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354B1 - 양식굴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양식굴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354B1
KR102556354B1 KR1020220164304A KR20220164304A KR102556354B1 KR 102556354 B1 KR102556354 B1 KR 102556354B1 KR 1020220164304 A KR1020220164304 A KR 1020220164304A KR 20220164304 A KR20220164304 A KR 20220164304A KR 102556354 B1 KR102556354 B1 KR 10255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line
cutter
rake
conveyor
oy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준
Original Assignee
조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준 filed Critical 조기준
Priority to KR102022016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굴덩어리가 일정간격으로 매달린 가지선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양식 굴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줄에서 절단한 가지선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갈퀴컨베어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갈퀴컨베어의 정점에서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으로 내려오게 하고, 아래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커터유닛의 가지선인장봉이 밀어서 고정커터와 가지선인장봉 사이에서 가지선이 당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가지선인장봉을 뒤 따라 회전하는 회전커터가 고정커터를 지나가는 순간 가지선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굴덩어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매달린 가지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굴양식용 원줄에서 절단한 가지선을 길이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갈퀴컨베어(40)와, 갈퀴컨베어(40)의 정점에서 하측으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는 가지선절단장치(50)를 포함하며; 상기 갈퀴컨베어(40)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어프레임(41)의 상하부에 상하부 컨베어드럼(42)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상하부측 컨베어드럼(42)에는 외부면에 다수개의 이동갈퀴(44)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컨베어밸트(43)가 감겨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지선절단장치(50)는 갈퀴컨베어(40)의 정점 하부에 받침대(54)에 의해 설치되는 절단기케이싱(53)과, 절단기케이싱(53)의 내부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커터유닛(60)과, 절단기케이싱(53)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구(51)의 상측 소정위치에 수평 설치되는 고정커터(5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단기케이싱(53)은 상측에 가지선이 투입되는 투입구(51)와, 전방하측에 절단된 가지선과 그들 가지선에 매달린 굴덩어리(4)가 배출되는 배출구(52)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커터유닛(60)은 양단부가 절단기케이싱(53)의 양측벽에 회전지지되게 설치되는 회전축(61)의 외주연에 방사방향으로 수개의 커터설치대(62)가 설치되고, 이들 커터설치대(62)의 단부에는 고정커터(57)와 대응하는 회전커터(63)가 볼트에 의해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터설치대(62)의 전방에는 가지선인장봉(65)이 회전커터(63)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폭만큼 돌출되게 수평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굴 채취장치{Aquaculture oyster harvester}
본 발명은 다수의 굴덩어리가 일정간격으로 매달린 가지선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양식 굴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줄에서 절단한 가지선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갈퀴컨베어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갈퀴컨베어의 정점에서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으로 내려오게 하고, 아래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커터유닛의 가지선인장봉이 밀어서 고정커터와 가지선인장봉 사이에서 가지선이 당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가지선인장봉을 뒤 따라 회전하는 회전커터가 고정커터를 지나가는 순간 가지선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굴덩어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매달린 가지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 양식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로 형성되는 원줄(A)에 다수개의 가지선(B)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고, 가지선(B)에 채묘연이라 불리는 굴, 가리비 등의 패각(2)을 소정 간격으로 달아매어 고정시킨 후 이들 패각의 표면에 굴의 유생을 부착시켜 패각들을 달아 맨 가지선(B)을 바다 속에 침수시키면, 굴의 유생이 자라서 굴을 양식하게 되며, 그에 따라 패각(2)에는 다수의 굴 유생이 자라서 양식된 굴들이 덩어리형태로 매달려 있게 되는데, 이 덩어리를 굴덩어리(4)라고 칭한다.
이때, 패각(2)들을 소정 간격으로 가지선(B)에 고정시키는 방식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가장 흔한 방식으로는 가지선(B)에 패각(2)을 하나씩 고정할 때마다 매듭(3)을 짓는 매듭 고정형이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원줄(A)에는 부구(1)를 연결하여 수면과 근접하게 떠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바다에서 양식하는 굴을 채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줄(A)에 매달린 가지선(B)의 상부를 가위형태로 형성되는 절단기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절단하고, 그렇게 절단된 가지선(B)의 매듭(3)과 매듭 사이를 다시 절단기로 절단한 뒤에 가지선(B)에서 굴덩어리(4)를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매듭(3)과 매듭 사이의 가지선을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가지선을 자동으로 절단하는 기술이 개발되게 되었다.
