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545A -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및 그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및 그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545A
KR20130079545A KR1020137009862A KR20137009862A KR20130079545A KR 20130079545 A KR20130079545 A KR 20130079545A KR 1020137009862 A KR1020137009862 A KR 1020137009862A KR 20137009862 A KR20137009862 A KR 20137009862A KR 20130079545 A KR20130079545 A KR 20130079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opening member
opening
insertion passag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279B1 (ko
Inventor
카즈히로 우메나카
타케시 고지마
나오미 하시모토
토시유키 야마기시
카네히데 오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닛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닛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20130079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65D71/502Coaxi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6Dispens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개구를 갖는 백(10)과 이 개구에 장착되어 있는 개구 부재(20)를 구비한다. 또한, 개구 부재는 통 형상의 삽입 통과부(22)와 다른 용기의 용기측 접속부와 접속하기 위한 백측 접속부(31)를 갖고, 이 삽입 통과부의 내면에 백이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최내주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의하면, 백 내의 내용물을 밖으로 꺼낼 때에 내용물의 잔존량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및 그 접속 구조{BAG WITH ATTACHED MOUTH MEMBE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SAID BAG}
본 발명은, 백과 이 백의 개구에 장착되어 있는 개구 부재를 갖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및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11월 2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0-260606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의약품 제조업에서는 청정 환경하에서 무균 제제용의 아이솔레이터나 스테인리스제 탱크를 사용하여, 혼합, 반응, 추출, 여과, 정제 등 각종 단위 조작을 거쳐 원체(原體)나 제제 등의 약제가 제조된다. 하나의 단위 조작에서 다음 단위 조작으로 이행할 때는, 이들 단위 조작에서 취급되는 원료가 접속된 라인을 통하여 또는 이송용 용기에 옮겨 담아져 이송된다. 이 이송은 동일 공장 내의 약제 조제 구역에서 충전 작업 구역으로, 또는 원체 제조 공장과 제제 공장과 같이 다른 공장 간에 행하여지는 경우도 있다. 단위 조작에 있어서 1회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 처리에 대비하기 위하여 사용한 탱크나 라인 등이 세정된다.
세정은 완전하게 행하여질 필요가 있고, 완전한 세정이 행하여진 것에 대한 확인도 포함되기 때문에 많은 수고와 노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최근, 수고와 노력이 필요한 세정을 피하기 위해, 세정이 필요한 이들 탱크 등을 대신하여 플렉시블 용기를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고, 이 경향은 특히, 바이오 의약품 제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리스제 탱크 등 기존 설비와의 접속구에 접속 가능한 개구 부재를 플렉시블한 백의 개구에 장착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사용된다.
이러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이하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유연한 백과, 이 백의 개구로부터 백 내로 비집고 들어가는 통부를 갖는 개구 부재와, 백 내로 비집고 들어가 있는 통부의 외주면 사이에 백의 개구부를 끼워 넣는 클램프를 갖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유연한 백과, 이 백의 개구로부터 백 내로 비집고 들어가는 통부를 갖는 개구 부재를 갖고 있다. 개구 부재는, 백 내로 비집고 들어가 있는 통부의 외주면과 백의 개구부의 내주면이 접착됨으로써 백에 장착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974185호 도 1, 도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37482호 도 2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어느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도, 백의 개구로부터 백 내로 개구 부재의 통부가 비집고 들어간 상태로, 백의 내면과 통부의 외면의 접착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백의 내용물을 밖으로 꺼낼 때, 백 내로 비집고 들어가 있는 통부의 단면(端面)과 백의 내주면의 모서리 부분에 내용물이 잔존하게 된다. 특히 내용물이 매우 고가의 약제 등인 경우, 내용물의 잔존량이 소량이어도 제품의 제조 비용의 손실이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백의 내용물을 밖으로 꺼낼 때에 내용물의 잔존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1 발명은,
개구를 갖는 백과 이 개구에 장착되어 있는 개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 부재가 통 형상의 삽입 통과부와 다른 용기의 용기측 접속부와 접속하기 위한 백측 접속부를 갖고, 이 삽입 통과부의 내면측에 상기 백이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최내주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1 발명에서는, 개구 부재의 내면측에 상기 백이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최내주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내에 이 백을 형성하는 필름을 끼워 넣기 위한 부재 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백의 내용물을 백 밖으로 꺼낼 때에, 백 내에 장해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잔류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부의 백측 단부에 삽입 통과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2 발명에서는, 삽입 통과부의 백측 단부에 삽입 통과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으로 인해, 삽입 통과부의 백측 단부에 있어서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삽입 통과부가 백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이 단부 근방에 있어서 백에 부하가 걸려도, 백으로의 응력 집중이 완화되어 백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3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이 시일부를 갖고, 상기 삽입 통과부의 백측 단부 중 상기 시일부와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삽입 통과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루어지는 육후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3 발명에서는, 시일부의 주위가 육후부로 완전하게 덮여, 시일부가 개구 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된다. 그 결과, 이 부분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로부터의 시일부의 박리와, 그것에 수반되는 개구 부재의 파손이나 내용물으로의 이물질 혼입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4 발명은,
상기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가 백의 주위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4 발명에서는, 개구 부재가 백의 주위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백과 개구 부재의 용착 부위에 있어서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상기 용착 부위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이 간극에 의한 내용물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5 발명은,
상기 제4 발명에 있어서, 삽입 통과부의 내주면을 백측의 단부측을 향해 축경시켜 이루어지는 단차부가 삽입 통과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단차부의 위치가 상기 백의 개구측 단면의 위치와 일치하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5 발명에서는, 인서트 성형시에 개구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가 백의 개구측으로 누설되었다고 해도, 수지가 단차부에 머무르게 된다. 이 때문에, 백의 개구측 단면으로부터 백의 내측으로 수지가 흘러 떨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6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은, 상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부(首部)와 이 수부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접속되어 있는 백 본체를 갖고, 상기 개구 부재는, 상기 백의 상기 수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의 상기 삽입 통과부를 갖는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내주측에 상기 삽입 통과부가 감합되는 링 부재를 갖고,
상기 백의 상기 수부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양단의 개구 중 일방의 백 본체측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 통과 구멍 내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타방의 접속측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 통과 구멍 밖으로 꺼내어지고, 상기 수부 중 상기 삽입 통과 구멍 밖으로 꺼내어진 상기 수부의 개구측 부분이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을 따라 절첩되고, 상기 링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링 부재의 내주측에 감합된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백이 상기 개구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링 부재 중, 일방의 부재의 외주측에 상기 백측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6 발명에서는, 백의 수부를 절첩하여 이 수부에 있어서 백을 형성하는 필름을 이중화하고, 외주측의 필름에 대해서 내주측에 배치한 삽입 통과부와 외주측의 링 부재 사이에 끼워 넣고 있기 때문에, 절첩 부분보다 백 본체측인 백 내에는 이 백을 형성하는 필름을 끼워 넣기 위한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백의 내용물을 백 밖으로 꺼낼 때에 백 내에 장해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잔류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7 발명은,
상기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는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 상에,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상기 접속측 개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백 본체측 개구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 통과부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된, 상기 백측 접속부로서의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플랜지부는 삽입 통과 구멍의 접속측 개구를 기준으로 하여 백 본체측 개구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플랜지부가 다른 용기의 플랜지부와 접속되었을 때, 삽입 통과부의 접속측 개구는 다른 용기의 접속구 내로 비집고 들어간다. 이 때문에, 제2 발명에서는 백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투입할 때 내용물이 플랜지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8 발명은,
상기 제6 또는 제7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 중 일방의 면에는 타방의 면측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고, 타방의 면에는 상기 볼록부가 감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8 발명에서는, 링 부재의 내주측에 삽입 통과부가 감합되면, 링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감합된다. 따라서 링 부재의 내주측에 삽입 통과부가 감합되면, 삽입 통과부에 대해서 삽입 통과 구멍이 신장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링 부재의 상대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9 발명은,
상기 제6 내지 제8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상기 백의 상기 수부가 접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수부의 부분이 상기 내주면에 대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백의 수부가 접착되어 있지 않고,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수부의 부분이 내주면에 대해서 삽입 통과 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면, 백의 내용물을 백 밖으로 꺼낼 때에 백 본체를 흔들면, 이 백 본체의 흔들림에 수반하여 삽입 통과 구멍 내의 수부도 흔들려 효과적으로 백 내의 잔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한 제10 발명은, 상기 제6 내지 제9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그 외주면을 직경 방향 외방으로 확경시켜 이루어지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이 손잡이의 위치가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취급할 때 작업자가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닿아도 지장이 없는 범위를 규정하고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한다.
