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532A -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532A
KR20090048532A KR1020070114597A KR20070114597A KR20090048532A KR 20090048532 A KR20090048532 A KR 20090048532A KR 1020070114597 A KR1020070114597 A KR 1020070114597A KR 20070114597 A KR20070114597 A KR 20070114597A KR 20090048532 A KR20090048532 A KR 20090048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roller
coupled
roller
bol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7548B1 (ko
Inventor
주성춘
Original Assignee
주성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춘 filed Critical 주성춘
Priority to KR102007011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5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와, 상기 주낙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주낙을 연승하는 회전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롤러부에 형성된 회전롤러가 배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원줄과 목줄이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원줄은 원줄분리장치인 피구동롤러에 걸려있는 벨트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함으로 수납되며, 목줄은 추 및 낚시바늘의 무게와 회전롤러의 기울어진 각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함으로 수납될 수 있는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Long line apparatus and how to long line}
본 발명은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와, 상기 주낙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주낙을 연승하는 회전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롤러부에 형성된 회전롤러가 배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원줄과 목줄이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원줄은 원줄분리장치인 피구동롤러에 걸려있는 벨트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함으로 수납되며, 목줄은 추 및 낚시바늘의 무게와 회전롤러의 기울어진 각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함으로 수납될 수 있는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주낙은 통상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원줄과, 상기 원줄에 결합되어 있는 수중찌와, 원줄에 묶어져 있는 목줄과, 상기 목줄에 결합되어 있는 추 및 낚시바늘로 이루어져 있는데,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워 바다에 투척해 일정시간이 흐른 후 주낙을 연승하게 되면 상기 낚시바늘에 낙지 등의 수산물이 포획되는 어구 이다.
이런 주낙을 수작업으로 연승하기 위해서는 상기 주낙 자체의 무게와 포획된 수산물의 무게로 인해 연승 작업이 매우 힘들므로 이를 기계적인 장치로 연승하기 위한 것이 제안되어 왔다. 이런 것으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 제422415호에 제안되어 있는 낙지 주낙 연승장치가 있다.
이런 종래의 연승장치는 주낙을 연승하여 포획물의 분리 및 원줄과 목줄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연승한 주낙을 바다에 바로 투척하지 않고 정렬하거나 미끼를 끼워 다시 투척하기 위해서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나 연승 후 배에서 보관할 시에는 원줄과 목줄이 같이 연승되어 낚시바늘에 의해 원줄과 목줄이 서로 엉키므로 재투척을 위한 다음 작업 준비나 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연승시에 원줄과 목줄을 분리해주기 위해 별도의 인력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렬하여 미끼를 끼운 뒤 다시 투척하기 위해서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나 주낙을 연승한 후 배에서 보관할 때에도 원줄과 목줄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됨으로써 정렬하여 미끼를 끼운 뒤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주낙 연승장치에 형성되는 회전롤러와 배의 바닥면(수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상황에 따라 작업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은 정렬하여 미끼를 끼운 뒤 다시 투척하기 위해서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나 주낙을 연승한 후 배에서 보관할 때에도 원줄과 목줄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됨으로써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주낙 연승장치에 형성된 회전롤러와 배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의 조절이 용이하여 상황에 따라 작업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낙을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와, 상기 주낙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부와, 상기 주 낙을 연승하는 회전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롤러부에 형성된 회전롤러가 배의 바닥면에 대해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원줄과 목줄이 회전롤러를 통과하면서 원줄은 원줄분리장치인 피구동롤러에 걸려있는 벨트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함으로 수납되며, 목줄은 추 및 낚시바늘의 무게와 회전롤러의 기울어진 각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수납함으로 수납될 수 있는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주낙 연승장치는 바다에 투척되어 있는 주낙을 연승하기 위해 상기 주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부(10)와, 상기 