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906A -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 Google Patents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906A
KR20180115906A KR1020170048375A KR20170048375A KR20180115906A KR 20180115906 A KR20180115906 A KR 20180115906A KR 1020170048375 A KR1020170048375 A KR 1020170048375A KR 20170048375 A KR20170048375 A KR 20170048375A KR 20180115906 A KR20180115906 A KR 2018011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b
magnet
drum
cen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이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열 filed Critical 이정열
Priority to KR102017004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906A/ko
Publication of KR2018011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708/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중심축(61)과 메인드럼(64) 그리고 서브중심축(71)과 서브드럼(74) 상호간을 자력으로 결합시켜 낚싯줄(21) 및 필름(40)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서로 팽팽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어류 조획시 비좁은 갑판에서의 정리정돈을 훨씬 더 간결 간편하게 구현케 함과 동시에 작업성까지 보장케 하여 보다 안전하게 어류를 조획할 수 있는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SPINNING WHEEL AND FISH ANGLING MACHINE USING THE SPINNING WHEEL}
본 발명은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레의 메인중심축과 메인드럼 그리고 필름공급기의 서브중심축과 서브드럼 상호간을 자력으로 결합시켜 낚싯줄 및 필름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서로 팽팽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어류 조획시 비좁은 갑판에서의 정리정돈을 보장함과 동시에 훨씬 더 간결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어류를 조획할 수 있는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속의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 등은 수심이 깊은 바다 속에서 서식하며 어획과정에서 표피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하여 그물대신 낚시바늘을 이용하여 잡는다.
낚시바늘은 낚싯줄에 등간격으로 매달리고, 이러한 낚싯줄은 물레나 얼레로 통용되고 있는 통형 기구에 감겨져 배에 장착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9851호)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핸들(4)이 설치된 회전봉(3)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지지대(5)가 설치되고, 그 각각의 지지대(5)의 단부에는 낚싯줄(7)을 감을 수 있는 줄감김부(6)가 설치되며, 나아가 뱃전에 고정된 얼레지지대(2)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때, 오징어낚싯줄 얼레(1)의 줄감김부(6)에 낚싯줄(7)이 감기게 되는데, 오징어낚싯줄 얼레(1)에 감겨지는 낚싯줄(7)에는 다수 개의 오징어낚시바늘(8)이 간격을 두고 결속되어 있으며, 이 오징어낚시바늘(8)은 몸통부(9)의 후방에 형성된 낚싯줄결속부(11)에 낚싯줄(7)이 결속되고, 이 몸통부(9)의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바늘이 다발로 설치되어 바늘부(10)를 형성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1)는 오징어낚싯줄 얼레(1)에 낚싯줄(7)을 감을 경우 낚싯줄(7)에 묶여진 다수 개의 오징어낚시바늘(8)이 오징어낚싯줄 얼레(1)에 낚싯줄(7)과 함께 감기면서 오징어낚시바늘(8)이 낚싯줄(7)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낚싯줄(7)이 바늘부(10)에 감기면서 엉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나아가, 오징어낚시바늘(8)과 낚싯줄(7)이 서로 뒤엉키면서 오징어 낚싯줄 얼레(1)에 감김에 따라 다음 오징어 낚시를 위하여 낚싯줄(7)을 풀어내어 오징어낚시바늘(8)을 바다에 투승할 때 낚싯줄(7)에 엉킨 바늘부(10)를 풀어내면서 오징어낚시바늘(8)을 바다에 투입하여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생산성까지 떨어지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9851호 - 오징어 낚싯줄 얼레
본 발명의 목적은 물레의 메인중심축과 메인드럼 그리고 필름공급기의 서브중심축과 서브드럼 상호간을 자력으로 결합시켜 낚싯줄 및 필름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서로 팽팽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어류 조획시 비좁은 갑판에서의 정리정돈을 보장함과 동시에 훨씬 더 간결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어류를 조획할 수 있는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류를 낚기 위한 투승 그리고 양승시 필름의 층층 권회 및 풀림으로 낚싯줄 및 낚시바늘들 나아가 낚시바늘들 상호간의 엉킴 현상을 철저히 방지하여 조업시의 작업성을 극대화시키면서 낚시바늘의 날카로움에 노출될 수 있는 작업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케 할 수 있는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바늘들이 매달린 부분의 낚싯줄에 맞추어 필름을 층층이 물레에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조업시의 작업성은 물론이거니와 소재 절약[필름의 소재 절약]을 통한 생산성까지 보장케 한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한 필름이 잘 찢겨지지 않도록 하여 수명을 보장하면서도 물레에 감거나 풀 때 잘 꼬이지 않도록 하여 작업성까지 보장케 한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이 필름 사이로 감길 때 낚싯바늘의 중력에 의한 처짐을 가능케 하여 상호간의 엉키는 현상을 철저히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과,
상기 메인내측자석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과,
상기 메인외측자석을 내장한 메인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양측 메인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외곽축과,
