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615A -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 Google Patents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615A
KR20130079615A KR1020137013744A KR20137013744A KR20130079615A KR 20130079615 A KR20130079615 A KR 20130079615A KR 1020137013744 A KR1020137013744 A KR 1020137013744A KR 20137013744 A KR20137013744 A KR 20137013744A KR 20130079615 A KR20130079615 A KR 2013007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receiving
contact
pallet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5733B1 (ko
Inventor
세이이치 노다
마사아키 사이쇼
히로야스 후지카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파킹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파킹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파킹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파렛트 (15) 에 수전 장치 (23), 차량 격납 선반 (14) (주차장 구조체) 에 송전 장치 (24) 가 각각 형성되고, 수전 장치 (23) 는, 송전 장치 (24) 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 (26) 와, 전동 차량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콘센트부 (27) 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수전부 (26) 가 파렛트 (15) 의 연석부 (18) 의 상면에 재치되고, 그 위에 콘센트부 (27) 가 재치되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수전부 (26)는, 파렛트 (15) 의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 (33) 를 갖는 접점 수용체 (31) 와, 이 접점 수용체 (31) 의 개구부 (33) 보다 깊숙한 위치에 설치된 수전측 접점 (41) 을 구비하고, 수전측 접점 (41) 이 송전 장치 (24) 의 공급측 접점 (73) 과 접촉하여 전력 공급을 받는다.

Description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CHARGING DEVICE FOR MECHANICAL MULTI-LEVEL PARKING FACILITY AND MECHANICAL MULTI-LEVEL PARKING FACILITY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전동 차량의 주차시에, 그 차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 보전 의식이 높아지고 있어, 환경 오염의 정도가 적은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 (이하, 전동 차량이라고 호칭한다) 가 놀라운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 차량은, 대용량의 차재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 차재 배터리에 축전된 전력에 의해 전동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한다. 그리고, 차재 배터리에 대한 충전은, 전동 차량의 차체 외면에 형성된 충전 접속부와 가정용 전원 (상용 (商用) 전원) 등의 전원 콘센트 사이를 충전 케이블로 접속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있어서도, 전동 차량의 차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충전 설비를 장비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충전 설비를 장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이 제안되어 있다. 이 충전 장치는, 파렛트 상에 주차한 전동 차량에 충전을 실시하기 위한 수전부 (受電部) (파렛트측 단자함) 가 파렛트의 하면측에 형성되는 한편, 주차장 구조체의 주차 선반에 송전 장치가 형성되어, 파렛트가 주차장 구조체의 내부를 이동하여 소정의 주차 선반에 수용되면, 수전부가 송전 장치에 접촉하여 파렛트에 전력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 파렛트의 상면측에는, 파렛트 상에 주차한 전동 차량의 급전 케이블을 접속시키기 위한 콘센트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렛트의 하면측에 형성된 수전부와, 파렛트의 상면측에 형성된 콘센트부의 사이는 배선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47243호
충전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충전 장치를 장착하는 개조 공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파렛트에 수전부와 콘센트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충전 설비의 구성에서는, 파렛트의 하면측에 수전부를 설치하고, 파렛트의 상면측에 콘센트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그 조립이 곤란하다. 또한, 수전부와 콘센트부의 사이를 접속시키는 배선 부재를 파렛트에 관통시키는 형태로 배치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내부에서 파렛트의 개조 공사를 실시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개조 비용과 개조 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수전부를 파렛트의 상면측에 형성하면, 파렛트를 사이에 두지 않고 콘센트부에 접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개조 공사를 대폭 간략화할 수 있지만, 그 반면, 파렛트의 상면측에 형성한 수전부에 물이나 진애 등이 부착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전용 커버 부재 등을 형성할 필요가 생겨, 충전 장치의 구조나 조립이 복잡화되어 비용이 상승해 버린다는 난점이 있다. 또, 파렛트의 상면측은 주차 차량이 재치 (載置) 되는 관계로 스페이스가 적기 때문에, 파렛트의 상면측에 수전부나 콘센트부를 설치하면, 주차 차량이 접촉하여 서로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소하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파렛트에 수전부 및 콘센트부를 방해가 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충전 장치를 장비하는 개조 공사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콘센트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게다가 수전부 및 송전 장치에 물이나 진애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1 양태는, 전동 차량을 재치하여 주차장 구조체의 내부를 반송하는 파렛트를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부설되는 충전 장치로서, 상기 파렛트에는 상기 전동 차량에 충전을 실시하기 위한 수전 장치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주차장 구조체측에는, 상기 수전 장치에 접촉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전력을 상기 수전 장치에 공급하는 송전 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와, 상기 전동 차량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콘센트부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렛트의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연석 (緣石) 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한 경우, 송전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와, 전동 차량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콘센트부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수전 장치가 파렛트에 설치된다. 