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888B1 - 굴 수확장치 - Google Patents

굴 수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888B1
KR101787888B1 KR1020160050102A KR20160050102A KR101787888B1 KR 101787888 B1 KR101787888 B1 KR 101787888B1 KR 1020160050102 A KR1020160050102 A KR 1020160050102A KR 20160050102 A KR20160050102 A KR 20160050102A KR 101787888 B1 KR101787888 B1 KR 10178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mesh
hydraulic motor
rod
de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호
김동아
Original Assignee
장용호
김동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호, 김동아 filed Critical 장용호
Priority to KR102016005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방에는 복수의 다리(1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양성된 굴(10)이 붙어있는 굴그물망(20)이 전방으로 투입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탈거된 굴(10)이 하방으로 떨어져 일측으로 모이도록 상부가 개구되면서 바닥면이 좌우방향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굴수집용기(120)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굴수집용기(120)에 수집된 굴(1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30)가 구비된 작업대(100)와, 상기 굴그물망(20)이 투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굴탈거하우징(210)이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이 좌우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펼침돌기(2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그물망펼침봉(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상하방향 양측에 붙어있는 굴(10)이 탈거되도록 투입된 굴그물망(20)의 상하방향 양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복수의 굴탈거돌기(231)가 각각 형성된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이 구비된 굴탈거부(200)와,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서 투입 및 배출되는 상기 굴그물망(20)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 및 굴탈거부(200)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그물망가이드롤러(300)와,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굴그물망(20)을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수하도록 회전축(410)에 상기 굴그물망(20)의 선단이 고정 결합된 그물망회수드럼(400)과,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공급부(5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공급부(500)를 제어하여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사용자조작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굴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 수확장치{HARVESTING APPARATUS OF OYSTER}
본 발명은 그물망에 붙어있는 굴의 탈거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동력을 통하여 자동화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한 굴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바다의 우유'라 불리는 고영양식품으로 인기가 많은 굴(oyster)은 사새목(Filibranchia) 굴과의 이매패류(Bivalvia)에 속하며 그 종류에는 참굴, 아메리카굴, 포르투갈굴, 호주굴, 봄베이굴, 갓굴, 토굴, 유럽굴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참굴(pacific oyster)을 지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굴은 이매패류 중에서도 좌우의 패각(貝殼)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산란 시기는 22~25℃의 수온을 갖는 6~8월경에 이루어지며 수천만 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깬 직후의 유생(幼生)은 수중의 플랑크톤을 먹이로하여 부유생활을 하며 자라는 동안 몇 차례의 변태를 거쳐 2∼3주일이 지나 치패(稚貝)로 성장하면 바위 등에 부착하여 부착생활에 들어가고 만 1년이 지나면 성패(成貝)가 된다. 한편, 굴은 연안에서 일부 채취하기도 하지만 굴의 수요가 많아 대부분 양식을 통해서 수확되고 있다.
