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973A - 김 자동 채취기 - Google Patents

김 자동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973A
KR20150067973A KR1020130153635A KR20130153635A KR20150067973A KR 20150067973 A KR20150067973 A KR 20150067973A KR 1020130153635 A KR1020130153635 A KR 1020130153635A KR 20130153635 A KR20130153635 A KR 20130153635A KR 20150067973 A KR20150067973 A KR 20150067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guide
net
kim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최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호 filed Critical 최민호
Priority to KR102013015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7973A/ko
Publication of KR2015006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Abstract

본 발명은 김 자동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김을 절단하는 김 절단축과 낙하되는 절단된 김을 받는 김받이통 및 김받이통의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유출시키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김 채취기를 구성함으로써 채취된 김을 포대나 바구니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양측의 지지각에 의해 채취선의 갑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절단되는 김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김으로부터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물빠짐홀과 일측 하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김 토출구가 형성된 김받이통; 김받이통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채취된 김을 김 토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김받이통의 상부에 포개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방측에는 김양식망에 부착된 김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지되 김양식망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살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양식망 가이드통; 양식망 가이드통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양식망 가이통의 전방을 통해 상부로 경유되는 김양식망으로부터 김을 절단시키는 김 절단축; 양식망 가이드통의 전방측 하단에 설치되어 김양식망을 양식망 가이드통의 상향으로 안내하는 양식망 가이드봉; 및 이송스크류와 김 절단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김 자동 채취기{Auto laver harvester}
본 발명은 김 자동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을 양식하는 김양식망을 통해 양식된 김을 김양식망으로부터 자동으로 채취하되 채취된 김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운데 물기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김의 채취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김 자동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laver)은 해의(海衣), 자채(紫菜), 해태(海苔)라고도 하며 홍조류 보라털과의 조류로, 몸의 길이는 30㎝ 정도이고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란다. 한국의 연안에서는 10월 무렵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겨울에서 봄에 걸쳐 번식하고, 그 뒤는 차차 줄어들며, 한국(제주도, 남해안, 서해안)이나 일본 및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김에는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이 풍부한 식품이다. 이 밖에 비타민 B1, B2, B6, B12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B2가 많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 C는 채소에 비해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김에는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으며 생식할 경우 암도 예방된다고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김의 양식은 부표를 이용하거나 소위 "말짱"을 이용하게 되며, "말짱"을 이용한 김 양식이 품질이 더 좋고 맛과 가격이 좋다. 반면, 부표를 이용하여 김을 양식하는 경우에는 부표에 매달려 바다에 떠 있는 김양식망에 김의 포자를 부착시켜 양식하는 것으로, 김이 생장되어 김양식망의 하부로 늘어지면 늘어진 김의 하부를 잘라 채취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김양식망에 의해 양식된 김의 채취시 종래에 따른 기술은 채취선을 끌고 나가 김양식망을 채취선에 설치된 김 채취기의 상부로 통과시키면서 김을 잘라내어 채취한다. 이때, 김 채취기에 의해 절단되어 채취되는 김은 채취선의 갑판에 그대로 떨어져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채취선의 갑판은 채취된 김으로 인하여 어수선해지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김 채취기에 의해 절단되어 채취선의 갑판에 그대로 쌓이는 김은 작업자에 의해 포대나 상자에 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채취된 김을 포대라 상자에 담는 작업은 손이나 삽과 같은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포대나 바구니에 직접 담게 된다. 이에 따라, 좁은 채취선 안에서의 작업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김 채취기에 의해 채취되는 김은 채취선의 갑판에 그대로 쌓이기 때문에 그대로 물기를 함유하고 있어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의 피로도를 가중시킴은 물론, 부피가 상당하여 채취된 김을 담기 위한 포대나 바구니가 상당량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김 채취기는 김의 재취시 김양식망을 붙잡아 자세를 유지시키는 인원과 김 채취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원 및 채취된 김을 담는 인원 등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0022858호(1999.07.05.자 공개)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37365호(2001.10.08.자 공고)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65167호(2013.02.05.