양광선을 받을 수 있고, 후면은 낮 동안에 다른 지점에서 직접적인 태양광선을 받을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현예에는 광기전 구조체 또는 기타 유사한 광기전 구조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용어들 "상부(over)," "상부에 배치(overlie)," "하부(under)," 또는 "하부에 배치(underlie)"는 인접한 구조체의 주면에 대한 한 층, 구조체 또는 적층체의 배치를 가리키며, 이때 상부 또는 상부에 배치된다라는 것은 층, 구조체 또는 적층체가 광기전 소자의 외부면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하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라는 것은 층, 구조체 또는 적층체가 광기전 소자의 외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용어들 "상, 위(on)," "상부," "상부에 배치," "하부," 및 "하부에 배치"는 표면과 인용된 구조체 사이에 중간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는 프렛즐, 감자칩, 크랙커, 사탕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간식거리와 같은 식품류의 저장에 적합한 용기 또는 봉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는 제약 또는 의약 용도에 적합한 용기 또는 봉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구현에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이 선택적인 자외선 흡수제 없이 구성된 경우, 다층 구조체 용기 또는 봉지에 함유되는 제약 또는 의약 성분은 멸균을 위해 자외선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3층 구조체를 단기간(예를 들면, 이삼분 내지 두서너 시간, 또는 심지어 수일)에 걸쳐 일련의 공정 단계들을 통해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공정은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를 구조체의 제1 플루오로중합체층 또는 제3층 상에 코팅하는 것이다. 존재하는 경우, 접착재 내 모든 용매를 증발시킨 후, 접착재층을 구조체의 남아있는 층에 접촉시킨다. 이러한 3층 구조체의 최종 접착 작업은 선택적 열 사용과 함께 압력을 이용하여 라미네이팅 공정에서 달성될 수 있으며, 이 시간 동안 접착재의 최종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중에, 예를 들어, 수일, 수주 또는 심지어 수개월이 지난 후에, 2층 구조체를 제3층으로 접착시키는 경우, 한 바람직한 공정은 접착재를 부분적으로만 경화되거나, 또는 경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1 플루오로중합체층에 코팅하는 것이다. 이렇게 부분적으로 경화된 2층 구조체를 예를 들면 이형 라이너로 적절하게 포장함으로써 자체 부착되는 것을 막고/막거나, 보호 실링재로 포장함으로써 대기 중의 수분, 방사선 또는 후속 경화에 영향을 미치도록 의도되는 모든 환경적 노출을 제거할 수 있다. 2층 구조체를 나중에 제3층에 도포할 때, 경화 작업은 선택된 경화 메커니즘(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 방사선, 추가 열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의 노출)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통상, 본 발명의 다층을 접착시키기 위해 고온을 이용한다. 전형적인 온도 범위는 일반적으로 가교 반응의 경우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의 가교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온도이다.
통상, 2개의 가열된 기재의 적층은 압력 또는 진공 하에 수행된다.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많이 알려져 있는 방법, 이를테면 진공 적층법 또는 롤 프레스 적층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다층 구조체에 인가되는 전형적인 압력은 약 15 psi 내지 약45 psi이지만, 이보다 높을 수 있다. 광기전 부재가 이미 다층 구조체와 접촉을 이루고 있다면, 광기전 부재가 가압시 손상되지 않도록 압력을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롤 프레스 공정을 활용하는 경우, 두 (또는 그 이상) 기재의 적층은 약 1초 미만 내지 수초에 걸쳐 달성된다. 진공 적층법을 활용하는 경우, 상기 공정은 둘 이상의 재료를 완전히 적층시키는데 약 5분 내지 약 15분 소요한다.
대안으로, 적층 작업은 롤 프레스에서 위치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롤 프레스에 접촉되는 플루오로중합체 구조체 및 비-플루오로중합체에 대해, 낮은 압력은 약 1 내지 약 10 psi, 중간 압력은 약 10 내지 약 100 psi, 높은 압력은 약 100 내지 약 500 psi, 극한 경우 강재-온-강재 닙(steel-on-steel nip)에 대해서는 심지어 최대 약 5000 psi도 될 수 있다.