상기 메인외곽축을 내장한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과,
상기 메인외곽축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내측자석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양측 메인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의 측면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양측 메인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 속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과,
상기 메인드럼 속의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롤러와, 상기 낚싯줄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과,
상기 메인내측자석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과,
상기 메인외측자석을 내장하면서 상기 낚싯줄이 감기는 메인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롤러와, 상기 낚싯줄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양측 메인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외곽축과,
상기 메인외곽축을 내장하면서 상기 낚싯줄이 감기는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과,
상기 메인외곽축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내측자석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롤러와, 상기 낚싯줄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양측 메인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지지되됨과 동시에 상기 낚싯줄이 감기는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의 측면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롤러와, 상기 낚싯줄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과,
양측 메인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낚싯줄이 감기는 메인드럼과,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 속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과,
상기 메인드럼 속의 상기 메인중심축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인모터의 역회전이 빨라 메인드럼이 빠르게 회전되는 반면 필름공급기의 서브드럼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의 속도가 느릴지라도 서브중심축과 서브드럼이 상호 자력으로 결합되어 있어 서브중심축이 슬라이딩 회전될 뿐 필름을 찢을 정도로 서브드럼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강요하지 않아 필름의 손상을 최대한 없앨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레에 미치는 부하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레의 메인중심축과 메인드럼 그리고 필름공급기의 서브중심축과 서브드럼 상호간을 자력으로 결합시켜 낚싯줄 및 필름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서로 팽팽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어류 조획시 비좁은 갑판에서의 정리정돈을 보장함과 동시에 훨씬 더 간결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게 어류를 조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류를 낚기 위한 투승 그리고 양승시 필름의 층층 권회 및 풀림으로 낚싯줄 및 낚시바늘들 나아가 낚시바늘들 상호간의 엉킴 현상을 철저히 방지하여 조업시의 작업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레에 낚싯줄을 감을 때 필름이 함께 층층이 감기도록 하여 낚시바늘들이 필름에 의해 이웃하는 낚싯줄과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싯줄과 낚시바늘들 나아가 낚시바늘들 상호간의 엉킴 현상을 철저히 방지하여 다음 양승을 위한 투승시 물레의 역회전에 의해 낚싯줄과 필름이 함께 신속 간단하게 풀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업시의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낚시바늘들이 매달린 부분의 낚싯줄에 맞추어 필름을 층층이 물레에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조업시의 작업성은 물론이거니와 소재 절약[필름의 소재 절약]을 통한 생산성까지 보장케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낚시바늘들이 매달린 부분과 낚시바늘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의 경계에 경계볼을 구비시키고 낚시바늘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에 끼워져 물레의 정회전시 경계볼에 걸려 낚싯줄과 함께 층층이 감기도록 하는 반면 물레의 역회전시 낚시바늘들이 매달린 부분의 낚싯줄과 함께 풀려지도록 한 후 낚시바늘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에 이르러 그대로 통과되도록 필름에 쓰루홀을 구비시킴으로써 작업성과 더불어 생산성을 보장케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레의 정회전시 낚싯줄과 함께 경계볼이 스토퍼, 즉 수직바를 통과한 후 쓰루홀에 이르러 필름을 걷어올리면서 낚싯줄 및 필름의 층층 권회를 가능케 하는 반면, 물레의 역회전시 낚싯줄과 함께 필름을 풀면서 경계볼이 수직바를 통과하여 투승을 가능케 하면서도 다 풀려진 필름은 수직바에 의해 저지되어 더 이상 바다 속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름의 권회 및 풀림에 대한 경계를 명확하게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필름이 잘 찢겨지지 않도록 하여 수명을 보장하면서도 물레에 감거나 풀 때 잘 꼬이지 않도록 하여 작업성까지 보장케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낚싯줄이 필름 사이로 감길 때 낚싯바늘의 중력에 의한 처짐을 가능케 하여 상호간의 엉키는 현상을 철저히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어선을 포함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에 낚싯줄을 감기 전 상태 또는 물레로부터 낚시줄을 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로부터 낚싯줄을 풀기 전 상태 또는 물레에 낚시줄을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에 낚싯줄 및 필름을 층층이 수평방향으로 감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조도.