가이드부(10)를 통과한 주낙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주낙을 홈에 끼워서 연승하는 회전롤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주낙 연승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부(30)는 배의 일부분에 고정이 가능한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어 회전롤러(31)의 결합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R)와, 상기 각도조절장치(R)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33)와, 상기 커버(33)에 결합되어 동력장치(3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가이드부(10)는 바다에 투척되어 있는 주낙을 연승할 때 상기 주낙을 안내해주는데, 상기 가이드부(10)는 프레임(6)에 결합되어 있는 플레이트(11)와, 상기 플레이트(11)에 체결되는 결합부재(12)와, 상기 결합부재(12)에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전이 가능한 회전봉(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0)는 각도조절장치(R1)에 의해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축(2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소망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20)의 아이들롤러(21)는 주낙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해줌과 동시에 회전롤러(31)의 홈에 접촉되는 원줄의 면적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아이들롤러(21)의 중심이 회전롤러(31)의 중심과 대동소이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아이들롤러(21)를 통과한 원줄이 회전롤러(31)의 홈에 보다 많이 접촉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6)은 배의 일부분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야 하며,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하부프레임(6a)이 고정된 채로 상부프레임(6b)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회전된 후의 상부프레임(6b)이 고정볼트 등에 의해 하부프레임(6a)에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프레임(6)에는 각도조절장치(R)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각도조절장치(R)에는 커버(33)가 결합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장치(R)는 프레임에 형성된 중 공원통형의 홀(14)과, 상기 홀(14)에 끼워지며 커버(33)에 결합되어 있는 끼움봉(16)과, 상기 홀(14)을 관통하여 끼움봉(16)의 위치를 잡아주는 고정볼트(15)로 구성되어 있다.
결국, 상기 홀(14)에 끼움봉(16)이 끼워져서 상기 끼움봉(16)을 중심으로 커버(33) 및 회전롤러(31)가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롤러(31)와 배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를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한 주낙 연승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각도조절장치 대신 커버(33)가 프레임(6)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채로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커버(33)에 결합되는 회전롤러(31) 역시 배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롤러(31)와 배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α)은 약 20~60° 정도가 적당한데, 목줄이 원줄과 같이 이동되다가 상기 목줄이 회전롤러(31)의 중심부 정도에 이르렀을 때 밑으로 처져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회전롤러(31)의 기울어진 각을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실시예시도로서, 가이드부(10)를 실용신안등록 제0318737호에 개시되어 있는 가이드를 사용한 도면이다.
상기 가이드 이외에 특허 제422415호에 개시되어 있는 가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예시도로서, 가이드부(10)를 통과한 원줄(1)이 아이들롤러(21)를 거쳐 회전롤러(31)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회전롤러(31)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원줄(1)은 회전롤러(31)의 홈에 삽입되어 있으나 목줄(2)은 추(4)와 낚시바늘(5) 등의 무게로 인해 밑으로 쳐진 상태에서 연승이 되므로 원줄(1)과 목줄(2)이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40)의 좌측에는 원줄(1)이 수납되고, 보관함(40)의 우측에는 목줄(2)과 함께 추(4) 및 낚시바늘이(5) 수납된다. 상기 보관함(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를 분리할 수 있는 칸막이(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시도로서, 각도조절장치를 또 다른 방법으로 구현한 것이다.
먼저, 프레임(6)의 상부에는 평면플레이트(7)가 결합되고 상기 평면플레이트의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8)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커버 및 회전롤러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평면플레이트(7)와 고정플레이트(8)에는 볼트홀(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홀(18a)은 고정플레이트(8)에는 관통되어 있으나 평면플레이트(7)에는 관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볼트홀(18a)에 탭볼트(18)를 끼우고 좌우로 돌리게 되면 평면플레이트(7)와 고정플레이트(8)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회전롤러(3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롤러와 먼 쪽에 있는 탭볼트를 오른쪽으로 돌리면(오른 나사인 경우) 탭볼트가 볼트홀(18a)로 삽입되게 되므로 평면플레이트(7)와 고정플레이트(8)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결국 회전롤러(31)와 배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α)이 작아지므로 회전롤러가 더욱 기울어지게 된다.