상기 가지선을 자동으로 절단하는 종래기술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4959호(고안의 명칭 : 양식굴 채취장치)로 출원되어 공개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실린더(7)를 작동시키면 피스톤로드가 늘어나면서 수평상태의 채취기(10)가 경사지게 세워지면서 채취기의 전단부가 물속에 잠기게 된다.
이때, 바지선(5)의 선수(C위치)에는 인양되는 가지선(B)을 절단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대기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면에서 끌어올린 원줄(A)을 회전하는 구동로울러(8)에 걸어주면 원줄(A)이 인양되기 시작한다.
뒤따라서 채취기의 각 구동모터를 가동시키면 이송스크류(12,31) 및 다공관체(20)가 각각 회전하게 되고, 인양되는 원줄(A)에 매달린 가지선(B)은 수차형 로울러(14)의 날개판(16)에 의해서 끌어 올려질 때마다 C위치에 대기 중인 작업자가 매번 가지선의 상단을 통상 가위형태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이렇게 절단되는 가지선(B)에는 다수개의 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굴덩어리(4)가 매달린 상태이며, 이와 같은 가지선(B)이 밑으로 떨어지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12)에 의해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지선(B)에는 다수개의 굴덩어리(4)가 한 뭉치씩 간격을 두고 매달려 있고, 이송스크류(12)의 피치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류(12)의 스크류날개 사이마다 한 뭉치씩의 굴덩어리(4)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굴덩어리(4)가 매달린 가지선이 이송될 때, 관체(11)의 내부에는 커터(15)가 설치되어서, 굴덩어리(4)가 매달린 가지선(B)이 커터(15) 위치에 도달하면 이송스크류(12)의 회전이송력에 의해 커터(15)에 접촉된 상태로 마찰력이 작용하여 절단되며, 스크류가 1회전할 때마다 이러한 절단작용이 연속 반복되어 가지선은 굴덩어리(4)가 한 뭉치씩 매달린 상태로 절단되어 상향 이송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고안은 가지선에 매달린 굴덩어리의 크기에 따라 노출되는 가지선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서 노출되는 가지선의 길이가 긴 경우에 스크류축에 가지선이 감기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4959호(고안의 명칭 : 양식굴 채취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줄에서 절단한 가지선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갈퀴컨베어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갈퀴컨베어의 정점에서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으로 내려오게 하고, 아래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커터유닛의 가지선인장봉이 밀어서 고정커터와 가지선인장봉 사이에서 가지선이 당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가지선인장봉을 뒤 따라 회전하는 회전커터가 고정커터를 지나가는 순간 가지선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굴덩어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매달린 가지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굴양식용 원줄에서 절단한 가지선을 길이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갈퀴컨베어와, 갈퀴컨베어의 정점에서 하측으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는 가지선절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갈퀴컨베어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어프레임의 상하부에 상하부 컨베어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상하부측 컨베어드럼에는 외부면에 다수개의 이동갈퀴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컨베어밸트가 감겨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지선절단장치는 갈퀴컨베어의 정점 하부에 받침대에 의해 설치되는 절단기케이싱과, 절단기케이싱의 내부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커터유닛과, 절단기케이싱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구의 상측 소정위치에 수평 설치되는 고정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단기케이싱은 상측에 가지선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전방하측에 절단된 가지선과 그들 가지선에 매달린 굴덩어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커터유닛은 양단부가 절단기케이싱의 양측벽에 회전지지되게 설치되는 회전축의 외주연에 방사방향으로 수개의 커터설치대가 설치되고, 이들 커터설치대의 단부에는 고정커터와 대응하는 회전커터가 볼트에 의해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터설치대의 전방에는 가지선인장봉이 회전커터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폭만큼 돌출되게 수평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식굴 채취장치는, 갈퀴컨베어의 