본 발명에 따른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어선을 포함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22)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롤러(30)와, 낚싯줄(2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60)를 포함한다.
어류, 예를 들어 오징어는 주로 수심 100∼200m에서 어군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오징어를 잡아 올리기 위하여 낚싯줄(21)은 대략 250m 내외로 이루어지고,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는 부분은 낚싯줄(21)의 끝단에서 대략 100∼200m 정도이며,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은 그로부터 약 50m 정도가 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60)에 낚싯줄(21)을 감기 전 상태 또는 물레(60)로부터 낚시줄을 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60)로부터 낚싯줄(21)을 풀기 전 상태 또는 물레(60)에 낚시줄을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레(60), 즉 물레(60)에 감기는 낚싯줄(21) 사이로 층층이 함께 감기는 필름(4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바와 같이 물레(60)에 낚싯줄(21)을 감을 경우 낚시바늘(22)들이 함께 감기면서 낚싯줄(21)과 낚시바늘(22)들이 서로 엉키어 다음 투승을 위하여 낚싯줄(21)을 풀고자 할 때 잘 풀려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손에 오히려 심한 상처를 주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물레(60)에 낚싯줄(21)을 감을 때 필름(40)이 함께 층층이 감기도록 하여 낚시바늘(22)들이 필름(40)에 의해 이웃하는 낚싯줄(21)과 서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낚싯줄(21)과 낚시바늘(22)들 나아가 낚시바늘(22)들 상호간의 엉킴 현상을 철저히 방지하여 다음 양승을 위한 투승시 물레(60)의 역회전에 의해 낚싯줄(21)과 필름(40)이 함께 신속 간단하게 풀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업시의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낚싯줄(21)은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린 부분과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경계에 고정된 경계볼(23)을 구비하고, 필름(40)은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21)에 끼워져 물레(60)의 정회전시 경계볼(23)에 걸려 낚싯줄(21)과 함께 층층이 감기는 반면 물레(60)의 역회전시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린 부분의 낚싯줄(21)과 함께 풀려진 후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21)에 이르러 그대로 통과시키는 쓰루홀(41)을 구비한다.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린 부분 및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21) 전체에 걸쳐 필름(40)이 함께 물레(60)에 층층이 감길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린 부분의 낚싯줄(21)에 제한적으로 맞추어 필름(40)을 층층이 물레(60)에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조업시의 작업성은 물론이거니와 소재 절약[필름(40)의 소재 절약]을 통한 생산성까지 보장케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린 부분과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21)의 경계에 경계볼(23)을 구비시키고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21)에 끼워져 물레(60)의 정회전시 경계볼(23)에 걸려 낚싯줄(21)과 함께 층층이 감기도록 하는 반면 물레(60)의 역회전시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린 부분의 낚싯줄(21)과 함께 풀려지도록 한 후 낚시바늘(22)들이 매달리지 않는 부분의 낚싯줄(21)에 이르러 그대로 통과되도록 필름(40)에 쓰루홀(41)을 구비시킴으로써 작업성과 더불어 생산성을 보장케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는 롤러(30) 및 물레(60) 사이에 세워져 경계볼(23)의 정역방향 통과를 보장하는 반면 필름(40)의 역방향 통과를 저지하는 스토퍼(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스토퍼(50)는 필름(40)의 폭보다 작은 폭을 지닌 한 쌍의 수직바(51)(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레(60)의 정회전시 낚싯줄(21)과 함께 경계볼(23)이 스토퍼(50), 즉 한 쌍의 수직바(51)를 통과한 후 쓰루홀(41)에 이르러 필름(40)을 걷어올리면서 낚싯줄(21) 및 필름(40)의 층층 권회를 가능케 하는 반면, 물레(60)의 역회전시 낚싯줄(21)과 함께 필름(40)은 풀려지면서 경계볼(23)이 수직바(51)를 통과하여 투승을 가능케 하나 다 풀려진 필름(40)은 수직바(51)에 의해 저지되어 더 이상 바다 속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름(40)의 권회 및 풀림에 대한 경계를 명확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는 