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404B1 - 해태망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해태망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404B1
KR100626404B1 KR1020060019258A KR20060019258A KR100626404B1 KR 100626404 B1 KR100626404 B1 KR 100626404B1 KR 1020060019258 A KR1020060019258 A KR 1020060019258A KR 20060019258 A KR20060019258 A KR 20060019258A KR 100626404 B1 KR100626404 B1 KR 100626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tai
network
lifting
haitai network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환
Original Assignee
임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환 filed Critical 임성환
Priority to KR102006001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망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이 완료된 해태망을 손쉽고 적은 인력으로 회수하면서, 해태망에 장착된 부표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해태망을 권취할 수 있는 해태망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걸림돌기(112)가 장착된 인양벨트(110, 130)와, 상기 인양벨트(110, 130)의 걸림돌기(112) 사이에 겹쳐져 회전되는 유도벨트(150, 152)와, 상기 인양벨트(110, 130)와 유도벨트(150, 15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70)을 회전시켜 해태망을 인양하기 위한 해태망 인양부(100)와, 상기 인양된 해태망을 권취하기 위한 해태망 회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식이 완료된 해태망을 용이하게 인양하면서, 해태망에 부착된 부표를 쉽게 분리하면서 해태망 인양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동으로 해태망을 인양하고, 작업자는 해태망에 부착된 부표만을 작업대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되므로, 해태망 인양작업을 적은 인원과 인력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해태양식 어민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해태, 그물, 부표, 권취, 인양벨트, 유도벨트

Description

해태망 회수장치{LAVER NET WITHDRAW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에서 해태망 인양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에서 해태망 회수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해태망 인양부 110, 120, 130, 140: 인양벨트
112: 걸림돌기 150, 152: 유도벨트
154: 중앙분리대 160: 전단 회전축
162: 중앙 회전축 170: 구동축
172: 인양부 체인 174: 회수부 체인
180: 텐션조절기 190, 192: 후단롤러
195: 후단 회전축 200: 작업대
210: 케이스 220: 작업대 측판
300: 해태망 회수부 310: 측판구멍
320: 사각회전축 322: 고정돌기
324: 연결판 326: 회수축
328: 걸림축 340: 너트
330, 335: 베어링 350: 해태망 회수롤
351, 355: 망가이드판 352: 연결봉
354: 사각통 356: 관통구멍
357: 걸림축 커버 358: 부표걸림구
359: 연결봉 고정너트 360: 아이들러 베어링
365: 힌지 368: 빗장
370: 회수롤 장착문
본 발명은 해태망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이 완료된 해태망을 손쉽고 적은 인력으로 회수하면서, 해태망에 장착된 부표를 용이하게 분리하면서 해태망을 권취할 수 있는 해태망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초류인 해태는 우리나라 남해 연안에서 양식하고 있는데, 김 양식장에서 양식용 그물에 양식된 김은 자동 해태채취기에 의하여 채취된다.
상기 해태채취기는 해태 채취용 선체에서 해태를 채취하기 위해 해수에 잠겨있는 해태망인 그물 밑을 통과하게 되는 선체상에서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해태채취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사람이 상기 해태망을 선체 상으로 당겨 올리는 힘든 작업을 하여야 하였던 것으로, 최소한 2인 이상의 인력을 필요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과대한 인력소모로 말미암아 장시간에 걸친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결국 해태 채취작업에 많은 불편과 어려움을 겪어왔다.