정점에서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으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절단기케이싱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커터유닛의 가지선인장봉이 밀어서 고정커터와 가지선인장봉 사이에서 가지선이 당겨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가지선인장봉을 뒤 따라 회전하는 회전커터가 고정커터를 지나가는 순간 가지선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굴덩어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매달린 가지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굴의 양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종래고안에서 가지선이 절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굴 채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회전커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동갈퀴와 고정갈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의 (가)(나)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식굴 채취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굴 채취장치(1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굴양식용 원줄에서 절단한 가지선을 길이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갈퀴컨베어(40)와, 갈퀴컨베어(40)의 정점에서 하측으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는 가지선절단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갈퀴컨베어(40)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어프레임(41)의 상하부에 상하부 컨베어드럼(42)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상하부측 컨베어드럼(42)에는 외부면에 다수개의 이동갈퀴(44)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컨베어밸트(43)가 감겨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지선절단장치(50)는 갈퀴컨베어(40)의 정점(頂点) 하부에 받침대(54)에 의해 설치되는 절단기케이싱(53)과, 절단기케이싱(53)의 내부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커터유닛(60)과, 절단기케이싱(53)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구(51)의 상측 소정위치에 수평 설치되는 고정커터(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커터(57)의 절삭날 끝선이 회전커터유닛(60)에 설치되는 회전커터(63)의 회전궤적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데, 고정커터(57)의 절삭날 끝선과 회전커터(63)의 절삭날 끝선은 5~8㎜ 두께의 가지선이 절단되도록 1㎜ 내외의 틈새를 두고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절단기케이싱(53)은 상측에 가지선이 투입되는 투입구(51)와, 전방하측에 절단된 가지선과 그들 가지선에 매달린 굴덩어리(4)가 배출되는 배출구(52)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51)의 전면에는 컨베어프레임(41)과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는 경사면부(55)가 형성되며, 경사면부(55)의 양측 상면과 그 경사면부(55)와 대면하는 컨베어프레임(41)의 양측 저면 사이에는 간격유지대(56)가 설치되어 상부측 컨베어드럼(42)을 감아 돌아서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갈퀴(44)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 내의 경사면부(55)의 전방 상측에는 이동갈퀴(44)와 대응하는 고정갈퀴(58)가 상향 설치되고, 이동갈퀴(44)와 고정갈퀴(58)는 산(山)부과 골부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공간부에서 이동갈퀴(44)의 산(山)부와 골부가 고정갈퀴(58)의 골부와 산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터유닛(60)은 양단부가 절단기케이싱(53)의 양측벽에 회전 지지되게 설치되는 회전축(61)의 외주연에 방사방향으로 수개(3~4개)의 커터설치대(62)가 설치되고, 이들 커터설치대(62)의 단부에는 고정커터(57)와 대응하는 막대형 회전커터(63)가 볼트에 의해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터설치대(62)의 전방에는 가지선인장봉(65)이 회전커터(63)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폭만큼 돌출되게 수평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지선인장봉(65)은 커터설치대(62)의 전면에 설치되는 인장봉설치대(64)의 전방측 단부에 설치되며, 회전커터(63)와 가지선인장봉(65)은 수평선 상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로 형성되는 원줄(A)에 다수개의 가지선(B)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고, 가지선(B)에 굴, 가리비 등의 패각(2)을 소정 간격으로 달아매어 고정시킨 후, 이들 패각의 표면에 굴의 유생을 부착시킨 뒤에 바다물 속에 침수시켜서 굴을 양식을 하게 된다.
이렇게 양식하는 굴을 수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줄(A)에서 가지선(B)을 절단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갈퀴컨베어(40)의 컨베어밸트(43) 상에 가지선(B)을 길이방향으로 올려놓는다.
