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802A -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 Google Patents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802A
KR20230070802A KR1020210156765A KR20210156765A KR20230070802A KR 20230070802 A KR20230070802 A KR 20230070802A KR 1020210156765 A KR1020210156765 A KR 1020210156765A KR 20210156765 A KR20210156765 A KR 20210156765A KR 20230070802 A KR20230070802 A KR 2023007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winding
lure
winding bobbi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이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열 filed Critical 이정열
Priority to KR102021015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0802A/ko
Publication of KR2023007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8Pole-less fishing apparatus, i.e. hand-held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5Fish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군이 형성된 바다에 낚싯줄(W)을 투승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양승할 경우 드럼(D)의 회전에 따라 낚싯줄(W)이 서포팅핀(P)들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면서 권취연(D1)을 따라 권취되도록 하며, 이때 후크(H)를 지닌 루어폴(L)이 서포팅핀(P)들 사이로 끼워져 직립될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W)의 권취시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없앰과 더불어 낚싯줄(W)의 권출시 역시 드럼(D)의 회전에 맞추어 낚싯줄(W)로 하여금 권취연(D1)으로부터 빠져나가면서 순차적으로 루어폴(L)을 당기면서 투승될 수 있도록 하여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방지케 하고, 구체적으로, 서포팅핀(P)들은 루어폴(L)을 기준으로 3등분 측면 내지 6등분 측면에서 균등하게 지지하면서 루어폴(L)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후크(H)와 낚싯줄(W)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포팅핀(P)들의 상호간의 간격은 권취연(D1)으로부터 외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낚싯줄(W)의 권취시 낚싯줄(W)의 권취연(D1)으로의 인입과 더불어 루어폴(L)의 진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낚싯줄(W)의 권출시 낚싯줄(W)의 권취연(D1)으로부터의 이탈과 더불어 루어폴(L)의 원활한 탈출을 보장하여 작업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WINDING BOBBIN AND ANGLING MACHI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끼를 끼운 후크(Hook) 또는 먹잇감으로 보이도록 한 루어(Lure) 등을 이용하여 바다 속에서 유영하는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 문어 또는 상어 등을 낚을 때 낚싯줄 및 후크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 속에서 유영하는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나 문어, 상어 등은 수심이 깊은 바다 속에서 서식하며 조획시 그물대신 낚시바늘을 이용하여 낚는다.
낚시바늘(Hook)은 낚싯줄에 등간격으로 매달리고, 이러한 낚싯줄은 물레나 얼레로 통용되는 권취보빈(Winding Bobbin)에 감기면서 뱃전에 장착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정역 회전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9851호)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핸들(4)이 설치된 회전봉(3)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지지대(5)가 설치되고, 그 각각의 지지대(5)의 단부에는 낚싯줄(7)을 감을 수 있는 줄감김부(6)가 설치되며, 나아가 뱃전에 고정된 얼레지지대(2)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때, 오징어낚싯줄 얼레(1)의 줄감김부(6)에 낚싯줄(7)이 감기게 되는데, 오징어낚싯줄 얼레(1)에 감겨지는 낚싯줄(7)에는 다수 개의 오징어낚시바늘(8)이 간격을 두고 결속되어 있으며, 이 오징어낚시바늘(8)은 몸통부(9)의 후방에 형성된 낚싯줄결속부(11)에 낚싯줄(7)이 결속되고, 이 몸통부(9)의 선단부에는 다수 개의 바늘이 다발로 설치되어 바늘부(10)를 형성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1)는 오징어낚싯줄 얼레(1)에 낚싯줄(7)을 감을 경우 낚싯줄(7)에 묶여진 다수 개의 오징어낚시바늘(8)이 오징어낚싯줄 얼레(1)에 낚싯줄(7)과 함께 감기면서 오징어낚시바늘(8)이 낚싯줄(7)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낚싯줄(7)이 바늘부(10)에 감기면서 서로 엉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나아가, 오징어낚시바늘(8)과 낚싯줄(7)이 서로 뒤엉키면서 오징어 낚싯줄 얼레(1)에 감김에 따라 다음 오징어 낚시를 위하여 오징어낚시바늘(8)을 바다에 투승할 때 낚싯줄(7)에 엉킨 바늘부(10)를 풀어내면서 바다에 투입하여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까지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5905호)에 따른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어선을 포함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로부터 낚싯줄을 풀기 전 상태 또는 물레에 낚시줄을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어류 조획기는 뱃전에 장착되어 낚시바늘(22)들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21)을 통과시키는 롤러(30)와, 낚싯줄(21)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하여 정역 회전되는 물레(60)를 포함하고, 이 물레(60)에 감기는 낚싯줄(21) 사이로 층층이 함께 감기는 필름(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어류 조획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40)으로 낚싯줄(21)과 더불어 낚시바늘(22)을 층층이 구획하여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방지토록 하지만 바다의 