자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김을 절단하는 김 절단축과 낙하되는 절단된 김을 받는 김받이통 및 김받이통의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유출시키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김 채취기를 구성함으로써 채취된 김을 포대나 바구니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김 자동 채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김 절단축을 통해 절단된 김이 흩어지지 않도록 김받이통을 통해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취선의 갑판이 어수선해지지 않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김받이통의 하부에 물빠짐홀을 구성하여 김받이통에 낙하된 김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가운데 물빠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무게나 부피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대나 김을 담은 바구니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김 채취기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유압모터를 통해 구동시킴은 물론 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를 선장실에 위치시킴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김을 채취하는데 따른 작업 인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는 그물망의 형태로 이루어진 김양식망을 통해 양식된 김을 자동으로 채취하는 김 채취기에 있어서, 양측의 지지각에 의해 채취선의 갑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절단되는 김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김으로부터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물빠짐홀과 일측 하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김 토출구가 형성된 김받이통; 김받이통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채취된 김을 김 토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김받이통의 상부에 포개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방측에는 김양식망에 부착된 김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지되 김양식망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살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양식망 가이드통; 양식망 가이드통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양식망 가이통의 전방을 통해 상부로 경유되는 김양식망으로부터 김을 절단시키는 김 절단축; 양식망 가이드통의 전방측 하단에 설치되어 김양식망을 양식망 가이드통의 상향으로 안내하는 양식망 가이드봉; 및 이송스크류와 김 절단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유압모터는 두 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모터축이 이송스크류와 김 절단축에 구동체인과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김받이통의 물빠짐홀은 절단되어 낙하된 김이 누수되지 않는 촘촘한 간격의 지지살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구성에서 유압모터를 구동시키는 엔진은 유압모터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채취선의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조작레버를 통해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김을 절단하는 김 절단축과 낙하되는 절단된 김을 받는 김받이통 및 김받이통의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유출시키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김 채취기를 구성함으로써 채취된 김을 포대나 바구니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김 절단축을 통해 절단된 김이 흩어지지 않도록 김받이통을 통해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취선의 갑판이 어수선해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음은 물론, 채취된 김으로부터 물빠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무게나 부피를 줄일 수가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김 채취기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유압모터를 통해 구동시킴은 물론 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를 선장실에 위치시킴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김을 채취하는데 따른 작업 인원을 현저히 줄일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이송스크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김받이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배면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동력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를 통한 김의 채취를 보인 사시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이송스크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김받이통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배면 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의 동력 연결구조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를 통한 김의 채취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김 자동 채취기(100)는 채취선(10)의 갑판에 설치되어 절단되는 김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 하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김 토출구(112)가 형성된 김받이통(110), 김받이통(1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채취된 김을 김 토출구(11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20), 김받이통(110)의 상부에 포개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방측에는 김양식망(20)에 부착된 김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지되 김양식망(20)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살(1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양식망 가이드통(130),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양식망 가이통(130)의 전방을 통해 상부로 경유되는 김양식망(20)으로부터 김을 절단시키는 김 절단축(140),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전방측 하단에 설치되어 김양식망(20)을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상향으로 안내하는 양식망 가이드봉(150) 및 이송스크류(120)와 김 절단축(140)을 회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1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100)의 구성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받이통(110)의 하부에는 김 절단축(140)에 의해 김양식망(20)으로부터 절단되어 낙하된 김에 함유된 바닷물의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물빠짐홀(11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100)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 채취선의 갑판 선수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다. 