또한, 양식이 완료된 해태망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해태망과, 해태망에 부착된 부표를 별도로 분리하여 해태망을 회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로 하고, 과대한 인력소모로 인해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식이 완료된 해태망을 용이하게 회수하여 부표와 분리하면서 해태망을 별도로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는 해태망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걸림돌기(112)가 장착된 인양벨트(110, 130)와, 상기 인양벨트(110, 130)의 걸림돌기(112) 사이에 겹쳐져 회전되는 유도벨트(150, 152)와, 상기 인양벨트(110, 130)와 유도벨트(150, 15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70)을 회전시켜 해태망을 인양하기 위한 해태망 인양부(100)와, 상기 인양된 해태망을 권취하기 위한 해태망 회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는,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를 통해 인양된 해태망에서 부표를 분리하기 위한 작업대(200)가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 와 상기 해태망 회수부(300) 사이에 더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태망 회수부(300)는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의 측면에서 연장된 작업대 측판(220)과, 상기 작업대 측판(22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사각회전축(320)과,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회전되는 해태망 회수롤(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의 작업대 측판(220)에는 상기 사각회전축(32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측판구멍(310)이 형성되며, 타측의 작업대 측판(220)에는 힌지(365) 회동 되고 아이들러 베어링(360)이 중앙부에 구성된 회수롤 장착문(370)이 장착되며, 상기 회수롤 장착문(370)의 일측에는 상기 회수롤 장착문(370)을 고정하는 빗장(368)이 장착되고, 상기 사각회전축(320)은 구동축(170)과 회수부 체인(174)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회수축(326)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작업대 측판(220)의 측판구멍(310)에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일정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322)가 형성된 연결판(324)과, 상기 작업대 측판(220)을 사이에 두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2개의 베어링(330, 335)과, 상기 베어링(330, 335)을 회수축(326)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340)와,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선단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축(328)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사각회전축(320)에 끼워지는 해태망 회수롤(350)은 양측에 권취되는 해태망을 가이드하도록 원판상의 망가이드판(351, 355)과, 상기 망가이드판(351, 355)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각회전축(320)에 끼워지는 사각통(354)과, 상기 망가이드판(351, 355)을 각각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연결봉(352)과, 상기 타측 망가이드판(355)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봉(352)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봉 고정너트(35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망가이드판(351)에는 상기 연결판(324)에 돌출된 고정돌기(322)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326)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의 망가이드판(355)의 외측 중심부에는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걸림축(328)이 삽입되도록 걸림축 커버(357)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태망 회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에서 해태망 인출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에서 해태망 회수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해태망 회수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태망을 인양하기 위한 해태망 인양부(100)와,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를 통해 인양된 해태망에서 부표를 손쉽게 분리하도록 공간을 형성한 작업대(200)와, 상기 작업대(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양된 해태망을 권취하기 위한 해태망 회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되고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사각통상의 케이스(210)의 내부에 해태망에 걸쳐져 해태망을 인양하기 위해 복수의 걸림돌기(112)가 2줄로 장착된 인양벨트(110, 130)와, 상기 인양벨트(110, 130)의 걸림돌기(112) 사이에 겹쳐져 회전되는 유도벨트(150, 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양벨트(110, 130)와 유도벨트(150, 152)는 각각 구동축(170)의 구동력을 인양부 체인(172)을 통해 전달받아 무한히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인양벨트(110, 130)는 전단 회전축(160)과 중앙 회전축(162)을 매개로 무한히 회전하게 되며, 상기 유도벨트(150, 152)는 상기 전단 회전축(160)과 후단 회전축(195)을 매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인양벨트(110, 130)는 상기 유도벨트(150, 152)의 내측에서 일부분이 겹쳐져 회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인양벨트(110, 130)는 해태망의 폭과 동일한 폭이거나 1/2의 크기로 제작되어, 1개 또는 2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단 회전축(195)에는 후단롤러(190, 192)가 삽입되어 상기 유도벨트(150, 152)를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후단 회전축(195)은 텐션조절기(180)를 통해 유도벨트(150, 152)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해태망 회수부(300)는 상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 및 작업대(200)를 거친 해태망을 권취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시 말해, 작업대(200)에서 연장된 작업대 측판(220)과, 상기 작업대 측판(22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사각회전축(320)과,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회전되는 해태망 회수롤(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측의 작업대 측판(220)에는 상기 사각회전축(32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측판구멍(310)이 형성되며, 타측의 작업대 측판(220)에는 힌지(365) 회동되고 아이들러 베어링(360)이 중앙부에 구성된 회수롤 장착문(370)이 장착되며, 상기 회 수롤 장착문(370)의 일측에는 상기 회수롤 장착문(370)을 고정하는 빗장(368)이 장착된다.
상기 사각회전축(320)은 상기 구동축(170)과 회수부 체인(174)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회수축(326)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작업대 측판(220)의 측판구멍(310)에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연결판(324)과, 상기 작업대 측판(220)을 사이에 두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2개의 베어링(330, 335)과, 상기 베어링(330, 335)을 회수축(326)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324) 상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322)와,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선단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축(328)이 형성 된다.