기울기를 조절한 뒤에는 체결볼트(17)로서 평면플레이트(7)와 고정플레이트(8)를 서로 고정해주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미설명부호는 피회전롤러(36) 및 벨트(37)로서 상기 피회전롤러(36)는 벨트(37)에 의해 회전롤러(31)와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므로 회전롤러(31)와 피회전롤러(36)는 동시에 회전된다. 이때 원줄(1)이 회전롤러(31)를 통과하게 되면 벨트(37)에 의해 상기 회전롤러(31)로 연승된 후에 피회전롤러(36)에 근접한 지점이 되면 상기 피회전롤러(36) 및 벨트(37)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어 보관함(40)에 수납되게 된다.
상기 피회전롤러(36)는 브라켓트(38)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38)는 체결부재(도시하지 않음)로서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피회전롤러(36)는 회전롤러(31)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이 가능하므로 원줄이 분리되는 지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주낙연승 장치의 회전롤러의 단면도로서, 홈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홈은 U형홈(34)과 V형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V형홈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V형홈(35a)과 상기 V형홈(35a)보다 경사가 가파른 V형홈(35b)으로 구성하여 줄의 직경이 달라도 대응이 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실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원줄 2. 목줄 3. 수중찌
4. 추 5. 낚시바늘 6. 프레임
6a. 하부프레임 6b. 상부프레임 7. 평면플레이트
8. 고정플레이트
10. 가이드부 11. 플레이트 12. 고정볼트
13. 회전봉 14. 홀 15. 고정볼트
16. 끼움봉 17. 체결볼트 18. 탭볼트
18a. 볼트홀
20. 장력조절부 21. 아이들롤러 22. 축
30. 회전롤러부 31. 회전롤러 32. 동력장치
33. 커버 34. U형홈 35a, 35b. V형홈
36. 피회전롤러 37. 벨트 38. 브라켓트
R, R1 : 각도조절장치

Claims (10)

  1. 바다에 투척되어 있는 주낙을 연승하기 위해 상기 주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부(10)와, 상기 가이드부(10)를 통과한 주낙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부(20)와, 상기 주낙을 홈에 끼워서 연승하는 회전롤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주낙 연승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부(30)는 배의 일부분에 고정이 가능한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결합되어 회전롤러(31)의 결합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장치(R)와, 상기 각도조절장치(R)에 결합되어 있는 커버(33)와, 상기 커버(33)에 결합되어 동력장치(32)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31)와, 상기 회전롤러(31)를 통과한 원줄을 분리하여 주는 피회전롤러(36) 및 벨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 대신 커버(33)가 프레임(6)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채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커버(33)에 결합되는 회전롤러(31)가 배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각으로 경사져 형성된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0)는 프레임(6)에 결합되어 있는 플레이트(11)와, 상기 플레이트(11)에 체결되는 결합부재(12)와, 상기 결합부재(12)에 결합되며 내부에 형성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전이 가능한 회전봉(1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R)는 프레임에 형성된 중공원통형의 홀(14)과, 상기 홀(14)에 끼워지며 커버(33)에 결합되어 있는 끼움봉(16)과, 상기 홀(14)을 관통하여 끼움봉(16)의 위치를 잡아주는 고정볼트(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0)는 각도조절장치(R1)에 의해 회전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축(2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소망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프레임(6)의 상부에 결합되는 평면플레이트(7)와, 상기 평면플레이트(7)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8)와, 상기 평면플레이트(7)와 고정플레이트(8)에 형성된 볼트홀(18a)과, 상기 볼트홀(18a)에 체결되는 탭볼트(18)와, 상기 평면플레이트(7)와 고정플레이트(8)을 체결하는 체결볼트(17)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볼트홀(18a)은 고정플레이트(8)에는 관통되어 있으나 평면플레이트(7)에는 관통되어 있지 않아 상기 볼트홀(18a)에 탭볼트(18)를 끼우고 좌우로 돌리게 되면 평면플레이트(7)와 고정플레이트(8)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짐으로써 회전롤러(31)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에 형성된 홈은 U형홈(34)과 V형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V형홈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V형홈(35a)과 상기 V형홈(35a)보다 경사가 가파른 V형홈(35b)으로 구성하여 줄의 직경이 달라도 대응이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회전롤러(36)는 브라켓트(38)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트(38)는 체결부재로서 커버(33)에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피회전롤러(36)는 회전롤러(31)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이 가능하므로 원줄이 분리되는 지점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장치
