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340A -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340A
KR20130068340A KR1020110135399A KR20110135399A KR20130068340A KR 20130068340 A KR20130068340 A KR 20130068340A KR 1020110135399 A KR1020110135399 A KR 1020110135399A KR 20110135399 A KR20110135399 A KR 20110135399A KR 20130068340 A KR20130068340 A KR 20130068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water
rice
hours
tteokbokk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870B1 (ko
Inventor
조재곤
Original Assignee
조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곤 filed Critical 조재곤
Priority to KR102011013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8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L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with singly-bound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떡볶이 떡에 미생물 증식을 억제시켜서 6개월 이상 장기 보존하고 조리시에는 떡볶이 떡의 제조 초기상태와 같이 쫀득하고 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제조공정을 수행하면서 떡볶이 떡의 냉각공정을 종료한 다음 습도85% 온도10℃에서 5시간을 1차 건조하고, 1차 건조된 떡볶이 떡은 습도85% 온도25℃에서 5시간을 2차 건조시켜서 떡볶이 떡은 PH는 3.8~4가 되고, 수분함량은 37~40%가 되게 한 건조공정을 추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2차례의 건조공정을 통하여 떡볶이 떡에 산도(PH 3.8~4)와 수분함량(37~40%)을 유지시키면 6개월 이상 장기 보존할 수 있고, 장기 보존된 떡볶이 떡은 조리하게 되면 떡볶이 떡의 제조 초기와 같이 쫀득하고 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A broiled dish of sliced rice cake room temperature possible long-term preservation processed way}
본 발명은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떡볶이 떡의 수분함량을 37~40%를 유지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켜서 조리시에는 쫀득하고 말랑한 떡의 식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떡볶이 떡은 쌀가루를 주재료로 하거나 쌀가루와 밀가루를 혼합하고 이를 물에 불려서 분쇄하고, 분쇄된 쌀가루를 스팀상자에 담아서 증기로 증숙시킨 다음 가래떡 제조기에 투입시켜서 압출시키고 압출된 가래떡을 규격으로 절단하고 냉각하여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떡볶이 떡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게 되면 미생물이 증식하여 부패 되므로 냉장 유통하거나 120℃의 열로 레토르트 살균처리를 하여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있으나 식감이 떨어지고 경화현상으로 인하여 7일 이상 장기 보존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곡물(쌀)의 불림 공정에서 유기산을 넣어서 PH를 3.5~5.5의 범위가 되게 산성화시켜서 불림 공정을 수행하고, 불림 공정을 거친 쌀을 분쇄하고 증기로 증숙시켜서 압출성형시킨 떡볶이용 떡을 유기산을 혼합시켜 PH를 2.8~6.8의 냉각수에 침지시켜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공정을 부여하거나, 또는 쌀가루를 증기로 증숙시킨 생지에 베타아밀라제 또는 이소말토올리고당 시럽을 첨가시키는 공정을 더 부여하거나, 또는 개래떡 제조기에서 제조된 가래떡을 유화유지 용액에 침지하고 주정액을 첨가하는 공정을 더 부여하거나, 또는 제조된 가래떡을 영하 18℃ 이하로 2~3시간을 급랭하고, 탈산소재를 첨가한 용기에서 진공용기 가스충진 기계를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질소로 치환하여 진공 포장하는 공정을 더 부여시켜서 장기 보존이 이루어지게 가공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 수단들은 보존기간이 최대 6개월 정도로 증가 되는 이점은 있으나 쫀득하고 말랑한 식감은 유지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제1995-7685호(공개일자 : 1995. 04. 15.)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제297521호(공고일자 : 2001. 09. 13.)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제505786호(공고일자 :2005. 08. 02.)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제2005-18157호(공개일자 : 2005. 02. 23.)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제854061호(공고일자 : 2008. 08. 26.)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제877505호(공고일자 : 2009. 01. 07.)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제2010-56612호(공개일자 : 2010. 05. 28.)