여건상 그리고 필름(40)의 특성상 쉽게 찢기는 현상이 나타나 수명을 보장하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98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59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끼를 끼운 후크 또는 먹잇감으로 보이도록 한 루어 등을 이용하여 바다 속에서 유영하는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 문어 또는 상어 등을 낚을 때 낚싯줄 및 후크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군이 형성된 바다에 낚싯줄을 투승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양승할 경우 드럼의 회전에 따라 낚싯줄이 서포팅핀들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면서 권취연을 따라 권취되도록 하며, 이때 후크를 지닌 루어폴이 서포팅핀들 사이로 끼워져 직립될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의 권취시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없앰과 더불어 낚싯줄의 권출시 역시 드럼의 회전에 맞추어 낚싯줄로 하여금 권취연으로부터 빠져나가면서 순차적으로 루어폴을 당기면서 투승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방지케 한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포팅핀들이 루어폴을 기준으로 3등분 측면 내지 6등분 측면에서 균등하게 지지하면서 루어폴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후크와 낚싯줄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포팅핀들의 상호간의 간격을 권취연으로부터 외향으로 갈수록 넓힐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의 권취시 낚싯줄의 권취연으로의 인입과 더불어 루어폴의 진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낚싯줄의 권출시 낚싯줄의 권취연으로부터의 이탈과 더불어 루어폴의 원활한 탈출을 보장하여 작업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에 의해 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면서 샤프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토록 하여 낚싯줄의 권취 및 권출시 권취연을 따라 좌우 사선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여 루어폴들이 동일한 좌표에서 중복 위치되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하는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의 권취 또는 권출시 롤러 및 드럼 사이에서 최적화된 각도로 서포팅핀들 사이로 낚싯줄과 더불어 루어폴이 인입 및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서포팅핀들로부터 낚싯줄과 더불어 루어폴이 원활하게 이탈 및 탈출될 수 있도록 한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이 모터에 의해 샤프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낚싯줄을 횡방향으로 다접촉 가능하게 슬라이딩 안내토록 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낚싯줄 및 루어폴의 권취 및 권출을 실현케 한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이 모터에 의해 샤프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낚싯줄의 위치를 잡아주면서 권취연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줄의 권취시 또는 권출시 루어폴이 브러쉬를 통과하면서 바르게 세워져 서포팅핀들 사이로의 진입과 서포팅핀로부터의 탈출을 용이토록 하는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포팅핀들 사이에 선 진입한 루어폴의 좌표에 후 진입되는 루어폴이 겹칠 경우 V형판체의 일경사부 및 타경사부에 의해 루어폴의 진입 좌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일스프링 및 타스프링의 탄성과 더불어 서포팅핀들과 함께하는 루어폴의 직립력을 탄성적으로 가변시키면서 루어폴의 진입좌표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루어폴들 상호간의 후크들에 의한 엉킴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크를 지닌 루어폴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을 권취시키는 드럼을 포함하는 권취보빈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낚싯줄이 권취되는 권취연과,
상기 권취연으로부터 외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낚싯줄의 권취시 상기 루어폴을 직립시키는 서포팅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후크를 지닌 루어폴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을 권취시키는 드럼을 포함하는 권취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낚싯줄이 권취되는 권취연과, 상기 권취연으로부터 외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낚싯줄의 권취시 상기 루어폴을 직립시키는 서포팅핀들을 포함하며,
뱃전에 장착되어 상기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롤러와, 뱃전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를 통과한 상기 낚싯줄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도록 상기 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끼를 끼운 후크 또는 먹잇감으로 보이도록 한 루어 등을 이용하여 바다 속에서 유영하는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 문어 또는 상어 등을 낚을 때 낚싯줄 및 후크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권취 또는 권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어군이 형성된 바다에 낚싯줄을 투승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양승할 경우 드럼의 회전에 따라 낚싯줄이 서포팅핀들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면서 권취연을 따라 권취되도록 하며, 이때 후크를 지닌 루어폴이 서포팅핀들 사이로 끼워져 직립될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의 권취시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없앰과 더불어 낚싯줄의 권출시 역시 드럼의 회전에 맞추어 낚싯줄로 하여금 권취연으로부터 빠져나가면서 순차적으로 루어폴을 당기면서 투승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방지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포팅핀들이 