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048B1 -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048B1
KR101964048B1 KR1020170109304A KR20170109304A KR101964048B1 KR 101964048 B1 KR101964048 B1 KR 101964048B1 KR 1020170109304 A KR1020170109304 A KR 1020170109304A KR 20170109304 A KR20170109304 A KR 20170109304A KR 101964048 B1 KR101964048 B1 KR 10196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imbal
ship
screen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479A (ko
Inventor
김석칠
신규재
Original Assignee
김석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칠 filed Critical 김석칠
Priority to KR102017010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0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에서 물김을 양식 중인 김발(60)을 선박(10) 위로 안내하는 김발 안내 롤러(71); 상기 김발 안내 롤러(71)를 지지하기 위해 선수에 고정된 지지판(70); 수평암(21-1)과 수평암 지지봉(21-2)를 구비하고 선박 선미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21), 및 수평암(22-1)과 수평암 지지봉(22-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70)으로부터 뒤쪽으로 이격되어 선박 선수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2 지지대(22)를 포함하는 지지대; 선박 갑판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2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1M) 및 상기 제2 지지대(2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2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2M)를 포함하는 모터; 선박 갑판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40); 상기 프레임(40)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상기 김발(60)의 로프(60L)를 상기 제1 지지대(21)와 상기 제2 지지대(22)의 사이에서 지지 및 안내하는 스크린(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선단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김발(60)의 물김을 채취하는 물김 채취 로터리(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30)의 선단이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선박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Live Fresh Laver Collect Automatic Treting Device}
본 발명은 바다에서 물김을 양식 중인 김발(60)을 선박(10) 위로 안내하는 김발 안내 롤러(71); 상기 김발 안내 롤러(71)를 지지하기 위해 선수에 고정된 지지판(70); 수평암(21-1)과 수평암 지지봉(21-2)를 구비하고 선박 선미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21), 및 수평암(22-1)과 수평암 지지봉(22-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70)으로부터 뒤쪽으로 이격되어 선박 선수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2 지지대(22)를 포함하는 지지대; 선박 갑판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2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1M) 및 상기 제2 지지대(2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2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2M)를 포함하는 모터; 선박 갑판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40); 상기 프레임(40)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상기 김발(60)의 로프(60L)를 상기 제1 지지대(21)와 상기 제2 지지대(22)의 사이에서 지지 및 안내하는 스크린(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선단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김발(60)의 물김을 채취하는 물김 채취 로터리(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30)의 선단이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선박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다에서 양식한 물김을 선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채취하는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과거부터 주요 수출 수산물로서 경제 성장을 위한 외화획득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지금은 양식 기술과 가공방법이 발달하여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반농반어를 하는 영세한 어가에서는 겨울철 농한기의 주요 소득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김양식의 방법이 지주망홍식에서 부류식으로 바뀌게 되면서 외해에서의 생산이 가능하게끔 되었으며, 내만은 양식업을 하기에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반 폐쇄적이라는 지형적인 특징을 감안할 때 자정능력이 떨어지는 내만보다는 외해로 벗어난 양식업이 필요하며 현재 대다수의 어장이 외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류식과 외해 양식에 적합한 요소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자원감소, 고령화, 한중 FTA 등으로 수산업의 불확실성이 고조된 가운데 양식업계가 직면해 있는 고질적인 경영악화를 개선하기 위해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김 양식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양식된 김의 채취 시 김 양식망을 붙잡아 자세를 유지시키는 인원과 김 채취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원 및 채취된 김을 담는 인원 등 많은 인원이 필요하며, 작업의 어려움과 위험성 때문에 인력을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김 채취 작업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김 수출량은 연간 3억불 이상으로 수산물 중 최대의 수출 품목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나, 김의 원료인 물김 생산량의 한계로 수출증대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양식장에서 물김생산은 현장작업 여건 및 고령화에 따른 인력확보의 어려움으로 물김 채취 작업의 자동화 시스템 작업을 통한 생산효율성 확보가 시급하다.
이러한 물김의 양식 과정을 살펴보면, 김발 설치 및 그물 장착작업으로서 추석 전후로 대나무로 발을 짜 김 포자가 붙게끔 바다에 설치한다. 발에 김 포자가 붙을 때까지 1주일가량 놔두는데, 포자가 잘 자랄 수 있도록 발을 뒤집어주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설치한 후 한 달이 지나면 채취가 가능하며 이듬해 4월까지 7∼8회 정도 채취하며 2∼3달 후 채취함. 또한, 물김 채취 작업 후 선박에서 채취된 물김을 유기산 처리를 수행한다.