이때, 김양식망(20)을 김 자동 채취기(100)의 상부로 걸쳐지게 한 상태에서 유압모터(160)를 구동시키는 가운데 김 채취선을 전진시키게 되면 김양식망(20)은 김 자동 채취기(100)의 양식망 가이드통(130) 상부를 경유하면서 김 채취선으로 상부측으로 지나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김 채취선이 전진함에 따라 김양식망(20)이 김 자동 채취기(100)의 양식망 가이드통(130) 상부를 경유하게 되면 김 자동 채취기(100)의 김 절단축(140)에 의해 김양식망(20)에 부착된 김의 절단이 이루어져 김받이통(110)의 바닥으로 낙하되어 모여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김 절단축(140)에 의해 김양식망(20)으로부터 절단되어 김받이통(110)의 바닥으로 낙하된 김은 김받이통(110)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김 토출구(112)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처럼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이송되는 김은 김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이송되는 김이 김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기에 앞서 김 토출구(112)에는 바구니나 포대를 받쳐 김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김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김받이통(110)의 하부에 김 절단축(140)에 의해 김양식망(20)으로부터 절단되어 낙하된 김에 함유된 바닷물의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물빠짐홀(114)이 형성되어 있어 김받이통(110)에서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김 토출구(112) 방향으로 이송되는 가운데 채취된 김으로부터 물기가 빠져 무게나 부피가 확연히 줄어든 상태의 김이 김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김받이통(110)은 김양식망(20)으로부터 절단되어 낙하되는 김을 받는 것으로, 이러한 김받이통(11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각(116)에 의해 채취선(10)의 갑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절단되는 김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김으로부터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물빠짐홀(114)과 일측 하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김 토출구(11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김받이통(110)은 김양식망(20)으로부터 절단되어 낙하되는 김이 낙하되어 가운데 부분으로 모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반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김밭이통(1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이송스크류(120)가 설치되기 때문에 김받이통(110)의 하부측은 가급적이면 원형에 가깝게 형성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김받이통(110)의 일측에 구성된 김 토출구(112)는 김받이통(110)으로 낙하되어 모인 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이러한 김 토출구(112)는 김받이통(110)의 후면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이송스크류(120)의 이송 끝단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김받이통(110)의 하부측에 구성된 물빠짐홀(114)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김 절단축(140)에 의해 김양식망(20)으로부터 절단되어 낙하된 김에 함유된 바닷물의 물빠짐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물빠짐홀(114)은 김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김받이통(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물빠짐홀(114)은 김받이통(110) 하부의 김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전 구간에 걸쳐 김이 누수되지 않는 크기의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김이 누수되지 않는 촘촘한 간격의 지지살(114a)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김의 이송이 양호하도록 지지살(114a)의 설치를 통해 물빠짐홀(114)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송스크류(120)는 김받이통(110)의 내부로 절단되어 낙하된 김을 일방향으로의 이송을 통해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이송스크류(120)는 도 1,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받이통(1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구동을 통해 채취된 김을 김받이통(110)의 일측에 형성된 김 토출구(112)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채취된 김을 김받이통(110)의 일측에 형성된 김 토출구(11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20)는 김받이통(110)의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이러한 이송스크류(120)는 유압모터(160) 축에 구동체인(162)을 통해 연결되어 유압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양식망 가이드통(130)은 전면과 상부를 통해 김양식망(20)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양식망 가이드통(130)은 도 1, 도4,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김받이통(110)의 상부에 포개지는 형태로 설치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양식망 가이드통(130)은 전방측에는 김양식망(20)에 부착된 김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지되 김양식망(20)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살()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내살(132)은 김양식망(20)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하지만 김양식망(20)이 김 절단축(14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안내살(132)이 없을 경우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상부로 안내되는 김양식망(20)이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전방측 개방된 부분을 경유할 때 김 절단축(14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김양식망(20)의 