굴 양식에는 채묘(採苗), 양성, 수확의 과정을 갖으며 채묘란 부착생활기에 들어간 굴 치패가 착생할 수 있도록 부착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모패의 산란방식에 따라 자연채묘와 인공채묘가 있으며, 양성은 치패를 성장시키는 과정이며 수확은 성장된 굴 성패를 수확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굴 양식은 채묘와 양성 방식에 따라 대표적으로 투석식(投石式), 간이 수하식, 뗏목 수하식, 연승 수하식이 있으며, 먼저 투석식은 만조와 간조 사이의 조간대에 굴 치패 양성을 위한 돌을 투척하여 양식하는 재래적인 방식이고, 간이 수하식은 조간대에 두 줄의 말목을 박고 말목 위에 옆으로 나무를 걸쳐서 이 나무에 수하연을 매달아 양식하는 방식, 뗏목 수하식은 뗏목에 굴 치패 양성을 위한 다수개의 수하연(垂下延)을 매달아 양식하는 방식, 연승 수하식은 부자(浮子)에 의해 해면에 띄워진 로프에 수하연을 매달아 양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투석식과 간이 수하식은 재래적인 방식이라 수확량이 작고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 한정되며 해류에 의해 돌 또는 말목이 유실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뗏목 수하식은 시설비가 많이 들고 취급이 불편하여 현재는 거의 이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상기 연승 수하식은 위 투석식, 간이 수하식, 뗏목 수하식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여 현재 국내 남해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굴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사전 작업으로 채묘연(採苗延)과 수하연을 각각 가공하는 작업 즉, 굴 패각 또는 가리비 조가비를 천공하여 채묘연에 끼워넣는 작업과 굴 치패가 부착된 채묘연의 굴 패각 또는 가리비 조가비 간의 간격을 띄우는 수하연 작업이 수작업으로 처리되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해상으로의 운반과 수하 및 수확 작업 시 그 무게로 인해 작업 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종래 굴 양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3463호(2015. 05. 20)에는 육상 수조에서 채묘되어 굴 치패가 부착된 그물망(100a, 100b, 200a, 200b)을 해상에 수하하여 굴 치패(21)를 양성 및 수확함으로써, 종래의 연승 수하식 굴 양식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물망에 의해 굴 치패 간의 밀집도를 낮춰 고품질의 개체굴(individual oyster) 성패 양성을 유도하도록 한 그물망 수하식 굴 양식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은 해상에 수하된 그물망(100a, 100b, 200a, 200b)에 부착된 굴을 수확하기 위한 별도의 수확장치가 개시된 바 없고, 상기 그물망은 가로 길이 100~300m, 세로 길이 2~2.5m 가량 되기 때문에 해상에서 바지선에 그물망을 끌어올리거나 육지로 이동한 다음 수작업에 의존하여 상기 그물망에 부착된 굴을 떼어내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수확시 인력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해상으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뭉쳐진 그물망을 펼치는데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물망 수하식으로 양식된 굴의 수확시 자동화방식으로 해상으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뭉쳐진 굴그물망을 펼친 다음 굴그물망으로부터 굴을 탈거시킴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에 의존하였던 수확작업에 비해 인력 및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굴 수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굴 수확장치는, 하방에는 복수의 다리(1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양성된 굴(10)이 붙어있는 굴그물망(20)이 전방으로 투입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탈거된 굴(10)이 하방으로 떨어져 일측으로 모이도록 상부가 개구되면서 바닥면이 좌우방향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굴수집용기(120)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굴수집용기(120)에 수집된 굴(1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30)가 구비된 작업대(100)와, 상기 굴그물망(20)이 투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굴탈거하우징(210)이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이 좌우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펼침돌기(2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그물망펼침봉(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상하방향 양측에 붙어있는 굴(10)이 탈거되도록 투입된 굴그물망(20)의 상하방향 양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복수의 굴탈거돌기(231)가 각각 형성된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이 구비된 굴탈거부(200)와,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서 투입 및 배출되는 상기 굴그물망(20)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 및 굴탈거부(200)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그물망가이드롤러(300)와,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굴그물망(20)을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수하도록 회전축(410)에 상기 굴그물망(20)의 선단이 고정 결합된 그물망회수드럼(400)과,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공급부(5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공급부(500)를 제어하여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사용자조작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물망펼침봉(220)의 펼침돌기(221)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우측은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의 굴탈거돌기(231) 각각은,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굴(10)의 탈거가 용이하면서 탈거된 굴(10)이 상기 작업대(100)의 배출구(1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굴수집용기(120)로 떨어지도록 'ㄱ' 자형의 단면을 갖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장형이고, 상기 배출구(13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탈거부(200)는,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에 장홀(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과 함께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장홀(21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와,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를 탄성 지지하도록 하방에 탄성체(251)가 고정 결합된 이동체지지브라켓(250)과, 조이고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를 가압하여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와 함께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격거리조절볼트(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공급부(500)는, 전동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공급부(500)는, 상기 굴탈거부(200)의 제1 굴탈거봉(230a)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굴탈거봉(230a)에 결합된 제1 유압모터(510a)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회전축(410)에 