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672B1 -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 Google Patents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672B1
KR101241672B1 KR1020100118712A KR20100118712A KR101241672B1 KR 101241672 B1 KR101241672 B1 KR 101241672B1 KR 1020100118712 A KR1020100118712 A KR 1020100118712A KR 20100118712 A KR20100118712 A KR 20100118712A KR 101241672 B1 KR101241672 B1 KR 10124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oller
guide
ra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117A (ko
Inventor
김정명
Original Assignee
김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100118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6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 B65H75/36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the stored material being coi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일측단이 선박과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하단의 돌출된 중심축과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부로부터 다수의 내측날개가 외향돌출 형성된 내측롤러와; 상기 내측롤러와 동축으로 결합되며 중심부로부터 곡면을 가진 다수의 외측날개가 외향돌출 형성된 외측롤러와; 원줄의 굵기에 따라 상기 외측롤러와 상기 내측롤러 사이의 거리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결합하는 거리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서로 대향되며 엇갈리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롤러를 이용하여 원줄과 수하줄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부구줄의 끼임으로 인해 부구가 롤러사이에 끼이거나 걸리는 현상이 없으며, 원줄의 두께에 따라 거리조절판을 교체함으로 다양한 작업 환경에 대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하줄에 꺽임이나 저항을 주지않고 원줄의 인양작업을 할 수 있어, 수하줄의 끊김으로 인한 양식물의 유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제품들이 가지고 있던 원줄 가이드가 없음으로써 작업 중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가이드 사이에 작업자의 손이 끼이거나하여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line separation machine without Bottom row of the bends and no line guide}
본 발명은 원줄의 인양시 원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된 많은 수하줄과 양식물에 충격을 가하지지 않고 인양할 수 있는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 멍게, 미역과 같은 부착성 수산물은 두껍고 길다란 원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많은 수하줄을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수하줄에 종자를 부착하여 허가받은 연안 청정해역의 양식장 수면하에 드리우고 정치시킨 다음 일정기간이 지나 상품화가 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후에 인양하여 채취하게 되는데, 이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성장에 의한 하중의 증가에 따라 원줄이 가라앉지 않게 하는 부구를 교체하는 작업이 행해져야 하고, 원줄이나 수하줄에 부착되어 이들 양식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해적식물, 해초, 기타 이물질들을 원줄과 수하줄들로부터 적절히 제거해 주어야하는 작업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부구 교체나 이물질 제거작업은 선박위에서 상기 원줄을 들어올려 이루어지게 되는데, 과거에는 작업자가 원줄을 일정간격으로 일일이 손으로 들어올린 후 원줄이나 수하줄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였으나 이는 반복되는 수작업과 한손으로 원줄를 잡고 다른 손으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근래에는 선박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원줄을 자동으로 인양할 수 있는 원줄인양장치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구조를 보다 개선시키기 위한 다수의 발명이 제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회전롤러는 상부 공간부에 원줄이 걸린 상태로 통과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원줄 아래에 설치된 수하줄과 그에 양식되는 양식물이 상기 회전롤러 사이에 끼이거나 걸려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로인해 원줄의 인양작업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구줄이 상기 회전롤러 사이를 통과하게되어 부구가 회전롤러 사이에 끼이거나 걸려 작업에 큰 차질을 도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하줄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수하줄 및 양식물의 무게를 견고하게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무게로 인해 원줄이 미끄러져 상기 회전롤러 사이공간에 끼이거나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서로 대향되며 엇갈리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롤러를 이용하여 원줄과 수하줄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분리하는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일측단이 선박과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하단의 돌출된 중심축과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부로부터 다수의 내측날개가 외향돌출 형성된 내측롤러와; 상기 내측롤러와 동축으로 결합되며 중심부로부터 곡면을 가진 다수의 외측날개가 외향돌출 형성된 외측롤러와; 원줄의 굵기에 따라 상기 외측롤러와 상기 내측롤러 사이의 거리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결합하는 거리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줄의 두께에 따라 거리조절판을 이용하여 내측롤러와 외측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소정의 경사각을 상기 내측롤러와 외측롤러도 가지게 되므로 원줄의 인양시 부구줄이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되어 부구가 롤러 