파손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안내살(132)은 필요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김 절단축(140)은 회전을 통해 김양식망(20)에 부착된 김을 절단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김 절단축(140)은 도 1,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식망 가이통(130)의 전방을 통해 상부로 경유되는 김양식망(20)으로부터 김을 절단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김양식망(20)으로부터 김을 절단시키는 김 절단축(140)은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양측에 설치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이러한 김 절단축(140)에는 일전 간격의 스크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절단날(142)이 형성되어 김양식망(20)으로부터 늘어진 상태의 김을 절단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김 절단축(140)은 다른 하나의 유압모터(160) 축에 구성된 구동풀리(도면번호 부여하지 않음)와 구동벨트(144)를 통해 연결되어 유압모터(160)의 구동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양식망 가이드봉(150)은 김 채취선의 진행에 따라 김양식망(20)과 김 자동 채취기(100)를 구성하는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양식망 가이드봉(15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전방측 하단에 설치되어 김양식망(20)을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상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식망 가이드통(130)의 전방측 하단에 양식망 가이드봉(150)을 횡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김양식망(20)의 그물이 김 자동 채취기(100)를 구성하는 양식망 가이드통(130)에 걸림 없이 미끄러지듯 양식망 가이드통(130) 상부를 경유하여 지나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압모터(160)는 이송스크류(120)와 김 절단축(140)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유압모터(160)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받이통(110)의 일측에 두 개가 설치 고정되어 구동체인(162)과 구동벨트(144)을 통해 모터축과 연결된 이송스크류(120)와 김 절단축(140)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압모터(1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은 유압모터(160)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채취선(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람의 손이 닿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유압모터(16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도시하지 않음)를 선장실에 구성하여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100)는 유압모터(160)를 조작하기 위한 인원 1명과 김양식망(20)을 잡아줄 인원 1명 및 토출되는 김을 포대나 바구니에 담을 인원 1명 등 3명 정도의 인원이면 김을 채취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어 인원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100)는 김 절단축(140)에 의해 절단된 김을 이송스크류(120)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운데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포대나 바구니를 토출구(112) 상에 대고만 있으면 담기기 때문에 작업이 원활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100)는 김 절단축(140)에 의해 절단된 김을 이송스크류(120)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가운데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포대나 바구니를 토출구(112) 상에 대고만 있으면 담기기 때문에 김의 채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김 자동 채취기(100)는 절단되는 김이 김받이통(110)에 담기기 때문에 김 채취선의 갑판이 어수선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20. 김양식망
100. 김 자동 채취기
110. 김받이통
112. 김 토출구
114. 물빠짐홀
114a. 지지살
120. 이송스크류
130. 양식망 가이드통
140. 김 절단축
142. 절단날
144. 구동벨트
150. 양식망 가이드봉
160. 유압모터
162. 구동체인

Claims (4)

  1. 그물망의 형태로 이루어진 김양식망을 통해 양식된 김을 자동으로 채취하는 김 채취기에 있어서,
    양측의 지지각에 의해 채취선의 갑판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절단되는 김을 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에는 김으로부터 물빠짐이 이루어지는 물빠짐홀과 일측 하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김 토출구가 형성된 김받이통;
    상기 김받이통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채취된 김을 상기 김 토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김받이통의 상부에 포개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전방측에는 상기 김양식망에 부착된 김이 유입되도록 개방되어지되 김양식망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안내살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양식망 가이드통;
    상기 양식망 가이드통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양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되어 양식망 가이통의 전방을 통해 상부로 경유되는 상기 김양식망으로부터 김을 절단시키는 김 절단축;
    상기 양식망 가이드통의 전방측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김양식망을 양식망 가이드통의 상향으로 안내하는 양식망 가이드봉; 및
    상기 이송스크류와 김 절단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 채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는 두 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모터축이 상기 이송스크류와 김 절단축에 구동체인과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 채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받이통의 물빠짐홀은 절단되어 낙하된 김이 누수되지 않는 촘촘한 간격의 지지살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 채취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를 구동시키는 엔진은 유압모터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채취선의 일측에 설치되어지되 조작레버를 통해 회전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자동 채취기.