그 때문에, 이 수전 장치의 내부에서 수전부와 콘센트부 사이의 배선을 완료시켜 두고, 수전 장치를 1 개의 유닛으로 하여, 수전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고 또한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파렛트에 수전부 및 콘센트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파렛트에 충전 장치를 장비하는 개조 공사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파렛트의 연석부에는 주차 차량이 올라앉지 않기 때문에, 연석부의 상면에 수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수전 장치를 방해가 되지 않게 파렛트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2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의 폭 치수는, 상기 연석부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석부의 상면에 설치된 수전 장치에 주차 차량이 접촉하거나 파렛트의 외주측에 있는 구조 부재 등이 수전 장치에 간섭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전 장치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3 양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가 상기 연석부의 상면에 재치되고, 그 위에 상기 콘센트부가 중첩되도록 재치되고, 상기 수전부는, 상기 콘센트부를 상면에 얹음과 함께 상기 파렛트의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는 접점 수용체와, 이 접점 수용체의 상기 개구부보다 깊숙한 위치에 설치된 수전측 접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전측 접점은, 상기 송전 장치에 형성된 공급측 접점과 접촉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받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전부를 구성하는 접점 수용체가 파렛트의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고, 이 접점 수용체의 개구부보다 깊숙한 위치에 수전측 접점이 설치된다. 그 때문에, 접점 수용체의 상면 및 이 상면 상에 재치되는 콘센트부가 차양이 되어, 접점 수용체의 상기 개구부보다 깊숙한 위치에 설치된 수전측 접점에 물이나 진애가 내려앉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파렛트의 연석부의 상면에 설치된 수전부의 상면에 콘센트부가 재치되기 때문에, 콘센트부의 높이가 파렛트의 바닥면보다 현격히 높아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을 콘센트부에 접속시킬 때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4 양태는, 상기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송전 장치 사이의 상대 거리가 줄어듦으로써, 상기 공급측 접점과 상기 수전측 접점의 일방이 타방에 대해 탄력을 가지고 압착되도록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 사이의 상대 거리가 다소 변동되어도, 공급측 접점과 수전측 접점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5 양태는, 상기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전측 접점은, 상기 송전 장치의 상대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면 방향의 접촉면을 갖고, 상기 공급측 접점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점의 상기 접촉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스프링 탄성 지지된 신축 가능한 봉상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평판상으로 형성된 수전측 접점의 두께가 작아지기 때문에, 이 수전측 접점을, 수전부를 구성하는 접점 수용체의 개구부에 대해, 보다 깊숙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전측 접점에 물이나 진애가 내려앉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6 양태는, 상기 제 3 내지 제 5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전 장치에는, 상기 공급측 접점의 상방을 덮음과 함께 상기 수전 장치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커버 부재가 형성되고, 그 커버 부재는,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송전 장치 사이의 상대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상기 수전 장치에 맞닿은 후, 상기 송전 장치측을 향해 퇴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 사이가 떨어져 있을 때에도 접촉하고 있을 때에도, 송전 장치의 공급측 접점의 상방이 항상 커버 부재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공급측 접점에 물이나 진애가 내려앉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7 양태는, 상기 제 4 내지 제 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접점은, 수평 방향에 복수 배치되고, 이들 복수의 공급측 접점이 일체가 되어 상기 송전 장치에 형성된 연직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 (回動)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공급측 접점과 수전측 접점 사이가 탄성적으로 접촉함과 함께, 공급측 접점이 연직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 사이의 상대 거리나 상대 각도가 다소 변동되어도, 복수의 공급측 접점을 모두 양호하게 수전측 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의 제 8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7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수전부와 상기 콘센트부 사이에 폴 부재가 개재하여 장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전부에 대해 콘센트부를 폴 부재분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을 콘센트부에 접속시키는 데에 몸을 수그리며 웅크리지 않아도 되게 되어, 충전 케이블을 콘센트부에 접속시킬 때의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은, 상기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한 양태의 충전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전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와, 전동 차량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콘센트부를 일체적으로 구성하여 수전 장치를 유닛화하여, 충전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고 또한 저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의하면, 간소하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파렛트에 수전부 및 콘센트부를 방해가 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충전 장치를 장비하는 개조 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수전부 및 송전 장치에 물이나 진애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부를 파렛트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충전 케이블의 접속시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충전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렛트, 및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수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Ⅲ 화살표에 의한 파렛트 및 수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Ⅳ 부를 확대하여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Ⅴ 화살표에 의해,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Ⅵ 화살표에 의한 송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Ⅷ 화살표에 의해, 수전 장치와 송전 장치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렛트, 및 충전 장치를 구성하는 수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 는 도 9 의 Xa 화살표에 의한 수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b) 는 도 9 의 Xb 화살표에 의한 수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a) 의 XI-XI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8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 차량이 파렛트에 재치되어 주차장 구조체의 내부에서 반송되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이면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 있는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장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 기계식 입체 주차장 (1) 은, 복수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장 시설로, 지상부에 차량 (2) 의 입출고구 (3) 가 개구되는 주차탑 (4) (주차장 구조체) 을 구비하고 있다. 주차탑 (4) 의 지상층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턴테이블 (5) 이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 (5) 은, 지상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목상의 피트 (6) 내에 선회판 (7) 과 선회 구동부 (8) 가 형성된 구성이다.