루어폴을 기준으로 3등분 측면 내지 6등분 측면에서 균등하게 지지하면서 루어폴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후크와 낚싯줄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포팅핀들의 상호간의 간격을 권취연으로부터 외향으로 갈수록 넓힐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의 권취시 낚싯줄의 권취연으로의 인입과 더불어 루어폴의 진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낚싯줄의 권출시 낚싯줄의 권취연으로부터의 이탈과 더불어 루어폴의 원활한 탈출을 보장하여 작업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포팅핀의 첨단끝으로 낚싯줄의 권취시 권취연으로의 용이한 인입을 보장하고, 루어폴의 길이보다 서포팅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후크가 서포팅핀에 걸치면서 낚싯줄의 입출을 방해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포팅핀으로 하여금 휨 및 복원 가능한 탄성을 지니도록 하여 낚싯줄의 인입 및 이탈 그리고 루어폴의 진입 및 탈출시 상호간의 부딪힘에 따른 충격 및 방해 등을 탄성적인 유연함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낚싯줄의 권취시 롤러를 통과하면서 어류, 예를 들어 오징어를 루어폴의 후크로부터 낙하시켜 뱃전의 수로를 따라 집하될 수 있도록 하고, 낚싯줄의 권출시 롤러를 통과하면서 바다 속으로 후크를 지닌 루어폴을 투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 및 후크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드럼을 정역 회전시키면서 샤프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토록 하여 낚싯줄의 권취 및 권출시 권취연을 따라 좌우 사선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루어폴들이 동일한 좌표에서 중복 위치되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낚싯줄의 권취 또는 권출시 롤러 및 드럼 사이에서 최적화된 각도로 서포팅핀들 사이로 낚싯줄과 더불어 루어폴이 인입 및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서포팅핀들로부터 낚싯줄과 더불어 루어폴이 원활하게 이탈 및 탈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이 모터에 의해 샤프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낚싯줄을 횡방향으로 다접촉 가능하게 슬라이딩 안내토록 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낚싯줄 및 루어폴의 권취 및 권출을 실현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이 모터에 의해 샤프트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낚싯줄의 위치를 잡아주면서 권취연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낚싯줄의 권취시 또는 권출시 루어폴이 브러쉬를 통과하면서 바르게 세워져 서포팅핀들 사이로의 진입과 서포팅핀로부터의 탈출을 용이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포팅핀들 사이에 선 진입한 루어폴의 좌표에 후 진입되는 루어폴이 겹칠 경우 V형판체의 일경사부 및 타경사부에 의해 루어폴의 진입 좌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일스프링 및 타스프링의 탄성과 더불어 서포팅핀들과 함께하는 루어폴의 직립력을 탄성적으로 가변시키면서 루어폴의 진입좌표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루어폴들 상호간의 후크들에 의한 엉킴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오징어 낚싯줄 얼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어선을 포함한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어류 조획기에서 물레로부터 낚싯줄을 풀기 전 상태 또는 물레에 낚시줄을 감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이 적용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정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을 나타내는 확대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사시 개념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보빈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측면 개념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보빈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가이더를 포함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종형가이더 및 브러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종형가이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종형가이더와 더불어 일스프링 및 타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이 적용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정면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나타내는 확대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Winding Bobbin; B)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를 끼운 후크(Hook; H) 또는 먹잇감으로 보이도록 한 루어(Lure) 등을 이용하여 바다 속에서 유영하는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 문어 또는 상어 등을 낚을 때 낚싯줄(W) 및 후크(H)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권취 또는 권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때, 낚싯줄(W)은 후크(H)를 지닌 루어폴(Lure Pole; L)이 등간격으로 매달려 권취보빈(B)에 권취된 상태에서 어군이 형성된 바다에 이르러 후크(H)를 지닌 루어폴(L)을 투승할 때 함께 권출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 다시 루어폴(L)을 양승할 경우 권취보빈(B)에 권취되는데, 낚싯줄(W)의 권취 및 권출시 후크(H)에 의한 엉킴을 최소화시켜야만 작업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까지 담보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은 낚싯줄(W)을 권취 및 권출시키는 드럼(D)을 구비하고, 이 드럼(D)은 낚싯줄(W)이 권취되는 권취연(D1)과, 권취연(D1)으로부터 외향으로 고정되어 낚싯줄(W)의 권취시 루어폴(L)을 직립시키는 서포팅핀(Supporting Pin; P)들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드럼(D)의 양측에는 일측판(C1) 및 타측판(C2)이 구비될 수 있다.