한편, 상기 사각회전축(320)에 끼워지는 해태망 회수롤(350)은 양측에 권취되는 해태망을 가이드하도록 원판상의 망가이드판(351, 355)과, 상기 망가이드판(351, 355)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각회전축(320)에 끼워지는 사각통(354)과, 상기 망가이드판(351, 355)을 각각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연결봉(352)과, 상기 망가이드판(355)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봉(352)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봉 고정너트(3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측의 상기 망가이드판(351)에는 상기 연결판(324)에 돌출된 고정돌기(322)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326)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기 망가이드판(355)의 외측 중심부에는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걸림축(328)이 삽입되도록 걸림축 커버(357)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해태망 회수장치는 선박의 선단부에 고정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해태망(도시되지 않음)은 일정 폭을 갖는 그물과, 상기 그물을 부유시키기 위한 부표가 일정 간격으로 양측면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양식이 완료된 해태망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태망의 단부를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의 인양벨트(110, 130)에 돌출된 걸림돌기(112)에 걸쳐지도록 한다. 그 후 구동축(170)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인양벨트(110, 130)와 유도벨트(150, 152)가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2)에 걸쳐진 해태망은 부표와 함께 인양되고, 유도벨트(150, 152)를 통해 작업대(200)까지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양벨트(110, 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태망을 인양하는 역활을 하게 되고, 상기 유도벨트(150, 152)는 상기 인양벨트(110, 130)에 의해 인양되는 해태망을 작업대(200)까지 이동시키는 역활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인양벨트(110, 130)에 장착된 걸림돌기(112)에 의해 해태망을 인양벨트(110, 130)의 선단부에서 걸쳐 인양하고, 인양벨트(110, 130)의 후단부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 후 인양벨트(110, 130)의 후단부에서 해태망에 걸쳐진 걸림돌기(112)는 인양벨트(110, 130)의 회전에 의해 해태망에서 이탈되고, 걸림돌기(112)가 이탈된 해태망은 계속적으로 상기 유도벨트(150, 152)를 타고 상기 작업대(200)까지 이동되는 것이다.
그 후 작업대(200)에서 상기 해태망에 장착된 부표를 분리하는 작업과, 해태망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해태망은 일정 간격으로 대나무 등의 막대가 해태망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막대의 양측 단부에 고리형상의 연결줄로 부표가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표를 해태망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막대에 고리형상으로 연결된 연결줄을 풀게 되면, 상기 부표가 분리된다. 이러한 부표의 분리작업은 이미 주지된 작업방법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작업대(200)는 상기 부표의 분리를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대(200)에서의 부표 분리작업은 작업자가 작업대(200)의 양측에서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인양되는 해태망에서 부표가 연결되는 연결줄만 막대에서 풀어주면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에서 인양되는 해태망은 작업대(200)로는 해태망이 끌려오고, 작업대(200)의 외측으로 상기 해태망에 연결된 부표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향하게 되어, 해태망이 자동으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대(200)에 펼쳐진 해태망의 양측 단부에 연결줄로 연결된 고리를 잡아당겨 막대에서 풀게 되면, 부표는 자중에 의해 해태망에서 분리되어 부표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200)에서 부표가 분리된 해태망은 해태망 회수부(300)에서 권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해태망 회수부(300)는 먼저 작업대 측판(220)에 형성된 회수롤 장착문(370)을 개방하고, 해태망 회수롤(350)을 사각회전축(320)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그 후 상기 해태망 회수롤(35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회수롤 장착문(370)을 해태망 회수롤(350)과 밀접하게 한 상태에서 빗장(368)을 걸어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해태망 회수롤(350)은 일측의 망가이드판(355)에 장착된 사각통(354)과, 다수개의 연결봉(352)을 타측의 망가이드판(351)과 결합하도록 상기 연결봉(352)을 연결봉 고정너트(359)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해태망 회수롤(350)은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연결판(324) 상에 돌출된 고정돌기(322)가 상기 일측의 망가이드판(355)에 형성된 관통구멍(356)에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한다. 따라서, 사각회전축(320)에 연장된 걸림축(328)은 타측의 망가이드판(355)의 걸림축 커버(357)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걸림축 커버(357)는 회수롤 장착문(370) 상에 형성된 아이들러 베어링(360)에 끼워져 회전되게 된다.
