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677A - 굴 분리기 - Google Patents

굴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677A
KR20130067677A KR1020110134477A KR20110134477A KR20130067677A KR 20130067677 A KR20130067677 A KR 20130067677A KR 1020110134477 A KR1020110134477 A KR 1020110134477A KR 20110134477 A KR20110134477 A KR 20110134477A KR 20130067677 A KR20130067677 A KR 20130067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housing
oysters
separator
sepa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명
Original Assignee
김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11013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677A/ko
Publication of KR2013006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6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6Opening or shucking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기 용이한 크기로 굴과 수하줄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써, 인양된 굴과 수하줄이 투입되는 상단의 투입구와 하단의 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0~90도의 경사각을 가지며 내측에 하나이상 설치되는 수하줄 분리막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연결되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날개가 설치되어 굴과 수하줄을 분리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수하줄과 굴을 분리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고, 채취기와 세척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굴 분리 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분리 작업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고,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 분리기{Separaor of Oyster}
본 발명은 유압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기 용이한 크기로 굴과 수하줄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 멍게, 미역과 같은 부착성 수산물은 두껍고 길다란 원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많은 수하줄을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수하줄에 종자를 부착하여 허가받은 연안 청정해역의 양식장 수면하에 드리우고 정치시킨 다음 일정기간이 지나 상품화가 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후에 인양하여 채취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이와 같은 인양작업은 땜목위의 크레인이 원줄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땜목 전방의 원줄가이드에 걸치게 되고 원줄을 인양시 수하줄을 커팅(cutting)한다. 이때 수하줄과 수하줄에 양식된 다량은 굴은 경사를 가진 콘베이어에 안내되어 땜목 내측으로 이송되고 세척과정과 각각의 이송캐리어에 분배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굴은 육지의 작업장으로 옮겨진 후 다수의 작업자들이 도구를 이용하여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분리 작업을 쉽게 하도록 젊은 작업자는 호미나 도구를 이용하여 굴을 두드리거나 깨뜨려 수하줄과 수하줄과 굴을 분리한다.
위 과정은 수하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굴 뭉치를 작은 뭉치로 만듦으로써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는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하줄과 굴의 분리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수하줄과 굴의 분리작업의 주를 이루는 인력이 고령화 되어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2) 굴을 분리하기 위하여, 과다한 동작을 취해 힘을 가하므로 힘이 많이 들고 부상의 위험이 상시 따르며, 지속적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3) 위의 과정으로 분리과정 중 깨지거나 손실되는 굴 중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수하줄과 굴을 분리할 수 있으며, 작업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시키는 굴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채취기와 세척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분리 작업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굴 분리기는, 인양된 굴과 수하줄이 투입되는 상단의 투입구와 하단의 배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0~90도의 경사각을 가지며 내측에 하나이상 설치되는 수하줄 분리막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연결되며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날개가 설치되어 굴과 수하줄을 분리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하줄 분리막대는 상기 회전날개의 각각의 날개와 날개 사이 공간부에 하나이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는 투입된 수하줄을 내측으로 인양하기 위해서 날개내측부가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의 날개는 수하줄과 굴의 분리작업시 부하를 줄여 연속적인 분리작업을 위해 회전축을 기준으로 각각의 날개가 0~90도의 상대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수하줄과 굴을 분리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취기와 세척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굴 분리 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분리 작업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고,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회전날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중 회전날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의 