층들을 서로 코팅시키는 작업은 종래 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를 제1층 또는 제3층에 도포시킬 수 있다. 그런 후에 남은 층을 접촉재와 이미 접촉된 층에 도포시킬 수 있다.
기재의 접착력은 적어도 약 2 N/cm이다. ASTM D-903(2 인치/분의 이동 속도로 수행된 T-박리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적합한 범위는 최대 약 15 N/cm, 구체적으로 약 2 내지 약 10 N/cm, 특히 약 5 내지 약10 N/cm이다.
본원에 기술되는 다층 구조체는 높은 광학적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는 광기전 소자와 같은 전자 소자용 전면 시트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층 구조체는 광기전 소자와 같은 전자 소자용 투명 후면시트로 사용될 수 있다. 광기전 소자와 같은 전자 소자의 임의 활성면 상에 다층막을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키트(kit)"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층 구조체는 적합한 재료 또는 용기에 포장된 후, 전자 소자로의 응용과 같이 추가 사용을 위한 설명서와 함께 시판된다. 다른 예로, 상기 구조체가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가교제 또는 가교 작용제 포함 또는 비포함)를 플루오로중합체막에 도포하는 2층 구조체인 경우, 나중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기재에 도포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체를 포장할 수 있다. 거듭 말하지만, 구조체를 제3층에 도포시켜 구조체가 추가층에 접착되도록 하기 위한 적합한 조건을 제공하는 설명서를 포함시킬 수 있다.
1번부터 64번까지 순차적으로 나열된 하기 단락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위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 의하면, 제1 단락(1)에서, 본 발명은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및 제3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를 제공하며, 상기 플루오로 접착재층은 제1층과 제3층 사이에 존재한다.
2. 제1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HTE);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3. 제1 또는 제2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하이드록실, 에테르 모이어티,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실란 모이어티, 인산 모이어티, 설폰산 모이어티 또는 카복실산 모이어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다.
4. 제3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다.
5. 제3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비닐 에테르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이다.
6. 제3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이다.
7. 제3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퍼플루오로에탄 알키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실란, 또는 퍼플루오로 에폭사이드이다.
8. 제3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아미드, 알콕시 실란 또는 포스페이트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관능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합체이다.
9. 제3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비정질 플루오로중합체이다.
10. 제1 단락 내지 제9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제3층은 플루오로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EPDM;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프로필렌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스티렌 및 기타 C3-C20 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아이오노머; 산 관능성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올레핀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규소; 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11. 제1 단락 내지 제10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는 85%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진다.
12. 제1 단락 내지 제10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은 90% 이상이다.
13. 제1 단락 내지 제10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은 92% 이상이다.
14. 제1 단락 내지 제10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한다.
15. 제14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재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벤조옥사지논이다.
16. 제1 단락 내지 제15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제3층은 광안정화제를 더 포함한다.
17. 제16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광안정화제는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이다.
18. 제1 단락 내지 제17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는 가교제 또는 가교 작용제를 더 포함한다.
19. 제18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교제는 아민, 아미드, 무수물, 페놀,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카복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양자 공여체, 퍼옥사이드, 실란, 금속 이온, 수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일-, 이- 및 다-관능성 작용제 중에서 선택된다.
20. 제18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교 작용제는 열, 압력, 수분, pH 변화, 자외선, 열개시제(이를테면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광민감성 개시제, 감마선, 전자빔, 산 촉매, 염기 촉매, 금속 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21. 제1 단락 내지 제20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전면시트 또는 후면시트 구조체.
22. 제1 단락 내지 제20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
23. 제22 단락의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은 본질적으로 자외선 흡수재를 함유하지 않는다.
24. 제23 단락의 포장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장된 의약 또는 제약 성분을 멸균시키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포장된 성분을 상기 포장용 구조체를 통해 UV 방사선으로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25.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및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을 포함하는 구조체.
26. 제25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HTE);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27. 제25 또는 제26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하이드록실, 에테르 모이어티,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실란 모이어티, 인산 모이어티, 설폰산 모이어티 또는 카복실산 모이어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다.
28. 제27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다.