한편, 상기 사각회전축(320)은 작업대 측판(220)에 형성된 측판구멍(310)에 1쌍의 베어링(330, 335)을 두고 너트(340)로 고정되고 회전된다. 이때 상기 사각회전축(320)은 구동축(170)과 회수부 체인(174)으로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해태망은 해태망 회수롤(350)에 권취되어 회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수가 완료된 해태망은 상기 해태망 회수롤(350)을 회수롤 장착문(370)을 개방하여 사각회전축(320)에서 이탈시켜 분리한다. 그 후 타측의 연결봉 고정너트(359)를 제거하고, 연결봉(352)에 권취된 해태망을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분리하여 해태망의 인양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식이 완료된 해태망을 용이하게 인양하면서, 해태망에 부착된 부표를 쉽게 분리하면서 해태망 인양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동으로 해태망을 인양하고, 작업자는 해태망에 부착된 부표만을 작업대에서 제거하기만 하면 되므로, 해태망 인양작업을 적은 인원과 인력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해태양식 어민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3)

  1. 복수의 걸림돌기(112)가 장착된 인양벨트(110, 130)와, 상기 인양벨트(110, 130)의 걸림돌기(112) 사이에 겹쳐져 회전되는 유도벨트(150, 152)와, 상기 인양벨트(110, 130)와 유도벨트(150, 15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70)을 회전시켜 해태망을 인양하기 위한 해태망 인양부(100)와,
    상기 인양된 해태망을 권취하기 위한 해태망 회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망 회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를 통해 인양된 해태망에서 부표를 분리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한 작업대(200)가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와 상기 해태망 회수부(300) 사이에 더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망 회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태망 회수부(300)는 상기 해태망 인양부(100)의 측면에서 연장된 작업대 측판(220)과, 상기 작업대 측판(22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사각회전축(320)과,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회전되는 해태망 회수롤(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일측의 작업대 측판(220)에는 상기 사각회전축(320)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측판구멍(310)이 형성되며, 타측의 작업대 측판(220)에는 힌지(365) 회동되고 아이들러 베어링(360)이 중앙부에 구성된 회수롤 장착문(370)이 장착되며, 상기 회수롤 장착문(370)의 일측에는 상기 회수롤 장착문(370)을 고정하는 빗장(368)이 장착되고,
    상기 사각회전축(320)은 구동축(170)과 회수부 체인(174)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회수축(326)과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작업대 측판(220)의 측판구멍(310)에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일정 높이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322)가 형성된 연결판(324)과, 상기 작업대 측판(220)을 사이에 두고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2개의 베어링(330, 335)과, 상기 베어링(330, 335)을 회수축(326)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340)와,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선단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축(328)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사각회전축(320)에 끼워지는 해태망 회수롤(350)은 양측에 권취되는 해태망을 가이드하도록 원판상의 망가이드판(351, 355)과, 상기 망가이드판(351, 355)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사각회전축(320)에 끼워지는 사각통(354)과, 상기 망가이드판(351, 355)을 각각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연결봉(352)과, 상기 타측 망가이드판(355)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봉(352)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봉 고정너트(35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의 망가이드판(351)에는 상기 연결판(324)에 돌출된 고정돌기(322)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326)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의 망가이드판(355)의 외측 중심부에는 상기 사각회전축(320)의 걸림축(328)이 삽입되도록 걸림축 커버(357)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망 회수장치.