결합된 제2 유압모터(510b)를 구비한 유압모터부(510)와, 상기 제1 굴탈거봉(230a)의 회전력을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및 제2 굴탈거봉(230b)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520)과,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에 유압 에너지를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520)은, 상기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각각에 고정 결합된 스프라켓(521)과 상기 스프라켓(521) 각각과 맞물린 체인(522)을 포함하는 체인 스프라켓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조작부(600)는,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굴탈거부조작레버(610)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드럼조작레버(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각각의 과열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각각에 설치된 온도센서(700)와, 상기 온도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70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유압공급수단(530)의 유압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유압모터단속부(800)와, 상기 온도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70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 수확장치는, 첫째 굴탈거부, 그물망회수드럼 및 동력공급부를 통하여 그물망 수하식으로 양식된 굴의 수확시 자동화방식으로 해상으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뭉쳐진 굴그물망을 펼친 다음 굴그물망으로부터 굴을 탈거시킴과 동시에 그물망회수드럼에 굴그물망을 회수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에 의존하였던 수확작업에 비해 인력 및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이격거리조절이동체, 이동체지지브라켓 및 이격거리조절볼트를 통하여 수확되는 굴의 크기에 따라 굴탈거부의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 간의 상하방향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수확시기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굴을 굴그물망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온도센서, 유압모터단속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유압모터가 과부하에 걸릴 경우 유압모터의 작동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장비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물망 수하식 굴 양식방법 중 굴 치패가 부착된 그물망이 해상에 수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 수확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굴이 부착된 굴그물망이 투입되어 굴그물망으로부터 굴이 탈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굴탈거부를 작업대로부터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실시예 중 굴탈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제1 유압모터 및 체인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 중 그물망펼침봉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실시예 중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 및 9의 실시예의 그물망펼침봉,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을 통하여 굴그물망이 좌우방향으로 펼쳐진 다음, 굴이 탈거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의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을 통하여 굴그물망으로부터 굴이 탈거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3은 도 6의 실시예의 이격거리조절이동체, 이동체지지브라켓, 이격거리조절볼트 및 스프라켓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6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 중 제2 굴탈거봉이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2의 실시예 중 사용자조작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2의 실시예의 유압모터부, 유압공급수단 및 사용자조작부의 장치블록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굴 수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의 유압공급수단, 유압모터부, 온도센서, 유압모터단속부 및 스피커의 장치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굴 수확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 굴탈거부(200), 그물망가이드롤러(300), 그물망회수드럼(400), 동력공급부(500) 및 사용자조작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업대(1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는 복수의 다리(1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양성된 굴(10)이 붙어있는 굴그물망(20)이 전방으로 투입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탈거된 굴(10)이 하방으로 떨어져 일측으로 모이도록 상부가 개구되면서 바닥면이 좌우방향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굴수집용기(120)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굴수집용기(120)에 수집된 굴(1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30)가 구비된다. 상기 굴수집용기(120)의 상방에는 사용자 즉, 작업자의 작업공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작업대 측면으로 돌출된 공구거치대(1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 수집용기(120)의 상방에는 후술할 굴탈거부(200)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상기 그물말회수드럼(4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30)에는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탈거되어 배출된 굴(1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운반바구니가 위치하거나, 컨베이어벨트 방식의 이송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그물망(20)은 육상 수조에서 채묘되어 굴 치패가 부착된 그물망을 해상에 수하하여 굴 치패를 양성 및 수확하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바 있는 그물망 수하식 굴 양식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3463호)에 따른 양성된 굴(10)이 부착된 그물망이다. 그리고, 굴의 수확철은 일반적으로 10월~4월로 늦가을부터 초봄까지이고, 굴의 수요량이 증가되는 김장철 즉, 11월경에 해상에 수하된 복수의 굴그물망 중 1개 내지 복수의 굴그물망에 부착된 굴을 1차적으로 수확하며, 익년 2월경부터 나머지 굴그물망에 부착된 굴을 수확한다. 이때, 굴그물망에 부착된 굴을 탈거하여 수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해상에 수하된 굴그물망을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 등으로 끌어올린 다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굴을 탈거함에 따라 인력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확작업시 수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굴양식업에 종사하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자동화방식의 굴 수확장치를 개발한 것이다.