사이에 끼이거나 걸리는 현상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소정의 경사각과 상기 내측롤러와 외측롤러를 통해 원줄의 인양작업시 양식물에 의해 큰 하중을 받고 있는 수하줄의 꺽임 현상 없이 원줄의 인양작업을 할 수 있으며, 수하줄의 끊김으로 인한 양식물의 유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줄의 미끌림이 없으므로 원줄의 마모가 최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제품들이 가지고 있던 원줄 가이드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인양작업 중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가이드 사이에 작업자의 손이 끼이거나하여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서로 대향되며 엇갈리게 설치된 두 개의 회전롤러를 이용하여 원줄과 수하줄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부구줄의 끼임으로 인해 부구가 롤러사이에 끼이거나 걸리는 현상이 없으며, 원줄의 두께에 따라 거리조절판을 교체함으로 다양한 작업 환경에 대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하줄에 꺽임이나 저항을 주지않고 원줄의 인양작업을 할 수 있어, 수하줄의 끊김으로 인한 양식물의 유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제품들이 가지고 있던 원줄 가이드가 없음으로써 작업 중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가이드 사이에 작업자의 손이 끼이거나하여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수산물 양식에 사용되는 원줄의 인양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수산물의 양식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원줄에 연결되는 간선줄과 부구줄의 매듭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의 설명도-1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의 설명도-2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의 측단면 설명도-3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 중 거리조절판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 중 날개의 단면도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일측단이 선박과 결합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 (100)하단의 돌출된 중심축과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부로부터 다수의 내측날개(210)가 외향돌출 형성된 내측롤러(200)와; 상기 내측롤러(200)와 동축으로 결합되며 중심부로부터 곡면을 가진 다수의 외측날개(310)가 외향돌출 형성된 외측롤러(300)와; 원줄(1)의 굵기에 따라 상기 외측롤러(300)와 상기 내측롤러(200) 사이의 거리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결합하는 거리조절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의 측면도이다.
상기 프레임(100) 하단에는 선박의 일측단에 고정되도록 선박결합부(105)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이 선박의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은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A)를 가지고 형성되며, 이는 다음에서 보다 자세하게 다루도록 한다.
상기 내측롤러(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에 돌출된 중심축과 동축으로 결합되며, 내측날개(210)는 상기 내측롤러(200)의 외주면을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외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외측롤러(300)는 상기 내측롤러(200)와 동축으로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외측날개(310)는 상기 외측롤러(300)의 외주면을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외향 돌출 형성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외측날개(310)는 내-외측면이 곡면을 가지도록 형상되어 원줄(1)의 인양작업시 원줄(1)과 수하줄(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도나 진동등에 의해서 수하줄(2)이 상기 외측롤러(300)에 의해서 꺽임이나 저항을 받지 않도록 각각의 외측날개(310) 사이에 곡면가이드(350)가 형성된다. 곡면형상은 원줄과 수하줄에 손상을 적게주기 위한 형태면 제한이 없고, 그 변형은 다양하다.
상기 롤러(200, 300)는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며, 원줄(1)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각각의 롤러(200, 3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의 날개(210, 310)가 서로 교차되게 위치하고 있다. 서로 교차된 각각의 날개(210, 310)에 의하여 원줄(1)이 미끄러져 진행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미끌림이 없으므로 원줄(1)의 마모가 최소화 된다.
상기 거리조절판(400)은 일정 두께를 가진 중심부에 구멍이 뚫린 원형 형상으로, 상기 내측롤러(200)와 상기 외측롤러(300)가 결합되는 중심부에 결합되며, 원줄(1)의 굵기에 따라 상기 거리조절판(400)을 교체함으로써 각각의 롤러(200, 300) 사이의 거리간격(B, C)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다.
도 7,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이 경사각(A)을 가짐으로 인해서 상기 프레레임의 돌출된 중심부에 연결된 상기 롤러(200, 300)도 경사각(A)을 가지게 되고,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연결된 유압모터(10)에 의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롤러(200)와 외측롤러(300) 사이에 원줄(1)이 위치하면 상기 경사각(A)에 의해서 원줄(1)에 연결된 수하줄(2)은 양식물(6)의 무게에 의해서 하중을 받으며 아래쪽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진행하게 되므로, 수하줄(2)이 꺽이거나 저항을 받지 않으므로 손상을 주지 않으며, 하중을 받는 수하줄(2)에 의해서 원줄(1)이 상기 롤러(200, 300)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부구(5)는 원줄(1)에 연결된 수하줄(2)에 양식되는 양식물(6)들이 가라앉지 않도록 부구줄(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데, 원줄(1) 인양작업시 하중을 받지않아 느슨한 부구줄(4)을 상기 외측롤러(300) 바깥으로 진행하도록 하므로, 부구줄(4)의 걸림으로 인해 부구(5)가 상기 롤러(200, 300) 사이에 끼어가나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외측날개(310) 사이에는 곡면가이드(350)가 형성되어 원줄(1) 인양작업 중 파도나 진동등에 의해 수하줄(2)이 상기 외측롤러(300)와의 마찰에 의해서 손상받지 않는다.