채취된 김은 민물로 세척한 다음 잘게 자르고 물통에 넣고 풀어 김 발장에 뿌린다.
이후 양지바른 건조장에서 말리는데, 양식 김 → 김 뜯기(김 채취과정) → 세단(초퍼로 절단하는 과정) → 현탁(김을 대바구니에 넣고 당그래로 저으면서 붉은 물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바닷물로 씻음) → 초제(김을 틀에 맞추어 모양을 냄) → 탈수 → 건조 → 김 떼기 → 결속 → 마른 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물김 채취작업의 문제점으로는,
김발을 끌어 올릴 때 바람이라도 많이 불게 되면 김발이 올라오다가 넘어가는 경우가 생기는데 사람이 서 있다가 김발에 밀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 발생한다는 점이 있다.
또한, 배의 바닥에 가득한 김을 자루 안에 직접 넣고 옮겨야 하며 물기를 머금은 김은 무게가 상당하다고 하는 다른 문제점을 가진다.
서있기도 힘든 배 위에서 김발을 내리는 작업은 굉장히 까다롭고 또한 파고나 풍량 등 환경 요인의 영향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7973호(2015.06.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김 채취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는 바다에서 물김을 양식 중인 김발(60)을 선박(10) 위로 안내하는 김발 안내 롤러(71); 상기 김발 안내 롤러(71)를 지지하기 위해 선수에 고정된 지지판(70); 수평암(21-1)과 수평암 지지봉(21-2)를 구비하고 선박 선미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21), 및 수평암(22-1)과 수평암 지지봉(22-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70)으로부터 뒤쪽으로 이격되어 선박 선수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2 지지대(22)를 포함하는 지지대; 선박 갑판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2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1M) 및 상기 제2 지지대(2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2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2M)를 포함하는 모터; 선박 갑판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40); 상기 프레임(40)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상기 김발(60)의 로프(60L)를 상기 제1 지지대(21)와 상기 제2 지지대(22)의 사이에서 지지 및 안내하는 스크린(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선단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김발(60)의 물김을 채취하는 물김 채취 로터리(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30)의 선단이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선박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40) 내에는 복수의 물김 채취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는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40) 내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롤링할 수 있어, 상기 스크린(30)이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지지대(22)가 회전하여 선박 갑판의 수평면에 대해 75°가 될 때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물김 채취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측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상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상부의 일 측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정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스크린을 이동 위치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제1 지지대만 회전시켰을 때 스크린에 로프가 정확한 위치 선정을 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회전시켰을 때 스크린에 로프가 정확한 위치 선정을 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측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상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상부의 일 측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물김 채취 후 상태를 정면에서 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는 김발 안내 롤러(71), 지지판(70), 지지대, 모터, 지지 프레임(40), 스크린(30), 및 물김 채취 로터리(50)를 포함한다.
상기 김발 안내 롤러(71)는 바다에서 물김을 양식 중인 김발(60)을 선박 위로 안내한다. 김발 안내 롤러(71)는 선박 선수의 끝으로부터 일부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김발(60)이 지지대에 의해 해수면으로부터 위로 들려 올라갈 때 김발 안내 롤러(71)에 먼저 닿아 안내된다.
여기서, 김발(60)은 양단부에서 각각 제1 분기로프(60L1), 제2 분기로프(60L2), 및 제3 분기로프(60L3)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데 제1 분기로프(60L1)와 제2 분기로프(60L2)가 제3 분기로프(60L3)에 합쳐지면서 로프(60L)이 되어 외측으로 뻗어나가며 김발(60)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나가는 로프(60L)는 해저면에 박혀 고정된 지주(도시하지 않음)에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70)는 상기 김발 안내 롤러(71)를 지지하기 위해 선박의 선수에 고정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원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수평암(21-1)과 수평암 지지봉(21-2)를 구비하고 선박 선미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21), 및 수평암(22-1)과 수평암 지지봉(22-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70)으로부터 뒤쪽으로 이격되어 선박 선수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2 지지대(22)를 포함한다. 지지대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로프(60L)을 해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지지하고 안내할 수 있고 강성을 가지며 해수에 부식되지 않는 재질의 것이라면 어느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모터는 선박 갑판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2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1M) 및 상기 제2 지지대(2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2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2M)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선박 갑판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40) 내에는 복수의 물김 채취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스크린을 이동 위치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30)은 상기 프레임(40)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상기 김발(60)의 로프(60L)를 상기 제1 지지대(21)와 상기 제2 지지대(22)의 사이에서 지지 및 안내한다.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는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선단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김발(60)의 물김을 채취한다.