29. 제27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비닐 에테르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이다.
30. 제27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이다.
31. 제27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퍼플루오로에탄 알키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실란, 또는 퍼플루오로 에폭사이드이다.
32. 제27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아미드, 알콕시 실란 또는 포스페이트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관능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합체이다.
33. 제27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비정질 플루오로중합체이다.
34. 제25 단락 내지 제33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는 85%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진다.
35. 제25 단락 내지 제33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은 90% 이상이다.
36. 제25 단락 내지 제33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은 92% 이상이다.
37. 제25 단락 내지 제33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한다.
38. 제37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벤조옥사지논이다.
39. 제25 단락 내지 제38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제3층은 광안정화제를 더 포함한다.
40. 제39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교제는 아민, 아미드, 무수물, 페놀,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카복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양자 공여체, 퍼옥사이드, 실란, 금속 이온, 수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일-, 이- 및 다-관능성 작용제 중에서 선택된다.
41. 제39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교 작용제는 열, 압력, 수분, pH 변화, 자외선, 열개시제(이를테면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광민감성 개시제, 감마선, 전자빔, 산 촉매, 염기 촉매, 금속 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42. 제25 단락 내지 제41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전면시트 또는 후면시트 구조체.
43. 제25 단락 내지 제41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
44. 제43 단락의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은 본질적으로 자외선 흡수재를 함유하지 않는다.
45. 제44 단락의 포장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장된 의약 또는 제약 성분을 멸균시키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포장된 성분을 상기 포장용 구조체를 통해 UV 방사선으로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46.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를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에 도포하여, 다층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의 제조 방법.
47. 제46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HTE);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48. 제46 또는 제47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하이드록실, 에테르 모이어티,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실란 모이어티, 인산 모이어티, 설폰산 모이어티 또는 카복실산 모이어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다.
49. 제48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다.
50. 제48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비닐 에테르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이다.
51. 제48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이다.
52. 제48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퍼플루오로에탄 알키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실란, 또는 퍼플루오로 에폭사이드이다.
53. 제48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아미드, 알콕시 실란 또는 포스페이트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관능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합체이다.
54. 제48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비정질 플루오로중합체이다.
55. 제46 단락 내지 제54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다층 구조체는 85%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진다.
56. 제46 단락 내지 제54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다층 구조체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은 90% 이상이다.
57. 제46 단락 내지 제54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은 92% 이상이다.
58. 제46 단락 내지 제54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한다.
59. 제58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벤조옥사지논이다.
60. 제46 단락 내지 제59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가교제 또는 가교 작용제를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61. 제60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가교제는 아민, 아미드, 무수물, 페놀,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카복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양자 공여체, 퍼옥사이드, 실란, 금속 이온, 수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일-, 이- 및 다-관능성 작용제 중에서 선택된다.
62. 제60 단락의 방법에 있어서, 가교 작용제는 열, 압력, 수분, pH 변화, 자외선, 열개시제(이를테면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광민감성 개시제, 감마선, 전자빔, 산 촉매, 염기 촉매, 금속 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63. 제25 단락 내지 제41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를 제3층에 도포시키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포장된 물품.
64. 진공밀봉된 용기 또는 패키지 안에 포함되는 제25 단락 내지 제41 단락 중 어느 한 단락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장된 물품.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을 더 설명한다. Daikin Zeffle® 접착재를 기재로 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를 가진 외부 내후성층으로서의 ETFE막, 및 PET막으로 된 3층 투명 적층체를 구성하였다. Zeffle® 접착재는 제공된 상태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자외선 첨가제를 사용하여 PET를 미리 조제하지 않은 경우, 하부의 PET막에 UV 방사선이 이르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1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추가 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25g의 에틸렌 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하여 48g의 Zeffle GK-570 접착재 용액(다이킨 어메리카)을 희석시킨 후, 여기에 5.4g의 Cyasorb UV 5411(싸이테크 인더스트리스사)을 첨가하였다. 고속 혼합기를 이용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하였다. 6.5g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Desumodur N3300(바이어사)를 상기 희석된 Zeffle 용액에 첨가하고, 고속 혼합기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완전히 혼합시켜, 최종 접착재 용액을 얻었다. 최종 접착재 용액은 광학적으로 투명하였다.