없음
본 발명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떡볶이 떡을 상온에서 장기 보존할 수 있고, 장기 보존된 떡볶이 떡으로 조리하더라도 쫀득하고 말랑한 초기 상태의 식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떡볶이 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과 같이 쌀을 원료로 하여 물(생수)에 담궈서 불리고, 물에 불린 쌀은 1차 분쇄한 다음 구연산과 식염을 첨가하여 2차 분쇄하고, 증숙 용기에 담아서 스팀(중기)으로 증숙시켜서 가래떡 제조기에서 압출로 제조하고, 제병기에서 2차 압출 성형하여 냉각수(구연산, 사과산, 물을 혼합)에서 1차 냉각하고 이를 규격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떡볶이용 떡은 냉각수(PH 2.8~3.2)에서 2차 냉각하고 건조하여 주정용액(70% 에탄올)에 침지시켜서 살균한 다음 포장 제품화하는 공정으로 제조되는 통상의 떡볶이 떡에 있어서 냉각수에서 2차 냉각 공정을 거친 떡볶이 떡은 건조공정을 수행하면서 습도85%, 온도10℃에서 5시간을 1차 건조하고, 1차 건조된 떡볶이 떡은 습도85%, 온도25℃에서 5시간을 2차 건조시켜서 떡볶이 떡의 PH는 3.8~4.0이 되고 수분함량을 37~40%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떡볶이 떡을 본 발명과 같이 건조공정을 개선하게 되면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되고, 장기간(6개월)을 상온에서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조리를 하게 되면 떡볶이 떡의 생산 초기상태와 같이 쫀득하고 말랑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떡볶이 떡의 제조공정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떡볶이 떡의 제조공정은 도1과 같이 원료 소재인 쌀을 세척하고 물에 12시간을 불린 다음 물빼기 공정을 수행하고, 분쇄기에서 1차 분쇄하고, 분쇄된 쌀가루에 구연산과 식염을 첨가시켜서 2차 분쇄한다.
2차 분쇄된 쌀가루는 증숙 용기에 규격의 양을 담아서 스팀으로 증숙 하고, 이를 가래떡 제조기에서 압출시켜서 1차 성형하고, 1차 성형된 가래떡은 제병기에서 압출시켜 2차 성형하고 냉각수(산성수)에서 1차 냉각하고 규격으로 절단하여 냉각수(산성수)에서 2차 냉각하여 떡볶이 떡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떡볶이 떡은 또다시 습도85%이고, 온도10℃의 건조실에서 5시간을 건조시켜서 떡볶이 떡의 품온을 낮추는 1차 건조공정을 수행하고, 또다시 습도85%, 온도25℃에서 5시간을 2차 건조시켜서 떡볶이 떡의 PH는 3.8~4.0이 되고, 수분함량은 37~40%가 되게 한 후 주정액(70% 에탄올)에 침지시켜 살균처리를 한 다음 포장 제품화한다.
상기의 건조공정에서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 급가온하거나 급냉각을 하게 되면 떡볶이 떡의 표면만 급속으로 건조 또는 냉각이 이루어지므로 떡볶이 떡의 원형이 변형되거나 딱딱해져 갈라짐 현상이 발생 되고, 또 떡볶이 떡의 수분함량이 40%를 초과하게 되면 미생물의 증식현상과 변질이 발생 되고, 수분함량이 36%이하가 되면 딱딱하게 변화되어 조리시에 쫀득하고 말랑한 식감이 급속하게 감소 되는 요인이 되었다.
상기의 떡볶이 떡의 제조공정에서 1차 냉각수에 사용하는 PH조정수는 온도15℃이하에서 0.1%가 되도록 물, 구연산, 식염을 중량비율로 62.5:16:21.5%하였고, 곰팡이, 효모는 PH 5~6에서, 세균은 PH 6.5~7.5에서 번식되므로 1차 냉각수의 PH는 3.2가 되게 산성화시켜서 곰팡이, 효소, 세균 등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2차 냉각수에 사용하는 PH조정수는 15℃이하에서 0.3%가 되도록 1차 PH조정수와 같이 물, 구연산, 식염으로 조성하고, 냉각수의 PH는 2.8~3.0이 되게 하였다.
상기에서 떡볶이 떡의 주정 침지공정은 70% 에탄올 용액(에틸알콜, C5H5OH)에 2차 건조한 떡볶이 떡을 상자에 담아서 10분간 침지하게 되면 삼투능력이 커서 세균표면의 막을 뚫고 들어가 세균의 단백질을 응고시켜서 살균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쌀의 불림 공정은 아래의 실험을 적용하였고 수돗물에서 12시간 불림이 최적상태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구분 실험내용 수온(℃) 중량(g) 비고(조건)