여기서,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는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40) 내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롤링할 수 있어, 상기 스크린(30)이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는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40) 내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롤링할 수 있어, 상기 스크린(30)이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물김 채취 로터리(50)에는 모터(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어서, 스크린(30)의 피니언을 구동하여 지지 프레임(40)의 랙을 따라 물김 채취 로터리(50)가 전후 이동할 수 있거나, 또는 물김 채취 로터리(50)의 상기 롤러를 구동하여 지지 프레임(40)의 레일을 따라 물김 채취 로터리(50)가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30)의 선단은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스크린(30)이 이동하면 물김 채취 로터리(50)도 그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제1 지지대만 회전시켰을 때 스크린에 로프가 정확한 위치 선정을 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의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회전시켰을 때 스크린에 로프가 정확한 위치 선정을 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는 선박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지지대(22)가 회전하여 선박 갑판의 수평면에 대해 75° 또는 다른 각도(예컨대, 70°, 60° 등)가 될 때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를 장착한 선박이 제1 지지대(21)와 제2 지지대(22)를 선박의 외측을 향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항해하여 물김 양식장의 김발(60)의 로프(60L)에 근접하여 제1 지지대(21)와 제2 지지대(22)의 선단이로프 밑에 위치하는 순간에 제1 지지대(21)와 제2 지지대(22)를 선박 쪽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1 지지대(21)와 제2 지지대(22)에 의해 로프(60L)는 위로 들려 올라가면서 자동으로 스크린(30)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때, 선박을 전진시키면서 물김 채취 로터리(50)를 회전시키면 선박의 전진에 의해 김발(60)은 김발 안내 롤러(71)에 의해 안내되어 선박의 물김 채취 로터리(50) 위를 지나게 되면서 물김 채취 로터리(50)의 회전에 의해 물김이 지지 프레임(40) 내에 배치된 복수의 물김 채취통에 떨어져 수용된다.
물길 채취통 중 선수 쪽에 가까운 물김 채취통에 물김이 가득차게 되는 경우에는, 스크린(30)을 선박의 선미 쪽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물김을 채취하면 선미 쪽에 가까운 다음번 그리고 그 다음번 물김 채취통에 물김이 차례대로 떨어져 수용되게 된다.
거의 모든 물김 채취통에 물김이 가득차면 선박을 부두로 되돌려 부두에서 물김 채취통을 회수하면 된다.
그 후 세단(초퍼로 절단하는 과정) → 현탁(김을 대바구니에 넣고 당그래로 저으면서 붉은 물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바닷물로 씻음) → 초제(김을 틀에 맞추어 모양을 냄) → 탈수 → 건조 → 김 떼기 → 결속 → 마른 김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선박
21 : 제1 지지대
21-1 : 수평암
21-2 : 수평암 지지봉
21M : 제1모터
22 : 제2 지지대
22-1 : 수평암
22-2 : 수평암 지지봉
22M : 제2모터
30 : 스크린
40 : 지지 프레임
50 : 물김 채취 로터리
60 : 김발
60L : 로프
60L1 : 제1 분기로프
60L2 : 제2 분기로프
60L3 : 제3 분기로프
70 : 지지판
71 : 김발 안내 롤러

Claims (4)

  1. 바다에서 물김을 양식 중인 김발(60)을 선박(10) 위로 안내하는 김발 안내 롤러(71);
    상기 김발 안내 롤러(71)를 지지하기 위해 선수에 고정된 지지판(70);
    수평암(21-1)과 수평암 지지봉(21-2)를 구비하고 선박 선미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1 지지대(21), 및 수평암(22-1)과 수평암 지지봉(22-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판(70)으로부터 뒤쪽으로 이격되어 선박 선수상의 갑판의 우측에 설치된 제2 지지대(22)를 포함하는 지지대;
    선박 갑판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2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대(21)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1M) 및 상기 제2 지지대(2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지지대(22)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22M)를 포함하는 모터;
    선박 갑판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40);
    상기 프레임(40)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상기 김발(60)의 로프(60L)를 상기 제1 지지대(21)와 상기 제2 지지대(22)의 사이에서 지지 및 안내하는 스크린(30); 및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선단 상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김발(60)의 물김을 채취하는 물김 채취 로터리(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30)의 선단이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선박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며,