사각형 드로우다운 바(drawdown bar)를 사용하여 상기 제제를 투명한 10 mil 두께의 폴리에스테르(PET)막(한국 SKC사의 SG00)에 도포한 후, 대략 2.5 mil 두께의 습윤 막을 얻었다. 코팅된 폴리에스테르막을 90℃에 설정된 오븐에 약 15분간 넣어, 용매를 건조시켰다. 목표로 한 건조 막의 두께는 0.5 mil이었다. 건조된 상태의 Zeffle 코팅된 폴리에스테르막을 (120℃에서) 열적층시켜, 투명한 1 mil 두께의 ETFE막(셍-고벵 퍼포먼스 플라스틱스사의Norton® ETFE 막)을 얻었다. 최종처리된 적층체의 층간 박리강도 (90도 T-pull) 및 광투과율(400 내지 1,100 nm 범위의 가시광선)을 시험하였다. 측정된 박리강도는 5.7 N/cm였다. Zeffle 접착재가 코팅된 PET막의 일차적 연구에 근거하여, 광투과율%이 85%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ETFE-Zeffle 접착재-PET 적층체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적층 구조체라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된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로 여러 개념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 의미보다는 예시적 의미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들 모든 수정예를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포함(구비)하는(하다), 갖는(가지다) (comprises, comprising, includes, including, has, having)" 또는 이들의 기타 다른 변형예는 비배타적 항목들을 포함하고자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러 특징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는 이들 특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공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분명하게 열거되지 않았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기타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분명하게 명시하지 않는 한, ?풔?은 포괄적(inclusive-or)이며 배타적이지 않음(exclusive-or)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A 또는 B 조건은 하기 중 임의의 것 하나를 만족시킨다: A는 참이고(또는 존재한다), B는 거짓이다(또는 존재하지 않는다), A는 거짓이고 (또는 존재하지 않는다) B는 참이다(또는 존재한다), 및 A와 B 둘 다 참이다(또는 존재한다).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용어들 "포함(including 및 comprising)"은 확장가능한 용어이며,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들 용어는 "필수적으로 구성" 및 "구성"이란 더 제한적인 표현들을 망라한다.
또한, 본원에 기술되는 부재 및 성분을 설명하고자 "하나의, 한(a, an)"을 사용하였다. 이는 오로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의 일반적 의미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명세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명백하게 단수를 의미하지 않는 한 단수는 역시 복수를 포함한다.
본원에서는 막의 두께를 "mils"로 제시하였으며, 여기서 1 mil은 0.001 인치와 같다.
이점, 기타 장점 및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특정 구현예들을 참조로 전술하였다. 그러나, 이점, 장점,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되거나 표명되도록 야기시킬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을 어느 하나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하거나 필요하거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라면 간결성을 위해 별개의 구현예들의 범위에서 본원에 기술된 구체적인 특성들을 단 하나의 구현예에서 조합되어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 하나의 구현예 범위에서 기술된 다양한 특성들을 따로따로 또는 임의의 하부조합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범위로 명시된 값들에는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각각의 모든 값이 포함된다.

Claims (64)

  1.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및
    제3층을 포함하며,
    상기 플루오로 접착재층은 제1층과 제3층 사이에 존재하는 것인 다층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HTE);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다층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하이드록실, 에테르 모이어티,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실란 모이어티, 인산 모이어티, 설폰산 모이어티 또는 카복실산 모이어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되는 것인 다층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다층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비닐 에테르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인 다층 구조체.
  6. 제3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인 다층 구조체.
  7. 제3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퍼플루오로에탄 알키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실란, 또는 퍼플루오로 에폭사이드인 다층 구조체.
  8. 제3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아미드, 알콕시 실란 또는 포스페이트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관능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합체인 다층 구조체.
  9. 제3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비정질 플루오로중합체인 다층 구조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층은 플루오로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EPDM;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프로필렌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스티렌 및 기타 C3-C20 올레핀의 삼원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아이오노머; 산 관능성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올레핀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규소; 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다층 구조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5%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지는 다층 구조체.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다층 구조체.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92% 이상인 다층 구조체.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층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벤조옥사지논인 다층 구조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층은 광안정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층 구조체.