주차탑 (4) 의 중심부에는 수직인 승강 통로 (11)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에 엘리베이터상의 반송대 (12) 가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반송대 (12) 는, 예를 들어 주차탑 (4) 의 상부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윈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 (13) 에 네 모서리가 걸려, 상기 윈치가 기동됨으로써 승강 통로 (11) 내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한편, 승강 통로 (11) 의 양측에는 차량 격납 선반 (14) (주차장 구조체)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량 격납 선반 (14) 은, 승강 통로 (11) 를 사이에 두도록 하여 상하로 다계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차량 격납 선반 (14) 에는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파렛트 (15) 가 1 장씩 수용되어 있다. 또한, 차량 격납 선반 (14) 의 지주 등은 도시 생략되어 있다. 반송대 (12) 와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바닥면에는, 양자 12, 14 의 바닥면의 높이가 일치했을 때에, 비어 있는 파렛트 (15) 또는 차량 (2) 이 적재된 파렛트 (15) 를 반송대 (12) 로부터 차량 격납 선반 (14) 으로, 또는 차량 격납 선반 (14) 으로부터 반송대 (12) 로 원활하게 주고 받을 수 있는 도시 생략된 수도 (受渡)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계식 입체 주차장 (1) 에 차량 (2) 이 입고하는 경우에는, 차량 (2) 이 격납되어 있지 않은 차량 격납 선반 (14) 의 파렛트 (15) 가 반송대 (12) 에 의해 턴테이블 (5) 의 선회판 (7) 상으로 불려 나간다. 차량 (2) 은 입출고구 (3) 로부터 턴테이블 (5) 에 설치된 파렛트 (15) 상에 정차하고, 그 후, 턴테이블 (5) 이 선회하여 차량 (2) 의 방향이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방향을 따르도록 방향 전환된다. 방향 전환된 파렛트 (15) 는, 반송대 (12) 에 의해 상방으로 반송되어, 차량 (2) 이 격납되어 있지 않은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높이로 위치가 맞춰지고, 반송대 (12) 의 바닥면으로부터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바닥면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로써, 차량 (2) 이 파렛트 (15) 째로 차량 격납 선반 (14) 에 격납된다.
출고시에는, 출고하는 차량 (2) 이 격납된 차량 격납 선반 (14) 의 높이에 맞춰 반송대 (12) 가 정지하고, 차량 격납 선반 (14) 에 격납되어 있는 차량 (2) 이 파렛트 (15) 째로 반송대 (12) 로 바꾸어 옮겨지고, 반송대 (12) 가 턴테이블 (5) 까지 강하하여 파렛트 (15) 와 차량 (2) 을 재치하고, 차량 (2) 은 턴테이블 (5) 에 의해 입출고구 (3) 의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 전환된 후, 출고가 된다.
이 기계식 입체 주차장 (1) 에는 충전 장치 (A) 가 장비되어 있어, 내연 기관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일반 차량 (2) 외에, 전동 모터의 동력으로 주행하는 전동 차량 (2E) 을 주차시켜, 이 전동 차량 (2E) 을 차량 격납 선반 (14) 으로 반송한 후에, 충전 장치 (A) 에 의해 차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충전 장치 (A) 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송전 장치 (24) 가 모든 차량 격납 선반 (14) 에 형성되어 있지만, 일부의 차량 격납 선반 (14) 에만 송전 장치 (24)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 2 는, 파렛트 (15) 및 충전 장치 (A) 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수전 장치 (23) 의 사시도이다. 또한,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는, 파렛트 (15) 의 폭 방향을 X 방향, 길이 방향을 Y 방향, 높이 방향을 Z 방향이라고 부른다.
파렛트 (15) 는, 일반적인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적용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된 일반적인 W 형 단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 그 X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센터 가이드 볼록부 (17) 와, 양측의 측가장자리부에 세워 형성된 좌우 1 쌍의 연석부 (탈륜 방지벽) (18) 사이에, 일반적인 차량 (2) 및 전동 차량 (2E) 의 차륜을 파렛트 (15) 의 Y 방향을 따르게 하여 유도하는 2 개의 차륜 유도홈 (19)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파렛트 (15) 의 이면측에는, 차량 격납 선반 (14) 상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 (20) 등이 고정되어 있다 (도 3 참조).
충전 장치 (A) 는, 파렛트 (15) 에 설치된 수전 장치 (23) 와, 주차탑 (4) 측에 설치되어 수전 장치 (23) 에 접촉함으로써 외부 전원 (상용 전원) 의 전력을 수전 장치 (23) 에 공급하는 송전 장치 (24)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전 장치 (23) 는 파렛트 (15) 의 연석부 (18) 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좌우 일방의 연석부 (18) 의 전단부와, 좌우 타방의 연석부 (18) 의 후단부와 같이, 사각형의 파렛트 (15) 의 대각 (對角)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석부 (18) 의 보다 많은 위치에 수전 장치 (23) 를 설치해도 된다.
수전 장치 (23) 는, 송전 장치 (24) 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 (26) 와,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콘센트부 (27) 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부 (26) 가 연석부 (18) 의 상면에 재치되고, 그 위에 콘센트부 (27) 가 중첩되도록 재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전 장치 (23) 의 폭 치수 (W) 는, 연석부 (18) 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도 4 참조).
수전부 (26) 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접점 수용체 (31) 와, 이 접점 수용체 (31) 에 설치되는 접점 유지 부재 (32)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점 수용체 (31) 는, 파렛트 (15) 의 X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 (33) 를 갖는 상자상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 (34) 이 연석부 (18) 의 상면에 도시 생략된 볼트 등으로 체착 (締着) 하여 고정되고, 그 천면 (天面) (35) 의 상면에 콘센트부 (27) 가 복수의 비스 (36) 등으로 체착하여 고정된다. 또, 접점 수용체 (31) 의 측면 (37) (파렛트 (15) 의 X 방향의 내측을 지향하는 면) 의 내면측에 블록상의 접점 유지 부재 (32) 가 복수의 비스 (38) 에 의해 체착되어 있다. 또한, 접점 수용체 (31) 의 천면 (35) 의 X 방향의 외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개구부 (33)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짧은 수하부 (垂下部) (39) 가 형성되어 있다.