제10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음으로써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조작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손잡이의 위치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취급할 때 작업자가 개구 부재 본체에 닿아도 지장이 없는 범위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작업자가 손잡이를 넘어 불필요하게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개구단 등에 닿는 경우가 없어 품질 관리 및 위생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접속 구조에 대한 제1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한 발명에 따른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과,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다른 용기의 접속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노즐은,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상기 백측 접속부가 접속되는 용기측 접속부와,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상기 개구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비집고 들어가는 접속구를 갖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접속 구조에 대한 제1 발명에서는, 다른 용기의 접속구 내에 적어도 개구 부재의 일부가 비집고 들어가므로, 백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에 투입할 때 내용물이 접속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구 부재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는 백 내에는 이 백을 형성하는 필름을 끼워 넣기 위한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백의 내용물을 백 밖으로 꺼낼 때에 백 내에 장해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잔류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백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의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A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의 도 4에 부호 B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의 육후부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개구 부재와 백의 접속 위치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 및 공급 탱크의 접속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 및 수용 탱크의 접속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정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 및 공급 탱크의 접속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구 부재 및 수용 탱크의 접속 노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개구 부재(20)의 내면에 유연한 백(10)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최내주면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백(10)은, 예를 들면 2 장의 합성 수지 필름의 주연(周緣)을 히트 시일 등에 의해 시일하거나, 또는, 합성 수지의 인플레이션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통 형상의 필름의 주연을 히트 시일 등에 의해 시일하여 형성된다.
백(10)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입수 용이하고 투명성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합성 수지에는 여느 첨가제를 첨가해도 되지만, 첨가제가 백의 내용물에 약간이라도 혼입되어 버리는 경우나 내용물을 변질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첨가물의 첨가는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필름의 두께는 백(10)의 용량에 따라서도 따르지만, 대략 50㎛∼1000㎛이다. 또한, 이 백(10)은 내부 백, 외부 백의 이중 백이어도 된다. 이중 백의 사용 형태로는, 예를 들면 이중 백의 외면이 오염되었을 경우 오염된 외부 백을 제거한 후, 청정 에어리어에 내부 백만을 이송하여, 청정 에어리어의 오염을 방지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백(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수부(11)와, 이 수부(11)에 연결되어 있는 백 본체(15)를 갖고 있다. 수부(11)의 폭 치수(W2)는 백 본체(15)의 최대 폭(W1)보다 작다. 백 본체(15)의 폭 치수는, 수부(11)에 가까워짐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고, 수부(11)와의 접속 부분에서 수부(11)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백 본체(15)의 하부 시일부(16)에는 백 유지용의 2개의 관통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7)은, 백(10)을 파지하기 위해 또는 백(10)을 봉 형상의 것에 걸기 위해 사용되는 구멍으로, 백(10)이 형성하고 있는 내부 공간과는 연통되어 있지 않다. 또한 부호 18은, 백(10)을 구성하는 필름의 주연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백(10)의 측단부에 형성된 시일부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구 부재(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10)의 수부(11)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23)이 형성된 부재로서, 상술한 삽입 통과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삽입 통과부(22)와, 이 삽입 통과부(22)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로서의 플랜지부(31)를 갖고 있다. 그리고 삽입 통과부(22)의 내주면에, 백(10)의 수부(11)의 외주면이 용착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인 용착 방법으로는, 후술하는 인서트 성형을 들 수 있다.
삽입 통과부(22)의 양 단면(26, 27) 중 백 본체측 단면(26)에는 삽입 통과 구멍(23)의 백 본체측 개구(24)가 형성되고, 접속측 단면(27)에는 삽입 통과 구멍(23)의 접속측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삽입 통과 구멍(23)의 연장 형성 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접속측 개구(25)측(도에 있어서의 상방)을 X방향 일단측으로 하며, 백 본체측 개구(24)측(도에 있어서의 하방)을 X방향 타단측으로 한다.