찬물
불리기전 10.8 2,000
1시간후 6.2 2,543 1.27배 증가,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2시간후 8.1 2,543 증가없음,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3시간후 9.6 2,560 1.28배 감소,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4시간후 8.5 2,550 중량감소,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미지근한 물

불리기전 20.6 2,000
1시간후 22.5 2,560 1.28배 증가,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2시간후 22.9 2,560 증가없음,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3시간후 22.9 2,560 1.28배 증가,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4시간후 21.7 2,550 중량감소, 10분간 자연탈수후 측정


결론
1. 쌀 불림시 찬물보다 20℃정도의 미지근한 물이 쌀의 최대 불림 비율인 1.28배까지 불리는데 걸린 시간은 짧았으나 물의 온도는 불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2. 쌀 불림 1회양인 250kg이 1.28배까지 불리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반 수돗물 사용시 12시간이 최적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서 떡볶이 떡의 건조조건은 변화실험 하였던바 아래와 같은 변화가 발생 되었고, 떡볶이 떡의 건조조건은 2차례의 건조이고, 1차는 습도85%이고, 10℃에서 5시간을 한 다음, 2차는 습도85%, 25℃에서 5시간이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구분 1차온도 1차시간 2차온도 2차시간 습도
결과
1차
10℃ 3시간 25℃ 3시간 35% 건조가 되지않음
2차 10℃ 10시간 25℃ 3시간 35% 겉만 딱딱해지고 속은 건조되지 않음
3차 10℃ 10시간 25℃ 3시간 85% 건조가 너무 많이 됨. 조리시간이 10분정도로 길어짐
4차 10℃ 5시간 25℃ 5시간 85% 건조적당, 5분조리시 식감좋은
상기의 떡볶이 떡은 상온에서 6개월이 경료된 후 산도(PH)를 검사하였으나 변화 발생이 없고, 주정액에서 살균처리된 상태를 유지하여 곰팡이 및 효모의 증식이 없고 변폐가 되지 아니하였으며, 상기 떡볶이 떡으로 5분 조리를 하였던바 쫀득하고 말랑한 떡볶이 떡의 제조 초기상태의 식감을 유지하였다.
없음

Claims (1)

  1. 쌀을 원료로 하여 물(생수)에 담궈서 불리고, 물에 불린 쌀은 1차 분쇄한 다음 구연산과 식염을 첨가하여 2차 분쇄하고, 증숙 용기에 담아서 스팀(증기)으로 증숙시킨 후 가래떡 제조기에서 압출로 제조하고, 제병기에서 2차 압출 성형하여 냉각수(구연산, 사과산, 물을 혼합)에서 1차 냉각한 다음 규격으로 절단하고, 절단된 떡볶이용 떡은 냉각수(PH. 2.8~3.2)에서 2차 냉각하고 건조하여 주정용액(70% 에탄올)에 침지시켜서 살균한 다음 포장 제품화하는 공정으로 떡볶이 떡을 제조함에 있어서 냉각수에서 2차 냉각 공정을 거친 떡볶이 떡은 건조공정을 수행하면서 습도85%, 온도10℃에서 5시간을 1차 건조하고, 1차 건조된 떡볶이 떡은 습도85%, 온도 25℃에서 5시간을 2차 건조시켜서 떡볶이 떡의 PH는 3.8~4.0이 되고, 수분함량을 37~40%가 유지되도록 한 건조공정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온에서 장기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KR1020110135399A 2011-12-15 2011-12-15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KR101325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99A KR101325870B1 (ko) 2011-12-15 2011-12-15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399A KR101325870B1 (ko) 2011-12-15 2011-12-15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340A true KR20130068340A (ko) 2013-06-26
KR101325870B1 KR101325870B1 (ko) 2013-11-05