접점 유지 부재 (32) 는, 수지나 세라믹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X 방향에서 송전 장치 (24) 측을 지향하는 측면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3 개의 플레이트상의 수전측 접점 (41) 이 고착되어 있다. 이들 3 개의 수전측 접점 (41) 은, 각각 플러스, 마이너스, 어스용이며,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의 상대 이동 방향, 즉 Y 방향에 직교하는 면 방향의 접촉면 (41a) 을 갖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점 유지 부재 (32) 가 접점 수용체 (31) 의 측면 (37) 의 내면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전측 접점 (41) 은 접점 수용체 (31) 의 개구부 (33) 보다 깊숙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점 유지 부재 (32) 의 상면에는, 각 수전측 접점 (41) 과 연결되는 3 개의 단자 (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 (42) 는, 접점 수용체 (31) 의 천면 (35)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접점 수용체 (31) 의 단면 (端面) 에 비스 (43) 에 의해 고정된 방호판 (44) (도 4 참조) 에 의해, 외부에 대해 차폐된다.
콘센트부 (27) 는, 예를 들어 북 커버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도시 생략된 비스에 의해 수전부 (26) (접점 수용체 (31)) 의 천면 (35) 에 고정되는 콘센트 박스 (47) 를 가지며, 이 콘센트 박스 (47) 의 배면측에는 기판 (50) 이 복수의 비스 (51)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4 참조). 또, 콘센트 박스 (47) 의 내측에 콘센트 본체 (48) 가 복수의 비스 (49) 에 의해 고정되어, 콘센트 본체 (48) 의 내측면 (파렛트 (15) 의 X 방향의 내측을 지향하는 면) 에 형성된 콘센트 커버 (48a) 가 파렛트 (15) 의 X 방향의 내측을 향해 개폐된다. 이 콘센트 커버 (48a) 가 열리면, 콘센트 본체 (48) 의 내측면에 형성된 콘센트공 (비도시) 이 노출되어, 여기에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된다. 또한, 콘센트 본체 (48) 에는 수전측 접점 (41) 의 단자 (42) 가 도시 생략된 리드선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콘센트부 (27) 는 개폐 가능한 방수 커버 (53) 에 의해 덮인다. 방수 커버 (53)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전부 (26) (접점 수용체 (31)) 의 천면 (35) 에 고정된 커버 브래킷 (54) 에 회동축 (55) 을 개재하여 축착 (軸着) 되어, 콘센트부 (27) 를 덮는 폐색 위치 (53a) 와, 콘센트부 (27) 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53b)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방수 커버 (53) 의 자유측에는 개폐 조작용 노브 (56) 가 형성되어 있다. 방수 커버 (53) 는, Y 방향에서 보아 폐색 위치 (53a) 에서부터 개방 위치 (53b) 까지의 어느 위치에서도 파렛트 (15) 의 연석부 (18) 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없다.
한편, 송전 장치 (24) 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차탑 (4) 에 있어서의 차량 격납 선반 (14) 의 플로어 슬래브 등에 고정측 브래킷 (61) 이 고정되고, 이 고정측 브래킷 (61) 에 볼트 (62) 에 의해 고정되어 Z 방향 (연직 방향) 으로 연장되는 유지 파이프 (63) 안에 연직축 (64) 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삽입되고, 이 연직축 (64) 의 상단부에, 파렛트 (15) 의 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측 브래킷 (65) 이 회전 일체로 고착되어 있다. 회전측 브래킷 (65) 의 양 단부 (端部) 에는 1 쌍의 L 자형의 접점 스테이 (66) 가 볼트 (67) 에 의해 고정되고, 이 접점 스테이 (66) 사이에, 수전 장치 (23) 를 향해 X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접점 유지 플레이트 (68) 가 볼트 (69) 에 의해 고정되고, 접점 유지 플레이트 (68) 의 하면측에 블록상의 접점 유지 부재 (71) 가 볼트 (72) 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도 5 에서는 부재 66, 68 이 생략되어 있다).
접점 유지 부재 (71) 는, 수지나 세라믹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전 장치 (23) 측을 지향하는 면으로부터,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3 개의 환봉상의 공급측 접점 (73) 이 돌출되어 있다. 이들 3 개의 공급측 접점 (73) 은, 수전 장치 (23) 의 3 개의 수전측 접점 (41) 의 위치에 정합하는 높이에서, 수평 방향 (Y 방향) 을 따라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이 수전측 접점 (41) 의 접촉면 (41a) 을 향해 연장되도록 스프링 탄성 지지되어, X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사이의 상대 거리 (도 4 에 나타내는 X 방향의 거리) 가 줄어듦으로써,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측 접점 (73) 이 수전측 접점 (41) 의 접촉면 (41a) 에 대해 탄력을 가지고 압착되도록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져, 수전측 접점 (41) 이 송전 장치 (24) 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다. 또한, 각 공급측 접점 (73) 의 선단부는 완만한 구면상으로 되어 있다.