  17. 제16항에 있어서, 광안정화제는 입체장애 아민 광안정화제인 다층 구조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 또는 가교 작용제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아민, 아미드, 무수물, 페놀,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카복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양자 공여체, 퍼옥사이드, 실란, 금속 이온, 수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일-, 이- 및 다-관능성 작용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다층 구조체.
  20. 제18항에 있어서, 가교 작용제는 열, 압력, 수분, pH 변화, 자외선, 열개시제(이를테면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광민감성 개시제, 감마선, 전자빔, 산 촉매, 염기 촉매, 금속 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다층 구조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전면시트 또는 후면시트 구조체.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
  23. 제22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은 본질적으로 자외선 흡수재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
  24. 제23항에 기재된 포장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장된 의약 또는 제약 성분을 멸균시키는 방법이며, 포장된 성분을 상기 포장용 구조체를 통해 UV 방사선으로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 및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
    을 포함하는 구조체.
  26. 제25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HTE);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구조체.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하이드록실, 에테르 모이어티,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실란 모이어티, 인산 모이어티, 설폰산 모이어티 또는 카복실산 모이어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되는 것인 구조체.
  28. 제27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구조체.
  29. 제27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비닐 에테르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인 구조체.
  30. 제27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인 구조체.
  31. 제27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퍼플루오로에탄 알키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실란, 또는 퍼플루오로 에폭사이드인 구조체.
  32. 제27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아미드, 알콕시 실란 또는 포스페이트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관능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합체인 구조체.
  33. 제27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비정질 플루오로중합체인 구조체.
  34. 제2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5%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지는 구조체.
  35. 제2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구조체.
  36. 제2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92% 이상인 구조체.
  37. 제2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구조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벤조옥사지논인 구조체.
  39. 제2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 또는 가교 작용제를 더 포함하는 구조체.
  40. 제39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아민, 아미드, 무수물, 페놀,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카복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양자 공여체, 퍼옥사이드, 실란, 금속 이온, 수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일-, 이- 및 다-관능성 작용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구조체.
  41. 제39항에 있어서, 가교 작용제는 열, 압력, 수분, pH 변화, 자외선, 열개시제(이를테면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광민감성 개시제, 감마선, 전자빔, 산 촉매, 염기 촉매, 금속 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구조체.
  42. 제2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의 전면시트 또는 후면시트 구조체.
  43. 제2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
  44. 제43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층은 본질적으로 자외선 흡수재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의약 또는 제약 포장용 구조체.
  45. 제44항에 기재된 포장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장된 의약 또는 제약 성분을 멸균시키는 방법이며, 포장된 성분을 상기 포장용 구조체를 통해 UV 방사선으로 조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6.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를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에 도포하여, 다층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의 제조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중합체 제1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퍼플루오로 메틸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PFA);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에틸렌 및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의 공중합체(E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THV);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에틸렌의 삼원공중합체(HTE);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하이드록실, 에테르 모이어티,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실란 모이어티, 인산 모이어티, 설폰산 모이어티 또는 카복실산 모이어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되는 것인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올레핀성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비닐 에테르 모이어티 및 하이드록실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인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퍼플루오로알킬 아크릴레이트인 방법.
  52. 제48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퍼플루오로에탄 알키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실란, 또는 퍼플루오로 에폭사이드인 방법.
  53. 제48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알킬 아미드, 알콕시 실란 또는 포스페이트 모이어티를 통해 관능화된, 관능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합체인 방법.
  54. 제48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비정질 플루오로중합체인 방법.
  55. 제46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5%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가지는 방법.
  56. 제46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방법.
  57. 제46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92% 이상인 방법.
  58. 제46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또는 벤조옥사지논인 방법.