이때, 가지선의 길이는 5~10m로 길이가 긴 상태이며, 이 가지선의 형성된 다수개의 매듭(3)에 설치한 패각(2)에서 양식된 다수개의 굴이 덩어리 형태로 뭉쳐서 길이가 긴 가지선에 일정간격을 굴덩어리(4)가 매달려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길이가 긴 가지선의 선단부에 매달린 굴덩어리(4) 부분을 갈퀴컨베어(40)의 하부측 컨베어밸트(43)에 얹으면, 회전 이동하는 컨베어밸트(43)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이동갈퀴(44)에 굴덩어리(4)가 걸려서 갈퀴컨베어(40)의 하부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길이가 긴 가지선이 컨베어밸트(43)가 이동하는 길이방향으로 1자형으로 펼쳐지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면서 가지선의 선단부에 매달린 굴덩어리(4)가 갈퀴컨베어(40)의 정점으로 올라 온 뒤에는 컨베어밸트(43)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수직방향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위와 같이 1자형으로 펼쳐져서 이동하는 가지선의 선단부측 굴덩어리(4)는 컨베어밸트(43)의 정점에서 아래로 내려가고, 후방측의 가지선에 간격을 두고 매달린 굴덩어리(4)는 각각의 이동갈퀴(44)에 걸려서 경사진 후방으로 내려가지 않고 컨베어밸트(43)가 이동하는 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지선의 선단부가 갈퀴컨베어(40)의 정점에서 아래로 내려갈 때, 갈퀴컨베어(40)의 정점부 하부에 절단기케이싱(53)의 상측 투입구(51)가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서 가지선의 선단부와, 그 선단부에 매달린 굴덩어리(4)가 투입구(51)로 수직하게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절단기케이싱(53)의 내부에는 회전커터유닛(60)이 회전되게 설치되되, 이 회전커터유닛(60)은 회전축(61)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수개(3~4개)의 커터설치대(62)가 판형으로 설치되고, 그 전방으로 인장봉설치대(64)가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며, 인장봉설치대(64)의 선단부에 가지선인장봉(65)이 설치되어서 인접한 가지선인장봉(65)의 전방과 커터설치대(62)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위와 같이 아래로 내려오던 가지선의 선단부가 인접한 커터설치대(62) 사이, 정확히 설명하면 커터설치대(62)의 후면과, 그 커터설치대(62)의 후면과 소정의 각도를 두고 대면하는 가지선인장봉(6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기 가지선의 선단부와, 그 가지선 선단부에 매달린 굴덩어리(4)가 내려오게 된다.
이때는 회전커터유닛(6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 8의 (가)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회전커터(63) 전방의 가지선인장봉(65)이 고정커터(57)와 간격(D)을 둔 상태이어서 그 간격 사이의 공간부로 굴덩어리(4)를 포함한 가지선의 선단부가 내려오면서 상기 간격(D) 내측의 공간부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회전해 오는 가지선인장봉(65)과 고정커터(57) 사이의 공간부로 가지선이 내려올 때에도 컨베어밸트(43)는 계속 회전하고 있으므로 회전커터유닛(60)이 회전하여 상기 간격이 좁혀질 때에도 가지선 선단부에 매달린 굴덩어리(4)가 더 내려가게 되며, 굴덩어리(4) 바로 위의 가지선이 회전해 오는 가지선인장봉(65)에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커터유닛(60)이 계속 회전하여 가지선과 접촉하고 있는 가지선인장봉(65)은 가지선을 회전커터유닛(6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게 되며, 이때는 굴덩어리(4) 바로 위의 가지선이 가지선인장봉(65)에 접촉하면서 그 가지선에 매달린 굴덩어리(4)는 끈에 추가 매달린 것처럼 수직방향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회전커터유닛(60)이 더 회전하여 가지선을 밀고 있는 가지선인장봉(65)이 고정커터(57)를 가까워질 때, 가지선인장봉(65)과 접하고 있는 가지선의 상부가 고정커터(57)에 접촉하게 되며, 회전커터유닛(60)이 더 회전하면서 가지선인장봉(65)이 고정커터(57)를 지나가면, 고정커터(57)와 가지선인장봉(65)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면서 굴덩어리(4)가 추처럼 매달린 가지선과 고정커터(57)에 접촉하는 가지선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이렇게 가지선이 팽팽하게 당겨지다가 가지선을 당기는 가지선인장봉(65)을 간격을 두고 뒤 따라오는 회전커터(63)가 도 8의 (나)와 같이 고정커터(57)의 절삭날부와 일치하면서 지나가는 순간 가지선이 절단되게 되며, 이렇게 절단된 가지선에는 굴덩어리(4)가 매달려서 하측 배출구(52)로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굴덩어리(4)가 매달린 가지선이 고정커터(57)와 회전커터(63)에 의해 절단되기 전에 갈퀴컨베어(40)의 정점에서 굴덩어리(4)를 포함한 가지선이 아래로 내려올 때, 굴덩어리(4)를 포함한 가지선에 붙어있는 해초가 이동갈퀴(44)에 걸린 상태로 회전이동하면서 투입구(51) 측으로 수직하게 내려오지 않고, 굴덩어리(4)을 포함한 가지선이 이동갈퀴(44)가 회전 이동하는 방향으로 딸려 들어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컨베어프레임(41)의 상부측 