3 개의 공급측 접점 (73) 은, 접점 유지 부재 (71) 와 함께 일체가 되어 연직축 (64) 을 중심으로 하는 R 방향 (도 5 참조) 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이 회동량은, 유지 파이프 (63) 에 형성된 1 쌍의 회동량 규제 볼트 (74) 의 삽입량에 따라, 예를 들어 5°∼ 10°정도로 조정된다. 접점 유지 부재 (71) 의 배면에는, 각 공급측 접점 (73) 에 전원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 (7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전 장치 (24) 에는, 공급측 접점 (73) 의 상방을 덮음과 함께, 수전 장치 (23) 를 향해 X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된 커버 부재 (7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 (78) 는, 예를 들어 접점 스테이 (66) 에 볼트 (69) 에 의해 접점 유지 플레이트 (68) 와 함께 체결된 커버 스테이 (80) 에 지지되어, X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커버 스테이 (80) 의 상면에, X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슬라이드 파이프 (81) 가 고착되어, 이들 각 슬라이드 파이프 (81) 에 긴 볼트상의 슬라이드축 (82) 이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게 삽입되고, 그 선단에, Y 방향을 따르는 L 자형 단면 (斷面) 을 갖는 가동 브래킷 (83) 이 고정되고, 슬라이드축 (82) 의 후단에 더블 너트 (84) 가 체결되어 있다 (도 5 에서는 부재 80 ∼ 84 가 생략되어 있다).
가동 브래킷 (83) 의 상면에는 커버 플레이트 (85) 가 비스 (86) 에 의해 고정되고, 가동 브래킷 (83) 의 전면 (前面) 에는, 수지나 고무 등의 완충 재료로 형성된 완충 블록 (87) 이, 비스 (88) 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 (85) 는, 접점 유지 부재 (71) 및 공급측 접점 (73) 의 상방을 덮음과 함께,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방향에서 보아 접점 유지 부재 (71) 로부터 돌출된 공급측 접점 (73) 의 양측을 덮는 연장부 (85a) 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커버 부재 (78) 는, 슬라이드축 (82), 가동 브래킷 (83), 더블 너트 (84), 커버 플레이트 (85), 완충 블록 (87) 등으로 구성된다. 또, 슬라이드축 (82) 에는, 슬라이드 파이프 (81) 와 가동 브래킷 (83) 사이에 탄성 장착되는 형태로 커버 스프링 (89) 이 장착되어 있으며, 그 탄성 지지력에 의해 커버 부재 (78) 가 항상 수전 장치 (23) 측을 향해 X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되어, 더블 너트 (84) 가 슬라이드 파이프 (81) 에 맞닿음으로써 도 4 의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어 있다.
커버 부재 (78) 는,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사이의 상대 거리 (도 4 에 나타내는 X 방향의 거리) 가 줄어듦에 따라, 그 완충 블록 (87) 이 수전 장치 (23) 의 접점 수용체 (31) (수하부 (39)) 에 맞닿는다. 맞닿은 후,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스프링 (89) 이 압축됨으로써 송전 장치 (24) 측을 향해 퇴피한다. 이 상태에서는 송전 장치 (24) 의 접점 유지 부재 (71) 및 공급측 접점 (73) 이 커버 부재 (78) 의 선단부 (완충 블록 (87)) 보다 X 방향에서 수전 장치 (23)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기계식 주차장 (1) 및 충전 장치 (A) 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기계식 주차장 (1) 에 주차하고 있는 동안에 충전할 필요가 있는 전동 차량 (2E) 은, 입출고구 (3) 에서 파렛트 (15) 상에 정차했을 때에, 전동 차량 (2E) 의 사용자 혹은 주차장 담당자에 의해, 파렛트 (15) 에 형성된 수전 장치 (23) 의 콘센트부 (27) 를 덮는 방수 커버 (53) 와 콘센트부 (27) 의 콘센트 커버 (48a) 가 개방되어,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케이블이 콘센트부 (27) (콘센트 본체 (48)) 에 접속된다. 그 후, 이 파렛트 (15) 는 반송대 (12) 에 의해 송전 장치 (24) 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이 비어 있는 상태의 차량 격납 선반 (14) 에 격납된다.
파렛트 (15) 가 반송대 (12) 로부터 차량 격납 선반 (14) 상으로 옆으로 슬라이드하여, 차량 격납 선반 (14) 상의 정위치에 격납될 때에는, 파렛트 (15) 측에 형성된 수전 장치 (23) 와, 차량 격납 선반 (14) 측에 형성된 송전 장치 (24) 사이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떨어져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송전 장치 (24) 의 공급측 접점 (73) 에 수전 장치 (23) (수전부 (26)) 의 수전측 접점 (41) (접촉면 (41a)) 이 압착된다. 이로써, 공급측 접점 (73) 이 접점 유지 부재 (71) 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접점 유지 부재 (71) 의 내부로 되밀리고, 상기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공급측 접점 (73) 이 수전측 접점 (41) 의 접촉면 (41a) 에 가압된 상태로 접촉하여, 전기적 도통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공급측 접점 (73) 으로부터 수전측 접점 (41) 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 충전시에 있어서는,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점 유지 부재 (71) 의 선단부가 수전부 (26) 의 접점 수용체 (31) 의 개구부 (33) 보다 내부측으로 비집고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로써, 전동 차량 (2E) 이 주차하고 있는 동안에, 그 차재 배터리가 충전된다. 충전이 완료된 전동 차량 (2E) 이 출고할 때에는, 전동 차량 (2E) 이 재치되어 있는 파렛트 (15) 가 반송대 (12) 에 의해 입출고구 (3) 로 반송된 후, 전동 차량 (2E) 의 사용자 혹은 주차장 담당자에 의해, 콘센트부 (27) 에 접속된 충전 케이블이 떼어내어져 회수되고, 콘센트 커버 (48a) 와 방수 커버 (53) 가 닫히고 나서 전동 차량 (2E) 이 출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충전 장치 (A) 는, 그 수전 장치 (23) 가, 송전 장치 (24) 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 (26) 와, 전동 차량 (2E) 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콘센트부 (27) 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수전 장치 (23) 가 파렛트 (15) 의 연석부 (18) 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전 장치 (23) 의 내부에서 수전부 (26) 와 콘센트부 (27) 사이의 배선을 완료시켜 두고, 수전 장치 (23) 를 1 개의 유닛으로 하여, 그 구조를 간소하고 