굴탈거부(200)는 도 2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그물망(20)이 투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굴탈거하우징(210)이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이 좌우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펼침돌기(2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그물망펼침봉(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상하방향 양측에 붙어있는 굴(10)이 탈거되도록 투입된 굴그물망(20)의 상하방향 양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복수의 굴탈거돌기(231)가 각각 형성된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펼침봉(220)의 펼침돌기(221)는, 도 5, 8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우측은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해상에 수하된 굴그물망(20)은 바지선 또는 육지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좌우방향으로 뭉쳐져 있으므로 굴그물망(20)으로부터 굴(10)을 용이하게 탈거하기 위해서는 뭉쳐진 굴그물망(20)을 좌우방향으로 펼쳐줄 필요성이 있는데 상기 펼침돌기(2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우측은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독특한 형상으로 상기 그물망펼침봉(2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뭉쳐진 굴그물망(20)이 후술할 그물망회전드럼(40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좌우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의 굴탈거돌기(231) 각각은,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굴(10)의 탈거가 용이하면서 탈거된 굴(10)이 상기 작업대(100)의 배출구(1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굴수집용기(120)로 떨어지도록 'ㄱ' 자형의 단면을 갖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장형이고, 상기 배출구(13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배출구(130)의 방향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의 좌측방향이면 'ㄱ' 자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굴탈거돌기(231)가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굴탈거돌기(231)에 걸린 굴(10)이 상기 굴탈거돌기(231)를 따라 상기 배출구(130) 방향으로 이동한 다음 하방으로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작업대(100) 및 굴탈거부(200)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굴그물망(2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게 제작하여 상기 굴그물망(20)의 상면에 부착된 굴(10)이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을 통해 탈거된 다음 배출구(13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굴수집용기(120)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굴탈거부(200)는,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에 장홀(211)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과 함께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장홀(21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와,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를 탄성 지지하도록 하방에 탄성체(251)가 고정 결합된 이동체지지브라켓(250)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조이고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를 가압하여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와 함께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격거리조절볼트(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 이동체지지브라켓(250) 및 이격거리조절볼트(260)를 통하여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간의 상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굴의 수확철은 10월~4월로 늦가을부터 초봄까지이며, 수요량이 증가되는 김장철 즉, 11월경에 1차적으로 수확하고, 나머지는 익년 2월부터 수확함에 따라 수확시기에 따라 굴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수확시기에 따라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간의 상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굴(10)을 용이하게 탈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각각에는 후술할 스프라켓(521)이 고정 결합되고, 체인(522)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데 상기 스프라켓(521) 및 체인(522)의 교체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면서 상기 체인(522)을 느슨하게 한 다음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각각은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면서 후술할 동력공급부(500)의 회전력전달수단(5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일단에는 상기 회전력전달수단(520)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베어링 또는 부시를 매개로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 이동체지지브라켓(250) 및 이격거리조절볼트(260) 각각은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의 좌우방향 양단 즉,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이격거리조절볼트(260)를 조이고 풀면서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물망가이드롤러(30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서 투입 및 배출되는 상기 굴그물망(20)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 및 굴탈거부(200)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롤러브라켓(310)을 통하여 결합된다. 즉, 상기 그물망가이드롤러(300)를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 및 굴탈거부(20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 그물망(20)을 후술할 그물망회수드럼(400)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하방으로 쳐지지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그물망(20)을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에 설치된 그물망가이드롤러에 상방을 지나도록 하면서 상기 굴탈거부(200)의 전방에 위치한 그물망가이드롤러에는 하방을 지나도록 하고, 상기 굴탈거부(200)의 후방에 위치한 그물망가이드롤러에는 상방을 지나도록 하여 상하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브라켓(310)은 베어링 또는 부시가 구비되어 롤러의 회전에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물망회수드럼(400)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굴그물망(20)을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수하도록 회전축(410)에 상기 굴그물망(20)의 선단이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은 상기 굴탈거부(200)를 통하여 굴(10)이 탈거된 굴그물망(20)을 회전드럼에 감으면서 회수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굴그물망(20)의 시작부인 선단을 고정한 상태로 후술한 동력공급부(5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굴그물망(20)을 회수하도록 한다.