1: 원줄 2: 수하줄 3: 매듭 4: 부구줄 5: 부구
6: 양식물 10: 유압모터
100: 프레임 105: 선박결합부 110: 볼트
200: 내측 롤러 210: 내측 날개
300: 외측 롤러 310: 외측 날개 350: 곡면 가이드
400: 거리조절판

Claims (3)

  1. 일측단이 선박과 결합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 하단의 돌출된 중심축과 동축으로 결합되고 중심부로부터 다수의 내측 날개(210)가 외향돌출 형성된 내측롤러(200)와;
    상기 내측롤러(200)와 동축으로 결합되며 중심부로부터 곡면을 가진 다수의 외측날개(310)가 외향돌출 형성된 외측롤러(300)와;
    수하줄의 꺽임이 없도록 원줄(1)의 굵기에 따라 상기 외측롤러(300)와 상기 내측롤러(200) 사이의 거리간격(B,C)을 조절하기 위해 결합하는 거리조절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 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2. 삭제
  3. 삭제
KR1020100118712A 2010-11-26 2010-11-26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KR10124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12A KR101241672B1 (ko) 2010-11-26 2010-11-26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12A KR101241672B1 (ko) 2010-11-26 2010-11-26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17A KR20120057117A (ko) 2012-06-05
KR101241672B1 true KR101241672B1 (ko) 2013-03-11

Family

ID=4660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712A KR101241672B1 (ko) 2010-11-26 2010-11-26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120B1 (ko) 2016-08-02 2018-03-20 김정명 수하줄 커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52Y1 (ko) * 1995-07-05 1998-07-01 조철수 수산물 양식용 원줄의 인양장치
KR200401495Y1 (ko) 2005-08-22 2005-11-17 박평조 양식 수산물 충격방지 인양 롤러 장치
KR20090048532A (ko) * 2007-11-10 2009-05-14 주성춘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KR20100088028A (ko) * 2009-01-29 2010-08-06 김정명 원줄 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52Y1 (ko) * 1995-07-05 1998-07-01 조철수 수산물 양식용 원줄의 인양장치
KR200401495Y1 (ko) 2005-08-22 2005-11-17 박평조 양식 수산물 충격방지 인양 롤러 장치
KR20090048532A (ko) * 2007-11-10 2009-05-14 주성춘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KR20100088028A (ko) * 2009-01-29 2010-08-06 김정명 원줄 분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120B1 (ko) 2016-08-02 2018-03-20 김정명 수하줄 커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17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7677A (ko) 굴 분리기
CN203233982U (zh) 自动磕蛋机
JP3723961B2 (ja) 養殖貝用洗浄選別装置
KR200447683Y1 (ko) 멍게 자동 분리기
KR101097023B1 (ko) 원줄 분리기
KR101241672B1 (ko)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KR101352711B1 (ko) 굴 분리기
CN109757448A (zh) 一种渔业养殖平台
CN109526897B (zh) 一种小型船舶牡蛎布置采收设备及其工作方法
KR102411598B1 (ko)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KR20150021185A (ko) 굴 분리기
KR101674857B1 (ko) 수산물 양식용 원줄 인양장치
KR100906028B1 (ko) 베일컷팅장치
CN206984271U (zh) 一种航道浮标缆绳缠绕物锯式清除装置
CN204070147U (zh) 海产养殖系统
KR20180010832A (ko) 공분리기
CN111512773B (zh) 采收海带用的限位器及工作方法
KR101855703B1 (ko) 커팅기가 구비된 세척기
CN204070148U (zh) 一种有利于保护海域环境的养殖装置
CN210796252U (zh) 一种机制砂生产线
KR200401495Y1 (ko) 양식 수산물 충격방지 인양 롤러 장치
KR200368720Y1 (ko) 수산물 양식용 원줄의 인양장치
KR102131434B1 (ko) 양식용 발 인양기
CN201528599U (zh) 流刺网渔获物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