접속측 단면(27)의 근방에는,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을 삽입 통과부(22)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넓게 하여 이루어지는 플랜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 상에, 삽입 통과 구멍(23)의 접속측 개구(25)측 위치에 삽입 통과부(22)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1)의 X방향 일단측을 향하는 면은 접속면(32)을 이루고, 이 접속면(32)에 X방향 타단측으로 패인 고리형의 시일 홈(33)이 삽입 통과부(22)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부(22) 중 플랜지부(31)보다 X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경은, X방향 일단측을 향해 점차 축경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측 단면(27)의 근방에는 삽입 통과부(22)의 내주면을 X방향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시켜 이루어지는 단차부(28)가, 삽입 통과부(22)의 둘레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28)의 상기 타단측 단연(端緣)(28a)의 위치는, 백(10)의 개구(12)측 단면의 위치와 일치되어 있다.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 중 플랜지부(31)의 X방향 타단측 및 백 본체측 단면(26)의 X방향 일단측에는,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을 직경 방향 외방으로 확경시켜 이루어지는 손잡이(2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29)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의 돌출량은 플랜지부(31)보다 작다. 또한 손잡이(29)의 형성 위치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취급할 때 작업자가 삽입 통과부(22)에 닿아도 지장이 없는 범위의 양단측에 각각 손잡이(29)가 형성되도록 정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손잡이(29)의 위치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취급할 때 작업자가 삽입 통과부(22)에 닿아도 지장이 없는 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플랜지부(31)의 X방향 일단측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탱크(후술한다)와의 접속 부위가 되기 때문에, 백의 내용물으로의 이물질 혼입의 관점에서 작업자가 만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백 본체측 단면(26)의 X방향 타단측은 유연한 백(10)이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백의 파손 방지 등의 관점에서 작업자가 만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플랜지부(31)와 백 본체측 단면(26) 사이에,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을 그 둘레 방향에 따라 직경 방향 외방으로 확경시켜 이루어지는 2개의 확경부를 형성하고, 이들 확경부를 각각 손잡이(29)로 하고 있다.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타단측 단부는,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을 상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시켜 이루어지는 테이퍼부(30)로 되어 있다. 그 결과, 테이퍼부(30)의 타단연은 백 본체측 단면(26)과 일치된다. 또한, 테이퍼부(30) 중 백(10)의 측단부에 형성된 시일부(18)와 겹쳐지는 부분에는, 테이퍼부(30)의 직경 방향에 따른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루어지는 육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육후부(34)는, 테이퍼부(30)가 시일부(18)와 겹쳐지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180도 대칭되는 위치에 2지점 형성되어 있다. 육후부(34)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10)의 둘레 방향으로 절곡된 시일부(18)를 주위로부터 덮음으로써, 육후부(34)의 측면에 있어서의 시일부(18)의 노출을 방지하고 시일부(18)를 개구 부재(20)의 X방향 타단측 단부에 확실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개구 부재(20)는, 사출 성형용 금형(도시하지 않음) 내에 백(10)을 설치하고 수부(11)의 주위에 용융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백(10)의 외주면이 삽입 통과 구멍(2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백(10)과 일체적으로 인서트 성형된다. 이 때 금형의 파팅 라인과 2지점의 육후부(34)를 연결하는 라인이 겹쳐지지 않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파팅 라인과 육후부(34)를 연결하는 라인이 직교하는 위치가 되는 금형을 사용하는 것이 육후부(34)가 시일부(18)를 확실히 덮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 부재(20)의 재질은, 백(10)의 재질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 부재(2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세탈, ABS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합성 수지 중, 적당한 강성을 갖고 또한 성형성도 우수한 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감마선 멸균시의 열화가 적은 점에서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합성 수지는 무첨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내용물이 분체인 경우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의 부착 방지를 위하여, 계면활성제계 등의 대전 방지제나 카본 등의 도전성 첨가제를 혼합하여도 된다.
상기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그 접속측 개구(25)를 뚜껑으로 막거나 또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전체를 다른 백으로 포장한 후, 감마선이나 전자선을 조사하는 등의 처리에 의해 살균된다.
살균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예를 들면 제약 공장의 청정 에어리어 내에서 개방되고, 이 에어리어 내의 탱크 등에 접속되어 탱크의 내용물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백(10) 내로 투입된다. 그리고 이 백(10) 내의 내용물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이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탱크에 접속되어 백 내용물이 이 탱크 내에 투입된다.
여기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탱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탱크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내용물을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공급하는 공급 탱크(50a)와, 도 8에 나타내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부터 내용물을 받아 들이는 수용 탱크(50b)가 있다.
공급 탱크(50a) 및 수용 탱크(50b)는, 모두 탱크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이 탱크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 노즐(51)을 갖고 있다. 접속 노즐(51)은 위생 페룰(sanitary ferrule)로 불리고, 내주측에 탱크 본체의 내부와 연결되는 접속구(53)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접속통부(52)와, 이 접속통부(52)의 단부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용기측 접속부)(55)를 갖고 있다.
접속통부(52)의 내경, 바꾸어 말하면 접속구(53)의 개구 직경은, 삽입 통과부(22)의 플랜지부(31)보다 X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최대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플랜지부(55)의 외경은, 개구 부재(20)의 플랜지부(31)의 외경과 동일하다.
플랜지부(55)의 접속면(56)에는, X방향 일단측(탱크 본체측)으로 패인 고리형의 시일 홈(57)이 접속통부(52)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 홈(57)의 각 치수는, 개구 부재(20)의 플랜지부(31)의 시일 홈(33)과 대응하고 있다. 즉, 양 시일 홈(33, 57)의 직경 및 깊이는 대략 동일하다.
공급 탱크(50a)의 접속 노즐(51)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접속통부(52) 및 플랜지부(55) 외에 접속구(53) 내에 배치된 슈트부(58)를 갖고 있다. 이 슈트부(58)는, 개구 부재(20)의 접속측 개구(25)측을 향하여 점차 축경되어 있고, 슈트부(58)의 최대 직경 부분인 단부(58b)가 접속구(53) 안쪽의 내주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슈트부(58)의 재질은 공급 탱크(50a)나 접속 노즐(51)과 동일한 재질로 하는 것 외에, 상술한 개구 부재(20)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단부(58b)를 접속구(53)의 내주면에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슈트부(58)는 접속측 개구(25)에 비집고 들어가 맞닿아 지지된다. 슈트부(58)의 X방향 타단측 단부(58a)는, 그 외경이 개구 부재(20)의 접속측 개구(25)의 내경보다 작고, X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55)의 접속면(56)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슈트부(58)는, 그 X방향 타단측 단부(58a)의 외경이 개구 부재(20)의 접속측 개구(25)의 내경보다 작으면 되고, 점차 축경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일부에 동일 직경을 이루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공급 탱크(50a)의 접속 노즐(51) 또는 탱크 본체에는, 탱크 본체로부터 접속구(53)로의 내용물 유출을 제한하는 셔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 탱크(50a)의 접속 노즐(51)은 탱크 본체의 하측에 장착되고,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이 접속 노즐(51) 아래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7에서는, X방향 일단측이 상방이 된다. 또한 수용 탱크(50b)의 접속 노즐(51)은 탱크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고,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이 접속 노즐(51) 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8에서는, X방향 일단측이 하방이 된다.
이어서, 도 7을 이용하여 공급 탱크(50a)로부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의 내용물의 투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의 시일 홈(33)에 O링(62)을 감합시킨다. 이어서, 이 시일 홈(33)에 감합된 O링(62)이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의 시일 홈(57)에 감합되도록, 양 플랜지부(31, 55)의 접속면(32, 56)을 대향시키고 나서, 공급 탱크(50a)에 대해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접근시킨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접근하면,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일단부가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 내로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구(53)의 개구 직경은 삽입 통과부(22)의 플랜지부(31)보다 X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최대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삽입 통과부(22)의 플랜지부(31)보다 X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경은, X방향 일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되고 있어 접속측 단면(27)에 있어서 최소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대해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가 X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다소 어긋나 있다고 해도, 이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이 이 방향으로의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이 방향의 위치 엇갈림을 수정한다.
또한,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일단부가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 내로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하면, 공급 탱크(50a)의 슈트부(58)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삽입 통과 구멍(23) 내로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한다. 즉,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일단부는,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의 내주측과 공급 탱크(50a)의 슈트부(58)의 외주측 사이의 간극으로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31)에 한층 더 접근하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의 시일 홈(33)에 감합시킨 O링(62)이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의 시일 홈(57)에 감합되기 시작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의 시일 홈(33)에 감합시킨 O링(62)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대해서 볼록 부재이다. 이 때문에, 이 O링(62)도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일단부의 경사진 외주면과 함께 플랜지부(31, 55)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플랜지부(31, 55)끼리의 상대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양 플랜지부(31, 55)의 접속시에 양 플랜지부(31, 55)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수 있다.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의 내주면이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일단부의 외주면에 접하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는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그 이상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X방향 및 X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양 플랜지부(31, 55)의 상대 위치가 정해진다.