    상기 김발 안내 롤러(71)는 선박 선수의 끝으로부터 일부 돌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김발(60)이 지지대에 의해 해수면으로부터 위로 들려 올라갈 때 김발(60)을 먼저 닿아서 안내하며,
    상기 물김 채취 로터리(50)는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랙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40) 내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롤링할 수 있어, 상기 스크린(30)이 상기 지지 프레임(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대(22)가 회전하여 선박 갑판의 수평면에 대해 75°가 될 때 상기 로프(60L)가 상기 스크린(30)에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선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40) 내에는 복수의 물김 채취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70109304A 2017-08-29 2017-08-29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KR101964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04A KR101964048B1 (ko) 2017-08-29 2017-08-29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04A KR101964048B1 (ko) 2017-08-29 2017-08-29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79A KR20190023479A (ko) 2019-03-08
KR101964048B1 true KR101964048B1 (ko) 2019-08-07

Family

ID=6580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04A KR101964048B1 (ko) 2017-08-29 2017-08-29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7691A (zh) * 2019-03-11 2019-06-28 王维 一种卡点式的快速剥离紫菜装置
KR102297529B1 (ko) 2019-07-09 2021-09-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물김처리장치
CN110637597B (zh) * 2019-10-22 2020-09-08 三峡大学 一种多通道的莼菜采摘装置及使用方法
KR102354496B1 (ko) 2020-07-06 2022-01-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해조류용 포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439A (ja) * 2003-12-12 2005-06-30 Endo Tekkosho:Kk 索等のすくい上げ機
KR101544752B1 (ko) 2015-02-12 2015-08-17 이만재 내부식성이 향상된 유압식 컨베이어 바지선을 이용한 해조류 채취 및 부산물 처리시스템
KR101724059B1 (ko) * 2015-09-15 2017-04-18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457U (ko) * 2013-03-27 2013-04-24 류주환 김 수확시 용기의 배수가 용이한 조립식 단위용기 거치대
KR20150067973A (ko) 2013-12-11 2015-06-19 최민호 김 자동 채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8439A (ja) * 2003-12-12 2005-06-30 Endo Tekkosho:Kk 索等のすくい上げ機
KR101544752B1 (ko) 2015-02-12 2015-08-17 이만재 내부식성이 향상된 유압식 컨베이어 바지선을 이용한 해조류 채취 및 부산물 처리시스템
KR101724059B1 (ko) * 2015-09-15 2017-04-18 황원용 해초수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79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048B1 (ko)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CN203652095U (zh) 一种新型多功能水下机器人
KR100723304B1 (ko) 수중에서의 패류 수확, 관리 및 관련 패류 그물망 세척장치
CN207369918U (zh) 一种用于沿海滩涂贝类采集的捕捞机器人
Colman et al. The tidal plankton over stoupe beck sands, Robin Hood's bay (Yorkshire, North Riding)
Mundie Emergence traps for aquatic insects: With 3 figures in the text
KR20150067973A (ko) 김 자동 채취기
CN109310058A (zh) 海藻收割机
CN104115795A (zh) 一种大洋性流刺网渔船
CN111717343B (zh) 一种浮于水面的垃圾收集结构
US11083175B2 (en) Shellfish grow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7396689A (zh) 一种多功能浮游生物采集器
KR101148865B1 (ko) 해조류양식장치
KR100626404B1 (ko) 해태망 회수장치
CN107421768A (zh) 一种一体式浮游生物采集器
KR101964634B1 (ko) 꼬막종패 분리장치
CN204119998U (zh) 曼氏无针乌贼受精卵增殖放流组件
CN208316623U (zh) 一种渔光互补的光伏发电站
KR19990002704A (ko) 뽕잎채취장치
CN203801531U (zh) 一种大洋性流刺网渔船
CN103907575B (zh) 一种浮游生物的拦截式采集方法
CN208273602U (zh) 一种操作方便的水中植物采集装置
CN107371584A (zh) 一种浮游生物采集器
US20170295763A1 (en) Harvesting Brine Shrimp Eggs
CN104542510A (zh) 一种河口和海岸带海域鳗苗捕捞组合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