KR1020130153635A 2013-12-11 2013-12-11 김 자동 채취기 KR20150067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35A KR20150067973A (ko) 2013-12-11 2013-12-11 김 자동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635A KR20150067973A (ko) 2013-12-11 2013-12-11 김 자동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973A true KR20150067973A (ko) 2015-06-19

Family

ID=5351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635A KR20150067973A (ko) 2013-12-11 2013-12-11 김 자동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797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8265A (zh) * 2015-09-11 2017-03-22 叶志标 紫菜采收装置
KR200487675Y1 (ko) * 2018-08-10 2018-10-19 유한회사 대동종합상사 원활한 김발 이송을 위한 물공급 수단을 갖는 물김 자동 채취장치
KR101939501B1 (ko) * 2017-11-13 2019-01-16 김홍기 김채취기
KR20190023479A (ko) 2017-08-29 2019-03-08 김석칠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KR101982029B1 (ko) * 2019-02-22 2019-05-24 장인제 김 채취기용 분배장치
KR20190141970A (ko) * 2018-06-15 2019-12-26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물김 자동 이송 장치
KR20190142126A (ko) * 2018-06-15 2019-12-26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
KR20200097567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종패분리장치
CN112655366A (zh) * 2020-12-06 2021-04-16 罗源县鉴江镇企业服务中心 一种具有消毒功能的紫菜收取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8265A (zh) * 2015-09-11 2017-03-22 叶志标 紫菜采收装置
KR20190023479A (ko) 2017-08-29 2019-03-08 김석칠 물김 채취 자동화 처리장치
KR101939501B1 (ko) * 2017-11-13 2019-01-16 김홍기 김채취기
KR20190141970A (ko) * 2018-06-15 2019-12-26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물김 자동 이송 장치
KR20190142126A (ko) * 2018-06-15 2019-12-26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탈부착식 김틀망을 이용한 물김의 분리 이송방법
KR200487675Y1 (ko) * 2018-08-10 2018-10-19 유한회사 대동종합상사 원활한 김발 이송을 위한 물공급 수단을 갖는 물김 자동 채취장치
KR20200097567A (ko) * 2019-02-08 2020-08-19 (주) 승진유공압테크 종패분리장치
KR101982029B1 (ko) * 2019-02-22 2019-05-24 장인제 김 채취기용 분배장치
CN112655366A (zh) * 2020-12-06 2021-04-16 罗源县鉴江镇企业服务中心 一种具有消毒功能的紫菜收取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7973A (ko) 김 자동 채취기
RU23788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ывания плодов
CN107155514B (zh) 一种牧草自动收割散料设备
CN103858589B (zh) 一种高粱切穗剥叶收获机
CN109451983B (zh) 一种无花果采摘车
JPS62500213A (ja) 作物収穫機と作物収穫方法
CN109566074A (zh) 一种多功能水草收割机
CN109729819A (zh) 高含水量玉米籽粒直收植株收割加工设备
CN209949878U (zh) 高含水量玉米籽粒直收植株收割加工设备
CN110366938A (zh) 金鱼草采收一体化旋拽去叶气流防倒准分级穿戴式行走衣
KR20130028299A (ko) 슬라이스 커터장치
CN106993423B (zh) 一种农业花生收获花生秧分离收获机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WO2014127005A1 (en) Row insensitive plant harvesting system
JP2009142226A (ja) 葉菜収穫機
KR20130116006A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CN203457543U (zh) 葵花收割机
CN113207559A (zh) 一种香菇养殖的快速采摘装置
CN202958200U (zh) 全自动水底除草船
CN209897640U (zh) 一种多功能水草收割机
CN111493343A (zh) 一种铁棍山药采收用去毛根装置
CN105875539A (zh) 沙蚕的收获装置
CN211152792U (zh) 一种水稻收割装置
CN202958199U (zh) 水底除草装置
CN201260304Y (zh) 环保收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