또한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파렛트 (15) 에 수전 장치 (23) (수전부 (26), 콘센트부 (27)) 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충전 장치를 장비하지 않는 기존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충전 장치 (A) 를 장비하는 개조 공사를 매우 간단하고 또한 단기간 내에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파렛트 (15) 의 연석부 (18) 에는 주차 차량이 올라앉지 않기 때문에, 연석부 (18) 의 상면에 설치된 수전 장치 (23) 가 방해가 되지 않아, 주차 차량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전 장치 (23) 의 폭 치수 (W) 가 연석부 (18) 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전 장치 (23) 에 주차 차량이 접촉하거나 파렛트 (15) 의 외주측에 있는 구조 부재 등이 수전 장치 (23) 에 간섭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전 장치 (23) 의 건전성을 유지하여 파렛트 (15) 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수전부 (26) 가 연석부 (18) 의 상면에 재치되고, 그 위에 콘센트부 (27) 가 중첩되도록 재치된다. 수전부 (26) 는, 콘센트부 (27) 를 상면에 얹음과 함께 파렛트 (15) 의 X 방향 (폭 방향) 의 외측 (송전 장치 (24) 측) 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 (33) 를 갖는 접점 수용체 (31) 를 구비한다. 이 접점 수용체 (31) 의 개구부 (33) 보다 깊숙한 위치에 접점 유지 부재 (32) 와 수전측 접점 (41) 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파렛트 (15) 의 X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접점 수용체 (31) 의 개구부 (33) 보다 깊숙한 위치에 수전측 접점 (41) 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점 수용체 (31) 의 천면 (35) 및 이 천면 (35) 상에 재치되는 콘센트부 (27) 가 차양 (덮개) 이 되어 수전측 접점 (41) 에 외부의 물이나 진애 등이 내려앉는 것이 방지되어, 수전측 접점 (41) 의 건전성이 유지되어 파렛트 (15) 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파렛트 (15) 의 연석부 (18) 의 상면에 설치된 수전부 (26) 의 상면에 콘센트부 (27) 가 재치되기 때문에, 콘센트부 (27) 의 높이가 파렛트 (15) 의 바닥면보다 현격히 높아져, 전동 차량 (2E) 의 사용자가 충전 케이블을 콘센트부 (27) 에 접속시킬 때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사이의 상대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공급측 접점 (73) 이 수전측 접점 (41) 에 대해 탄력을 가지고 압착되도록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사이의 상대 거리가 다소 변동되어도, 공급측 접점 (73) 과 수전측 접점 (41) 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파렛트 (15) 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수전측 접점 (41) 이, 송전 장치 (24) 와의 상대 이동 방향 (X 방향) 에 직교하는 면 방향의 접촉면 (41a) 을 갖고, 이것에 접촉하는 공급측 접점 (73) 이, 송전 장치 (24) 로부터 수전측 접점 (41) 의 접촉면 (41a) 을 향해 연장되도록 스프링 탄성 지지된 신축 가능한 봉상이기 때문에, 평판상으로 형성된 수전측 접점 (41) 및 접점 유지 부재 (32) 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전측 접점 (41) 을, 접점 수용체 (31) 의 개구부 (33) 에 대해, 보다 깊숙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전측 접점 (41) 에 물이나 진애 등이 내려앉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파렛트 (15) 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송전 장치 (24) 에는, 공급측 접점 (73) 의 상방을 덮음과 함께 수전 장치 (23) 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커버 부재 (78) 가 형성된다. 이 커버 부재 (78) 가,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사이의 상대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수전 장치 (23) 에 맞닿은 후, 송전 장치 (24) 측을 향해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사이가 떨어져 있을 때에도 접촉하고 있을 때에도, 공급측 접점 (73) 의 상방이 항상 커버 부재 (78) 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공급측 접점 (73) 에 물이나 진애 등이 내려앉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파렛트 (15) 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측 접점 (73) 이 접점 유지 부재 (71) 에 형성되어 수평 방향 (Y 방향) 에 3 개 배치되고, 이들 3 개의 공급측 접점 (73) 이 수전측 접점 (41) 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와 함께, 3 개의 공급측 접점 (73) 이, 접점 유지 부재 (71) 와 함께 일체가 되어 송전 장치 (24) 에 형성된 연직축 (64) 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전 장치 (23) 와 송전 장치 (24) 사이의 상대 거리나 상대 각도, 그리고 Y 방향의 상대 위치가 다소 변동되거나 어긋나거나 하고 있어도, 3 개의 공급측 접점 (73) 을 모두 양호하게 수전측 접점 (41) 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렛트에 확실하고 또한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충전 장치 (B) 에 대하여, 도 9 ∼ 도 1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렛트 (15) 및 충전 장치 (B) 를 구성하는 수전 장치 (91) 의 사시도이다. 도 10(a) 는 도 9 의 Xa 화살표에 의한 수전 장치 (91) 의 측면도, 도 10(b) 는 도 9 의 Xb 화살표에 의한 수전 장치 (91) 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a) 의 XI-XI 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수전 장치 (91) 는, 제 1 실시형태의 수전 장치 (23) 와 동일한 구성의 수전부 (26) 와 콘센트부 (27)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한편, 수전부 (26) 와 콘센트부 (27) 사이에 폴 부재 (92) 가 개재하여 장착되어 콘센트부 (27) 에 방수 커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만이 상이하다. 