어군이 형성된 바다에 낚싯줄(W)을 투승한 다음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양승할 경우 드럼(D)의 회전에 따라 낚싯줄(W)이 서포팅핀(P)들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면서 권취연(D1)을 따라 권취되도록 하며, 이때 후크(H)를 지닌 루어폴[L; 대략 2∼4m 간격으로 20∼30개의 루어폴(L)이 낚싯줄(W)에 매달림]이 서포팅핀(P)들 사이로 끼워져 직립될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W)의 권취시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없앰과 더불어 낚싯줄(W)의 권출시 역시 드럼(D)의 회전에 맞추어 낚싯줄(W)로 하여금 권취연(D1)으로부터 빠져나가면서 순차적으로 루어폴(L)을 당기면서 투승될 수 있도록 하여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방지케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포팅핀(P)들은 루어폴(L)을 기준으로 3등분 측면 내지 6등분 측면[2등분 이하의 측면, 즉 지점일 경우 루어폴(L)이 직립될 수 없고 7등분 이상의 측면, 즉 지점일 경우 서포팅핀(P)들의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 생산성이 떨어짐]에서 균등하게 지지하면서 루어폴(L)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후크(H)와 낚싯줄(W)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서포팅핀(P)들의 상호간의 간격은 권취연(D1)으로부터 외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여 낚싯줄(W)의 권취시 낚싯줄(W)의 권취연(D1)으로의 인입과 더불어 루어폴(L)의 진입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낚싯줄(W)의 권출시 낚싯줄(W)의 권취연(D1)으로부터의 이탈과 더불어 루어폴(L)의 원활한 탈출을 보장하여 작업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서포팅핀(P)은 첨단끝(P1)을 가지도록 하여 낚싯줄(W)의 권취시 권취연(D1)으로의 용이한 인입을 보장하고, 나아가 서포팅핀(P)은 루어폴(L)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후크(H)가 서포팅핀(P)에 걸치면서 낚싯줄(W)의 입출을 방해하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서포팅핀(P)은 휨 및 복원 가능한 탄성을 지니도록 하여 낚싯줄(W)의 인입 및 이탈 그리고 루어폴(L)의 진입 및 탈출시 상호간의 부딪힘에 따른 충격 및 방해 등을 탄성적인 유연함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사시 개념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측면 개념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를 나타내는 가이더(70)를 포함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도 3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뱃전에 장착되어 낚싯줄(W)을 통과시키는 롤러(R)와, 뱃전에 장착되어 롤러(R)를 통과한 낚싯줄(W)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도록 드럼(D)을 정역 회전시키는 샤프트(S)를 포함한다.
드럼(D)은 샤프트(S)를 중심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정역 회전될 수 있고, 낚싯줄(W)의 권취시 롤러(R)를 통과하면서 어류, 예를 들어 오징어를 루어폴(L)의 후크(H)로부터 낙하시켜 뱃전의 수로를 따라 집하될 수 있도록 하고, 낚싯줄(W)의 권출시 롤러(R)를 통과하면서 바다 속으로 후크(H)를 지닌 루어폴(L)을 투승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낚싯줄(W) 및 후크(H)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철저하게 없앤다.