저면과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경사면부(55)의 전방측에 이동갈퀴(44)가 지나가는 고정갈퀴(58)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이동갈퀴(44)와 고정갈퀴(58)는 산부와 골부가 서로 끼워지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서 이동갈퀴(44)는 고정갈퀴(58)를 통과하나, 가지선에 매달린 굴덩어리(4)는 손가락을 벌린 형태로 형성된 고정갈퀴(58)의 골과 산부 사이보다 대폭 커서 굴덩어리(4)를 포함한 가지선이 고정갈퀴(58)에 막혀서 이동갈퀴(44)를 따라 가지 못하고 투입구(51)로 내려가게 되며, 이동갈퀴(44)가 고정갈퀴(5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굴덩어리(4)에 붙은 해초는 끊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고정갈퀴(58)를 통과하는 이동갈퀴(44)는 컨베어프레임(41)의 상부측 저면 양측과 그와 대응되는 경사면부(55)의 양측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대(5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원활하게 통과하게 되어, 다수개의 굴덩어리(4)가 간격을 두고 매달린 가지선을 갈퀴컨베어(40)를 통하여 상향 이동 시키면서 가지선절단장치(50)에서 굴덩어리(4)가 매달린 가지선의 상하단부를 절단하여 한 덩이씩의 굴덩어리(4)가 가지선절단장치(50)에서 절단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한 덩이씩의 굴덩어리(4)를 세척 등의 후가공을 거쳐 굴을 까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이며, 굴 까는 작업은 수작업을 이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된 굴껍질 자동분리시스템(10-2390637)을 이용하여 자동을 굴을 깔 수 있는 것이다.
4 : 굴덩어리 40 : 갈퀴컨베어 41 : 컨베어프레임
42 : 컨베어드럼 43 : 컨베어밸트 44 : 이동갈퀴
50 : 가지선절단장치 51 : 투입구 52 : 배출구
53 : 절단기케이싱 54 : 받침대 55 : 경사면부
56 : 간격유지대 57 : 고정커터 58 : 고정갈퀴
60 : 회전커터유닛 61 : 회전축 62 : 커터설치대
63 : 회전커터 64 : 인장봉설치대 65 : 가지선인장봉
100 : 양식굴 채취장치 A : 원줄 B : 가지선

Claims (3)

  1.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굴양식용 원줄에서 절단한 가지선을 길이방향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갈퀴컨베어와, 갈퀴컨베어의 정점에서 하측으로 내려오는 가지선을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는 가지선절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갈퀴컨베어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어프레임의 상하부에 상하부 컨베어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상하부측 컨베어드럼에는 외부면에 다수개의 이동갈퀴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컨베어밸트가 감겨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지선절단장치는 갈퀴컨베어의 정점 하부에 받침대에 의해 설치되는 절단기케이싱과, 절단기케이싱의 내부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회전커터유닛과, 절단기케이싱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구의 상측 소정위치에 수평 설치되는 고정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단기케이싱은 상측에 가지선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전방하측에 절단된 가지선과 그들 가지선에 매달린 굴덩어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커터유닛은 양단부가 절단기케이싱의 양측벽에 회전지지되게 설치되는 회전축의 외주연에 방사방향으로 수개의 커터설치대가 설치되고, 이들 커터설치대의 단부에는 고정커터와 대응하는 회전커터가 볼트에 의해 교체가능하게 설치되며, 커터설치대의 전방에는 가지선인장봉이 회전커터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폭만큼 돌출되게 수평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굴 채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전면에는 컨베어프레임과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며, 경사면부의 양측 상면과 그 경사면부와 대면하는 컨베어프레임의 양측 저면 사이에는 이동갈퀴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간격유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 내의 경사면부의 전방 상측에는 이동갈퀴와 대응하는 고정갈퀴가 상향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굴 채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터의 절삭날 끝선이 회전커터의 회전궤적과 근접하도록 설치하되, 고정커터가 회전커터의 회전궤적과 1㎜ 내외의 틈새를 두고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갈퀴의 산부와 골부가 고정갈퀴의 골부와 산부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굴 채취장치.