상부면도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부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 -1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굴 분리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압모터(16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기 용이한 크기로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있어서, 하우징(100), 수하줄 분리막대(200), 회전날개(300)로 크게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채취된 굴(1)과 수하줄(7)이 내측으로 투입되는 상단의 투입구(110)와 분리과정 후 배출되는 하단의 배출구(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10) 및 상기 배출구(12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되어 굴(1)과 수하줄(7)이 내측으로 투입되는 과정에서부터 배출되는 과정이 쉬우며 단순하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측 하단에는 지지대(105)가 형성되어 작업장에 설치가 용이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300)는 유압모터(16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수하줄(7)을 걸거나 굴(1) 뭉치를 분리하는 날개(3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축(3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이 규칙적으로 위치한다.
또한,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위치한 각각의 날개(320)는 소정의 상대각도(E)를 가지고 위치하며, 유압모터(160)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날개(320)가 투입되는 수하줄(7)과 굴(1)을 연속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안내 및 분리작업 할 수 있다. 투입되는 굴(1)의 양이나 처리속도에 따라 각각의 날개(320)가 이루는 상대각도(E) 및 날개(3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날개(320) 각각의 상대각도(E)는 15도로 배치되어 수하줄(7)과 굴(1)의 연속적인 분리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날개(320)의 날개내측부(325)는 직선으로 형상될 수 있으나, 수하줄(7)을 효과적으로 걸거나 투입되는 굴 뭉치를 걸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부로 안내와 동시에 분리하기 위해서 날개내측부(325)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300)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310)의 양쪽 끝단은 베어링홀더(150)와 결합되어 하우징(10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부에는 돌출된 수하줄 분리막대(200)가 각각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수하줄 분리막대(200)는 상기 회전날개(300)의 날개(320)와 날개(320) 사이가 형성하는 공간부에 위치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하줄 분리막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단과 소정의 경사각(D)을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경사각(D)는 상기 회전날개(300)가 수하줄(7)을 걸고 회전시 수하줄(7)이 회전축(310)을 감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회전날개(300)의 날개(320)가 굵고 뻣뻣한 수하줄(7)을 걸고 회전하면 상기 각각의 수하줄 분리막대(200)가 형성하는 소정의 공간부와 상기 경사각(D)로 인해 수하줄(7)이 상기 날개(320)로부터 빠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하줄 분리막대(200)의 일측단은 상기 회전날개(300)의 회전축(310)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각(D)는 70도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회전날개(300)의 날개(320) 또는 날개내측부(325)의 형상에 따라 0 ~ 90도 이내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하줄(7)을 회전날개(300)의 날개(320)가 걸고 상단으로 넘어오게 되면 각각의 수하줄 분리막대(200)가 설치된 거리간격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부 사이로 통과되게 된다. 이때 경사각(D)를 가지고 형성된 수하줄 분리막대(200)는 상기 날개(320)에 걸려있는 굵고 뻣뻣한 수하줄(7)을 바깥으로 밀어내어 수하줄(7)이 회전축(310)에 감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유압모터(160)에 의해 회전하는 각각의 날개(320)가 수하줄(7)을 걸고 회전함과 동시에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굴(1)을 안내하면서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8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바다에서 양식중인 굴(1)을 채취하기 위해서 땜목(10) 위에 위치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원줄을 수면 위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고 땜목(10) 전방의 원줄분리기(20)에 놓는다. 땜목(10) 내측 쪽의 원줄을 사바기(30)에 결합시키고 유압모터(160)를 동작시키면 사바기(30)의 롤러가 회전하며 원줄을 인양한다. 이때 전방에서 수하줄(7)을 자르면 경사를 가지고 형성된 콘베이어(40)의 상단에 양식된 굴(1)이 위치하게 되고 운반된다. 굴 분리기는 콘베이어(4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고 운반되는 굴(1)과 수하줄(7)을 전달받아 유압모터(1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날개(300)와 수하줄 분리막대(200)에 의해 수하줄(7)과 굴(1)을 분리 및 작업이 용이한 크기로 분리하게 되고, 후방의 세척기(50)로 밀어준다. 이후 세척기와 이송콘베이어(60)를 통과한 후 이송캐리어(70)에 적재되고 육지의 작업장으로 인양된 후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과정 없이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1: 굴 2: 가리비 5: 원줄 6: 원줄매듭 7: 수하줄 8: 수하줄매듭
10: 땜목 20: 원줄분리기 30: 사바기 40: 콘베이어 50: 세척기
60: 이송콘베이어 70: 이송캐리어(carrier)
100: 하우징 105: 지지대 110: 투입구 120: 배출구
150: 베어링홀더(holder) 160: 유압모터 170: 볼트
200: 수하줄 분리막대
300: 회전날개 310: 회전축 320: 날개 325: 날개내측부