파렛트 (15) 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폴 부재 (92) 는, 예를 들어 금속의 환파이프 또는 각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폴 부재 (92) 의 하단부에 고착된 부착판 (93) 이, 수전부 (26) 를 구성하는 접점 수용체 (31) 의 상면에 볼트 (94) 에 의해 고정되고, 폴 부재 (92) 의 상단부에 고착된 부착판 (95) 이, 콘센트부 (27) 를 구성하는 콘센트 박스 (47) 의 바닥면에 볼트 (9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전부 (26) 의 접점 유지 부재 (32) (수전측 접점 (41)) 와, 콘센트부 (27) 의 콘센트 본체 (48) 사이를 접속시키는 도시 생략된 리드선이 폴 부재 (92) 의 내부를 지나도록 배선된다. 또, 폴 부재 (92) 의 중간부에 홀더 부재 (97) 가 볼트 (98) 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홀더 부재 (97) 는, 전동 차량에 부속되는 충전 케이블에 형성된 컨트롤러 등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전부 (26) 에 대해 콘센트부 (27) 를 폴 부재 (92) 분만큼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충전 케이블을 콘센트부 (27) 에 접속시킬 때에 몸을 수그리며 웅크리지 않아도 되게 되어, 조작성이 크게 향상된다. 폴 부재 (92) 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하는 대신에, 수지 파이프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파이프 등의 가요성이 있는 파이프로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만일 주차 차량이 콘센트부 (27) 나 폴 부재 (92) 에 충돌해도, 폴 부재 (92) 가 휨으로써 쌍방의 손상이 회피 혹은 경감된다. 또한, 폴 부재 (92) 를 밑부분에서 접을 수 있게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상에 구축된 주차탑 (4) 의 하부에 형성된 입출고구 (3) 로부터 차량 (2, 2E) 이 출입하는 하부 탑승식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지하에 구축된 차고에, 지상에 형성된 입출고구로부터 주차 차량이 출입하는 상부 탑승식의 기계식 입체 주차장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전 장치 (23, 91) 는 파렛트 (15) 의 연석부 (18) 의 단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연석부 (18) 의 중간부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전 장치 (23, 91) 와 송전 장치 (24) 가 파렛트 (15) 의 폭 방향 (X 방향) 으로 상대 이동하여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파렛트 (15) 의 길이 방향 (Y 방향) 이나 높이 방향 (Z 방향) 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수전 장치 (23) 의 커버 부재 (78) 나 그 회동 기구 등에 대해서도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A, B : 충전 장치
1 : 기계식 입체 주차장
2E : 전동 차량
3 : 입출고구
4 : 주차탑 (주차장 구조체)
11 : 승강 통로
12 : 반송대
14 : 차량 격납 선반 (주차장 구조체)
15 : 파렛트
18 : 연석부
23, 91 : 수전 장치
24 : 송전 장치
26 : 수전부
27 : 콘센트부
31 : 접점 수용체
32, 71 : 접점 유지 부재
33 : 개구부
41 : 수전측 접점
41a : 접촉면
48 : 콘센트 본체
64 : 연직축
73 : 공급측 접점
78 : 커버 부재
92 : 폴 부재
Y : 수전측 접점과 송전 장치의 상대 이동 방향
W : 수전 장치의 폭 치수

Claims (9)

  1. 전동 차량을 재치하여 주차장 구조체의 내부를 반송하는 파렛트를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에 부설되는 충전 장치로서,
    상기 파렛트에는 상기 전동 차량에 충전을 실시하기 위한 수전 장치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주차장 구조체측에는, 상기 수전 장치에 접촉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전력을 상기 수전 장치에 공급하는 송전 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는 수전부와, 상기 전동 차량의 충전 케이블이 접속되는 콘센트부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렛트의 측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연석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의 폭 치수는, 상기 연석부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게 설정되어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가 상기 연석부의 상면에 재치되고, 그 위에 상기 콘센트부가 중첩되도록 재치되고,
    상기 수전부는, 상기 콘센트부를 상면에 얹음과 함께 상기 파렛트의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를 갖는 접점 수용체와, 이 접점 수용체의 상기 개구부보다 깊숙한 위치에 설치된 수전측 접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전측 접점은, 상기 송전 장치에 형성된 공급측 접점과 접촉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받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송전 장치 사이의 상대 거리가 줄어듦으로써, 상기 공급측 접점과 상기 수전측 접점의 일방이 타방에 대해 탄력을 가지고 압착되도록 접촉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측 접점은, 상기 송전 장치의 상대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면 방향의 접촉면을 갖고, 상기 공급측 접점은,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수전측 접점의 상기 접촉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스프링 탄성 지지된 신축 가능한 봉상인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장치에는, 상기 공급측 접점의 상방을 덮음과 함께 상기 수전 장치를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커버 부재가 형성되고, 그 커버 부재는, 상기 수전 장치와 상기 송전 장치 사이의 상대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상기 수전 장치에 맞닿은 후, 상기 송전 장치측을 향해 퇴피하도록 구성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접점은, 수평 방향에 복수 배치되고, 이들 복수의 공급측 접점이 일체가 되어 상기 송전 장치에 형성된 연직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수전부와 상기 콘센트부 사이에 폴 부재가 개재하여 장착된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충전 장치를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KR1020137013744A 2011-05-27 2012-05-18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KR101515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9524A JP5400092B2 (ja) 2011-05-27 2011-05-27 機械式立体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JPJP-P-2011-119524 2011-05-27