X방향 및 X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양 플랜지부(31, 55)의 상대 위치가 정해지면, 접속 클램프(63)를 사용하여 양 플랜지부(31, 55) 상호를 접속한다. 접속 클램프(63)로는, 예를 들면 ISO 페룰 유니온 조인트로 규정되는 클램프가 있다.
양 플랜지부(31, 55) 상호의 접속이 완료되면, 공급 탱크(50a) 내의 셔터(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함으로써, 공급 탱크(52a)의 탱크 본체 내의 내용물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투입된다.
양 플랜지부(31, 55) 상호의 접속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공급 탱크(50a)의 슈트부(58)의 끝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삽입 통과 구멍(23) 내로 비집고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공급 탱크(50a)의 내용물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백(10) 밖으로 나오지 않고 확실하게 이 백(10) 내로 투입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플랜지부(31, 55) 간에 시일 부재로서의 O링(62)을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양 플랜지부(31, 55)의 접속 부분으로부터의 내용물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시일 부재로서 O링(62)을 사용하고 있지만, 각 플랜지부(31, 55)의 시일 홈(33, 57)에 감합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시일 부재를 사용해도 되며, 예를 들면 O링(62) 대신 개스킷을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도 8을 이용하여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부터 수용 탱크(50b)로의 내용물의 투입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도, 상술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의 접속과 동일하게,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와 수용 탱크(50b)의 플랜지부(55)를 접속한다. 단,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내의 내용물이 이 접속 과정에서 유출되지 않도록, 이 접속 과정에서는 백(10)의 수부(11)와 백 본체(15)(도 2 참조)의 경계선 근방에서 수부(11)에 대해서 백 본체(15)를 절곡시켜 백 본체의 바닥측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31)와 수용 탱크(50b)의 플랜지부(55)의 접속이 완료되면, 백(10)의 백 본체(15)를 들어 올려 백 수부(11)에 대해서 백 본체(15)를 위에 위치시키고 백 본체(15) 내의 내용물을 수용 탱크(52b)로 투입한다.
유연한 백을 경질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 유연한 백의 개구 근방을 내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와 외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 사이에 끼워 넣는 방법이나, 또는 유연한 백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의 외주면을 접착시키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백의 내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가 백 내용물을 백 밖으로 꺼낼 때의 장해가 되어, 이 내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쪽에 백 내용물이 남아 버린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통과부(22)의 내주면에 백(10)의 수부(11)의 외주면이, 백(10)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최내주면측에 위치하도록 용착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10)의 내부에는 백(10)의 필름을 끼워 넣기 위한 부재 또는 접착된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내용물을 백(10) 밖으로 꺼낼 때에 백(10) 내에 장해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잔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통과부(22)의 내주면에 백(10)의 수부(11)의 외주면이 백(10)의 수부(11) 주위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개구 부재(20)를 형성하는 인서트 성형을 이용한 용착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어, 백(10)의 수부(11)의 내주면에 백(10)의 고정을 위한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스무스하다. 이 때문에, 수부(11) 부근에 내용물이 잔류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백(10)과 개구 부재(20)의 밀착 부위에 간극(터널)이 형성되지 않고, 이 간극에 있어서의 이물질의 협지를 방지할 수 있어, 작업시에 협지된 이물질이 간극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에 의한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성형에서는 금형 내의 수지가 양호하게 널리 퍼지기 때문에, 백(10)과 개구 부재(20)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상기 간극의 형성이 방지될 뿐만이 아니라,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기밀성도 향상된다. 또한, 백(10)과 개구 부재(20) 사이에 조립 공정이 없기 때문에 조립에 수반되는 수지의 마찰 찌꺼기 등이 발생하지 않고, 내용물으로의 이물질 혼입이 방지된다. 또한, 조립과 같이 작업자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접촉하지 않아도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위생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타단측 단부가,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을 상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시켜 이루어지는 테이퍼부(30)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퍼부(30)에서는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일단측의 부위에 비해 삽입 통과부(22)의 두께가 얇아져, 유연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부터 내용물을 꺼낼 때에 백(10)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적어지도록 개구 부재(20)에 대해서 백 본체(15)를 흔들었을 경우에도, 테이퍼부(30)가 이 테이퍼부(30)로부터 X방향 타단측으로 뻗은 백 본체(15)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추종하여,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타단측 단부에 있어서의 수부(11)로의 응력 집중이 완화된다. 따라서,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타단측 단부에 있어서 수부(11)에 부하가 걸려도, 백(10)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술한 인서트 성형을 행할 때에는, 삽입 통과부(22)의 X방향 타단측 단부에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이 부분에서 백(10)이 가압된 용융 수지에 눌려 백(10)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하여 테이퍼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면, 이 부분을 성형하는 금형이 테이퍼부(30)의 형상에 따라 끝이 가는 형상이 되기 때문에 인서트 성형을 행했을 때에 이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이 저하된다. 그 결과, 백(10)이 용융 수지에 눌려 백(10)의 두께가 국부적으로 얇아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테이퍼부(30) 중 백(10)의 측단부에 형성된 시일부(18)와 겹쳐지는 부분에는, 테이퍼부(30)의 직경 방향을 따른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루어지는 육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일부(18)의 주위가 육후부(34)로 완전하게 덮이고, 육후부(34)의 측면에 있어서의 시일부(18)의 노출이 방지되어, 시일부(18)가 개구 부재(20)의 X방향 타단측 단부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그 결과, 이 부분에 있어서의 삽입 통과부(22)로부터의 시일부(18)의 박리와, 이에 따른 개구 부재(20)의 파손이나, 내용물으로의 이물질 혼입이 방지된다.
또한 삽입 통과부(22)의 접속측 단면(27)의 근방에는, 단차부(28)가 그 단연(28a)의 위치가 백(10)의 개구(12) 측 단면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도 5에 화살표(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시에 삽입 통과부(22)를 구성하는 수지가 백(10)의 개구(12) 측으로 누설되었다고 해도, 수지가 단차부(28)에 머무르게 된다. 이 때문에, 백(10)의 개구(12) 측 단면으로부터 백(10)의 내측으로 수지가 흘러 떨어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삽입 통과부(22)의 외주면에 손잡이(2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은 의약품 제조업의 청정 에어리어 내의 작업자가 손잡이(29)를 잡음으로써,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조작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손잡이(29)의 위치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취급할 때 작업자가 삽입 통과부(22)에 닿아도 지장이 없는 범위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작업자가 손잡이(29)를 넘어 불필요하게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개구단 등에 닿는 경우가 없어 품질 관리 및 위생면에서도 유리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재 중,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재에 관해서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개구 부재(120)의 내면에 유연한 백(10)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최내주면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개구 부재(12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10)의 수부(11)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는 개구 부재 본체(121)와 개구 부재 본체(121)의 일부가 내주측에 감합되는 링 부재(141)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 부재 본체(121)는, 상술한 삽입 통과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삽입 통과부(122)와 이 삽입 통과부(122)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로서의 플랜지부(131)를 갖는다.