KR1020060019258A 2006-02-28 2006-02-28 해태망 회수장치 KR100626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258A KR100626404B1 (ko) 2006-02-28 2006-02-28 해태망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258A KR100626404B1 (ko) 2006-02-28 2006-02-28 해태망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404B1 true KR100626404B1 (ko) 2006-09-20

Family

ID=3763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258A KR100626404B1 (ko) 2006-02-28 2006-02-28 해태망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4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93B1 (ko) 2007-01-26 2008-03-17 (주)해주이엔지 해태 집적장치
KR100971298B1 (ko) 2009-12-18 2010-07-20 박영태 미역 채묘틀의 채묘사 자동 권취 및 고정장치
KR101875067B1 (ko) 2017-03-03 2018-07-05 양준희 발의 이음줄 정렬장치
KR102290175B1 (ko) 2021-05-21 2021-08-13 나용균 선체용 해태망 양망장치
KR102320690B1 (ko) 2021-05-13 2021-11-01 나용균 선체용 해태망 세척장치
KR102472539B1 (ko) 2022-04-12 2022-11-29 나용균 선체 외부에 구비되는 해태망 세척장치
KR20220166009A (ko) 2021-06-09 2022-12-16 나용균 선체용 해태망 인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30Y1 (ko) * 1992-04-16 1994-09-28 조선형 해태 양식용 그물 인양기
JP2002095368A (ja) 2000-07-19 2002-04-02 Ono Nori Kikaiten:Kk 海苔網の巻取り装置および巻取り方法
KR100508787B1 (ko) 2005-02-21 2005-08-17 임영환 채취된 해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30Y1 (ko) * 1992-04-16 1994-09-28 조선형 해태 양식용 그물 인양기
JP2002095368A (ja) 2000-07-19 2002-04-02 Ono Nori Kikaiten:Kk 海苔網の巻取り装置および巻取り方法
KR100508787B1 (ko) 2005-02-21 2005-08-17 임영환 채취된 해태 이송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993B1 (ko) 2007-01-26 2008-03-17 (주)해주이엔지 해태 집적장치
KR100971298B1 (ko) 2009-12-18 2010-07-20 박영태 미역 채묘틀의 채묘사 자동 권취 및 고정장치
KR101875067B1 (ko) 2017-03-03 2018-07-05 양준희 발의 이음줄 정렬장치
KR102320690B1 (ko) 2021-05-13 2021-11-01 나용균 선체용 해태망 세척장치
KR102290175B1 (ko) 2021-05-21 2021-08-13 나용균 선체용 해태망 양망장치
KR20220166009A (ko) 2021-06-09 2022-12-16 나용균 선체용 해태망 인양장치
KR102472539B1 (ko) 2022-04-12 2022-11-29 나용균 선체 외부에 구비되는 해태망 세척장치
CN116329171A (zh) * 2022-04-12 2023-06-27 罗龙均 设置在船体外部的海藻网清洗装置
CN116329171B (zh) * 2022-04-12 2024-01-23 罗龙均 设置在船体外部的海藻网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404B1 (ko) 해태망 회수장치
JP6807059B2 (ja) 水面清掃船
EP1476011B1 (en) Cultivation and harvesting of shellfish
KR101526551B1 (ko) 생선 가공기
KR101394139B1 (ko) 해초류 양식줄 자동 인양장치
CN111717343B (zh) 一种浮于水面的垃圾收集结构
KR101964048B1 (ko)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JP2003534816A (ja) 水中において貝を収穫および飼育し、これに関連する貝採取器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装置
CN104115795A (zh) 一种大洋性流刺网渔船
JP3861258B2 (ja) 魚網の自動揚網方法
KR20070000995U (ko) 홍합 및 홍합 종패 분리기
KR20130116006A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JP2002262751A (ja) ヒトデ駆除装置
JP2563228B2 (ja) 耳吊り養殖の付着生物除去装置
KR20070000392U (ko) 홍합종패탈곡기
JPH04370014A (ja) はえなわ式海藻類養殖における海藻類収穫方法およびその収穫装置
KR20040004279A (ko) 해저폐기물 수거기
KR910001778Y1 (ko) 양식 수산물 자동 채취 분리장치
KR102640969B1 (ko) 수하연 양식 굴 및 우렁쉥이 자동수확장치
CN212520482U (zh) 一种用于河道清除野杂鱼类的拦河网
KR20240033571A (ko) 양식굴 자동 수확장치
CN210329021U (zh) 一种贻贝收获机上的输送及剥离装置
KR940006730Y1 (ko) 해태 양식용 그물 인양기
CN210382321U (zh) 一种贻贝收获机上的自动清洗装置
CN218271420U (zh) 一种海洋近岸及淡水生物多样性监测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