KR1020220164304A 2022-11-30 2022-11-30 양식굴 채취장치 KR10255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304A KR102556354B1 (ko) 2022-11-30 2022-11-30 양식굴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304A KR102556354B1 (ko) 2022-11-30 2022-11-30 양식굴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354B1 true KR102556354B1 (ko) 2023-07-14

Family

ID=8715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304A KR102556354B1 (ko) 2022-11-30 2022-11-30 양식굴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3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669Y1 (ko) * 1994-10-10 1998-04-14 조철수 굴양식줄 선별수거장치
KR19990004959U (ko) 1997-07-10 1999-02-05 김영환 모니터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110130375A (ko) * 2011-11-14 2011-12-05 여태권 패류 자동 분리 장치
KR20130067677A (ko) * 2011-12-14 2013-06-25 김정명 굴 분리기
KR20200122071A (ko) *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KR20220004422A (ko) * 2020-07-03 2022-01-11 김정명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669Y1 (ko) * 1994-10-10 1998-04-14 조철수 굴양식줄 선별수거장치
KR19990004959U (ko) 1997-07-10 1999-02-05 김영환 모니터의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110130375A (ko) * 2011-11-14 2011-12-05 여태권 패류 자동 분리 장치
KR20130067677A (ko) * 2011-12-14 2013-06-25 김정명 굴 분리기
KR20200122071A (ko) *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KR20220004422A (ko) * 2020-07-03 2022-01-11 김정명 부착성 수산물 개체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304B1 (ko) 수중에서의 패류 수확, 관리 및 관련 패류 그물망 세척장치
CN207491838U (zh) 一种用于乌贼养殖的冰鲜小杂鱼投饵系统
KR20150067973A (ko) 김 자동 채취기
KR102556354B1 (ko) 양식굴 채취장치
JP2011502527A (ja) 有機物を切り離し、分離し、収集する装置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CN214413839U (zh) 一种新型罗非鱼分级暂养系统
US2822569A (en) Fish filleting machine
CN112400963A (zh) 一种高效香肠生产线
CN213404772U (zh) 一种冷却提升机
EP10638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illing aquatic animals
CN211129420U (zh) 一种深水网箱养殖用投食装置
US3259135A (en) Harvesting apparatus
KR102494738B1 (ko) 양식 굴 자동 수확장치
KR101855703B1 (ko) 커팅기가 구비된 세척기
WO198800375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ussel culture
CN214508811U (zh) 一种可悬挂西施舌养殖分苗装置
JP2000023535A (ja) 海苔異物除去法及びその装置
CN107197836B (zh) 一种浮游生物收集设备
CN107637557B (zh) 一种冰鲜小杂鱼投饵系统
CN213719691U (zh) 一种卤制食品加工用清洗装置
KR102640969B1 (ko) 수하연 양식 굴 및 우렁쉥이 자동수확장치
CN109371945A (zh) 水浮莲清除设备
CN210382321U (zh) 一种贻贝收获机上的自动清洗装置
CN211064856U (zh) 一种月饼馅中馅定量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