어류를 낚기 위한 투승 그리고 양승시 필름(40)의 층층 권회 및 풀림으로 낚싯줄(21) 및 낚시바늘(22)들 나아가 낚시바늘(22)들 상호간의 엉킴 현상을 철저히 방지하여 조업시의 작업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작업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케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롤러(30)는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아이들롤러(31)와, 낚싯줄(21)을 통과시키면서 낚시바늘(22)들에 물린 어류를 탈취시키는 탈취롤러(3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아이들롤러(31), 탈취롤러(32), 스토퍼(50) 및 물레(60)는 뱃전에 장착된 프레임(F) 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뱃전에 장착되어 탈취롤러(32)로부터 낙하되는 어류를 수거하는 수거판(S)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이들롤러(31)를 경유한 낚싯줄(21)이 탈취롤러(32)에 이르러 낚시바늘(22)들을 거꾸로 세우는 순간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가 무게중심에 의해 그대로 낙하되어 수거판(S)을 통해 어선 속으로 모여질 수 있게 된다.
탈취롤러(32)는 낚싯줄(21)이 올라오면서 낚시바늘(22)들이 도달하는 순간 거꾸로 세워질 수 있도록 설계되는 통상의 것으로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는 낚시바늘(22)이 세워지는 순간 무게중심에 의해 그대로 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낚싯줄(21) 및 필름(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필름(4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두꺼워진 횡방향 덧살(42)들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두꺼워진 종방향 덧살(43)들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플렉시블한 필름(40)이 잘 찢겨지지 않도록 하여 수명을 보장하면서도 물레(60)에 감거나 풀 때 잘 꼬이지 않도록 하여 작업성까지 보장케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22)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롤러(30)와, 낚싯줄(2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60)와, 물레(60)에 감기는 낚싯줄(21) 사이로 층층이 함께 감기는 필름(40)을 공급하는 필름공급기(70)를 포함한다.
물레(60)에 감기는 낚싯줄(21) 사이로 층층이 함께 감기는 필름(40)을 필름공급기(70)로서 공급하여 필름(40)의 간단 간결한 정리를 가능케 하여 조획 작업시의 편리함과 조획 작업 후의 보관상태를 보장케 하는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62)과, 메인내측자석(6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63)과, 메인외측자석(63)을 내장한 메인드럼(64)을 포함한다.
메인내측자석(62)과 메인외측자석(6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낚싯줄(21)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메인외측자석(63)이 메인내측자석(6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낚싯줄(21)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내측자석(62)과 메인외측자석(6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낚싯줄(21)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메인외측자석(63)이 메인내측자석(6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메인내측자석(62)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이 서서히 감길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메인드럼(64)의 회전이 메인내측자석(62) 및 메인외측자석(63)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메인드럼(64)은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메인중심축(61)에 지지되어 메인내측자석(62) 및 메인외측자석(6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함께 메인드럼(64)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메인내측자석(62) 및 메인외측자석(6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메인베어링(65)에 의해 메인중심축(61) 또는 메인드럼(64)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방지케 한다.
이때,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여 낚싯줄(21)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낚싯줄(21)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외곽축(67)과, 메인외곽축(67)을 내장한 메인드럼(64)과,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62)과, 메인외곽축(67)에 내장되어 메인내측자석(6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63)을 포함한다.