PCT/JP2012/062813 WO2012165178A1 (ja) 2011-05-27 2012-05-18 機械式立体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615A true KR20130079615A (ko) 2013-07-10
KR101515733B1 KR101515733B1 (ko) 2015-04-27

Family

ID=4725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744A KR101515733B1 (ko) 2011-05-27 2012-05-18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00092B2 (ko)
KR (1) KR101515733B1 (ko)
CN (1) CN103384749B (ko)
SG (1) SG190733A1 (ko)
WO (1) WO20121651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305B1 (ko) * 2020-02-07 2020-08-18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기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7756A (ja) * 2013-03-13 2014-09-25 Nissei Ltd 機械式駐車装置
CN103147599B (zh) * 2013-03-29 2015-07-08 叶明旭 一种载车板可折叠并具有广告展示功能的停车装置
ITTO20130947A1 (it) * 2013-11-21 2015-05-22 Valgoglio Logistics Systems Di Valg Oglio Valter Struttura di parcheggio meccanizzata
WO2015115121A1 (ja) * 2014-01-31 2015-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接触給電システム
CN104134908A (zh) * 2014-08-12 2014-11-05 青岛齐星铁塔有限公司 一种机械式立体车库的充电装置
CN105178667B (zh) * 2015-10-12 2017-06-06 大洋泊车股份有限公司 横移梳齿架输送电装置及梳齿横移式立体车库
CN106042971B (zh) * 2016-07-26 2018-08-03 宁波芝麻开门智能停车装备科技有限公司 立体停车库的充电装置
CN106545205A (zh) * 2016-11-04 2017-03-29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平面移动型停车设备
IL251245B (en) * 2017-03-16 2018-03-29 Graner Peter Local electric power station
JP7086480B2 (ja) * 2018-11-29 2022-06-20 日精株式会社 機械式駐車装置
CN109854045A (zh) * 2019-01-14 2019-06-07 广东伟创五洋智能设备有限公司 充电智能车库
CN111711247B (zh) * 2020-07-08 2022-03-29 广州安商智能科技有限公司 适应于机器人大电流快速充电的充电桩及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302A (ja) * 1991-09-09 1993-03-19 Meidensha Corp 無人搬送車の自動充電装置
JP2638358B2 (ja) * 1991-10-23 1997-08-06 村田機械株式会社 無人搬送車の充電コネクター
JP2002004620A (ja) * 2000-06-23 2002-01-09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充電接点付きパレットとこれを用いた機械式駐車装置
CN2711317Y (zh) * 2004-06-02 2005-07-20 李祥启 一种机械式立体停车设备
JP2010133096A (ja) * 2008-12-02 2010-06-17 Shinmaywa Engineering Ltd 充電機能を備えた循環式駐車装置
JP2010226816A (ja) * 2009-03-23 2010-10-07 Nitto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JP5452109B2 (ja) * 2009-07-15 2014-03-2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5433380B2 (ja) * 2009-11-05 2014-03-05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装置用パレット
JP5566642B2 (ja) * 2009-08-28 2014-08-06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装置
JP2011063944A (ja) * 2009-09-15 2011-03-31 Shinmaywa Industries Ltd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305B1 (ko) * 2020-02-07 2020-08-18 에이제이오토파킹시스템즈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기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46679A (ja) 2012-12-13
KR101515733B1 (ko) 2015-04-27
JP5400092B2 (ja) 2014-01-29
CN103384749A (zh) 2013-11-06
WO2012165178A1 (ja) 2012-12-06
SG190733A1 (en) 2013-07-31
CN103384749B (zh)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9615A (ko) 기계식 입체 주차장의 충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기계식 입체 주차장
CN206071167U (zh) 一种用于多层升降横移型立体车库内电动汽车充电装置
EP3459785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CN106114268B (zh) 停车场电动汽车自动充电连接装置
EP2684733A1 (en)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device therefor
US20110066515A1 (en) Automated electric plug-in station for charging electric and hybrid vehicles
JP5638458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の充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械式立体駐車場
JP2012246679A5 (ko)
CN210174830U (zh) 多车型电动小客车的共享智能快速换电的换电站
CN106836902A (zh) 一种具有充电功能的立体车库
JP2011063944A (ja) 充電機能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CN111823939A (zh) 多车型电动小客车共享智能快换的双工位换电控制方法
CN210174826U (zh) 基于多车型的共享智能快速换电的双工位换电站
CN105818709A (zh) 升降横移立体车库上层载车板上电动汽车充电的装置
CN111823936A (zh) 不同换电车型电动小客车的共享智能快速换电的换电站
CN105298191B (zh) 一种可充电的垂直升降式立体车库
CN111634203A (zh) 共享式移动充电设备
CN111823941A (zh) 多车型电动小客车的共享智能快速换电的双工位换电站
JP2908939B2 (ja) 充電装置付き機械式駐車装置
CN213721781U (zh) 自移动清洁装置基站及自移动清洁系统
CN112606715A (zh) 换电系统
CN210706983U (zh) 一种电动车停放单元、服务站
CN107605215B (zh) 充电车库
CN108086732B (zh) 一种可移动的支撑保障用车辆服务站
CN111823938A (zh) 不同换电车型电动小客车的共享智能快速换电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