동력공급부(500)는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전동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유압식의 경우 상기 굴탈거부(200)의 제1 굴탈거봉(230a)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굴탈거봉(230a)에 결합된 제1 유압모터(510a)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회전축(410)에 결합된 제2 유압모터(510b)를 구비한 유압모터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굴탈거봉(230a)의 회전력을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및 제2 굴탈거봉(230b)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520)과,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에 유압 에너지를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52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각각에 고정 결합된 스프라켓(521)과 상기 스프라켓(521) 각각과 맞물린 체인(522)을 포함하는 체인 스프라켓 방식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인(522)은 상기 제1 유압모터(510a)와 결합된 제1 굴탈거봉(230a)의 회전력이 상기 그물망펼침봉(220) 및 제2 굴탈거봉(230b)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각각에 고정 결합된 스프라켓(521)에 1개로 맞물리거나, 상기 그물망펼침봉(220) 및 제1 굴탈거봉(230a) 각각에 고정 결합된 스프라켓에 1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각각에 고정 결합된 스프라켓에 1개씩 각각 맞물리도록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인 스프라켓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시킨 이유는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간의 이격거리가 조절될 경우 상기 체인(522)의 고리를 추가하거나 분리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압공급수단(530)은 도시된 바 없지만 상기 유압모터부(510)에 유압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압탱크 및 유압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조작부(600)는 도 2,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공급부(500)를 제어하여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굴탈거부조작레버(610)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드럼조작레버(6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굴탈거부조작레버(610)는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1 유압모터(510a)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함이고, 상기 드럼조작레버(620)는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2 유압모터(510b)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함으로, 상기 유압공급수단(530) 및 유압모터부(510)의 중간에 유압라인(531)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레버조작에 따라 상기 유압모터부(510)로의 유압 에너지의 공급, 차단 및 공급방향이 결정되면서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각각이 제어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 3, 11 및 12는 상기 굴탈거부(200) 및 그물망회수드럼(400)을 통하여 좌우방향으로 뭉쳐진 굴그물망(20)이 펼쳐진 다음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굴(10)이 탈거되면서 상기 굴그물망(20)이 회수되는 과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은 상기 동력공급부(500)를 통하여 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하고,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은 상기 동력공급부(500)를 통하여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은 회전하면서 좌우방향으로 뭉쳐진 굴그물망(20)을 펼치고, 상기 굴탈거부(200)의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은 각각 회전하면서 상기 굴그물망(20)에 부착된 굴(10)을 탈거한다. 그리고, 상기 굴(10)이 탈거된 굴그물망(20)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이 회전하면서 회수된다.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탈거된 굴(10)은 작업대(100)의 배출구(130)를 통하여 작업대(100) 외부로 배출된 다음 운반바구니에 담겨져 육지의 굴가공 공장 등으로 운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굴 수확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18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 굴탈거부(200), 그물망가이드롤러(300), 그물망회수드럼(400), 동력공급부(500) 및 사용자조작부(600)를 포함하면서 온도센서(700), 유압모터단속부(800) 및 스피커(900)를 더 포함한다. 다만,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온도센서(700)는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각각의 과열(혹은 과부하)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각각에 설치된 센싱수단이다. 즉, 상기 온도센서(700)는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상기 굴탈거부(200)에 투입된 굴그물망(10)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엉킴으로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중 어느 하나가 멈추면서 상기 유압모터부(500)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유압모터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유압모터단속부(800)는 상기 온도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70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유압공급수단(530)의 유압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수단이다. 예컨대, 상기 유압모터단속부(800)는 상기 유압모터부(510), 유압공급수단(530) 및 사용자조작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700)의 검출값에 따라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상기 유압모터부(510) 및 유압공급수단(530)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스피커(900)는 상기 온도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70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700), 유압모터단속부(800) 및 스피커(900)는 바지선 등의 야외에 설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충전 및 운반이 용이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굴 수확장치는, 첫째 굴탈거부(200), 그물망회수드럼(400) 및 동력공급부(500)를 통하여 그물망 수하식으로 양식된 굴의 수확시 자동화방식으로 해상으로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뭉쳐진 굴그물망(20)을 펼친 다음 굴그물망(20)으로부터 굴(10)을 탈거시킴과 동시에 그물망회수드럼(400)에 굴그물망(20)을 회수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에 의존하였던 수확작업에 비해 인력 및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 이동체지지브라켓(250) 및 이격거리조절볼트(260)를 통하여 수확되는 굴의 크기에 따라 굴탈거부(200)의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간의 상하방향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수확시기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굴(10)을 굴그물망(2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온도센서(700), 유압모터단속부(800) 및 스피커(900)를 통하여 유압모터부(510)가 과부하에 걸릴 경우 유압모터부(5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장비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굴