  60. 제4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제 또는 가교 작용제를 내자외선 플루오로중합체 접착재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아민, 아미드, 무수물, 페놀,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카복실, 티타네이트, 지르코네이트, 알루미네이트, 양자 공여체, 퍼옥사이드, 실란, 금속 이온, 수분,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일-, 이- 및 다-관능성 작용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62. 제60항에 있어서, 가교 작용제는 열, 압력, 수분, pH 변화, 자외선, 열개시제(이를테면 퍼옥사이드, 퍼설페이트) 광민감성 개시제, 감마선, 전자빔, 산 촉매, 염기 촉매, 금속 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63. 제2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를 제3층에 도포시키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포장된 물품.
  64. 진공밀봉된 용기 또는 패키지 안에 포함되는 제25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포장된 물품.
KR1020137008440A 2010-09-10 2011-08-19 내자외선 투명 적층체 KR201300808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157410P 2010-09-10 2010-09-10
US61/381,574 2010-09-10
US13/212,328 US20120063952A1 (en) 2010-09-10 2011-08-18 Uv resistant clear laminates
US13/212,328 2011-08-18
PCT/US2011/048349 WO2012033626A2 (en) 2010-09-10 2011-08-19 Uv resistant clear lamin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843A true KR20130080843A (ko) 2013-07-15

Family

ID=4580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440A KR20130080843A (ko) 2010-09-10 2011-08-19 내자외선 투명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63952A1 (ko)
EP (1) EP2613938A4 (ko)
JP (1) JP2013542096A (ko)
KR (1) KR20130080843A (ko)
CN (1) CN103282200A (ko)
WO (1) WO20120336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406A1 (ja) * 2011-06-30 2013-01-03 Jnc株式会社 耐候性積層フィルム
US10543662B2 (en) 2012-02-08 2020-01-28 Corning Incorporated Device modified substrate article and methods for making
WO2013183910A1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필름 및 광전지 모듈
US20140000674A1 (en) * 2012-06-27 2014-01-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voltaic module back-sheet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10086584B2 (en) 2012-12-13 2018-10-02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onding of glass sheets with carriers
TWI617437B (zh) 2012-12-13 2018-03-11 康寧公司 促進控制薄片與載體間接合之處理
US10014177B2 (en) 2012-12-13 2018-07-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processing electronic devices
US9340443B2 (en) 2012-12-13 2016-05-17 Corning Incorporated Bulk annealing of glass sheets
US20140194023A1 (en) * 2012-12-28 2014-07-10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Laminates with fluoropolymer cloth
US20150367611A1 (en) * 2013-01-17 2015-12-24 Nirotek A.C.S Ltd. Transfer tape comprising adhesive for a protective wrap
US20220275255A1 (en) * 2013-01-17 2022-09-01 Nirotek A.C.S. Ltd. Transfer tape comprising adhesive for a protective wrap
KR102185129B1 (ko) * 2013-02-15 2020-12-02 캄브리오스 필름 솔루션스 코포레이션 전자 디바이스들 내에 은 나노와이어-기반 투명 전도체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들
US10510576B2 (en) 2013-10-14 2019-12-17 Corning Incorporated Carrier-bonding methods and articles for semiconductor and interposer processing
US20150158644A1 (en) * 2013-12-10 2015-06-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layer films formed using prim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53030B1 (ko) 2014-01-27 2022-01-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얇은 시트와 캐리어의 제어된 결합을 위한 물품 및 방법
KR20160145062A (ko) 2014-04-09 2016-12-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디바이스 변경된 기판 물품 및 제조 방법
EP3170875B1 (en) 2014-07-15 2020-11-04 AGC Inc. Adhesive for ultraviolet-light-emitting device, and ultraviolet-light-emitting device
DE102014218188B4 (de) * 2014-09-11 2023-01-19 Evonik Operations Gmbh Formulierung zur Beschichtung von Substraten,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Substraten, beschichtete Substrate sowie Verwendung der Formulierung
US9555288B1 (en) * 2014-12-10 2017-01-31 Allison Lucas Bath and swim cap with a seamless element
JP2018524201A (ja) 2015-05-19 2018-08-30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をキャリアと結合するための物品および方法