통 형상의 삽입 통과부(122)의 양 단면(126, 127) 중 X방향 타단측 단면인 백 본체측 단면(126)에는 삽입 통과 구멍(123)의 백 본체측 개구(124)가 형성되고, X방향 일단측 단면인 접속측 단면(127)에는 삽입 통과 구멍(123)의 접속측 개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부(122)의 X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측 단면(127)과 백 본체측 단면(126) 사이의 위치에는, 삽입 통과부(122)의 외주면을 삽입 통과부(122)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넓게 하여 이루어지는 플랜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통 형상의 삽입 통과부(122)의 외주면 상에, 삽입 통과 구멍(123)의 접속측 개구(125)를 기준으로 하여 백 본체측 개구(124)측 위치에 삽입 통과부(122)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31)의 X방향 일단측을 향하는 면은 접속면(132)를 이루고, 이 접속면(132)에 X방향 타단측으로 패인 고리형의 시일 홈(133)이 삽입 통과부(122)와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부(122) 중 플랜지부(131)보다 X방향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링 부재(141)의 내주측에 감합되는 감합부(128)를 이루고 있다. 이 감합부(128)의 외주면으로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측 단면(127)과 플랜지부(131)의 접속면(132) 사이의 위치에는, 삽입 통과부(122)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128)에 있어서의 삽입 통과 구멍(123)의 내경, 바꾸어 말하면 삽입 통과 구멍(123)의 접속측 개구(125)측 부분의 내경은, 백(10)의 수부(11)를 X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부풀렸을 때에 수부(11)의 외주면과 접속측 개구(125)측 부분의 내주면이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한편, 삽입 통과 구멍(123)의 백 본체측 개구(124)측 부분은, 백 본체측 개구(124)로 향함에 따라 점차 확경되어 백 본체측 개구(124)의 위치에서 최대 직경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삽입 통과 구멍(123)에 백(10)의 수부(11)를 삽입 통과시켰을 때, 삽입 통과 구멍(123)의 접속측 개구(125)측 부분에서는 수부(1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지만, 삽입 통과 구멍(123)의 백 본체측 개구(124)측 부분에서는 수부(11)의 주연의 시일부를 절곡시킨 상태에서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링 부재(141)의 내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통과부(122)의 감합부(128)가 감합될 수 있도록, 이 감합부(128)의 외경에 백(10)의 필름의 두께를 더한 길이와 거의 동일한 크기이다. 또한, 링 부재(141)의 X방향의 치수는, 감합부(128)의 X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 링 부재(141)에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가 감합된 상태에서는, 링 부재(141)의 X방향 타단측 단면(142)이 개구 부재 본체(121)의 플랜지부(131)에 접하고, 링 부재(141)의 X방향 일단측 단면(143)이 개구 부재 본체(121)의 접속측 단면(127)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또한 이 링 부재(141)의 내주면에는, 이 링 부재(141)에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가 감합되었을 때, 감합부(128)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29)가 비집고 들어가는 오목부(149)가 형성되어 있다.
링 부재(141)의 X방향 타단측 단부의 외경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용기의 접속구(53)(도 12, 13 참조)의 개구 직경과 거의 동일하여,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용기에 접속했을 때에는 이 X방향 타단측 단부의 외주면이 용기의 접속구(53)의 내주면에 접한다. 또한, 링 부재(141)의 X방향 일단측의 외경은, X방향 일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경되고 있어 링 부재(141)의 X방향 일단측 단면(143)에서 최소 외경이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개구 부재 본체(121) 및 링 부재(141)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세탈, ABS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합성 수지 중, 적당한 강성을 갖고 또한 성형성도 우수한 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감마선 멸균시의 열화가 적은 점에서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합성 수지는 무첨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내용물이 분체인 경우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의 부착 방지를 위하여, 계면활성제계 등의 대전 방지제나 카본 등의 도전성 첨가제를 혼합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접속 상대측 용기의 접속구(53)나 백(10) 내의 내용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개구 부재 본체(121)의 형성 수지에는 계면활성제계 첨가제를 혼합하는 한편, 접속구(53)와 접촉할 수 있는 링 부재(141) 및 백(10)의 형성 수지를 무첨가로 하면, 대전 방지 효과를 발현시키면서 백(10) 내의 내용물으로의 첨가제의 이행 및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백(10) 및 개구 부재(120)를 준비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부재 본체(121)의 백 본체측 개구(124)로부터 백 수부(11)를 삽입 통과 구멍(123) 내로 넣고, 이 수부(11)의 개구측 부분(13)을 개구 부재 본체(121)의 접속측 개구(125)로부터 삽입 통과 구멍(123) 밖으로 꺼낸다. 그리고 삽입 통과 구멍(123) 밖으로 나온 수부(11)의 개구측 부분(13)을 외측으로 절첩하여, 이 수부(11)의 개구측 부분(13)을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의 외주면에 대향시킨다.
이어서, 개구 부재 본체(121)에 백 수부(11)를 접착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를 링 부재(141)에 감합시켜 이 감합부(128)의 외주면과 링 부재(141)의 내주면 사이에 절첩된 수부(11)의 개구측 부분(13)을 끼워 넣음으로써, 백(10)을 개구 부재(120)에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각 부재의 치수에 따라서는, 개구 부재(120)에 대한 백(10)의 장착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 부재 본체(121)에 백 수부(11)를 접착하고 있다.
여기서, 접착에는 접착제를 사용해도 되지만,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청정 환경 하에서 사용되므로 이물질 혼입의 가능성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개구 부재 본체(121)와 백 수부(11)를 모두 용융시켜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고주파 시일에 의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 수부(11)가 접착되는 개구 부재 본체(121)의 부위로는,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28) 외주면과 개구 부재 본체(121)의 접속측 단면(127) 중 적어도 일방의 면이 바람직하고, 특히 개구 부재 본체(121)의 접속측 단면(127)이 가장 바람직하다.
백(10)으로부터 가루인 내용물을 꺼낼 때는, 개구 부재(120)에 대해서 백 본체(15)를 흔들어 내용물이 백(10) 내에 남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백 수부(11)도 백 본체(15)의 흔들림에 수반하여 어느 정도 흔들리는 편이 백(10) 내의 잔류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구 부재 본체(21)의 삽입 통과 구멍(123)의 내주면과 백 수부(11)는 접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고주파 시일을 행하는 경우, 접착면이 평면인 편이 접착 작업의 수고가 적고, 또한 착실한 접착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 외주면보다 개구 부재 본체(121)의 평탄한 접속측 단면(127)에 백 수부(11)의 외주면을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 외주면에 백 수부(11)의 외주면을 접착하려고 하면 백 수부(11)에 주름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도 개구 부재 본체(121)의 접속측 단면(127)에 백 수부(11)의 외주면을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백 수부(11)를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 외주면에 접착했을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합부(128)의 외주가 링 부재(41)로 덮이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착제에 의한 오염의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백 수부(11)를 개구 부재 본체(121)의 접속측 단면(127)에 접착한 경우여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측 단면(127)이 백으로부터의 내용물의 배출 방향을 향한 면이기 때문에, 이 접착제에 의한 오염의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부재(141)의 X방향 타단측으로부터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를 링 부재(141)에 감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링 부재(14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49)에 감합부(128)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29)가 감합되어, 개구 부재 본체(121)에 대한 링 부재(141)의 X방향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에 링 부재(141)가 감합되면, 이 감합부(128)의 외주면과 링 부재(141)의 내주면 사이에, 절첩된 수부(11)의 개구측 부분(13)이 끼워 넣어진다.