메인내측자석(62)과 메인외측자석(6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을 비롯한 메인외곽축(67)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낚싯줄(21)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메인외측자석(63)이 메인내측자석(6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낚싯줄(21)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내측자석(62)과 메인외측자석(6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을 비롯한 메인외곽축(67)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낚싯줄(21)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메인외측자석(63)이 메인내측자석(6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메인내측자석(62)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을 서서히 감을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메인드럼(64)을 비롯한 메인외곽축(67)의 회전이 메인내측자석(62) 및 메인외측자석(63)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외곽축(67)은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메인중심축(61)에 지지되어 메인내측자석(62) 및 메인외측자석(6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함께 메인외곽축(67)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메인내측자석(62) 및 메인외측자석(6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메인베어링(65)에 의해 메인중심축(61) 또는 메인외곽축(67)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방지케 한다.
이때,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여 낚싯줄(21)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낚싯줄(21)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드럼(64)과,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메인드럼(64)의 측면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을 포함한다.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낚싯줄(21)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낚싯줄(21)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낚싯줄(21)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을 서서히 감을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메인드럼(64)의 회전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 및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드럼(64)은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메인중심축(61)에 지지되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 및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함께 메인드럼(64)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 및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메인베어링(65)에 의해 메인중심축(61) 또는 메인드럼(64)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방지케 한다.
이때,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여 낚싯줄(21)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낚싯줄(21)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도 6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물레(6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드럼(64)과,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메인드럼(64) 속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메인드럼(64) 속의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을 포함한다.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낚싯줄(21)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낚싯줄(21)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메인중심축(61)의 회전속도보다 메인드럼(64)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낚싯줄(21)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을 서서히 감을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메인드럼(64)의 회전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 및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드럼(64)은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메인중심축(61)에 지지되어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 및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메인중심축(61)의 회전과 함께 메인드럼(64)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 및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낚싯줄(21)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메인베어링(65)에 의해 메인중심축(61) 또는 메인드럼(64)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의 끊어짐 현상을 방지케 한다.
이때,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낚싯줄(21)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여 낚싯줄(21)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낚싯줄(21)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된 서브내측자석(72)과, 서브내측자석(7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서브외측자석(73)과, 서브외측자석(73)을 내장하면서 필름(40)이 권회되는 서브드럼(74)을 포함한다.
서브내측자석(72)과 서브외측자석(7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필름(40)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서브외측자석(73)이 서브내측자석(7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필름(40)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내측자석(72)과 서브외측자석(7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필름(40)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서브외측자석(73)이 서브내측자석(7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서브내측자석(72)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서서히 감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서브드럼(74)의 회전이 서브내측자석(72) 및 서브외측자석(73)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필름(40)의 찢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서브드럼(74)은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서브중심축(71)에 지지되어 서브내측자석(72) 및 서브외측자석(7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함께 서브드럼(74)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서브내측자석(72) 및 서브외측자석(7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서브베어링(75)에 의해 서브중심축(71) 또는 서브드럼(74)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한다.
이때,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브드럼(7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서브엔코더(76)를 더 포함하여 필름(40)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필름(40)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서브외곽축(77)과, 서브외곽축(77)을 내장한 서브드럼(74)과,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된 서브내측자석(72)과, 서브외곽축(77)에 내장되어 서브내측자석(7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서브외측자석(73)을 포함한다.
서브내측자석(72)과 서브외측자석(7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을 비롯한 서브외곽축(77)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필름(40)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서브외측자석(73)이 서브내측자석(7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필름(40)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내측자석(72)과 서브외측자석(73)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을 비롯한 서브외곽축(77)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필름(40)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서브외측자석(73)이 서브내측자석(72)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서브내측자석(72)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서서히 감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서브드럼(74)을 비롯한 서브외곽축(77)의 회전이 서브내측자석(72) 및 서브외측자석(73)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필름(40)의 찢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서브외곽축(77)은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서브중심축(71)에 지지되어 서브내측자석(72) 및 서브외측자석(7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함께 서브외곽축(77)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서브내측자석(72) 및 서브외측자석(73)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서브베어링(75)에 의해 서브중심축(71) 또는 서브외곽축(77)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한다.
이때,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브드럼(7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서브엔코더(76)를 더 포함하여 필름(40)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필름(40)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서브드럼(74)과,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서브드럼(74)의 측면에 고정된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에 대향되는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을 포함한다.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필름(40)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필름(40)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필름(40)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서서히 감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서브드럼(74)의 회전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 및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필름(40)의 찢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서브드럼(74)은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서브중심축(71)에 지지되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 및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함께 서브드럼(74)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 및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서브베어링(75)에 의해 서브중심축(71) 또는 서브드럼(74)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한다.