20 : 굴그물망
100 : 작업대 110 : 다리
120 : 굴수집용기 130 : 배출구
200 : 굴탈거부 210 : 굴탈거하우징
220 : 그물망펼침봉 230a : 제1 굴탈거봉
230b : 제2 굴탈거봉 240 : 이격거리조절이동체
250 : 이동체지지브라켓 260 : 이격거리조절볼트
300 : 그물망가이드롤러 310 : 가이드롤러브라켓
400 : 그물망회수드럼 410 : 회전축
500 : 동력공급부 510 : 유압모터부
520 : 회전력전달수단 530 : 유압공급수단
600 : 사용자조작부
610 : 굴탈거부조작레버 620 : 드럼조작레버
700 : 온도센서
800 : 유압모터단속부
900 : 스피커

Claims (9)

  1. 하방에는 복수의 다리(110)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양성된 굴(10)이 붙어있는 굴그물망(20)이 전방으로 투입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탈거된 굴(10)이 하방으로 떨어져 일측으로 모이도록 상부가 개구되면서 바닥면이 좌우방향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굴수집용기(120)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굴수집용기(120)에 수집된 굴(1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130)가 구비된 작업대(100)와,
    상기 굴그물망(20)이 투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굴탈거하우징(210)이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이 좌우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펼침돌기(2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그물망펼침봉(2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내부 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상하방향 양측에 붙어있는 굴(10)이 탈거되도록 투입된 굴그물망(20)의 상하방향 양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복수의 굴탈거돌기(231)가 각각 형성된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이 구비된 굴탈거부(200)와,
    상기 작업대(100)의 상방에서 투입 및 배출되는 상기 굴그물망(20)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 및 굴탈거부(200)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그물망가이드롤러(300)와,
    상기 작업대(10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굴그물망(20)을 상기 작업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수하도록 회전축(410)에 상기 굴그물망(20)의 선단이 고정 결합된 그물망회수드럼(400)과,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공급부(50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공급부(500)를 제어하여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사용자조작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굴탈거부(200)는,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에 장홀(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과 함께 상기 굴탈거하우징(210)의 장홀(21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와,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를 탄성 지지하도록 하방에 탄성체(251)가 고정 결합된 이동체지지브라켓(250)과,
    조이고 푸는 동작에 따라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를 가압하여 상기 이격거리조절이동체(240)와 함께 상기 제2 굴탈거봉(230b)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격거리조절볼트(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펼침봉(220)의 펼침돌기(221)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어느 한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은 좌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우측은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의 굴탈거돌기(231) 각각은,
    상기 굴그물망(20)으로부터 굴(10)의 탈거가 용이하면서 탈거된 굴(10)이 상기 작업대(100)의 배출구(1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굴수집용기(120)로 떨어지도록 'ㄱ' 자형의 단면을 갖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장형이고, 상기 배출구(13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공급부(500)는,
    전동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공급부(500)는,
    상기 굴탈거부(200)의 제1 굴탈거봉(230a)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굴탈거봉(230a)에 결합된 제1 유압모터(510a)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회전축(410)에 결합된 제2 유압모터(510b)를 구비한 유압모터부(510)와,
    상기 제1 굴탈거봉(230a)의 회전력을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및 제2 굴탈거봉(230b)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520)과,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에 유압 에너지를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전달수단(520)은,
    상기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 각각에 고정 결합된 스프라켓(521)과 상기 스프라켓(521) 각각과 맞물린 체인(522)을 포함하는 체인 스프라켓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조작부(600)는,
    상기 굴탈거부(200)의 그물망펼침봉(220), 제1 굴탈거봉(230a) 및 제2 굴탈거봉(230b)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굴탈거부조작레버(610)와,
    상기 그물망회수드럼(400)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드럼조작레버(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부(510)의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각각의 과열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각각에 설치된 온도센서(700)와,
    상기 온도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70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상기 유압공급수단(530)의 유압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유압모터단속부(800)와,
    상기 온도센서(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센서(700)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제1 유압모터(510a) 및 제2 유압모터(510b)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수확장치.