  9. 주낙 연승방법에 있어서,
    주낙을 안내해주는 가이드부(10)를 거친 원줄을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31)에 의해 연승하되, 상기 회전롤러(31)는 배의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원줄은 상기 회전롤러의 홈에 끼워져서 회전되다가 피회전롤러 및 벨트에 의해 분리되고, 목줄은 추와 낚시바늘 및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처진 상태로 연승되어 원줄과 목줄이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보관함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20~60° 사이인 것이 특징인 주낙 연승방법
KR1020070114597A 2007-11-10 2007-11-10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KR10093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97A KR100937548B1 (ko) 2007-11-10 2007-11-10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597A KR100937548B1 (ko) 2007-11-10 2007-11-10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532A true KR20090048532A (ko) 2009-05-14
KR100937548B1 KR100937548B1 (ko) 2010-01-19

Family

ID=4085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597A KR100937548B1 (ko) 2007-11-10 2007-11-10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5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72B1 (ko) * 2010-11-26 2013-03-11 김정명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KR102145142B1 (ko) * 2020-01-30 2020-08-19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갈치 채낚기 어선용 투승기
US11291197B1 (en) * 2019-03-19 2022-04-05 Michael W. Smith Trotline deploy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8798Y2 (ko) 1975-03-25 1978-11-22
JP2532665B2 (ja) * 1989-06-14 1996-09-11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筬通し機における筬羽位置検出装置
KR950001394Y1 (ko) * 1992-07-20 1995-03-06 김용문 낚시줄의 견인안내 로울러장치
KR200360850Y1 (ko) * 2004-06-01 2004-09-07 하정식 돔 또는 장어 낚시용 낚시 줄 인양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72B1 (ko) * 2010-11-26 2013-03-11 김정명 아랫줄의 꺽임과 원줄가이드가 없는 원줄 분리기
US11291197B1 (en) * 2019-03-19 2022-04-05 Michael W. Smith Trotline deployment apparatus
KR102145142B1 (ko) * 2020-01-30 2020-08-19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갈치 채낚기 어선용 투승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548B1 (ko)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548B1 (ko)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CN108739701B (zh) 一种钓鱼浮子
US7908785B2 (en) Recoil mechanism and device
KR101947668B1 (ko) 어류 조획기
US20070068062A1 (en) Strike indicator
WO2016155079A1 (zh) 横轴式鱼线轮
KR100746752B1 (ko) 주낙 연승장치
KR102236623B1 (ko) 자동 고패질 장치
CN108935362B (zh) 河豚鱼钓捕方法
KR20140014460A (ko) 연승수하식 어패류 양식장치용 양식부
CN203618595U (zh) 鱿鱼钓机
KR20180115906A (ko)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KR200318737Y1 (ko) 낙지포획용 낚시 줄 연승기의 가이드
KR100422415B1 (ko) 낙지 주낙 연승장치 및 방법
KR20190115170A (ko) 양식용 발 인양기
KR20080087556A (ko) 주낙 및 통발 연승기
KR200321120Y1 (ko) 낙지 주낙 연승장치
KR101169463B1 (ko) 가이드풀리부가 장착된 주낙 연승장치
KR200453195Y1 (ko) 수산물 인양기
KR101235904B1 (ko) 낚싯줄 감김 양승기
KR100579712B1 (ko) 어망인양장치
KR20110017243A (ko) 주낙 연승장치
JP3128641U (ja) 釣り糸巻取用ドラムおよび釣り糸巻取機
KR970006328Y1 (ko) 화이버 팜사의 올 제거장치
CN110537533B (zh) 一种钓鱼鱼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