Claims (4)

  1. 유압모터(16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기 용이한 크기로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있어서,
    인양된 굴(1)과 수하줄(7)이 투입되는 상단의 투입구(110)와 하단의 배출구(120)를 가지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과 0~90도의 경사각(D)을 가지며 내측에 하나이상 설치되는 수하줄 분리막대(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연결되며 회전축(3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날개(320)가 설치되어 굴(1)과 수하줄(7)을 분리하는 회전날개(300);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하줄 분리막대(200)는 상기 회전날개(300)의 회전축(310)에 수하줄(7)이 감기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면과 소정의 경사각(D)을 가지며 상기 회전날개(300)의 각각의 날개(320)와 날개(320) 사이 공간부에 하나이상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300)는 투입된 수하줄(7)을 내측으로 인양하기 위해서 날개내측부(325)가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300)의 날개(320)는 수하줄(7)과 굴(1)의 분리작업시 부하를 줄여 연속적인 분리작업을 위해 회전축(325)을 기준으로 각각의 날개(320)가 0~90도의 상대각도(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KR1020110134477A 2011-12-14 2011-12-14 굴 분리기 KR20130067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77A KR20130067677A (ko) 2011-12-14 2011-12-14 굴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477A KR20130067677A (ko) 2011-12-14 2011-12-14 굴 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677A true KR20130067677A (ko) 2013-06-25

Family

ID=4886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477A KR20130067677A (ko) 2011-12-14 2011-12-14 굴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767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59B1 (ko) * 2012-12-17 2015-03-03 김금규 패류 자동 분리기
CN104542886A (zh) * 2015-01-15 2015-04-29 徐存然 一种田螺加工箱
CN104705383A (zh) * 2015-04-10 2015-06-17 安徽理工大学 一种贝类去壳机
CN104719423A (zh) * 2015-04-10 2015-06-24 安徽理工大学 一种贝类去壳的方法
KR101648829B1 (ko) * 2016-03-04 2016-08-17 김병대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20200122071A (ko) *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KR20220004422A (ko) * 2020-07-03 2022-01-11 김정명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KR102556354B1 (ko) * 2022-11-30 2023-07-14 조기준 양식굴 채취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59B1 (ko) * 2012-12-17 2015-03-03 김금규 패류 자동 분리기
CN104542886A (zh) * 2015-01-15 2015-04-29 徐存然 一种田螺加工箱
CN104705383A (zh) * 2015-04-10 2015-06-17 安徽理工大学 一种贝类去壳机
CN104719423A (zh) * 2015-04-10 2015-06-24 安徽理工大学 一种贝类去壳的方法
CN104719423B (zh) * 2015-04-10 2016-09-14 安徽理工大学 一种贝类去壳的方法
CN104705383B (zh) * 2015-04-10 2016-11-09 安徽理工大学 一种贝类去壳机
KR101648829B1 (ko) * 2016-03-04 2016-08-17 김병대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20200122071A (ko) *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KR20220004422A (ko) * 2020-07-03 2022-01-11 김정명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KR102556354B1 (ko) * 2022-11-30 2023-07-14 조기준 양식굴 채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7677A (ko) 굴 분리기
KR20140102411A (ko) 굴 분리기
KR101352711B1 (ko) 굴 분리기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KR100626404B1 (ko) 해태망 회수장치
KR20150021185A (ko) 굴 분리기
KR101097023B1 (ko) 원줄 분리기
CN205292995U (zh) 一种水葫芦收割船
CN204473078U (zh) 一种鳗鱼捕捞船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KR20110137101A (ko) 굴 양식용 코팅연사 인양장치
KR20120083961A (ko) 패류 채취용 사바기
KR101855703B1 (ko) 커팅기가 구비된 세척기
CN204070147U (zh) 海产养殖系统
KR101241672B1 (ko)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CN210273311U (zh) 一种悬挂式高跨越输电导线异物带电拆除装置
CN209882940U (zh) 鱿鱼去皮机
CN105270573B (zh) 一种鳗鱼捕捞船
KR101033190B1 (ko) 목재 인양기 겸용 목재 파쇄기
JP2002059088A (ja) 帆立て貝洗浄機
KR200174177Y1 (ko) 원줄절단 및 세척기능을 구비한 굴인양기
KR910001778Y1 (ko) 양식 수산물 자동 채취 분리장치
KR200244807Y1 (ko) 우렁쉥이 분리장치
KR19990034747U (ko) 양식굴채취장치
CN212999903U (zh) 一种粉末投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