KR1020160050102A 2016-04-25 2016-04-25 굴 수확장치 KR10178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102A KR101787888B1 (ko) 2016-04-25 2016-04-25 굴 수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102A KR101787888B1 (ko) 2016-04-25 2016-04-25 굴 수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888B1 true KR101787888B1 (ko) 2017-10-19

Family

ID=60298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102A KR101787888B1 (ko) 2016-04-25 2016-04-25 굴 수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8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34B1 (ko) * 2017-10-18 2019-04-02 서홍석 꼬막종패 분리장치
KR20200124443A (ko) * 2019-04-24 2020-11-03 김양현 새꼬막 종패 자동 탈락장치
CN113396844A (zh) * 2021-06-24 2021-09-17 刘阳 一种半自动蛎苗装置
KR20230054949A (ko) 2021-10-18 2023-04-25 김창건 양식망 부착 패류의 자동 탈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86B1 (ko) 2006-11-28 2008-08-19 오철균 탈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986B1 (ko) 2006-11-28 2008-08-19 오철균 탈곡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34B1 (ko) * 2017-10-18 2019-04-02 서홍석 꼬막종패 분리장치
KR20200124443A (ko) * 2019-04-24 2020-11-03 김양현 새꼬막 종패 자동 탈락장치
KR102264621B1 (ko) * 2019-04-24 2021-06-11 김양현 새꼬막 종패 자동 탈락장치
CN113396844A (zh) * 2021-06-24 2021-09-17 刘阳 一种半自动蛎苗装置
CN113396844B (zh) * 2021-06-24 2022-11-22 伊瓦特机器人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半自动蛎苗装置
KR20230054949A (ko) 2021-10-18 2023-04-25 김창건 양식망 부착 패류의 자동 탈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888B1 (ko) 굴 수확장치
JP4988125B2 (ja) 二枚貝の養殖関連作業のためのシステム
CN210537461U (zh) 甘薯茎叶收获机
KR101741125B1 (ko) 두둑재배 뿌리 작물 수확기
CN109310058A (zh) 海藻收割机
KR20200079615A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KR20150067973A (ko) 김 자동 채취기
CN105123076A (zh) 大蒜联合收获机
CN103262709A (zh) 自行式甘蓝菜收割机
CN110352688B (zh) 甘薯茎叶收获机
JP2009261348A (ja) 野菜収穫機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CN204907216U (zh) 自动化智能捡拾摘果分选一体机的花生秧果捡拾输送系统
CN106993423A (zh) 一种农业花生收获花生秧分离收获机
CN213818939U (zh) 一种具有茎穗兼收功能的玉米摘穗装置
KR20200024389A (ko) 구형농산물 선별기가 부설된 자주식 양파 수확기
KR20180072141A (ko) 알뿌리 작물 수확기
CN201199794Y (zh) 花生收获机
CN203353143U (zh) 背负式一次性花生收摘清贮联合收获机
KR100530854B1 (ko) 패류 채취장치
KR20190103794A (ko) 자주식 양파 수확기
CN205681837U (zh) 高效油菜移栽装置
CN210537524U (zh) 甘薯茎叶收获机的切割输送装置
CN204518466U (zh) 一种胡萝卜收获机的秧果分离机构
CN109607215B (zh) 盆栽装盆机的自动分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