이때,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브드럼(7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서브엔코더(76)를 더 포함하여 필름(40)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필름(40)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도 7d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필름공급기(7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서브드럼(74)과,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서브드럼(74) 속에 고정된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서브드럼(74) 속의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에 대향되는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을 포함한다.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의 회전속도가 클 경우, 즉 필름(40)이 풀리는 속도가 클 경우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이겨내면서(슬라이딩 회전되면서) 필름(40)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므로 서브중심축(71)의 회전속도보다 서브드럼(74)의 회전속도가 작을 경우, 즉 필름(40)이 감기는 속도가 작을 경우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에 의존치 않고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의 빠른 회전을 허용시켜(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서서히 감을 수 있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없애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즉,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서브드럼(74)의 회전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 및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 상호간의 자력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를 완충시켜 필름(40)의 찢어짐 현상을 현저히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서브드럼(74)은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서브중심축(71)에 지지되어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 및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와 같을 경우 서브중심축(71)의 회전과 함께 서브드럼(74)이 일체로서 회전되도록 하고,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 및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 상호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이 필름(40)에 걸리는 부하보다 작거나 클 경우 양측 서브베어링(75)에 의해 서브중심축(71) 또는 서브드럼(74)이 따로따로 회전되도록 하여(따로따로 슬라이딩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의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케 한다.
그리고,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여 필름(40)을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브드럼(7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서브엔코더(76)를 더 포함하여 필름(40)의 풀림량 또는 감김량을 계산토록 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필름(40)의 길이 조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의 사용동작을 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21) 및 필름(40)이 층층이 감긴 물레(60) 아래에 필름공급기(70)를 배치한 상태에서 메인모터(60a)를 정회전시키고 서브모터(70a) 역시 정회전시키면 낚싯줄(21)이 롤러(30)를 경유하여 바다 속으로 투승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필름(40)은 필름공급기(70)에 권회되어 간단히 정리될 수 있게 된다[이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메인모터(60a) 및 서브모터(70a)를 각각 구동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고 나머지는 미 도시된 체인이나 기어 맞물림으로 피 구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설명 중 물레(60) 및 필름공급기(70)의 일부 구성들은 미 도시된 하우징으로 각각 보호될 수 있도록 실링시켜 바닷물의 침투를 방지케 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품들은 뱃전에 고정된 브래킷 등에 지지되거나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미 설명 구성들은 통상의 지식으로 설계할 수 있어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메인모터(60a)의 역회전이 빨라 메인드럼(64)이 빠르게 회전되는 반면 필름공급기(70)의 서브드럼(74)으로부터 공급되는 필름(40)의 속도가 느릴지라도 서브중심축(71)과 서브드럼(74)이 상호 자력으로 결합되어 있어 서브중심축(71)이 슬라이딩 회전될 뿐 필름(40)을 찢을 정도로 서브드럼(74)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강요하지 않아 필름(40)에 가해지는 부하를 상쇄시켜 필름(40)의 손상을 최대한 없앨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레(60)에 미치는 부하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다 속으로 투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낚시바늘(22)에 걸린 각종 어류를 양승하고자 물레(60) 및 필름공급기(70)를 역회전시키면 물레(60)의 메인드럼(64)에 낚싯줄(21) 및 필름(40)이 층층이 권회되면서 낚시바늘(22)에 의한 엉킴현상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낚시바늘(22)에 걸린 각종 어류의 무게 또는 저항으로 낚싯줄(21)이 메인모터(60a)의 회전력을 따라오지 못할 경우 메인중심축(61)과 메인드럼(64)이 상호 자력으로 결합되어 있어 메인중심축(61)만이 슬라이딩 회전될 수 있게 되어 메인드럼(64)의 물리적 회전을 강요하지 않아 낚싯줄(21)을 걷어올리면서 가해지는 부하로 인한 끊어짐을 미연에 방지케 할 수 있다.