WO2016209897A1 (en) 2015-06-26 2016-12-29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rticles including a sheet and a carrier
US20180311943A1 (en) * 2015-10-28 2018-11-01 Madico, Inc. Multilayer composite films for architectural applications
CN106696416A (zh) * 2015-11-16 2017-05-24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复合安全膜
TW202216444A (zh) 2016-08-30 2022-05-01 美商康寧公司 用於片材接合的矽氧烷電漿聚合物
TWI810161B (zh) 2016-08-31 2023-08-01 美商康寧公司 具以可控制式黏結的薄片之製品及製作其之方法
CN106538583B (zh) * 2016-10-29 2019-08-16 江苏微特克纳米科技有限公司 长效消毒抗菌组合物、其涂布方法和用于涂层的再生方法
WO2019118660A1 (en) 2017-12-15 2019-06-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treating a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articles comprising bonded sheets
WO2019175468A1 (en) * 2018-03-14 2019-09-19 Grainsense Oy Sample containers for use inside integrating cavities, and tools
US20200346445A1 (en) * 2019-05-02 2020-11-0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layer article for storing a product
CN112239528B (zh) * 2020-09-18 2021-12-28 东莞市雄林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桌垫用环保型tpu薄膜及其制备方法
WO2023122505A1 (en) * 2021-12-21 2023-06-2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ultilayer film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0290A (en) 1958-08-07 1962-04-17 Du Pont Process for making the surfaces of fluorocarbon polymers cementable
US3274091A (en) 1962-09-18 1966-09-20 Du Pont Method of producing non-fogging films
US3274090A (en) 1962-09-18 1966-09-20 Du Pont Method of producing non-fogging films
US3296011A (en) 1963-05-24 1967-01-03 Du Pont Surface treatment of perfluorocarbon polymer structures
US3275540A (en) 1963-10-01 1966-09-27 Du Pont Surface treatment of shaped organic polymeric structures
US3291712A (en) 1963-10-01 1966-12-13 Du Pont Surface treatment of shaped organic polymeric structures
US3274089A (en) 1963-10-21 1966-09-20 Du Pont Surface treatment of polymeric shaped structures
US3255099A (en) 1963-10-21 1966-06-07 Du Pont Surface treatment of polymeric shaped structures
US3397132A (en) 1964-10-16 1968-08-13 Du Pont Treatment of metal surfaces
US3391314A (en) 1964-11-18 1968-07-02 Du Pont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plastic film by electrical discharge
US3284331A (en) 1965-06-10 1966-11-08 Du Pont Adherability treatment of thermo-plastic film
US3485734A (en) 1967-05-17 1969-12-23 Du Pont Process of treating polyimide film in an electric discharge
US3507763A (en) 1967-12-22 1970-04-21 Du Pont Method for 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of organic polymeric materials
US3676181A (en) 1969-09-16 1972-07-11 Du Pont 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of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in acetone
US4549921A (en) 1983-10-28 1985-10-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tion of fluorocarbon films
JP2911153B2 (ja) * 1989-12-29 1999-06-23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新規な複合体
JP2987247B2 (ja) * 1991-12-09 1999-12-06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ファイバー接続装置
JP3605861B2 (ja) * 1993-10-28 2004-12-22 旭硝子株式会社 接着性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エチレン系共重合体の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28848A (ja) * 1994-02-22 1995-08-29 Asahi Glass Co Ltd 耐候性接着剤組成物
JPH09157616A (ja) * 1995-12-08 1997-06-17 Daikin Ind Ltd 含フッ素接着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接着性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US6306503B1 (en) * 1997-06-11 2001-10-23 Alliedsignal Inc. Multilayer fluoropolymer films with improved adhesion
US6555190B1 (en) * 1997-11-06 2003-04-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ilms with UV blocking characteristics
US6153298A (en) * 1998-05-05 2000-11-28 General Binding Corp. Thermal laminating film for digital printed substrates
BE1012088A3 (fr) * 1998-07-27 2000-04-04 Solvay Adhesif polymerique et structures a couches polymeriques multipl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IT1303779B1 (it) * 1998-11-23 2001-02-23 Ausimont Spa Preparazione di soluzioni di polimeri fluorurati solfonici.