샤프트(S)는 모터(M)에 의해 회전력을 받도록 하여 어선에서의 자동화로서 작업성을 보장하고, 드럼(D)은 모터(M)에 의해 정역 회전되면서 샤프트(S)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모터(M) 내의 캠을 이용한 설계로서 정역 회전과 더불어 샤프트(S)를 횡방향으로의 왕복 운등 가능케 할 수 있음] 낚싯줄(W)의 권취 및 권출시 권취연(D1)을 따라 좌우 사선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여 루어폴(L)들이 동일한 좌표에서 중복 위치되는 것을 현저하게 방지토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롤러(R) 및 드럼(D) 사이에 마련되어 낚싯줄(W)을 안내하는 가이더(70)를 더 포함하여, 낚싯줄(W)의 권취 또는 권출시 롤러(R) 및 드럼(D) 사이에서 최적화된 각도로 서포팅핀(P)들 사이로 낚싯줄(W)과 더불어 루어폴(L)이 인입 및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서포팅핀(P)들로부터 낚싯줄(W)과 더불어 루어폴(L)이 원활하게 이탈 및 탈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이더(70)는 도 6a, 도 6b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D)을 향한 낚싯줄(W)을 받쳐주는 횡형가이더(71)일 수 있고, 이 횡형가이더(71)는 낚싯줄(W)을 다접촉 가능하게 슬라이딩 안내하는 외주연(71b)을 지닌 원통체(71a)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럼(D)이 모터(M)에 의해 샤프트(S)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낚싯줄(W)을 횡방향으로 다접촉 가능하게 슬라이딩 안내토록 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낚싯줄(W) 및 루어폴(L)의 권취 및 권출을 실현토록 한다.
그리고, 가이더(70)는 도 6a,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D)을 향한 낚싯줄(W)을 받쳐주는 종형가이더(72)일 수 있고, 이 종형가이더(72)는 일경사부(72b) 및 타경사부(72c) 사이에 낚싯줄(W)을 일접촉 가능하게 슬라이딩 안내하는 V홈(72d)을 지닌 V형판체(72a)일 수 있으며, 드럼(D)이 모터(M)에 의해 샤프트(S)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낚싯줄(W)의 위치를 잡아주면서 권취연(D1)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호간의 엉킴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종형가이더(72) 및 브러쉬(8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V홈(72d)을 향하여 펼쳐져 낚싯줄(W)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루어폴(L)을 상하방향으로 세우는 브러쉬(80)를 더 포함하여 낚싯줄(W)의 권취시 또는 권출시 루어폴(L)이 브러쉬(80)를 통과하면서 바르게 세워져 서포팅핀(P)들 사이로의 진입과 서포팅핀(P)로부터의 탈출을 용이토록 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종형가이더(7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에 적용된 종형가이더(72)와 더불어 일스프링(91) 및 타스프링(92)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종형가이더(72)인 V형판체(72a)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경사부(72b) 및 타경사부(72c)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일스프링(91) 및 타스프링(92)의 탄성에 의존되어 횡방향으로 좌표 이동 가능토록 하여 서포팅핀(P)들 사이에 선 진입한 루어폴(L)의 좌표에 후 진입되는 루어폴(L)이 겹칠 경우 V형판체(72a)의 일경사부(72b) 및 타경사부(72c)에 의해 루어폴(L)의 진입 좌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일스프링(91) 및 타스프링(92)의 탄성과 더불어 서포팅핀(P)들과 함께하는 루어폴(L)의 직립력을 탄성적으로 가변시키면서 루어폴(L)의 진입좌표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루어폴(L)들 상호간의 후크(H)들에 의한 엉킴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케 한다.
본 발명은 바다 속에서 유영하는 어류, 예를 들면 오징어나 문어, 상어 등을 낚는 산업분야에 이용가능하다.