나아가, 서브모터(70a)의 회전속도를 메인모터(60a)의 회전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여 낚싯줄(21)과 더불어 필름(40)이 메인드럼(64)에 권회될 때 필름(40)이 팽팽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고, 이는 메인드럼(64)의 회전을 서브드럼(74)의 회전이 못 따라올지라도 서브중심축(71)과 서브드럼(74)이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필름(40)이 찢어지는 현상을 극복하면서 권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60)에 낚싯줄(21) 및 필름(40)을 층층이 수평방향으로 감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라 물레(60)는 낚싯줄(21) 및 필름(40)을 층층이 수평방향으로 감으면서 낚시바늘(22)로 하여금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지도록 하여 낚싯줄(21)이 필름(40) 사이로 감길 때 낚싯바늘(22)의 중력에 의한 처짐을 가능케 하여 상호간의 엉키는 현상을 철저히 없앨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낚시바늘(22)의 처짐을 통한 그 바른 정렬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낚싯줄(21)의 수평방향 권회되는 필름공급기(70)를 통한 필름(40)의 공급이 있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물레(60)와 필름공급기(70)를 구동함에 있어 메인중심축(61)과 메인드럼(64) 그리고 서브중심축(71)과 서브드럼(74) 상호간을 자력으로 결합시켜 낚싯줄(21) 및 필름(40)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서로 팽팽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여 어류 조획시 비좁은 갑판에서의 정리정돈을 훨씬 더 간결 간편하게 구현케 함과 동시에 작업성까지 보장케 하여 보다 안전하게 어류를 조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시바늘들이 매달린 낚싯줄을 활용하여 오징어를 비롯한 다양한 어류를 조획하고자 하는 수산업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21 : 낚싯줄 22 : 낚시바늘
23 : 경계볼 30 : 롤러
31 : 아이들롤러 32 : 탈취롤러
40 : 필름 41 : 쓰루홀
42 : 횡방향 덧살 43 : 종방향 덧살
50 : 스토퍼 51 : 수직바
F : 프레임 S : 수거판
60 : 물레 61 : 메인중심축
62 : 메인내측자석 63 : 메인외측자석
64 : 메인드럼 65 : 메인베어링
66 : 메인엔코더 67 : 메인외곽축
68 : 메인일측사이드자석 69 : 메인타측사이드자석
60a : 메인모터 70 : 필름공급기
71 : 서브중심축 72 : 서브내측자석
73 : 서브외측자석 74 : 서브드럼
75 : 서브베어링 76 : 서브엔코더
77 : 서브외곽축 78 : 서브일측사이드자석
79 : 서브타측사이드자석 70a : 서브모터

Claims (35)

  1.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62)과,
    상기 메인내측자석(6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63)과,
    상기 메인외측자석(63)을 내장한 메인드럼(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64)은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5.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외곽축(67)과,
    상기 메인외곽축(67)을 내장한 메인드럼(64)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62)과,
    상기 메인외곽축(67)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내측자석(6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8.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드럼(64)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64)의 측면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11.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드럼(64)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64) 속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상기 메인드럼(64) 속의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6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메인엔코더(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60).