JP2002030263A (ja) * 2000-07-18 2002-01-31 Atofina Japan Kk フッ素系接着性樹脂組成物
IT1318700B1 (it) * 2000-09-18 2003-08-27 Ausimont Spa Composizione multistrato comprendente fluoropolimeri e polimeriidrogenati.
US6770577B2 (en) * 2001-10-29 2004-08-0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Architectural fabric
US6726979B2 (en) 2002-02-26 2004-04-27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Protective glazing laminate
JP2004307666A (ja) * 2003-04-08 2004-11-04 Asahi Glass Co Ltd 塗料用含フッ素共重合体、塗料用組成物および塗料
KR101195730B1 (ko) * 2004-10-14 2012-10-29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도금용 재료, 상기 도금용 재료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산 용액, 폴리이미드 수지 용액 및 이들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인쇄 배선판
FR2882298B1 (fr) * 2005-02-23 2010-02-26 Arkema Film multicouche protecteur a base de pvdf et de pmma
CN102544149B (zh) * 2005-11-30 2016-07-20 大金工业株式会社 太阳能电池以及太阳能电池的保护罩用层积膜
CN101528871B (zh) * 2006-10-16 2011-11-30 旭化成化学株式会社 氟涂料组合物
AU2007338712B2 (en) * 2006-12-21 2013-03-07 Dupont-Mitsui Fluorochemicals Company, Ltd. Crosslinkable vinyl fluoride copolymers
US20080264484A1 (en) * 2007-02-16 2008-10-30 Marina Temchenko Backing sheet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for repairing same
JP2009105179A (ja) * 2007-10-23 2009-05-14 Toray Advanced Film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U2009263416B2 (en) * 2008-06-23 2014-07-17 Asahi Glass Company, Limited Back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20100055472A1 (en) * 2008-08-28 2010-03-04 Bravet David J Fluoropolymer laminate
CN101661962B (zh) * 2008-08-29 2012-05-09 苏州中来光伏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粘结性的太阳能电池背膜及加工工艺
US20100092759A1 (en) * 2008-10-13 2010-04-15 Hua Fan Fluoropolymer/particulate filled protective sheet
PT2196489E (pt) * 2008-12-15 2013-09-30 Arkema France Módulos fotovoltaicos com uma película de revestimento posterior compreendendo um polímero enxertado com poliamida e o seu processo de fabrico e utilização
US20120024353A1 (en) * 2009-03-03 2012-02-02 Arkema France Thermoformable photovoltaic back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3952A1 (en) 2012-03-15
WO2012033626A3 (en) 2012-05-03
EP2613938A4 (en) 2014-04-30
EP2613938A2 (en) 2013-07-17
WO2012033626A2 (en) 2012-03-15
CN103282200A (zh) 2013-09-04
JP2013542096A (ja)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0843A (ko) 내자외선 투명 적층체
KR101690974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배면시트를 구비한 태양광 모듈
JP2015513478A (ja) フレキシブルな薄膜光起電力デバイスおよび発光ダイオードデバイスのための耐候性複合材
JP2009137012A (ja) 積層体、太陽電池表面保護シート及び建材シート
WO2011071847A2 (en) Uv blocking fluoropolymer film
WO2010025325A2 (en) Fluoropolymer laminate
JP6632712B2 (ja) 多層バリアアセンブリを含む複合材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1561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3013578A1 (en) Backsheets/frontsheets having improved adhesion to encapsulants and photovoltaic modules made therefrom
KR101909426B1 (ko) 복합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07014B1 (ko) 다층 필름
KR101642580B1 (ko) 광 모듈용 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KR101409116B1 (ko)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0499B1 (ko) 불소계 고분자 코팅층을 포함하는 고신뢰성 다층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9951A (ko) 태양전지 블랙 백시트,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13129324A1 (ja) 太陽電池用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593741B1 (ko)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
KR101721577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필름이 적층된 태양전지용 이면보호 시트
KR20180041700A (ko) 다층 배리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복합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13760B1 (ko) 다층 물품의 제조 방법
KR20170009292A (ko) 이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4037127A (ja) 積層防湿フィルム
KR20120070091A (ko) 태양전지 이면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