이상으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개구 부재 본체(121)로의 백 수부(11)의 접착은, 링 부재(141)를 감합시킨 후에 행하여도 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조립이 완료되면, 접속측 개구(125)를 뚜껑으로 막거나, 또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전체를 다른 백로 포장한 후 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감마선이나 전자선을 조사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서, 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살균한다.
살균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예를 들면 제약 공장의 청정 에어리어 내에서 개방되고, 이 에어리어 내의 탱크 등에 접속되어 탱크 내용물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백(10) 내에 투입된다. 그리고 이 백(10) 내의 내용물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을 실시하기 위하여, 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이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탱크에 접속되고, 백 내용물이 이 탱크 내에 투입된다.
여기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탱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탱크로는, 도 12에 나타내는 내용물을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공급하는 공급 탱크(50a)와, 도 13에 나타내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부터 내용물을 받아 들이는 수용 탱크(50b)가 있다.
공급 탱크(50a) 및 수용 탱크(50b)는, 모두 탱크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이 탱크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 노즐(51)을 갖고 있다. 접속 노즐(51)은, 내주측에 접속구(53)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접속통부(52)와 이 접속통부(52)의 단부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용기측 접속부)(55)를 갖고 있다.
접속통부(52)의 내경, 바꾸어 말하면 접속구(53)의 개구 직경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링 부재(141)의 최대 외경, 즉 링 부재(141)의 X방향 타단측 단부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플랜지부(55)의 외경은, 개구 부재(120)의 플랜지부(131)의 외경과 동일하다.
이 플랜지부(55)의 접속면(56)에는 고리형의 시일 홈(5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 홈(57)의 각 치수는, 개구 부재(120)의 플랜지부(131)의 시일 홈(133)과 대응하고 있다. 즉, 양 시일 홈(33, 57)의 직경 및 깊이는 동일하다.
공급 탱크(50a)의 접속 노즐(51)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접속통부(52) 및 플랜지부(55) 외에 접속구(53) 내에 배치된 슈트부(58)를 갖고 있다. 이 슈트부(58) X방향 타단측 단부(58a)는, 그 외경이 개구 부재 본체(121)의 접속측 개구(125)의 내경보다 작고, X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155)의 접속면(156)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슈트부(58)는, 그 X방향 타단측 단부(58a)의 외경이 개구 부재 본체(21)의 접속측 개구(25)의 내경보다 작으면 되고, 점차 축경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일부에 동일 직경을 이루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접속 노즐(51) 또는 탱크 본체에는, 탱크 본체로부터 접속구(53)로의 내용물 유출을 제한하는 셔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 탱크(50a)의 접속 노즐(51)은 탱크 본체의 하측에 장착되고,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이 접속 노즐(51) 아래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12에서는, X방향 일단측이 상방이 된다. 또한 수용 탱크(50b)의 접속 노즐(51)은 탱크 본체의 상측에 장착되고,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은 이 접속 노즐(51) 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13에서는, X방향 일단측이 하방이 된다.
이어서, 도 12를 이용하여 공급 탱크(50a)로부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의 내용물의 투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의 시일 홈(133)에 O링(62)을 감합시킨다. 이어서, 이 시일 홈(133)에 감합된 O링(62)이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의 시일 홈(57)에 감합되도록 양 플랜지부(131, 55)의 접속면(32, 56)을 대향시키고 나서, 공급 탱크(50a)에 대해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접근시킨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접근하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링 부재(141)가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 내로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링 부재(141)의 X방향 타단측 단부의 외경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탱크의 접속구(53)의 개구 직경과 거의 동일하고, 링 부재(141)의 X방향 일단측의 외경은, X방향 일단측을 향하여 점차 축경되고 있어 X방향 일단측 단면(43)에서 최소 외경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대해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가 X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다소 어긋나 있다고 해도, 이 링 부재(41)의 외주면이 이 방향으로의 가이드로서 기능하여 이 방향의 위치 엇갈림을 수정한다.
또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링 부재(141)가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 내로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하면, 공급 탱크(50a)의 슈트부(58)가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삽입 통과 구멍(123) 내로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한다. 즉,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링 부재(141) 및 이 링 부재(141)에 감합되어 있는 개구 부재 본체(121)의 감합부(128)는,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의 내주측과 공급 탱크(50a)의 슈트부(58)의 외주측 사이의 간극에 비집고 들어가기 시작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131)에 한층 더 접근하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의 시일 홈(133)에 감합시킨 O링(62)이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의 시일 홈(57)에 감합되기 시작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의 시일 홈(133)에 감합시킨 O링(62)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대해서 볼록 부재이다. 이 때문에, 이 O링(62)도 링 부재(41)의 경사진 외주면과 함께, X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의 플랜지부에 대한 타방의 플랜지부의 상대적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양 플랜지부(131, 55)의 접속시에 양 플랜지부(131, 55)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수 있다.
공급 탱크(50a)의 접속구(53)의 내주면이 링 부재(141)의 X방향 타단측 단부의 외주면에 접하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는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에 그 이상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X방향 및 X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양 플랜지부(131, 55)의 상대 위치가 정해진다.
X방향 및 X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양 플랜지부(131, 55)의 상대 위치가 정해지면, 접속 클램프(63)를 사용하여 양 플랜지부(131, 55) 상호를 접속한다.
양 플랜지부(131, 55) 상호의 접속이 완료되면, 공급 탱크(50a) 내의 셔터(도시하지 않음)를 개방하여 공급 탱크(52a)의 탱크 본체 내의 내용물을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에 투입한다.
양 플랜지부(131, 55) 상호의 접속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공급 탱크(50a)의 슈트부(58)의 끝이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삽입 통과 구멍(123) 내로 비집고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공급 탱크(50a) 내의 내용물을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백(10)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확실하게 이 백(10) 내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 플랜지부(131, 55) 간에 시일 부재로서의 O링(62)을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양 플랜지부(131, 55)의 접속 부분으로부터의 내용물 누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시일 부재로서 O링(62)을 사용하고 있지만, 각 플랜지부(131, 55)의 시일 홈(133, 57)에 감합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어느 시일 부재를 사용해도 되며, 예를 들면 O링(62) 대신 개스킷을 사용해도 된다.