Family

ID=4886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399A KR101325870B1 (ko) 2011-12-15 2011-12-15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8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7374A (zh) * 2019-01-10 2019-03-29 河南工业大学 一种新型年糕的加工及保鲜方法
WO2020027457A1 (ko) * 2018-07-31 2020-02-06 대상 주식회사 실온 유통용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CN111182795A (zh) * 2018-07-31 2020-05-19 大象株式会社 制备待在室温下分配的炒年糕用年糕的方法
KR20210026086A (ko) * 2019-08-29 2021-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상온보관이 가능한 가래떡 또는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KR20210026407A (ko) * 2019-08-30 2021-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가 처리된 가래떡 또는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68A (ko)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제이스에프아이 비알코올성 침지액 처리를 통한 떡 제품의 품질유지기한 연장 방법
KR102544817B1 (ko) 2020-10-16 2023-06-16 양동욱 동충하초 추출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KR102538588B1 (ko) 2022-07-01 2023-05-31 (주)맛찬들백미식품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저장기간이 연장된 기능성 떡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77A (ko) * 1994-09-05 1996-04-20 조희옥 건조떡의 제조방법 및 건조떡
KR100509958B1 (ko) * 2002-11-04 2005-08-25 최태규 즉석식품용 쌀떡볶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54061B1 (ko) * 2005-12-30 2008-08-26 주식회사농심 상온에서 장기보존이 가능한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457A1 (ko) * 2018-07-31 2020-02-06 대상 주식회사 실온 유통용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CN111182795A (zh) * 2018-07-31 2020-05-19 大象株式会社 制备待在室温下分配的炒年糕用年糕的方法
CN109527374A (zh) * 2019-01-10 2019-03-29 河南工业大学 一种新型年糕的加工及保鲜方法
KR20210026086A (ko) * 2019-08-29 2021-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상온보관이 가능한 가래떡 또는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KR20210026407A (ko) * 2019-08-30 2021-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가 처리된 가래떡 또는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870B1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870B1 (ko) 상온에서 장기 보존이 가능한 떡볶이 떡의 가공방법
JP4829851B2 (ja) 無菌化包装麦飯の製造方法
CN102669786B (zh) 一种延长盒装即食方便米饭常温下保质期的加工方法
KR20060038823A (ko) 저장성과 관능특성이 향상된 포장 김치의 제조방법
KR20170134259A (ko)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공식품
KR20170119607A (ko) 보존성이 개선된 곡물 또는 통곡물 떡볶이용 떡 제품의 제조방법
JP4546068B2 (ja) 食感、炊飯性及び安全性の優れた発芽玄米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発芽玄米
KR101201739B1 (ko) 장기보존이 가능한 기능성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2098580B1 (ko) 육즙 및 팽창이 제어된 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87014B1 (ko) 호화 복원력이 높고 실온 장기 보관이 가능한 떡국떡의 제조방법
JP2002034455A (ja) 緑茶の製造方法
US3655401A (en) Pasta process and products
KR100505786B1 (ko) 장기보존이 가능한 떡의 제조방법
KR101228762B1 (ko) 압출성형 떡류 제품의 무균적 생산방법
KR101455849B1 (ko) 시루밥 및 그 제조방법
KR100336368B1 (ko) 한우 양념 갈비의 제조 방법
KR101058295B1 (ko) 저단백미 무균포장 즉석밥의 제조 방법
KR101218903B1 (ko) 장기 보존이 가능한 생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2016426B1 (ko) 전자레인지 간편 조리용 통팥 찰떡의 제조방법
KR101227184B1 (ko) 유통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식혜의 제조방법
KR20220169960A (ko)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떡볶이 떡의 제조 방법
KR102513190B1 (ko) 보존성이 향상된 떡의 제조방법
KR102356579B1 (ko) 상온보관이 가능한 가래떡 또는 떡볶이떡의 제조방법
KR20190050213A (ko) 상온유통이 가능한 콩나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나물
KR101888314B1 (ko) 장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