W : 낚싯줄 L : 루어폴
H : 후크 B : 권취보빈
D : 드럼 D1 : 권취연
P : 서포팅핀 P1 : 첨단끝
C1 : 일측판 C2 : 타측판
R : 롤러 S : 샤프트
M : 모터 70 : 가이더
71 : 횡형가이더 71a : 원통체
71b : 외주연 72 : 종형가이더
72a : V형판체 72b : 일경사부
72c : 타경사부 72d : V홈
80 : 브러쉬 91 : 일스프링
92 : 타스프링

Claims (16)

  1. 후크(Hook; H)를 지닌 루어폴(Lure Pole; L)이 등간격으로 매달린 낚싯줄(W)을 권취시키는 드럼(D)을 포함하는 권취보빈(Winding Bobbin; B)에 있어서,
    상기 드럼(D)은
    상기 낚싯줄(W)이 권취되는 권취연(D1)과,
    상기 권취연(D1)으로부터 외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낚싯줄(W)의 권취시 상기 루어폴(L)을 직립시키는 서포팅핀(Supporting Pin; P)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핀(P)들은 상기 루어폴(L)을 기준으로 3등분 측면 내지 6등분 측면에서 균등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핀(P)들의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 권취연(D1)으로부터 외향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핀(P)은 첨단끝(P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핀(P)은 상기 루어폴(L)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핀(P)은 휨 및 복원 가능한 탄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뱃전에 장착되어 상기 낚싯줄(W)을 통과시키는 롤러(R)와,
    뱃전에 장착되어 상기 롤러(R)를 통과한 상기 낚싯줄(W)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도록 상기 드럼(D)을 정역 회전시키는 샤프트(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S)는 모터(M)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D)은 상기 모터(M)에 의해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샤프트(S)와 함께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R) 및 드럼(D)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낚싯줄(W)을 안내하는 가이더(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70)는 상기 드럼(D)을 향한 상기 낚싯줄(W)을 받쳐주는 횡형가이더(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가이더(71)는 상기 낚싯줄(W)을 다접촉 가능하게 슬라이딩 안내하는 외주연(71b)을 지닌 원통체(7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70)는 상기 드럼(D)을 향한 상기 낚싯줄(W)을 받쳐주는 종형가이더(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형가이더(72)는 일경사부(72b) 및 타경사부(72c) 사이에 상기 낚싯줄(W)을 일접촉 가능하게 슬라이딩 안내하는 V홈(72d)을 지닌 V형판체(72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V홈(72d)을 향하여 펼쳐져 상기 낚싯줄(W)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기 루어폴(L)을 상하방향으로 세우는 브러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V형판체(72a)는 상기 일경사부(72b) 및 타경사부(72c)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일스프링(91) 및 타스프링(92)의 탄성에 의존되어 횡방향으로 좌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보빈(B)을 이용한 어류 조획기.
KR1020210156765A 2021-11-15 2021-11-15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KR20230070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65A KR20230070802A (ko) 2021-11-15 2021-11-15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65A KR20230070802A (ko) 2021-11-15 2021-11-15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802A true KR20230070802A (ko) 2023-05-23

Family

ID=8654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765A KR20230070802A (ko) 2021-11-15 2021-11-15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080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851A (ko) 2010-04-28 2011-11-03 한승호 오징어낚시줄 얼레
KR20180115905A (ko) 2017-04-14 2018-10-24 이정열 어류 조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851A (ko) 2010-04-28 2011-11-03 한승호 오징어낚시줄 얼레
KR20180115905A (ko) 2017-04-14 2018-10-24 이정열 어류 조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034B1 (en) Shoreline outrigger rod system
KR101947668B1 (ko) 어류 조획기
US4477992A (en) Apparatus for baiting longline fishing gear
KR101370603B1 (ko) 오징어 자동 조상장치
KR20230070802A (ko)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JPH0213338A (ja) 延縄の機械化された縄繰り装置
KR20230132254A (ko) 권취보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JPH0368655B2 (ko)
KR20110119851A (ko) 오징어낚시줄 얼레
KR20230021794A (ko) 자동 회전식 채낚장치
KR102396348B1 (ko) 수평 권취식 채낚장치
KR20220002524U (ko) 회전식 자동 조획장치
KR200416611Y1 (ko) 오징어 날날이 낚시
KR20180115906A (ko)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CN112471093B (zh) 一种转动式鱿鱼自动钓机
US3835567A (en) Troll fishing apparatus
JP3029161U (ja) 振子式遠投撒餌籠
KR200265205Y1 (ko)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CN112471088B (zh) 一种自动鱿钓设备
KR20230147975A (ko) 어류 조획장치
KR20180115907A (ko) 물레 및 이를 이용한 어류 조획기
JP2902622B1 (ja) ビシ糸案内具及びそれを備えたビシ糸釣竿
KR200374910Y1 (ko) 낚시 꿰미
KR20230147974A (ko) 어류 조획장치
KR20230078149A (ko) 조상기 일체형 낚싯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