이어서, 도 13을 이용하여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으로부터 수용 탱크(50b)로의 내용물의 투입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도, 상술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와 공급 탱크(50a)의 플랜지부(55)의 접속과 동일하게,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와 수용 탱크(50b)의 플랜지부(55)를 접속한다. 단,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내의 내용물이 이 접속 과정에서 유출되지 않도록, 이 접속 과정에서는 백(10)의 수부(11)와 백 본체(15)의 경계선 근방에서 수부(11)에 대해서 백 본체(15)를 절곡시켜 백 본체의 바닥측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플랜지부(131)와 수용 탱크(50b)의 플랜지부(55)의 접속이 완료되면, 백(10)의 백 본체(15)를 들어 올려 백 수부(11)에 대해서 백 본체(15)를 위에 위치시키고 백 본체(15) 내의 내용물을 수용 탱크(52b)로 투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연한 백의 개구 근교를 내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와 외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 사이에 끼워 넣는 방법이나, 또는 유연한 백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과 당해 내주면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의 외주면을 접착시키는 방법에 의해 유연한 백을 경질 부재에 장착하는 경우, 백의 내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가 백 내용물을 백 밖으로 꺼낼 때의 장해가 되어, 이 내주측에 배치한 경질 부재쪽에 백 내용물이 남아 버린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10)의 수부(11)를 절첩하여 이 수부(11)에 있어서 백(10)을 형성하는 필름을 이중화하고, 외주측의 필름에 대해서 내주측에 배치한 삽입 통과부(122)와 외주측에 배치한 링 부재(141) 사이에 끼워 넣고 있다. 이 때문에, 절첩 부분보다 백 본체(15)측인 백 내에는 이 백(10)의 필름을 끼워 넣기 위한 부재 또는 접착된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 내용물을 백(10) 밖으로 꺼낼 때에 백(10) 내에 장해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의 잔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통과 구멍(123)의 내주면과 백 수부(11)의 외주면은 접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통과 구멍(123)의 X방향 타단측, 즉 삽입 통과 구멍(123)의 백 본체측의 부분이 백 본체 측을 향하여 점차 확경되어 있어, 삽입 통과 구멍(123)의 내주면과 백 수부(11)의 외주면 간의 간극이 커져 있다. 이 때문에, 백(10)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적어지도록 개구 부재(20)에 대해서 백 본체(15)를 흔들면, 백 본체(15)의 흔들림에 수반하여 삽입 통과 구멍(123) 내의 백 수부(11)도 흔들려 효과적으로 백(10) 내의 잔류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백(10) 내의 내용물의 잔류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통과 구멍(23, 123)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이 형상은 타원, 사각형, 삼각형이어도 상관없다. 단, 원형은 X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의 각종 방향에 대한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의 각 실시형태와 같이 삽입 통과 구멍(23, 123)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백(10)으로서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수부(11)와 이 수부(11)에 연결되는 백 본체(15)를 갖고, 수부(11)의 폭 치수(W2)가 백 본체(15)의 최대 폭(W1)보다 작은 백(10)을 사용하였으나, 백(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부(11)와 백 본체(15)의 구별이 없는 단순한 통 형상의 백(10)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개구 부재(120)를 구성하는 2개의 부재 중 개구 부재 본체(121)에 접속부로서의 플랜지부(131)를 형성하였으나, 링 부재(141)에 플랜지부(131)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131)가 접속부를 이루고 있으나, 링 부재(141)의 외주 또는 개구 부재 본체(121)의 외주에 수 나사를 형성하여 이것을 접속부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 내의 내용물을 밖으로 꺼낼 때에 내용물의 잔존량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제공할 수 있다.
10 : 백, 11 : 수부, 12 : 개구, 13 : 개구측 부분, 15 : 백 본체, 17 : 관통 구멍, 20, 120 : 개구 부재, 22, 122 : 삽입 통과부, 23, 123 : 삽입 통과 구멍, 24, 124 : 백 본체측 개구, 25, 125 : 접속측 개구, 26, 126 : 백 본체측 단면, 27 : 접속측 단면, 28 : 단차부, 29, 129 : 볼록부, 31, 131 : 플랜지부(백측 접속부), 33, 133 : 시일 홈, 30 : 테이퍼부, 34 : 육후부, 50a : 공급 탱크, 50b : 수용 탱크, 51 : 접속 노즐, 52 : 접속통부, 53 : 접속구, 55 : 플랜지부(용기측 접속부), 57 : 시일 홈, 62 : O링, 63 : 접속 클램프, 121 : 개구 부재 본체, 128 : 감합부, 129 : 볼록부, 141 : 링 부재, 149 : 오목부

Claims (11)

  1. 개구를 갖는 백과 이 개구에 장착되어 있는 개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 부재가 통 형상의 삽입 통과부와 다른 용기의 용기측 접속부와 접속하기 위한 백측 접속부를 갖고,
    이 삽입 통과부의 내면에 상기 백이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최내주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부의 백측 단부에 상기 삽입 통과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퍼부를 갖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이 시일부를 갖고, 상기 삽입 통과부의 백측 단부 중 상기 시일부와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삽입 통과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루어지는 육후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가 상기 백의 주위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부의 내주면을 상기 백측의 단부측을 향해 축경시켜 이루어지는 단차부가 상기 삽입 통과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단차부의 위치가 상기 백의 상기 개구측 단면의 위치와 일치하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은, 상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수부와 이 수부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접속되어 있는 백 본체를 갖고,
    상기 개구 부재는, 상기 백의 상기 수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통 형상의 삽입 통과부를 갖는 개구 부재 본체와 내주측에 상기 삽입 통과부가 감합되는 링 부재를 갖고,
    상기 백의 상기 수부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양단의 개구 중 일방의 백 본체측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 통과 구멍 내에 삽입 통과되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타방의 접속측 개구로부터 상기 삽입 통과 구멍 밖으로 꺼내어지고, 상기 수부 중 상기 삽입 통과 구멍 밖으로 꺼내어진 상기 수부의 개구측 부분이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을 따라 절첩되고, 상기 링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링 부재의 내주측에 감합된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백이 상기 개구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개구 부재 본체와 상기 링 부재 중, 일방의 부재의 외주측에 상기 백측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는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 상에,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상기 접속측 개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백 본체측 개구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 통과부의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된, 상기 백측 접속부로서의 플랜지부를 갖고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 통과부의 외주면 중 일방의 면에는 타방의 면측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방의 면에는 상기 볼록부가 감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대해서 상기 백의 상기 수부가 접착되어 있지 않고,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수부의 부분이 상기 내주면에 대해서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반경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한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그 외주면을 직경 방향 외방으로 확경시켜 이루어지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이 손잡이의 위치가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을 취급할 때 작업자가 상기 개구 부재 본체에 닿아도 지장이 없는 범위를 규정하고 있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과,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이 접속되는 다른 용기의 접속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노즐은,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상기 백측 접속부가 접속되는 용기측 접속부와, 상기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상기 개구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비집고 들어가는 접속구를 갖는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의 접속 구조.