  14.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22)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롤러(30)와, 상기 낚싯줄(2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60)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60)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62)과,
    상기 메인내측자석(6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63)과,
    상기 메인외측자석(63)을 내장하면서 상기 낚싯줄(21)이 감기는 메인드럼(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64)은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17.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22)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롤러(30)와, 상기 낚싯줄(2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60)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60)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메인외곽축(67)과,
    상기 메인외곽축(67)을 내장하면서 상기 낚싯줄(21)이 감기는 메인드럼(64)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된 메인내측자석(62)과,
    상기 메인외곽축(67)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내측자석(6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메인외측자석(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19.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22)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롤러(30)와, 상기 낚싯줄(2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60)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60)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되됨과 동시에 상기 낚싯줄(21)이 감기는 메인드럼(64)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64)의 측면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1.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22)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롤러(30)와, 상기 낚싯줄(2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회전되는 물레(60)를 포함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있어서,
    상기 물레(60)는
    중심에 배치된 메인중심축(61)과,
    양측 메인베어링(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낚싯줄(21)이 감기는 메인드럼(64)과,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상기 메인드럼(64) 속에 고정된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과,
    상기 메인드럼(64) 속의 상기 메인중심축(6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메인일측사이드자석(68)에 대향되는 메인타측사이드자석(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중심축(61)은 메인모터(6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3. 제14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64)에 감기는 상기 낚싯줄(21) 사이로 층층이 함께 감기는 필름(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0)은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두꺼워진 횡방향 덧살(42)들 또는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두꺼워진 종방향 덧살(43)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40)은 필름공급기(70)에 권회되어 상기 메인드럼(64)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기(70)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된 서브내측자석(72)과,
    상기 서브내측자석(7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서브외측자석(73)과,
    상기 서브외측자석(73)을 내장하면서 상기 필름(40)이 권회되는 서브드럼(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드럼(74)은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중심축(7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기(70)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지지되는 서브외곽축(77)과,
    상기 서브외곽축(77)을 내장하면서 상기 필름(40)이 권회되는 서브드럼(74)과,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된 서브내측자석(72)과,
    상기 서브외곽축(77)에 내장되어 상기 서브내측자석(72)을 감싸면서 외곽에 배치된 서브외측자석(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기(70)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40)이 권회되는 서브드럼(74)과,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상기 서브드럼(74)의 측면에 고정된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에 대향되는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기(70)는
    중심에 배치된 서브중심축(71)과,
    양측 서브베어링(7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40)이 권회되는 서브드럼(74)과,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상기 서브드럼(74) 속에 고정된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과,
    상기 서브드럼(74) 속의 상기 서브중심축(71)을 감싸면서 고정되어 상기 서브일측사이드자석(78)에 대향되는 서브타측사이드자석(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중심축(71)은 서브모터(70a)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레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35. 제25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레(60)는 상기 낚싯줄(21) 및 필름(40)을 층층이 수평방향으로 감으면서 상기 낚시바늘(22)로 하여금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늘어뜨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조획기.
KR1020170048375A 2017-04-14 2017-04-14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KR20180115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75A KR20180115906A (ko) 2017-04-14 2017-04-14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75A KR20180115906A (ko) 2017-04-14 2017-04-14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06A true KR20180115906A (ko) 2018-10-24

Family

ID=6413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375A KR20180115906A (ko) 2017-04-14 2017-04-14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9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8171A (zh) * 2018-12-11 2019-05-10 上海海洋大学 钓机测试结构及方法
ES2916397A1 (es) * 2020-12-30 2022-06-30 Alvarez David Gil Recogedor magnetico de aparejo de palang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8171A (zh) * 2018-12-11 2019-05-10 上海海洋大学 钓机测试结构及方法
ES2916397A1 (es) * 2020-12-30 2022-06-30 Alvarez David Gil Recogedor magnetico de aparejo de palang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68B1 (ko) 어류 조획기
US9185894B1 (en) Automatic fish hook tying device
KR20180115906A (ko)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CN1861507B (zh) 自动络纱机的落纱装置
CN108946298A (zh) 一种便于自动绕线的纺织装置
KR100746752B1 (ko) 주낙 연승장치
KR101438194B1 (ko) 실시간 영점조절이 가능한 색차계모듈 및 이를 이용한 색상계측기
KR20180115907A (ko)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CN2903107Y (zh) 包芯纱纺纱装置
KR101370603B1 (ko) 오징어 자동 조상장치
CN202181141U (zh) 一种络筒机
CN103548793B (zh) 一种延绳钓支线的整理装置
KR20230021794A (ko) 자동 회전식 채낚장치
KR101436883B1 (ko) 수산용 로프 및 그 제조장비
JP3128641U (ja) 釣り糸巻取用ドラムおよび釣り糸巻取機
KR102396348B1 (ko) 수평 권취식 채낚장치
KR101311804B1 (ko) 주낙인양장치
SE446805B (sv) Sett att hantera fiskredskap sasom langrev samt anordning herfor
CA12396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wrapping a plurality of short lines from a longline
CN112471093B (zh) 一种转动式鱿鱼自动钓机
KR200174179Y1 (ko) 줄낚시 자동 권선장치
JPH0730672U (ja) 縄巻取り装置
CN219194039U (zh) 一种渔网生产绕线装置
KR20230070802A (ko)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KR20230147975A (ko) 어류 조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