KR1020137009862A 2010-11-22 2011-11-22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및 그 접속 구조 KR101319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0606 2010-11-22
JPJP-P-2010-260606 2010-11-22
PCT/JP2011/076926 WO2012070581A1 (ja) 2010-11-22 2011-11-22 口部材付き袋及びその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545A true KR20130079545A (ko) 2013-07-10
KR101319279B1 KR101319279B1 (ko) 2013-10-17

Family

ID=4614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862A KR101319279B1 (ko) 2010-11-22 2011-11-22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및 그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56046B2 (ko)
EP (1) EP2644527B1 (ko)
JP (1) JP5380609B2 (ko)
KR (1) KR101319279B1 (ko)
CN (1) CN103237736B (ko)
SG (1) SG189827A1 (ko)
TW (1) TWI538857B (ko)
WO (1) WO2012070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5102B2 (ja) * 2013-02-28 2017-09-1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包装袋
JP5689998B1 (ja) * 2014-03-20 2015-03-25 真也 伊地知 密閉器具および密閉器具付袋状容器
US11167917B2 (en) * 2017-01-17 2021-11-09 Lincoln Global, Inc. Hermetic seal for foil-lined FIBC (bulk bag)
US10968036B2 (en) 2017-01-17 2021-04-06 Lincoln Global, Inc. Hermetic seal for foil-lined FIBC (bulk bag)
US20210219770A1 (en) * 2018-05-31 2021-07-22 Creatrix Ag Unit for a Coffee Device
JP2020006981A (ja) * 2018-07-04 2020-01-16 藤森工業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バックイン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7646A (en) * 1965-02-05 1969-02-11 Scholle Container Corp Container opening,filling and closing apparatus
US4290466A (en) 1979-11-15 1981-09-22 Oscar Villa Convertible container-holder that becomes the neck of a folding receptacle
JPS6229901Y2 (ko) * 1979-12-24 1987-07-31
JPS56144753U (ko) * 1980-04-02 1981-10-31
US4415085A (en) * 1981-12-21 1983-11-15 Eli Lilly And Company Dry pharmaceutical system
US4592092A (en) * 1982-01-20 1986-05-27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port construction therefor
JPS597153U (ja) * 1982-07-07 1984-01-18 小山 裕二 袋状体出入口器具
JPS61178340U (ko) * 1985-04-26 1986-11-07
US5188266A (en) * 1986-12-19 1993-02-23 Loulias Kris P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R2633270B1 (fr) * 1988-06-22 1990-11-02 Vittel Eaux Min Dispositif d'ouverture-fermeture pour sachet en matiere synthetique souple avec limitation de penetration
US5000236A (en) 1990-03-15 1991-03-19 Jemison Jerry M Tube refill apparatus
JPH038081A (ja) * 1990-05-18 1991-01-16 Hitachi Ltd 現金自動取引装置
US5735609A (en) 1996-07-16 1998-04-07 The West Company Container for holding sterilized elements
US5882119A (en) * 1997-02-24 1999-03-16 Fadal, Ii; Robert E. Portable liquid containers
EP1037814A4 (en) * 1997-07-23 2002-05-08 Amcad Holdings Ltd OPEN MOUTH BAG
US6805261B1 (en) * 1999-10-08 2004-10-19 Profile Packaging, Inc. Flexible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9957563A1 (de) * 1999-11-30 2001-06-07 Sps Verpackungs System Gmbh Standbeutel mit umknickbarem Verschlusselement
JP4277086B2 (ja) 2001-04-27 2009-06-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デラミボトルへの液充填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詰替容器
US6523548B2 (en) 2001-07-20 2003-02-25 Color Access, Inc. Pouch container insert for a cosmetic package and package made with the same
JP4110803B2 (ja) 2002-03-08 2008-07-02 東洋製罐株式会社 詰め替えパウチ
US7546930B2 (en) * 2002-08-28 2009-06-16 Rexam Beauty And Closures, Inc. Hermetic wipe container
US20040124210A1 (en) 2002-10-08 2004-07-01 Bartlein James L. Sealed bag pre-filled with a decorating food product and having a decorating tip removably attached thereto and method for same
JP4628779B2 (ja) * 2004-08-26 2011-02-09 藤森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用スパウトおよび詰め替え容器
US20060110077A1 (en) * 2004-11-06 2006-05-25 Scholle Corporation Oxygen impermeable bag-in-box container and methof of making
JP2006198295A (ja) 2005-01-24 2006-08-03 Nikkiso Co Ltd 透析用剤収納容器
US20060182372A1 (en) * 2005-02-11 2006-08-17 Fadal Robert E Ii Collapsible containers with exchangeable liners
JP3875717B1 (ja) * 2006-05-30 2007-01-31 英子 浦田 袋内内容物排出用の着脱可能な開閉型キャップ
JP5050444B2 (ja) 2006-08-09 2012-10-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およびキャップ装置
JP5122878B2 (ja) 2007-07-04 2013-01-1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液流出入用筒部材および薬液容器
US20100096398A1 (en) * 2008-10-16 2010-04-22 Wilton Industries, Inc. Pour and seal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304990B2 (ja) * 2008-07-11 2013-10-02 凸版印刷株式会社 バリア性を備えた詰め替え用容器
AU2009313261A1 (en) 2008-11-10 2012-11-01 Eco.Logic Brands Inc. Thermoformed liquid-holding vessels
US8182151B2 (en) * 2008-11-21 2012-05-22 David Dodgen Hydration system with disposable bag and sleeve fastening assembly
JP5383161B2 (ja) * 2008-11-25 2014-01-08 株式会社フジヤマ サーバー用飲料水収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30024A1 (en) 2013-12-12
TWI538857B (zh) 2016-06-21
JP5380609B2 (ja) 2014-01-08
US8956046B2 (en) 2015-02-17
SG189827A1 (en) 2013-06-28
EP2644527A1 (en) 2013-10-02
CN103237736A (zh) 2013-08-07
KR101319279B1 (ko) 2013-10-17
TW201245005A (en) 2012-11-16
JPWO2012070581A1 (ja) 2014-05-19
EP2644527B1 (en) 2016-08-17
WO2012070581A1 (ja) 2012-05-31
CN103237736B (zh) 2014-10-29
EP2644527A4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279B1 (ko) 개구 부재가 형성된 백 및 그 접속 구조
CN104870329B (zh) 密封系统及其制造方法
KR20070040782A (ko) 살균 포트
US1084318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eaktight container
CN101277730A (zh) 用于预充式注射器的针头组件
JP7132442B2 (ja) 流体容器のマルチピース装着装置
US20190105608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1020741A (ja) 無菌流体移送用の流体レシーバ取付具及び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WO2018169074A1 (ja) 医療器具及び医療器具の製造方法
WO2014057856A1 (ja) 栓体、医療用モジュールおよび医療システム
JP2016007248A (ja) 医療用容器
KR101635727B1 (ko) 약액 공급 시스템 및 그것에 사용하는 약액용 용기
JP6348125B2 (ja) キャップ
JP2013523538A (ja) 容器用可撓性ピンチフィッティング
CN102525813B (zh) 双立管密封盖
JP2016022995A (ja) 気密性耐圧容器
JP2014172620A (ja) 無菌充填用口栓
KR20060118164A (ko) 주사제용 수액용기의 제조방법
US20110142379A1 (en) three-dimensional plastic bag and production thereof
JP3004139B2 (ja) 医療用容器
JP7245642B2 (ja) 血液処理用ビーズを収容するための容器の充填口の封止のための中栓
JP3182618B2 (ja) 薬液用プラスチック容器の栓体
JPH0530703B2 (ko)
TW201637644A (zh) 連接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